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807A -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807A
KR20160105807A KR1020167018542A KR20167018542A KR20160105807A KR 20160105807 A KR20160105807 A KR 20160105807A KR 1020167018542 A KR1020167018542 A KR 1020167018542A KR 20167018542 A KR20167018542 A KR 20167018542A KR 20160105807 A KR20160105807 A KR 20160105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generator
shutter
electronic device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왈리드 새미 하다드
알렉산더 폴 바란간
빅터 이. 코치아
마이클 에스. 피스케
Original Assignee
비스크 커뮤니케이션즈,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102,382 external-priority patent/US8731186B1/en
Priority claimed from US14/102,387 external-priority patent/US8724020B1/en
Application filed by 비스크 커뮤니케이션즈,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비스크 커뮤니케이션즈,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10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04M1/725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 그리고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생성기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 작동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지지물에 의해 지지되는 셔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셔터는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전자 기기의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 및 방법 {MICROPHONE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 그런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 그리고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생성기 (generator)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diaphragm) 상에 작동하고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 그리고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에 유체적으로 결합된 생성기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 작동하며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실시예들은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을 수반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기의 외부 표면에 탈착 가능하에 결합된 슬리브 (sleeve) 또는 커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향하는 힘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힘이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서 작동하고 있을 때에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상기 힘은 공기 압력, 기계적 진동 또는 전기적인 힘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 그리고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셔터를 포함하며, 그 셔터는 계합 위치 (engaged position)에 있을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를 포함한다. 생성기는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서 작동하며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서 작동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 그리고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계합 위치 (engaged position)와 비-계합 위치 (non-engaged position)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셔터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는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를 포함한다. 생성기는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실시예들은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를 수반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기의 외부 표면에 탈착 가능하에 결합된 슬리브 또는 커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향하는 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는 상기 힘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동안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폰, 카메라, 및 무선 통신 설비를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체는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들은, 계합되거나 또는 활성화될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기, 그리고 보조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적어도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에 결합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기가 상기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시간으로, 적어도 그 시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몇몇의 구현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들을 암호화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암호화된 신호들을 상기 무선 통신 설비를 통한 전송을 위해서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폰, 카메라, 및 무선 통신 설비를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체는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계합되거나 또는 활성화될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며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기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체는 상기 생성기가 상기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이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시간 동안에 사용자와 원격 기기 사이의 보안 대화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보조 오디오 시스템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몇몇의 구현들에서, 상기 보조 오디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오디호 신호들을 암호화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암호화된 신호들을 상기 무선 통신 설비를 통한 전송을 위해서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실시예들은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카메라, 그리고 무선 통신 설비를 수반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기의 외부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 또는 커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향하는 힘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에 작동하는 상기 힘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의 상기 마이크로폰이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마이크로폰이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을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는 단계를 또한 수반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기가 상기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시간으로, 적어도 그 시간 동안에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슬리브에서 보조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획득된 상기 신호들을 상기 커버나 슬리브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의 무선 통신 설비와 같은 곳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반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획득된 상기 신호들을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슬리브에 의해 지지되는 컴포넌트에 의해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수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요악은 각 개시된 실시예 또는 본 발명 개시의 모든 구현을 기술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아래에서의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은 예시된 실시예들을 더욱 특별하게 예시화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명세서의 해당되는 부분들에 개별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첨부된 도면이 참조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다양한 상세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다양한 상세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고정식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공기 압력을 이용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공기 압력을 이용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공기 압력을 이용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공기 압력을 이용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생성기의 2 피스(two-piece) 피스톤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생성기의 3 피스 피스톤을 도시한다.
도 12a-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생성기의 2 피스 피스톤의 상이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에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유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플레넘(plenum)을 도시한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상이한 하우징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마이크로폰에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유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플레넘을 포함하는 매니폴드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대향 주 표면들에 설치된 다수의 마이크로폰에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유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플레넘을 포함하는 매니폴드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위한 진동 차단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위한 진동 차단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위한 잡음 소거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다양한 요소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다양한 요소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폰을 오디오 음향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전기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폰을 오디오 음향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기계적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과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23a-2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과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24a-2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과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25a-2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과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에 마이크로폰 카메라 차단 장치를 유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플레넘을 도시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다수의 마이크로폰에 공기압 생성기를 유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플레넘을 포함하는 매니폴드를 도시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의 다양한 요소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의 다양한 요소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은 항상 일정한 축척으로 작성되어 있지는 않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면에서 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참조 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낸 구성요소를 제한하기 위한 의도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한 도면들이 참조되고, 도면들에는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도 고려되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 목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달리 기재되어 있지 않는 한,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크기, 양 및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달리 기재되어 있지 않은 이상,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수치적 파라미터들은 당업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원하는 성질들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근사값들이다. 끝점들에 의한 수치적 범위는 그 범위 내의 모든 수치(예를 들어 1 내지 5는 1, 1.5, 2, 2.75, 3, 3.80, 4 및 5를 포함) 및 그 범위 내의 모든 범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을 음성에 일시적으로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가 음성 통화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동안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을 음성에 일시적으로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을 음성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이 음성에 응답하지 않도록 설정된 기간 동안, 보안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보조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과 카메라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의 다수의 마이크로폰과 카메라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는 프라이버시가 요구되는 기간 동안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을 음성 또는 다른 음향에 대하여 응답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는 프라이버시가 요구되는 기간 동안 카메라의 렌즈를 일시적으로 덮거나 불투명하게 하여 일시적으로 장치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는 그 장치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는 그 장치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의 마이크로폰 차단 요소는 고정 위치에 설치되고 카메라 차단 요소는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 차단 장치의 카메라 차단 요소는 고정 위치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폰 차단 요소는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장치(101)은 디스플레이(104) 및 마이크로폰(106)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102)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마이크로폰(106)은 사람 음성과 같은 음파에 응답하는 진동판(108) 또는 다른 감지 소자를 구비한다. 장치(101)는 적어도 그 일부가 마이크로폰(106)에 접하거나 근접하도록 전자 기기(102)에 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라, 장치(101)는 전자 기기(102)의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슬리브, 밴드 또는 부분 커버와 같은 지지 구조체(120)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101)는 지지 구조체(120)에 의해 지지되는 생성기(122)를 포함한다. 생성기(122)는 지지 구조체(120)가 적절히 전자 기기(102)에 결합되었을 때 생성기가 전자 기기(102)의 마이크로폰(106)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지지 구조체(120) 상에 배치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기(122)는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기(122)는 장치(101)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스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생성기(122)는 배터리와 같은 전력 소스를 포함하거나 그에 접속될 수 있다.
생성기(122)는, 마이크로폰(106)에 작용하여 마이크로폰(106)을 음성에 대하여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생성기(122)에 의해 생성된 힘은 생성기가 비활성화될 때까지 마이크로폰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차단 간섭한다. 생성기(122)가 비활성화되면 전자 기기(102)의 마이크로폰(106)은 정상 동작으로 복귀한다. 생성기(122)는 비파괴적 힘을 공급하여, 일시적으로 마이크로폰(106)을 음성 및 기타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음향 정보를 변환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기(122)는 마이크로폰(106)의 진동판(108)에 작용하는 힘을 발생시키고, 진동판(108)을 음성 및 기타 음향 정보에 응답하지 않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생성기(122)는 마이크로폰(106)의 클리핑(clipping)을 야기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생성기(122)는 마이크로폰을 음성 및 기타 음향 정보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빈도로 마이크로폰(106)의 반복적이고 간헐적인 클리핑을 야기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생성기(122)는 진동판(108)을 그것의 최대 편위 한도 (excursion limit) 또는 그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기(122)는 진동판(108)을 양측 최대 변위 한도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이동시켜, 양측 최대 편위 한도에 접촉하거나 근접하도록 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생성기(122)는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의 비선형 왜곡을 야기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생성기(122)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공기 압력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생성기(122)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탄성력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생성기(122)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기계적 진동이다.
진동판 또는 다른 입력 에너지 변환기가 음성 또는 다른 오디오 정보를 음성 또는 다른 오디오 정보가 재생될 수 있는 전기적 오디오 신호로 신뢰성 있게 변환할 수 없는 경우, 마이크로폰이 음성에 대하여 응답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의 진동판이 진동판에 동시에 작용하는 차단하는 힘에 의해 진동판에 입사되는 음성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진동할 수 없는 경우, 음성에 대해 응답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폰은 진동판에 입사되는 음성이 신뢰성 있게 재생될 수 있는 전기적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킬 수 없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 및 그 방법은 프라이버시가 요구될 때에 전자 기기의 도용에 대하여 완전한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간섭하는 힘에 의해 마이크로폰의 진동판이 음성에 대하여 응답하지 않도록 되는 대표적인 상태를 클리핑이라 지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의 클리핑은 진동판이 그 최대 편위 한도까지 또는 그에 근접하게 이동될 때 발생한다. 연속적이거나 충분히 높은 빈도로 간헐적일 수 있는 클리핑 동안, 진동판은 음성의 신뢰성있는 (음향 에너리로부터 전기 에너지로의) 변환 및 (전기 에너지로부터 음향 에너지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음성에 대응하여 진동할 수 없다. 클리핑은 본질적으로 비선형이며, 클리핑 상태의 듀티 사이클은 100%에 가깝다. 마이크로폰에 직접 인가되는 동적이고 연속적인 변조된 힘(예를 들어 압력 신호)은 마이크로폰 진동판 동작의 양극에서 반복적이고 간헐적인 클리핑을 일으킨다. 진동판은 클리핑 동안 음성의 어떤 성분에 응답하여 진동할 수 있으나, 그러한 성분이 재생되더라도 알아 들을 수 없는 출력 오디오 신호만이 얻어질 뿐이다.
