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607B1 - 와이퍼 블레이드 구동 시스템용의 전기 정류자 및 대응하는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구동 시스템용의 전기 정류자 및 대응하는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607B1
KR101995607B1 KR1020147012284A KR20147012284A KR101995607B1 KR 101995607 B1 KR101995607 B1 KR 101995607B1 KR 1020147012284 A KR1020147012284 A KR 1020147012284A KR 20147012284 A KR20147012284 A KR 20147012284A KR 101995607 B1 KR101995607 B1 KR 101995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ontact
drive system
conductive track
insulat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372A (ko
Inventor
삐에르 블랑쳇
장 장드라스자크
알랭 세르뱅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ublication of KR2014011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6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a motor-reduction unit and a mechanism for converting rotary into oscillator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16)를 포함하는 차량 유리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동 시스템(10)용의 전기 정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기 정류자는, 상기 모터(16)에 의해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적어도 1개의 구동 휠(22)과, 상기 제1 회전축(C)을 중심으로 한 휠(22)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4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휠(22)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트랙(46)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46)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거의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영역(47a, 47b)을 지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영역(47a, 47b)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트랙(46)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거의 직각인 방향(Z)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트랙(46)으로부터 거리(h)에 배치되며, 상기 검출 수단(44)은 상기 휠(22)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일정 각도로 오프셋되는 3개의 도전성 접촉 블레이드(48, 48', 4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구동 시스템용의 전기 정류자 및 대응하는 구동 시스템{ELECTRICAL COMMUTATOR FOR WIPER BLADE DRIVE SYSTEM AND CORRESPONDING DRIVE SYSTEM}
본 발명은 와이핑 메카니즘용 구동 시스템을 위한 전기 정류자 및 대응하는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차량 유리창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구동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러한 구동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유리창에 대해 블레이드의 왕복 회전 운동을 생성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구동 시스템을 차량에,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대응하는 구조적 요소에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블레이드의 왕복 회전 운동을 생성하는 디바이스는 특히 모터와, 모터 구동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동 아암을 지지하는 출력 샤프트의 왕복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서브조립체는 차량의 구조적 요소 상에 장착되고 그 전력 공급 및 그 제어를 위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가지 공지된 해법에 따르면, 구동 시스템은 이를 위해 모터의 제어를 위한 회전식 전기 정류자를 포함한다.
이 제어는 특히 유리창에 관한 구동 시스템의 상대 위치에 따라 좌우된다. 이 정보는 휠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전환 수단의 휠의 각도 위치에 관하여 결정된다.
그러한 검출 수단이 공지되어 있고, 휠의 각도 위치에 따라 도전성 트랙, 또는 심지어는 하나 이상의 절연 영역, 예컨대 정지 영역과 협력할 수 있는 다수의 접촉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는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다.
접촉 블레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절연체를 포함하는 접촉 홀더가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이 절연체는 예컨대 접촉 블레이드 둘레에 오버몰딩된다. 따라서, 접촉 홀더는 정렬된 접촉 블레이드 둘레에 절연 블럭을 형성한다.
접촉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이 절연 홀더는 접점의 자유 단부가 휠의 각도 위치에 따라 휠의 트랙 및/또는 절연 영역과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촉 홀더는 구동 휠 위에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단락을 피하기 위하여, 휠의 접촉 트랙 및 절연 영역과 협력하는 접촉 블레이드 사이에 적어도 1 mm의 유전체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유전체는 대체로 수평이고, 다시 말해서 구동 휠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다.
이는 구동 휠 상에 반경 방향 부피를 발생시킨다.
유리창 와이핑 메카니즘의 설계에 관한 최근의 개발은 콤팩트한 와이핑 메카니즘용의 구동 시스템을 얻는 데에 집중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류자, 이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 구동 시스템의 부피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주제는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 유리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동 시스템용의 전기 정류자이고, 상기 전기 정류자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적어도 1개의 구동 휠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휠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휠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트랙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트랙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거의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영역을 지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트랙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거의 직각인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트랙으로부터 거리에 배치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휠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일정 각도로 오프셋되는 3개의 도전성 접촉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정류자는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하는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영역은 경사로의 형태이다.
- 상기 경사로는 1 mm 이상의 높이를 갖는다.
