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940B1 -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940B1
KR101991940B1 KR1020120086791A KR20120086791A KR101991940B1 KR 101991940 B1 KR101991940 B1 KR 101991940B1 KR 1020120086791 A KR1020120086791 A KR 1020120086791A KR 20120086791 A KR20120086791 A KR 20120086791A KR 101991940 B1 KR101991940 B1 KR 10199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side fixing
main bod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122A (ko
Inventor
한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6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940B1/ko
Priority to US13/852,125 priority patent/US9161469B2/en
Priority to EP13170161.7A priority patent/EP2696252B1/en
Publication of KR20140020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키패드가 노출되는 상면 및 상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하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본체부와 36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전면 및 전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후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자력을 이용하여, 본체부의 상면과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접촉되는 제1 위치 및 본체부의 하면과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이 접촉되는 제2 위치에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360도 회전 동작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랩톱(laptop) PC는 키패드 등을 구비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가 힌지유닛을 통해 상호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최근들어, 터치 스크린을 통한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이 대중화됨에 따라, 랩톱 PC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랩톱 PC에서도 태블릿 PC와 같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랩톱 PC의 경우, 일반적인 클램셀(clamshell) 모드 뿐만 아니라 태블릿(tablet) 모드도 지원 가능하게 된다. 또한, 랩톱 PC는, 기존의 180도 이내에서 회전 가능한 제품 뿐만 아니라 360도 회전도 가능한 제품들도 출시되고 있다. 여기서, 360도 회전 가능한 랩톱 PC는 일반적으로 태블릿 모드도 함께 포함하게 된다.
일반적인 180도 회전 가능한 랩톱 PC에서는 제품의 보관이나 이동시 디스플레이부를 닫아, 즉, 디스플레이부의 전면과 본체부의 상면을 접촉시킨 상태(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 사이 각도가 O도)에서 힌지유닛의 멈춤쇠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360도 회전 가능한 랩톱 PC에서는, 힌지유닛의 멈춤쇠로는 360도 회전 상태에서의 고정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힌지유닛의 멈춤쇠는 디스플레이부의 360도 회전 동작에 제약을 준다.
그러므로, 360도 회전 동작이 가능한 랩톱 PC에서, 0도 뿐만 아니라 360도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 사이를 고정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가 360도 회전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0도 및 360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키패드가 노출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하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36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후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접촉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이 접촉되는 제2 위치에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는 제1 고정유닛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2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본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기며,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길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기며,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길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각각 서로를 끌어당길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본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기며,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길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위치고정유닛의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가 자기장을 감지하면, 상기 키패드의 오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미러링, 및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로킹스위치 및 상기 로킹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위치고정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킹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자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360도 회전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0도 및 360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360도 회전 동작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후면 하우징의 내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부에 구비된 탑 하우징의 내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부에 구비된 바텀 하우징의 내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클램셀 모드에서 닫힌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태블릿 모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가 클램셀 모드에서 닫힌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태블릿 모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가 클램셀 모드에서 닫힌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태블릿 모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가 클램셀 모드에서 닫힌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태블릿 모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360도 회전 동작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10)는 본체부(100), 디스플레이부(200), 힌지유닛(300), 및 위치고정유닛(500)을 포함한다.
휴대용 전자기기(10)는 랩톱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휴대용 기기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용 전자기기(10)는 랩톱 PC, 그 중에서도 태블릿 모드 구현이 가능한 랩톱 PC에 한정하여 설명하겠다.
본체부(100)는 탑 하우징(110), 바텀 하우징(130), 키패드(150), 터치패드(17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탑 하우징(110) 및 바텀 하우징(130)은 상호 결합되어 본체부(100) 내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들(미도시)를 수용한다.
