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207B1 -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207B1
KR101077207B1 KR1020100023905A KR20100023905A KR101077207B1 KR 101077207 B1 KR101077207 B1 KR 101077207B1 KR 1020100023905 A KR1020100023905 A KR 1020100023905A KR 20100023905 A KR20100023905 A KR 20100023905A KR 101077207 B1 KR101077207 B1 KR 10107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word
image
input
wor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797A (ko
Inventor
편석훈
한도희
한찬우
Original Assignee
(주)윤디자인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윤디자인연구소 filed Critical (주)윤디자인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02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2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4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4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extracted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자 표시 장치에 있어서, 특히 특정 단어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특정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된 특정 단어의 속성을 분석하고, 상기 저장부에서 분석된 특정 단어의 속성과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이미지의 패턴을 상기 특정 단어의 글자 내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적용된 상기 특정 단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of Word}
본 발명은 글자 표시 장치에 있어서, 특히 단어의 글자 내에 패턴을 적용하여 표시하는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용 PC(Personal Computer) 및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개인용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개인이 직접 제작한 폰트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특정 단어 혹은 문장의 의미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단어의 의미와 관련된 이미지 패턴을 상기 특정 단어에 적용하여 표시하는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정 단어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특정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된 특정 단어의 속성을 분석하고, 상기 저장부에서 분석된 특정 단어의 속성과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이미지의 패턴을 상기 특정 단어의 글자 내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적용된 상기 특정 단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부, 저장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글자 표시 장치의 글자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특정 단어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특정 단어의 속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분석된 특정 단어의 속성과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색된 이미지의 패턴을 상기 특정 단어의 글자 내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적용된 상기 특정 단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은, 특정 단어 혹은 문장의 의미와 관련된 이미지 패턴을 상기 특정 단어의 글자에 적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특정 단어 혹은 문장의 의미를 더욱 효과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표시 방법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단어에 적용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단어에 적용되는 패턴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단어에 이미지 패턴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단어에 패턴 이미지를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표시 시스템은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표시 시스템은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의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의 검색 요청은 상기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을 선택하는 것으로서, 상기 특정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블록 설정 및 드래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 혹은 검색 요청된 상기 특정 단어의 속성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분석된 특정 단어의 속성과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단어의 속성은 상기 특정 단어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사랑'이라는 단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된 '사랑'이라는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130)에서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부(130)에서 검색된 이미지의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사랑'이라는 단어를 구성하는 폰트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적용된 폰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30)에서 검색되는 이미지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130)에서 검색되는 이미지가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이미지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특정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는 기본 이미지, 사용자 설정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30)는 '사랑'이라는 단어와 연관된 '하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0)는 상기 '사랑'이라는 단어와 연관된 '하트' 이미지를 크기, 색상 및 모양 등이 다른 형태로 복수 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30)는 기본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하트' 이미지 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설정 및 등록된 이미지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확장 또는 변형된 이미지를 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특정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 패턴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특정 단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된 특정 단어에 관련된 이미지 패턴을 상기 저장부(130)에서 검색하여 바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단어를 구성하는 폰트에 적용하고자하는 이미지가 미리 하나의 패턴으로 생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검색된 이미지에 대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단어와 상기 저장부(130)에서 검색된 이미지의 패턴이 적용된 폰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표시 방법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표시 방법은 특정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단어의 속성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속성과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이미지의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단어를 나타내는 글자 내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이 입력될 수 있다[S210]. 즉, 상기 입력부(110)는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의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의 검색 요청은 상기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을 선택하는 것으로서, 상기 특정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블록 설정 및 드래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입력된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의 속성을 분석할 수 있다[S220].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 혹은 검색 요청된 상기 특정 단어의 속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단어의 속성은 상기 특정 단어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저장부(130)에서 상기 분석된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의 속성과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S230]. 이때, 상기 단어 또는 문장의 속성은 상기 단어 또는 문장을 압축하여 표현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분석된 특정 단어의 속성과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사랑'이라는 단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된 '사랑'이라는 단어와 연관된 '하트'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130)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특정 단어에 관련된 이미지가 존재할 경우, 상기 검색된 이미지를 이용해 이미지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S240, S250].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단어가 '사랑'일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부(130)에서 상기 '사랑'이라는 단어에 연관된 '하트'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부(130)에서 검색된 '하트'이미지를 이용해 '하트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특정 단어 또는 문장에 상기 생성된 이미지 패턴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60, S270].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생성된 '하트 패턴'을 상기 '사랑'이라는 단어를 구성하는 폰트 각각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하트 패턴'이 적용된 '사랑'이라는 단어를 상기 저장부(130)에서 검색된 이미지를 상기 '사랑'이라는 단어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130)에서 검색되는 이미지는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이미지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단어에 적용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단어에 적용되는 이미지는 상기 저장부(130)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패턴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특정 단어의 글자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를 이용해 생성된 이미지 패턴을 상기 특정 글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폰트의 배경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단어에 연관된 이미지를 복수 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이라는 단어에 관련된 이미지의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별'이라는 단어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별' 이미지를 크기, 색상 및 모양 등을 달리한 형태로 복수 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이미지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특정 단어가 움직이는 것과 같은 역동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패턴 형성시, 상기 이미지의 각도, 크기, 색상 등을 달리하여 적용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단어에 적용되는 패턴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단어에 적용되는 이미지는 패턴 형태로 구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패턴 형태의 이미지를 복수 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이라는 단어에 관련된 이미지의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별'이라는 단어에 매칭되는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 및 제 3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 및 제 3 이미지 각각은 별 이미지의 적용 위치, 색상 및 크기 등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 및 제 3 이미지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특정 단어를 더욱 역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단어에 이미지가 적용되는 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단어에 이미지가 적용되는 순서 등을 달리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글자 표시 방법은 특정 단어의 속성에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미지의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폰트의 배경으로 적용함으로써, 상기 특정 단어를 부각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특정 단어이고, 도 5(b)는 상기 입력된 특정 단어에 관련된 제 1 이미지의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특정 단어를 구성하는 폰트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한 것이다. 그리고, 도 5(c)는 상기 입력된 특정 단어에 관련된 제 2 이미지의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특정 단어를 구성하는 폰트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한 것이다.
우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단어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단어는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기기 및 상기 디지털기기를 구성하는 디바이스 등에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지털기기의 각종 입력장치를 통해 문자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기기는 PC,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 전자 수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기기의 입력장치는 키패드 혹은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도 5(b)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단어와 관련된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이미지는 상기 특정 단어에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폰트가 적용되는 단위로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는 단어 혹은 문자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랑'이라는 단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입력된 '사랑'이라는 단어 자체를 폰트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사랑'이라는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단어에 복수 개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단어가 움직이는 것처럼 역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단어에 패턴 이미지를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랑'이라는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단어 '사랑'에 대응되는 패턴 이미지가 검색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검색된 패턴 이미지를 배경으로 사용하여 상기 '사랑'이라는 단어가 마스킹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랑'이라는 단어가 마스킹된 부분에만 또는 마스킹되지 않은 부분에만 패턴 이미지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단어와 자연스럽게 매칭되는 단순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이미지(예를 들어, 패턴 이미지 등)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단어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0)

