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592A -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 - Google Patents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592A
KR20130107592A KR1020120029499A KR20120029499A KR20130107592A KR 20130107592 A KR20130107592 A KR 20130107592A KR 1020120029499 A KR1020120029499 A KR 1020120029499A KR 20120029499 A KR20120029499 A KR 20120029499A KR 20130107592 A KR20130107592 A KR 20130107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language
words
learning
language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충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앤이씨
윤충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앤이씨, 윤충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앤이씨
Priority to KR102012002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7592A/ko
Publication of KR2013010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는, 복수의 캐릭터들; 복수의 외국어 단어들과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국어 문장들을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들과 연결된 복수의 모국어 말 풍선들; 및 상기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과 연관된 상황을 묘사하는 복수의 상황 이미지들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이미지들은 특정 순서에 따라 스토리를 구성하는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Foreign language study material and apparatus using character and image}
본 발명은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릭터를 이용하여 외국어 단어의 뜻과 연관된 상황을 묘사하고 특정 순서에 따라 스토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황 이미지들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상황 이미지와 외국어 단어를 매치시켜 연상학습을 할 수 있어서, 교사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외국어 학습이 가능하고 외국어를 빠르고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는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영어 학습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지만, 영어 학습을 원하는 학생 및 직장인들은 영어 학습 이외에도 다른 많은 학습량이나 업무량 또는 바쁜 일상생활 등 시간과 장소의 제약으로 인하여 영어를 학습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뿐만 아니라 각종 영어 학습 방식(예컨대, 방송 강의 시청, 학원 수강, 교재 학습 등)에 대하여 언제나 그 학습 효율성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영어뿐만 아니라 일어, 중국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 각종 외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급증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외국어 학습 교재나 학습 방법에 따르면, 외국어의 실제 활용이나 회화 위주의 학습이 아니라, 단순히 어휘나 문법 위주의 단순 암기 학습만이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르면, 학습자는 여전히 모국어의 어순대로 사고를 하게 되기 때문에, 외국어 문장을 말하고자 할 때에는 모국어 문장을 먼저 떠올리고, 머리 속에서 어휘와 문법을 동원하여 외국어 문장을 생성한 다음, 외국어 문장을 말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외국어 학습 교재나 학습 방법에 따르면, 외국어의 어휘나 문법에는 능통하지만, 외국어의 어순대로 사고가 불가능하여, 생각나는대로 자연스럽게 대화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릭터를 이용하여 외국어 단어의 뜻과 연관된 상황을 묘사하고 특정 순서에 따라 스토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황 이미지들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상황 이미지와 외국어 단어를 매치시켜 연상학습을 할 수 있어서, 교사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외국어 학습이 가능하고 외국어를 빠르고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는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는, 복수의 캐릭터들; 복수의 외국어 단어들과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국어 문장들을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들과 연결된 복수의 모국어 말 풍선들; 및 상기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과 연관된 상황을 묘사하는 복수의 상황 이미지들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이미지들은 특정 순서에 따라 스토리를 구성하는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국어 학습 교재는, 상기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에 도시된 캐릭터들 및 상황 이미지들을 도시하되, 상기 모국어 말 풍선들 대신 상기 외국어 단어들만을 도시하는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
상기 외국어 학습 교재는,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하여 외국어 문장들의 구성을 학습하는 문장 구성 학습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장 구성 학습면은,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 중 외국어 어순 상 첫 번째 단어부터 하나 이상의 단어들을 첫 번째 열에 표시하고, 다음 열부터는 이전 열에 표시되었던 단어들을 포함하되 이전 열에 표시되었던 단어들의 외국어 어순 상 후속 단어들을 하나 이상 표시하며, 최종 열에는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 모두를 표시하여,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할 수 있다.
상기 문장 구성 학습면은, 상기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과 함께 표기할 수 있다.
