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257B1 -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 Google Patents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257B1
KR101995257B1 KR1020170093231A KR20170093231A KR101995257B1 KR 101995257 B1 KR101995257 B1 KR 101995257B1 KR 1020170093231 A KR1020170093231 A KR 1020170093231A KR 20170093231 A KR20170093231 A KR 20170093231A KR 101995257 B1 KR101995257 B1 KR 101995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oxidant
layer
metal
alloy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948A (ko
Inventor
유하경
오재영
이승욱
이민혁
Original Assignee
소프트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팩(주) filed Critical 소프트팩(주)
Priority to KR102017009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257B1/ko
Priority to PCT/KR2017/008027 priority patent/WO2019022269A1/ko
Publication of KR2019001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Oxygen absor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차단성과 함께 항산화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를 제시한다. 그 포장지는 기재층, 폴리비닐알콜 및 항산화물질이 혼합된 항산화차단층 및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에 산소흡수물질이 혼합된 산소흡수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거나, 또는 연신 PP층,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진 차단층, 산소흡수층 및 항산화물질이 코팅된 항산화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Packaging sheet for food using anti-oxidation material}
본 발명은 식품용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하여 식품의 신선도 및 보존성을 높여서, 유니소재, 친환경, 차단성, 커피의 지방산 등에 특화시킨 식품용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식품 포장은 식품을 저장하고 보관하는 것으로, 신선도 및 보존성이 매우 중요하다. 식품의 신선도 및 보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산소 및 수분의 차단성이 우수해야 한다. 종래의 포장지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51193호,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22620호와 같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을 포함한 이종소재로 구성된 다층필름으로 산소 및 수분의 차단성을 높였다. 식품의 신선도 및 보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차단성과 더불어 항산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식품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한 항산화 기능이 부여된 포장재는 적절한 항산화물질을 선택하고 획득하기 어렵고, 소요되는 비용도 크다. 국내공개특허 제2000-0024191호는 옥의 미세분말을 함유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이 개발되었으나, 객관적인 품질 특성 및 선도 연장 효과가 명확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종이 포장재는 황토 분말이 포함된 코팅액으로 코팅하는 등의 많은 시도들이 있었으나, 과일, 식품 등의 항산화 효과를 뚜렷하게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이, 항산화물질이 분산되거나 코팅된 포장지는 식품의 신선도를 증진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차단성과 함께 항산화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식품용 포장지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단성과 함께 항산화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의 하나는 기재층, 항산화차단층 및 산소흡수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차단층은 폴리비닐알콜 및 항산화물질이 혼합된 층이고, 상기 산호흡수층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에 산소흡수물질이 혼합된 층이다.
본 발명의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물질은 슝기트, 규조토, 폴리페놀, 후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카테친, 비타민C 및 토코페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물질은 수소생성물질일 수 있다. 상기 수소생성물질은 알칼리금속 및 상기 알칼리금속의 합금, 알칼리토금속 및 상기 알칼리토금속의 합금, 안정화된 알칼리금속(stabilized alkali metal) 및 상기 안정화된 알칼리금속의 합금, 안정화된 알칼리토금속(stabilized alkali earth metal) 및 상기 안정화된 알칼리토금속의 합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수소생성물질은 붕소족금속 및 상기 붕소족금속의 합금,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하이드라이드(hydrid),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보로하이드라이드(borohydride),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알루미노하이드라이드(aluminohydride), 토르마린 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산소흡수층의 양측은 무연신 PP층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산소흡수층을 관통하여 상기 항산화차단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미세 타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 타공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미세 타공이 만드는 공간은 원뿔대, 각뿔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의 다른 하나는 기재층, 차단층, 산소흡수층 및 항산화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폴리비닐알콜으로 이루어진 층이고, 상기 산소흡수층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에 산소흡수물질이 혼합된 층이며, 상기 항산화층은 항산화물질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에 의하면, 항산화물질이 포함된 항산화층을 활용함으로써, 차단성과 함께 항산화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항산화물질은 식품의 산패변질과 갈변 및 세균증식에 의한 선도저하와 부패현상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특히, 항산화물질은 수소생성물질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제1 포장지(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제2 포장지(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제3 포장지(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항산화물질이 포함된 항산화층을 활용함으로써, 차단성과 함께 항산화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식품용 포장지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항산화물질이 포함된 포장지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항산화물질에 의해 포장지의 항산화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항산화란 식품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지에는 상기 항산화 기능이 부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제1 포장지(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제1 포장지(100)는 기재층(10), 항산화차단층(12) 및 산소흡수층(1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기재층(10)은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러 단량체를 공중합한 형태로, 바람직한 단량체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및 1-도데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전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단량체를 1 내지 1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4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미만인 경우 식품포장재로서의 기계적 물성 및 내충격성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으며, 500,000 초과인 경우 유연성이 크게 떨어져서 베이스는 연신 폴리프로필렌(OPP)에 한다.
