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517A - 모바일 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517A
KR20110131517A KR1020100050983A KR20100050983A KR20110131517A KR 20110131517 A KR20110131517 A KR 20110131517A KR 1020100050983 A KR1020100050983 A KR 1020100050983A KR 20100050983 A KR20100050983 A KR 20100050983A KR 20110131517 A KR20110131517 A KR 2011013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test
client
answer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원
이경득
한재용
이영임
Original Assignee
이영임
주식회사 눈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임, 주식회사 눈소프트 filed Critical 이영임
Priority to KR102010005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1517A/ko
Publication of KR2011013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7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교육 시스템은 시험정보가 설정되는 호스트; 상기 호스트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시험정보에 대응한 답안지가 저장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저장된 답안지가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시험정보에 대한 정답을 답안지에 기록하여 이를 저장한 후 저장된 답안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받은 답안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상기 각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상기 결과의 통계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 의하여 교수자가 교육현장에서 최대한 손쉬운 방법으로 강의 도중 수강생들의 이해도를 파악하여 강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강생들의 강의 몰입도 및 참여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교육 시스템{MOBILE EDUCATION SYSTEM}
본원은 모바일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육현장에서 간편하게 활용하여 수강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몰입도를 높이며 교수자에게는 강의 수준을 즉각적으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강의 현장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강의 내용 이해의 정도를 파악하여 강의 수준을 조절하기 위해 강의 중간 중간 질문을 하여 대답을 유도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강생들은 강의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더라도 이를 잘 표현하지 않거나, 이해를 하고 있는 경우도 적극적으로 응답하지 않는 관습적인 소극성으로 인해 교수자는 강의의 수준을 조절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또한, 교육현장에서 수강생들은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수업에 집중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흥미가 없는 과목일 수도 있고, 기타 불가피한 사유로 인하여 결석한 경우 이미 진행된 수업내용으로 인하여 교수자가 제공하는 강의 내용을 따라가지 못해 수업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수강생이 수업 몰입도가 떨어진다고 판단된 경우에 교수자는 적절히 수업의 속도, 난이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면 좋으나, 현실적으로 1명의 교수자가 다수의 수강생들에게 강의 내용을 전달하여야 하는 환경에서 모든 수강생의 수업 몰입도를 1명의 교수자가 일일이 체크하기 어려워 수업 진행에 어려움이 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타인을 의식하지 않아도 되는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응답 방법을 제시하여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의 응답을 유도하는데 유용한 교육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원은 1명의 교수자가 다수의 학생들의 강의 몰입도 및 강의 습득 수준을 즉시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보다 향상된 강의 만족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육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교육 시스템은 시험정보가 설정되는 호스트; 상기 호스트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시험정보에 대응한 답안지가 저장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저장된 답안지가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시험정보에 대한 정답을 답안지에 기록하여 이를 저장한 후 저장된 답안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받은 답안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상기 각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상기 결과의 통계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와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이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정답이 기록된 답안지를 SMS(Short Ma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e-mail)을 통하여 상기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결과를 SMS(Short Ma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e-mail)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 상기 결과의 통계를 SMS(Short Ma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e-mail)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는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자에 의하여 이용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교수자의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생에 