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202B1 -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 Google Patents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202B1
KR101995202B1 KR1020180134387A KR20180134387A KR101995202B1 KR 101995202 B1 KR101995202 B1 KR 101995202B1 KR 1020180134387 A KR1020180134387 A KR 1020180134387A KR 20180134387 A KR20180134387 A KR 20180134387A KR 101995202 B1 KR101995202 B1 KR 101995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ing
rail
guidance
travel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화
윤현석
홍승표
강세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02Rotary gyrosco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고무차륜 경량전철(AGT) 시공시, 가이던스레일의 횡단경사량, 궤간 및 주행로와의 높이차, 주행로의 수준, 주행로의 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무차륜 경량전철(AGT)의 가이던스레일 및 주행로의 유지관리 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주행로와 가이던스레일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인력식 검측장치로서, 하나의 검측장치로 고무차륜 AGT용 가이던스레일의 경사량과 높이 및 궤간을 측정할 수 있고, 주행로의 수준차이와 횡단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검측장치의 각 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을 경량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검측원 1인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이동 및 조작할 수 있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APPARATUS FOR MEASURING BOTH GUIDANCE RAIL AND RUNWAY FOR RUBBER WHEEL AUTOMATED GUIDEWAY TRANSIT (AGT),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무차륜 경량전철(AGT)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고무차륜(Rubber Wheel) 경량전철(Automated Guideway Transit: AGT) 시공시, 가이던스레일(Guidance Rail)의 횡단경사량, 궤간 및 주행로와의 높이차, 주행로의 수준, 주행로의 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철도는 철제 레일과 차량의 철제 차륜간의 마찰을 주행 방식으로 하는 철제 궤도 시스템으로 운행된다. 철제 차륜은 주행 저항이 낮고 마모 수명이 우수한 이점이 있지만, 가속 성능이 낮으므로 최근 전철 혹은 경량전철 일부 노선에서는 고무차륜(Rubber Wheel)을 장착한 차량의 운행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고무차륜은 철제 차륜에 비해 저소음 및 고점착에 따른 가속 성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철제 궤도 시스템에서는 운행할 수 없으므로 도상 자체가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진 전용 궤도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용하고 있다.
한편, 경량전철(또는 경전철)은 철제차륜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 고무차륜 AGT, LIM(Linear Induction Motor), 모노레일, 노면전차, 자기부상식 철도 등으로 구분되며, 고무차륜 경량전철은 고가 등의 전용궤도를 고무차륜이 부착된 소형 경량전철이 주행로를 따라 주행하는 경량전철 시스템이다.
현재 운행중인 경량전철의 경우, 주행노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패널의 상측으로 전철차량의 고무차륜이 접촉하면서 주행하며, 곡선구간의 분기를 위해 고무차륜의 양측에 안내륜을 구비하여 분기를 유도하는 형태의 궤도 시스템으로 운행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경량전철의 궤도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26661호에, 경량전철의 고무차륜이 주행토록 평탄부가 형성되는 주행 노면부와, 주행 노면부의 양측으로 궤조 지지대가 입설되고, 궤조 지지대의 내측 벽면으로 결합수단을 통해 횡설되어 경량전철의 하측 안내륜이 접촉하는 안내궤조를 포함하는 경량전철의 궤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고무차륜은 철제 차륜에 비해 진동에 취약하고 주행저항이 크므로 주행용 패널의 노면 상태에 매우 민감한 특성이 있다. 특히,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되므로 경화 과정에서 레이턴스(Laitance)가 생성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노면에 미세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25684호에는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선형측정 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된 바, 안내궤도를 타고 운행하면서 주행로를 시공하기 전에 안내궤도의 선형이 정확하게 시공되었는지를 신속하게 체크할 수 있는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선형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선형측정 장치는, 경전철의 선형과 일치되도록 노반의 수직벽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궤도를 타고 운행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하나 이상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가 안내궤도를 타고 주행할 때 안내궤도의 횡방향 및 종방향 궤적에 따라 변화하는 종방향 및 횡방향 변위를 각각 측정하여 본체 양측단부의 변위를 각각 발신하는 제1, 2 GPS 발신기와, 상기한 제1, 2 GPS 발신기에서 발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안내궤도의 설계 궤적과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된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GPS 측정장치로 구성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선형측정 장치에 따르면, 안내궤도를 타고 주행하면서 안내궤도의 궤적이 설계도에 맞게 시공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검사를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09943호에는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단면 측정장치 및 이에 적합한 측정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된 바, 주행로의 시공 후 경전철 차량과 같이 안내궤도를 타고 주행하면서 연속적으로 주행로 및 노반의 단면을 측정하여 주행로의 시공 효율 및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단면 측정장치 및 이에 적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단면 측정장치는, 노반의 수직벽에 설치된 안내궤도를 타고 운행할 수 있도록 측면에 