상기 외국어 학습 교재는, 상기 외국어 단어들을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 및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과 연결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에 대한 이해를 테스트하는 라인 게임 테스트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국어 학습 교재는, 상기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에 도시된 사물들에 해당하는 단어들 중 모국어 말 풍선들에 포함되지 않았던 추가 단어들을 학습하는 추가 단어 학습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국어 학습 교재는, 상기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에 도시된 외국어 단어들의 용법을 학습하는 단어 용법 학습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국어 학습 교재는, 상기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에 도시된 캐릭터들 및 상황 이미지들을 도시하되, 상기 모국어 말 풍선들 대신, 외국어 단어들과 해당 외국어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들과 연결된 외국어 말 풍선들을 도시하는 외국어 이미지 매핑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는, 복수의 캐릭터들; 복수의 외국어 단어들과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국어 문장들을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들과 연결된 복수의 모국어 말 풍선들; 및 상기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과 연관된 상황을 묘사하는 복수의 상황 이미지들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이미지들은 특정 순서에 따라 스토리를 구성하는 모국어 이미지 매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하여 외국어 문장들의 구성을 학습하는 문장 구성 학습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장 구성 학습 화면에서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 중 외국어 어순 상 첫 번째 단어부터 하나 이상의 단어들을 첫 번째 열에 표시하고, 다음 열부터는 이전 열에 표시되었던 단어들을 포함하되 이전 열에 표시되었던 단어들의 외국어 어순 상 후속 단어들을 하나 이상 표시하며, 최종 열에는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 모두를 표시하여,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장 구성 학습 화면에서 상기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학습한 외국어 문장들에 포함된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이 나열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외국어 학습 교재는, 표시된 상기 단어 이미지들에 대응한 단어들을 조합하여 완성된 문장을 읽는 학습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학습자의 발음을 평가하는 발음 연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국어 학습 교재는, 상기 발음 연습부에서의 학습결과를 저장하여 상기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학습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캐릭터를 이용하여 외국어 단어의 뜻과 연관된 상황을 묘사하고 특정 순서에 따라 스토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황 이미지들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상황 이미지와 외국어 단어를 매치시켜 연상학습을 할 수 있어서, 교사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외국어 학습이 가능하고 외국어를 빠르고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는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는, 외국어 단어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하여 외국어 문장의 구성을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외국어의 어순대로 외국어 문장을 익혀 외국어의 어순대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문장 구성 학습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라인 게임 테스트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추가 단어 학습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단어 용법 학습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외국어 이미지 매핑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마무리 학습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의 표시부의 발음 연습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영어를 외국어로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를 들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나타낸 것이며, 어느 특정 국가의 사람이 자국의 언어를 모국어로 하고 타국의 언어를 배우는 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은 표제부(101), 캐릭터(102), 모국어 말 풍선(105) 및 상황 이미지(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은 복수의 캐릭터들, 복수의 모국어 말 풍선들 및 복수의 상황 이미지들을 포함하지만, 하나의 상황 이미지(106)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1에 도시된 요소들은 모든 요소가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요소가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표제부(101)는 해당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의 주제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표제부(101)에 "박물관은... 살아있다."라고 기재되어 있어,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의 주제가 박물관과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캐릭터(102)는 상황 이미지(106) 및 복수의 상황 이미지들이 연결된 스토리의 주체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캐릭터(102)가 콩을 의인화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학습자들은 친근감 있게 의인화된 캐릭터(102)와 연관된 상황 이미지(105)를 통해 외국어 단어(103)를 학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릭터(102)는 사람, 의인화된 동식물 등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모국어 말 풍선(105)은 외국어 단어(103)와 외국어 단어(103)의 뜻에 대응하는 모국어 문장(104)을 포함하고 캐릭터(102)와 연결되어 있어, 캐릭터(102)가 말하는 대사를 나타낸다.
상황 이미지(106)는 캐릭터(102)를 이용하여 외국어 단어(103)의 뜻과 연관된 상황을 묘사한다. 학습자는 모국어 말 풍선(105) 및 상황 이미지(106)를 통하여 외국어 단어(103)의 의미 및 용법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의 상황 이미지들은 특정 순서에 따라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각 상황 이미지마다 번호(107)가 기재되어 있으며, 번호 순서에 따라 스토리가 구성된다. 학습자는 이러한 상황 이미지들을 보면서, 번호 순서를 따라가면서 전체적인 맵을 머리 속에 그리게 된다. 즉, 1. 이 곳은 박물관(museum)이래?, 2. 나에게 자유를 달라(give)!, 3. 공룡 뼈(skeleton)가 분명히 움직였다니까? ... 와 같이 모국어 말 풍선의 문장들을 연결하여 스토리를 만들고, 이 것이 뇌 내에서 감정, 감성과 결합하여 기억에 도움을 주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200)은 도 1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에 도시된 캐릭터(102) 및 상황 이미지(106)를 도시하되, 모국어 말 풍선(105) 대신 외국어 단어(201)만을 도시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200)에서는 상황 이미지들의 공간에 앞으로 학습하게 될 중심 단어인 외국어 단어들 즉, 키워드들이 순서대로 배치가 된다. 학습자는 이 키워드들을 순서대로 따라가면서 도 1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에서 구성하였던 스토리와 매핑을 하게 되고, 학습자는 키워드만 기억하면면 상황이 인지되고 문장이 떠오르게 된다.