- 상기 휠은 휠의 주연부에 있는 제1 중립 절연 영역과 상기 휠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는 제2 중지 절연 영역을 지지하고, 상기 절연 영역은 도전성 트랙의 양측에 배치된다.
- 상기 중립 영역과 상기 중지 영역은 경사로의 형태이다.
- 상기 제1 중립 절연 영역은 대략 개방 원형 형태이고, 상기 도전성 트랙은 상기 제1 중립 절연 영역의 개구 내로 연장된다.
- 3개의 접촉 블레이드는, 상기 제1 중립 절연 영역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1 접촉 블레이드, 상기 휠의 각도 위치에 따라 도전성 트랙 또는 제2 중지 영역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2 접촉 블레이드, 및 도전성 트랙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3 접촉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 상기 휠은 상기 구동 시스템을 위한 장착판을 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1 면 상에 상기 도전성 트랙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영역을 지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 유리창의 와이퍼 블레이드용의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유리창에 대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왕복 회전 운동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고,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휠 및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휠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 정류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정류자는 이전 특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 시스템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하는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구동 시스템은 구동 시스템을 상기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수단은 3개의 도전성 접촉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장착판을 포함한다.
- 상기 장착판은 한편으로는 상기 차량의 관련된 장착 구조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운동 생성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 상기 운동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운동 생성 디바이스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내부 용적을 획정하는 지지 플린스(support plinth)를 포함하고, 지지 플린스는 상기 장착판에 의해 폐쇄되는 내부 용적에 엑세스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의 관점에서 일례로서 그리고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제공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나올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구동 시스템의 운동 생성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디바이스의 모터의 전기 정류자가 제공된 도 2의 디바이스의 전환 수단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전기 정류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5는 운동 생성 디바이스의 구동 모터의 전기 제어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다.
도 1과 도 2는 예컨대 차량의 전방 윈드실드용의 차량 유리창의 와이퍼 메카니즘의 구동 시스템(10)을 나타낸다.
구동 시스템(10)은 자유 단부(14a)가 유리창용 와이퍼 블레이드(도시 생략)의 구동 아암(도시 생략)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샤프트(14)의 왕복 회전 운동을 생성하는 디바이스(12)를 포함한다.
구동 시스템(10)은 또한 차량에서, 예컨대 차량의 대응하는 구조적 요소(도시 생략) 상에 구동 시스템(10)을 장착하는 수단(36)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생성 디바이스(12)는,
-구동 샤프트(18)가 제1 회전축(A)을 중심으로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구동 모터(16)와,
-구동 샤프트(18)의 회전 운동을 제1 회전축(A)에 직각인 제2 회전축(B)을 중심으로 출력 샤프트(14)의 왕복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운동 전환 수단(20)
을 포함한다(도 2와 도 3 참조).
운동 전환 수단(20)은 출력 샤프트(14)의 제2 회전축(B)에 평행한 제3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휠(22)과, 구동 샤프트(18)의 단부에 장착되는 웜 스크류(24)를 포함한다.
휠(22)은 제1 면(22a)과, 제1 면(22a)에 대향하는 제2 면(22b)을 구비한다.
휠(22)과 웜 스크류(24)의 조립체는 제1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한 모터(16)의 샤프트(18)의 연속적인 회전 운동을 제1 회전축(A)에 직각인 제3 회전축(C)을 중심으로 한 휠(22)의 다른 연속적인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고 휠(22)의 회전 속도는 구동 샤프트(18)의 회전 속도보다 작다.
이를 위해, 도 4a 및 도 4b에 더 잘 보이는 휠(22)은 그 외면에 웜 스크류(24)와 맞물리는 치형 피니언(23)을 구비한다(도 2 내지 도 4b 참조).
운동 전환 수단(20)은 또한 휠(22)을 출력 샤프트(14)에 연결하는 로드 연결 장치(26) 또는 연결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이 로드 연결 장치를 통해 제3 회전축(C)을 중심으로 한 휠(22)의 연속적인 회전 운동이 제2 회전축(B)을 중심으로 한 출력 샤프트(14)의 왕복 회전 운동으로 전환된다.
운동 생성 디바이스(12)는 또한 운동 생성 디바이스(12)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지지 플린스(support plinth; 28)를 포함한다.