의하여 이용되며, 상기 호스트, 상기 클라이언트, 상기 서버는 상기 수강생의 수업참여도를 높임과 동시에 수업평가를 하기 위하여 및 상기 교수자가 상기 결과의 통계를 기초로 강의수준 결정을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는 상기 시험정보를 교수자ID, 시험ID, 시험문항수, 시험유형, 정답으로 구성하여 설정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시험정보를 교수자ID, 시험ID, 시험문항수, 시험유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답안지에 정답을 기록하며, 상기 서버는 정답이 기록된 답안지를 상기 호스트에 의하여 설정된 정답과 비교하여 상기 결과 및 상기 결과의 통계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호스트에 의하여 설정된 시험의 내용은 상기 교수자에 의하여 강의 현장에서 구두, 판서, 시험지 및 빔프로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수강생에게 제공되며, 상기 시험의 내용은 O/X형, 선다형, 단답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수강생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수강기간 동안 제공된 상기 시험의 내용, 상기 결과 및 상기 결과의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여 교수자가 교육현장에서 최대한 손쉬운 방법으로 강의 도중 수강생들의 이해도를 파악하여 강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강생들의 강의 몰입도 및 참여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모바일 교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수강생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도 3과 도 4는 프로그램 실행 단계별로 보이는 클라이언트 화면의 이미지를 캡쳐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3은 수강생이 답안을 작성하기 위하여 시험정보를 설정하고 답안을 작성하는 예를 보여주는 화면이고, 도 4는 과거에 전송한 데이터를 조회하는 예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5는 서버에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결과조회 웹페이지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교육 시스템은 호스트, 서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호스트는 시험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호스트는 서버와 통신하는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컴퓨터는 교수자가 사용하는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일 수 있고, 모바일 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 다양한 휴대용 기기일 수 있다. 교수자는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교수ID, 시험ID, 시험문항수, 시험유형, 정답으로 구성된 시험정보를 수업현장에서 또는 강의 전에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시험정보는 호스트에 저장된다. 호스트는 설정된 시험정보를 교수자의 명령에 따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호스트로부터 전송받은 시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시험정보에 따른 답안지를 구성하여 저장하여 보관한다. 상기 답안지는 추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서버에는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서버는 정답이 기록된 답안지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받은 후, 전송받은 답안지를 미리 저장된 정답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산출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기초로 학생별, 문항별, 유형별 등을 기준으로 통계 결과를 산출한다. 그 후, 정답과 비교하여 나온 결과는 각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그 결과의 통계를 호스트로 전송한다. 서버는 정답과 비교하여 산출된 결과 및 그 결과의 통계를 SMS(Short Ma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e-mail)을 통하여 각 클라이언트 또는 호스트로 전한다. 클라이언트와 호스트가 모바일 기기인 경우에는 SMS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클라이언트와 호스트가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인 경우에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메일을 통하여 전송받는 경우, 수강생의 선택에 따라 통계 결과치도 함께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SMS를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SMS는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길이가 80Byte(한글 40자, 영어,숫자 80자)로 제한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단말기를 항상 휴대한다는 특징으로 E-Mail과 달리 사용자에게 발송 시점과 거의 동시에 전달되는 즉시성과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통신 수단의 하나로 이미 확고한 자리를 굳힌 상태이며,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퀴즈 시스템이 요구하는 즉시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모두 만족시키기 때문이다.
클라이언트는 수강생이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이다. 한편, 수업환경에 따라 노트북이 제공되는 경우 컴퓨터를 클라이언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저장된 답안지를 전송받아, 시험 내용에 따라 답안지에 수강생이 정답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클라이언트는 시험정보데 대한 정답을 답안지에 기록하여 이를 저장한 후 저장된 답안지를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서버로 전성된 답안지의 결과를 서버로부터 전송받는다. 클라이언트는 정답이 기록된 답안지를 SMS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그 결과도 SMS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전송받는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제공된 답안지에 정답을 기록하기 위하여 사전에 교수ID, 시험ID, 시험문항수, 시험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 후 각 문항에 대한 정답을 기록한다.
