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856B1 -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856B1
KR101994856B1 KR1020170106802A KR20170106802A KR101994856B1 KR 101994856 B1 KR101994856 B1 KR 101994856B1 KR 1020170106802 A KR1020170106802 A KR 1020170106802A KR 20170106802 A KR20170106802 A KR 20170106802A KR 101994856 B1 KR101994856 B1 KR 101994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learning
word
associ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708A (ko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주)키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네스 filed Critical (주)키네스
Priority to KR102017010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1)에 있어서,
사용자가 학습하여 기억하고자 하는 다수 개의 학습단어(LV)를 디스플레이(D) 상의 입력기(DI) 또는 외부로부터 접속되는 기계식 문자입력기(CI)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게 하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단어(LV)를 임시저장하는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와 상기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에 입력되어 임시저장된 학습단어(LV)를 분석하고, 분석된 학습단어(LV)와 연계성이 깊은 연상이미지(I1)를 탐색하되, 탐색된 연상이미지(I1)를 연계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D)에 출력된 다수 개의 연상이미지(I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와 상기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상이미지(I1)와 학습단어(LV)를 매칭하여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생성시키는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300);와 상기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300)를 통해 생성된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장기기억으로 암기되도록 유도하는 기억유지툴(410)이 형성된 장기기억유도부(400); 및 상기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300), 장기기억유도부(400)를 제어하는 주제어부(500);로 구성되어,
학습단어(LV)와 연상이미지(I1)를 매칭하여 전환이미지(I2)를 생성하고, 전환이미지(I2)의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를 결합하여 하나의 구절로 이루어진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생성시킴으로서, 생성되는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으로 인해 학습단어(LV)가 장기적으로 기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이미 사용자의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거나 쉽게 저장될 수 있는 연상이미지(I1)를 선택하게 하여 학습단어(LV)를 단순 새로운 정보로서 기억되도록 하는 것이 아닌 이미 저장되어 있던 기억 속의 이미지에 대한 응용 및 추가 정도의 정보로서 두뇌에 빠르게 수용되도록 하여 학습단어(LV)를 장기기억으로 쉽게 유도한다는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학습단어(LV)를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Apparatus for learning word long term memory using image}
본 발명은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단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와 연계하여, 연상이미지의 연계단어와 학습단어가 결합된 전환이미지 및 장기기억유도문장을 생성,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전환이미지 및 장기기억유도문장으로 인해 학습해야 할 학습단어를 쉽게 장기기억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억에는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이 있다.
장기기억에는 추억 등을 기억하는 일화기억, 지식을 기억하는 의미기억 및 몸으로 외우고 있는 어떤 일의 순서에 대한 기억인 절차기억이 있다.
이러한 장기기억에서는, 의미기억보다는 일화기억 및 절차기억이 오래 기억된다.
이는, 일화기억은 대체로 감정이 동반되어 뇌에 더욱 강한 자극을 주기 때문이며, 절차기억은 사용되는 뇌의 영역이 넓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인간의 장기기억 영역의 특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장기기억으로 저장된 정보와 매칭하여 새로운 학습내용이 장기기억으로 빠르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8795호의 "그림을 이용하여 어휘를 암기하는 영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사용자 생성 단어 목록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림을 이용하여 어휘를 암기하는 영어 학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영어 단어에 대한 사전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가 연관되어 저장되는 제 1서버 저장부, 영어 단어, 한글 의미, 이미지, 사운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성 단어 목록이 저장되는 제 2서버 저장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영어 단어와 이에 대응되는 한글 의미의 목록이 전송되면 상기 각각의 영어 단어와 한글 의미에 대응되는 이미지 및 사운드를 상기 제 1서버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매칭하고, 상기 영어 단어, 한글 의미, 이미지, 사운드가 매칭된 사용자 생성 단어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제 2서버 저장부에 저장하는 매칭부 및 상기 사용자 생성 단어 목록을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어 학습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어 학습 장치는, 사용자 생성 단어 목록과 영어 단어 목록이 저장되고, 상기 영어 단어 목록은 영어 단어에 대한 사전 데이터와 이에 연관된 이미지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컬 저장부, 상기 서버 통신부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서버 저장부로부터 사용자 생성 단어 목록을 전송받아 로컬 저장부로 저장하는 로컬 통신부, 상기 로컬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생성 단어 목록과 영어 단어 목록 중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날짜에 배정된 영어 단어와 이에 대응되는 한글 의미 및 이미지를 로컬 저장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영어 단어, 한글 의미 및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집중 학습을 각 날짜별로 진행하는 집중 학습부를 포함하는 그림을 이용하여 어휘를 암기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592호의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복수의 캐릭터들, 복수의 외국어 단어들과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국어 문장들을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들과 연결된 복수의 모국어 말 풍선들 및 상기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과 연관된 상황을 묘사하는 복수의 상황 이미지들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이미지들은 특정 순서에 따라 스토리를 구성하는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을 포함하는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은 본 발명과는 학습할 대상을 용이하게 기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상이하며, 이는 곧, 각각 학습할 대상을 용이하게 기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상이하므로 서로 문제점을 해결하는 과정과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에 있어 차이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 1은 사용자가 학습해야 할 학습단어를 이미지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박물관"이라는 학습단어를 학습하고자 할 때, "박물관 이미지"를 제공하는 종래기술과 별반 상이할 게 없는 단순한 방식의 학습 시스템이다.