하나 이상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일정 길이의 브라켓과, 상기한 브라켓에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고정 설치된 이동관과, 상기한 이동관에 삽입되어 승강 자재하도록 설치된 지지봉과, 상기한 지지봉의 하단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주행로를 타고 움직이면서 경전철의 차량이 주행하는 것처럼 주행하는 다수의 제1 가이드롤러 및 노반을 타고 주행하도록 길이가 설정된 다수의 제2 가이드롤러와, 상기 지지봉에 설치되어 같이 승강 운동하도록 설치된 GPS 발신기와 본체에 설치되어 발신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및 수신기에서 송신 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GPS 측정장치로 구성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단면 측정장치에 따르면, 경전철의 선로를 시공한 후 노반 수직벽에 설치된 안내궤도를 타고 운행하면서 주행로와 노반 그리고 안내궤도의 궤적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게 됨으로써, 측정 및 후가공 등의 공정이 단순하게 되어 경전철의 선로 시공 기간이 단축되고 선로의 시공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운행되고 있는 고무차륜 AGT 운행선(궤도)에 대해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에 대한 체계화된 검측장치가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25684호(출원일: 2008년 10월 31일), 발명의 명칭: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선형측정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09943호(출원일: 2008년 10월 29일), 발명의 명칭: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단면 측정장치 및 이에 적합한 측정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06684호(출원일: 2007년 8월 27일), 발명의 명칭: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910913호(출원일: 2008년 10월 17일), 발명의 명칭: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06405호(출원일: 2007년 9월 14일), 발명의 명칭: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개폐장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무차륜 경량전철(AGT) 시공시, 가이던스레일의 횡단경사량, 궤간 및 주행로와의 높이차, 주행로의 수준, 주행로의 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행로와 가이던스레일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인력식 검측장치로서, 하나의 검측장치로 고무차륜 AGT용 가이던스레일의 경사량과 높이 및 궤간을 측정할 수 있고, 주행로의 수준차이와 횡단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는, 콘크리트 패널 상에 주행로 및 가이던스레일이 형성된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던스레일의 궤간 및 주행로의 중심간격 측정을 위해서 주행로 상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 좌측 가이던스레일의 높이와 경사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의 좌측 단부에 상기 수평부재 직각으로 결합되는 좌측 수직부재; 우측 가이던스레일의 높이와 경사량을 상기 수평부재의 우측 단부에 상기 수평부재와 직각으로 결합되는 우측 수직부재; 상기 가이던스레일 간의 거리인 궤간을 측정하도록 몸체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로서, 상기 수평부재 및 우측 수직부재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 주행로 수준차이인 캔트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 상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준측정용 수직부재; 주행로 수준차이인 캔트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수준측정용 수평기; 및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에 장착되어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의 수평 여부를 확인하는 수평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주행로 양쪽에 거치한 상태에서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는, 상기 가이던스레일의 경사량 측정을 위해 상기 좌측 수직부재 및 상기 우측 수직부재의 상단에 삽입되고, 주행로 마모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 하부에 삽입되는 틈새 게이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 경량재질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되며,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 몸체에는 각각 수평치수선 및 수직치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에 형성된 수직치수선은 상기 가이던스레일의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에 형성된 수직치수선은 상기 주행로 횡단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된 수평치수선은 가이던스레일의 궤간 및 주행로의 중심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기는 한쪽 끝에 힌지가 설치되고, 다른 끝에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계는 상기 주행로의 횡단경사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평기에 부착되고, 상기 주행로의 횡단경사량 측정을 위해 상기 수평계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나사와 수평판이 상기 수평기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는 상기 수평기를 이용한 주행로의 수준 측정시 상기 수평기가 고정될 수 있는 발포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만나는 지점은 항상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중고정 또는 양면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은, 콘크리트 패널 상에 주행로 및 가이던스레일이 형성된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에 있어서, a) 수평부재, 좌측 수직부재, 우측 수직부재, 슬라이딩부재, 수준측정용 수직부재, 수준측정용 수평기 및 수평계로 이루어진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를 주행로 양측 상면 및 가이던스레일 사이에 거치하는 단계; b) 상기 수평부재 및 우측 수직부재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를 슬라이딩시켜 연장하는 단계; c) 상기 주행로 상면에 배치된 수평부재에 형성된 수평치수선에 따라 상기 가이던스레일의 궤간 및 주행로의 중심간격을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수평부재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상기 수평부재와 직각으로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던스레일의 