도 2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장치(201)는 적어도 전자 기기(220)의 주변 측면 에지를 에워싸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체(22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 구조체(220)는 전자 기기(202)의 보호를 제공하고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탈착 가능한 커버 형태로 구현된다. 구현에 따라, 지지 구조체(220)는 일체형 커버로 구현될 수 있고, 스냅ㅡ핏 형태와 같은 예를 들어 2 피스와 같은 다중 피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201)는 전자 기기(202)의 다수의 마이크로폰(206, 236)과 방해적으로 간섭할 수 있는 다수의 생성기(222, 232)를 구비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202)는 하측 마이크로폰(206) 및 상측 마이크로폰(238)을 포함한다. 도 2에는 2개의 마이크로폰이 도시되어 있으나, 전자 기기는 3개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마이크로폰마다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생성기가 다수의 마이크로폰에 차단적 간섭을 일으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생성기(222, 232)는 (예를 들어 스위치를 온 위치로 전환하여) 작동을 위해 동시에 인에이블되고, 모든 생성기(222, 232)는 (예를 들어 스위치를 오프 위치로 전환하여) 동시에 디스에이블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추가 디테일을 도시한다. 장치(301)는 전자 기기(302)의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 구조체(320)을 포함한다. 장치(301)가 기기(302) 상에 적절히 설치되면, 생성기(322)는 마이크로폰(306)의 인렛 (inlet) 포트(303)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대안으로 생성기(322)는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303)로부터 떨어져 위치할 수 있고, 커플링 기구(325)를 통해 마이크로폰(306)에 유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306)의 인렛 포트(303)는 전자 기기(302)의 하우징의 하부 에지 표면에 위치한다. 생성기(322)는 커플링 기구(325)를 통해 마이크로폰(306)의 인렛 포트(303)에 결합된다. 스위치(323)는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대로 생성기(322)를 수동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구현에서, 스위치(323)는 지지 구조체(320)의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 압력을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커플링 기구(325)는 플레넘 또는 채널(324) 및 아웃렛 (outlet) 포트(326)를 포함하고, 아웃렛 포트는 마이크로폰(306)의 인렛 포트(303)에 근접하여 전자 기기(302)의 하우징 표면과 밀봉적으로 접하도록 구성된다. 전기장을 이용하는 실시예에서, 커플링 기구(325)는 전기적 접속(324)을 통해 생성기(322)에 커플되는 전기적 소자(326)를 포함한다. 기계적 진동을 이용하는 실시예에서, 커플링 기구(325)는 진동자 설계에 따라 전기적 또는 구조적 접속(324)을 통해 생성기(322)에 결합되는 기계적 진동자(326)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기(322)는 마이크로폰(306)의 진동판 또는 기타 음향 에너지 감지 소자에 가해지는 힘(F)를 발생시켜, 마이크로폰(306)을 음성에 대하여 응답하지 않도록 한다. 압력, 전기적 또는 기계적 힘을 마이크로폰에 가하는 요소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통상 진동판과 작은 간극을 두고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표면에 접하거나 근접하도록 위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추가 상세를 도시한다. 장치(401)는 전자 기기(402)의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 구조체(42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 구조체(420)는 슬리브 또는 부분 커버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420)는 풀 커버일 수 있다. 도4의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420)는 전자 기기(402)의 상이한 표면에 위치한 다수의 마이크로폰(406, 446)에 차단적으로 간섭하도록 구성된 생성기(422)를 지지한다. 도4의 예에서, 전자 기기(420)는 기기 하우징의 하부 에지 표면에 위치한 인렛 포트(403)를 갖는 하측 마이크로폰(406)을 포함한다. 인렛 포트(443)을 갖는 배면 마이크로폰(446)이 기기(402)의 하우징의 뒤쪽 표면에 위치한다.
생성기(422)는 하측 마이크로폰(406)의 인렛 포트(403) 및 생성기(422)의 제1 포트(421) 사이에 배치된 제1 커플링 기구(425)를 포함한다. 생성기(422)는 또한 배면 마이크로폰(446)의 인렛 포트(443) 및 생성기(422)의 제2 포트(431) 사이에 배치된 제2 커플링 기구(435)를 포함한다. 스위치(423)의 활성화 등에 의해 활성화 되었을 때, 생성기(422)는 차단하는 힘이 하측 및 배면 마이크로폰(406, 446)에 가해지도록 한다. 스위치(423) 동작 등에 의해 생성기(422)가 비활성화되면 하측 및 배면 마이크로폰(406, 446)은 정상 동작으로 복귀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고정식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520)는 전술한 유형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506)의 도용으로부터 프라이버시가 요구될 때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고정식 전자 기기(501)는 데스트탑 컴퓨터, 테스크탑 전화기 또는 다른 유형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전자 기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520)는 테스트탑 전화기(501)의 마이크로폰(506)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전화기(501)는 디스플레이(504), 키패드(502), 핸드셋 크래들(비도시) 및 핸드셋(530)을 포함한다.
핸드셋(530)은 표준 스피커(534) 및 핸드셋(530)의 마이크로폰(536)에 근접하여 위치한 제2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540)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540)는 핸드셋(530)의 고유 마우스피스 커버를 대체하는 마우스피스 커버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540)는 마이크로폰(536)에 근접하여 핸드셋(530)의 고유 마우스피스 커버의 표면에 고정(예를 들어 접착)될 수 있다. 핸드셋(530)에 스위치(532)가 배치되고, 이는 사용자에 의해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520, 540)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어떤 구현에서, 스위치(532)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540)에 내장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스위치(532)는 테스크탑 전화기(501)의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602)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장치(602)는 압력 셀(624)에 결합된 생성기(622)를 포함한다. 생성기(622)는 구동 신호 소스(61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압력 셀(624)은 압력 셀(624) 및 장치(602)가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에 근접한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는 (예를 들어 공기 채널과 같은) 플레넘(632)에 유체적으로 결합된다. 플레넘(632)의 말단부는 아웃렛 포트(634)를 포함하는데, 이는 장치(602)가 전자 기기 상에 적절히 위치할 때,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비도시, 도 3 및 4의 밀봉재 326, 426 참조)가 아웃렛 포트(634)에 배치되어, 플레넘(632) 및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 간의 유체적 밀봉을 제공한다. 밀봉 부재는 실리콘 고무, 클로즈드셀 폼과 같은 유연 (낮은 경도) 재료 또는 기타 유형의 개스킷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702)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702)는 장치(702)가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전자 기기의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생성기(722)를 포함하는 장치(702)는 전자 기기의 2개의 마이크로폰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하나의 생성기를 사용하여 2개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차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장치(702)는 제1 압력셀(724) 및 제2 압력셀(746)에 결합된 생성기(722)를 포함한다. 생성기(722)는 구동 신호 소스(71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제1 압력 셀(724)은 제1 압력 셀(724) 및 장치(702)가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부근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는 (예를 들어 공기 채널과 같은) 플레넘(732)에 유체적으로 결합된다. 플레넘(732)의 말단부는 아웃렛 포트(734)를 포함하는데, 이는 장치(702)가 전자 기기 상에 적절히 위치할 때,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제2 압력 셀(746)은 제2 압력 셀(746) 및 장치(702)가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에 근접한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는 (예를 들어 공기 채널과 같은) 플레넘(742)에 유체적으로 결합된다. 플레넘(742)의 말단부는 아웃렛 포트(744)를 포함하는데, 이는 장치(702)가 전자 기기 상에 적절히 위치할 때,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비도시)가 아웃렛 포트(734, 744)의 하나 또는 모두에 배치된다.
전자 기기의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은 전자 기기 하우징의 다른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구현에서는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이 하우징의 같은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의 위치에 따라, 플레넘(732, 742)은 제1 및 제2 압력 셀들(724, 746)과 마이크로폰 위치들 간에 공기 밀봉 도관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넘(732, 742)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3차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예들이 후술된다.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702)의 다른 구성요소와 같이, 플레넘(732, 742)은 장치(702)의 지지 구조체에 부착되는데, 지지 구조체는 실시예에 따라 전자 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는 커버 또는 부분 커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802)의 다양한 상세를 도시한다. 도 8의 장치(802)는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장치(802)는 보이스 코일 형태의 모터 또는 생성기를 포함하는데, 이는 속이 빈 코어를 갖는 스풀 (spool)에 가는 자기 와이어를 권선하여 제작된다. 코어의 내측에는 강력한 영구 자석과 자석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비자성부가 배치된다. 이러한 반 자성, 반 비자성 피스톤 구조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 운동으로 변환하는데 양호한 효율을 제공한다.
도 8의 장치는 압력 셀(830) 및 리바운드 셀(850)에 결합된 생성기(803)을 포함한다. 생성기(803)는 제1 플랜지(812), 제2 플랜지(814) 및 제1 및 제2 플랜지(812, 814) 사이에 연장되는 보빈(816)으로 이루어지는 스풀(810)을 포함한다. 보빈(816)에는 전자기 코일(818)이 권선되어 있다. 전자기 코일(818)은 구동 신호 소스(840)에 접속된다. 보빈(816)은 피스톤(820)을 수용할 수 있는 규격의 중앙 보어를 포함한다. 피스톤(820)은 구동 신호 소스(840)로부터 수신되는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기 코일(818)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자성 재료를 포함한다. 피스톤(820)은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보빈(816)의 중앙 보어 (bore)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진동 방식으로 축 방향 병진 운동을 한다. 보빈 (bobbin)의 중앙 보어 내에서의 축 방향 운동 중에, 피스톤(820)은 각 사이클 동안에 스풀(810)의 제1 및 제2 플랜지(812, 814)를 넘어 연장된다.