선행기술 2 또한, 선행기술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선행기술 1의 단순 확장된 기술로서 이미지에 다양하게 인쇄된 캐릭터에 대응되는 학습단어 및 상황을 묘사하여 이미지들의 특정 순서에 따라 스토리를 구성하는 학습 장치이다.
즉, 살펴본 바와 같이,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본 발명과는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유사하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와 본 발명으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를 해결하고 발휘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바탕으로 기술을 병합하더라도 단순 병합에 의해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방법 및 이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를 도출하기에는 기술의 한계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8795호 (2010.07.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592호 (2013.10.02.)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단어(LV)와,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연상이미지(I1)가 연계되어 생성되는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통해 학습단어(LV)를 장기적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학습단어(LV)의 성질을 분석하고 분석된 학습단어(LV)와 연계성이 깊은 연상이미지(I1)를 탐색하여, 사용자가 직접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상이미지(I1), 즉, 사용자의 경험이나 학습을 통해서 이미 습득된, 별도의 기억이 필요하지 않은 연상이미지(I1)를 선택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두뇌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단어(LV)를 새로운 정보로 받아들이지 않고 기존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정보의 응용 및 추가로 수용되도록 하여, 쉽게 장기기억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두뇌가 문자보다는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기억저장이 쉽게 이루어지는 점을 이용함으로서 학습단어(LV)가 이미 습득된 이미지의 일부로 기억되게 하여 쉽게 장기기억으로 전환되게 유도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학습하여 기억하고자 하는 다수 개의 학습단어를 디스플레이 상의 입력기 또는 외부로부터 접속되는 기계식 문자입력기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게 하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단어를 임시저장하는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
상기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에 입력되어 임시저장된 학습단어를 분석하고, 분석된 학습단어와 연계성이 깊은 연상이미지를 탐색하되, 탐색된 연상이미지를 연계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다수 개의 연상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
상기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상이미지와 학습단어를 매칭하여 전환이미지 및 장기기억유도문장을 생성시키는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
상기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를 통해 생성된 전환이미지 및 장기기억유도문장이 장기기억으로 저장되도록 유도하는 기억유지툴이 형성된 장기기억유도부;
상기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 장기기억유도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로 구성되어,
학습단어와 연상이미지를 매칭하여 전환이미지를 생성하고, 전환이미지의 연계단어와 학습단어를 결합하여 하나의 구절로 이루어진 장기기억유도문장을 생성시킴으로서, 생성되는 전환이미지 및 장기기억유도문장으로 인해 학습단어가 장기적으로 기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는,
사용자에 의해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에 입력되어 임시저장된 학습단어의 성질을 분석하는 학습단어성질분석부;
사용자에 의해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에 입력되어 임시저장된 학습단어의 총 개수를 추출하는 학습단어개수추출부;
학습단어와 연계될 연상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되, 어느 하나의 특정분야에 구속되지 않고 광범위한 분야의 연상이미지가 다수 개 저장되어 있는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학습단어성질분석부로부터 분석된 학습단어의 성질과 학습단어개수추출부로부터 추출된 학습단어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 개의 연상이미지 중 학습단어와 연계도가 깊은 연상이미지를 분석/추출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내림차순으로 연상이미지가 나열되도록 하는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
상기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를 통해 내림차순으로 나열된 다수 개의 연상이미지를 사용자가 기호에 맞게 직접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상이미지결정부;
상기 학습단어성질분석부, 학습단어개수추출부,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 연상이미지결정부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로 구성되어,
학습단어와 연계될 연상이미지를 분석하고, 연계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가 직접 학습단어와 연계될 연상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는,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를 확인하고, 선택된 연상이미지의 연계단어와 학습단어가 매칭되도록 연상이미지의 구역을 분석하여 확인하는 연상이미지확인부;
상기 연상이미지확인부로부터 구역이 분석된 연상이미지에 사용자가 입력한 학습단어가 연계되어 전환이미지로 출력되도록 하는 이미지전환부;
상기 이미지전환부에서 출력되는 전환이미지의 연계단어와 학습단어를 동시에 검색툴을 이용하여 검색하여, 연계단어와 학습단어가 결합된 장기기억유도문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문장연계검색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제 2문장연계검색데이터베이스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환이미지의 연계단어와 학습단어를 이용하여 각각 매칭된 연계단어와 학습단어가 결합된 하나의 구절로 이루어진 장기기억유도문장이 생성되도록 하는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
상기 이미지전환부에서 출력되는 전환이미지와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장기기억유도문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되게 하는 전환이미지학습단어출력부;
상기 연상이미지확인부, 이미지전환부, 제 2문장연계검색데이터베이스부,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 전환이미지학습단어출력부를 제어하는 제 2제어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연상이미지에 학습단어를 연계하여 전환이미지로 생성하고, 생성된 전환이미지의 연계단어와 학습단어를 이용하여 장기기억유도문장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학습단어(LV)를 학습/암기하고자 할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단어(LV)의 정보만으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I1)와 학습단어(LV)를 매칭시켜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학습단어(LV)를 장기적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학습단어(LV)의 성질을 분석하고 분석된 학습단어(LV)와 연계성이 깊은 연상이미지(I1)를 탐색하여, 사용자가 직접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상이미지(I1), 즉, 사용자의 경험이나 학습을 통해서 이미 습득된, 별도의 기억이 필요하지 않은 연상이미지(I1)를 선택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두뇌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단어(LV)를 새로운 정보로 받아들이지 않고 기존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정보의 응용 및 추가로 수용되도록 유도한다.