플린스(28)는 휠(22), 웜 스크류(24) 및 로드 연결 장치(26)가 수용되는 내부 용적(32)을 획정한다. 플린스(28)는 내부 용적(32)에 엑세스하기 위한 상부 개구(34)를 포함한다.
플린스(28)는 모터(16)를 고정하기 위한 벽(30)을 포함하고, 이 벽을 구동 샤프트(18)가 통과한다.
그 부분을 위해, 장착 수단(36)은 운동 생성 디바이스(12)와 차량의 차체 구조 사이에 계면을 제공한다.
장착 수단(36)은 플린스(28)가 장착되는 장착판(38)을 포함하고, 이 장착판(38)은 차량의 구조적 요소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판(38)은 제1 상부면(38a)과, 제1 상부면(38a)과 대향하고 플린스(28)에 의해 획정되는 내부 용적(32)을 향하는 제2 바닥면(38b)을 구비한다.
장착판(38)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판(38)과 플린스(28) 사이의 연결은 장착판(38)이 플린스(28)의 개구(34)를 타이트하게 차단하도록 생성된다.
따라서, 플린스(28) 내에 수용되는 운동 생성 디바이스(12)의 구성요소가 외측의 먼지 및 습도로부터 보호된다.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판(38)은 수직 방향의 제2 회전축(B)을 중심으로 피봇하는 출력 샤프트(14)를 안내하기 위한 스톡(40)을 지지한다.
구동 시스템(10)은 또한 모터(16)의 제어를 위한 전기 정류자(42)를 포함한다. 전기 정류자는 회전식 전기 정류자(42)이다.
정류자(42)는 모터(16)의 중지를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제어는 유리창에 대한 블레이드의 위치에 따라 좌우된다.
정류자(42)는 예컨대 "주차" 위치에서 전기 모터(16)에 대해 공지된 방식으로 고정식 중지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모터(16)에 연결하기 위한, 모터(16)에 대한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및/또는 공급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회로가 제공된다(도 5 참조).
또한, 전자 제어 회로는 차량의 일반적인 전자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창에 대한 블레이드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제3 회전축(C)을 중심으로 한 휠(22)의 각도 위치에 대해 결정된다.
이를 위해, 정류자(42)는 제3 회전축(C)을 중심으로 한 휠(22)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44)을 포함한다(도 3 내지 도 4b 참조).
이 검출 수단(44)은 플레이트(38)를 향해 위치되는 휠(22)의 제1 면(22a)과 협력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휠(22)은 그 제1 면(22a)에서 도전성 트랙(46)과 적어도 하나의 절연 영역(47a, 47b)을 지지한다.
절연 영역 또는 영역들(47a, 47b)은 도전성 트랙(46)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대해 거의 직각인 방향(Z)으로 도전성 트랙(46)으로부터의 거리(h)를 두고, 도전성 트랙(46)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는 평면에서 연장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절연 영역 또는 영역들(47a, 47b)은 도전성 트랙(46)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대해 거의 직각인 방향(Z)에서 도전성 트랙(46)으로부터 거리(h)를 두고 연장된다. 따라서, 절연 영역 또는 영역들(47a, 47b)은 도전성 트랙(46)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승된다.
도 3 내지 도 4b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휠(22)은 휠(22)의 주연부에 있는 제1 중립 절연 영역(47a)과, 휠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는 제2 중지 절연 영역(47b)을 지지하고, 이들 2개의 절연 영역(47a, 47b)은 도전성 트랙(46)의 양면에 배치된다.
중립 영역(47a)과 중지 영역(47b)은 예컨대 경사로의 형태이다.
경사로 높이(h)는 적어도 1 mm이다.
"경사로"는 높이(h)가 적어도 1 mm의 높이로 점차 증가한다는 점을 의미하도록 이해해야 한다. 이 점진적 경사는 절연 영역(47a, 47b)의 2개의 단부 에지에서 볼 수 있다.
도전성 트랙(46)과 절연 영역(47a, 47b) 사이에 수직 거리를 허용하는 임의의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일례로서, 절연 영역(47a, 47b)에 대해 실질적으로 계단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중립 영역(47a)은 대략 개방 원형 형태를 갖고, 도전성 트랙(46)은 제1 중립 영역(47a)의 개구 내로 연장된다. 사실상, 도 4a와 도 4b에서 더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전성 트랙(46)은 제1 중립 영역(47a)을 가로막는 각도 세그먼트에 걸쳐서 연장된다.
