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819A -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819A
KR20080069819A KR1020070007512A KR20070007512A KR20080069819A KR 20080069819 A KR20080069819 A KR 20080069819A KR 1020070007512 A KR1020070007512 A KR 1020070007512A KR 20070007512 A KR20070007512 A KR 20070007512A KR 20080069819 A KR20080069819 A KR 20080069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permanent magnet
coil
co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근
권오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9819A/ko
Priority to DE200810004148 priority patent/DE102008004148A1/de
Priority to US12/010,196 priority patent/US20080174127A1/en
Publication of KR20080069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electromagne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11Magnetic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100)의 개폐장치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영구자석(230)이 구비되는 전자석(210)과, 본체부(110)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부(120)에 설치되며 전자석(210)의 영구자석(230)과의 사이에 인력을 형성하는 금속편(270)을 포함하며, 전자석(210)은 외부전원의 인가시 영구자석(230)과 금속편(27)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도록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휴대전화기(100)의 개폐장치(200)는 전자석(210)에 외부전원의 인가시 표시부(120)가 열리도록 표시부(120)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280)을 더 포함한다.
휴대전화, 전자석, 영구자석, 스프링, 개폐장치

Description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가 설치된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개략적은 단면도; 및
도 5는 종래기술의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전화기 110 : 본체부
120 : 표시부 200,300 : 개폐장치
210,310 : 전자석 220,320 : 하우징
230,370 : 영구자석 240,330 : 코어
250,340 : 코일 270 : 금속편
280,380 : 코일스프링 370 : 요크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전원에 의해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으로 휴대전화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전화기는 음성 또는 문자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어 동영상, 게임 등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동하면서 TV를 시청할 수 있는 DMB폰과 같은 휴대전화기의 출시에 따라 휴대가 용이하도록 크기가 작으면서 시청이 편하도록 화면이 큰 휴대전화기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크기가 작으면서 큰 화면을 만족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휴대전화기는 본체부와 표시부가 절첩되게 개폐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및 본체부와 표시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드형 휴대전화기로 양분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표시부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었으나, 표시부를 자동으로 개폐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스프링 및 자석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개폐하는 구성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97891호에 개시되었으며, 이는 다음의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는 제1자석(2a), 제2자석(3a), 코일스프링(5) 및 버튼(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개폐장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1)의 제1박스(2)와 제2박스(3)에 설치되어 있다.
제1자석(2a)은 수화부 및 표시부 등이 구비되는 제1박스(2)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제2자석(3a)과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도록 제2자석(3a)의 극성에 반대되게 설치된다.
제2자석(3a)은 송화부 및 조작키 등이 구비되는 제2박스(3)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제1자석(2a)과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도록 제1자석(2a)의 극성에 반대되게 설치된다.
코일스프링(5)은 제1 및 제2박스(2,3)의 힌지부(4)에 설치되며, 제1박스(2)및 제2박스(3)를 탄성지지한다.