연신 폴리프로필렌은 연신되면 분자배열이 잡아당긴 방향으로 배열하여 연신된 방향으로 강도가 증가한다. 특히, 이축 연신한 폴리프로필렌은 가로 및 세로의 강도가 비슷하며 기계적 강도가 강하고, 인쇄 적성, 가공적성 등이 좋음. 연신 폴리프로필렌은 투명성, 방습성, 내유성이 우수하다. 코아층은 랜덤(random) 폴리프로필렌에 극성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한다. 여기서, 랜덤 폴리프로필렌(PP)은 랜덤 코폴리머(copolymer) 또는 랜덤 터폴리머(terpolymer)를 말하며, 랜덤 터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랜덤 코폴리머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공중합시켜 두 단량체를 무질서하게 배열한 것이다. 랜덤 터폴리머는 랜덤 코폴리머의 일종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1의 세 가지 단량체를 중합하여 만든다. 랜덤 폴리프로필렌(PP)은 용융지수(g/10min)는 0.3~30, 융점이 145℃이상, 바람직하게는 150℃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면 좋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프로필렌에 α-올레핀이 0~4중량%정도, 랜덤 공중합된 수지를 사용한다.
변성 폴리올레핀은 극성기를 가지기 때문에 접착성 실링성이 뛰어난 산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하기도 한다. 산변성 폴리올레핀이란 무수 말레인산 등의 산을 그래프트 변성한 폴리올레핀이다. 산변성 폴리올레핀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수지에 아크릴산, 무수 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그래프트 공중합시킬 수 있어 카르복실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에틸렌계 이오노머 수지를 사용한다.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수지란,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혹은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 공중합체의 분자 간을 아연 이온, 칼륨 이온, 나트륨 이온, 마그네슘 이온, 리튬 이온 등의 금속 이온으로 유사 가교한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코아층 전체에 대하여, 5중량% 내지 50중량%만큼 가감 첨가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전형적인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분자구조이며, 그 외 멀티형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고무를 혼합하여 화학 가교한 그래프트 공중합체, 이온 가교 공중합체가 있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균질한 고무 상에 3차원 그물코 매듭이 생기는 경질상의 분산된 2상 구조를 보인다. 경질상의 종류에 따라서는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로 분류된다. 또한, 고무 탄성을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경질 연쇄 성질에 따라서 동결상, 결정상, 결정상과의 수소결합, 이온 가교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때, 중간층의 주성분인 호모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였다. 제1 및 제2 무연신 PP층(14, 18)는 T-Die 공법으로 제조되어 캐스팅된 것이다.
