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616B1 -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616B1
KR102202616B1 KR1020190116082A KR20190116082A KR102202616B1 KR 102202616 B1 KR102202616 B1 KR 102202616B1 KR 1020190116082 A KR1020190116082 A KR 1020190116082A KR 20190116082 A KR20190116082 A KR 20190116082A KR 102202616 B1 KR102202616 B1 KR 102202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ng hole
running
lower fram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화
최규문
이초령
윤현석
홍승표
조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1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8Rail tracks for guiding vehicles when running on road or similar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1/00Track superstructure adapted for tramways in paved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42Undetachably joining or fastening track components in or on the track, e.g. by welding, by gluing; Pre-assembling track components by gluing; Sealing joints with filling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고무차륜 경전철(AGT)이 주행하는 주행로의 단절된 부분에 형성된 케이블 횡단로에 설치되는 주행로 색판에 있어서, 상판과 상부주행판이 분리되어 측면에서 체결되는 2중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상판과 상부주행판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부으며, 또한, 앵커볼트 세트로 콘크리트 패널에 하부프레임을 고정하고 하부프레임 상에 상하로 설치되는 경사형 장공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이동가능한 상부프레임에 체결함으로써, 주행로 색판의 높이를 간단하게 조정하거나 주행로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 {TRAVELING WAY CONNECTING APPARATUS FOR RUBBER WHEEL AUTOMATED GUIDEWAY TRANSIT (AGT), AND REPAI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고무차륜(Rubber Wheel) 경전철(Automated Guideway Transit: AGT)이 주행하는 주행로가 단절된 부분의 케이블 횡단로에 설치되어 주행로를 연결하는 고무차륜 경전철(AGT)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전철(또는 경량전철)은 철제차륜 AGT, 고무차륜 AGT, 선형유도모터를 이용하는 LIM(Linear Induction Motor), 모노레일, 노면전차, 자기력을 이용하는 자기부상식 철도 등으로 구분되며, 이 중에서 고무차륜 경전철은 고가 등의 전용궤도를 고무차륜이 부착된 소형 경전철이 주행로를 따라 주행하는 경전철 시스템이다.
이러한 고무차륜 경전철(AGT)은 고가 등의 전용궤도를 고무타이어 부착 소형 경량차량이 가이드웨이(Guideway)를 따라 주행하는 경전철 시스템을 말하며, 컴퓨터 제어에 의해 무인운전도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독자적인 궤도시스템을 가지고 운영되는 교통수단인 고무차륜 경전철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 도시교통시스템으로서 호평을 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소형화를 통하여 터널 및 구조물 설치 등의 건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새로운 운행기법의 도입으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운행자동화로 승무원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차량의 등판능력 향상, 회전반경 감소에 따라 산악지형이 많은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동력의 사용으로 공해가 없고, 기존 궤도시스템에 비해 환경친화적인 외형을 갖는다.
한편, 현재 운행중인 경전철의 경우, 주행노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패널의 상측으로 전철차량의 고무차륜이 접촉하면서 주행하며, 곡선구간의 분기를 위해 고무차륜의 양측에 안내륜을 구비하여 분기를 유도하는 형태의 궤도 시스템으로 운행되고 있다.
이러한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은 차륜에 고무 타이어를 채용하여 선로 노반의 주행로를 따라 운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노반의 수직벽에 설치된 안내궤도와 차량에 설치된 안내롤러가 차량의 진행을 가이드하게 됨으로써 차량이 운행하게 된다. 이러한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은 대부분 도심내부순환 또는 도심과 부도심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건설된다.
한편, 고무차륜 경전철(AGT)용 주행로 색판은 주행로(Traveling Way)에서 신호 케이블, 통신 케이블, 전차선 케이블 등과 같은 각종 횡단 케이블 및 분기기 연결장치가 횡단하는 곳에 설치되는 주행로 연결장치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주행로 색판은 터널에서 구조물로 변하는 지하구조물의 단면 변화구간에서 구조물의 신축으로 인한 주행로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서 설치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b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30)은 콘크리트 패널(10) 상에 형성된 주행로(20)가 단절된 부부에 형성된 케이블 횡단로에 설치되어 주행로(20)를 연결하고, 상기 주행로 색판(30)은 상판(31), 지지용 프레임(32), 상부주행판(33) 및 렌치볼트(35)를 포함한다.
한편, 관련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30981호에는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주행로의 케이블 보호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차륜형 경전철 주행로의 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고무차륜형 경전철 주행로의 케이블 보호장치가 주행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차륜형 경전철 주행로의 케이블 보호장치는, 경전철의 고무차륜이 주행하는 주행로에 횡단으로 설치된 급전케이블 또는 신호케이블 등의 케이블(51)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주행노면부, 케이블 설치공간부(60) 및 주행로 연결판(40)으로 구성된다.