높이와 경사량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e) 상기 수평부재 상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준측정용 수직부재 사이에서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단계; f)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에 장착된 수평계를 사용하여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의 수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g)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에 형성된 지시선이 가리키는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에 수직치수선에 따라 주행로 수준차이인 캔트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주행로의 양쪽에 거치한 상태에서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은, 틈새 게이지를 상기 주행로의 상면 및 상기 수평부재 하부에 삽입하여 상기 주행로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차륜 경량전철(AGT) 시공시, 가이던스레일의 횡단경사량, 궤간 및 주행로와의 높이차, 주행로의 수준, 주행로의 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무차륜 경량전철(AGT)의 가이던스레일 및 주행로의 유지관리 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로와 가이던스레일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인력식 검측장치로서, 하나의 검측장치로 고무차륜 AGT용 가이던스레일의 경사량과 높이 및 궤간을 측정할 수 있고, 주행로의 수준차이와 횡단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측장치의 각 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을 경량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검측원 1인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이동 및 조작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가 적용되는 고무차륜 AGT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부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가이던스 레일 높이와 경사량을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주행로 마모를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주행로 폭을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가이던스레일간의 거리인 궤간을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주행로의 수준차이인 캔트를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서 궤간 측정을 위해 수평부재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서 주행로 캔트 측정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서 수평기의 위치 고정을 위한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서 주행로 캔트 측정을 위한 수평기와 수평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서 주행로 캔트 측정을 위한 수평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가 적용되는 고무차륜 AGT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도 1a는 고무차륜 AGT의 1차선로를 나타내며, 도 1b는 2차선로를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가 적용되는 고무차륜 AGT는, 콘크리트 패널(110), 수직벽(111), 주행로(120L, 120R), 배근(121), 가이던스레일(130L, 130R), 고무차륜(140), AGT 차량(150) 및 차량용 안내롤러(160)를 포함하며, 또한, 도 2차선로의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통로 기둥(17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량전철 중에서 고무차륜 AGT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차륜(140)에 고무타이어를 채용하여 선로 콘크리트 패널(110)의 주행로(120L, 120R) 상부를 따라 운행하고, 또한, 콘크리트 패널(110)의 수직벽(111)에서 설치된 가이던스레일(130L, 130R) 및 AGT 차량(150)에 설치된 안내롤러(160)가 상기 AGT 차량(150)의 진행을 가이드하면서 운행하며, 예를 들면, 대부분 도심내부 순환 또는 도심과 부도심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건설된다. 이때, 주행로(120L, 120R)는 배근(121)의 외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량전철의 대부분이 도시의 지하 및 고가에 건설되기 때문에, 노선의 선형은 많은 종곡선과 평면곡선의 변화를 이루면서 복잡하게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노선의 선형은 직선과 평탄의 원칙을 갖고 설계되지만, 경량전철의 특성상 많은 곡선과 구배를 설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고무차륜 AGT는 고무차륜(140)인 타이어가 주행로(120L, 120R) 상부를 따라 주행하며, 경량전철 선로의 횡방향 및 종방향 경사에 따라 주행로(120L, 120R)가 적절한 기울기를 갖도록 정밀하게 시공해야 경량전철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무차륜 AGT의 시공방법은 토목 공사를 진행하여 주행로(120L, 120R)를 설치한 상태에서 그 측면에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을 설치하는 궤도공사를 하게 된다. 즉, 주행로(120L, 120R)의 설치 위치에 배근(121)을 설치함과 아울러 배수관을 설치하고, 상기 배근(121)의 근접 위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배근(121)은 미리 설계도에 따른 선로의 구배에 맞춰 공장에서 가공하여 현장에 반입하며, 소정의 설치 위치에 배근(121)을 위치시킴으로써 선로의 구배에 맞게 설치하며, 이때, 선로의 횡방향 및 종방향 구배에 맞게 정밀하게 배근(121)을 설치해야 한다. 이후,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는 배근(121)에 에폭시 수지등과 같은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함과 아울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윗면을 편평하게 다지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의 타설 공정에서 기계를 사용하지만, 선로의 곡선부분에서는 구배를 맞추기가 어려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구배를 맞추는 인력시공을 하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다짐 공정에서도 콘크리트를 다진 후, 콘크리트 레벨러로서, 콘크리트의 평탄성(예를 들면, 3미터당 1.2㎜ 이하), 고저(예를 들면, 3미터당 3㎜이하), 평면성(예를 들면, 3미터당 3㎜ 이하) 등을 측정하게 된다.
이후, 콘크리트의 타설 및 다짐이 완료되면, 일정 시간동안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콘크리트 커터 등으로 줄눈을 형성하게 되며, 줄눈의 형성 후에는 노반에 방수 및 높이 조절을 위해 레벨링층을 타설하게 된다.