즉, 두뇌가 문자보다는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기억저장이 쉽게 이루어지는 점을 이용함으로서 학습단어(LV)가 이미지의 일부로 기억되도록 하여 장기기억으로 쉽게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학습/암기하고자 하는 학습단어(LV)를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통해 장기기억으로 유도하므로 기억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연계되어 출력되는 전환이미지(I2) 및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통해 학습단어(LV)에 대한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쉽게 전환되게 한다.
즉, 학습단어(LV)만으로는 단기기억은 가능하나 장기기억으로 전환되게 하기가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통해 장기기억으로 자연스럽게 전환되게 한다.
따라서, 학습시간의 단축과 학습스트레스를 줄여 새로운 정보나 학습내용을 학습하는데 두려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로 인한 반복적인 장기기억으로 인해 학습능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두뇌가 훈련되어 기억력 및 두뇌회전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연상이미지(I1)를 선택하게 하여, 자연스럽게 학습단어(LV)와의 연계로 연결되게 함으로서 연상이미지(I1)로부터 전환된 전환이미지(I2)가 쉽게 기억에 남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상이미지(I1)를 연상이미지확인부(310)에서 학습단어(LV)가 용이하게 매칭되도록 구역을 분리함으로서 연계단어(CV)와의 연계가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장기기억유도부(400)를 통해 학습단어(LV)가 놀이로서 기억될 수 있도록 유연한 학습환경을 조성하여 사용자의 학습능률을 제고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의 구성요소 중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의 구성요소 중 연상이미지결정부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의 구성요소 중 연상이미지확인부의 구역 분리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의 구성요소 중 연상이미지확인부의 연계단어와 일련번호의 추출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의 구성요소 중 이미지전환부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의 구성요소 중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장기기억유도문장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가 작동되는 순서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1)에 있어서,
사용자가 학습하여 기억하고자 하는 다수 개의 학습단어(LV)를 디스플레이(D) 상의 입력기(DI) 또는 외부로부터 접속되는 기계식 문자입력기(CI)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게 하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단어(LV)를 임시저장하는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
상기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에 입력되어 임시저장된 학습단어(LV)를 분석하고, 분석된 학습단어(LV)와 연계성이 깊은 연상이미지(I1)를 탐색하되, 탐색된 연상이미지(I1)를 연계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D)에 출력된 다수 개의 연상이미지(I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
상기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상이미지(I1)와 학습단어(LV)를 매칭하여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생성시키는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300);
상기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300)를 통해 생성된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장기기억으로 저장되도록 유도하는 기억유지툴(410)이 형성된 장기기억유도부(400);
상기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300), 장기기억유도부(400)를 제어하는 주제어부(500);로 구성되어,
학습단어(LV)와 연상이미지(I1)를 매칭하여 전환이미지(I2)를 생성하고, 전환이미지(I2)의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를 결합하여 하나의 구절로 이루어진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생성시킴으로서, 생성되는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으로 인해 학습단어(LV)가 장기적으로 기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상이미지(I1)가 선택되는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에 입력되어 임시저장된 학습단어(LV)의 성질을 분석하는 학습단어성질분석부(210);
사용자에 의해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에 입력되어 임시저장된 학습단어(LV)의 총 개수를 추출하는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상이미지(I1)가 저장되어 있되, 어느 하나의 특정분야에 구속되지 않고 광범위한 분야의 연상이미지(I1)가 다수 개 저장되어 있는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230);
상기 학습단어성질분석부(210)로부터 분석된 학습단어(LV)의 성질과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로부터 추출된 학습단어(LV)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 개의 연상이미지(I1) 중 학습단어(LV)와 연계도가 깊은 연상이미지(I1)를 분석/추출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내림차순으로 연상이미지(I1)가 나열되도록 하는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240);
상기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240)를 통해 내림차순으로 나열된 다수 개의 연상이미지(I1)를 사용자가 기호에 맞게 직접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상이미지결정부(250);
상기 학습단어성질분석부(210),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230),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240), 연상이미지결정부(250)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260);로 구성되어,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상이미지(I1)를 분석하고, 연계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가 직접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상이미지(I1)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학습단어성질분석부(210) 및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는 연상이미지나열부(240)로부터 내림차순으로 나열되는 연상이미지(I1)의 연계도를 판단/분석하는 기본 지표가 되되, 각각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에 입력된 학습단어(LV)가 서로 연관이 있는 단어인지 또는 단순 암기용 단어인지를 분석하고, 입력된 학습단어의 개수를 추출하여, 연상이미지(I1)의 연계도에 관여한다.
즉, 예를 들어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에 입력된 학습단어(LV)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학자 또는 위인"라는 공통성이 발견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기억 속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법한 과학자 또는 위인과 관련된 연상이미지(I1)를 우선순위로 탐색하여 연계도에 따라 나열되도록 한다.