주행로 연결판(4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1), 지지대(42), 흡음부재(43), 흡음 및 보강부재(44) 및 렌치볼트(45)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로 연결판(40)은 케이블 설치공간부(60)에 설치되어 케이블 설치를 위한 공간에 의해 단절된 주행로를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주행노면부는 주행로에 형성된 노면부와 동일한 높이 및 형상의 평탄부로 이루어지며, 양측에 경전철의 고무차륜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케이블 설치공간부(60)는 급전 또는 신호를 위한 케이블(51)이 주행노면부의 횡방향으로 지나가도록 형성되며, 주행로 연결판(40)에 구비된 지지대(42)의 수에 따라 다수 개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41)는 주행노면부와 동일한 높이로 평탄하게 이루어지며, 지지대(42)는 케이블 설치공간부(60)의 바닥부에서 앵커볼트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41)와 렌치볼트(45)로 체결되어 플레이트(3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흡음부재(43)는 플레이트(41)에서 렌치볼트(45)로 고정 설치되어 경량전철의 주행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흡음부재(43)는 경전철의 이동에 의한 소리 및 진동을 흡수하여 상쇄시킬 수 있도록 모르타르 수지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흡음 및 보강부재(44)는 지지대(42)의 상부와 상기 플레이트(41)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경전철의 통과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쇄시키고, 주행로 연결판(40)이 단단하게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차륜형 경전철 주행로의 케이블 보호장치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로 연결판(40)이 설치되고, 케이블 설치공간부(60)가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면, 케이블 설치공간부(60)를 통해서 급전케이블 또는 신호케이블 등의 케이블(51)과 이러한 케이블(51)을 보호하기 위한 덮개(52)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차륜형 경전철 주행로의 케이블 보호장치에 따르면, 주행로 연결판을 경전철의 고무차륜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진동을 흡수하고, 주행로 연결판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지나가는 급전케이블 및 신호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주행로 연결판의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모르타르 수지의 흡음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경전철의 고무차륜이 통과시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97521호에는 "주행로 케이블 횡단구역의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건널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행로 케이블 횡단구역의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건널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행로 케이블 횡단구역의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건널장치는, 주행로(20)의 단절된 부분에 형성된 케이블 횡단로(80)에 구비되는 케이블(51)을 보호하고, 고무차륜 경전철(경량전철)이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각(90), 건널판(70) 및 보호부(52)를 포함한다. 여기서, 건널판(70)은 전술한 주행로 색판(30) 및 주행로 연결판(40)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여기서, 케이블 횡단로(80)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20)의 중간을 단절하여 형성되며, 케이블(51)이 상기 주행로(20)를 가로질러 횡단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또한, 케이블(51)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52)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블 횡단로(80)를 통과하되, 케이블(51)이 횡단하는 케이블 횡단로(80)의 개수는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지지각(90)은 케이블 횡단로(80)에 구비되며, 주행로(20)의 단절된 부분에 근접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이때, 지지각(90)은 상측 면에 관통된 형태의 지지각 체결홈(91)이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각 체결홈(91)은 건널판(70)의 건널판 체결홈(71)과 대응되어 상기 지지각 체결홈(91)과 건널판 체결홈(71)의 결합을 통해 지지각(90)과 건널판(70)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건널판(70)은 케이블 횡단로(80)의 단절된 부분에 근접하도록 한 쌍의 지지각(90)이 설치되면, 한 쌍의 지지각(90) 상측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건널판(7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각 체결홈(91)에 대응되는 건널판 체결홈(71)이 형성되며, 건널판(70)이 형성되는 높이는 주행로(2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또한, 지지각(90)과 건널판(70)의 결합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각 체결홈(91)과 건널판 체결홈(71)을 관통하는 볼트(73)가 구비되고, 상기 볼트(73)와 너트(74)의 결합을 통해 지지각(90)의 상측에 건널판(70)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건널판(70)의 상측면에는 다수 개의 V자 모양의 커팅홈(72)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행로 케이블 횡단구역의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건널장치에 따르면, 고무차륜 경전철(경량전철)이 주행하는 주행로의 단절된 부분에 형성된 케이블횡단로에 케이블이 구비된 보호부가 횡단으로 설치되고, 보호부가 내장되도록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각 및 건널판이 구비됨으로써,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V자 모양의 커팅홈들이 형성됨으로써, 눈이나 비가 내려도 고무차륜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건널판을 건너 케이블 횡단로를 통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행로 색판은 처음 설치할 때, 높이 조정이 가능한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설치하며, 이후, 콘크리트 양생을 마무리하면 더 이상의 높이 조정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나중에 주행로 색판과 주행로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여도 조정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주행로 색판과 주행로의 높이 차이는 경전철 차량의 운행 시 진동 발생의 원인이 되며, 또한, 주행로 연마 시에 주행로 색판 부근은 연마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경전철 차량이 주행로 색판을 통과할 때 진동 등을 유발하게 되며, 경전철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나쁜 승차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경우, 상부주행판은 두꺼운 상판에 직접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주행로 색판의 사용 중에 모르타르가 파손되거나 닳아서 높이가 낮아질 수 있고, 이를 교체하려면 상판 및 상부주행판 전체를 바꾸거나 상판의 모르타르를 걷어내고 새로 도장해야 한다. 이에 따라, 주행로 색판의 교체 시에 상판 및 상부주행판을 전체를 바꿔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또는 직접 현장에서 도장을 실시하면 경화시간동안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 문제를 유발하거나 부실작업의 우려가 많다. 