학습자는 이때 위치와 상황을 상황 이미지에 연결하고 스토리와 함께 기억하게 된다. 사람의 해마에는 장소라는 추상적인 개념에 반응하는 장소뉴런이 있다. 어떤 장소에만 있으면 그 장소에 대응하는 장소뉴런이 활동을 시작한다. 시각장애자에게도 장소뉴런은 있다. 그래서 눈이 보이지 않아도 어디에 책상이 있고 어디에 침대가 있고 어디가 출입구인지 파악하고 있다. 해마의 장소뉴런은 눈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을 통합적으로 사용해 장소를 판단한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 이미지들의 위치와 상황을 상황 이미지에 연결하고 스토리와 함께 기억하게 되면, 해마가 자극되어 더욱 빠르게 장기 기억으로 갈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특정 위치의 상황 이미지들 및 키워드들을 보면서 도 1에 도시된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에서 구성하였던 스토리를 다시 떠올리게 되면서, 키워드들이 장기 기억으로 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문장 구성 학습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문장 구성 학습면(300)에서는, 도 1 및 도 2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 및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200)에서 학습하였던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하여 외국어 문장들의 구성을 학습한다. 도 3의 문장 구성 학습면(300)의 좌측에는 먼저 도 1 및 도 2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 및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200)에서 학습하였던 외국어 단어(301)가 먼저 기재되고, 그 옆에는 단어의 발음(302)과 뜻(303) 그리고 해당 외국어 단어(301)를 이용한 문장(304)이 기재된다. 그리고 그 바로 밑의 영역(305)에는 상기 외국어 단어(301)를 이용한 문장(304)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하여 외국어 문장들의 구성을 학습할 수 있다.
이 때, 외국어 단어(301)를 이용한 외국어 문장(304)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한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국어 단어(301)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304)을 구성하는 단어들 중 외국어 어순 상 첫 번째 단어부터 하나 이상의 단어들을 첫 번째 열에 표시하고, 다음 열부터는 이전 열에 표시되었던 단어들을 포함하되 이전 열에 표시되었던 단어들의 외국어 어순 상 후속 단어들을 하나 이상 표시하며, 최종 열에는 외국어 단어(301)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304)을 구성하는 단어들 모두를 표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첫 번째 열에 외국어 문장의 첫 번째 단어인 So 를 표시하고, 두 번째 열에 첫 번째 단어인 So 를 포함한 So, this, is 를 두 번째 열에 표시하며, 최종 열인 세 번째 열에 So, this, is, a, museum 모두를 표시한다.