또한,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2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 특정분야에 구속되지 않고 광범위한 분야의 연상이미지(I1), 즉, 예를 들어 캐릭터(character), 인물(human), 풍경(landscape) 등의 다양한 이미지가 저장되어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연상이미지(I1)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때,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230)에 다수 개 저장되어 있는 연상이미지(I1)는 사용자의 배경(나이, 지식, 직업 등)을 떠나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경험이나 학습을 통해서 이미 인지하고 있는 통상적인 이미지의 집합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연상이미지(I1)는 자의든 타의든 잠재적으로 사용자의 두뇌에 장기기억으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일부이므로 사용자가 선택한 연상이미지(I1)만을 별도로 기억하기 위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이미 사용자의 장기기억으로 저장된 연상이미지(I1)에 새로운 정보나 학습내용을 결합하여, 두뇌가 새로운 정보나 학습내용을 저장할 것인가 버릴 것인가를 두고 망설이지 않고 빠르게 장기기억으로 전환되게 함으로서, 학습단어(LV)를 장기적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새로운 정보나 학습내용을 연상이미지(I1)와 결합하여, 이미지에 대한 기억저장이 쉽게 이루어지는 두뇌의 특성을 이용, 학습단어(LV)가 이미지와 함께 장기기억으로 빠르게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I1)와 학습단어(LV)가 매칭되어 전환이미지(I2) 및 전환이미지(I2)의 정보를 기준으로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생성시키는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300)는,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I1)를 확인하고, 선택된 연상이미지(I1)의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매칭되도록 연상이미지(I1)의 구역을 분석하여 확인하는 연상이미지확인부(310);
상기 연상이미지확인부(310)로부터 구역이 분석된 연상이미지(I1)에 사용자가 입력한 학습단어(LV)가 연계되어 전환이미지(I2)로 출력되도록 하는 이미지전환부(320);
상기 이미지전환부(320)에서 출력되는 전환이미지(I2)의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를 동시에 검색툴(331)을 이용하여 검색하여,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문장연계검색데이터베이스부(330);
상기 제 2문장연계검색데이터베이스부(330)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환이미지(I2)의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를 이용하여 각각 매칭된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하나의 구절로 이루어진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생성되도록 하는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340);
상기 이미지전환부(320)에서 출력되는 전환이미지(I2)와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340)에서 생성되는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되게 하는 전환이미지학습단어출력부(350);
상기 연상이미지확인부(310), 이미지전환부(320), 제 2문장연계검색데이터베이스부(330),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340), 전환이미지학습단어출력부(350)를 제어하는 제 2제어부(36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연상이미지(I1)에 학습단어(LV)를 연계하여 전환이미지(I2)로 생성하고, 생성된 전환이미지(I2)의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를 이용하여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생성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I1)가 학습단어(LV)와의 매끄러운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된 연상이미지(I1)를 분석하는 연상이미지확인부(310)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I1)를 크게 3[구역]으로 나누되, 첫 번째 구역으로 결정하여 확인하고 구역을 분리하는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
상기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와 동일하되, 선택된 연상이미지(I1)의 두 번째 구역으로 결정하여 확인하고 구역을 분리하는 연상이미지제2구역확인부(312);
상기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 및 연상이미지제2구역확인부(312)와 동일하되, 선택된 연상이미지(I1)의 세 번째 구역을 확인하고 구역을 분리하는 연상이미지제3구역확인부(313);로 구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I1)를 크게 3[구역]으로 나누어 학습단어(LV)와의 매칭을 준비한다.
더하여서, 상기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는,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의 정보를 기반으로, 첫 번째 구역 내에서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계단어(CV)를 추출/확인하고, 추출된 연계단어(CV)를 개수로 일련번호를 적용하여 구역을 분리하는 제 1구역분리부(311a);로 구성되고,
연상이미지제2구역확인부(312)는,
상기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와 마찬가지로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의 정보를 기반으로, 두 번째 구역 내에서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계단어(CV)를 추출/확인하고, 추출된 연계단어(CV)를 개수로 일련번호를 적용하되, 제 1구역분리부(311a)에서 적용된 일련번호의 다음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구역을 분리하는 제 2구역분리부(312a);로 구성되며,
연상이미지제3구역확인부(313)는,
상기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 및 연상이미지제2구역확인부(312)와 마찬가지로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의 정보를 기반으로, 세 번째 구역 내에서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계단어(CV)를 추출/확인하고, 추출된 연계단어(CV)를 개수로 일련번호를 적용하되, 제 2구역분리부(312a)에서 적용된 일련번호의 다음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구역을 분리하는 제 3구역분리부(313a);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연상이미지(I1)가 학습단어(LV)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연상이미지(I1) 내의 구역을 분리한다.
즉, 본 발명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상이미지(I1)는 사용자가 한 번에 인지할 수 있도록 크게 3[구역]으로 구성되고, 그 각각의 구성된 구역을 다시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의 정보를 바탕으로 연계단어(CV)에 일련번호가 적용되어 체계적으로 분리된다.