이후, 레벨링층의 타설이 완료되면 주행로(120L, 120R)의 측부에 위치되는 노반 수직벽(111)에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것은 미리 설계된 설계도에 의해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을 노반 수직벽(111)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패널(110)인 노반을 기준으로 높이를 측정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매우 정확하게 선로의 횡방향 및 종방향 구배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설치가 완료되면, 주행로(120L, 120R)의 횡방향 및 종방향 구배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 오차가 발생되면 주행로(120L, 120R)를 연마하거나 주행로에 콘크리트를 덧대어 구배를 맞추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차륜 AGT는 콘크리트 주행로(120L, 120R) 상부면을 따라 AGT 차량(150)이 주행로(120L, 120R)와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유도를 받으며 운행하는 경량전철 시스템이다. 그러므로 주행로(120L, 120R)와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정밀 시공이 요구되고, 열차 운행 및 유지관리시에도 주행로(120L, 120R) 와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유지관리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한편,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를 나타내며, 도 2b는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가 주행로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는, 콘크리트 패널(110) 상에 주행로(120L, 120R) 및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이 형성된 고무차륜 경량전철(AGT)용 인력식 검측장치로서, 수평부재(210), 좌측 수직부재(220a), 우측 수직부재(220b), 슬라이딩부재(230),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 힌지(250), 수준측정용 수평기(260) 및 수평계(270)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틈새 게이지(28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재(210)는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궤간 및 주행로(120L, 120R)의 중심간격 측정을 위해서 주행로(120L, 120R) 상면에 배치되며, 수평치수선이 형성된다.
좌측 수직부재(220a)는 좌측 가이던스레일(130L)의 높이와 경사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210)의 좌측 단부에 상기 수평부재(210)와 직각으로 결합되고, 수직치수선이 형성된다.
우측 수직부재(220b)는 우측 가이던스레일(130R)의 높이와 경사량을 상기 수평부재(210)의 우측 단부에 상기 수평부재(210)와 직각으로 결합되고, 수직치수선이 형성된다.
슬라이딩부재(230)는 가이던스레일(130L, 130R) 간의 거리인 궤간을 측정하도록 몸체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로서, 상기 수평부재(210) 및 우측 수직부재(220b)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수평치수선이 형성된다.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는 주행로(120L, 120R) 수준차이인 캔트(Cant)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210) 상에 직각으로 결합되고, 수직치수선이 형성된다.
수준측정용 수평기(260)는 주행로(120L, 120R) 수준차이인 캔트(Cant)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지시선(261)이 형성되고, 한 쪽 끝은 힌지(250) 결합되고 다른 쪽 끝에 손잡이(262)가 형성된다.
수평계(270)는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에 장착되어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의 수평 여부를 확인한다.
틈새 게이지(280)는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경사량 측정을 위해 상기 좌측 수직부재(220a) 및 상기 우측 수직부재(220b)의 상단에 삽입되고, 주행로(120L, 120R) 마모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210) 하부에 삽입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를 사용하여, 1) 가이던스레일(130L, 130R) 경사량, 2) 가이던스레일(130L, 130R)간의 거리인 궤간, 3) 주행로(120L, 120R)의 수준 차이(횡단경사량, 캔트) 및 4) 주행로(120L, 120R)의 중심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는 주행로(120L, 120R)의 양쪽에 거치한 상태에서 가이던스레일(130L, 130R)과 주행로(120L, 120R)를 동시에 측정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의 눈금으로 의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틈새게이지(280)를 이용하여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경사량과 주행로 상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는, 하나의 검측장치로 고무차륜 AGT용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경사량과 높이 및 궤간을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주행로(120L, 120R)의 수준 차이와 횡단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을 알루미늄 프로파일 등의 경량재질로 제작함으로써 검측원 1인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운반 및 검측할 수 있다. 이때, 알루미늄 프로파일 몸체에는 각각 치수선이 형성되며, 예를 들면,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220a, 220b)에 형성된 수직치수선은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에 형성된 수직치수선은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횡단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재(210)에 형성된 수평치수선은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궤간 및 주행로(120L, 120R)의 중심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주행로(120L, 120R)의 횡단경사량(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수평계(270)를 수평기(260)에 부착하고, 상기 수평계(27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나사(273)와 수평판(272)을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횡단경사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평기(260)를 이용한 주행로(120L, 120R)의 수준 측정시,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에 발포고무(241)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주행로(120L, 120R) 수준측정중에 수준의 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수평기(260)의 한쪽 끝은 힌지(250)를 설치하여 수평기(260)의 상하 이동시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다
