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288B1 - 부품 실장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288B1
KR101994288B1 KR1020140012219A KR20140012219A KR101994288B1 KR 101994288 B1 KR101994288 B1 KR 101994288B1 KR 1020140012219 A KR1020140012219 A KR 1020140012219A KR 20140012219 A KR20140012219 A KR 20140012219A KR 101994288 B1 KR101994288 B1 KR 101994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inforcing member
axis direction
head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696A (ko
Inventor
강영구
이선재
반종억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288B1/ko
Priority to CN201510049978.1A priority patent/CN104822251B/zh
Publication of KR2015009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상기 헤드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을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부품 실장 장치{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
본 발명은 부품 실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판에 부품이 실장된 실장 기판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인 부품 실장 장치의 하나로서, 고정되어 있는 기판에 대하여 부품 공급부로부터 부품을 유지하고, 기판 상방까지 부품을 반송하고, 부품을 강하시켜 기판에 장착하는 부품 실장기가 있다.
부품 실장기는 유지한 부품의 XY 방향(수평면 내)의 위치를 정확하게 재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장 기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품 공급부로부터 기판 상방까지 부품을 반송하고, XY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기까지의 속도, 부품을 실장한 후에 부품 공급부까지 되돌아오기까지의 속도 등을 가능한 한 앞당길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품 실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헤드, 상기 헤드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을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 보강부재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부재 및 상기 제2 보강부재의 강성 비 또는 두께 비가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 상면까지의 높이 및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 하면까지의 높이의 높이 비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강성이 높고 중량이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과정에서 부품 실장 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최소화하여 부품 실장의 정확도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도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부품 실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프레임과 보강부재의 일 실시예를 후방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프레임과 보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프레임이 열 팽창에 의해 열 변형된 상태를 간략하게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도 5b는 제2 프레임으로부터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까지의 높이 비가 제1 보강 부재 및 제2 보강 부재의 강성 비에 대응되는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방향을 x축 방향,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y축 방향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100)는 부품 공급부로부터 부품(10)을 기판(30)의 상방에까지 반송하고, 반송한 부품(10)을 기판(30)에 장착하는 장치이다. 상기 부품 실장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10), 레일(130), 제1 프레임(150), 제2 프레임(170) 및 보강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10)는 부품(10)을 유지하여 반송하며, 기판(30)에 부품(10)을 장착하는 것이다. 즉, 헤드(110)는 부품(10)을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가지며, X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레일(130)에 장착되어 있다.
물론, 헤드(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품(10)을 기판(30)에 실장하는 장치뿐만 아니라, 부품(10)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거나 부품(10)을 접착하기 위한 수지를 도포하기 위한 장치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50)은 상기 레일(130)과 함께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70)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제1 프레임(150)이 y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170)은 제1 프레임(150)의 양단에 평행하게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과 보강부재를 후방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30)과 상기 제1 프레임(150)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130)은 상기 헤드(110)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레일(130)을 구비할 수 있으며, 2개의 레일은 z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110)는 상기 레일(130)에 의해 슬라이딩 되므로 상기 레일(130)에 마찰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레일(130)은 마찰 등에 강하지만 무거운 금속을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일(130)의 재료로는 주로 합금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일(130)의 재료로 사용되는 예로 크롬에 내식성이 있고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원소인 몰리브덴을 첨가한 합금강인 크롬 몰리브덴강(SCM)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SCM435가 주로 사용되는데 SCM435는 크롬의 함유량이 4(0.8~1.4)이고 탄소함유량이 0.32~0.38로 구성된다.