키패드(150)는 탑 하우징(110)의 상측에 장착된다. 키패드(150)는 문자, 숫자, 기호, 및 방향 표시 등의 버튼이 구비되며, 사용자는 키패드(150)의 버튼을 눌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키패드(150)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터치패드(170)는 탑 하우징(110)의 상측에 장착된다. 터치패드(170)는 랩톱 PC에서 마우스 대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터치패드(170)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용 전자기기(10)는 일반적인 랩톱 PC의 기능 이외에도 태블릿 PC에서와 같은 태블릿 모드를 지원하는데,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일반적인 랩톱 PC의 클램셀 모드 및 태블릿 PC의 태블릿 모드를 제어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전면 하우징(210), 후면 하우징(230), 및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포함한다.
전면 하우징(210) 및 후면 하우징(230)은 상호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수용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50)은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는 부품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태블릿 모드 지원이 가능한 터치 패널로서 구비된다. 터치 패널은 정전식 또는 감압식일 수 있다. 터치 패널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힌지유닛(300)은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배치된다. 힌지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0°~ 360°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힌지유닛(300)은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0°~ 360°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힌지유닛(300)은 프리스탑(freestop)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0°~ 360°의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각도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부(20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유닛(300)은 0°및 360°에서 본체부(100) 및 디스플레이부(200)를 상호 절첩할 수 있다.
위치고정유닛(500)은 0°및 360°에서 본체부(100) 및 디스플레이부(200)를 고정한다. 즉, 위치고정유닛(500)은 0°, 즉, 본체부(100)의 상면과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이 접촉되는 위치, 및 360°, 즉, 본체부(100)의 하면과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이 접촉되는 위치에서 각각 본체부(100) 및 디스플레이부(200)를 고정한다.
위치고정유닛(500)은 디스플레이부(200)에 구비되는 제1 고정유닛(520) 및 본체부(100)에 구비되는 제2 고정유닛(540)을 포함한다. 제2 고정유닛(540)은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 및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후면 하우징의 내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후면 하우징(230)은 내면(232)에 제1 고정유닛(520)이 장착된다. 제1 고정유닛(520)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겠다.
각각의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는 후면 하우징(230)의 내면(232)에 형성된 수용홈(236)에 각각 장착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는 수용홈(236)에 장착 후 본딩 처리되어 후면 하우징(230)의 내면(232)에 고정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522)이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524)이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한편,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후면 하우징이 아닌 전면 하우징의 내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는 자석으로 구비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고정부재(520)는 6개의 자석을 직렬 연결한 것으로, 6개의 자석이 하나의 수용홈(236)에 장착된다. 각각의 자석의 크기는 4mm(가로폭)×3mm(세로폭)×10mm(길이)이며, 자력의 크기는 3600G이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자석의 수, 크기, 및 자력의 크기는 설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자석은 단극 자석 뿐만 아니라 다극 자석도 사용될 수 있고, 전자석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부에 구비된 탑 하우징의 내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고,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부에 구비된 바텀 하우징의 내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탑 하우징(110)은 내면(112)에 제2 고정유닛(540; 도 1에 도시)의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가 장착된다.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겠다.
각각의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는 탑 하우징(110)의 내면(112)에 형성된 수용홈(116)에 각각 장착된다.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는 수용홈(116)에 장착 후 본딩 처리되어 탑 하우징(110)의 내면(112)에 고정된다.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는 자성체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연도금강판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겠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제1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이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각각의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는 5.2mm(가로폭)×1mm(세로폭)×60mm(길이)의 크기를 갖는다. 이 역시 예시적인 것일 뿐 제1 본체측 고정부재의 크기는 설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바텀 하우징(130)은 내면(132)에 제2 고정유닛(540; 도 1에 도시)의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가 장착된다.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가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겠다.