또한, 주행로 색판의 상부주행판에 렌치볼트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르타르의 초기 파손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97521호(등록일: 2017년 11월 8일), 발명의 명칭: "주행로 케이블 횡단구역의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건널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30981호(등록일: 2012년 3월 21일), 발명의 명칭: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주행로의 케이블 보호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9-21513호(공개일: 2009년 3월 4일), 발명의 명칭: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주행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무차륜 경전철(AGT)이 주행하는 주행로의 단절된 부분에 형성된 케이블 횡단로에 설치되는 주행로 색판에 있어서, 상판과 상부주행판이 분리되어 측면에서 체결되는 2중 구조를 적용하여 상판과 상부주행판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부주행판만 교체할 수 있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앵커볼트 세트로 콘크리트 패널에 하부프레임을 고정하고 하부프레임 상에 상하로 설치되는 경사형 장공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이동가능한 상부프레임에 체결함으로써, 주행로 색판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은, 주행로 색판의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고, 주행로 색판을 콘크리트 패널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역할을 하며, 상하로 경사형 장공이 가공된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를 구비한 하부프레임; 주행로 색판의 상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을 상부주행판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에 형성된 경사형 장공에 대응하도록 상하로 경사형 장공이 가공된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를 구비한 상부프레임; 고무차륜 경전철 차량이 통과하는 상부주행판을 지지하며, 측면에 탭 가공홀이 형성된 상판; 고무차륜 경전철 차량이 직접 통과하는 구간으로서,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의 측면 체결에 의해 상기 상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주행판; 상기 상판 상에 상부주행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탭 가공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 및 상부주행판을 체결하는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 및 상기 경사형 장공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를 체결하여 주행로 색판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정용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을 콘크리트 패널에 고정하는 앵커볼트 세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콘크리트 패널에 고정된 프레임이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이며,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는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상향 형성되는 브래킷 형태의 구조이고,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는 상기 상부프레임 하부에 하향 형성되는 브래킷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주행로에서 상기 상부주행판 교체 시,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상판 및 상부주행판을 분리시킨 후, 상기 상부주행판만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주행판은 상기 상판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양쪽으로 절곡된 판으로서 모르타르 도포를 포함하는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탭가공 홀은 상기 상판의 측면 및 상기 상부주행판의 절곡된 측면 각각에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판과 상부주행판이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로 체결될 수 있는 너트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는 상기 상판 상부에 상기 상부주행판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주행판이 이동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측면에서 상기 상부주행판을 상기 상판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는 하부의 제1 높이조정용 볼트 및 상부의 제2 높이조정용 볼트를 포함하며, 제1 경사형 장공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높이조정용 볼트를 체결하면, 상기 제1 경사형 장공 높이의 2배 거리만큼 주행로 색판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형 장공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높이조정용 볼트를 체결한 후, 상기 제2 높이조정용 볼트를 제2 경사형 장공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와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 간의 고정을 보완할 수 있다.
삭제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 방법은, a)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 상판, 상부주행판, 높이조정용 볼트 및 상부주행판 고정용볼트가 조립되어 케이블 횡단로에 설치된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을 점검하는 단계; b) 상기 주행로 색판의 높이 조정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주행로 색판의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를 해제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d) 경사형 장공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를 체결하여 주행로 색판의 높이를 조정하는 단계; e) 상기 주행로 색판의 교체가 필요한지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상판에 측면 체결된 상부주행판을 분리하는 단계; 및 g)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볼트에 의해 교체 상부주행판을 상기 상판에 체결하여 주행로 색판의 교체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차륜 경전철(AGT)이 주행하는 주행로의 단절된 부분에 형성된 케이블 횡단로에 설치되는 주행로 색판에 있어서, 상판과 상부주행판이 분리되어 측면에서 체결되는 2중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상판과 상부주행판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부주행판만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행로 색판을 간단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볼트 세트로 콘크리트 패널에 하부프레임을 고정하고 하부프레임 상에 상하로 설치되는 경사형 장공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이동가능한 상부프레임에 체결함으로써, 주행로 색판의 높이를 간단하게 조정하거나 주행로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b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차륜형 경전철 주행로의 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고무차륜형 경전철 주행로의 케이블 보호장치가 주행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행로 케이블 횡단구역의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건널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일반적인 고무차륜 경전철의 선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을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에서 상판과 체결된 상부주행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에서 경사형 장공에 의해 주행로 색판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에 체결볼트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고무차륜 경전철(AGT)의 궤도 선로를 설명한다.