여기서, 코일스프링(5)의 탄성력은 제1 및 제2자석(2a,3a) 사이의 인력보다 작아 제1 및 제2자석(2a,3a)이 흡착된 상태에서는 휴대전화기(1)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버튼(12)는 휴대전화기(1)를 개폐하기 위한 조작수단으로, 사용자에 의해 압박되는 것에 의해 제2자석(3a)을 이동시켜 제1자석(2a) 및 제2자석(3a)를 분리시키며, 버튼(12)에 의해 제1 및 제2자석(2a,3a)이 분리되면, 코일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박스(2,3)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의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는 제1 및 제2자석(2a,3a)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2자석(3a)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2자석(3a)의 이동거리 및 버튼(12)의 이동거리로 인하여 설치공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영구자석의 자력으로 인하여 휴대전화기 내부의 부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었고, 이로 인하여 통화품질 및 기기의 오작동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전원에 의해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을 사용함으로써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자동으로 개폐하되, 전자석의 내부에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영구자석의 자력의 누설을 최소화함으로써, 장치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는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전자석과, 본체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부에 설치되며 전자석의 영구자석과의 사이에 인력을 형성하는 금속편을 포함하며, 전자석은 외부전원의 인가시 영구자석과 금속편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도록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는 전자석에 외부전원의 인가시 표시부가 열리도록 표시부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자석은 외부전원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코일이 권선되는 코어와, 코어의 상측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코일, 코어 및 영구자석을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어 및 하우징은 금속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는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 전자석과, 본체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부에 설치되며 외부전원의 비인가시 전자석과의 사이에 인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전자석은 외부전원의 인가시 영구자석과의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영구자석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는 전자석에 외부전원의 인가시 표시부가 열리도록 표시부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자석은 외부전원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코일이 권선되는 코어와, 코일 및 코어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어 및 하우징은 금속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는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전자석 쪽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요크를 더 포함하며, 요크는 금속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100)의 개폐장치(200)는 전자석(210), 금속편(270) 및 코일스프링(280)을 포함하며, 휴대전화기(100)의 본체부(110) 및 표시부(120)에 설치된다.
여기서, 휴대전화기(100)의 본체부(110)와 표시부(120)는 서로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힌지결합되는 부위에 코일스프링(280)이 설치되어, 코일스프링(130)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00)가 열리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100)의 개폐장치(200)의 전자석(210)은 하우징(220), 영구자석(230), 코어(240), 코일(250) 및 덮개(260)를 구비한다.
하우징(220)은 그 내부에 전자석(210)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영구자석(230)의 자기력 및 코일(250)의 자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금속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덮개(260)가 설치되는 상측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220)은 평판부(221) 및 평판부(221)의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테두리부(222)로 이루어진다.
평판부(221)는 중앙부위에 코일(250)이 권선되는 코어(240)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영구자석(230) 및 코일(250)의 자기력이 하측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테두리부(222)는 평판부(221)의 테두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코어(240)에 권선되는 코일(250) 및 영구자석(230)의 외주부를 감싸, 코일(250) 및 영구자석(230)의 자기력이 반경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코일(250) 및 영구자석(230)의 자기력을 금속편(270) 쪽으로 집중시킨다.
영구자석(230)은 금속편(270)과의 사이에 인력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전화기(100)의 표시부(12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금속편(270)과이 사이에 코일스프링(280)의 탄성력보다 큰 인력을 형성하며, 본 실시예에서 영구자석(230)은 전자석(210)의 내부, 즉 하우징(22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코어(240)는 외주면에 코일(250)이 권선되도록 하우징(220)의 내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판부(221)의 중앙부위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코어(240)의 상측부에 영구자석(230)이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코어(240)의 높이는 영구자석(230)의 높이를 고려하여 테두리부(222)의 높이보다 다소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코어(240)는 하우징(220)과 동일한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평판부(221)와 일체로 형성되나, 이와 달리 코어(240)만을 별로로 제작하여 평판부(221)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영구자석(230)이 코어(240)의 상측부에 설치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230)이 코어(240)의 하측부에 설치되고 평판부(221)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코어(240)가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250) 및 상측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230)의 자기력을 금속편(270) 쪽으로 집중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코일(250)은 외부전원에 의하여 금속편(270)과 영구자석(230)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도록 자기력을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20)의 내부에서 코어(240) 및 영구자석(230)의 외주부에 다수 회 권선된다.