한편, 본 발명에 도시된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단어(LV)가 10[개]일 경우를 실시 예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를 예를 들어 학습단어(LV) 10[개]에 대해 사용자가 "이순신장군"이라는 타이틀을 가진 연상이미지(I1)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이순신장군"이라는 연상이미지(I1) 내에서 다시 "이순신장군", "무기", "거북선"으로 크게 3[구역]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3[구역]에서 1[구역]당 다시 3[부분]으로 나누어 1[구역]당 학습단어(LV) 3[개]가 매칭될 수 있도록 분리되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I)의 타이틀(이순신장군)과 학습단어(LV) 1[개],
제 1구역분리부(311a)를 통해 ① 내지 ③, 3[부분]으로 분리된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와 학습단어(LV) 3[개],
제 2구역분리부(312a)를 통해 ④ 내지 ⑥, 3[부분]으로 분리된 연상이미지제2구역확인부(312)와 학습단어(LV) 3[개],
제 3구역분리부(313a)를 통해 ⑦ 내지 ⑨, 3[부분]으로 분리된 연상이미지제3구역확인부(313)와 학습단어(LV) 3[개]가 연계되어 장기기억을 위한 전환이미지(I2) 및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생성한다.
도 8은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되어 생성된 장기기억유도문장(S)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단어(LV)를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통해 장기기억으로 쉽게 전환되도록 한다.
한편, 장기기억유도부(400)의 기억유지툴(410)은,
전환이미지(I2)를 이용하여 학습단어(LV) 또는 학습단어(LV)와 연계된 연계단어(CV)를 공란으로 하여 공란을 채워넣는 빈칸채우기부(411);, 전환이미지(I2)를 일정크기로 쪼개어 불규칙하게 섞은 후, 이를 원상태의 전환이미지(I2)로 되돌리는 이미지조각맞추기부(412); 및 연상이미지결정부(250)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지 못한 연상이미지(I1)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학습단어(LV)와 연계된 또 다른 전환이미지(I2')를 사용자에게 출력시켜, 학습단어(LV) 1[개]에 연계단어(CV) 2[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2[개]의 연계단어(CV)로 학습단어(LV)를 추적하여 기억해낼 수 있도록 이중으로 기억되게 하는 복수이미지제시부(413);로 구성되어 놀이로서 사용자가 학습단어(LV)를 장기기억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상기 복수이미지제시부(413)는 사용자에게 또 다른 전환이미지(I2') 및 또 다른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제공함으로서, 1[개]의 학습단어(LV)에 학습단어(LV)와 연계된 연계단어(CV) 및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2[개]로 늘려, 두뇌를 자극시켜 두뇌의 기억 스펙트럼을 확장되게 하여 학습단어(LV)가 장기기억으로 모두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이 작동되는 순서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간단한 개인정보(이름, 성별, 나이 등)를 입력하여 로그인 하고,(◀로그인단계, S100)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단어(LV)를 입력하여,(◀학습단어입력단계, S200)
본 발명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학습단어(LV)의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하는 연상이미지(I1)를 자신의 기호에 따라 선택하도록 한다.(◀연상이미지선택단계, S300)
이때, 상기 연상이미지선택단계(S300)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I1)는 본 발명에 의해 전환이미지(I2)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출력되며,(◀전환이미지출력단계, S400)
상기 전환이미지출력단계(S400)에서 출력된 전환이미지(I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사용자에게 출력하여(◀장기기억유도문장출력단계, S500), 사용자가 학습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학습단어(LV)와 연상이미지(I1)가 매칭되어 전환된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만을 사용자가 필요 시 확인할 수 있도록 개인 휴대용 단말기(M)에 송신하여 장소의 제한 없이 전환이미지(I2)를 이용하여 학습단어(LV)를 암기하도록 하는 휴대용단말기연동부(A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정기간 장기기억유도부(400)로부터 획득한 스코어(score) 중 가장 최근에 획득한 스코어(score)가 일정범위 이하일 때, 기존의 전환이미지(I2)에서 새로운 또 다른 전환이미지(I2')로 변경될 수 있도록 알림을 통해 새로운 연상이미지(I1')를 권장하는 전환이미지변경부(A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전환이미지(I2)가 사용자에게 일정기간 노출됐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획득한 스코어(score)가 일정범위 이하이므로, 사용자가 처음 선택한 연상이미지(I1)가 사용자의 장기기억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데는 학습단어(LV)와의 연계가 부적합하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연상이미지(I1')의 선택을 권장함으로서 사용자가 학습단어(LV)를 쉽고 용이하게 암기하여 장기기억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황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함이다.
또한,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340)로부터 생성되는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전에, 결합된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의 이질감을 최소화하도록 문장의 자연도를 측정하여, 최대한 자연스러운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생성되도록 하는 장기기억유도문장자연도측정부(A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자연도"로 함은, 국어사전 및 웹사이트를 통해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이미 자연스럽게 연계되어 결합되어 있는 정도를 말하며, 만약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의 자연도가 낮을 경우에는 장기기억유도문장자연도측정부(A3)를 통해 최대한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 사이에 이질감이 형성되지 않는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빈번하게 선택하는 연상이미지(I1)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고 저장하여,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240)로부터 나열되는 연상이미지(I1)를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높았던 분야(캐릭터, 사람, 풍경 등)부터 먼저 확인될 수 있도록 나열되게 하는 연상이미지선택패턴분석부(A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리하여, 본 발명은 두뇌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일 때, 문자보다는 이미지로서 우뇌에 저장되는 것이 장기기억으로 이어진다는 학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단어(LV)만을 입력받아, 연상이미지(I1)를 선택하게 한 후, 장기기억으로 유도하는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시킨다.