압력 셀(830)은 아웃렛(834) 및 피스톤(820)의 제1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의 인렛을 포함한다. 압력 셀(830)은 연성 (compliant) 멤브레인(832)를 지지하는데, 이는 피스톤(820)과의 강제된 접촉에 의해 변위된다. 피스톤(820)에 의한 연성 멤브레인(832)의 반복되는 강제 변위는 압력 셀(830) 내의 공기의 변위를 야기하여 압력파를 발생시킨다. 생성기(803)에 의해 발생된 압력파는 아웃렛 포트(834)를 통해 압력 셀(830) 밖으로 전파된다. 압력 셀(830)의 아웃렛 포트(834)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802) 및 장치(802)가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사이에서 연장되는 플레넘 또는 공기 채널에 유체적으로 결합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아웃렛 포트(834)는 피스톤(820)의 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약 45° 내지 135°) 벗어나 있는 압력 셀(830)의 표면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아웃렛 포트(834)는 피스톤(820)의 축에 대하여 약 90° 각도를 이룰 수 있다.(도 6 및 7 참조) 피스톤(820)의 축에 대하여 아웃렛 포트(834)의 방향이 틀어져 있는 것은 소정의 형태에서 보다 콤팩트한 플레넘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압력 셀(830)은 또한 포트홀(833)을 포함하는데, 이는 생성기(803)가 비활성일 때 전자 기기의 고유 마이크로폰으로 음성이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포트홀(833)은 생성기(803)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 포트홀(833)을 덮는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 이동할 수 있는 플랩 등에 의해 덮혀 있다. 이러한 가동형 플랩은 장치(802)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에 의해 동작되거나 그와 통합될 수 있다.
생성기(803)는 인렛을 포함하는 리바운드 셀(85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인렛은 피스톤(820)의 제2 단부 및 인렛에 근접하여 위치한 연성 멤브레인(852)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다. 어떤 실시예에서, 유연성 부재(832, 852)는 1/32 인치 두께의, 10A 경도의 실리콘 고무 멤브레인으로 구현될 수 있다. 리바운드 셀(850)은 연성 멤브레인(852)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820)의 제2 단부와 연성 멤브레인(852)의 강제된 접촉은 피스톤(820)을 압력 셀(830) 쪽으로 되돌리려는 리바운드 힘을 초래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리바운드 셀(830)은 필요하지 않고, 전자기 코일(818)과 피스톤(820)의 자기 재료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이 피스톤(820)을 압력 셀(830) 쪽으로 되돌려 원하는 운동 주기를 달성하기에 충분하다는 점을 밝힌다.
구동 신호 소스(840)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 신호는 원하는 수준의 마이크로폰 차단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기능을 차단하는데 추가하여, 구동 신호는 작동 중 생성기(803)에 의해 발생되는 저 레벨 잡음에 대비하여 전자 기기의 사용자를 교란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구동 신호 소스(840)는 저주파 사인파(예를 들어 50 내지 150 Hz, 약 100 Hz)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저주파 사인파는 사용자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기계적 잡음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며, 오디오 주파수 정보를 알아듣지 못하게 하기에 충분히 신속히 마이크로폰 클리핑을 일으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구동 신호 소스(840)는 화이트, 브라운 또는 핑크 노이즈, 저대역 필터 노이즈, 또는 음악 또는 말과 같이 마이크로폰을 클립하고 개인 정보를 은폐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보다 복잡한 오디오 신호 등과 같은 다른 파형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 신호 소스(840)는 전자 기기의 하우징과 커플링되는 기계적 진동을 발생시키고 결국 마이크로폰에 원하지 않는 가청 잡음을 발생시키는 고주파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802)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보조 마이크로폰(도 16 및 17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마이크로폰에 접속된 프로세서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으로부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신호 소스(840)는 적어도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구동 신호로 사용하여 생성기(803)을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마이크로폰 클리핑과 동시에 전자 기기의 고유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의 소거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902)의 상세를 보여준다. 도 9에 도시된 장치(902)는 하나의 생성기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의 두 개의 마이크로폰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생성기(903)는 제1 압력 셀(830) 및 제2 압력 셀(950)에 결합된다. 생성기(903)는 제1 플랜지(912), 제2 플랜지(914) 및 제1 및 제2 플랜지(912, 914) 사이에 연장되는 보빈(916)으로 이루어지는 스풀(910)을 포함한다. 보빈(916)에는 전자기 코일(918)이 권선되어 있고, 전자기 코일(918)은 구동 신호 소스(940)에 접속된다. 피스톤(920)은 구동 신호 소스(940)로부터 수신되는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기 코일(918)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자성 재료를 포함한다. 피스톤(920)은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보빈(916)의 중앙 보어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진동 방식으로 축 방향 병진 운동을 한다. 보빈의 중앙 보어 내에서 축 방향 운동 중에, 피스톤(920)은 각 사이클 동안에 스풀(910)의 제1 및 제2 플랜지(912, 914)를 넘어 연장된다.
제1 압력 셀(930)은 아웃렛(934) 및 피스톤(920)의 제1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의 인렛을 포함한다. 제1 압력 셀(930)은 연성 멤브레인(932)를 지지하는데, 이는 피스톤(920)의 제1 단부와의 강제된 접촉에 의해 변위된다. 피스톤(920)에 의한 연성 멤브레인(932)의 반복되는 강제 변위는 제1 압력 셀(930) 내의 공기의 변위를 야기하여 압력파를 발생시키고, 압력파는 제1 압력 셀(930)의 아웃렛 포트(934)로부터 외부로 전파된다. 아웃렛 포트(934)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902) 및 장치(902)가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전자 기기의 제1 마이크로폰 사이에서 연장되는 플레넘 또는 공기 채널에 유체적으로 결합된다.
제2 압력 셀(950)은 아웃렛(954) 및 피스톤(920)의 제2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의 인렛을 포함한다. 제2 압력 셀(950)은 연성 멤브레인(952)를 지지하는데, 이는 피스톤(920)의 제2 단부와의 강제된 접촉에 의해 변위된다. 피스톤(920)에 의한 연성 멤브레인(952)의 반복되는 강제 변위는 제2 압력 셀(950) 내의 공기의 변위를 야기하여 압력파를 발생시키고, 압력파는 제2 압력 셀(950)의 아웃렛 포트(954)를 통해 외부로 전파된다. 아웃렛 포트(954)는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902) 및 장치(902)가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전자 기기의 재2 마이크로폰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플레넘 또는 공기 채널에 유체적으로 결합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아웃렛 포트(934, 954)의 하나 또는 모두는 피스톤(920)의 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약 45° 내지 135°, 90°) 벗어나 있는 압력 셀(930, 950)의 표면에 각각 위치한다. 압력 셀(930, 950)은 또한 포트홀(933, 953)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생성기(903)가 비활성일 때 전자 기기의 고유 마이크로폰으로 음성이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트홀(933, 953)은 생성기(903)가 동작 중에 덮혀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 따라, 생성기의 하우징과 압력/리바운드 셀은 모터 자석으로부터의 자기적 차폐를 위해 뮤 메탈로 제작될 수 있다. 생성기의 스풀은 양호한 고유 윤활성과 기타 물리적 특성을 갖는 델린(Delrin)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0-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생성기에 사용될 수 있는 피스톤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피스톤(1020)은 제1 섹션(1022) 및 제2 섹션(1024)을 포함한다. 제2 섹션(1024)은 네오디뮴/철/보론(NdFeB)과 같은 영구 자성 재료를 포함한다. 제1 섹션(1022)은 플라스틱이나 고무와 같은 비자성 재료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생성기의 보빈의 중앙 보어 (bore) 내에 설치되면, 상기 피스톤(1020)은 영구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섹션(1024)이 전자석 코일의 중앙 부근에 있고 제1 섹션(1022)이 압력 셀의 호환되는 멤브레인에 인접한 플랜지 부근에 있도록 상기 중앙 보어 내에 위치된다.
도 11은 이중 종단(double-ended) 피스톤(1120)을 도시하며 이중 종단 피스톤(1120)은 제1 섹션(1122), 제2 섹션(1124), 및 제3 섹션(112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1122) 및 제3 섹션(1126) 각각은 영구 자성 재료를 포함하며, 중간 부위에 있는 제2 섹션(1124)은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은 비자성 재료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피스톤(1120)의 대향 하는 섹션들에서의 자성 재료의 제공은 상기 피스톤(1120)과 상기 생성기의 전자석 코일 간의 향상된 전자기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중 종단 피스톤(1120)의 변위 속도 및 이중 종단 피스톤(1120)에 의해 생성된 충격력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일 종단 피스톤에 비해 증가 될 수 있다.
도 12a-12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생성기의 2-피스 피스톤의 서로 다른 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12a는 제1 자성 섹션(1222) 및 제2 자성 섹션(1224)을 포함하는 피스톤(1220A)을 보여준다. 도 12a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2개의 자성 섹션(1222, 1224)이 공간(간극 또는 공극)에 의해 분리되고, 그럼으로써 어떠한 중간 부위에 있는 구조체 또는 재료라도 2개의 자성 섹션(1222, 1224)을 연결해 주지 않게 된다. 2개의 자성 섹션(1222, 1224)은 같은 극들이 서로에 대해 자기적으로 반발하는 관계로 배향되게 위치되어 있다. 2개의 자성 섹션(1222, 1224)의 상대적 위치 및 이동은 상기 생성기의 전자석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조정된다.
