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395B1 -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395B1
KR101994395B1 KR1020170126071A KR20170126071A KR101994395B1 KR 101994395 B1 KR101994395 B1 KR 101994395B1 KR 1020170126071 A KR1020170126071 A KR 1020170126071A KR 20170126071 A KR20170126071 A KR 20170126071A KR 101994395 B1 KR101994395 B1 KR 101994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terminal
feedback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769A (ko
Inventor
오종현
Original Assignee
오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현 filed Critical 오종현
Priority to KR102017012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3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실시예는 강의실 내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복수의 클리커 단말; 상기 강의실 내에서 상기 클리커 단말로부터 클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클릭 정보를 강의 서버에 전달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클릭 정보를 수신받고, 강의 시간을 소정 기간으로 분할하여, 소정 기간 내의 상기 클릭 정보의 수효에 따라 강의 피드백 분석을 수행하는 강의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커 단말은 강의 중 상기 사용자가 문의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문의 버튼을 클릭하여 상기 클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강의 중 질문을 어려워하는 청중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강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The analyzing system of lecture feedback}
본 발명은 청중으로부터 강의 피드백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클리커 단말 또는 클리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의 중 청중의 피드백을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강사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의에 대한 청중의 평가는 강의 종료 후 설문 조사 형태의 인쇄물 또는 SMS 형식으로 청중에게 배포된다.
이러한 강의 평가는 강의 전체에 대한 청중의 이미지 정도를 수득할 수 있는데 그치며, 강의 내용 중 특정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얻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설문 조사 형태의 인쇄물 또는 SMS는 피드백의 수거율이 매우 저조하다.
따라서, 강사는 자신이 진행한 강의에 대하여 구체적인 피드백을 받기 어렵고, 청중 또한 본인이 더 설명이 요구되는 부분을 정확하게 요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 클리커 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클리커는 이동통신 단말기 형태로 배포되며, 각 학생에게 배포되어 강의 중 설문 참여 또는 각 종 시험 등에 OMR 카드 등을 대체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클리커 모듈은 학교, 강의 시설, 학원 등의 다수의 청중 또는 정보 수득자를 대상으로 강의, 강연, 설문 조사 또는 시험 등을 진행할 때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또한, 종래의 클리커 모듈은 제공되는 문제에 대한 제공되는 답안지 중 특정 답을 선택하는 것에 국한되는 피드백을 수신기에 전달할 수 있을 뿐, 다양한 정보 수득자의 피드백을 전달하기에는 부족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1791호 (2015.10.30.공개)
본 발명은 클리커 단말 또는 클리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의 중 사용자의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는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피드백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강의 보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강의실 내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복수의 클리커 단말; 상기 강의실 내에서 상기 클리커 단말로부터 클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클릭 정보를 강의 서버에 전달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클릭 정보를 수신받고, 강의 시간을 소정 기간으로 분할하여, 소정 기간 내의 상기 클릭 정보의 수효에 따라 강의 피드백 분석을 수행하는 강의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커 단말은 강의 중 상기 사용자가 문의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문의 버튼을 클릭하여 상기 클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클리커 단말은 상기 문의 버튼이 활성화되었는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하단에 복수의 숫자 버튼 및 상기 문의 버튼을 포함하는 기능 버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커 단말은 상기 강의가 시작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클리커 단말을 매칭하는 시작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클리커 단말은 상기 시작 정보를 전송한 뒤 상기 수신기의 시간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상기 강의 서버는 상기 강의실의 강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강의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소정 시간 단위에 상기 클릭 정보의 수효가 임계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단위 시간의 강의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상기 강의 서버는 상기 클릭 정보의 수효가 상기 임계 횟수 이상인 경우를 집중 고조 구간으로, 상기 클릭 정보의 수효가 최소 횟수 이하인 경우를 집중 저하 구간으로 표시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정보를 강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강의 피드백 분석 정보는 상기 강의의 전체 시간에 대한 상기 집중 저하 구간의 시간의 합을 비율로 표시하여 집중력 점수로 나타내며, 상기 집중력 점수를 일별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강의 서버는 강사로부터 상기 집중 고조 구간에 대한 추가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는 