항산화차단층(12)은 수성 폴리비닐알콜(PVA)에 항산화물질이 혼합된 층이다. 폴리비닐알콜(PVA)은 폴리초산비닐을 메틸알코올 용액으로 수산화나트륨을 가해, 30~50℃로 가수분해된 백색의 고체로부터 만들어진다. 수성 폴리비닐알콜(PVA)은 기체를 차단하는 특성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콜의 높은 치밀성이 기체 투과를 막는다. 폴리비닐알콜(PVA)은 1회 도포량을 높여 두께를 크게 한다고 해도 차단성이 높아지지 않는 한계 차단두께(ts)를 가진다. 폴리비닐알콜(PVA)은 여러 번 도포해도 마찬가지이다. 더군다나, 폴리비닐알콜(PVA)의 도포량이나 두께가 늘어나면, 폴리비닐알콜(PVA)이 건조될 때, 도막에 균열이 생겨 차단성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온다. 한계 차단두께(ts)는 도막에 균열이 생기지 않고, 차단성의 한계, 더 이상 두꺼워져도 차단성의 증가하지 않는 두께를 말한다.
상기 항산화물질은 다양한 물질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슝기트, 규조토, 폴리페놀, 후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카테친, 비타민C, 토코페롤, 철산화물 등이 있다. 상기 슝기트는 탄소를 함유한 암석으로서 탄소가 30~40중량%, 규산염이 70~60중량% 함유된 천연 나노구조 복합물이며, 탄소 및 규산염 이외에 알루미늄, 마그네슘, 칼륨, 황, 칼슘, 인, 또는 기타 다른 미량원소들이 포함된 물질이다. 슝기트는 슝기트 탄소 물질이 2~30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알갱이(globule)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노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천연 플러렌(fullerene) 및 고차원의 플러렌 입자구조를 하고 있다. 상기 카테친은 녹차 추출물이다. 상기 토코페롤은 합성 토코페롤(dL-토코페롤 아세테이트), TBHQ(터셔리부틸히드로퀴논) 또는 천연 토코페롤이 있다. 상기 규조토는 주위 습기를 높은 항산화 작용을 가지는 습기로 바꾸어 산폐의 원인인 산소를 거의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황산화물질로서 수소생성물질을 제시한다. 상기 수소생성물질은 수분과 접촉할 때, 자발적으로 수소를 생성하는 물질이다. 수소는 확산이 빠르고 사용에 의한 유해작용이 없는 황산화물질이다. 확산이 빠른 이유는 수소는 크기가 가장 작은 분자이기 때문이다. 수소는 앞에서 제시한 슝기트, 규조토, 폴리페놀, 후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비타민C, 토코페롤 등에 비해 분자크기가 수백배가 작다. 또한, 수소는 산패 등의 요인인 산소만을 선별적으로 중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수소생성물질은 반응성이 아주 높아서, 대기 중의 수분과 접촉하여도 수소를 생성할 수 있다. 기재층(10) 및 폴리비닐알콜(PVA)는 대기 중의 수분과 접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소생성물질은 알칼리금속 및 상기 알칼리금속의 합금, 알칼리토금속 및 상기 알칼리토금속의 합금, 안정화된 알칼리금속(stabilized alkali metal) 및 상기 안정화된 알칼리금속의 합금, 안정화된 알칼리토금속(stabilized alkali earth metal) 및 상기 안정화된 알칼리토금속의 합금 중의 어느 하나이되, 상기 안정화된 알칼리금속 또는 상기 안정화된 알칼리토금속은 그라파이트(graphite)와 같은 레이어물질,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제오라이트(zeolite) 같은 다공성 물질, 카본나노튜브, 다공성 Si, 다공성 SiC, 다공성 Si3N4, 에어로겔(aerogel), 제로겔(xerogel) 같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나노구조체 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알칼리금속 또는 상기 알칼리토금속과 반응시켜 수소발생 반응을 제어하고 안정성을 높인 물질일 수 있다.