또한, 외국어 문장(304)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과 함께 표기할 수 있으며, 단어 이미지는 도 1 및 도 2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 및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200)에서 이용되었던 캐릭터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this'는 도 1 및 도 2에서 이용되었던 캐릭터인 콩이 바로 앞의 사물을 가리키고 있어서 'this'는 '이 것' 또는 '이 곳'이라는 뜻을 가짐을 학습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단어 이미지는 학습자의 머리 속에서 해당 단어의 뜻과 결합되어 학습자가 해당 단어의 뜻을 기억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영역(305)의 바로 옆의 영역(306)에는 도 1 및 도 2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 및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200)에서 도시되었던 상황 이미지로서, 상기 외국어 단어(301)를 이용한 문장(304)과 관련된 상황 이미지를 도시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학습자는 문장 구성 학습면(300)에서 외국어 단어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하여 외국어 문장의 구성을 학습함으로써, 외국어의 어순대로 외국어 문장을 익혀 외국어의 어순대로 사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학습자는 문장 구성 학습면(300)에 도시된 단어 이미지 및 상황 이미지를 보면서 해당 문장 구성을 학습하게 되므로, 단어 이미지 및 상황 이미지가 학습자의 머리 속에서 각인되어 학습자는 문장 구성 및 문장에 포함된 단어들을 더욱 오래 기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라인 게임 테스트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라인 게임 테스트면(400)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200) 및 문장 구성 학습면(300)에서 학습하였던 외국어 단어들(401)을 외국어 단어들(401)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402) 및 외국어 단어들의 뜻(403)과 연결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에 대한 이해를 테스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학습하였던 외국어 단어들(401)에 대해 재미있게 복습을 수행하여 한 번 더 기억을 굳힐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추가 단어 학습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추가 단어 학습면(500)에서는 도 1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에 도시된 사물들에 해당하는 단어들 중 모국어 말 풍선들에 포함되지 않았던 추가 단어(501)를 학습할 수 있다. 즉, 도 1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에 도시된 사물들 중에 'King Kong'은 모국어 말 풍선들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 학습자은 추가 단어 학습면(500)에서 'King Kong'이라는 단어에 대해 학습할 수 있게 된다.
학습자는 먼저 추가 단어 학습면(500)의 좌측에 표시된 단어 이미지와 외국어 단어를 보면서, 해당 외국어 단어가 무슨 뜻일지를 추측할 수 있게 되며, 우측에 표시된 모국어 단어들을 보면서 해당 외국어 단어의 뜻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먼저 외국어 단어 및 단어 이미지를 보고 단어의 뜻을 추측해보고 이를 확인해보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학습자는 단순히 단어의 뜻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의 추측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학습자는 단어를 더 오래 기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단어 용법 학습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단어 용법 학습면(600)에서 학습자는 도 1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에 도시되었던 외국어 단어들의 용법을 학습할 수 있다. 도 6에서, 단어 용법 학습면(600)은 표제부(601)와 내용부(602)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부(602)는 만화로 구성되어 학습자가 쉽게 외국어 단어들의 용법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외국어 이미지 매핑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외국어 이미지 매핑면(700)은 도 1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100)에 도시된 캐릭터(102) 및 상황 이미지(106)를 도시하되, 모국어 말 풍선(105) 대신, 외국어 단어(701)와 해당 외국어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702)을 포함하고 캐릭터들과 연결된 외국어 말 풍선(703)을 도시한다.
외국어 문장(702)은 도 3의 문장 구성 학습면(300)에서 학습하였던 문장들과 동일할 수 있다. 학습자는 도 1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과 동일하게 도시된 상황 이미지와 도 7의 외국어 말 풍선(703)에 도시된 외국어 문장(702)을 다시 한 번 보면서, 상황 이미지들 간의 스토리를 떠올리게 되어, 단어의 뜻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해당 단어를 머릿 속에서 확실히 각인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마무리 학습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의 마무리 학습면(800)은 도 3의 문장 구성 학습면(300)에서 학습하였던 외국어 문장(304)에 포함된 외국어 단어를 외국어 단어 및 해당 외국어 단어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의 덩어리(801) 별로 학습할 수 있다. 즉, 도 3의 문장 구성 학습면(300)에서 학습하였던 외국어 단어들 및 외국어 문장들을 다시 한 번 단어 이미지들과 함께 보면서 복습할 수 있다. 도 8의 마무리 학습면(800)에서 학습자는 상황 이미지들을 스토리 순서대로 떠올리면서 상황 이미지들의 공간적 위치와 해당 키워드들을 떠올리게 되고, 이러한 이미지들과 도 8의 마무리 학습면(800)에 도시된 외국어 문장과 단어들과 결합되어 외국어 문장과 단어들이 학습자의 장기 기억으로 저장되어 쉽게 기억되고 잘 잊혀지지 않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는 표시부(901), 발음 연습부(902) 및 저장부(9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외국어 학습 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9에 도시된 블록들은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국어 학습 장치는 각 가정, 학교 등에서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 있고, 또는 학습자가 휴대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외국어 학습 장치는 서버에서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서비스하여 다수의 이기종 간의 장비에서 N-스크린(N-screen)으로 시간, 장소, 기기에 구애받지 않고 연속적인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901)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하였던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 문장 구성 학습면, 라인 게임 테스트면, 추가 단어 학습면, 단어 용법 학습면, 외국어 이미지 매핑면 및 마무리 학습면 중 하나 이상을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외국어 학습 교재에서 