강의실 내의 사용자가 보유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강의에 대한 피드백을 클릭 정보로 전송할 수 있는 강의 피드백 분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강의실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클릭 정보를 수신하고, 강의 시간을 소정 기간으로 분할하여, 소정 기간 내의 상기 클릭 정보의 수효에 따라 강의 피드백 분석을 수행하는 강의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강의 피드백 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강의 중 상기 사용자가 문의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문의 버튼을 클릭하여 상기 클릭 정보를 전송하고, 강사로부터 상기 클릭 정보를 전송한 구간에 대한 추가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강의 중 질문을 어려워하는 청중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강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청중은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하여 보충 설명을 요구하는 적극적인 피드백을 취할 수 있어 강의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강의의 피드백을 분석함으로써 청중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리커 단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분석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석 표시 단계를 표현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클리커 단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은 복수의 클리커 단말(100), 수신기(200), 강의 서버(30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클리커 단말(100)은 강의실에 비치되어 있는 책상 또는 강의실에 입장하는 청중에 대하여 하나씩 할당될 수 있으며, 도 2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클리커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창(110)이 상단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창(110) 하단에 하드 버튼 또는 소프트 버튼의 형태로 기능 버튼들이 형성되어 있는 리모컨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클리커 단말(100)은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3G, LTE 등의 통신망을 통해 수신기(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수신기(200)를 통해 청중의 피드백을 전송한다.
이러한 클리커 단말(100)은 사용자, 즉, 청중의 ID 또는 전화 번호 등을 전송할 수 있는 숫자 버튼, 문의 버튼(?)(101), 홈 버튼 및 전송 버튼을 기능 버튼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창(110)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버튼을 표시하고, 전송 상태가 전송 중인지 전송 완료 있지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리커 단말(100)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사용자는 강의 중 문의 버튼(101)을 누름으로써 강사에게 강의 중 특정 부분에 대한 불이해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의 버튼(101)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창(110)의 숫자 표시 옆으로 ?표시가 활성화되어 문의 버튼(101)을 제대로 눌렀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강의실에 입장하는 복수의 청중, 즉,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개인 단말로서,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무선통신 가능한 단말을 포함한다.
수신기(200)는 강의실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강의 서버(300)와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복수의 클리커 단말(100)로부터 문의 버튼(101)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강의 서버(300)에 전달한다.
상기 수신기(200)는 900mHz 범위 내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6 내지 9 km 반경의 클리커 단말(100)과 통신하여 수신된 문의 버튼(101)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즉시 강의 서버(300)로 전달한다.
이때, 수신기(200)와 강의 서버(300) 사이의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진행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유선 통신 또는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강의 서버(300) 및 수신기(200) 또한 강의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강의 서버(300)는 강의 피드백 분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이 실행가능한 프로세서로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 데스크 탑, 또는 강사가 사용하는 노트북 등의 p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강의 서버(300)는 수신기(200)와 통신하며, 강의실 내에 비치되어 있는 카메라부를 통해 녹화되는 강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또한, 강의 서버(300)는 강사에게 할당되거나, 강의실 내에 비치되어 있는 마이크부를 통해 저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받아 음성 녹음도 함께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데이터와 강의 영상을 매칭하여 통합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강의 서버(300)는 수신기(200)로부터 실시간으로 클리커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문의 버튼(101)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강의 피드백에 대한 분석 정보를 강사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강의 피드백에 대한 분석 정보는 강의 시간을 소정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고, 특정 단위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문의 버튼(101) 클릭 정보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때, 특정 단위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문의 버튼(101) 클릭 정보의 횟수가 임계 횟수(nth)보다 큰 경우, 해당 단위 시간의 강의를 캡쳐하고, 캡쳐된 강의 화면과 문의 버튼(101) 클릭 정보의 횟수를 매핑하여 강사에게 제공한다.