여기서, 코일(250)은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금속편(270)과 영구자석(230)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도록 자기력을 발생하며, 본 실시예의 코일(250)은 영구자 석(230)의 자기력을 0으로 만들 수 있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260)는 하우징(220)의 개구부를 덮어 전자석(210)을 구성하는 부품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휴대전화기(100)의 개폐장치(200)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표시부(120)가 닫혀있는 경우, 전자석(210)의 코일(250)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영구자석(230)의 자기력에 의하여 영구자석(230)과 금속편(27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한다. 이때, 영구자석(230)과 금속편(270) 사이의 인력의 세기가 코일스프링(280)의 탄성력의 세기보다 크기 때문에, 표시부(1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표시부(120)를 열기 위하여 전자석(210)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210)의 코일(250)에 의하여 영구자석(230)과 금속편(270)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도록 자기력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영구자석(230)과 금속편(270) 사이의 인력의 세기가 0에 가까워진다. 영구자석(230)과 금속편(270) 사이의 인력의 세기가 약해지게 되면, 표시부(120)는 코일스프링(280)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부(110)에 대해 열리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개폐장치(200)는 영구자석(230)이 전자석(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자석(210)의 대상물로 금속편(270)을 사용하였으나, 이와 달리 전자석의 대상물로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100)의 개폐장치(300)를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 기서,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100)의 개폐장치(300)는 전자석(310), 영구자석(360), 요크(370) 및 코일스프링(380)을 포함하며, 전자석(310)은 하우징(320), 코어(330), 코일(340) 및 덮개(350)를 구비한다.
하우징(320)은 그 내부에 전자석(310)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영구자석(360)의 자기력 및 코일(340)의 자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금속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덮개(350)가 설치되는 상측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320)은 평판부(321) 및 평판부(321)의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테두리부(322)로 이루어진다.
평판부(321)는 중앙부위에 코일(340)이 권선되는 코어(330)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코일(340)의 자기력이 하측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테두리부(322)는 평판부의 테두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코어(330)에 권선되는 코일(340)의 외주부를 감싸, 코일(340)의 자기력이 반경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코일(340)의 자기력을 영구자석(360) 쪽으로 집중시킨다.
코어(330)는 외주면에 코일(340)이 권선되도록 하우징(320)의 내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판부(321)의 중앙부위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코어(330)의 높이는 테두리부(322)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코어(330)는 평판부(321)와 동일한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평판부(321)와 일체로 형성되나, 이와 달리 코어(330)만을 별로로 제작하여 평판부(321)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코어(330)가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340)의 자기력을 영구자석(360) 쪽으로 집중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코일(340)은 외부전원에 의하여 코어(330)와 영구자석(360)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도록 자기력을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320)의 내부에서 코어(330)의 외주부에 다수 회 권선된다. 여기서, 코일(340)은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영구자석(360)과의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영구자석(360)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350)는 하우징(320)의 개구부를 덮어 전자석(310)을 구성하는 부품의 이탈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석(310)의 대상물로서 영구자석(360)을 사용하며, 영구자석(360)은 요크(37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요크(370)는 영구자석(360)의 자기력을 전자석(310)에 집중시킬 수 있도록 금속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휴대전화기(100)의 개폐장치(300)의 작동을 도 1 및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표시부(120)가 닫혀있는 경우, 전자석(310)의 코일(340)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영구자석(360)의 자기력에 의하여 영구자석(360)과 전자석(31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한다. 이때, 영구자석(360)과 전자석(310) 사이의 인력의 세기가 코일스프링(380)의 탄성력의 세기보다 크기 때문에, 표시부(1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표시부(120)를 열기 위하여 전자석(310)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310)의 코일(340)에 의하여 영구자석(360)과 전자석(310)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도록, 영구자석(360)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자기력이 형성된다. 영구자석(360)과 전자석(310)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게 되면, 표시부(120)는 코일스프링(380)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부(110)에 대해 열리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마찰힌지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마찰힌지조립체는 노트북 컴퓨터를 비롯해 휴대폰, PDA, 휴대게임기 등의 모든 개폐가능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어 그 적용범위가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전원에 의해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을 사용함으로써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자동으로 개폐하되, 전자석의 내부에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영구자석의 자력의 누설을 최소화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전자석; 및
    상기 본체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의 상기 영구자석과의 사이에 인력을 형성하는 금속편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은 외부전원의 인가시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금속편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도록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에 외부전원의 인가시 상기 표시부가 열리도록 상기 표시부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외부전원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상측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코일, 코어 및 영구자석을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및 상기 하우징은 금속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5.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 전자석; 및
