KR100417370B1 - 란 포장시스템 - Google Patents

란 포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370B1
KR100417370B1 KR10-2001-0070767A KR20010070767A KR100417370B1 KR 100417370 B1 KR100417370 B1 KR 100417370B1 KR 20010070767 A KR20010070767 A KR 20010070767A KR 100417370 B1 KR100417370 B1 KR 100417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s
columns
unit
eg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733A (ko
Inventor
윤택진
Original Assignee
윤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택진 filed Critical 윤택진
Priority to KR10-2001-007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370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4Grading eggs

Abstract

본 발명은 난자판에 란들을 자동으로 포장할 때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면서 포장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갖도록 함은 물론 검란부에서 란들의 상태를 검란하여 선별함으로서 불량의 란들이 포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란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란들을 공급하여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집란부와, 상기 집란부에서 이송되는 란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면서 이동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란들을 검란하여 선병하는 검란부 및 상기 검란부에서 선별된 란들을 난자판(계란판)에 담도록 하는 포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란 포장시스템{EGG PACKING SYSTEM}
본 발명은 란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자판에 란들을 자동으로 포장할 때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면서 포장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갖도록 함은 물론 검란부에서 란들의 상태를 검란하여 선별함으로서 불량의 란들이 포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란한 란들을 일렬로 이송시키면서 정렬하고 정렬된 란들을 검란하여 선별한 후 포장하도록 한 종래의 란 포장시스템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이어서 일반 농가에서는 사용을 기피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란 포장시스템은 란들의 포장시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어 포장되도록 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기 란들의 방향히 완전히 일정하게 맞추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이 요구되었으며, 이는 인건비에 따른 원가상승과 작업성이 떨어짐은 물론 란 포장시스템을 완전 자동화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선별된 란들을 완벽하게 일정한 방향으로 포장되도록 한 란 포장시스템의 자동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면서 포장하도록 하는 란 포장시스템을 완전 자동화하여 수작업에 의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도록 하여 인건비에 따른 원가를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갖도록 한 란 포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란 포장시스템에 있어서, 무질서하게 공급되는 란들을 고르게 퍼지도록 하며 좌우 및 전후로 진동하는 가이드바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로 작동하는 구획판들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통로에 상기 란들을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집란부; 상기 집란부에 의해 공급된 란들을 외주면에 지지홈들이 형성되어 제자리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롤러들에 의해 이동시키고, 그 롤러들의 상부에 가이드부재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이동되는 란들의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부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하여 이동되는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어 주도록 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란들을 육안으로 검란하도록 이송되는 란들의 하측에서 빛을 비추고, 그 빛이 이송되는 란과 란 사이로는 투과되지 않도록 란과 란 사이의 이송방향으로 역광판을 설치하여 하측부에서 비추어지는 빛에 의해 란들의 상태를 검란하도록 하는 검란부; 및 상기 검란부에 의해 선별된 란들을 지지롤러와 지지봉의 사이에 안착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픽커에 투하시키고, 그 투하되는 하측부에는 상기 지지롤러와 지지봉의 사이의 위치하도록 고정봉을 설치하여 투하되는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하여주면서 투하되도록 하며, 상기 픽커에 투하된 란들은 컨베이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난자판에 수용시키도록 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란 포장시스템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란 포장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란 포장시스템에 구비되는 집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상기 집란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집란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집란부에서 란이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A선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집란부에서 란이 공급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획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집란부에서 란들을 고르게 펴주기 위한 회전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란 포장시스템에 구비되는 정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은 상기 정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8은 상기 정렬부에 구비된 회전롤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정렬부에서 란이 반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란 포장시스템에 구비되는 검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0은 상기 검란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상기 검란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검란부에서 란들을 검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란 포장시스템에 구비되는 포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3은 상기 포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상기 포장부에서 란들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란들의 지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상기 포장부에서 란의 방향이 일정하게 되면서 투하되도록 하는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집란부 200 - 정렬부