또한, 강의 서버(300)는 캡쳐된 강의 화면에 대한 보충 설명 또는 강사 피드백 자료가 준비되면 이를 수신하고, 각 캡쳐된 강의 화면에 문의 버튼(101)을 클릭한 클리커 단말(100)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한다.
즉, 제1 클리커 단말(100) 내지 제13 클리커 단말(100)까지로부터 14번째 단위 시간에 해당하는 #14 강의 화면에 대하여 문의 버튼(101)의 클릭 정보가 수신되면, #14 강의 화면에 대하여 강사가 보충 설명 자료를 생성하고, 14 번째 단위 시간에 해당하는 강의 화면에 대응하는 보충 설명 자료를 제1 클리커 단말(100) 내지 제13 클리커 단말(100)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단말(400) 내지 제13 사용자 단말(400)에만 전송한다.
따라서, 특정 내용에 대하여 문의 버튼(101)을 클릭한 사용자는 해당 내용에 대하여만 보충 설명 자료를 수신하고 이에 대하여 보충 설명을 청취함으로 불필요한 설명을 수신하고, 이를 검토할 필요 없이 개인적이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분석 시스템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석 표시 단계를 표현한 화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강의실에 청중, 즉, 복수의 사용자가 입장하고, 할당된 클리커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을 매칭하는 시작 신호를 수신기(200)에 전송한다(S10).
이때, 시작 신호의 전송은 클리커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의 번호, 예를 들어,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또는 사용자의 학번 등을 전송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시작 신호는 클리커 단말(100)의 고유 번호 및 사용자 단말(400)의 상기 정보가 함께 전송됨으로써 클리커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의 1대 1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해당 강의 피드백 분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대한 상기 정보 및 클리커 단말(100)의 고유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1대 1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의 피드백 분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매칭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강의에 대한 페이지에 접속하여 클리커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의 정보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클리커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이 1대 1 매칭되고, 이러한 시작 신호가 전송되면, 클리커 단말(100)과 수신기(200)의 최초 통신 시에 수신기(200)의 시간으로 클리커 단말(100)이 초기화된다.
이후, 강의가 시작되면, 사용자는 강의를 청취하면서, 특정 설명에 대하여 문의가 발생하거나, 이해가 안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 때, 클리커 단말(100)의 문의 버튼(101)을 클릭한다(S20).
수신기(200)는 클리커 단말(100)로부터 문의 버튼(101)의 클릭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로 강의 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강의 서버(300)는 강의실 내에 비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통해 녹화되는 강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문의 버튼(101)의 클릭 정보가 수신되면, 강의 서버(300)는 강의 시간을 소정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고, 특정 단위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문의 버튼(101)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때, 특정 단위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문의 버튼(101)의 횟수가 임계 횟수(nth)보다 큰 경우(S30), 녹화되는 강의 영상 중 해당 단위 시간의 강의를 캡쳐한다(S40).
강의 서버(300)는 강의 종료 후, 캡쳐된 강의 화면과 문의 버튼(101)의 횟수를 매핑하여 강사에게 제공한다(S50).
이때, 강의 피드백 분석 정보는 도 4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강의 시간 전반에 대하여 문의 버튼(101)에 대한 클릭 정보를 단위 시간 단위로 카운트하여 표시하고, 임계 횟수(nth) 이상인 시간 범위를 집중 고조 구간으로 표시하고, 최저 횟수 이하인 시간 범위를 집중 저하 구간으로 표시한다.
이때, 좌측 상단과 같이, 전체 시간 중 최저 횟수 이하인 시간 범위가 차지하는 비율을 집중력 점수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한 명도 클릭을 하지 않은 구간은 집중력이 떨어진 구간으로 평가하여 강사가 강의 표현을 변경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키거나, 불필요한 부분인 경우 삭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강사의 강의에 대하여 날짜별 집중력 점수를 집계하여 하나의 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강사에게 개인적인 강의 내용에 대한 수정을 유도할 수 있다.