그 부분을 위해, 검출 수단(44)은 휠(22)에서 마찰하고 휠(22)의 각도 위치에 따라 트랙(46) 및/또는 절연 영역(47a, 47b)과 전기 접촉할 수 있는 3개의 도전성 접촉 블레이드(48, 48', 48")를 포함한다.
트랙(46), 절연 영역(47a, 47b) 및 블레이드(48, 48', 48")는 모터(16)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전기 모터(16)의 고정식 정지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접촉 블레이드(48, 48', 48")는 일례로서 금속제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절단 및 벤딩시킴으로써 제조되고, 이에 따라 휠(22)의 트랙 또는 절연 영역과의 접촉을 보장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요소의 형태로 제조된다.
더욱이, 접촉 블레이드(48, 48', 48")는 도 4b에서 더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휠(22)과 접촉하는 제1 부분(48a)과, 고정식 제2 부분(48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접촉 부분(48a)은, 예컨대 대체로 엘보우 형태이다.
또한, 접촉 블레이드(48, 48', 48")의 제2 부분(48b)은 예컨대 접촉 블레이드와 함께 단일 피스로부터 제조되는 전기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49)에 의해 종결될 수 있다.
3개의 접촉 블레이드(48, 48', 48")는 서로에 대해 각도 오프셋을 두고 휠(22)의 트랙(46) 및/또는 절연 영역(47a, 47b)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요소가 제공된다.
-도전성 트랙(46)의 일부 또는 제1 중립 절연 영역(47a)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1 접촉 블레이드(48),
-휠(22)의 각도 위치에 따라 도전성 트랙(46) 또는 제2 정지 영역(47b)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2 접촉 블레이드(48'), 및
-도전성 트랙(46)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3 접촉 블레이드(48").
제1 접촉 블레이드(48)는 도 5에서 접점 "a"를 형성하고, 제2 블레이드(48')는 접점 "b"를 형성하며, 제3 블레이드(48")는 접점 "c"를 형성한다.
접촉 블레이드(48, 48', 48")의 이 배열은 서로에 대해 일정 각도로 오프셋되고, 절연 영역(47a, 47b)의 수직 상승은 휠(22) 상에서 접촉 블레이드(48, 48', 48")의 반경 방향 부피를 감소시켜 더 콤팩트한 정류자(42)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사실상, 도전성 트랙(46)과 제1 접촉 블레이드(48) 및 제2 접촉 블레이드(48') 사이에 적어도 1 mm의 유전체가 관찰된다.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유전체는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수직 방향이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1 mm의 유전체는 휠(22)에 의해 획정되는 대략적인 평면에 대해 거의 직각인 방향(Z)으로 이루어진다(도 4b 참조).
도 5를 참조하면, 구동 시스템(10)이 맞물릴 때에, 정류자는 "1"로 전환된다.
접점 a, b, c는 모터(16)가 회전하고 휠(22)이 회전하도록 양의 전력 공급 단자(+)에 연결된다.
구동 시스템(10)이 중립화될 때에, 정류자는 "0"으로 전환되고, 트랙(46) 및 절연 영역(47a, 47b)과 접점 a, b, c의 2개의 위치가 가능하다.
즉, 제1 위치에서, 접점 a가 중립 영역(47a)과 접촉하고, 접점 c가 트랙(46)과 접촉하며, 접점 b가 양의 단자(+)에 연결되고 트랙(46)과 접촉한다.
이 구성에서, 모터(16)와 휠(22)은 양의 단자(+)가 트랙(46)과 접촉하는 접점 b에 연결되기 때문에 회전한다.
접점 c가 또한 트랙(46)과 접촉하기 때문에, 접점 c가 양의 단자(+)에 연결되어 모터(16)에 전력을 공급한다.
휠(22)이 회전하는 경우, 접점 b가 정지 영역(47b)에 도달하고 모터(16)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며, 접지 상태의 트랙(46)과 접촉하는 접점 a에 의해 모터(16)의 전기자를 단락시킨다.