각각의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는 바텀 하우징(130)의 내면(132)에 형성된 수용홈(136)에 각각 장착된다.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는 수용홈(136)에 장착 후 본딩 처리되어 바텀 하우징(130)의 내면(132)에 고정된다.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는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와 같이 자성체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 역시 아연도금강판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겠다. 각각의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의 크기는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와 같은 5.2mm(가로폭)×1mm(세로폭)×60mm(길이)로 이루어진다.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의 크기도 예시적인 것일 뿐 설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바텀 하우징(130)의 내면(132)에는 좌측에 구비된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의 상측에 감지센서(600)가 구비된다. 감지센서(600)는 감지센서 수용홈(138)에 장착되며, 장착 후 본딩 처리되어 바텀 하우징(130)의 내면(132)에 고정된다. 감지센서(600)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감지센서(60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감지센서(600)의 장착 위치는 예시적인 것일 뿐 감지센서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바텀 하우징 내의 다른 위치에도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클램셀 모드에서 닫힌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10)가 일반적인 클램셀 모드에서 닫힌 모습이 개시된다.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비사용시나 장치의 운반시 도 6과 같이 본체부(100)의 상면과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을 접촉시켜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상호 절첩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램셀 모드에서 본체부(100)의 상면(102)과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이 접촉되면,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와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와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의 자기장(화살표)이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에 미칠 수 있게 확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와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 사이의 거리(w)가 2.64mm이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제1 본체측 고정부재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의 자력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로 이끌리게 되며, 이를 통해 본체부(100)의 상면(102)과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은 서로 벌어지지 않고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용 전자기기(10)는 클램셀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00)를 닫는 경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와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를 통해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10)는 본체부(100)의 측면(106)에 로킹스위치(650)가 구비될 수 있다. 로킹스위치(650)는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과 본체부(100)의 상면이 접촉되는 위치 또는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과 본체부(100)의 하면이 접촉되는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부(200)를 본체부(100)에 대해 로킹하거나 언로킹하기 위한 것이다.
로킹스위치(650)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가 전자석일 경우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킹스위치(650)의 온/오프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10)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전자석의 자력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200)를 본체부(100)에 대해 로킹하거나 언로킹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태블릿 모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고, 도 9는 도 8의 A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10)의 태블릿 모드가 개시된다. 사용자는 태블릿 모드 전환시 힌지유닛(300; 도 1에 도시)의 축을 중심으로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본체부(100)의 하면과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을 접촉시켜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상호 절첩시킨다.
도 9를 참조하면, 태블릿 모드에서 본체부(100)의 하면(104)과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이 접촉되면,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와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와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의 자기장(화살표)이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에 미칠 수 있게 확보된다.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와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 사이의 거리(w)는 앞선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와 제1 본체측 고정부재(560) 사이의 거리와 같이 2.64mm이다. 이 역시 예시적인 것일 뿐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제2 본체측 고정부재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의 자력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로 이끌리게 되며, 이를 통해 본체부(100)의 하면(104)과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은 서로 벌어지지 않고 고정 유지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용 전자기기(10)는 태블릿 모드 구현시,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와 제2 본체측 고정부재(580)를 통해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키패드(도 1에 도시) 및 터치패드(도 1에 도시)는 본체부(100)의 상면(102)에 배치된다. 태블릿 모드시, 본체부(100)의 상면(102)은 보통 받침대 역할을 하므로 어딘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10)는 키패드 및 터치패드가 작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의도치 않은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0)는 태블릿 모드로 전환되면, 키패드 및 터치패드가 오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감지센서(600)가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의 자기장을 감지하면, 이후, 제어부(미도시)가 키패드 및 터치패드를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0)는 태블릿 모드시 키패드(도 1에 도시) 및 터치패드(도 1에 도시)의 불필요한 동작이 차단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감지센서(600)가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520)의 자기장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감지센서(600)가 자기장을 감지하는 경우, 텔레비젼 장치 등과의 미러링,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예로써, 알람, 슬라이드 쇼, 사진 기능 등) 등을 곧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위치감지유닛(500)의 제1 고정유닛(520)이 자석이고 제2 고정유닛(540)이 자성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고정유닛이 자성체이고 제2 고정유닛이 자석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고정유닛 및 제2 고정유닛 모두가 자석인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가 클램셀 모드에서 닫힌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태블릿 모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앞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위치고정유닛(700)은 제1 고정유닛(720) 및 제2 고정유닛(780)을 포함한다.
제1 고정유닛(72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74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760)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740)는 전면 하우징(210)의 내면(212)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760)는 후면 하우징(230)의 내면(232)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740) 및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760)는 각각 자성체로 구비되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아연도금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유닛(780)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측 고정부재(780)를 포함한다.