강사는 제공된 강의 피드백 분석 정보를 기초로 집중 고조 구간에 대한 보충 자료 및 피드백 자료를 작성하여 강의 서버(300)에 제공한다(S60).
강의 서버(300)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해당 집중 고조 구간에 대한 보충 설명 등의 강사 피드백 자료를 집중 고조 구간에 클릭한 클리커 단말(100)의 사용자에게만 선택적으로 전송한다(S70).
즉, 제1 클리커 단말(100) 내지 제13 클리커 단말(100)까지로부터 14번째 단위 시간에 해당하는 #14 강의 화면에 대하여 문의 버튼(101)의 클릭 정보가 수신되면, #14 강의 화면에 대하여 강사가 보충 설명 자료를 생성하고, 14 번째 단위 시간에 해당하는 강의 화면에 대응하는 보충 설명 자료를 제1 클리커 단말(100) 내지 제13 클리커 단말(100)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단말(400) 내지 제13 사용자 단말(400)에만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되는 피드백 자료는 사용자 단말(400)의 이메일 또는 SMS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내용에 대하여 문의 버튼(101)을 클릭한 사용자는 해당 내용에 대하여만 선택적으로 보충 설명 자료를 수신하고 이에 대하여 보충 설명을 청취함으로 불필요한 설명을 수신하고, 이를 검토할 필요 없이 선별적이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400), 수신기(200) 및 강의 서버(30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강의실에 입장하는 복수의 청중, 즉,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개인의 단말로서,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무선통신 가능한 단말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400)은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도 1의 클리커 단말(10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400)이 설치되어 있는 강의 피드백 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클리커 단말(100)로서 기능한다.
사용자 단말(400)이 강의 피드백 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2의 클리커 단말(100)과 같은 디스플레이창(110) 및 문의 버튼(101)이 소프트 버튼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400)이 수신기(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수신기(200)를 통해 청중의 피드백을 전송한다.
사용자는 강의 중 사용자 단말(400)의 문의 버튼(101)을 누름으로써 강사에게 강의 중 특정 부분에 대한 불이해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의 버튼(101)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창(110)의 숫자 표시 옆으로 "?" 표시가 활성화되어 문의 버튼(101)을 제대로 눌렀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수신기(200)는 강의실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강의 서버(300)와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문의 버튼(101)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강의 서버(300)에 전달한다.
이때, 수신기(200)와 강의 서버(300) 사이의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진행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유선 통신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강의 서버(300) 및 수신기(200) 또한 강의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강의 서버(300)는 강의 피드백 분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실행가능한 프로세서로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 데스크 탑, 또는 강사가 사용하는 노트북 등의 p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강의 서버(300)는 수신기(200)와 통신하며, 강의실 내에 비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통해 녹화되는 강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또한, 강의 서버(300)는 수신기(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문의 버튼(101)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강의 피드백에 대한 분석 정보를 강사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강의 피드백에 대한 분석 정보는 강의 시간을 소정의 단위 시간으로분할하고, 특정 단위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문의 버튼(101)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때, 특정 단위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문의 버튼(101)의 횟수가 임계 횟수(nth)보다 큰 경우, 해당 단위 시간의 강의를 캡쳐하고, 캡쳐된 강의 화면과 문의 버튼(101)의 횟수를 매핑하여 강사에게 제공한다.
또한, 강의 서버(300)는 캡쳐된 강의 화면에 대한 보충 설명 등의 강사 피드백 자료가 준비되면 이를 수신하고, 각 캡쳐된 강의 화면에 문의 버튼(101)을 발송한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한다.