호스트에 의하여 설정된 시험의 내용은 교수자에 의하여 강의 현장에서 구두, 판서, 시험지 또는 빔프로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출제되며, 수강생은 시험 내용에에 대한 응답을 즉각적으로 SMS 형태로 응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로 전송된 응답 SMS들은 처리되어 교수자에게 즉각적으로 전송되어, 교수자가 수강생의 정답률을 참고로 강의의 수준과 완급을 조절할 수 있다. 수강생의 경우, 학습 내용을 바로 현장에서 평가받는 형식이므로 강의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고, 개인별로 회신되는 퀴즈성적은 학습 현장에서보다 자발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할 것이다. 수강생에게 SMS 서비스 비용이 전가된다는 문제점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20대 이하의 연령대의 SMS 소비 패턴이 월 정액제를 사용하고 있어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되며, 교수자가 무료 문자를 제공할 수도 있다.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이나 일반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좀 더 고 수준의 피드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비용, 편리성, 즉시성 측면에서 SMS에 뒤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소극적이고 피동적인 학습현장에서 교수자에게 강의의 수준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교육도구를 제공할 목적으로 구현되었지만, 다양한 현장에서 즉각적인 결과를 알 수 있는 모바일 퀴즈 또는 설문 조사 시스템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SMS로 1회 전송 가능한 문자수가 약 80 바이트로 제한되므로, 출제되는 문제 형식은 O/X, 선다형, 단답형으로 제한되고, 1회 출제될 수 있는 문제의 수도 O/X와 선다형으로만 구성된 경우 20문제 이하로, 단답형 주관식인 경우 정답의 길이에 따라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의 서버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SMS 전용모뎀을 제어하여 교수자와 수강생의 SMS 메시지들을 수신한 후, 기 설정된 교수자와 수강생의 DB 정보를 기초로 하여 수신된 SMS 메시지를 처리한다. 처리된 성적 정보는 서버 DB에 저장되는 동시에 각 클라이언트별로 SMS 메시지로 통보되며 성적 통계 정보는 교수자에게 통보된다. 또한 서버 프로그램은 교수자나 수강생이 추후 웹 페이지를 통해 상세한 퀴즈 결과 및 통계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인터넷 환경과 노트북이 활용되는 수업환경이면 교수자는 웹을 통해 수강생 개인별 퀴즈 성적 등과 같은 보다 세부적인 정보를 수업에 활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따르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의 구성도는 도 1과 같다. 여기서 관리자는 교수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를 의미하여 사용자는 수강생을 의미한다. 교수자는 시험 정보를 휴대폰 단말기를 통해 수업현장에서 설정하거나 사전에 PC의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수강생은 자신의 휴대폰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험에 응시하며 SMS로 시험 결과를 즉시 통보받는다. 수업 후 웹을 통해 수강 기간 동안 축적된 시험 문제들 및 결과들을 조회할 수 있다. 서버는 SMS 전용모뎀을 제어하여 대량의 SMS 메시지 수신시 버퍼 오버풀로우나 중복수신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수신된 SMS 메시지가 교수자로부터 온 것인지 수강생으로부터 온 것인지를 구분한 후, 교수 ID, 시험 ID, 시험문제 문항수 정보를 이용하여 시험정보를 설정하거나 채점을 수행한다. 처리가 완료되면 교수자와 수강생들에게 결과를 즉시 통보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교수자와 학습자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신지소프트의 모바일 플랫폼인 Mobile-C 기반의 GNEX 위에 구현될 수 있다. 서버 측에서 SMS 모뎀의 제어와 메시지 처리 및 관리를 위해 C#을 사용하였고, DB와 웹페이지 연동을 위해 PHP와 HTML을 이용하였다.
교수자용 호스트 프로그램은 교수 ID, 시험 ID, 시험문제 문항 수 그리고 정답으로 구성된 시험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수강생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정답 설정 부분을 제외한 교수자용 호스트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도 2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즉, 수강생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수강생에게 시험을 볼 것인지 아니면 지난 시험의 성적조회를 할 것인지 여부를 물어본다. 'YES'이면 시험을 본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NO'이면 지난 성적을 조회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YES'로 판단되면, 시험정보를 판독하기 위하여 교수ID 설정하는 단계, 시험 ID 설정하는 단계, 시험문항수 및 시험유형을 설정하는 단계를 거친 후, 설정된 시험정보가 요약되어 화면에 보여지면 수강생은 설정된 시험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입력하게 된다. 설정된 시험정보가 정확하지 않으면(NO) 다시 처음부터 시험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설정된 시험정보가 정확하면(YES), 해당 시험정보에 따라 서버에서 생성된 답안지가 클라이언트 화면에 생성된다. 수강생은 교수자가 출제한 시험내용에 따라 답안지를 작성한 후 답안작성이 완료되면 시험종료 버튼을 눌러 시험을 종료한다. 시험이 종료되면 클라이언트는 설정된 시험정보와 수강생에 의하여 정답이 기록된 답안지를 저장한 후 저장된 정보를 SMS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이 성공되면(YES) 종료단계로 진행하게 되고, 전송이 실패하면(NO) 다시 전송하게 된다.