300 - 검란부 400 - 포장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란 포장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란 포장시스템은 란들을 공급하여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집란부(100)와, 상기 집란부(100)에서 이송되는 란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면서 이동하는 정렬부(200)와, 상기 정렬부(200)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란들을 검란하여 선병하는 검란부(300) 및 상기 검란부(300)에서 선별된 란들을 난자판(계란판)에 담도록 하는 포장부(400)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란 포장시스템에 구비되는 집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상기 집란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집란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집란부에서 란이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A선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집란부에서 란이 공급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획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집란부에서 란들을 고르게 펴주기 위한 회전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집란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집란부(100)는 무질서하게 공급되는 란들을 고르게 퍼지도록 하며 좌우 및 전후로 진동하는 가이드바(130)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로 작동하는 구획판(140)들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통로에 상기 란들을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집란부(100)는 무질서하게 공급되는 란들을 다음 공정인 정렬부(200)의 컨베이어(210)에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컨베이어(100)가 설치되고 그 롤러컨베이어(110)는 롤러(102)들을 일렬로 배열 설치하여 란들을 다음공정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롤러(102)들의 중간부에는 란들이 한곳에 뭉쳐 있는 것을 방지하고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판(120)을 설치한다. 이 회전판(120)은 상기 란들을 이송하기 위한 롤러(102)들의 중간부에 설치하여 소정 경로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계란을 골고루 옆으로 퍼지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120)의 저부 중심부에는 수직축(122)을 설치하고 그 수직축(122)은 모터(124)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판(126)에 구비된 캠홈(128)을 따라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캠홈(128)은 작동판(126)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형성하면, 상기 모터(124)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판(126)에 의해 그 작동판(126)에 편심되어 형성되어 있는 캠홈(128)에 상기 수직축(122)이 안내되면서 작동하여 상기 회전판(120)이 소정 경로로 회동하면서 란들을 고르게 옆으로 퍼지도록 한다.
또한, 무질서하게 공급되는 란들이 소정의 통로를 통해 공급될 때 그 통로의 중간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도록 상기 구획판(140)을 상하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구획판(140)들을 일체화하고 그 양측단에 캠홈(146)이 형성되어 있는 캠판(144)을 모터(142)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구획판(140)을 상하로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란들이 통로로 공급되기 위해 이동되는 계란이 구획판(140)들의 선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계란을 통로측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계란들은 소정의 통로로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획판(140)의 선단에 가이드바(130)를 좌우로 진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후로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설치한다. 이 가이드바(130)들을 좌우 진동과 아울러 전후 회동에 의해 란들은 소정의 통로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란부(100)는 상기 회전판(120)의 작동에 의해그 회전판(120)의 상부에 위치한 란들은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퍼지면서 롤러컨베이어(110)에 구비된 롤러(102)들에 의해 소정의 통로로 이동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란 포장시스템에 구비되는 정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은 상기 정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8은 상기 정렬부에 구비된 회전롤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정렬부에서 란이 반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정렬부(200)는 상기 집란부(100)에 의해 공급된 란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지지홈(214)들이 형성되어 제자리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롤러(212)들에 의해 이동시키고, 그 회전롤러(212)들의 상부에 가이드부재(220)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이동되는 란들의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중간부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하여 이동되는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어 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집란부(100)에서 이동된 란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맞추어준다. 즉, 상기 란들의 뾰족한 부분과 뭉뚝한 부분을 일정한 방향으로 맞추어주도록 한다.
상기 정렬부(200)는 가이드부재(220)를 설치하여 상기 란들의 이송 통로를 제공하고 그 가이드부재(220)는 상기 란들의 방향을 바꾸어주도록 하는 보정구간(222)을 구비한다. 이 보정구간(222)은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대략 중간부에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절곡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란들을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컨베이어(2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210)는 란들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일렬로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되는 회전롤러(212)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롤러(212)의 외주면에는 상기 란들이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계란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지지홈(214)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롤러(212)의 상부로 상기 가이드부재(220)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그 가이드부재(220)와 회전롤러(212)와의 간격은 상기 란의 지름보다 조금 낮게 위치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정렬부(200)에서 상기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어지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면, 상기 란은 평탄한 면 위에서 굴리면 란의 뾰족한 부분은 작은 원을 그리고 란의 뭉뚝한 부분은 큰 원을 그리기 때문에 상기 란은 뾰족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부채꼴 모양으로 굴러가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제자리 회전하는 회전롤러(212)들의 상부에 란을 위치하게 되면, 상기 란은 평탄한 면 위에서 구름 운동하는 것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그러나 회전하는 계란은 상기 회전롤러(212)들의 사이에 끼워져 부채꼴 모양으로는 이동할 수 없고 회전롤러(212)에 안내되면서 계란의 뾰족한 부분측을 향해 전진 이동한다. 즉, 계란은 뾰족한 부분측으로 쏠리면서 이송되는데, 이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보정구간(222)에서 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어준다.