따라서, 특정 내용에 대하여 문의 버튼(101)을 클릭한 사용자는 해당 내용에 대하여만 보충 설명 자료를 수신하고 이에 대하여 보충 설명을 청취함으로 불필요한 설명을 수신하고, 이를 검토할 필요 없이 개인적이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강의실에 청중, 즉, 복수의 사용자가 입장하고, 사용자 단말(400)을 클리커 단말(100)로서 기능하도록 강의 피드백 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시작 신호를 수신기(200)에 전송한다(S110).
이때, 시작 신호의 전송은 강의 피드백 분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의 번호, 예를 들어, 전화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전송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시작 신호가 전송되면, 사용자 단말(400)과 수신기(200)의 최초 통신 시에 수신기(200)의 시간으로 사용자 단말(400)의 강의 피드백 분석 어플리케이션이 초기화된다.
이후, 강의가 시작되면, 사용자는 강의를 청강하면서, 특정 설명에 대하여 문의가 발생하거나, 이해가 안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 때, 사용자 단말(400)의 문의 버튼(101)을 클릭한다(S120).
수신기(2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문의 버튼(101)의 클릭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로 강의 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강의 서버(300)는 강의실 내에 비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통해 녹화되는 강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문의 버튼(101)의 클릭 정보가 수신되면, 강의 서버(300)는 강의 시간을 소정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고, 특정 단위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문의 버튼(101)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때, 특정 단위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문의 버튼(101)의 횟수가 임계 횟수(nth)보다 큰 경우(S130), 녹화되는 강의 영상 중 해당 단위 시간의 강의를 캡쳐한다(S140).
강의 서버(300)는 강의 종료 후, 캡쳐된 강의 화면과 문의 버튼(101)의 횟수를 매핑하여 강사에게 제공한다(S150).
이때, 강의 피드백 분석 정보는 도 4와 같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일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강사는 제공된 강의 피드백 분석 정보를 기초로 집중 고조 구간에 대한 보충 자료 및 피드백 자료를 작성하여 강의 서버(300)에 제공한다(S160).
강의 서버(300)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해당 집중 고조 구간에 대한 보충 설명 등의 강사 피드백 자료를 집중 고조 구간에 클릭한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에게만 선택적으로 전송한다(S170).
이때,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되는 피드백 자료는 사용자 단말(400)의 강의 피드백 분석 어플리케이션의 수신함, 이메일 또는 SMS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내용에 대하여 문의 버튼(101)을 클릭한 사용자는 해당 내용에 대하여만 선택적으로 보충 설명 자료를 수신하고 이에 대하여 보충 설명을 청취함으로 불필요한 설명을 수신하고, 이를 검토할 필요 없이 선별적이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 단말(400)이 강의 피드백 분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리커 단말(100)로서 기능할 때, 수신기(200)를 통해 강의 서버(300)와 송수신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신기(200) 없이 강의 서버(300)와 직접 송수신하여 강의 피드백 분석 프로그램에 클릭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다.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강의실 내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복수의 클리커 단말;
    상기 강의실 내에서 상기 클리커 단말로부터 클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클릭 정보를 강의 서버에 전달하는 수신기;
    상기 강의실의 강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강의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클릭 정보를 수신받고, 강의 시간을 소정 기간으로 분할하여, 소정 기간 내의 상기 클릭 정보의 수효에 따라 강의 피드백 분석을 수행하는 강의 서버; 및
    강의실 내의 사용자가 보유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복수의 클리커 단말과 1 대 1 매칭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클리커 단말은 강의 중 상기 사용자가 문의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클리커 단말에 구비되는 문의 버튼을 실시간으로 클릭하여 상기 클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강의 서버는 문의 버튼의 클릭 정보가 수신되면, 강의 시간을 소정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고, 특정 단위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문의 버튼의 횟수를 카운트하며, 특정 단위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문의 버튼의 횟수가 임계 횟수(nth)보다 큰 경우 수신되는 강의 영상 중 해당 단위 시간의 강의를 캡쳐하여 강사에게 제공하고, 강사는 피드백 자료를 작성하여 강의 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강의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해당 단위 시간에 문의 버튼을 클릭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만 선택적으로 상기 피드백 자료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커 단말은
    상기 문의 버튼이 활성화되었는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하단에 복수의 숫자 버튼 및 상기 문의 버튼을 포함하는 기능 버튼 영역
    을 포함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커 단말은