도 3과 도 4는 프로그램 실행 단계별로 보이는 수강생 휴대폰 화면 영상을 캡쳐한 것이다. 도 3a는 시작메뉴이고, 도 3b는 교수자 ID를 설정하는 화면이다. 교수자 ID는 사전에 선생님 별로 배정되는 4자리 숫자이다. 도 3c는 시험 문제지 관리를 위한 시험지 ID를 설정하는 화면이다. 이 ID는 교수자가 생성하여 관리하는 4자리 숫자이다. 중복 설정은 할 수 없도록 프로그램에서 처리하고 있다. 도 3d는 O/X 문항 수를 설정하고 도 3e는 선다형 문항 수를 설정하는 화면이다. O/X형 2 문제와 선다형 1 문제가 출제된 것이다. 단답형 문항이 없을 경우, 두 형식의 문항 수의 합이 20문제 이하로 설정되도록 제한된다. 모든 설정은 방향키를 이용하여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도3f는 입력된 퀴즈시험 정보가 정확한 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그림 3g와 3h는 답을 입력하는 화면이다. 출제된 순서대로 답안 입력 화면이 제공된다. 2번 문제에 대한 답안 입력 화면은 생략하였다. 정해진 문항 수의 답안의 입력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휴대폰에 시험정보와 답안을 파일로 저장하는 동시에 SMS 메시지로 서버로 전송한다. 송신 데이터 포맷은‘!@#$교수코드#시험코드#문항수#정답’의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문자열을 사용한다. 현재 시스템에서 설정된 교수자측 프로그램의 데이터 헤더는‘!@@$’, 수강생측 SMS의 데이터 헤더는 ‘!@#$’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1346# 7882#03#332’라는 SMS 데이터는 수강생 사용자가 서버로 교수자 코드 1346, 시험지 코드 7882의 3문제짜리 시험을 응시하였고 그 정답을 1번에 3번, 2번에 3번, 3번에 2번을 입력하여 서버로 전송했음을 의미한다. 전송이 완료되면 도 3i와 같이 화면이 출력된다. 수강생은 제출된 답안들을 추후 도 4와 같이 휴대폰에서 열람할 수 있다.
그 후, 서버는 도 5와 같은 절차를 통해 수신된 SMS 메시지들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서버가 SMS 데이터 수신을 감지하면, 수신된 데이터가 수강생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수강생 데이터가 맞으면(YES)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하여 채점을 진행하게 된다. 그 채점결과를 수강생의 휴대폰(클라이언트)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의 통계도 교수자의 휴대폰(호스트)로 전송된다. 교수자와 수강생은 시험 종료와 동시에 서버로부터 SMS 메시지로 시험 결과와 성적통계를 각각 받게 된다. 한편, 수강생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NO), 교수자에 의하여 설정된 시험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시험정보의 정답을 서버에 저장한다. 그 후 추가적으로 서버는 SMS가 수신된 시간 순서에 맞추어 수강생들 시험결과를 저장한 후 SMS로 서버에 데이터 전송을 하여, 도6과 같이 수강생의 휴대폰 전화번호로 구분되며 수신 시간 순서로 서버에 저장된 시험정보, 제출된 답안 및 정답을 보여주는 교수용 web페이지를 통하여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출원인은 본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시스템을 구현하여 38명의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20분 수업 후, 수업 내용을 묻는 5~7문제의 퀴즈를 본 발명의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문제들 중에 정답률이 60% 이하인 문제에 대해서는 관련 강의 내용을 다시 설명하였다. 이후 표 1과 같은 내용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매우 그렇다', '그렇다', '잘 모르겠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의 5단계 응답지를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표 2와 같다.
번호 설문내용
1 본 프로그램은 수업 중 사용하게에 편리하였는가?
2 본 프로그램을 이용한 강의 중에 이루어질 즉각적인 시험을 대비하기 위해서 수업 전반에 대한 집중 및 몰입도가 향상 되었습니까?