즉, 상기 회전롤러(212)에 의해 이동되는 란은 뾰족한 부분측으로 쏠리면서 이송되는데, 가이드부재(220)의 절곡 형성되어 있는 보정구간(222)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계란의 방향이 일정하게 맞추어진 상태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란의 무게중심은 노른자 부위가 위치한 뾰족한 부분측으로 쏠려 있음으로서, 계란의 뾰족한 부분측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순간 그 계란의 무게중심에 의해 반전된다.
상기와 같이 반전되어 방향이 맞추어진 란들은 회전롤러(2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홈(214)에 의해 계란이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동되도록 하여 계란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란 포장시스템에 구비되는 검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0은 상기 검란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상기 검란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검란부에서 란들을 검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검란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검란부(300)는 상기 정렬부(200)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란들을 육안으로 검란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되는 란들의 하측에서 빛을 비추고, 그 빛이 이송되는 란과 란 사이로는 투과되지 않도록 란과 란 사이의 이송방향으로 역광판(320)을 설치하여 하측부에서 비추어지는 빛에 의해 란들의 상태를 검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검란부(300)는 상기 정렬부(200)에 일정한 방향으로 맞추어진 란들의 상태를 검란하는 것으로, 외주면이 오목한 형태로 되는 다수의 안착부(332)들을 형성한 롤러(330)들을 제자리 회전되도록 일렬로 설치하여 상기 란들을 이송되도록 하고, 그 롤러(330)의 하측부에 빛을 비추는 형광등(312)을 설치한다. 이 형광등(312)은 고정대(3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고정대(310)의 하부에는 팬(314)을 설치하여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롤러(330)들의 안착부(332)의 사이에는 역광판(320)을 설치하여 형광등(312)에서 비추는 빛이 상기 란들에 만 비추도록 하고, 그 란과 란 사이로는 비추지 않도록 한다. 상기 역광판(320)은 상부차단편(322)과 하부차단편(324)으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330)에 구비된 안착부(332)들의 사이에 상부와 하부로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역광판(320)에 의해 이송되는 란과 란 사이에는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하고 란들에게만 빛이 투과되도록 한다.
이러한 검란부(300)는 상기 롤러(330)에 구비된 안착부(332)에 의해 이동되는 란들을 그 하측에서 형광등(312)에 의해 빛을 비추면서 육안으로 검란하는 것으로, 상기 빛은 역광판(320)에 의해 란과 란 사이로는 투과되지 않고 란으로 만 투과되어 육안으로 쉽게 란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실금이 간 파란이나 피맥힘이 있는 혈란 등을 검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검란부에서는 빛이 란의 주위로는 비쳐지지 않고 직접 란으로만 비쳐짐으로서 상기 란의 내부 기공까지도 확실하게 육안으로 검란할 수 있어 계란의 선별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란 내의 기공이 크면 그 란은 싱싱한 계란으로 구분되어 특란으로 판별하고, 상대적으로 계란 내의 기공이 작으면 오래된 계란으로 판별하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공이 큰 란 만을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란 포장시스템에 구비되는 포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3은 상기 포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상기 포장부에서 란들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란들의 지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6은 상기 포장부에서 란의 방향이 일정하게 되면서 투하되도록 하는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포장부(400)는 상기 검란부(300)에 의해 선별된 란들을 지지롤러(410)와 지지봉(420)의 사이에 안착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픽커(440)에 투하시키고, 그 투하되는 하측부에는 상기 지지롤러(410)와 지지봉(420)의 사이의 위치하도록 고정봉(430)을 설치하여 투하되는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하여주면서 투하되도록 하며, 상기 픽커(440)에 투하된 란들은 컨베이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미도시 한 난자판(계란판)에 수용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포장부(400)는 상기 검란부(300)에서 선별된 란들을 난자판에 담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前) 공정(정렬부, 검란부)에서 이송된 란들의 양측을 지지롤러(410)와 지지봉(420)의 사이에 안착하여 하부로 이동시켜 픽커(440)에 투하시켜 난자판(계란판)에 담도록 한다.