다른 상기 수소생성물질은 붕소족금속 및 상기 붕소족금속의 합금,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하이드라이드(hydrid),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보로하이드라이드(borohydride),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알루미노하이드라이드(aluminohydride), 토르마린 광물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상기 붕소족금속은 붕소(B), 알루미늄(Al), 또는 갈륨(Ga)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촉매제 또는 첨가제는 전이금속(transition metal), 카본물질 및 유기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써, 수소의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아래의 화학식 1은 알칼리금속과 수분이 결합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화학식 1]
2Na + 2H2O -> 2NaOH + H2
2Li + 2H2O -> 2LiOH + H2
2K + 2H2O -> 2KOH + H2
아래의 화학식 2는 알칼리토금속과 수분이 결합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화학식 2]
Be + 2H2O -> Be(OH)2 + H2
Mg + 2H2O -> Mg(OH)2 + H2
Ca + 2H2O -> Ca(OH)2 + H2
아래의 화학식 3은 안정화된 알칼리금속인 NaSi와 물이 결합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화학식 3]
2NaSi + 5H2O -> Na2Si2O5 + 5H2
아래의 화학식 4는 붕소족 물질 중의 하나인 알루미늄과 물이 결합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화학식 4]
2Al + 6H2O -> 2Al(OH)3 + 3H2
아래의 화학식 5는 금속합금의 보론하이드라이드 중의 하나인 NaBH4와 물이 결합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화학식 5]
NaBH4 + 2H2O -> NaBO2 + 4H2
화학식1 내지 5에서 제시한 사례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소생성물질은 수소를 발생하여, 식품의 산패변질과 갈변 및 세균증식에 의한 선도저하와 부패현상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품 등이 유통되는 과정에서의 부패 등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붕소족 금속이나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하이드라이드,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보로하이드라이드,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알루미노하이드라이드는 수분과 접촉할 때, 반응하여 충분한 양의 수소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 충분한 양의 수소를 생성하기 위하여 촉매제 또는 첨가제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산소흡수층(16)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에 산소흡수물질이 혼합된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 무연신 PP층(14, 18) 중 적어도 하나는 산소흡수층(16)의 양측에 부착되어 제1 포장지(100)의 내용물에 포함된 산소가 상기 산소흡수물질과 과도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경우에 따라, 제1 무연신 PP층(14)이 없이, 제2 무연신 PP층(18)만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산소흡수물질은 무기계인 금속과 유기계인 당류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복합물이며, 무기계는 철분, 산화철, 탄산칼슘 등이 있으며, 유기계는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아디티온산 나트륨, 카테콜(catechol)이 있다. 상기 산소흡수물질은 산소 가스(O2)만을 흡수하거나, 산소 가스와 탄산 가스(CO2)를 흡수하거나, 산소 가스를 흡수하고 탄산 가스를 발생하거나 또는 산소 가스를 흡수하고 알코올을 발생하는 기구(mechanism) 중의 어느 하나의 기구로 작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제2 포장지(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2 포장지(200)는 미세 타공(20)이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포장지(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제2 포장지(200)는 산소흡수층(16)을 관통하여 항산화차단층(12)의 일부를 노출시킨 복수개의 미세 타공(20)이 존재한다. 항산화차단층(12)의 일부가 노출되면, 산소흡수층(16)의 관통된 측면도 노출된다. 미세 타공(20)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 또는 이들이 조합될 수 있다. 미세 타공(20)의 직경(D)는 깊이 방향에 따라 일정할 수도 있고 달라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미세 타공(20)이 만드는 공간은 원뿔대, 각뿔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미세 타공(20)의 개수는 본 발명의 제2 포장지(200)의 두께, 내용물의 종류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제3 포장지(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3 포장지(300)는 차단층(22) 및 항산화층(24)이 달라진 점을 제외하고 미세 타공(20)이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포장지(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제3 포장지(300)는 제1 포장지(100)의 항산화차단층(12)을 차단층(22)으로 대체하고, 제2 무연신 PP층(18) 상에 항산화층(24)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층(22)은 제1 포장지(100)에서 설명한 수성 폴리비닐알콜(PVA)로만 이루어진다. 수성 폴리비닐알콜(PVA)은 1회 도포량을 높여 두께를 크게 한다고 해도 차단성이 높아지지 않는 한계 차단두께(ts)를 가진다. 폴리비닐알콜(PVA)은 여러 번 도포해도 마찬가지이다. 더군다나, 폴리비닐알콜(PVA)의 도포량이나 두께가 늘어나면, 폴리비닐알콜(PVA)이 건조될 때, 도막에 균열이 생겨 차단성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온다. 한계 차단두께(ts)는 도막에 균열이 생기지 않고, 차단성의 한계, 더 이상 두꺼워져도 차단성의 증가하지 않는 두께를 말한다.