이어서, 접점 a, b, c는 접점 a와 c가 트랙(46)과 접촉하고 접점 b가 양의 단자(+)에 연결되며 정지 영역(47b)과 접촉하는 제2 위치에 있게 된다.
이 구성에서, 모터(16)와 휠(22)은 회전하지 않고, 모터(16)의 전기자는 접지 상태의 트랙(46)과 접촉하는 접점 a에 의해 단락된다.
따라서, 오프셋 관점에서 접촉 블레이드(48, 48', 48")의 그러한 배열과 예컨대 절연 영역(47a, 47b)의 경사로 구성이 휠(22) 상의 반경 방향 부피를 감소시켜 더 콤팩트한 조립체를 얻을 수 있게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10: 구동 시스템 12: 운동 생성 디바이스
14: 출력 샤프트 16: 구동 모터
18: 구동 샤프트 20: 운동 전환 수단
22: 휠 46: 도전성 트랙
47a, 47b: 절연 영역
48, 48', 48": 도전성 접촉 블레이드

Claims (12)

  1. 모터(16)를 포함하는 차량 유리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동 시스템(10)용의 전기 정류자로서,
    -상기 모터(16)에 의해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적어도 1개의 구동 휠(22)과,
    -상기 회전축(C)을 중심으로 한 휠(22)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44)을 포함하고,
    -상기 휠(22)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트랙(46)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트랙(46)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영역(47a, 47b)을 지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영역(47a, 47b)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트랙(46)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직각인 방향(Z)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트랙(46)으로부터 거리(h)에 배치되며,
    -상기 검출 수단(44)은 상기 휠(22)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각도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3개의 도전성 접촉 블레이드(48, 48', 48")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정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영역(47a, 47b)은 경사로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정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는 1 mm 이상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정류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22)은 휠(22)의 주연부에 있는 제1 중립 절연 영역(47a)과 상기 휠(22)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는 제2 중지 절연 영역(47b)을 지지하고, 상기 절연 영역(47a, 47b)은 도전성 트랙(46)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정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립 절연 영역(47a)과 상기 제2 중지 절연 영역(47b)은 경사로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정류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립 절연 영역(47a)은 개방 원형 형태이고, 상기 도전성 트랙(46)은 상기 제1 중립 절연 영역(47a)의 개구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정류자.
  7. 제4항에 있어서,
    3개의 접촉 블레이드(48, 48', 48")는,
    -상기 제1 중립 절연 영역(47a)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1 접촉 블레이드(48),
    -상기 휠(22)의 각도 위치에 따라 도전성 트랙(46) 또는 제2 중지 절연 영역(47b)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2 접촉 블레이드(48'), 및
    -도전성 트랙(46)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3 접촉 블레이드(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정류자.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22)은 상기 구동 시스템(10)을 위한 장착판(38)을 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1 면(22a) 상에 상기 도전성 트랙(46)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영역(47a, 47b)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정류자.
  9. 차량 유리창의 와이퍼 블레이드용의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10)은,
    -상기 유리창에 대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왕복 회전 운동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고, 구동 모터(16)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2)와,
    -회전축(C)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 모터(16)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휠(22) 및 제1 회전축(C)을 중심으로 휠(22)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44)을 포함하는 전기 정류자(42)를 포함하는 구동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기 정류자(42)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구동 시스템(10)을 상기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3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수단(36)은 3개의 도전성 접촉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장착판(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38)은 한편으로는 상기 차량의 관련된 장착 구조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디바이스(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12)는 상기 디바이스(12)의 구성요소(20, 26)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내부 용적(32)을 획정하는 지지 플린스(28; support plinth)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린스(28)는 상기 장착판(38)에 의해 폐쇄되는 내부 용적(32)에 엑세스하기 위한 개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KR1020147012284A 2011-10-07 2012-10-05 와이퍼 블레이드 구동 시스템용의 전기 정류자 및 대응하는 구동 시스템 KR101995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9074 2011-10-07