도 4는 일반적인 고무차륜 경전철(AGT)의 선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도 4a는 고무차륜 AGT의 1차선로를 나타내며, 도 4b는 2차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고무차륜 AGT는, 콘크리트 패널(210), 수직벽(211), 주행로(220L, 220R), 배근(221), 가이던스레일(230L, 230R), 고무차륜(240), AGT 차량(250) 및 차량용 안내롤러(260)를 포함하며, 또한, 2차선로의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통로 기둥(27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경전철 중에서 고무차륜 AGT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차륜(240)에 고무타이어를 채용하여 선로 콘크리트 패널(210)의 주행로(220L, 220R) 상부를 따라 운행하고, 또한, 콘크리트 패널(210)의 수직벽(211)에서 설치된 가이던스레일(230L, 230R) 및 AGT 차량(250)에 설치된 안내롤러(260)가 상기 AGT 차량(250)의 진행을 가이드하면서 운행하며, 예를 들면, 대부분 도심내부 순환 또는 도심과 부도심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건설된다. 이때, 주행로(220L, 220R)는 배근(221)의 외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전철의 대부분은 도시의 지하 및 고가에 건설되기 때문에, 노선의 선형은 많은 종곡선과 평면곡선의 변화를 이루면서 복잡하게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노선의 선형은 직선과 평탄의 원칙을 갖고 설계되지만, 경전철의 특성상 많은 곡선과 구배를 설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고무차륜 AGT는 고무차륜(240)인 타이어가 주행로(220L, 220R) 상부를 따라 주행하며, 경전철 선로의 횡방향 및 종방향 경사에 따라 주행로(220L, 220R)가 적절한 기울기를 갖도록 정밀하게 시공해야 경전철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차륜 AGT의 시공방법은 토목 공사를 진행하여 주행로(220L, 220R) 를 설치한 상태에서 그 측면에 가이던스레일(230L, 230R)을 설치하는 궤도공사를 하게 된다. 즉, 주행로(220L, 220R)의 설치 위치에 배근(221)을 설치함과 아울러 배수관을 설치하고, 상기 배근(221)의 근접 위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배근(221)은 미리 설계도에 따른 선로의 구배에 맞춰 공장에서 가공하여 현장에 반입하며, 소정의 설치 위치에 배근(221)을 위치시킴으로써 선로의 구배에 맞게 설치하며, 이때, 선로의 횡방향 및 종방향 구배에 맞게 정밀하게 배근(221)을 설치해야 한다. 이후,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는 배근(221)에 에폭시 수지등과 같은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함과 아울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윗면을 편평하게 다지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의 타설 공정에서 기계를 사용하지만, 선로의 곡선부분에서는 구배를 맞추기가 어려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구배를 맞추는 인력시공을 하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다짐 공정에서도 콘크리트를 다진 후, 콘크리트 레벨러로서, 콘크리트의 평탄성(예를 들면, 3미터당 1.2㎜ 이하), 고저(예를 들면, 3미터당 3㎜이하), 평면성(예를 들면, 3미터당 3㎜ 이하) 등을 측정하게 된다.
이후, 콘크리트의 타설 및 다짐이 완료되면, 일정 시간동안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콘크리트 커터 등으로 줄눈을 형성하게 되며, 줄눈의 형성 후에는 노반에 방수 및 높이 조정을 위해 레벨링층을 타설하게 된다.
이후, 레벨링층의 타설이 완료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로(220L, 220R)의 측부에 위치되는 노반 수직벽(211)에 가이던스레일(230L, 230R)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것은 미리 설계된 설계도에 의해 가이던스레일(230L, 230R)을 노반 수직벽(211)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패널(210)인 노반을 기준으로 높이를 측정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매우 정확하게 선로의 횡방향 및 종방향 구배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이던스레일(230L, 230R)의 설치가 완료되면, 주행로(220L, 220R)의 횡방향 및 종방향 구배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 오차가 발생되면 주행로(220L, 220R)를 연마하거나 주행로에 콘크리트를 덧대어 구배를 맞추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차륜 AGT는 콘크리트 주행로(220L, 220R) 상부면을 따라 AGT 차량(250)이 주행로(220L, 220R)와 가이던스레일(230L, 230R)의 유도를 받으며 운행하는 경전철 시스템이다. 그러므로 주행로(220L, 220R)와 가이던스레일(230L, 230R)의 정밀 시공이 요구되고, 열차 운행 및 유지관리시에도 주행로(220L, 220R)와 가이던스레일(230L, 230R)의 유지관리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이때, 고무차륜 경전철(AGT)이 주행하는 주행로의 단절된 부분에 형성된 케이블 횡단로에 주행로 색판이 설치되며, 이러한 주행로 색판은 주행로에서 신호 케이블, 통신 케이블, 전차선 케이블 등과 같은 각종 횡단 케이블 및 분기기 연결장치가 횡단하는 곳에 설치되는 장치를 말한다.