상기 지지롤러(410)에는 란들이 다열로 배열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안착부(412)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롤러(410)와 지지봉(420)은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어 란이 안착되도록 란의 양측 하부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지지롤러(410)와 지지봉(420)에 의해 란의 양측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롤러(410)와 지지봉(420)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하부에서 상기 지지롤러(410)와 지지봉(420)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계란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고 있던 상태가 해지되면서 란들은 자연 투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란들이 자연 투하될 때, 그 란들의 뾰족한 방향이 아래로 향하도록 정렬되면서 투하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봉(430)을 상기 지지롤러(410)와 지지봉(420)의 사이에 설치한다. 즉, 상기 고정봉(430)은 란들이 투하되는 부분에 설치하여 상기 란들의 뾰족한 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맞추어지면서 투하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롤러(410)와 지지봉(420)에 의해 안착되어 하부로 이동되는 란들은 상기 지지롤러(410)와 지지봉(420)이 양측으로 벌어질 때 지지롤러(410)에 의해 지지하고 있던 상태를 고정봉(430)에서 지지하게 되어 상기 란은 고정봉(430)과 지지봉(420)에 의해 안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봉(420)이 계속 벌어지면 상기 란을 안착하고 있던 고정봉(430)과 지지봉(420)은 점 접촉에 의해 란을 안착하고 있는 상태가 되면서 그 순간에 상기 란은 무거운 측이 먼저 아래 방향으로 향한다. 따라서 상기 란은 뾰족한 부분이 아래로 향하여 투하된다.
이와 같이 란의 양측 하부를 순간적으로 점 접촉에 의해 지지하면 란의 뾰족한 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하여 투하되는 것은, 상기 란의 무게중심이 노른자 부위가 위치한 뾰족한 부분측으로 쏠려 있어 무거운 부분인 계란의 뾰족한 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향하여 투하된다.
이와 같이 투하되는 란들은 픽커(440)에 투하되고, 그 픽커(440)는 승하강 작동하면서 미도시한 난자판에 상기 란들을 수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픽커에 의해 상기 란들을 난자판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은 통상 잘 알려져 있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 1993-6073호의 "계란을 용기에 수용하는 장치"와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85558호의 "포장스테이션에 있어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부에 의하면 상기 란들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아도 상기 란들을 투하시에 그 방향이 일정하게 맞추어지므로 완전 자동화를 이룰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면서 포장하도록 하는 란 포장시스템을 완전 자동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수작업에 의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어 인건비에 따른 원가를 절감시키고, 작업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란 포장시스템에 있어서,
    무질서하게 공급되는 란들을 고르게 퍼지도록 하며 좌우 및 전후로 진동하는 가이드바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로 작동하는 구획판들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통로에 상기 란들을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집란부;
    상기 집란부에 의해 공급된 란들을 외주면에 지지홈들이 형성되어 제자리 회전하도록 설치된 롤러들에 의해 이동시키고, 그 롤러들의 상부에 가이드부재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이동되는 란들의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간부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하여 이동되는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어 주도록 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란들을 육안으로 검란하도록 이송되는 란들의 하측에서 빛을 비추고, 그 빛이 이송되는 란과 란 사이로는 투과되지 않도록 란과 란 사이의 이송방향으로 역광판을 설치하여 하측부에서 비추어지는 빛에 의해 란들의 상태를 검란하도록 하는 검란부; 및
    상기 검란부에 의해 선별된 란들을 지지롤러와 지지봉의 사이에 안착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픽커에 투하시키고, 그 투하되는 하측부에는 상기 지지롤러와 지지봉의 사이의 위치하도록 고정봉을 설치하여 투하되는 란들의 방향을 일정하게 하여주면서 투하되도록 하며, 상기 픽커에 투하된 란들은 컨베이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난자판에 수용시키도록 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란 포장시스템.