3 교수자가 학생들의 학생들의 시험 결과를 빠르게 파악하여 오답률이 높거나 학생들의 이해가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적절한 보충 설명이 이루어졌습니까?
4 본 프로그램이 강의의 난이도를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5 본 프로그램이 강의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6 본 프로그램을 강의에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긍정적으로 생각하십니까?
문항
번호
매우
그렇다
그렇다 잘모르겠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
1 15.79 52.63 18.42 13.16 0
2 15.79 57.89 21.05 2.63 0
3 13.16 57.89 21.05 5.26 0
4 18.42 52.63 26.31 2.63 2.63
5 13.16 57.89 18.42 10.53 0
6 7.89 57.89 23.68 10.53 0
6개 설문 문항 모두에 대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이 70% 이상인 결과는 본 프로그램에 대해 학생들이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실험의 결과는 교수자가 출제하는 퀴즈 문제의 난이도와 퀴즈 문제의 정답률의 활용 기준, 교수법, 학생의 수업능력 및 수업태도 등 기타 여러 가지 변수들에 의해 가변적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본 테스트를 통해 본 프로그램이 수업 중에 교수자와 수강생 사이에 익명성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사용하기 간편한 새로운 형태의 의사소통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설문조사와는 직접 연관되지 않은 사전의 수회의 수업 중 시험 성적이 수강생들의 핸드폰(클라이언트)에 축적되는 과정은 수강생으로 하여금 해당 강의에 항상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교수자 역시 수강생의 성적변화를 즉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수강생의 학습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응용예>
앞서 살핀 설명에서는 강의실과 같은 교육 현장에서 본원의 모바일 교육 시스템이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원에 따르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은 다양한 교육분야에서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재능수학 등과 같은 오프라인 교육업체, 학교와 같은 교육, 학원과 같은 사교육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종래에 재능수학과 같은 방문 교육의 경우에 방문교사가 학생에게 그날 문제를 내주면 추후 다시 방문시 학생으로부터 답안지를 회수하여 처리하거나 그 자리에서 직접 답안지를 채점하여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적어도 2~3일 정도의 시간이 흐른 뒤에 시험의 결과를 학생에게 통보해주게 되는데, 이와 같은 학습방법 하에서는 학생이 시험친 문제들 중 틀린 문제를 다시 학습한다 하더라도 적어도 2~3일의 시간이 지난 뒤라서 학습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학교와 같은 공교육과 학원과 같은 사교육 현장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그러나, 본원발명에 따른 모바일 교육 시스템이 적용된다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방문시 교사가 내준 문제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방식과 같이 학생이 문자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답안지를 서버로 전송하면, 학생의 답안지는 자동적으로 채점되어 그 채점 결과가 학생의 모바일 기기 또는 컴퓨터(클라이언트)로 전송된다. 그리고, 그 채점 결과와 그 결과에 따라 분석한 통계자료(예를 들어, 틀린 문제, 문제풀이 하는데 소비한 시간, 채점한 점수 등을 기초로 학생이 어떤 분야에 취약한지 여부 등을 분석한 통계자료)를 교사의 모바일 기기 또는 컴퓨터(호스트)로 전송한다. 물론, 학생은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web 페이지를 통하여 자신이 틀린 문제, 점수, 통계자료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즉석에서 자신의 시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시험시 집중력이 더욱 향상될 것이며, 시험 후 자신이 틀린 문제를 즉시 확인하여 재학습함으로써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학생의 시험 결과가 서버에 축적되고, 축적된 결과를 기초로 교사는 학생의 학습 진도, 학습 수준, 학습 분야 등의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축적된 결과는 학생의 교육 성취도 및 학습 상담시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개인 학생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학생의 학습효율 및 교육 만족도도 크게 향상될 것이다.