수평부재(210)와 수직부재(220a, 220b, 240)가 만나는 지점은 항상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중고정 및 양면 고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부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가이던스레일(130L, 130R) 경사량, 2) 가이던스레일(130L, 130R)간의 거리인 궤간, 3) 주행로(120L, 120R)의 수준 차이(횡단경사량, 캔트) 및 4) 주행로(120L, 120R)의 중심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를 주행로(120L, 120R) 상부에 거치한 후, 가이던스레일(130L, 130R)과 직각이 되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와 가이던스레일(130L, 130R) 사이가 직각이 되도록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도 3에서, 숫자로 표기된 위치(
Figure 112018109386763-pat00001
~
Figure 112018109386763-pat0000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의 눈금으로 측정하고, 알파벳으로 표기된 위치(
Figure 112018109386763-pat00003
~
Figure 112018109386763-pat00004
)는 틈새게이지(280)의 눈금으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Figure 112018109386763-pat00005
은 좌측 주행로(120L)에서의 좌측상단 가이던스레일(130L)의 높이 측정 위치를 나타내며,
Figure 112018109386763-pat00006
는 좌측 주행로(120L)에서의 좌측하단 가이던스레일(130L)의 높이 측정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Figure 112018109386763-pat00007
,
Figure 112018109386763-pat00008
,
Figure 112018109386763-pat00009
,
Figure 112018109386763-pat00010
은 주행로(120L, 120R)의 폭과 주행로(120L, 120R) 중심간격 측정위치를 나타내며,
Figure 112018109386763-pat00011
은 우측 주행로(120R)에서의 우측하단 가이던스레일(130R)의 높이 측정 위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109386763-pat00012
은 우측 주행로(120R)에서의 우측상단 가이던스레일(130R)의 높이 측정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Figure 112018109386763-pat00013
Figure 112018109386763-pat00014
는 좌측 가이던스레일(130L)의 경사량 측정 위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109386763-pat00015
,
Figure 112018109386763-pat00016
,
Figure 112018109386763-pat00017
,
Figure 112018109386763-pat00018
,
Figure 112018109386763-pat00019
Figure 112018109386763-pat00020
는 주행로(120L, 120R)의 마모상태 측정 위치를 나타내며, 또한,
Figure 112018109386763-pat00021
Figure 112018109386763-pat00022
는 우측 가이던스레일(130R)의 경사량 측정 위치를 나타낸다. 이때, 캔트(CANT)는 주행로 상면(주행면)의 수준차이를 측정하여 구할 수 있고, 궤간은 가이던스레일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가이던스 레일 높이와 경사량을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높이 및 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던스레일(130L)과 수평이 되게 틈새게이지(280)를 삽입하고, 상기 틈새게이지(280)를 수평으로 유지한 후, 치수선의 값을 읽음으로써, 주행로(120L)에서의 좌측상단 가이던스레일(130L)의 높이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던스레일(130L)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의 끝 면의 틈새게이지(200) 값을 읽음으로써 가이던스레일(130L)의 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주행로 마모를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로(120L, 120R)의 마모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주행로(120L) 중간위치 또는 우측 주행로(120R) 중간위치에서 각각 틈새게이지(280)를 넣고,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 끝 면의 틈새게이지(280) 값을 읽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주행로 폭을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로(120L, 120R) 폭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로(120L, 120R)와 직각이 되게 틈새게이지(280)를 넣고,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의 눈금을 읽음으로써, 주행로(120L, 120R) 폭을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가이던스레일간의 거리인 궤간을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던스레일(130L, 130R) 간의 거리인 궤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부재(230)를 연장시켜 우측 수직부재(220b)를 밀어서 우측 가이던스레일(130R)에 밀착시킨 후, 슬라이딩부재(230)의 좌측 수치값을 읽는다. 다음으로, 수평부재(210)의 기준값에 상기 좌측 수치값을 더하면 가이던스레일(130L, 130R) 간의 거리인 궤간값이 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의해 주행로의 수준차이인 캔트를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진으로서, 도 8a는 수평계(270)의 수평게이지(271)를 나타내고, 도 8b는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의 치수선에 수평기(260)의 지시선을 맞추는 것을 나타내며, 도 8c는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 것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로의 수준차이(CANT)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62)를 잡고 수평게이지(271)를 맞춘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게이지(271)를 맞춘 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 후, 수평기(260)의 지시선이 가리키는 수치값을 읽음으로써, 주행로의 수준차이(CANT)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9의 