도 12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피스톤(1220B)은 제1 자성 섹션(1222), 제2 자성 섹션(1224), 및 상기 제1 자성 섹션(1222) 및 상기 제2 자성 섹션(1224)을 기계식으로 연결해 주는 바인딩 재료 또는 층(1236)을 포함한다. 상기 바인딩 재료 또는 층(1236)은 접착제, 아교, 또는 다른 바인딩 재료일 수 있다. 2개의 자성 섹션(1222, 1224)은 같은 극들이 서로에 대해 자기적으로 반발하는 관계로 배향되게 위치되어 있다. 도 12c에 보인 실시 예에서, 피스톤(1220C)은 박판(thin walled) 슬리브 또는 외장(1232) 내에 배치된 제1 자성 섹션(1222) 및 제2 자성 섹션(1224)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부 캡(1234)은 상기 외장(1232) 내에 상기 제1 자성 섹션(1222) 및 상기 제2 자성 섹션(1224)을 에워싸도록 포함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자성 섹션(1222, 1224)은 같은 극들이 서로에 대하여 자기적으로 반발하는 관계로 배향되게 위치되어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바인딩 재료 또는 층(예컨대, 도 12b의 재료(1236) 참조)은 상기 제1 자성 섹션(1222) 및 상기 제2 자성 섹션(1224)을 기계식으로 연결해 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3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에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유체 결합하도록 구성된 플레넘(plenum)(1341)을 보여준다. 상기 플레넘(1341)은 기기 하우징의 표면에 또는 기기 하우징의 표면 바로 아래에 배치된 마이크로폰 및 기압 생성기(1322) 간의 유체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폰은 기기 하우징의 상측 에지면 부근에서 기기 하우징의 전방 주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플레넘(1341)은 상기 생성기(1322) 및 아웃렛 포트(1346) 사이로 연장되는 간극 또는 채널(1343)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기(132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아웃렛 포트(1346)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웃렛 포트(1346)는 상기 마이크로폰과의 유체 결합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실(seal) 또는 개스킷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전자 기기에 기압 생성기(1352)를 유체 결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플레넘을 포함하는 매니폴드(manifold)(1350)를 보여준다. 상기 매니폴드(1350)는 제1 플레넘(1364) 및 제2 플레넘(137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레넘(1364) 및 상기 제2 플레넘(1371) 각각은 상기 매니폴트 내에 간극 또는 채널(1353, 1373)을 형성하며, 앞서 설명한 타입의 개별 또는 공통 생성기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넘(1364)은 상기 생성기(1352)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제1 마이크로폰 간의 유체 결합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플레넘(1364)은 (전자 기기 하우징의 전방 표면상에 있을 수 있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제1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지니는 아웃렛 포트(1366)를 포함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렛 포트(1366)는 상기 플레넘(1364) 및 상기 제1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 간의 향상된 유체 결합을 제공하도록 하는 실 장치(seal arrangement)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넘(1371)은 (후방 표면과 같은 전자 기기 하우징의 다른 표면상에 제공될 수 있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제2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지니는 아웃렛 포트(1376)를 포함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렛 포트(1376)는 상기 제2 플레넘(137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 간의 향상된 유체 결합을 제공하도록 하는 실 장치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 예에서, 공통 생성기(1352)는 상기 제1 플레넘(1364) 및 상기 제2 플레넘(1371)에 유체 결합 (fluidly couple)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플레넘(1364) 및 상기 제2 플레넘(1371)은 서로 유체적으로 독립되어 있을 수 있고, 그럼으로써 각각이 서로 다른 생성기에 결합하게 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전자 기기에 기압 생성기(1422)를 유체 결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플레넘을 포함하는 매니폴드(1403)의 측면도이다. 비록 도 1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매니폴드(1403)의 플레넘들 중 하나 이상의 플레넘들은 이하에 기재되어 있는 타입의 렌즈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가 탈착식으로 부착되는 전자 기기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들의 위치 지정에 따라 상기 장치가 상당히 복잡한 구성들을 지니는 플레넘들을 채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 매니폴드(1403) 및 생성기(1422)는 제1 마이크로폰(1446) 및 제2 마이크로폰(1456)을 지니는 전자 기기(1402)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커버(1420) 내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매니폴드(1403)는 제1 플레넘(1421) 및 제2 플레넘(143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레넘(1421) 및 상기 제2 플레넘(1431) 각각은 매니폴드 재료 내에 간극 또는 채널(1424, 1434)을 형성하고, 앞서 설명한 타입의 개별 또는 공통 생성기(예컨대, 생성기(142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넘(1421)은 상기 전자 기기(1402)의 제1 마이크로폰(1446) 및 상기 생성기(1422) 간의 유체 결합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플레넘(1421)은 (상기 전자 기기 하우징의 전방 표면상에 있을 수 있는) 제1 마이크로폰(1446)의 인렛 포트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지니는 아웃렛 포트(144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렛 포트(1443)는 상기 플레넘(1421) 및 상기 제1 마이크로폰(1446)의 인렛 포트 간의 향상된 유체 결합을 제공하도록 하는 실 장치(1447)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넘(1431)은 (후방 표면과 같은 전자 기기 하우징의 다른 표면상에 제공될 수 있는) 제2 마이크로폰(1456)의 인렛 포트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지니는 아웃렛 포트(146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렛 포트(1466)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1456)의 인렛 포트 및 상기 제2 플레넘(1431) 간의 향상된 유체 결합을 제공하도록 하는 실 장치(1467)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1520)를 위한 진동 방지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 예에서, 생성기(1522)는 기판(1526)에 의해 지지되고 진동 흡수 요소(1524)는 상기 생성기(1522) 및 상기 기판(152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진동 흡수 요소(1524)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상기 생성기(1522)에 의해 생성되는 기계적 진동들을 감쇄시킬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1620)를 위한 진동 방지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대표적인 예에서, 생성기(1622)는 기판(1626)에 의해 지지되고 진동 흡수 요소(1624)는 상기 생성기(1622) 및 상기 기판(1626) 사이에 배치된다. 몇몇 실시 예들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1620)는 상기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들)이 상기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1620)에 의해 차단될 때 보안 대화들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보조 마이크로폰(1632)을 합체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1632)은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1632)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들을 암호화하도록 구성된 보조 프로세서(예컨대, 상기 커버, 슬리브, 또는 밴드에 의해 또한 지지됨)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오디오 신호들은 그 후 전자 기기의 일반 통신 링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상기 보조 프로세서로부터 전자 기기의 통신 회로로 전송(그 후 수신단 상에서 복호화)될 수 있다. 상기 생성기(1622)를 위한 진동 흡수 요소(1624)의 사용 외에도, 부가적인 진동 흡수 요소(1634)는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1632) 및 상기 기판(1626) 및/또는 생성기(1622) 간의 진동을 감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생성기(1622)가 상기 기판(1626)의 상부면 상에 장착되는 동안에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1632)이 상기 기판(1626)의 하부면 상에 장착된다. 그러한 구현 예들에서, 홀(hole) 또는 간극(1627)은 사운드가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1632)에 영향을 주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기판(1626)에 제공된다. 여기서 이해할 점은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1632) 및 진동 흡수 요소(1634)가 상기 생성기(1622)를 지지하는 것과 같은 표면상에 장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1720)를 위한 잡음 소거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전형적인 예에서, 보조 마이크로폰(1742)은 상기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들이 상기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1720)에 의해 차단될 때 보안 대화들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도 17에 도시된 잡음 소거 장치는 기판(1726)의 제1 표면상에 있는 생성기(1770)를 포함한다. 제2 마이크로폰(1732) 및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1742)은 상기 기판(1726)의 대향 표면(1726)상에 장착된다. 프로세서(1730)는 2개의 마이크로폰(1732, 1742)에 연결되어 있다. 간극 또는 홀(1727)은 외부에서 생성된 사운드(예컨대, 사용자로부터의 음성들)가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1742)에 이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기판(1726)에 제공된다.
상기 제2 마이크로폰(1732)은 동작시 상기 생성기(1722)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마이크로폰(1732)은 외부에서 생성된 사운드(예컨대, 사용자로부터의 음성들)를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고립된다. 몇몇 구현 예들에서,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1742)은 진동 흡수 재료(도시되지 않음) 상에 장착된다. 향상된 잡음 감소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1732)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174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생성기 잡음을 소거함으로써 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마이크로폰(1732)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및 생성기 잡음을 포함함)는 공지된 기법들을 사용하여 상기 생성기 잡음을 소거하도록 상기 프로세서(1730)에 의해 반전되고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1742)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와 합산될 수 있다.
도 18은 몇몇 실시 예들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는 생성기(1822), 예를 들어 압력, 전기 또는 기계 힘 생성기일 수 있는 생성기(1822)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기(1822)는 하나 이상의 힘 전달 섹션들 또는 요소들(1824, 1836)에 연결된다. 힘 전달 섹션들 또는 요소들(1824, 1836)의 예들에는 압력 아웃렛 포트, 진동 요소 또는 전기 요소(예컨대, 대전 플레이트)가 있다. 상기 생성기(1822) 및/또는 상기 힘 전달 섹션들 또는 요소들(1824, 1836) 중 하나 이상은 배터리와 같은 전력 소스(1820)에 연결된다. 스위치(1830)는 상기 생성기(1822) 및 전력 소스(1820)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선택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공하게 된다.