본체측 고정부재(780)는 탑 하우징(110)의 내면(112)에 장착되며, 일측(782)이 본체부(100)의 상면(102)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784)이 본체부(100)의 하면(104)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측 고정부재는 탑 하우징이 아닌 바텀 하우징의 내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측 고정부재(780)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극 자석, 다극 자석, 및 전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용 전자기기(2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을 참조하면, 클램셀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00)가 닫히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20)는 본체부(100)의 상면(102)과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이 접촉된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20)는 본체측 고정부재(780)의 자기장(화살표)으로 인해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740)가 본체측 고정부재(780) 방향으로 이끌린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20)는 본체부(100)의 상면(102)과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이 서로 벌어지지 않고 고정 유지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태블릿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20)는 본체부(100)의 하면(104)과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이 접촉된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20)는 본체측 고정부재(780)의 자기장(화살표)으로 인해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760)가 본체측 고정부재(780) 방향으로 이끌린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20)는 태블릿 모드시, 본체부(100)의 하면(104)과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이 서로 벌어지지 않고 고정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유닛이 자성체이고 제2 고정유닛이 자석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고정유닛이 자석이고 제2 고정유닛이 자성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고정유닛 및 제2 고정유닛이 모두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가 클램셀 모드에서 닫힌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태블릿 모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앞선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위치고정유닛(800)은 제1 고정유닛(820) 및 제2 고정유닛(880)을 포함한다.
제1 고정유닛(820)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8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820)는 후면 하우징(230)의 내면(232)에 장착되고, 일측(822)이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824)이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후면 하우징이 아닌 전면 하우징의 내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820)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극 자석, 다극 자석, 및 전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유닛(880)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측 고정부재(880)를 포함한다. 본체측 고정부재(880)는 탑 하우징(110)의 내면(112)에 장착되고, 일측(882)이 본체부(100)의 상면(102)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884)이 본체부(100)의 하면(104)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본체측 고정부재는 탑 하우징이 아닌 바텀 하우징의 내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측 고정부재(880)는 자성체로 구비되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아연도금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용 전자기기(3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를 참조하면, 클램셀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00)가 닫히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30)는 본체부(100)의 상면(102)과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이 접촉된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30)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820)의 자기장(화살표)으로 인해 본체측 고정부재(880)가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820) 방향으로 이끌린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30)는 본체부(100)의 상면(102)과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이 서로 벌어지지 않고 고정 유지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태블릿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30)는 본체부(100)의 하면(104)과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이 접촉된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30)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820)의 자기장(화살표)으로 인해 본체측 고정부재(880)가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820) 방향으로 이끌린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30)는 태블릿 모드시, 본체부(100)의 하면(104)과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이 서로 벌어지지 않고 고정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유닛이 자석이고 제2 고정유닛이 자성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고정유닛이 자성체이고 제2 고정유닛이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고정유닛 및 제2 고정유닛이 모두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가 클램셀 모드에서 닫힌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태블릿 모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앞선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위치고정유닛(900)은 제1 고정유닛(920) 및 제2 고정유닛(960)을 포함한다.
제1 고정유닛(92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9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940)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930)는 전면 하우징(210)의 내면(212)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940)는 후면 하우징(230)의 내면(232)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930) 및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940)는 각각 자석으로 구비되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극 자석, 다극 자석, 및 전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유닛(96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본체측 고정부재(97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본체측 고정부재(980)를 포함한다.