항산화층(24)은 항산화물질이 결합제가 혼합되어 코팅된 층이다. 상기 항산화물질은 제1 포장지(100)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상기 결합제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비수계(non-aqueous)이면서 인체에 무해한 결합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결합제는 고분자 수지로써, 열가소성(thermo plasticity) 또는 열경화성(thermo setting property) 모두 가능하다. 열가소성(thermo plasticity)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acrylic acid resin), 에틸셀룰로스(ethyl cellulos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술폰(polysulfone), 페녹시 수지(phenoxy resin),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이 있다.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로서는 요소 수지(urea-formaldehyde resin),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구아나민 수지(guanamine resin)와 같은 아미노 수지(amino resin) 또는 비스페놀(bisphenol) A형, 비스페놀(bisphenol) F형, 페놀(phenol) 노볼락(Novolak)형, 지환식 등의 에폭시 수지(epoxide resin) 또는 레졸(resol)형, 노볼락(Novolak)형과 같은 페놀 수지(phenol resin) 또는 실리콘 에폭시(silicon epoxy), 실리콘 폴리에스터(silicon polyester)와 같은 실리콘 변성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기재층 12; 항산화차단층
14, 18; 무연신 PP층 16; 산소흡수층
20; 미세타공 22; 차단층
24; 항산화층

Claims (15)

  1. 기재층, 항산화차단층 및 산소흡수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차단층은 폴리비닐알콜 및 항산화물질이 혼합된 층이고,
    상기 산소흡수층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에 산소흡수물질이 혼합된 층이고,
    상기 항산화물질은 수분과 접촉할 때 자발적으로 수소를 생성하여, 식품의 선도저하와 부패현상을 방지하는 수소생성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물질은 슝기트, 규조토, 폴리페놀, 후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카테친, 비타민C, 토코페롤 및 철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성물질은 알칼리금속 및 상기 알칼리금속의 합금, 알칼리토금속 및 상기 알칼리토금속의 합금, 안정화된 알칼리금속(stabilized alkali metal) 및 상기 안정화된 알칼리금속의 합금, 안정화된 알칼리토금속(stabilized alkali earth metal) 및 상기 안정화된 알칼리토금속의 합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성물질은 붕소족금속 및 상기 붕소족금속의 합금,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하이드라이드(hydrid),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보로하이드라이드(borohydride),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알루미노하이드라이드(aluminohydride), 토르마린 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흡수층의 양측은 무연신 PP층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흡수층을 관통하여 상기 항산화차단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미세 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타공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타공이 만드는 공간은 원뿔대, 각뿔대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10. 기재층, 차단층, 산소흡수층 및 항산화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폴리비닐알콜으로 이루어진 층이고,
    상기 산소흡수층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에 산소흡수물질이 혼합된 층이며,
    상기 항산화층은 항산화물질이 포함하고,
    상기 항산화물질은 수분과 접촉할 때 자발적으로 수소를 생성하여, 식품의 선도저하와 부패현상을 방지하는 수소생성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물질은 슝기트, 규조토, 폴리페놀, 후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비타민C 및 토코페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성물질은 알칼리금속 및 상기 알칼리금속의 합금, 알칼리토금속 및 상기 알칼리토금속의 합금, 안정화된 알칼리금속(stabilized alkali metal) 및 상기 안정화된 알칼리금속의 합금, 안정화된 알칼리토금속(stabilized alkali earth metal) 및 상기 안정화된 알칼리토금속의 합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성물질은 붕소족금속 및 상기 붕소족금속의 합금,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하이드라이드(hydrid),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보로하이드라이드(borohydride),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알루미노하이드라이드(aluminohydride), 