도 19는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는 예를 들어, 압력, 전기 또는 기계 힘 생성기(예컨대, 동일 타입 또는 서로 다른 타입들)일 수 있는 다수의 생성기(1922, 1932)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기들(1922, 1932)은 대응하는 힘 전달 섹션들 또는 요소들(1924, 1934)(예컨대, 압력 아웃렛 포트, 진동 요소 또는 전기 요소)에 연결된다. 상기 생성기들(1922, 1932) 및/또는 상기 힘 전달 섹션들 또는 요소들(1924, 1934) 중 하나 이상은 배터리와 같은 전력 소스(1920)에 연결된다. 스위치(1930)는 상기 생성기들(1922, 1932) 및 전력 소스(1920)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선택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공하게 된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이 오디오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게 하는 전기적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나타낸다. 도 20에 도시된 장치는 전기 기기(2002)의 마이크로폰(2006)에 대해 위치 지정된 한 쌍의 도전 플레이트들(2024, 20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생성기(2022)를 포함한다.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도전 플레이트들(2024, 2026)은 상기 마이크로폰(2006)이 상기 도전 플레이트들(2024, 2026) 사이에 있도록 위치되어 있다. 상기 생성기(2022)는 상기 도전 플레이트들(2024, 2026)에 전압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전압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교번 전하가 상기 도전 플레이트들 상에 생성되어 전기 힘이 상기 마이크로폰에서(예컨대, 일렉트릿 콘덴서(electret condenser) 마이크로폰에서) 대전된 진동판을 차단하게 된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마이크로폰이 오디오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게 하는 기계적인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보여준다. 도 21에 도시된 장치는 전자 기기(2002)의 마이크로폰(2006)에 대해 위치 지정된 진동자(2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생성기(2122)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기(2122)는 상기 진동자(2124)에 전압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이는 상기 진동자(2124)가 상기 마이크로폰(2106)과 결합하게 되는 상기 전자 기기(2102)의 하우징에 복잡한 기계 진동을 전달하게 한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을 지니는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보여준다. 도 22에 보인 장치(2201)는 핸드-헬드 전자 기기(2202)에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헬드 전자 기기(2202)는 디스플레이(2204), 2개의 마이크로폰(2206(하부), 2236(상부)), 및 전방 카메라(2235)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폰들(2206, 2236)은 각각의 마이크로폰이 사람 음성들, 뮤직 또는 다른 오디오 정보에 연관된 것들과 같은 사운드 파들에 응답하는 진동판(2208, 2238) 또는 다른 감지 요소를 지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2201)는 상기 장치(220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마이크로폰들(2206, 2236)과 상기 카메라(2235)에 근접하도록 상기 전자 기기(2202)에 연결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장치(2201)는 상기 전자 기기(2202)의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슬리브, 밴드 또는 커버와 같은 지지 구조체(2220)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구조체(2220)는 상기 지지 구조체(2220)가 상기 전자 기기(2202)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스냅-피트(snap-fit) 특징들을 포함하는 2-부분 케이스 또는 커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체(2220)는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여러 컴포넌트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2201)는 상기 지지 구조체(2220)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생성기(2222) 및 제2 생성기(2232)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은 상기 지지 구조체(2220) 상에 있고 그럼으로써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은 각각 상기 지지 구조체(2220)가 상기 기기(2202)에 적절하게 연결될 때 상기 마이크로폰들(2206, 2236)에 인접하게 위치되게 된다.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은 음성들, 뮤직, 및 다른 오디오 소스 정보에 상기 마이크로폰들(2206, 2236)이 일시적으로 응답하지 않게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이해할 점은 몇몇 실시 예들이 단일의 마이크로폰 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단일의 생성기(2222)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도 22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 예에서, 전자 기기(2202)는 상기 기기(2202)의 상부 에지면 부근에 있는 전방 카메라(2235)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2202)는 또한 상기 전방 카메라(2235) 부근에 인렛 포트를 지니는 상부 마이크로폰(2236)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구조체(2220)가 상기 기기(2202)에 적절히 결합하게 될 경우에, 셔터(2240)는 상기 전자 기기(2202)의 전방 표면 일부를 넘어 연장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셔터(2240)가 상기 전방 카메라(2235) 및 상기 마이크로폰(2236)을 커버 하게 된다. 상기 셔터(2240)는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채색된 플라스틱(예컨대, 상기 기기(2202)의 경계 지역과 매치(match) 되는 컬러로 채색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셔터(2240)는 상기 생성기(2232)에서부터 상기 셔터(2240)의 아웃렛 포트(2246)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플레넘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상기 아웃렛 포트(2246)는 상기 마이크로폰(2236)의 인렛 포트의 구성에 상응하는 구성을 지니고 상기 마이크로폰(2236)의 인렛 포트 및 상기 아웃렛 포트(2246) 간의 유체 실링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실 또는 개스킷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 의하면, 상기 셔터(2240)는 투명으로부터 불투명으로 변함으로써 카메라(2235)의 렌즈를 셔터링하거나, 전기 자극을 받으면 확산하는 액정 요소와 같은 전기-광학 요소(2245)를 포함한다. 렌즈 셔터로서의 전기-광학 요소의 사용은 상기 셔터(2240)가 고정식인 실시 예들에서 특히 유용하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이하에서 설명되겠지만, 상기 셔터(2240)는 이동식이다. 그러한 이동식 실시 예들에서, 상기 렌즈 셔터(2245)는 전기-광학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불투명 또는 확산 재료의 코팅 또는 삽입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생성기들(2222, 2232) 및 렌즈 셔터(2245)는 상기 전자 기기(2202)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성기들(2222, 2232) 및 상기 렌즈 셔터(2245)는 상기 지지 구조체(2220)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한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의 작동은 상기 생성기들(2222, 2232) 및 상기 렌즈 셔터(2245)의 동시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유발한다. 비록 도 22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지지 구조체(2220)는 상기 생성기들(2222, 2232), 상기 렌즈 셔터(2245), 및 상기 스위치에 연결되는, 배터리와 같은 전력 소스를 합체하고 있다.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은 상기 마이크로폰들(2206, 2236) 상에 작동하여 상기 마이크로폰들(2206, 2236)이 음성들 및 다른 음향 정보에 응답하지 않게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이 비활성화될 때까지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에 의해 생성되는 힘은 마이크로폰 동작의 연속적인 차단 간섭을 제공한다.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의 비활성화시, 상기 전자 기기(2202)의 마이크로폰들(2206, 2236)은 정상적인 동작으로 복귀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은 음성 및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다른 음향 정보를 변환할 목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폰(2206, 2236)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비파괴적인 힘을 전달한다. 여기서 이해할 점은 도 22에 도시된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가 (다른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전자 기기(2202)의 후방 표면상에 배치되는 추가 셔터(및 옵션으로는 다른 한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은 상기 마이크로폰들(2206, 2236)의 진동판들(2208, 2238) 상에 작동하고, 상기 진동판들(2208, 2238)이 음성들 및 다른 음향 정보에 응답하지 않게 하는 힘을 생성한다. 몇몇 실시 예들에 의하면,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은 상기 마이크로폰들(2206, 2236)의 클리핑(clipping)을 유발하는 힘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은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들 및 다른 음향 정보에 응답하지 않게 하는 비율로 상기 마이크로폰들(2206, 2236)의 반복되는 간헐적 클리핑을 유발하는 힘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은 예를 들어 상기 진동판들(2208, 2238)이 상기 진동판들(2208, 2238)의 최대 편위 한도에 이르기까지 또는 최대 편위 한도 부근에 이르기까지 이동하게 하는 힘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은 상기 진동판들(2208, 2238)이 상기 진동판들(2208, 2238)의 대향하는 최대 편위 한도들 간에 주기적으로 이동하게 하여, 이러한 편위 한도들과 접촉하게 하거나 이러한 편위 한도들 부근과 접촉하게 하는 힘을 생성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은 상기 마이크로폰들의 출력 신호의 비선형 왜곡을 유발하는 힘을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에 의해 생성되는 힘이 기압이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생성기(2222, 2232)에 의해 생성되는 힘은 전기 힘이다. 부가적인 실시 예들에서, 상기 생성기들(2222, 2232)에 의해 생성되는 힘은 진동과 같은 기계적인 힘이다.
도 23a-23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보여준다. 도 23a-23c에서,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는 비-계합 위치 및 계합 위치 간의 여러 전진 단계로 보인 이동 가능한 셔터(2340)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생성기(2332)는 상기 이동 가능한 셔터(2340)와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생성기(2332)는 상기 셔터(2340)의 일부로 간주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상기 셔터(234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셔터(2340)는 상기 생성기(233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가압된 공기가 아웃렛 포트(2346) 밖으로 보내질 수 있게 하는 플레넘을 포함한다. 상기 셔터(2340)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기 생성기(2332)를 구성하는 것은 상기 생성기(2332) 및 상기 셔터(2340)의 플레넘의 인렛 포트 간의 연속적인 유체 결합을 허용하는데, 그 이유는 플레넘이 상기 생성기(2332)와 함께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플레넘의 인렛 포트 및 상기 생성기(2332) 간의 잠재적인 누설 상황을 제거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셔터(2340)는 상기 생성기(2332) 및 상기 셔터(2340)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 또는 전기-기계 요소(2346) 간에 전기 리드 장치가 이어지게 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셔터(2340)는 렌즈 셔터(2345)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렌즈 셔터(2345)는 상기 셔터(2340)의 불투명 또는 확산 부분(예컨대, 불투명 페인트 또는 삽입 재료)일 수 있다. 변형적으로, 상기 렌즈 셔터(2345)는 액정 요소와 같은 전기-광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a는 셔터(2340)가 전자 기기(2302)의 카메라(2335) 및 마이크로폰(233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비-계합 위치의 셔터(2340)를 도시한다. 도 23b는 셔터(2340)가 상기 카메라(2335) 및 마이크로폰(2336)을 부분적으로 커버 하는 부분적으로 계합된 위치의 셔터(2340)를 도시한다. 도 23c는 셔터(2340)가 상기 카메라(2335) 및 마이크로폰(2336) 상에 위치되어 있는 계합 위치의 셔터(2340)를 도시한다. 상기 계합 위치에서, 상기 셔터(2340)는 상기 마이크로폰(2336)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빙해하는 것이 가능한 힘을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렌즈 셔터(2345)를 통해 상기 카메라(2335)의 렌즈를 덮어 감출 수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셔터(2340)는 수작업(예컨대,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한 비-계합 위치 및 계합 위치 간의 변환용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전기-기계 메커니즘은 비-계합 위치 및 계합 위치 간의 셔터(2340)의 자동 변환을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 구조체(2322)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4a-24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보여준다. 도 24a-24c에서,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는 비-계합 위치 및 계합 위치 간의 여러 전진 단계로 보이는 이동 가능한 셔터(2440)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셔터(2440) 및 상기 생성기(2432)는 세로로 나란히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셔터(2440) 및 상기 생성기(2432)는 비-계합 위치 및 계합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활주 될 수 있는 슬라이더(2454)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셔터(2440)는 상기 생성기(2432)에 의해 가압되고 가압된 공기가 아웃렛 포트(2446) 밖으로 보내질 수 있게 하는 플레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셔터(2440)는 상기 생성기(2432) 및 상기 셔터(2440)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 또는 전기-기계 요소(2446) 간에 전기 리드 장치가 이어지게 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셔터(2440)는 렌즈 셔터(2445)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렌즈 셔터(2445)는 상기 셔터(2440)의 불투명 또는 확산 부분(예컨대, 불투명 페인트 또는 삽입 재료)일 수 있다. 변형적으로, 상기 렌즈 셔터(2445)는 액정 요소와 같은 전기-광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a는 셔터(2440)가 전자 기기(2402)의 카메라(2435) 및 마이크로폰(243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비-계합 위치의 셔터(2440)를 도시한다. 상기 카메라(2435)의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2454)에 가해지는 수동 힘은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2440) 및 생성기(2432)가 상기 카메라(2435)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도 24b는 셔터(2440)가 상기 카메라(2435) 및 마이크로폰(2436)을 부분적으로 커버 하는 부분적으로 계합된 위치의 셔터(2440)를 도시한다. 도 24c는 셔터(2440)가 상기 카메라(2435) 및 마이크로폰(2436) 상에 위치되어 있는 계합 위치의 셔터(2440)를 도시한다. 상기 계합 위치에서, 상기 셔터(2440)는 상기 마이크로폰(2436)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힘을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렌즈 셔터(2445)를 통해 상기 카메라(2435)의 렌즈를 덮어 감출 수 있다.