제1 본체측 고정부재(970)는 탑 하우징(110)의 내면(112)에 장착되어, 본체부(100)의 상면(10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본체측 고정부재(980)는 바텀 하우징(130)의 내면(132)에 장착되어, 본체부(100)의 하면(10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본체측 고정부재(970) 및 제2 본체측 고정부재(980)는 각각 자성체로 구비되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아연도금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용 전자기기(4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4를 참조하면, 클램셀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00)가 닫히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30)는 본체부(100)의 상면(102)과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이 접촉된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30)는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930)의 자기장(화살표)으로 인해 제1 본체측 고정부재(970)가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930) 방향으로 이끌린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40)는 본체부(100)의 상면(102)과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202)이 서로 벌어지지 않고 고정 유지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태블릿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40)는 본체부(100)의 하면(104)과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이 접촉된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40)는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940)의 자기장(화살표)으로 인해 제2 본체측 고정부재(980)가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940) 방향으로 이끌린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40)는 태블릿 모드시, 본체부(100)의 하면(104)과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204)이 서로 벌어지지 않고 고정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유닛이 자석이고 제2 고정유닛이 자성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고정유닛이 자성체이고 제2 고정유닛이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고정유닛 및 제2 고정유닛이 모두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휴대용 전자기기 100: 본체부
110: 탑 하우징 130: 바텀 하우징
150: 키패드 170: 터치패드
200: 디스플레이부 210: 전면 하우징
230: 후면 하우징 250: 디스플레이 패널
300: 힌지유닛 500: 위치고정유닛
520: 제1 고정유닛 540: 제2 고정유닛
560: 제1 본체측 고정부재 580: 제2 본체측 고정부재
600: 감지센서 650: 로킹스위치

Claims (22)

  1.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키패드가 노출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하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36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후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접촉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이 접촉되는 제2 위치에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유닛;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위치고정유닛의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는 제1 고정유닛;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2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본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기며,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인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기며,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각각 서로를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인접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본체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기며,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와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가 서로를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인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측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본체측 고정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가 자기장을 감지하면, 상기 키패드의 오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미러링, 및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로킹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킹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자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120086791A 2012-08-08 2012-08-08 휴대용 전자기기 KR10199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791A KR101991940B1 (ko) 2012-08-08 2012-08-08 휴대용 전자기기
US13/852,125 US9161469B2 (en) 2012-08-08 2013-03-28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P13170161.7A EP2696252B1 (en) 2012-08-08 2013-05-31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791A KR101991940B1 (ko) 2012-08-08 2012-08-08 휴대용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122A KR20140020122A (ko) 2014-02-18
KR101991940B1 true KR101991940B1 (ko) 2019-06-24

Family

ID=4857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791A KR101991940B1 (ko) 2012-08-08 2012-08-08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61469B2 (ko)
EP (1) EP2696252B1 (ko)
KR (1) KR101991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28132A1 (en) * 2012-10-12 2014-05-08 James L. Cox, III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s
US20140265781A1 (en) * 2013-03-15 2014-09-18 Adt Us Holdings, Inc. Panel with magnetic hinge
TWI498714B (zh) * 2013-11-28 2015-09-01 Wistron Corp 可攜式電子模組
US9894192B2 (en) 2014-09-04 2018-02-13 James L. Cox, III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TWI553449B (zh) * 2014-12-19 2016-10-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開合裝置
TWI557538B (zh) * 2015-08-14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US9983632B2 (en) * 2015-10-12 2018-05-29 Google Llc Cover to protect keyboard and bottom of laptop computer
CN108683758A (zh) * 2015-12-29 2018-10-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终端
US9785188B1 (en) * 2016-08-10 2017-10-10 Dell Products L.P. System for integrated magnetic retention
US10146267B2 (en) * 2016-12-31 2018-12-04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ing device with elastomeric hinge assembly