제공하였던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공될 수 있는 화면들은 모국어 이미지 매핑 화면, 키워드 이미지 매핑 화면, 문장 구성 학습 화면, 라인 게임 테스트 화면, 추가 단어 학습 화면, 단어 용법 학습 화면, 외국어 이미지 매핑 화면 및 마무리 학습 화면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이 때, 각 화면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하였던 외국어 학습 교재의 구성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는 외국어 학습 교재에 부가적으로 음성 인식을 통하여 발음 연습을 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는 교사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학습한 외국어 문장에 대한 발음 연습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표시부(901)는 학습한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이 나열된 화면을 표시하고, 발음 연습부(902)는 표시된 상기 단어 이미지들에 대응한 단어들을 조합하여 완성된 문장을 읽는 학습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학습자의 발음을 평가할 수 있다. 저장부(903)는 발음 연습부(902)에서의 학습결과를 저장하여 상기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학습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발음 연습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의 표시부의 발음 연습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서 설명한 음성 인식을 통한 발음 연습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발음 연습 화면(1000)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서는 외국어 문장(1001)이 표시되어 있고, 해당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1002)이 나열된다. 그리고 나서, 학습자가 발음 연습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10b에서와 같이 외국어 문장을 읽으라는 안내창(1003)이 표시되고 발음 평가부에서는 학습자가 해당 문장을 읽으면 문장을 읽는 학습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학습자의 발음을 평가하게 된다. 그리고 저장부는 발음 평가부에서의 학습결과를 저장하여 상기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학습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
200: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
300: 문장 구성 학습면
400: 라인 게임 테스트면
500: 추가 단어 학습면
600: 단어 용법 학습면
700: 외국어 이미지 매핑면
800: 마무리 학습면
1000: 발음 학습 화면

Claims (15)

  1. 복수의 캐릭터들;
    복수의 외국어 단어들과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국어 문장들을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들과 연결된 복수의 모국어 말 풍선들; 및
    상기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과 연관된 상황을 묘사하는 복수의 상황 이미지들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이미지들은 특정 순서에 따라 스토리를 구성하는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에 도시된 캐릭터들 및 상황 이미지들을 도시하되, 상기 모국어 말 풍선들 대신 상기 외국어 단어들만을 도시하는 키워드 이미지 매핑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하여 외국어 문장들의 구성을 학습하는 문장 구성 학습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장 구성 학습면은,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 중 외국어 어순 상 첫 번째 단어부터 하나 이상의 단어들을 첫 번째 열에 표시하고, 다음 열부터는 이전 열에 표시되었던 단어들을 포함하되 이전 열에 표시되었던 단어들의 외국어 어순 상 후속 단어들을 하나 이상 표시하며, 최종 열에는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 모두를 표시하여,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과 함께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단어들을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 및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과 연결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에 대한 이해를 테스트하는 라인 게임 테스트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에 도시된 사물들에 해당하는 단어들 중 모국어 말 풍선들에 포함되지 않았던 추가 단어들을 학습하는 추가 단어 학습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에 도시된 외국어 단어들의 용법을 학습하는 단어 용법 학습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국어 이미지 매핑면에 도시된 캐릭터들 및 상황 이미지들을 도시하되, 상기 모국어 말 풍선들 대신, 외국어 단어들과 해당 외국어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들과 연결된 외국어 말 풍선들을 도시하는 외국어 이미지 매핑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
  10. 복수의 캐릭터들;
    복수의 외국어 단어들과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국어 문장들을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들과 연결된 복수의 모국어 말 풍선들; 및
    상기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외국어 단어들의 뜻과 연관된 상황을 묘사하는 복수의 상황 이미지들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이미지들은 특정 순서에 따라 스토리를 구성하는 모국어 이미지 매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하여 외국어 문장들의 구성을 학습하는 문장 구성 학습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장 구성 학습 화면에서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 중 외국어 어순 상 첫 번째 단어부터 하나 이상의 단어들을 첫 번째 열에 표시하고, 다음 열부터는 이전 열에 표시되었던 단어들을 포함하되 이전 열에 표시되었던 단어들의 외국어 어순 상 후속 단어들을 하나 이상 표시하며, 최종 열에는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 모두를 표시하여, 상기 외국어 단어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외국어 어순으로 누적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장 구성 학습 화면에서 상기 외국어 문장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해당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학습한 외국어 문장들에 포함된 단어들의 뜻에 대응하는 단어 이미지들이 나열된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단어 이미지들에 대응한 단어들을 조합하여 완성된 문장을 읽는 학습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학습자의 발음을 평가하는 발음 연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발음 연습부에서의 학습결과를 저장하여 상기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학습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장치.