도 25a-25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보여준다. 도 25a-25c에서,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는 2개의 이동 가능한 셔터(2540, 2560)(점선으로 도시됨)를 포함한다. 셔터(2540)는 상기 전자 기기(2502)의 제1 주 표면(예컨대, 전방)에 대해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셔터(2560)는 상기 전자 기기(2502)의 제2 주 표면(후방)에 대해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방 셔터(2540)는 상기 슬라이더(2554)와 함께 세로로 나란히 이동하도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하고 기능 한다. 상기 후방 셔터(2560)는 상기 슬라이더(2554)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2554)가 상기 전자 기기(2502)의 사용자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방 셔터(2540)와 계합하여 이동한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단일의 생성기(2542)는 전방 및 후방 셔터들(2540, 256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2554)의 이동에 응답하여 2개의 셔터(2540, 2560)와 함께 움직인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1 생성기(2542)는 상기 전방 셔터(2540)에 결합되어 있고 제2 생성기(2562)는 상기 후방 셔터(2560)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자 모두의 생성기들(2542, 2562)은 상기 슬라이더(2554)의 이동에 응답하여 2개의 셔터(2540, 2560)와 함께 움직인다.
상기 후방 셔터(2560)는 렌즈 셔터(2565)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셔터(2565)는 상기 셔터(2560)의 불투명 또는 확산 부분(예컨대, 불투명 페인트 또는 삽입 재료)일 수 있다. 변형적으로, 상기 렌즈 셔터(2565)는 액정 요소와 같은 전기-광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셔터(2560)는 또한 상기 기기(2502)의 후방 마이크로폰(2556) 상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생성기(2542)(또는 2562)가 동작할 때 상기 마이크로폰(2556)이 음성들 및 다른 음향 정보에 일시적으로 응답하지 않게 하는 힘 전달 특징(2566)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후방 셔터(2560)는 상기 생성기(2542)(또는 2562)에 의해 가압되고 가압된 공기가 아웃렛 포트(2566) 밖으로 보내질 수 있게 하는 플레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셔터(2560)는 상기 생성기(2542)(또는 2562) 및 상기 셔터(2560)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 또는 전기-기계 요소(2566) 간에 전기 리드 장치가 이어지게 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도 25a는 셔터들(2540, 2560)이 전자 기기(2502)의 전방 및 후방 표면상의 카메라들 및 마이크로폰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비-계합 위치의 셔터들(2540, 256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방 카메라의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2554)에 가해지는 수동 힘은 상기 전방 및 후방 셔터들(2540, 2560) 및 생성기(2542)(그리고 존재하는 경우 2562)가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대응하는 목적지 카메라들 및 마이크로폰들을 향해 이동하게 한다. 도 25b는 셔터들(2540, 2560)이 그들의 대응하는 목적지 카메라들 및 마이크로폰들을 부분적으로 커버 하는 부분적으로 계합된 위치의 셔터들(2540, 2560)을 도시한다. 도 25c는 상기 전방 셔터(2540)가 그의 목적지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상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후방 셔터(2560)가 그의 목적지 카메라(2555) 및 마이크로폰(2556) 상에 위치되어 있는 계합 위치의 셔터들(2540, 2560)을 도시한다. 상기 계합 위치에서, 상기 셔터들(2540, 2560)은 그들의 대응하는 목적지 마이크로폰들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힘을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그들의 목적지 카메라들의 렌즈를 덮어 감출 수 있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에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를 유체 결합하도록 구성된 플레넘(plenum)(2640)을 보여준다. 상기 플레넘(2640)은 기기 하우징의 표면에 또는 기기 하우징의 표면 바로 아래에 배치된 마이크로폰 및 기압 생성기(2622) 간의 유체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폰은 기기 하우징의 상측 에지면 부근에서 기기 하우징의 전방 주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플레넘(2640)은 상기 생성기(2622) 및 아웃렛 포트(2646) 사이로 연장되는 간극 또는 채널(2643)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기(262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아웃렛 포트(2646)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웃렛 포트(2646)는 상기 마이크로폰과의 유체 결합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실(seal) 또는 개스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넘(2640)은 상기 전자 기기의 카메라의 렌즈를 커버 하거나 덮어 감추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2645)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셔터(2645)는 액정 요소와 같은, 전기-광학 요소 또는 상기 셔터(2640)의 불투명 또는 확산 부분(예컨대, 불투명 페인트 또는 삽입 재료)일 수 있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전자 기기에 기압 생성기(2722)를 유체 결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플레넘을 포함하는 매니폴드(manifold)(2740)를 보여준다. 상기 매니폴드(2740)는 제1 플레넘(2741) 및 제2 플레넘(276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레넘(2741) 및 상기 제2 플레넘(2761) 각각은 상기 매니폴트 재료 내에 간극 또는 채널(2743, 2763)을 형성하며, 앞서 설명한 타입의 개별 또는 공통 생성기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넘(2741)은 상기 생성기(2722)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제1 마이크로폰 간의 유체 결합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플레넘(2741)은 (전자 기기 하우징의 전방 표면상에 있을 수 있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제1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지니는 아웃렛 포트(1366)를 포함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렛 포트(2746)는 상기 플레넘(2741) 및 상기 제1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 간의 향상된 유체 결합을 제공하도록 하는 실 장치(seal arrangement)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넘(2761)은 (후방 표면과 같은 전자 기기 하우징의 다른 표면상에 제공될 수 있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제2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지니는 아웃렛 포트(2766)를 포함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렛 포트(2766)는 상기 제2 플레넘(276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의 인렛 포트 간의 향상된 유체 결합을 제공하도록 하는 실 장치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 예에서, 공통 생성기(2722)는 상기 제1 플레넘(2741) 및 상기 제2 플레넘(2761)에 유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플레넘(2741) 및 상기 제2 플레넘(2741)은 서로 유체적으로 독립되어 있을 수 있고, 그럼으로써 각각이 서로 다른 생성기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 플레넘(2741) 및 상기 제2 플레넘(2761) 각각은 상기 전자 기기의 카메라의 렌즈를 커버 하거나 덮어 감추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2745, 2765)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플레넘(2741)은 전자 기기의 제1 주 표면(예컨대, 전방) 상의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플레넘(2761)은 상기 전자 기기의 제2 주 표면(예컨대, 후방) 상의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셔터들(2745, 2765)은 액정 요소와 같은, 전기-광학 요소 또는 상기 셔터(2741, 2761)의 불투명 또는 확산 부분(예컨대, 불투명 페인트 또는 삽입 재료)일 수 있다.
도 28은 몇몇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는 생성기(2822), 예를 들어 압력, 전기 또는 기계 힘 생성기일 수 있는 생성기(2822)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기(2822)는 하나 이상의 힘 전달 섹션들 또는 요소들(2824, 2836)에 연결된다. 힘 전달 섹션들 또는 요소들(2824, 2836)의 예들에는 압력 아웃렛 포트, 진동 요소 또는 전기 요소(예컨대, 대전 플레이트)가 있다. 상기 생성기(2822) 및/또는 상기 힘 전달 섹션들 또는 요소들(2824, 2836) 중 하나 이상은 배터리와 같은 전력 소스(2820)에 연결된다. 도 28에 도시된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는 수동 또는 능동(예컨대, 전기-광학 요소) 렌즈 셔터 장치를 지지하는 셔터(2834)를 포함한다. 스위치(2830)는 상기 생성기(2822) 및 전력 소스(2820)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선택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공하게 된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셔터(2834)는 초기의 비-계합 위치 및 계합 위치 사이로 상기 셔터(2834)를 (예컨대, 슬라이더를 통해) 이동시키는 것이 상기 생성기 및 수동 렌즈 셔터(존재하는 경우)에 전력 소스를 공급하고 그리고 차단하는 스위치(2830)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29는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는 예를 들어, 압력, 전기 또는 기계 힘 생성기(예컨대, 동일 타입 또는 서로 다른 타입들)일 수 있는 다수의 생성기(2922, 2932)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기들(2922, 2932)은 대응하는 힘 전달 섹션들 또는 요소들(2924, 2936)(예컨대, 압력 아웃렛 포트, 진동 요소 또는 전기 요소)에 연결된다. 상기 생성기들(2922, 2932) 및/또는 상기 힘 전달 섹션들 또는 요소들(2924, 2936) 중 하나 이상은 배터리와 같은 전력 소스(2920)에 연결된다. 스위치(2930)는 상기 생성기들(2922, 2932) 및 전력 소스(2920)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의 선택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공하게 된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상기 셔터(2934)는 초기의 비-계합 위치 및 계합 위치 사이로 상기 셔터(2934)를 (예컨대, 슬라이더를 통해) 이동시키는 것이 상기 생성기 및 수동 렌즈 셔터(존재하는 경우)에 전력 소스를 공급하고 그리고 차단하는 스위치(2930)로서의 역할을 한다.