토르마린 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흡수층의 양측은 무연신 PP층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KR1020170093231A 2017-07-24 2017-07-24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KR101995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31A KR101995257B1 (ko) 2017-07-24 2017-07-24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PCT/KR2017/008027 WO2019022269A1 (ko) 2017-07-24 2017-07-26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31A KR101995257B1 (ko) 2017-07-24 2017-07-24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948A KR20190010948A (ko) 2019-02-01
KR101995257B1 true KR101995257B1 (ko) 2019-07-02

Family

ID=6504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231A KR101995257B1 (ko) 2017-07-24 2017-07-24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5257B1 (ko)
WO (1) WO2019022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8775A1 (en) * 2019-11-13 2021-05-13 Csir Films for packaging of foodstuffs
KR102325353B1 (ko) * 2019-12-27 2021-11-10 윤기한 누룽지 백숙의 제조방법
CN117698248B (zh) * 2023-12-25 2024-05-24 宁波华寅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增韧抗穿刺真空压缩袋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0526A1 (en) * 2006-02-16 2007-08-16 Nexgen Diagnostics Llc Methods of extracting nucleic acids
US9056711B2 (en) * 2007-05-11 2015-06-16 J-Chemical Corporation Plastic sheet for packaging container
CN104477522A (zh) * 2010-07-16 2015-04-01 住友电木株式会社 层叠膜及包装体
CN103415294A (zh) * 2011-02-17 2013-11-27 生物焦炭技术研究株式会社 产生氢的组合物
KR101405396B1 (ko) * 2012-06-25 2014-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표면에 혼합층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지르코늄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7528A (ko) * 2012-12-14 2014-06-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사과 부산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948A (ko) 2019-02-01
WO2019022269A1 (ko)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257B1 (ko) 항산화물질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지
KR101373356B1 (ko) 산소 흡수성 수지 조성물, 산소 흡수 다층체 및 산소 흡수 중공 용기
KR102013322B1 (ko) 블리스터팩용 흡수층, 이를 포함한 적층체 및 이를 이용한 블리스터팩
IN2014DN00557A (ko)
KR102257853B1 (ko) 장기 내구성이 양호한 자동차 램프용 복합흡습제품
IN2014DN00108A (ko)
JP6558893B2 (ja) 硫化物系ガス吸着用積層体
CN105451877A (zh) 吸附剂组合物、含吸附剂的薄膜和其制造方法
CN107532005B9 (zh) 树脂组合物和使用其的多层结构体
CN101979432A (zh) 具有高透气性功能的水果保鲜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EP4173691A1 (en) Oxygen scaveng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200324271A1 (en) Moisture absorbent pack for vehicle lamp having improved durability
JP6708665B2 (ja) 使い捨てカイロ包装用外袋及び使い捨てカイロ
JP5541595B2 (ja) 有機系脱酸素剤
US20180340060A1 (en) Crosslinkable resin composition, crosslink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and multilayered structure
CN103786399A (zh) 一种多功能文物保护袋用复合膜及其制法
KR20180023282A (ko) 유기 물질층을 이용한 폴리프로필렌계 포장지
MX2018004909A (es) Pelicula absorbente de infrarrojos y retensora de calor.
JP2020163746A (ja) 炭酸ガス調整シーラントフィルム
US11685819B2 (en)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oxygen scavenging capability
JP7383897B2 (ja) 炭酸ガス調整積層体と包装体
JP7371341B2 (ja) 炭酸ガス吸収積層体とバルブレス包装体
JP4185955B2 (ja) 脱酸素剤及び脱酸素剤の製造方法
JP2011072890A (ja) 脱酸素剤、脱酸素剤の製造方法及び脱酸素剤包装体
JP2008173636A (ja) 脱酸素剤及び脱酸素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