a)는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전체를 나타내며, 도 9의 b)는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의 우측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는 인력으로 운반 가능하도록 경량화하여 그 구성 몸체가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몸체에는 검측값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치수선이 형성되며, 또한, 각각의 수직부재(220a, 220b, 240)는 수평부재(210)와 직각을 유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서 궤간 측정을 위해 수평부재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궤간을 측정하기 위해 슬라이딩부재(230)를 연장시키기 전을 나타내고, 도 10의 b)는 슬라이딩부재(230)를 연장시킨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230)는 궤간 측정을 위한 몸체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로서, 수평부재(210) 및 우측 수직부재(220b) 사이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되는 부분에 치수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서 주행로 캔트 측정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1의 a)는 수평기(260)의 우측에 힌지(25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도 11의 b)는 수평계(270)가 수평기(260) 상에 배치되고, 수평기(260)의 좌측에 손잡이(262)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로(120L, 120R)의 캔트 측정을 위해 수평기(260)의 한쪽 끝은 힌지(250)가 형성되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기(260)의 다른 쪽 끝은 손잡이(262)가 형성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서 수평기의 위치 고정을 위한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로(120L, 120R) 캔트 측정시 수평기(260)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한 미끄럼 방지장치로서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가 발포고무(24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수평기(260)는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주행로(120L, 120R) 캔트를 측정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서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에 발포고무(241)가 결합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서 주행로 캔트 측정을 위한 수평기와 수평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서 주행로 캔트 측정을 위한 수평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4의 a)는 높이를 조절하기 전을 나타내고, 도 14의 b)는 높이조절나사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로(120L, 120R) 캔트 측정을 위한 수평기(260)에 수평계(270)가 장착되고,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의 눈금을 읽을 수 있는 지시선(261)이 형성되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는 상기 지시선이 가리키는 값을 읽을 수 있는 수직치수선이 형성된다.
또한, 도 1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로 캔트 측정을 위한 수평기(260)에 수평계(270)를 장착할 경우, 상기 수평계(270)를 수평기(260)에 거치하기 위한 수평판(272)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수평계(270)의 수평게이지(271) 수평을 맞추기 위한 높이조절나사(273)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는, 고무차륜 AGT의 가이던스레일 및 주행로 모두를 검측하는 인력식 검측장치로서, 수평부재(210), 수직부재(220a, 220b, 240), 슬라이딩 부재(230), 수평기(260) 등을 포함하며, 고무차륜 AGT용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경사량과 높이 및 궤간을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주행로의 수준차이와 횡단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은, 콘크리트 패널(110) 상에 주행로(120L, 120R) 및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이 형성된 고무차륜 경량전철(AGT)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으로서, 먼저, 수평부재(210), 좌측 수직부재(220a), 우측 수직부재(220b), 슬라이딩부재(230),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 수준측정용 수평기(260) 및 수평계(270)로 이루어진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를 주행로(120L, 120R) 양측 상면 및 가이던스레일(130L, 130R) 사이에 거치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수평부재(210) 및 우측 수직부재(220b)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230)를 슬라이딩시켜 연장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주행로(120L, 120R) 상면에 배치된 수평부재(210)에 형성된 수평치수선에 따라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궤간 및 주행로(120L, 120R)의 중심간격을 측정한다(S130).
다음으로, 상기 수평부재(210)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상기 수평부재(210)와 직각으로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220a, 220b)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높이와 경사량을 각각 측정한다(S140). 이때, 틈새 게이지(280)를 상기 좌측 수직부재(220a) 및 상기 우측 수직부재(220b)의 상단에 각각 삽입하여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틈새 게이지(280)를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상면 및 상기 수평부재(210) 하부에 삽입하여 상기 주행로(120L, 120R) 마모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부재(210) 상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 사이에서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S150).
다음으로,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에 장착된 수평계(270)를 사용하여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의 수평 여부를 확인한다(S160).