다음은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들의 목록이다.
항목 1은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 그리고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에 유체적으로 결합된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 작동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2는 항목 1의 장치이며, 여기에서 상기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기 압력은 상기 마이크로폰의 클리핑 (clipping)을 초래한다.
항목 3은 항목 1의 장치이며, 여기에서:
상기 진동판은 편위 한도 (excursion limit)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기 압력은 상기 진동판으로 하여금 상기 편위 한도까지 또는 편위 한도에 가깝게 움직이도록 한다.
항목 4는 항목 1의 장치이며, 여기에서 상기 생성기는 변하는 공기 압력파 (air pressure wave)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5는 항목 4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사인파를 구동 신호로서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변하는 공기 압력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6은 항목 4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음성 신호, 구조화된 (structured) 잡음 신호 또는 음악 신호를 구동 신호로서 수신하고 그리고 그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변하는 공기 압력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7은 항목 1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선형 모터 및 압력 셀을 포함한다.
항목 8은 항목 1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보어 (bore)을 구비한 스풀 (spool);
상기 스풀 주위를 둘러싼 전자석 코일;
영구 자석을 포함한 피스톤으로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코일에 인가된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플의 보어 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피스톤; 그리고
연성 멤브레인 (compliant membrane) 및 아웃렛 포트를 포함하는 압력 셀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피스톤과의 강제 접촉에 응답하여 변위하여, 공기 압력파를 생성한다.
항목 9는 항목 8의 장치이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비-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항목 10은 항목 1의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인렛 포트 및 아웃렛 포트를 포함하는 플레넘 (plenum)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넘의 상기 인렛 포트는 상기 생성기에 유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아웃렛 포트는 상기 마이크로폰에 유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항목 11은 항목 1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MEMS 기기, 진동기, 정전기 모터, 로터리 모터, 베인 펌프 (vane pump), 덕트식 송풍기 (ducted fan blower) 또는 다이렉트 피스톤 펌프를 포함한다.
항목 12는 항목 1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생성기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하는 제1 압력 셀로, 제1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서 작동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압력 셀; 그리고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하는 제2 압력 셀로, 제2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서 작동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압력 셀을 더 포함한다.
항목 13은 항목 1의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생성기가 작동하고 상기 기기의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시간 동안에 음성 사운드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보조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한다.
항목 14는 항목 13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 그리고 상기 제1 보조 마이크로폰 및 상기 생성기가 설치되는 상기 구조체의 일부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사이에 배치된 진동 흡수 재료를 더 포함한다.
항목 15는 항목 1의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보조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보조 마이크로폰은 상기 생성기의 동작으로부터 비롯하는 기계적인 잡음에 응답하며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의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된 음성 사운들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응답하지 않으며;
상기 제2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생성된 신호는 상기 제1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산출된 신호로부터의 기계적인 잡음을 소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항목 16은 항목 1의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슬리브 또는 커버를 포함한다.
항목 17은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 그리고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18은 항목 17의 장치이며, 여기에서 상기 생성기는 다이나믹 마이크로폰, 콘덴서 마이크로폰, 일렉트릿 (electret) 마이크로폰, 리본 마이크로폰, 압전 마이크로폰, 광섬유 마이크로폰, 및 MEMS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게 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19는 항목 17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MEMS 기기, 진동기, 정전기 모터, 로터리 모터, 베인 펌프, 덕트식 송풍기 또는 다이렉트 피스톤 펌프를 포함한다.
항목 20은 항목 17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압력 힘, 전기적 힘 또는 기계적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21은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을 수반한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기기의 외부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 또는 커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향하는 힘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에 작동하는 상기 힘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22는 항목 21의 방법이며, 상기 힘은 공기 압력이다.
항목 23은 항목 21의 방법이며, 상기 힘은 기계적인 진동이다.
항목 24는 항목 21의 방법이며, 상기 힘은 전기적 힘이다.
항목 25는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셔터로, 상기 셔터는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그리고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26은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렌즈 셔터는 불투명 코팅 또는 재료를 포함한다.
항목 27은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렌즈 셔터는 전기-광학 요소를 포함한다.
항목 28은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상기 셔터에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셔터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항목 29는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상기 셔터에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셔터는 상기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 사이의 평면 내에서 미끄러지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30은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셔터는 상기 생성기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 가까운 접근 위치 (access location)를 결합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항목 31은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을 포함한다.
항목 32는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채널은 리드 장치 (lead arrangement)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33은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셔터는 아웃렛 포트를 구비한 플레넘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생성기는 상기 플레넘과 상기 아웃렛 포트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웃렛 포트를 나가는 상기 공기 압력은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 작동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을 하지 않도록 한다.
항목 34는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셔터는:
상기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마이크로폰에 가까운 위치에 놓여있는 전기적 요소; 그리고
상기 전기적 요소 및 상기 생성기를 결합시키는 리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 작동하여 상기 마이크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전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전기적 요소와 협응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35은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셔터는:
상기 기기의 제1 마이크로폰과 정렬하도록 구성된 아웃렛 포트를 구비한 제1 플레넘으로, 상기 제1 플레넘은 상기 기기의 제1 카메라와 정렬하도록 구성된 제1 렌즈 셔터를 포함하는, 제1 플레넘; 그리고
상기 기기의 제2 마이크로폰과 정렬하도록 구성된 아웃렛 포트를 구비한 제2 플레넘으로, 상기 제2 플레넘은 상기 기기의 제2 카메라와 정렬하도록 구성된 제2 렌즈 셔터를 포함하는, 제2 플레넘을 포함한다.
항목 36은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생성기는, 상기 기기의 제3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며 그리고 상기 제3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37은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제1 플레넘은 상기 기기의 제1 주 표면 상 포지셔닝을 위해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 플레넘은 상기 기기의 제2 주 표면 상 포지셔닝을 위해 구성된다.
항목 38은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전기적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39는 항목 25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기계적인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40은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셔터로, 상기 셔터는,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그리고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41은 항목 40의 장치이며, 상기 렌즈 셔터는 전기-광학 요소를 포함한다.
항목 42는 항목 40의 장치이며, 상기 렌즈 셔터 및 상기 생성기에 결합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렌즈 셔터 및 상기 생성기를 동시에 활성화하며 그리고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43은 항목 40의 장치이며, 상기 렌즈 셔터 및 상기 생성기에 결합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렌즈 셔터 및 상기 생성기를 동시에 활성화하며 그리고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44는 항목 40의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셔터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셔터는,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기기의 제2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를 포함한다.
항목 45는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및 카메라를 수반한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기기의 외부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 또는 커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향하는 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폰에 작동하는 상기 힘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의 나머지가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6은 항목 45의 방법이며,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커버 또는 슬리브의 셔터에서 생성하고, 응답하지 않도록 하고 그리고 가리는 것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7은 항목 45의 방법이며,
상기 커버 또는 슬리브의 셔터를 비-계합 위치와 계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셔터에서 생성하고, 응답하지 않도록 하고 그리고 가리는 것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8은 항목 45의 방법이며, 상기 힘은 공기 압력이다.
항목 49는 항목 45의 방법이며, 상기 힘은 기계적인 진동이다.
항목 50은 항목 45의 방법이며, 상기 힘은 전기적인 힘이다.
항목 51은 마이크로폰, 카메라, 및 무선 통신 설비를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체는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들은:
계합되거나 또는 활성화될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기;
보조 마이크로폰; 그리고
적어도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기가 상기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시간으로, 적어도 그 시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52는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들을 암호화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53은 항목 52의 장치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암호화된 신호들을 상기 무선 통신 설비를 통한 전송을 위해서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54는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는 케이스 또는 커버를 포함한다.
항목 55는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는:
두-부분 케이스 또는 커버; 그리고
상기 구조체를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탈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피처 (feature)들을 포함한다.
항목 56은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는 적어도 상기 생성기 및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된 배터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57은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에 결합된 구동 신호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들을 역전 (invert)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구동 신호 소스는 상기 역전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기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58은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는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된 생성기 잡음을 줄이도록 배치된 진동 흡수 재료를 포함한다.
항목 59는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보조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보조 마이크로폰은 상기 생성기의 동적으로부터 비롯된 기계적인 잡음에 응답하며 그리고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에는 실질적으로 응답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2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산출된 신호는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산출된 상기 신호들로부터의 기계적인 잡음을 소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항목 60은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렌즈 셔터는 불투명 코팅 또는 재료를 포함한다.
항목 61은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렌즈 셔터는 전기-광학 요소를 포함한다.
항목 62는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렌즈 셔터, 상기 생성기,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 및 상기 프로세서를 동시에 활성화하며 그리고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항목 63은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전자 기기는 복수의 마이크로폰들 및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구조체는 복수의 렌즈 셔터들 및 복수의 생성기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64는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공기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65는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전기적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66은 항목 51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기계적인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67은 마이크로폰, 카메라, 및 무선 통신 설비를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체는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들은:
계합되거나 또는 활성화될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
상기 전자 기기의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며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기;
보조 마이크로폰; 그리고
상기 생성기가 상기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이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시간 동안에 사용자와 원격 기기 사이의 보안 대화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보조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한다.