이하, 도 5a 내지 도 9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을 설명하고,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을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4a,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은, 하부프레임(110), 상부프레임(120), 상판(130), 상부주행판(140), 앵커볼트 세트(150), 높이조정용 볼트(160),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 및 탭 가공홀(180)을 포함한다.
하부프레임(110)은 주행로 색판(100)의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고, 주행로 색판(100)을 콘크리트 패널(210)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역할을 하며, 상하로 경사형 장공(h1, h2)이 가공된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를 구비한다.
상부프레임(120)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행로 색판(100)의 상판(130)을 지지하고, 상기 상판(130)을 상부주행판(14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에 형성된 경사형 장공(h1, h2)에 대칭을 이루도록 상하로 경사형 장공이 가공된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은, 고무차륜 AGT 주행로(220L, 220R)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주행로 색판으로서, 상판(130) 하부의 하부프레임(110)과 상부프레임(120) 각각에 경사형 장공(h1, h2)을 2중으로 가공하되, 상하로 경사형 장공(h1, h2)이 가공된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을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에 형성된 경사형 장공(h1, h2)에 대칭을 이루도록, 상하로 경사형 장공이 가공된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를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 및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는 각각 브래킷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상판(130)은 고무차륜 경전철(AGT) 차량이 통과하는 상부주행판(140)을 지지하며, 측면에 탭 가공홀(180)이 형성되며, 측면에서 상기 탭 가공홀(180)을 관통하는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에 의해 상기 상판(130) 상에 상부주행판(1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30) 및 상부주행판(140)이 체결된다. 이에 따라, 주행로(220L, 220R)에서 상기 상부주행판(140) 교체 시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상판(130) 및 상부주행판(140)을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상부주행판(140)만을 교체할 수 있다.
상부주행판(140)은 고무차륜 경전철(AGT) 차량이 직접 통과하는 구간으로서,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에 의해 상기 상판(130)의 상부에 고정되며, 이때, 양측면은 절곡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판(130)의 탭 가공홀(180)에 대응하는 탭 가공홀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상부주행판(140)은 후술하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모르타르(141) 도포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앵커볼트 세트(150)는 상기 하부프레임(110)을 콘크리트 패널(2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높이조정용 볼트(160)는 상기 경사형 장공(h1, h2)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 및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를 체결하여 주행로 색판(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160)는 상기 제1 및 제2 경사형 장공(h1, h2)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높이조정용 볼트(161, 16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의 경우, 하부의 제1 경사형 장공(h1)의 경사면을 따라 제1 높이조정용 볼트(161)를 체결하면, 상기 제1 경사형 장공(h1) 높이(d)의 2배 거리(2d)만큼 주행로 색판(10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제2 경사형 장공(h2)에 제2 높이조정용 볼트(162)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와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 간의 고정을 보완할 수 있다.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는 상기 상판(130) 상부에 상기 상부주행판(140)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주행판(140)이 이동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측면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는 상기 상판(130) 상에 상부주행판(1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탭 가공홀(180)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130) 및 상부주행판(140)을 체결한다.
탭 가공홀(180)은 상기 상판(130)과 상부주행판(140)이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로 체결될 수 있도록 너트 역할을 수행하며, 이때, 별도의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의 경우, 상판(130)과 상부주행판(140)의 2중 구조로 하여 하중을 주로 지지하는 하부 상판(130)과 절곡된 철판 상부에 미리 모르타르를 도포한 상부주행판(140)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판(130)과 상부주행판(140)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상기 상부주행판(140)만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올리고 안전작업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여유분으로 모르타르를 도포한 상기 상부주행판(140)을 미리 준비함으로써, 교체 전과 균일한 상부주행판(140)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주행면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은, 하부프레임(110)을 앵커볼트 세트(15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한 후,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16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20)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조정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160)를 조임으로써, 상기 주행로 색판(100)의 높이가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행로 색판의 경우, 일단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는 경전철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주행로 색판에 최초 설치상태의 변형이 발생하면, 주행로 색판의 하부앵커를 모두 재설치하여 주행로 색판의 높이를 조정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행로 색판(100)의 경우, 주행로 연마 시 주행로 색판 부근은 주행로 연마를 하지 않고 통과하거나 또는 주행면을 주행로 색판(100) 높이에 맞추어 연마를 진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의 경우, 주행로 연마두께만큼 주행로 색판(1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주행로 연마 시 주행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에서 상판과 체결된 상부주행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조립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은, 상기 상부프레임(120) 상에 상기 상판(130)을 조립하고, 상기 상판(130)에 형성된 탭 가공홀(180)을 통해 상기 상판(130)을 상기 상부주행판(140)과 체결하여 조립하는 구조로서, 주행로 색판(100)의 변형 및 파손 발생시 상기 상판(130) 및 상부주행판(14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단지 상기 상부주행판(140)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행로 색판(100)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주행로 색판(100)의 유지 및 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로 색판(100)의 상부주행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할 경우, 주행로 색판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단지 상부주행판만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주행로 색판의 교체주기를 늘리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에서 경사형 장공에 의해 주행로 색판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의 경우,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제1 경사형 장공(h1)의 경사면을 따라 제1 높이조정용 볼트(161)를 체결하면, 상기 제1 경사형 장공(h1) 높이(d)의 2배 거리(2d)만큼 주행로 색판(10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제2 경사형 장공(h2)에 제2 높이조정용 볼트(162)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와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 간의 고정을 보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각 경사형 장공(h1, h2)이 가공된 하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의 상하 세트로 전체 프레임을 구성하고, 주행로 색판(100)을 경사형 장공(h1, h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켜 고정하면, 상기 주행로 색판(1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행로 색판(100)의 높이 조정이 완료되면,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를 갖는 장공에 높이조정용 볼트(160)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160)는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주행로 색판(100)의 점검시 육안으로 확인하여 주행로 색판(100)의 이상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행로 색판(100)의 점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에 체결볼트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은, 고무차륜 AGT 주행로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주행로 색판으로서, 주행로 색판(100)의 하부 4군데에 장공을 비스듬히 2중으로 가공하되, 상하로 형성된 장공(h1, h2)이 2개 가공된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을 하부프레임(110)에 형성하고, 또한, 상부프레임(120)에는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에 대칭된 경사형 장공을 가진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을 형성한다.