다음으로,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에 형성된 지시선이 가리키는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에 수직치수선에 따라 주행로(120L, 120R) 수준차이인 캔트(Cant)를 측정할 수 있다(S170).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은, 상기 수평부재(210)를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양쪽에 거치한 상태에서 가이던스레일(130L, 130R)과 주행로(120L, 120R)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210) 및 수직부재(220a, 220b, 240)는 경량재질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되며,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 몸체에는 각각 수평치수선 및 수직치수선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220a, 220b)에 형성된 수직치수선은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에 형성된 수직치수선은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횡단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차륜 경량전철(AGT) 시공시, 가이던스레일의 횡단경사량, 궤간 및 주행로와의 높이차, 주행로의 수준, 주행로의 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무차륜 경량전철(AGT)의 가이던스레일 및 주행로의 유지관리 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행로와 가이던스레일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인력식 검측장치로서, 하나의 검측장치로 고무차륜 AGT용 가이던스레일의 경사량과 높이 및 궤간을 측정할 수 있고, 주행로의 수준차이와 횡단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검측장치의 각 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을 경량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검측원 1인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이동 및 조작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콘크리트 패널(노반) 111: 수직벽
120L, 120R: 주행로 121: 배근
130L, 130R; 가이던스레일 140: 고무차륜
150: AGT 차량 160: 차량용 안내롤러
170: 대피통로 기둥
200: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210: 수평부재 220a: 좌측 수직부재
220b: 우측 수직부재 230: 슬라이딩부재
240: 수준측정용 수직부재 241: 미끄럼 방지부재(발포고무)
250: 힌지 260: 수준측정용 수평기
261: 지시선 262: 손잡이
270: 수평계 271: 수평게이지
272: 수평판 273: 높이조절나사
280: 틈새 게이지

Claims (15)

  1. 콘크리트 패널(110) 상에 주행로(120L, 120R) 및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이 형성된 고무차륜 경량전철(AGT)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궤간 및 주행로(120L, 120R)의 중심간격 측정을 위해서 주행로(120L, 120R) 상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210);
    좌측 가이던스레일(130L)의 높이와 경사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210)의 좌측 단부에 상기 수평부재(210)와 직각으로 결합되는 좌측 수직부재(220a);
    우측 가이던스레일(130R)의 높이와 경사량을 상기 수평부재(210)의 우측 단부에 상기 수평부재(210)와 직각으로 결합되는 우측 수직부재(220b);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 간의 거리인 궤간을 측정하도록 몸체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로서, 상기 수평부재(210) 및 우측 수직부재(220b)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230);
    주행로(120L, 120R) 수준차이인 캔트(Cant)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210) 상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
    주행로(120L, 120R) 수준차이인 캔트(Cant)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수준측정용 수평기(260); 및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에 장착되어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의 수평 여부를 확인하는 수평계(270)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재(210)를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양쪽에 거치한 상태에서 가이던스레일(130L, 130R)과 주행로(120L, 120R)를 동시에 측정하며,
    상기 수평계(270)는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횡단경사량(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수평기(260)에 부착되고,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횡단경사량 측정을 위해 상기 수평계(27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나사(273)와 수평판(272)이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경사량 측정을 위해 상기 좌측 수직부재(220a) 및 상기 우측 수직부재(220b)의 상단에 삽입되고, 주행로(120L, 120R) 마모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210) 하부에 삽입되는 틈새 게이지(280)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10) 및 수직부재(220a, 220b, 240)는 경량재질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되며,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 몸체에는 각각 수평치수선 및 수직치수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220a, 220b)에 형성된 수직치수선은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에 형성된 수직치수선은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횡단경사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10)에 형성된 수평치수선은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궤간 및 주행로(120L, 120R)의 중심간격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는 한쪽 끝에 힌지(250)가 설치되고, 다른 끝에 손잡이(26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는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를 이용한 주행로(120L, 120R)의 수준 측정시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가 고정될 수 있는 발포고무(241)를 포함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10)와 수직부재(220a, 220b, 240)가 만나는 지점은 항상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중고정 또는 양면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10. 콘크리트 패널(110) 상에 주행로(120L, 120R) 및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이 형성된 고무차륜 경량전철(AGT)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에 있어서,
    a) 수평부재(210), 좌측 수직부재(220a), 우측 수직부재(220b), 슬라이딩부재(230),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 수준측정용 수평기(260) 및 수평계(270)로 이루어진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200)를 주행로(120L, 120R) 양측 상면 및 가이던스레일(130L, 130R) 사이에 거치하는 단계;
    b) 상기 수평부재(210) 및 우측 수직부재(220b)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230)를 슬라이딩시켜 연장하는 단계;
    c) 상기 주행로(120L, 120R) 상면에 배치된 수평부재(210)에 형성된 수평치수선에 따라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궤간 및 주행로(120L, 120R)의 중심간격을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수평부재(210)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상기 수평부재(210)와 직각으로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220a, 220b)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높이와 경사량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e) 상기 수평부재(210) 상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 사이에서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단계;
    f)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에 장착된 수평계(270)를 사용하여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의 수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g)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에 형성된 지시선이 가리키는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에 수직치수선에 따라 주행로(120L, 120R) 수준차이인 캔트(Cant)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재(210)를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양쪽에 거치한 상태에서 가이던스레일(130L, 130R)과 주행로(120L, 120R)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틈새 게이지(280)를 상기 좌측 수직부재(220a) 및 상기 우측 수직부재(220b)의 상단에 각각 삽입하여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경사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틈새 게이지(280)를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상면 및 상기 수평부재(210) 하부에 삽입하여 상기 주행로(120L, 120R)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는 경량재질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되며,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 몸체에는 각각 수평치수선 및 수직치수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220a, 220b)에 형성된 수직치수선은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에 형성된 수직치수선은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횡단경사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10)에 형성된 수평치수선은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궤간 및 주행로(120L, 120R)의 중심간격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방법.