도 3은 제1 프레임과 보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 프레임(150)의 y축 방향의 일단면에는 상기 레일(13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50)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봉 형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레임(150)의 yz단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레일(130)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150)의 타단부로 갈수록 y축을 대칭으로 짧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레일(130)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제1 프레임(150)의 z축 방향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50)의 단면이 상술한 형태를 가지게 되는 경우에는 제1 프레임의2개의 단면이 레일(130)이 배치되는 간격의 길이를 1변으로 하는 정사각형 형태의 형상을 가지게 되는 경우에 비해 제1 프레임(150)을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물론, 제1 프레임(150)의 형태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50)으로는 가볍고 강도가 강한 재료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프레임(150)은 헤드(110)의 x축 방향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레일(130)을 x축 방향을 따라 유지하는 부재이다. 한편, 왕복 운동하는 헤드(110)가 진동하면 유지하고 있는 부품(10)을 떨어뜨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바 정확한 위치에 부품(10)을 옮기기 위해서는 제1 프레임(150)의 변형 등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150)은 구조적인 강도를 충분히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프레임(150)은 레일(130) 및/또는 헤드(110)와 함께, 제2 프레임(170)을 따라 직선적으로 왕복 운동하는 부재이므로 경량일수록 고속으로 부품(10)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프레임(150)은 가벼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예로 알루미늄(Al)이 제1 프레임(150)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제1 프레임이 열 팽창에 의해 열 변형된 상태를 간략하게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프레임(150)은 상기 헤드(110)가 레일(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x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리니어 모터 코일의 발열에 의해 열 팽창이 발생한다. 이 때, 제1 프레임과 레일의 열팽창 차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제1 프레임이 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50) 자체가 열 팽창에 의해 z축 방향으로 변형되는 현상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50)을 기준으로 하여 제1 프레임을 지지하는 레일(170)의 구속 지점이 제 1 프레임(150)의 도심 위치에 존재 하여 상부와 하부가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면 제1 프레임의 z축 방향의 열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제1 프레임(150)의 하부에만 제2 프레임(170)이 설치되어 있어 제1 프레임(150)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적인 지지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50) 자체가 z축 방향으로 열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프레임(150)이 z축 방향으로 열 변형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의 발열에 의해 제1 프레임(150)이 열 팽창되면 제1 프레임(150)의 양단이 제2 프레임(170)에 연결되는 브래킷(171)이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 때, 제1 프레임(150)의 양단은 하부에 위치한 제2 프레임(170)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열 팽창된 제1 프레임이 제2 프레임을 벗어날 수 없다. 다만, 제1 프레임(150)의 중앙부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물선 형태로 위로 솟아오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50)이 모터 발열에 의한 열 변형에 의해 양단은 고정된 채 중앙부만이 z축 방향으로 위로 솟아오르는 xz 평면 내 굽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레임이 z축 방향으로 휜 상태에서 헤드(110)가 제1 프레임을 따라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면 부품 실장 등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프레임(150)이 z축 방향으로 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보강 부재(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60)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집중된 상기 응력에 저항할 수 있는 탄소 강화 섬유 플라스틱(CFRP)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50)의 X축 방향의 열팽창을 억제함에 따라 z축 방향으로 제1 프레임(150)이 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프레임(150)을 곧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탄소 강화 섬유 플라스틱(CFRP)이란 탄소 섬유를 에폭시 수지나 불소 수지 등의 기재에 합침한 것을 다수의 층으로 적층하고 약간 가압한 것을 가열 고화하여 만들어지는 재료이다. 이는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쇠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보강 부재(160)의 재료로 탄소 강화 섬유 플라스틱(CFRP)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도가 강하고 중량이 가벼운 재료이면 어떤 것이라도 상기 보강 부재(160)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60)는 제1 프레임이 z축 방향으로 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제1 프레임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제1 프레임(150)이 z축 방향으로 위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 부재(160)를 구비하는 것이므로 제1 프레임(150)의 상면에만 구비되거나 제1 프레임(150)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구비됨이 더 바람직하다.
도 2및 도3에는 제1 프레임(150)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보강 부재(160)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프레임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보강 부재(162)와 제1 프레임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 보강 부재(164)를 동일하게 설계하여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 1 보강 부재(162)와 제 2 보강 부재(164)가 동일하게 설계되어 부착되는 경우에는 제1 프레임(150)이 열 변형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크게 감소시키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제1 프레임(150)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일과 하부에 구비되는 레일 사이에 균등하지 않은 열 변형이 발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50)은 하부만이 제2 프레임(170)에 의해 구속되어 제1 프레임(150)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적인 지지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프레임(150)이 열에 의해 변형되어 중앙부가 z축 방향으로 상부로 솟아올라 휘게 된다.