이때,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190)를 사용하여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 및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 간의 고정을 보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볼트(190)는 상부 좌우로 경사형 장공으로 인해 높이 조정이 완료된 주행로 색판(100)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볼트 세트로 콘크리트 패널에 하부프레임을 고정하고 하부프레임 상에 상하로 설치되는 경사형 장공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이동가능한 상부프레임에 체결함으로써, 주행로 색판의 높이를 간단하게 조정하거나 주행로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다.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방법은, 먼저, 하부프레임(110), 상부프레임(120), 상판(130), 상부주행판(140), 높이조정용 볼트(160) 및 상부주행판 고정용볼트(170)가 조립되어 케이블 횡단로에 설치된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을 점검한다(S110).
여기서, 상기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은, 주행로 색판(100)의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고, 주행로 색판(100)을 콘크리트 패널(210)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역할을 하며, 상하로 경사형 장공(h1, h2)이 가공된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를 구비한 하부프레임(110); 주행로 색판(100)의 상판(130)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130)을 상부주행판(14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에 형성된 경사형 장공(h1, h2)에 대응하도록 상하로 경사형 장공이 가공된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를 구비한 상부프레임(120); 고무차륜 경전철(AGT) 차량이 통과하는 상부주행판(140)을 지지하며, 측면에 탭 가공홀(180)이 형성된 상판(130); 고무차륜 경전철(AGT) 차량이 직접 통과하는 구간으로서,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의 측면 체결에 의해 상기 상판(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주행판(140); 상기 상판(130) 상에 상부주행판(1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탭 가공홀(180)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130) 및 상부주행판(140)을 체결하는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 및 상기 경사형 장공(h1, h2)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 및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를 체결하여 주행로 색판(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정용 볼트(1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110)은 콘크리트 패널(210)에 고정된 프레임이고, 상기 상부프레임(120)은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이며,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는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부에 상향 형성되는 브래킷 형태의 구조이고,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는 상기 상부프레임(120) 하부에 하향 형성되는 브래킷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로 색판(100)의 높이 조정이 필요한지 확인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주행로 색판(100)의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160)를 해제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20)을 하부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한다(S130).
다음으로, 경사형 장공(h1, h2)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160)를 체결하여 주행로 색판(100)의 높이를 조정한다(S140). 여기서,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160)는 하부의 제1 높이조정용 볼트(161) 및 상부의 제2 높이조정용 볼트(162)를 포함하며, 제1 경사형 장공(h1)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높이조정용 볼트(161)를 체결하면, 상기 제1 경사형 장공(h1) 높이(d)의 2배 거리(2d)만큼 주행로 색판(10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경사형 장공(h1)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높이조정용 볼트(161)를 체결한 후, 상기 제2 높이조정용 볼트(162)를 제2 경사형 장공(h2)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와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 간의 고정을 보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로 색판(100)의 교체가 필요한지 확인한다(S150).