KR10-2001-0070767A 2001-11-14 2001-11-14 란 포장시스템 KR100417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767A KR100417370B1 (ko) 2001-11-14 2001-11-14 란 포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767A KR100417370B1 (ko) 2001-11-14 2001-11-14 란 포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733A KR20030039733A (ko) 2003-05-22
KR100417370B1 true KR100417370B1 (ko) 2004-02-05

Family

ID=2956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767A KR100417370B1 (ko) 2001-11-14 2001-11-14 란 포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370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9505A (en) * 1982-07-01 1985-05-28 Diamond Automations, Inc. Egg transfer system
US4575993A (en) * 1982-06-16 1986-03-18 Pieter Meyn Machine for packaging eggs
US4776465A (en) * 1982-07-01 1988-10-11 Diamond Automations, Inc. Egg processing system
JPH05193732A (ja) * 1991-05-07 1993-08-03 Fps Foods Processing Syst Bv 卵のごとき物品の受容または転送、垂直搬送および供給装置
JPH0721504U (ja) * 1993-05-14 1995-04-18 株式会社南部電機製作所 卵の方向整列装置
KR960033185U (ko) * 1995-04-01 1996-11-19 최현근 집란 이송장치
KR970002576A (ko) * 1995-06-06 1997-01-28 제프리 엘. 포맨 직접 액세스 저장 장치의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압축 데이터 구조
KR970004931U (ko) * 1995-07-31 1997-02-19 자동 변속기의 유압회로 장치에 있어서의 쇼크방지장치
KR970004932U (ko) * 1995-07-31 1997-02-19 유압 마찰 수단의 유압제어구조
KR19990004010U (ko) * 1998-10-14 1999-01-25 양인근 계란 자동공급장치
US6029424A (en) * 1998-01-16 2000-02-29 Diamond Automations, Inc. High-speed egg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20000058694A (ko) * 2000-06-24 2000-10-05 한홍석 자동 계란선별·포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993A (en) * 1982-06-16 1986-03-18 Pieter Meyn Machine for packaging eggs
US4519505A (en) * 1982-07-01 1985-05-28 Diamond Automations, Inc. Egg transfer system
US4776465A (en) * 1982-07-01 1988-10-11 Diamond Automations, Inc. Egg processing system
JPH05193732A (ja) * 1991-05-07 1993-08-03 Fps Foods Processing Syst Bv 卵のごとき物品の受容または転送、垂直搬送および供給装置
JPH0721504U (ja) * 1993-05-14 1995-04-18 株式会社南部電機製作所 卵の方向整列装置
KR960033185U (ko) * 1995-04-01 1996-11-19 최현근 집란 이송장치
KR970002576A (ko) * 1995-06-06 1997-01-28 제프리 엘. 포맨 직접 액세스 저장 장치의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압축 데이터 구조
KR970004931U (ko) * 1995-07-31 1997-02-19 자동 변속기의 유압회로 장치에 있어서의 쇼크방지장치
KR970004932U (ko) * 1995-07-31 1997-02-19 유압 마찰 수단의 유압제어구조
US6029424A (en) * 1998-01-16 2000-02-29 Diamond Automations, Inc. High-speed egg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19990004010U (ko) * 1998-10-14 1999-01-25 양인근 계란 자동공급장치
KR20000058694A (ko) * 2000-06-24 2000-10-05 한홍석 자동 계란선별·포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733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69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lignment of products
JP5487248B2 (ja) 作物整列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作物選別装置
KR900007306A (ko) 계란 수집장치
KR101365158B1 (ko) 뿌리작물 선별장치
PL102933B1 (pl) Mechanizm odbiorczy urzadzenia do selekcji kapsulek
KR20160126135A (ko) 농작물 선별장치
KR100417370B1 (ko) 란 포장시스템
CN102449751B (zh) 分类装置
JP2008183539A (ja) 選別装置
KR102073215B1 (ko)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KR20110139946A (ko) 이상란 추출장치
KR100590595B1 (ko)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KR102322311B1 (ko) 당도 측정기를 갖는 프리트레이 투입기
KR100256095B1 (ko)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JP2009143650A (ja) 選別コンベヤへの青果物供給装置
US20090219535A1 (en) Fruit and vegetable quality control device
JP3396073B2 (ja) 小物品の外観検査装置における振り分け装置
KR20160094701A (ko) 다수 렌즈 공급용 렌즈 피더
JP4323734B2 (ja) 農作業機
KR101839065B1 (ko) 엘이디 칩용 렌즈의 자세정렬장치
KR200176497Y1 (ko) 과일선별기용 이송장치.
NL194775C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mechanisch in een met teelaarde gevulde houder planten van een verzameling als stortgoed aangevoerde bollen van een gewas.
JP2002316728A (ja) ワーク繰出装置
JP2549977Y2 (ja) 農産物の重量選別装置への自動分離供給装置
JP2005013077A (ja) 移植機の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