US10162381B2 (en) * 2017-03-21 2018-12-25 Google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held in configurations by magnets
EP3635506A4 (en) 2017-06-06 2021-0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DEVICES EQUIPPED WITH A CRUTCH
KR102423134B1 (ko) * 2017-06-12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하우징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730255A (zh) * 2018-07-16 2020-01-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折叠的终端
US11119535B2 (en) * 2019-08-30 2021-09-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ening force control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s
JP2022054411A (ja) * 2020-09-25 2022-04-06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ロックおよび位置ステータス検出スキーム
JP7008784B1 (ja) * 2020-12-18 2022-01-2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3710A (ja) * 2001-01-18 2004-11-04 アリゾナ ステイト ユニバーシティ 永久磁石のアライメント要件が緩和されたマイクロ磁気ラッチスイッチ
US20050101358A1 (en) * 2003-11-06 2005-05-12 Kevin Carpenter Mechanism for ergonomic integration of a digital camera into a mobil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4120A3 (en) 1990-04-27 1992-12-30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computer comprising keyboard and coordinate input tablet
JPH07183669A (ja) 1993-12-22 1995-07-21 Casio Comput Co Ltd 蓋体の開閉構造
CN1302006A (zh) * 1999-12-29 2001-07-04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便携式电脑用的磁控式启闭装置
TW587794U (en) * 2003-03-07 2004-05-11 Tatung Co Fastening structure of portable computer
US20050018393A1 (en) * 2003-07-25 2005-01-27 Uniwill Computer Corp. Magnetic open/close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KR100586513B1 (ko) * 2003-10-16 200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100534125B1 (ko) * 2003-12-10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100745800B1 (ko) 2004-04-27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래치장치
KR100664983B1 (ko) * 2004-06-23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반자동/수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US7405927B2 (en) * 2004-09-10 2008-07-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ush-button latching mechanism
KR101098618B1 (ko) 2005-01-03 201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개폐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13499B1 (ko) * 2006-04-12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08165367A (ja) * 2006-12-27 2008-07-17 Toshiba Corp 電子機器
KR101181385B1 (ko) * 2007-01-18 2012-09-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자기부상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69819A (ko) * 2007-01-24 2008-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TWI340618B (en) * 2007-10-23 2011-04-11 Htc Corp Electronic device
KR101608748B1 (ko) * 2009-02-18 201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탈부착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20100238620A1 (en) * 2009-03-23 2010-09-23 Ram David Adva Fish Magnetic Notebooks and Tablets
KR101578736B1 (ko) * 2009-07-07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10128216A1 (en) 2009-11-30 2011-06-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user interface
KR101175903B1 (ko) * 2010-09-17 2012-08-22 애플 인크. 보호 커버 및 보호 커버 제조 방법
TWM416792U (en) * 2011-07-14 2011-11-21 Quanta Comp Inc Foldable electric device
US8705229B2 (en) * 2012-04-25 2014-04-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old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first and a second magnet
US8947874B2 (en) * 2012-06-08 2015-02-03 Bartley K. Andre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a housing secured by a magnetic element and relate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3710A (ja) * 2001-01-18 2004-11-04 アリゾナ ステイト ユニバーシティ 永久磁石のアライメント要件が緩和されたマイクロ磁気ラッチスイッチ
US20050101358A1 (en) * 2003-11-06 2005-05-12 Kevin Carpenter Mechanism for ergonomic integration of a digital camera into a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6252B1 (en) 2017-03-08
KR20140020122A (ko) 2014-02-18
US20140043735A1 (en) 2014-02-13
US9161469B2 (en) 2015-10-13
EP2696252A1 (en)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940B1 (ko) 휴대용 전자기기
CN106774671B (zh) 一种可折叠屏幕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6539409B2 (ja)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フレキシブルなキーボードアクセサリ
US8467186B2 (en) Tablet PC cover with integral keyboard
US20120212433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310351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detachable user input attachment
US20140063712A1 (en) Portable device
JP620150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676131B2 (ja) 携帯電子機器
US20160370927A1 (en) Portable apparatus
WO2012108462A1 (ja) 電子機器
EP2556422A2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detachable user input attachment
US9674335B2 (en) Multi-configuration input device
US20150018045A1 (en) Cover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WO2013114503A1 (ja) 情報端末装置
JP2014235544A (ja) 電子機器および入力制御方法
WO2021237850A1 (zh) 可折叠显示装置
JP5573512B2 (ja) 携帯端末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17054353A (ja) 携帯用情報機器
JP5515951B2 (ja) 情報処理装置、入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3309401A (zh) 折叠型电子设备
CN106790859B (zh) 应用于智能终端设备的保护套
KR20140122602A (ko)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KR20070074831A (ko) 노트북컴퓨터
JP7191172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