다음으로, 상기 주행로 색판(1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볼트(170)에 의해 상기 상판(130)에 측면 체결된 상부주행판(140)을 분리한다(S160). 이때, 상기 상판(130)의 측면 및 상기 상부주행판(140)의 절곡된 측면 각각에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가 관통하도록 상기 탭가공 홀(180)이 형성되고, 상기 탭가공 홀(180)은 상기 상판(130)과 상부주행판(140)이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로 체결될 수 있는 너트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볼트(170)에 의해 교체 상부주행판(140)을 상기 상판(130)에 체결하여 주행로 색판(100)의 교체를 완료한다(S170). 즉, 주행로(220L, 220R)에서 상기 상부주행판(140) 교체 시,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상판(130) 및 상부주행판(140)을 분리시킨 후, 상기 상부주행판(140)만 교체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차륜 경전철(AGT)이 주행하는 주행로의 단절된 부분에 형성된 케이블 횡단로에 설치되는 주행로 색판에 있어서, 상판과 상부주행판이 분리되어 측면에서 체결되는 2중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상판과 상부주행판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부주행판만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행로 색판을 간단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110: 하부프레임 120: 상부프레임
130: 상판 140: 상부주행판
150: 앵커볼트 세트 160: 높이조정용 볼트
170: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 180: 탭 가공홀
190: 체결볼트
h1: 제1 경사형 장공 h2: 제2 경사형 장공
111: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 121: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
131: 렌치볼트 141: 모르타르
161: 제1 높이조정용 볼트 162: 제2 높이조정용 볼트

Claims (16)

  1.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에 있어서,
    주행로 색판(100)의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고, 주행로 색판(100)을 콘크리트 패널(210)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역할을 하며, 상하로 경사형 장공(h1, h2)이 가공된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를 구비한 하부프레임(110);
    주행로 색판(100)의 상판(130)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130)을 상부주행판(14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에 형성된 경사형 장공(h1, h2)에 대응하도록 상하로 경사형 장공이 가공된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를 구비한 상부프레임(120);
    고무차륜 경전철(AGT) 차량이 통과하는 상부주행판(140)을 지지하며, 측면에 탭 가공홀(180)이 형성된 상판(130);
    고무차륜 경전철(AGT) 차량이 직접 통과하는 구간으로서,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의 측면 체결에 의해 상기 상판(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주행판(140);
    상기 상판(130) 상에 상부주행판(1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탭 가공홀(180)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130) 및 상부주행판(140)을 체결하는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 및
    상기 경사형 장공(h1, h2)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 및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를 체결하여 주행로 색판(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정용 볼트(16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110)을 콘크리트 패널(210)에 고정하는 앵커볼트 세트(150)를 포함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10)은 콘크리트 패널(210)에 고정된 프레임이고, 상기 상부프레임(120)은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이며,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는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부에 상향 형성되는 브래킷 형태의 구조이고,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는 상기 상부프레임(120) 하부에 하향 형성되는 브래킷 형태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3. 제1항에 있어서,
    주행로(220L, 220R)에서 상기 상부주행판(140) 교체 시,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상판(130) 및 상부주행판(140)을 분리시킨 후, 상기 상부주행판(140)만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주행판(140)은 상기 상판(13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양쪽으로 절곡된 판으로서 모르타르(141) 도포를 포함하는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가공 홀(180)은 상기 상판(130)의 측면 및 상기 상부주행판(140)의 절곡된 측면 각각에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가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판(130)과 상부주행판(140)이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로 체결될 수 있는 너트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는 상기 상판(130) 상부에 상기 상부주행판(140)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주행판(140)이 이동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측면에서 상기 상부주행판(140)을 상기 상판(130)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160)는 하부의 제1 높이조정용 볼트(161) 및 상부의 제2 높이조정용 볼트(162)를 포함하며, 제1 경사형 장공(h1)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높이조정용 볼트(161)를 체결하면, 상기 제1 경사형 장공(h1) 높이(d)의 2배 거리(2d)만큼 주행로 색판(100)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형 장공(h1)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높이조정용 볼트(161)를 체결한 후, 상기 제2 높이조정용 볼트(162)를 제2 경사형 장공(h2)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와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 간의 고정을 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9. 삭제
  10.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의 유지보수 방법에 있어서,
    a) 하부프레임(110), 상부프레임(120), 상판(130), 상부주행판(140), 높이조정용 볼트(160) 및 상부주행판 고정용볼트(170)가 조립되어 케이블 횡단로에 설치된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을 점검하는 단계;
    b) 상기 주행로 색판(100)의 높이 조정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주행로 색판(100)의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160)를 해제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20)을 하부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d) 경사형 장공(h1, h2)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높이조정용 볼트(160)를 체결하여 주행로 색판(100)의 높이를 조정하는 단계;
    e) 상기 주행로 색판(100)의 교체가 필요한지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볼트(170)에 의해 상기 상판(130)에 측면 체결된 상부주행판(140)을 분리하는 단계; 및
    g)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볼트(170)에 의해 교체 상부주행판(140)을 상기 상판(130)에 체결하여 주행로 색판(100)의 교체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100)은,
    주행로 색판(100)의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고, 주행로 색판(100)을 콘크리트 패널(210)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역할을 하며, 상하로 경사형 장공(h1, h2)이 가공된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를 구비한 하부프레임(110);
    주행로 색판(100)의 상판(130)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130)을 상부주행판(14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에 형성된 경사형 장공(h1, h2)에 대응하도록 상하로 경사형 장공이 가공된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를 구비한 상부프레임(120);