즉, 제1 프레임이 구속되는 지점으로부터 제1 프레임의 상면까지의 거리가 제1 프레임의 하면까지의 거리보다 멀게 되므로 제1 프레임의 상면이 변형되는 정도가 제1 프레임의 하면이 변형되는 정도보다 크다.
따라서, 보강 부재(160)를 결합함에 있어서 제1 보강 부재(162)와 제2 보강 부재(164)를 동일하게 설계하게 되면 제1 프레임이 변형되는 정도가 줄어들기는 하지만 제1 프레임의 상면이 변형되는 정도와 제1 프레임의 하면이 변형되는 정도가 동일하게 감소하게 된다.
즉, 변형률이 감소하기는 하나 여전히 제1 프레임의 상면과 하면의 변형 정도에는 차이가 생기게 되어 제1 프레임의 상면과 하면의 z축 방향 열변형은 균일하지 않으므로 제1 프레임이 휘는 현상이 발생하여 헤드(110)를 이송하는 레일(130)의 수명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1 보강 부재(162)와 제2보강 부재(164)에 차등을 두어 설계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이 제2 프레임에 의해 구속되는 지점으로부터 거리가 먼 제1 프레임의 상면이 변형되는 정도가 제2 프레임에 의해 구속되는 지점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제1 프레임의 하면이 변형되는 정도보다 크기 때문에 제1 보강 부재(162)와 제2 보강 부재(164)에는 차등을 두어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보강 부재(162)를 상기 제2 보강 부재(164) 보다 변형되는 정도가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1 프레임(150)의 상부와 하부가 변형되는 정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보강 부재(162)와 상기 제2 보강 부재(164)를 강성이 다른 재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50)의 상부에만 제1 보강 부재(162)를 부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보강 부재(164)의 위치에 헤드(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니어 스케일이 부착되도록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리니어 스케일의 강성이 제 2 보강 부재(164)와 비슷한 수준의 강성을 갖는 경우 제 2 보강 부재(164)는 부착 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강성이라 함은 재료가 힘을 받았을 때 변형되는 척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강성이 큰 재료일수록 동일한 힘을 받았을 때 변형이 적게 된다.
따라서, 제1 보강 부재(162)에 사용되는 재료로 제2 보강 부재(164)에 사용되는 재료보다 강성이 큰 재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열 팽창에 의해 제1 프레임(150)의 상면이 변형되는 정도가 이에 결합된 강성이 큰 제1 보강 부재(162, K top)에 의해 감소된다.
상기 제1 보강 부재(162)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작은 제2 보강 부재(164, K bottom)는 프레임(150)의 하면에 결합됨에 따라 제1 프레임의 하면이 열 변형되는 정도를 감소시키되 상면의 열 변형 발생이 감소되는 정도보다는 적게 감소되어 제1 프레임의 상면과 하면이 열 변형되는 차이를 줄인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의 열 변형이 적게 발생하며 제1 프레임의 상면과 하면에 비슷한 정도로 열 변형이 발생하여 제1 프레임이 z축 방향으로 휘는 정도가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강 부재(162)와 상기 제2 보강 부재(164)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되 두께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즉, 상기 제1 보강 부재(162)는 두께를 두껍게 구비하고 상기 제2 보강 부재(164)는 두께를 얇게 구비하여 제1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가 변형되는 정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이 때, 제1 보강 부재(162)와 제2 보강 부재(164)의 강성 비 또는 두께 비가 베이스(1)로부터 제1 프레임(150) 상면까지의 높이 및 베이스(1)로부터 제1 프레임(150) 하면까지의 높이의 높이 비에 대응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5는 베이스(1)로부터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까지의 높이 비(H top: H bottom)가 제1 보강 부재 및 제2 보강 부재의 두께 비(T top: T bottom)에 대응되는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로부터 제1 프레임의 상면까지의 높이(H top)와 제1 프레임의 하면까지의 높이(H bottom) 비가 5 대 1인 경우이다.