    상기 강의가 시작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클리커 단말을 매칭하는 시작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커 단말은 상기 시작 정보를 전송한 뒤 상기 수신기의 시간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서버는
    상기 클릭 정보의 수효가 상기 임계 횟수 이상인 경우를 집중 고조 구간으로,상기 클릭 정보의 수효가 최소 횟수 이하인 경우를 집중 저하 구간으로 표시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정보를 강사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피드백 분석 정보는
    상기 강의의 전체 시간에 대한 상기 집중 저하 구간의 시간의 합을 비율로 표시하여 집중력 점수로 나타내며,
    상기 집중력 점수를 일별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서버는
    강사로부터 상기 집중 고조 구간에 대한 추가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9. 삭제
KR1020170126071A 2017-09-28 2017-09-28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KR101994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071A KR101994395B1 (ko) 2017-09-28 2017-09-28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071A KR101994395B1 (ko) 2017-09-28 2017-09-28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769A KR20190036769A (ko) 2019-04-05
KR101994395B1 true KR101994395B1 (ko) 2019-06-28

Family

ID=6610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071A KR101994395B1 (ko) 2017-09-28 2017-09-28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812A (ko) 2020-05-19 2021-11-26 백솔희 대학 강의 개선을 위한 추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970A (ja) * 2003-01-30 2004-09-09 Daiwa Securities Group Inc 遠隔講演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遠隔聴講端末装置
JP2009048381A (ja) * 2007-08-17 2009-03-05 Photron Ltd フィードバック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フィードバック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034A (ko) * 2008-10-07 2010-04-15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교육 지원 시스템 및 교육 지원 방법
KR20150121791A (ko) 2014-04-21 2015-10-30 박태규 설문조사 지원 시스템
KR101715323B1 (ko) * 2015-06-05 2017-03-22 (주)인클라우드 학습자 감성 기반의 스마트 교육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970A (ja) * 2003-01-30 2004-09-09 Daiwa Securities Group Inc 遠隔講演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遠隔聴講端末装置
JP2009048381A (ja) * 2007-08-17 2009-03-05 Photron Ltd フィードバック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フィードバック情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769A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4210B2 (en)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remote rehabilitation training
US8639961B2 (en) Participant response system employing battery powered, wireless remote units
US20120164619A1 (en) Educ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AU2008204688B2 (en) Participant response system employing graphical response data analysis tool
CN105117996A (zh) 智能校园课程信息推荐及共享系统
US20120159331A1 (en) Audience Response System
CN105070128A (zh) 一种课堂及时反馈装置及其系统
JP5139251B2 (ja) 質疑応答システム
CN110706140A (zh) 课堂互动式学习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50101632A (ko)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CN111383493A (zh) 一种基于社交互动的英语辅助教学系统及数据处理方法
US20180197432A1 (en) Class assessment tool with a feedback mechanism
KR101994395B1 (ko) 강의 피드백 분석 시스템
US20140297641A1 (en) Discussion support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4168312A (zh) 信息互动的方法及终端
Ismail et al. Motivation, psychology and language effect on mobile learning in Universiti Sains Malaysia.
JP200621548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60275807A1 (en) Computer and mobile end classroom interactive answer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two-dimensional code
US20150324066A1 (en) Remote Response System With Multiple Responses
JP2019091312A (ja) 授業支援装置、授業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41958B2 (ja) 教育支援システム及び教育支援方法
JP6432128B2 (ja) 評価方法、プログラム、装置及びシステム
KR20160020813A (ko) 시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McCrory An exploration of initial certification candidates’ TPACK and mathematics-based applications using touch device technology
KR20110131517A (ko) 모바일 교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