    고무차륜 경전철(AGT) 차량이 통과하는 상부주행판(140)을 지지하며, 측면에 탭 가공홀(180)이 형성된 상판(130);
    고무차륜 경전철(AGT) 차량이 직접 통과하는 구간으로서,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의 측면 체결에 의해 상기 상판(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주행판(140);
    상기 상판(130) 상에 상부주행판(1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탭 가공홀(180)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130) 및 상부주행판(140)을 체결하는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 및
    상기 경사형 장공(h1, h2)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 및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를 체결하여 주행로 색판(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정용 볼트(160)를 포함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10)은 콘크리트 패널(210)에 고정된 프레임이고, 상기 상부프레임(120)은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이며,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는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부에 상향 형성되는 브래킷 형태의 구조이고,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는 상기 상부프레임(120) 하부에 하향 형성되는 브래킷 형태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높이조정용 볼트(160)는 하부의 제1 높이조정용 볼트(161) 및 상부의 제2 높이조정용 볼트(162)를 포함하며, 제1 경사형 장공(h1)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높이조정용 볼트(161)를 체결하면, 상기 제1 경사형 장공(h1) 높이(d)의 2배 거리(2d)만큼 주행로 색판(100)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형 장공(h1)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높이조정용 볼트(161)를 체결한 후, 상기 제2 높이조정용 볼트(162)를 제2 경사형 장공(h2)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하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11)와 상기 상부프레임 장공 가공부(121) 간의 고정을 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탭가공 홀(180)은 상기 상판(130)의 측면 및 상기 상부주행판(140)의 절곡된 측면 각각에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가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판(130)과 상부주행판(140)이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로 체결될 수 있는 너트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주행로(220L, 220R)에서 상기 상부주행판(140) 교체 시, 상기 상부주행판 고정용 볼트(170)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상판(130) 및 상부주행판(140)을 분리시킨 후, 상기 상부주행판(140)만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의 유지보수 방법.
KR1020190116082A 2019-09-20 2019-09-20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 KR102202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082A KR102202616B1 (ko) 2019-09-20 2019-09-20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082A KR102202616B1 (ko) 2019-09-20 2019-09-20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616B1 true KR102202616B1 (ko) 2021-01-13

Family

ID=7414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082A KR102202616B1 (ko) 2019-09-20 2019-09-20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027B1 (ko) * 2022-09-27 2024-02-14 길승환 신축 이음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981B1 (ko) 2009-12-04 2012-03-28 주식회사 우진기전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주행로의 케이블보호장치
KR101797521B1 (ko) 2017-03-24 2017-11-15 주식회사 에스티알 주행로 케이블 횡단구역의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건널장치
KR101899834B1 (ko) * 2017-10-23 2018-09-18 이춘구 상부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미세조정이 가능한 지진보강 전단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981B1 (ko) 2009-12-04 2012-03-28 주식회사 우진기전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주행로의 케이블보호장치
KR101797521B1 (ko) 2017-03-24 2017-11-15 주식회사 에스티알 주행로 케이블 횡단구역의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건널장치
KR101899834B1 (ko) * 2017-10-23 2018-09-18 이춘구 상부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미세조정이 가능한 지진보강 전단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027B1 (ko) * 2022-09-27 2024-02-14 길승환 신축 이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898B2 (ja) プレハブスラブ式防振軌道構造システム及びその施工方法
WO2012173296A1 (ko) 교체가 용이한 3차원 입체형상의 궤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이 궤도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및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AU2016269737A1 (en) Support for a panel of a section of guided transport track
KR102202616B1 (ko)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
JP2012505330A (ja) 案内軌条ゴムタイヤ式の軽電車の走行路施工方法及び装置
KR20100048235A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지지장치
KR101114443B1 (ko) 보조궤광을 이용한 콘크리트 직결궤도 시공방법
KR101044340B1 (ko) 보조 레일을 이용한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주행로 시공 장치
CN105270119A (zh) 可路面及轨道两用行走式行车机构
KR101019761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KR20220007214A (ko) 산악철도용 궤도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2099699U (zh) 弹性支撑隔振构件道床
WO2012128411A1 (ko)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조립식 직결궤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직결궤도를 이용한 콘크리트 직결궤도 부설방법
KR101025684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선형측정 장치
KR100910913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 방법
KR100910912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안내궤도 시공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시공 장치
JP2003239204A (ja) 鉄道車両車輪復線装置、及び鉄道車両車輪の復線方法
KR101034752B1 (ko) 안내 궤도가 설치되는 지지대용 거푸집
KR101416157B1 (ko) 교체가 용이한 3차원 입체형상의 궤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이 궤도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및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KR102249391B1 (ko) 고무차륜 agt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주행로 블록 시공 방법
KR101995202B1 (ko)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KR101272478B1 (ko)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분기기용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분기기 부설방법
JP6579454B2 (ja) 軌道、走行路形成部、及び軌道の敷設方法
KR20100047668A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바이브레이터
KR102202609B1 (ko) 고무차륜 경전철 분기기용 w형 후크를 구비한 가동안내판 구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