이 때, 제1 보강 부재(162)와 제2 보강 부재(164)의 두께 비(T top: T bottom)가 상기 높이 비(H top: H bottom)에 대응되도록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대 1이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즉, 제1 보강 부재(162)와 제2 보강 부재(164)를 두께 비(T top: T bottom)가 5대 1이 되도록 설계하여 똑같은 열이 가해지더라도 제1 보강 부재(162)가 제2 보강 부재(164)에 비하여 1/5배로 변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1 프레임(150)의 상면과 하면의 변형률은 베이스(1)로부터 제1 프레임의 상면까지의 높이(H top)와 제1 프레임의 하면까지의 높이(H bottom)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보강 부재(162)와 제2 보강 부재(164)의 두께 비(T top: T bottom) 또는 강성 비(K top: K bottom)를 제1 보강 부재(162)와 제2 보강 부재(164)의 높이 비(H top: H bottom)으로 설계하여 제1 프레임(150)이 휘는 정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부품 30: 기판
100: 부품 실장 장치 110: 헤드
130: 레일 150: 제1 프레임
160: 보강 부재 162: 제1 보강 부재
164: 제2 보강 부재 170: 제2 프레임
171: 브래킷

Claims (3)

  1. 헤드;
    상기 헤드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면에 상기 제2 프레임이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 보강부재;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만이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적인 지지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보강부재 및 상기 제2 보강부재의 강성 비 또는 두께 비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 상면까지의 높이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 하면까지의 높이의 높이 비에 대응되는 부품 실장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40012219A 2014-02-03 2014-02-03 부품 실장 장치 KR101994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219A KR101994288B1 (ko) 2014-02-03 2014-02-03 부품 실장 장치
CN201510049978.1A CN104822251B (zh) 2014-02-03 2015-01-30 部件装配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219A KR101994288B1 (ko) 2014-02-03 2014-02-03 부품 실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696A KR20150091696A (ko) 2015-08-12
KR101994288B1 true KR101994288B1 (ko) 2019-06-28

Family

ID=5373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219A KR101994288B1 (ko) 2014-02-03 2014-02-03 부품 실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4288B1 (ko)
CN (1) CN104822251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294A (ja) * 2000-12-08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ヘッド直動装置
JP2011210895A (ja) 2010-03-29 2011-10-20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
JP2012129317A (ja) * 2010-12-14 2012-07-05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4224B2 (ja) * 2001-11-30 2007-04-11 Juki株式会社 Xy位置決め装置及び電子部品搭載装置
DE10309879B4 (de) * 2003-03-06 2006-08-31 Siemens Ag Vorrichtung zum Bestücken von Substraten mit elektrischen Bauelementen
JP3848288B2 (ja) * 2003-04-25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4964954B2 (ja) * 2006-11-06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移動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
KR20120132301A (ko) * 2010-03-29 2012-12-05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품 실장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294A (ja) * 2000-12-08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ヘッド直動装置
JP2011210895A (ja) 2010-03-29 2011-10-20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
JP2012129317A (ja) * 2010-12-14 2012-07-05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22251A (zh) 2015-08-05
KR20150091696A (ko) 2015-08-12
CN104822251B (zh)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2301A (ko) 부품 실장 장치
JP2012129317A (ja) 部品実装装置
US9302394B2 (en) Positioning device
US20140037397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machine tool and machine tool
JP6104730B2 (ja) 成形金型及び複合材の成形方法
JP2014233924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部材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KR101994288B1 (ko) 부품 실장 장치
US10271470B2 (en) Linear motion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4728399B2 (ja) 基板に電気素子を実装するための実装システム及び機械本体
JP4794674B1 (ja) 部品実装装置
JP2014524861A (ja) 摺動式外側突出部を備えたマンドレル
JP2006205279A (ja) X−yステージ装置
JP2014210432A (ja) 受け台用横梁及びこれを適用した基板処理装置
JP4202844B2 (ja) 複合材料の成形治具
JP2012146829A (ja) 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の製造方法
CN101939133A (zh) 保持件
JP2018201026A (ja) 直動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
KR101411190B1 (ko) 갠트리 스테이지
JP2011258805A (ja) ヘッド位置決め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JP2014192509A (ja) 部品実装機
JP5758309B2 (ja) 構造部材及び構造部材の補強方法
JP2011238887A (ja) 部品実装装置、メンテナンス方法
CN205951290U (zh) 一种3d打印机缓震底盘
KR20190003055U (ko)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JP2010135434A (ja) ステージ、そのステージを備えたステージ装置、及びそのステージ装置を備えた半導体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