따라서, 학습단어(LV)의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쉽게 전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학습능률 및 두뇌발달을 향상시킨다.
참고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연계도"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단어(LV)와 연상이미지(I1)의 관련도, 즉, 학습단어(LV)와 용이하게 매칭될 연상이미지(I1)의 관계를 말하며,
이때, 연계도는 function(학습단어의 성질, 학습단어의 개수, 사용자의 정보)로 이루어진다.(연계도=f(LV 성질, LV 개수, 사용자 정보))
또한, "검색툴(331)"은 인터넷의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되는 문장을 광범위하게 검색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정의되며,
"자연도"는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국어사전 및 웹사이트를 통해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이미 자연스럽게 연계되어 결합되어 있는 정도로 정의되고, 이때 자연도의 고저(高低)는 인접검색(NEAR)을 이용하여 "NEAR((CV, LV), 3, TRUE)" 이하는 자연도의 고(高), "NEAR((CV, LV), 4, TRUE) 내지 NEAR((CV, LV), 5, TRUE)"는 자연도의 보통(普通), "NEAR((CV, LV), 6, TRUE)" 이상은 자연도의 저(低)로 판단하여, 최대한 사용자에게 자연도가 높거나 보통인 것으로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상이미지(I1)가 학습단어(LV)와 매칭되어 전환이미지(I2)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연상이미지(I1)의 구역을 크게 3[구역]으로 나누는 이유는,
일상생활 또는 자연환경에서 무의식적으로 오랜 기간의 경험으로 축적된 "3의 법칙(The rule of 3)"을 이용한 것으로, 두뇌에 가장 안정적이고 이상적인 학습환경이 구축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상이미지(I1)를 설명함에 있어 연계도가 "깊다"는 것은 연계도가 "높다"는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는 이를 제작하는 제작업 및 판매업,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이를 관리하고 개발하는 관리업 및 콘텐츠 개발업,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기관 및 스스로 학습을 주도하는 개인에게의 보급 등 다양한 제조 및 교육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100: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 200: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
210: 학습단어성질분석부 220: 학습단어개수추출부
230: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 240: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
250: 연상이미지결정부 260: 제 1제어부
300: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 310: 연상이미지확인부
311: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 311a: 제 1구역분리부
312: 연상이미지제2구역확인부 312a: 제 2구역분리부
313: 연상이미지제3구역확인부 313a: 제 3구역분리부
320: 이미지전환부 330: 제 2문장연계검색데이터베이스부
331: 검색툴 340: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
350: 전환이미지학습단어출력부 360: 제 2제어부
400: 장기기억유도부 410: 기억유지툴
411: 빈칸채우기부 412: 이미지조각맞추기부
413: 복수이미지제시부 500: 주제어부
S100: 로그인단계 S200:학습단어입력단계
S300:연상이미지선택단계 S400;전환이미지출력단계
S500: 장기기억유도문장출력단계
A1:휴대용단말기연동부 A2:전환이미지변경부
A3:장기기억유도문장자연도측정부 A4:연상이미지선택패턴분석부
D: 디스플레이 I1: 연상이미지
I1': 새로운 연상이미지 I2: 전환이미지
I2': 또 다른 전환이미지 M: 개인 휴대용 단말기
S: 장기기억유도문장 S': 또 다른 장기기억유도문장
CI: 기계식 문자입력기 CV: 연계단어
DI: 입력기 LV: 학습단어

Claims (3)

  1. 사용자가 학습하여 기억하고자 하는 다수 개의 학습단어(LV)를 디스플레이(D) 상의 입력기(DI) 또는 외부로부터 접속되는 기계식 문자입력기(CI)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게 하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단어(LV)를 임시저장하는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
    상기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에 입력되어 임시저장된 학습단어(LV)를 분석하고, 분석된 학습단어(LV)와 연계성이 깊은 연상이미지(I1)를 탐색하되, 탐색된 연상이미지(I1)를 연계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D)에 출력된 다수 개의 연상이미지(I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
    상기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상이미지(I1)와 학습단어(LV)를 매칭하여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생성시키는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300),
    상기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300)를 통해 생성된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장기기억으로 저장되도록 유도하는 기억유지툴(410)이 형성된 장기기억유도부(400),
    상기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300), 장기기억유도부(400)를 제어하는 주제어부(500),
    학습단어(LV)와 연상이미지(I1)가 매칭되어 전환된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만을 사용자가 필요 시 확인할 수 있도록 개인 휴대용 단말기(M)에 송신, 장소의 제한 없이 전환이미지(I2)를 이용하여 학습단어(LV)를 암기하도록 하는 휴대용단말기연동부(A1);로 구성되어,
    학습단어(LV)와 연상이미지(I1)를 매칭하여 전환이미지(I2)를 생성하고, 전환이미지(I2)의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를 결합하여 하나의 구절로 이루어진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생성시킴으로서, 생성되는 전환이미지(I2) 및 장기기억유도문장(S)으로 인해 학습단어(LV)가 장기적으로 기억되게 하는,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1)에 있어서,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에 입력되어 임시저장된 학습단어(LV)의 성질을 분석하는 학습단어성질분석부(210);
    사용자에 의해 학습단어입력임시저장부(100)에 입력되어 임시저장된 학습단어(LV)의 총 개수를 추출하는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상이미지(I1)가 저장되어 있되, 어느 하나의 특정분야에 구속되지 않고 광범위한 분야의 연상이미지(I1)가 다수 개 저장되어 있는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230);