KR1020180134387A 2018-11-05 2018-11-05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KR101995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87A KR101995202B1 (ko) 2018-11-05 2018-11-05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87A KR101995202B1 (ko) 2018-11-05 2018-11-05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202B1 true KR101995202B1 (ko) 2019-07-03

Family

ID=6725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387A KR101995202B1 (ko) 2018-11-05 2018-11-05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1504A (zh) * 2021-11-11 2022-02-18 易思维(杭州)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轨道高度差的倾角仪参数配置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855Y1 (ko) * 2001-06-18 2001-11-16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앵글 측정구
KR200250400Y1 (ko) * 2001-06-13 2001-11-16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도로 기울기 측정자
KR100906684B1 (ko) 2007-08-27 2009-07-07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KR100906405B1 (ko) 2007-09-14 2009-07-09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개폐장치
KR100910913B1 (ko) 2008-10-17 2009-08-05 강남훈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 방법
KR101025684B1 (ko) 2008-10-31 2011-03-30 강남훈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선형측정 장치
KR101109943B1 (ko) 2008-10-29 2012-02-24 강남훈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단면 측정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측정 방법
KR20130006275U (ko) * 2012-04-23 2013-10-31 한국철도공사 전차선로용 다용도 측정자
KR20150060251A (ko) * 2013-11-26 2015-06-03 한국철도공사 전차선로 레이저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400Y1 (ko) * 2001-06-13 2001-11-16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도로 기울기 측정자
KR200248855Y1 (ko) * 2001-06-18 2001-11-16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앵글 측정구
KR100906684B1 (ko) 2007-08-27 2009-07-07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KR100906405B1 (ko) 2007-09-14 2009-07-09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개폐장치
KR100910913B1 (ko) 2008-10-17 2009-08-05 강남훈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 방법
KR101109943B1 (ko) 2008-10-29 2012-02-24 강남훈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단면 측정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측정 방법
KR101025684B1 (ko) 2008-10-31 2011-03-30 강남훈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선형측정 장치
KR20130006275U (ko) * 2012-04-23 2013-10-31 한국철도공사 전차선로용 다용도 측정자
KR20150060251A (ko) * 2013-11-26 2015-06-03 한국철도공사 전차선로 레이저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1504A (zh) * 2021-11-11 2022-02-18 易思维(杭州)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轨道高度差的倾角仪参数配置方法
CN114061504B (zh) * 2021-11-11 2023-08-01 易思维(杭州)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轨道高度差的倾角仪参数配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485B1 (ko) 유압식 궤도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트롤리형 궤도검측장비 및 그 방법
CN104859681A (zh) 一种用于轨道几何参数测量的快速精调轨道检查仪
Sánchez et al. Estimating the accuracy of track-surveying trolley measurements for railway maintenance planning
US20140180609A1 (en) Method of establishing the deflection and/or the stiffness of a supporting structure
JP5412521B2 (ja) 案内軌条ゴムタイヤ式の軽電車の走行路施工方法及び装置
KR101549082B1 (ko) 3d pst 제조장치
US20180057029A1 (en) Inertial track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s
KR101995202B1 (ko)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Wilk et al. Innovative mobile method to determine railway track axis position in global coordinate system using position measurements performed with GNSS and fixed base of the measuring vehicle
KR20100048235A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지지장치
KR101114443B1 (ko) 보조궤광을 이용한 콘크리트 직결궤도 시공방법
KR101025684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선형측정 장치
KR101019761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KR101114444B1 (ko)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조립식 직결궤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직결궤도를 이용한 콘크리트 직결궤도 부설방법
KR101109943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단면 측정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측정 방법
KR101044340B1 (ko) 보조 레일을 이용한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주행로 시공 장치
CN114737421B (zh) 高敏感大形变复杂结构桥梁无砟轨道施工方法
KR100910913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 방법
KR100972385B1 (ko) 바이모달 트램의 자기장유도 형식 일반선로용 마그네틱바의 설치 방법
KR100910912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시공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시공 장치
KR102202616B1 (ko)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
KR101416157B1 (ko) 교체가 용이한 3차원 입체형상의 궤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이 궤도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및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KR101034728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용 슬립폼
KR20100047668A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바이브레이터
Wilk et al. Correction of determined coordinates of railway tracks in mobile satellite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