  1. 특정 단어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특정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된 특정 단어의 속성을 분석하고, 상기 저장부에서 분석된 특정 단어의 속성과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이미지의 패턴을 상기 특정 단어의 글자 내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적용된 상기 특정 단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어의 속성은 상기 특정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표시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되는 이미지가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이미지의 패턴 각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패턴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 및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표시 장치.
  6. 입력부, 저장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글자 표시 장치의 글자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특정 단어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특정 단어의 속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분석된 특정 단어의 속성과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색된 이미지의 패턴을 상기 특정 단어의 글자 내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적용된 상기 특정 단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표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어의 속성은 상기 특정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표시 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되는 이미지가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이미지의 패턴 각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표시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패턴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 및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표시 방법.
KR1020100023905A 2010-03-17 2010-03-17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077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905A KR101077207B1 (ko) 2010-03-17 2010-03-17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905A KR101077207B1 (ko) 2010-03-17 2010-03-17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797A KR20110104797A (ko) 2011-09-23
KR101077207B1 true KR101077207B1 (ko) 2011-10-27

Family

ID=4495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905A KR101077207B1 (ko) 2010-03-17 2010-03-17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208B1 (ko) * 2015-02-12 2018-05-04 김서영 두뇌활성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4856B1 (ko) * 2017-08-23 2019-07-01 (주)키네스 전환이미지를 이용한 장기기억 유도 학습장치
KR102346613B1 (ko) * 2020-01-07 2022-01-03 (주)레드테이블 상품 정보태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797A (ko) 201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166B1 (ko) 문자화장단말기 및 제어방법
US8698765B1 (en) Associating concepts within content items
EP2648072A2 (en) Character or word input method, input apparatus and terminal
KR102354582B1 (ko)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CN103080893A (zh) 便携终端
CN104808807A (zh) 用于汉字拼音输入的方法和装置
US11288332B1 (en) Visual search
US20110126087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on mouse-based activation of links
KR20130086621A (ko) 수기에 의한 원 필적 트레이스의 기록 및 조회 시스템과 방법 및 전자장치
CN114564666A (zh) 百科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2017509080A (ja)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CN10446105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101077207B1 (ko)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240051898A (ko) 컬러 폰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11880668A (zh) 输入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090046137A (ko) 미디어 데이터 검색 장치 및 방법
Garcia-Lopez et al. Comparing zooming methods in mobile devices: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in touch and nontouch smartphones
CN110765735B (zh) 数学表达式输入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635949A (zh) 一种汉字输入装置及方法
KR20130037484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장치
JP2011059933A (ja) 文章提示装置、文章提示システム及び文章提示方法
CN113010072A (zh) 搜索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698734A (zh) 候选词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20150278176A1 (en) Providing for text entry by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JP722554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