Claims (9)

  1. 시험정보가 설정되는 호스트;
    상기 호스트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시험정보에 대응한 답안지가 저장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저장된 답안지가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시험정보에 대한 정답을 답안지에 기록하여 이를 저장한 후 저장된 답안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받은 답안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상기 각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상기 결과의 통계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와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정답이 기록된 답안지를 SMS(Short Ma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e-mail)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결과를 SMS(Short Ma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e-mail)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 상기 결과의 통계를 SMS(Short Massage Service) 또는 이메일(e-mail)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자에 의하여 이용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교수자의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생에 의하여 이용되며,
    상기 호스트, 상기 클라이언트, 상기 서버는 상기 수강생의 수업참여도를 높임과 동시에 수업평가를 하기 위하여 및 상기 교수자가 상기 결과의 통계를 기초로 강의수준 결정을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시험정보를 교수자ID, 시험ID, 시험문항수, 시험유형, 정답으로 구성하여 설정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교수자ID, 시험ID, 시험문항수, 시험유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답안지에 정답을 기록하며,
    상기 서버는 정답이 기록된 답안지를 상기 호스트에 의하여 설정된 정답과 비교하여 상기 결과 및 상기 결과의 통계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바일 교육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에 의하여 설정된 시험의 내용은 상기 교수자에 의하여 강의 현장에서 구두, 판서, 시험지 및 빔프로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수강생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의 내용은 O/X형, 선다형, 단답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생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수강기간 동안 제공된 상기 시험의 내용, 상기 결과 및 상기 결과의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교육 시스템은 공교육과 사교육의 강의실에서 이용되거나,
    방문학습과 같은 방문교육현장에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교육 시스템.
KR1020100050983A 2010-05-31 2010-05-31 모바일 교육 시스템 KR20110131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983A KR20110131517A (ko) 2010-05-31 2010-05-31 모바일 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983A KR20110131517A (ko) 2010-05-31 2010-05-31 모바일 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517A true KR20110131517A (ko) 2011-12-07

Family

ID=4549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983A KR20110131517A (ko) 2010-05-31 2010-05-31 모바일 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15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3333A1 (en) * 2012-02-15 2013-08-22 Turning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dministering a high stakes te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3333A1 (en) * 2012-02-15 2013-08-22 Turning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dministering a high stakes te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mpbell et al. Laptops in the classroom
Adedoja et al. Learners’ acceptance of the use of mobile phones to deliver tutorials in a distance learning context: A case study at the University of Ibadan
US20120164619A1 (en) Educ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105679122A (zh) 多功能大学英语教学管理系统
Morris et al. Case study: suggesting choice: inclusive assessment processes
US10056002B2 (en) Technologies for students evaluating teachers
Zidan Teaching social work in an online environment
Haug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sign language test development: Results of an international survey
JP2017026827A (ja) 学習支援システムおよび学習支援方法
Hussain et al. Challenges Faced by PH. D. Scholars and Supervisors During COVID-19 in Turkey and Pakistan
KR20110131517A (ko) 모바일 교육 시스템
Gürlüyer EXAMINING STUDENTS’PERCEPTIONS AND ACHIEVEMENTS IN TERMS OF THE UTILIZATION OF WHATSAPP IN LEARNING EFL VOCABULARY
Grazulevicius et al. Applying smart devices for gathering real‐time feedback from students
US20200020241A1 (en) System for career technical education
Saikia et al. Estimating attention and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in a large classroom environment
KR20160020813A (ko) 시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010085149A (ko) 인터넷 기반 첨삭지도 학습지 시스템
Gonzales Teachers' confidence and preparedness for teaching mobile learners
JP2019086549A (ja) ウェブラーニング装置及びウェブラーニング方法
Gentry The content of beginning special educators' conversations with their electronic mentors
Stewart An assessment compari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computer self-efficacy and task based computer knowledge
TWM531030U (zh) 電子裝置
Ike et al. PERCEPTION OF BUSINESS EDUCATORS TOWARDS THE USE OF ICT EDUCATIONAL APPLICATIONS IN TEACHING AND LEARNING IN PUBLIC COLLEGES OF EDUCATION IN ANAMBRA STATE.
Bestler et al. An Inclusive Classroom Framework: Resources, Onboarding Approach and Ongoing Programs from CELT at Iowa State University
Bennett Professional Development Used to Enhance K-5 Teachers’ Competencies Working with English Language Lear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