KR1020120029499A 2012-03-22 2012-03-22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 KR20130107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99A KR20130107592A (ko) 2012-03-22 2012-03-22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99A KR20130107592A (ko) 2012-03-22 2012-03-22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592A true KR20130107592A (ko) 2013-10-02

Family

ID=4963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499A KR20130107592A (ko) 2012-03-22 2012-03-22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75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619A (ko) * 2014-04-25 2015-11-04 최파비아 영어 훈련교재 및 기록매체
WO2017030377A1 (ko) * 2015-08-19 2017-02-23 주식회사 기신영 이미지와 관련된 우뇌 학습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단어 학습 장치, 단어 학습 카드 및 단말기를 이용한 단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21708A (ko) 2017-08-23 2019-03-06 (주)키네스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KR20200013962A (ko) 2018-07-31 2020-02-10 권영선 It와 로봇이 융복합된 융복합 파닉스 학습 시스템, 이에 적합한 파닉스 학습 방법,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어들일 수 있는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619A (ko) * 2014-04-25 2015-11-04 최파비아 영어 훈련교재 및 기록매체
WO2017030377A1 (ko) * 2015-08-19 2017-02-23 주식회사 기신영 이미지와 관련된 우뇌 학습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단어 학습 장치, 단어 학습 카드 및 단말기를 이용한 단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21708A (ko) 2017-08-23 2019-03-06 (주)키네스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KR20200013962A (ko) 2018-07-31 2020-02-10 권영선 It와 로봇이 융복합된 융복합 파닉스 학습 시스템, 이에 적합한 파닉스 학습 방법,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어들일 수 있는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kinson Language learning in mindbodyworld: A sociocognitive approach to second language acquisition
Kucer Dimensions of literacy: A conceptual base for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in school settings
Dickinson et al. Speaking out for language: Why language is central to reading development
Woodley et al. Balancing windows and mirrors: Translanguaging in a linguistically diverse classroom
KR101182675B1 (ko)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
US8202099B2 (en) Instructional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reading
Sakurai The influence of translation on reading amount, proficiency, and speed in extensive reading
Melo-Pfeifer et al. Multimodal linguistic biographies of prospective foreign language teachers in Germany: Reconstructing beliefs about languages and multilingual language learning in initial teacher education
Saengpakdeejit Awarenes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mong EFL Students in Khon Kaen University.
Feldman Visual literacy
Kravchenko Language as human ecology: A new agenda for linguistic education
Gough Undoing anthropocentrism in educational inquiry: A phildickian space odyssey?
Betancur et al. Using mind mapping as a method to help ESL/EFL students connect vocabulary and concepts in different contexts
Ahmad et al. The impact of utilising mobile 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on vocabulary acquisition among migrant women English learners
Wee Language policy and planning
Bristi Explor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used by Bangladeshi undergraduate EFL learner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proficiency level learners
Bărbuceanu Visual teaching–using digitalised material to engage ESP students
Kent et al. Language philosophy, writing, and reading: A conversation with Donald Davidson
KR20130107592A (ko) 캐릭터와 이미지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교재 및 장치
Chen et al. Translanguaging multimodal pedagogy in French pronunciation instruction: Vis-à-vis students’ spontaneous translanguaging
Wurr et al. Retrospective miscue analysis with proficient adult ESL readers
Gelsomini et al. Technological enhancements of the method of loci for facilitating logographic language learning
Efendi The Use of Webtoon in Learning and Mastering Vocabulary: English Learners’ Perceptions
TWM467143U (zh) 語言自學系統
US20160307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tory capacity development for language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