    상기 학습단어성질분석부(210)로부터 분석된 학습단어(LV)의 성질과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로부터 추출된 학습단어(LV)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 개의 연상이미지(I1) 중 학습단어(LV)와 연계도가 깊은 연상이미지(I1)를 분석, 추출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내림차순으로 연상이미지(I1)가 나열되도록 하는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240);
    상기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240)를 통해 내림차순으로 나열된 다수 개의 연상이미지(I1)를 사용자가 기호에 맞게 직접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상이미지결정부(250);
    상기 학습단어성질분석부(210),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 제 1연상이미지데이터베이스부(230),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240), 연상이미지결정부(250)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260);
    사용자가 빈번하게 선택하는 연상이미지(I1)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고 저장하여, 연상이미지분석나열부(240)로부터 나열되는 연상이미지(I1)를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높았던 분야부터 먼저 확인될 수 있도록 나열되게 하는 연상이미지선택패턴분석부(A4);로 구성되어,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상이미지(I1)를 분석하고, 연계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가 직접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상이미지(I1)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연상이미지전환학습단어매칭부(300)는,
    연상이미지탐색선택부(200)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I1)를 확인하고, 선택된 연상이미지(I1)의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매칭되도록 연상이미지(I1)의 구역을 분석하여 확인하는 연상이미지확인부(310);
    상기 연상이미지확인부(310)로부터 구역이 분석된 연상이미지(I1)에 사용자가 입력한 학습단어(LV)가 연계되어 전환이미지(I2)로 출력되도록 하는 이미지전환부(320);
    상기 이미지전환부(320)에서 출력되는 전환이미지(I2)의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를 동시에 검색툴(331)을 이용하여 검색하여,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문장연계검색데이터베이스부(330);
    상기 제 2문장연계검색데이터베이스부(330)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환이미지(I2)의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를 이용하여 각각 매칭된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하나의 구절로 이루어진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생성되도록 하는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340);
    상기 이미지전환부(320)에서 출력되는 전환이미지(I2)와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340)에서 생성되는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되게 하는 전환이미지학습단어출력부(350);
    상기 연상이미지확인부(310), 이미지전환부(320), 제 2문장연계검색데이터베이스부(330),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340), 전환이미지학습단어출력부(350)를 제어하는 제 2제어부(360);
    장기기억유도문장생성부(340)로부터 생성되는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전에, 결합된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의 이질감을 최소화하도록 문장의 자연도를 측정하여, 최대한 자연스러운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생성되도록 하는 장기기억유도문장자연도측정부(A3);로 구성되되,
    연상이미지확인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I1)를 크게 3[구역]으로 나누되, 첫 번째 구역으로 결정하여 확인하고 구역을 분리하는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
    상기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와 동일하되, 선택된 연상이미지(I1)의 두 번째 구역으로 결정하여 확인하고 구역을 분리하는 연상이미지제2구역확인부(312);
    상기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 및 연상이미지제2구역확인부(312)와 동일하되, 선택된 연상이미지(I1)의 세 번째 구역을 확인하고 구역을 분리하는 연상이미지제3구역확인부(313);로 구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상이미지(I1)를 크게 3[구역]으로 나누어 학습단어(LV)와의 매칭을 준비하고,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는,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의 정보를 기반으로, 첫 번째 구역 내에서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계단어(CV)를 추출, 확인하고, 추출된 연계단어(CV)를 개수로 일련번호를 적용하여 구역을 분리하는 제 1구역분리부(311a);로 구성되고,
    연상이미지제2구역확인부(312)는,
    상기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와 마찬가지로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의 정보를 기반으로, 두 번째 구역 내에서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계단어(CV)를 추출, 확인하고, 추출된 연계단어(CV)를 개수로 일련번호를 적용하되, 제 1구역분리부(311a)에서 적용된 일련번호의 다음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구역을 분리하는 제 2구역분리부(312a);로 구성되고,
    연상이미지제3구역확인부(313)는,
    상기 연상이미지제1구역확인부(311) 및 연상이미지제2구역확인부(312)와 마찬가지로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의 정보를 기반으로, 세 번째 구역 내에서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계단어(CV)를 추출, 확인하고, 추출된 연계단어(CV)를 개수로 일련번호를 적용하되, 제 2구역분리부(312a)에서 적용된 일련번호의 다음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구역을 분리하는 제 3구역분리부(313a);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연상이미지(I1)가 학습단어(LV)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연상이미지(I1) 내의 구역을 분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학습단어(LV)와 연계될 연상이미지(I1)는 사용자가 한 번에 인지할 수 있도록 크게 3[구역]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그 각각의 구성된 구역을 다시 학습단어개수추출부(220)의 정보를 바탕으로 연계단어(CV)에 일련번호가 적용되어 체계적으로 분리함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연상이미지(I1)에 학습단어(LV)를 연계하여 전환이미지(I2)로 생성하고, 생성된 전환이미지(I2)의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를 이용하여 장기기억유도문장(S)이 생성되도록 하고,