FR1159074A FR2981031B1 (fr) 2011-10-07 2011-10-07 Commutateur electrique pour systeme d'entrainement de balai d'essuyage et systeme d'entrainement correspondant
PCT/EP2012/069728 WO2013050534A1 (fr) 2011-10-07 2012-10-05 Commutateur électrique pour système d'entraînement de balai d'essuyage et système d'entraînement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372A KR20140116372A (ko) 2014-10-02
KR101995607B1 true KR101995607B1 (ko) 2019-07-02

Family

ID=4697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284A KR101995607B1 (ko) 2011-10-07 2012-10-05 와이퍼 블레이드 구동 시스템용의 전기 정류자 및 대응하는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63875B1 (ko)
KR (1) KR101995607B1 (ko)
CN (1) CN103987587B (ko)
FR (1) FR2981031B1 (ko)
WO (1) WO2013050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7051B1 (fr) * 2012-10-24 2016-09-02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mbiellage pour moteur d'essuie-glaces de vehicules automobiles
FR3048395B1 (fr) * 2016-03-07 2019-06-21 Valeo Systemes D'essuyage Roue pour un systeme d’entrainement d’essuie-glace de vehicule
FR3057329B1 (fr) * 2016-10-07 2018-11-16 Valeo Systemes D'essuyage Roue dentee pour un motoreducteur d’essuie-gl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5337A (ja) * 2006-02-10 2007-08-23 Mitsuba Corp 減速機構付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7902B2 (ja) * 1996-11-06 2005-07-06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駆動装置
JPH10271750A (ja) * 1997-03-21 1998-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ウォームギヤモータ
DE102008030738A1 (de) * 2008-06-27 2009-12-31 Valeo Systèmes d'Essuyage Elektromotorischer Hilfsantrieb für Fahrzeuge
DE102008043612A1 (de) * 2008-11-10 2010-05-12 Robert Bosch Gmbh Getriebe
DE102009029492B4 (de) * 2009-09-16 2019-07-04 Robert Bosch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Scheibenwischer mit einer Positionsermittlungseinrichtung
DE102009045328A1 (de) * 2009-10-05 2011-04-07 Robert Bosch Gmbh Schaltungsanordnung zum Betreiben eines Elektromotors
FR2957874A1 (fr) * 2010-06-25 2011-09-30 Valeo Systemes Dessuyage Systeme d'entrainement modulai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5337A (ja) * 2006-02-10 2007-08-23 Mitsuba Corp 減速機構付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87587A (zh) 2014-08-13
FR2981031A1 (fr) 2013-04-12
WO2013050534A1 (fr) 2013-04-11
KR20140116372A (ko) 2014-10-02
FR2981031B1 (fr) 2014-05-23
EP2763875B1 (fr) 2019-01-23
EP2763875A1 (fr) 2014-08-13
CN103987587B (zh)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1393B2 (en) Motor and brush holder thereof
US20060284584A1 (en) Drive device for window wipers with a parking position switch
GB2079540A (en) Electric drive unit
KR101087701B1 (ko) 회전위치 검출기를 갖는 모터장치
KR101995607B1 (ko) 와이퍼 블레이드 구동 시스템용의 전기 정류자 및 대응하는 구동 시스템
US7554235B2 (en) Motor cover and electric motor equipped with the same
CN108141104B (zh) 刮水器直接驱动器
US9837877B2 (en) Electric power tool
EP1396923B1 (en) Geared motor
JP4713240B2 (ja) モータ及びワイパ装置用モータ
US20180056943A1 (en) Windscreen wiper drive device and wiping system
US11043873B2 (en) Connection unit for a wiper motor and wiper motor
JP2018117105A (ja) モータ装置
US9496764B2 (en) Brush holder for an electric motor, and gear mechanism drive unit having a brush holder
CN107985265B (zh) 用于机动车的刮水器设备的刮水器驱动装置
JP6988093B2 (ja) 接続端子、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モータ装置
US20040103735A1 (en) Driving gear, especially worm gear
US10821940B2 (en) Wheel for a vehicle window wiper drive system
CN101734230B (zh) 传动装置
CN103879380B (zh) 具有取决于位置的用于对下降的信号进行信号分析的切换装置的驱动装置
JP6544450B2 (ja) ワイパモータ
CN102209653A (zh) 传动装置
CN104786996B (zh) 用于窗板刮水装置的驱动机构
EP1630052B1 (en) Motor apparatus having rotational position detector
CN217741510U (zh) 具有改进的位置确定功能的电机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