    상기 본체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부에 설치되며 외부전원의 비인가시 상기 전자석과의 사이에 인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은 외부전원의 인가시 상기 영구자석과의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영구자석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에 외부전원의 인가시 상기 표시부가 열리도록 상기 표시부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외부전원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코어; 및
    상기 코일 및 코어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및 상기 하우징은 금속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상기 전자석 쪽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요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크는 금속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KR1020070007512A 2007-01-24 2007-01-24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KR20080069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512A KR20080069819A (ko) 2007-01-24 2007-01-24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DE200810004148 DE102008004148A1 (de) 2007-01-24 2008-01-14 Öffnungs- und Schließvorrichtung für Mobiltelefone
US12/010,196 US20080174127A1 (en) 2007-01-24 2008-01-22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512A KR20080069819A (ko) 2007-01-24 2007-01-24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819A true KR20080069819A (ko) 2008-07-29

Family

ID=3962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512A KR20080069819A (ko) 2007-01-24 2007-01-24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74127A1 (ko)
KR (1) KR20080069819A (ko)
DE (1) DE102008004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5567B2 (en) 2005-12-13 2010-08-17 Apple Inc. Magnetic latching mechanism
US20110031766A1 (en) * 2009-08-05 2011-02-10 Chieh Huang Casing with magnetic latch
US8215684B2 (en) * 2010-01-20 2012-07-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owage assembly having electromagnetic closure
TWI469711B (zh) * 2010-03-02 2015-01-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及其鎖固結構
KR101991940B1 (ko) * 2012-08-08 201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US9447619B2 (en) * 2012-08-14 2016-09-20 Amazon Technologies, Inc. 90 degree magnetic latch to prevent high surface flux
WO2013080191A2 (en) * 2013-02-22 2013-06-06 Wasfi Alshdaifat Foldable flexible display (tri-phone)
FR3040341B1 (fr) * 2015-08-28 2018-06-01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Ensemble de rangement pour vehicule
EP3458306B1 (en) 2016-05-18 2020-12-16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
WO2018110749A1 (ko) * 2016-12-16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8806510B (zh) * 2018-06-05 2019-12-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弯折的背板结构及显示装置
KR20200101791A (ko) 2019-02-20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장치
US11572723B2 (en) 2019-02-27 2023-02-07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8906B2 (ja) 1994-09-22 1997-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オープン式折り畳み携帯電話機
KR100680700B1 (ko) 2005-07-11 2007-02-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판형 x선원을 이용한 디지털 x선 영상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x선 영상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04148A1 (de) 2008-08-21
US20080174127A1 (en)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9819A (ko)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
US6151486A (en) Magnetic latch and release device and radiotelephones incorporating same
KR100856238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US10141826B2 (en) Linear vibration motor i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coil coupled thereto is positioned to cover the coil, such that the coil does not directly contact a stator part, thereby preventing a phenomenon that the coil is unwound or disconnected and in which there are two ring-shaped damping members aligned with, spaced apart from and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coil
CN206490819U (zh) 一种声管道、扬声器总成和双侧出声手机
KR20120059934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0451800B1 (ko)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
KR20110012203A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132350A (ko) 자기력을 이용한 회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797688B1 (ko)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용 전자석
KR100351640B1 (ko)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160105807A (ko)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 및 방법
KR20000014986A (ko) 플립형 무선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40102482A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2011250393A (ja) 携帯電子機器
KR20100020133A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8004252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부
KR200338317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구조
KR100856252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1008425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200338943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45388Y1 (ko)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KR20080063612A (ko) 마이크로스피커
KR20100084412A (ko)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휴대형 기기의 개폐 장치
KR20090081101A (ko) 이중 폴더형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