    장기기억유도부(400)의 기억유지툴(410)은,
    전환이미지(I2)를 이용하여 학습단어(LV) 또는 학습단어(LV)와 연계된 연계단어(CV)를 공란으로 하여 공란을 채워넣는 빈칸채우기부(411);
    전환이미지(I2)를 일정크기로 쪼개어 불규칙하게 섞은 후, 이를 원상태의 전환이미지(I2)로 되돌리는 이미지조각맞추기부(412);
    연상이미지결정부(250)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지 못한 연상이미지(I1)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학습단어(LV)와 연계된 또 다른 전환이미지(I2')를 사용자에게 출력시켜, 학습단어(LV) 1[개]에 연계단어(CV) 2[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2[개]의 연계단어(CV)로 학습단어(LV)를 추적하여 기억해낼 수 있도록 이중으로 기억되게 하는 복수이미지제시부(413);로 구성되어,
    놀이로서 사용자가 학습단어(LV)를 장기기억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때, 상기 복수이미지제시부(413)는 사용자에게 또 다른 전환이미지(I2') 및 또 다른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제공함으로서, 1[개]의 학습단어(LV)에 학습단어(LV)와 연계된 연계단어(CV) 및 연계단어(CV)와 학습단어(LV)가 결합된 장기기억유도문장(S)을 2[개]로 늘려, 두뇌를 자극시켜 두뇌의 기억 스펙트럼을 확장되게 하여 학습단어(LV)가 장기기억으로 모두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장기기억유도부(400)에, 일정기간 장기기억유도부(400)로부터 획득한 스코어(score) 중 가장 최근에 획득한 스코어(score)가 일정범위 이하일 때, 기존의 전환이미지(I2)에서 새로운 또 다른 전환이미지(I2')로 변경될 수 있도록 알림을 통해 새로운 연상이미지(I1')를 권장하는 전환이미지변경부(A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환이미지(I2)가 사용자에게 일정기간 노출됐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획득한 스코어(score)가 일정범위 이하이므로, 사용자가 처음 선택한 연상이미지(I1)가 사용자의 장기기억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데는 학습단어(LV)와의 연계가 부적합하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연상이미지(I1')의 선택을 권장함으로서 사용자가 학습단어(LV)를 쉽고 용이하게 암기하여 장기기억으로 유도되도록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106802A 2017-08-23 2017-08-23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KR101994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802A KR101994856B1 (ko) 2017-08-23 2017-08-23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802A KR101994856B1 (ko) 2017-08-23 2017-08-23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708A KR20190021708A (ko) 2019-03-06
KR101994856B1 true KR101994856B1 (ko) 2019-07-01

Family

ID=6576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802A KR101994856B1 (ko) 2017-08-23 2017-08-23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9216A (zh) * 2019-07-11 2019-10-25 宝云 一种小学生用英语语言学习系统
CN114495598A (zh) * 2022-01-24 2022-05-13 好家长(北京)教育科技有限公司 千字文标钉图片式钉桩记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751B1 (ko) * 2009-01-06 2009-08-10 윤민수 단어학습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95B1 (ko) 2009-08-28 2010-07-21 (주)위버스마인드 그림을 이용하여 어휘를 암기하는 영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KR101077207B1 (ko) * 2010-03-17 2011-10-27 (주)윤디자인연구소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30107592A (ko) 2012-03-22 2013-10-02 주식회사 유니온앤이씨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751B1 (ko) * 2009-01-06 2009-08-10 윤민수 단어학습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708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49786B (zh) 基于深度问答的答案检索方法及装置
KR101148790B1 (ko) 외국어 문장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JP2015201185A (ja) 講義ビデオのトピックスを特定する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08920450B (zh) 一种基于电子设备的知识点复习方法及电子设备
CN110796911A (zh) 一种自动产生测试题目的语言学习系统及其语言学习方法
JP6626917B2 (ja) 英語の音節計算法に基づいた可読性評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994856B1 (ko)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Hafit et al. Malaysian sign language mobile learning application: A recommendation app to communicate with hearing-impaired communities
KR102146433B1 (ko) 연상기억법을 이용한 문맥 기반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JP6846666B2 (ja) 翻訳文生成方法、翻訳文生成装置及び翻訳文生成プログラム
JP2017182646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506757B1 (ko) 자연어로 된 본문의 명확한 모델을 형성하는 방법
CN112567440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20180130743A (ko)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JP5877775B2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2098377B1 (ko) 퍼즐 게임으로 어순을 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12376A (ko) 마인드맵 한자 학습 방법
Nakatsuhara et al. Use of innovative technology in oral language assessment
Myasoedova et al. Multimedia technologies to teach Sign Language in a written form
JP2021096395A (ja) 文法学習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データ検索方法、及び検索プログラム
JP7415520B2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31518B2 (ja) 電子機器、発音学習方法、サーバ装置、発音学習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98283B1 (ko) 언어 학습을 위한 자료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21340B1 (ko) 어학문제의 답안추천 시스템 및 방법
Chu Information seeking and retrieval in English as a Non-Native langu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