항목 68은 항목 67의 장치이며, 상기 보조 오디오 시스템은:
보조 마이크로폰; 그리고
적어도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항목 69는 항목 67의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는 활성 상태 그리고 비활성 상태에서 동작 가능한 사용자 작동 가능 스위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는 활성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렌즈 셔터, 상기 생성기, 그리고 상기 보조 오디오 시스템을 활성화하며;
상기 스위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렌즈 셔터, 상기 생성기, 그리고 상기 보조 오디오 시스템을 비활성화한다.
항목 70은 항목 67의 장치이며, 상기 보조 오디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들을 암호화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71은 항목 67의 장치이며, 상기 보조 오디오 시스템은 상기 암호화된 신호들을 상기 무선 통신 설비를 통한 전송을 위해서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72는 항목 67의 장치이며,
상기 전자 기기는 복수의 마이크로폰들 및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구조체는 복수의 렌즈 셔터들 및 복수의 생성기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73은 항목 67의 장치이며, 상기 생성기는 공기 압력, 전기적 힘 또는 기계적인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74는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카메라, 그리고 무선 통신 설비를 수반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기기의 외부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 또는 커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향하는 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폰에 작동하는 상기 힘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폰이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할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는 단계;
상기 생성기가 상기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이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시간으로, 적어도 그 시간 동안에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슬리브에서 보조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사운드들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획득된 상기 신호들을 상기 커버나 슬리브로부터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75는 항목 74의 방법이며,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획득된 상기 신호들을 상기 무선 통신 설비를 통한 전송을 위해서 상기 커버 또는 슬리브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76은 항목 74의 방법이며, 상기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획득된 상기 신호들을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슬리브에 의해 지지되는 컴포넌트에 의해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77은 항목 74의 방법이며, 상기 힘은 공기 압력, 기계적인 진동 또는 전기적 힘이다.
비록 본원에서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대안 및/또는 등가의 구현들이 상기 보여지고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을 위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인정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원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의 임의의 개작들 또는 변형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되었다. 그러므로, 이 개시는 청구항들 그리고 그 청구항들의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Claims (43)

  1.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 그리고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에 유체적으로 결합된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 작동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공기 압력은 상기 마이크로폰의 클리핑 (clipping)을 초래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편위 한도 (excursion limit)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기 압력은 상기 진동판으로 하여금 상기 편위 한도까지 또는 편위 한도에 가깝게 움직이도록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변하는 공기 압력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사인파 (sine wave)를 구동 신호로서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변하는 공기 압력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음성 신호, 구조화된 잡음 신호 또는 음악 신호를 구동 신호로서 수신하고 그리고 그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변하는 공기 압력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선형 모터 및 압력 셀을 포함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보어 (bore)을 구비한 스풀 (spool);
    상기 스풀 주위를 둘러싼 전자석 코일;
    영구 자석을 포함한 피스톤으로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코일에 인가된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풀의 상기 보어 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피스톤; 그리고
    연성 멤브레인 (compliant membrane) 및 아웃렛 포트를 포함하는 압력 셀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피스톤과의 강제 접촉에 응답하여 변위하여, 공기 압력파를 생성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비-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인렛 포트 및 아웃렛 포트를 포함하는 플레넘 (plenum)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넘의 상기 인렛 포트는 상기 생성기에 유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아웃렛 포트는 상기 마이크로폰에 유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MEMS 기기, 진동기, 정전기 모터, 로터리 모터, 베인 펌프 (vane pump), 덕트식 송풍기 (ducted fan blower) 또는 다이렉트 피스톤 펌프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하는 제1 압력 셀로, 제1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서 작동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압력 셀; 그리고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하는 제2 압력 셀로, 제2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서 작동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압력 셀을 더 포함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생성기가 작동하고 상기 기기의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게 되는 시간 동안에 음성 사운드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보조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 그리고 상기 제1 보조 마이크로폰 및 상기 생성기가 설치되는 상기 구조체의 일부 중 하나 또는 둘 사이에 배치된 진동 흡수 재료를 더 포함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보조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보조 마이크로폰은 상기 생성기의 동작으로부터 비롯하는 기계적인 잡음에 응답하며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의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된 음성 사운들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응답하지 않으며;
    상기 제2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산출된 신호는 상기 제1 보조 마이크로폰에 의해 산출된 신호로부터의 기계적인 잡음을 소거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슬리브 또는 커버를 포함하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장치는: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며 계합 위치 (engaged position)와 비-계합 (non-engaged position)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셔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는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셔터는 불투명 코팅 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셔터는 전기-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상기 셔터에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셔터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상기 셔터에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셔터는 상기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 사이의 평면 내에서 미끄러지게 이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생성기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 가까운 접근 로케이션 (access location)를 결합하는 채널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을 포함하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리드 장치 (lead arrangement)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아웃렛 포트를 구비한 플레넘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생성기는 상기 플레넘과 상기 아웃렛 포트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웃렛 포트를 나가는 상기 공기 압력은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 작동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마이크로폰에 가까운 위치에 놓여있는 전기적 요소; 그리고
    상기 전기적 요소 및 상기 생성기를 결합시키는 리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상에 작동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전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전기적 요소와 협응하도록 구성된, 장치.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기기의 제1 마이크로폰과 정렬하도록 구성된 아웃렛 포트를 구비한 제1 플레넘으로, 상기 제1 플레넘은 상기 기기의 제1 카메라와 정렬하도록 구성된 제1 렌즈 셔터를 포함하는, 제1 플레넘; 그리고
    상기 기기의 제2 마이크로폰과 정렬하도록 구성된 아웃렛 포트를 구비한 제2 플레넘으로, 상기 제2 플레넘은 상기 기기의 제2 카메라와 정렬하도록 구성된 제2 렌즈 셔터를 포함하는, 제2 플레넘을 포함하는, 장치.
  28.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조체; 그리고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다이나믹 마이크로폰, 콘덴서 마이크로폰, 일렉트릿 (electret) 마이크로폰, 리본 마이크로폰, 압전 마이크로폰, 광섬유 마이크로폰, 및 MEMS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게 구성된,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MEMS 기기, 진동기, 정전기 모터, 로터리 모터, 베인 펌프, 덕트식 송풍기 또는 다이렉트 피스톤 펌프를 포함하는,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압력 힘, 전기적 힘 또는 기계적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장치는: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셔터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셔터는,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를 포함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셔터는 전기-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셔터 및 상기 생성기에 결합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렌즈 셔터 및 상기 생성기를 동시에 활성화하며 그리고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상기 마이크로폰 상에 작동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 압력, 전기적 힘 또는 기계적인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셔터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셔터는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기기의 제2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구성된 렌즈 셔터를 포함하는, 장치.
  37.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을 수반한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기기의 외부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 또는 커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향하는 힘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에 작동하는 상기 힘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폰이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힘은 공기 압력인,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힘은 기계적인 진동인,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힘은 전기적 힘인, 방법.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음성 사운드들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게 하면서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커버 또는 슬리브의 셔터에서 생성하고, 응답하지 않도록 하고 그리고 가리는 것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또는 슬리브의 셔터를 비-계합 위치와 계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계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셔터에서 생성하고, 응답하지 않도록 하고 그리고 가리는 것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67018542A 2013-12-10 2014-12-10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 및 방법 KR201601058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02,387 2013-12-10
US14/102,382 2013-12-10
US14/102,382 US8731186B1 (en) 2013-12-10 2013-12-10 Microphone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US14/102,387 US8724020B1 (en) 2013-12-10 2013-12-10 Microphone and camera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US14/276,298 2014-05-13
US14/276,298 US9392362B2 (en) 2013-12-10 2014-05-13 Microphone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US14/276,288 US9124792B2 (en) 2013-12-10 2014-05-13 Microphone and camera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US14/276,288 2014-05-13
PCT/US2014/069568 WO2015089196A1 (en) 2013-12-10 2014-12-10 Microphone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807A true KR20160105807A (ko) 2016-09-07

Family

ID=5337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542A KR20160105807A (ko) 2013-12-10 2014-12-10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80974A4 (ko)
KR (1) KR20160105807A (ko)
CN (1) CN105934932A (ko)
MX (1) MX353910B (ko)
WO (1) WO2015089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4020B1 (en) 2013-12-10 2014-05-13 Vysk Communications, Inc. Microphone and camera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RU2628925C1 (ru) * 2016-04-25 2017-08-2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Лаборатория Касперског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защищенной передачи аудиоданных от микрофона к процессам
CN109686352A (zh) * 2017-10-18 2019-04-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用于收音设备的防护装置及交互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1051A (ja) * 1988-12-24 1990-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秘話通信方式
US5949892A (en) * 1995-12-07 1999-09-07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microphone
JP2005275074A (ja) * 2004-03-25 2005-10-06 Hassho Shoji Kk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用レンズカバー
JP2007065443A (ja) * 2005-09-01 2007-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ンズカバー構造
US7581893B2 (en) * 2006-04-17 2009-09-01 Ivan Miramontes U-cover camera phone
US20110058255A1 (en) * 2008-05-07 2011-03-10 Weiss David G Computer, pda or telephone lens cover
CN201639617U (zh) * 2010-01-13 2010-11-17 管斌 一种带防窃听装置的手机
US20120183156A1 (en) * 2011-01-13 2012-07-19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Microphone system with a hand-held microphone
KR101900282B1 (ko) * 2012-10-22 201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
US9891882B2 (en) * 2015-06-01 2018-02-13 Nagravision S.A.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ying encrypted data to a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0974A4 (en) 2018-01-10
CN105934932A (zh) 2016-09-07
WO2015089196A1 (en) 2015-06-18
EP3080974A1 (en) 2016-10-19
MX353910B (es) 2018-02-02
MX2016007515A (es)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4183B2 (en) Microphone and camera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158935B2 (en) Microphone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AU2013350472B2 (en) Bone-conduction speaker unit
JP6282749B2 (ja) 骨伝導スピーカーの音漏れ抑制方法及び骨伝導スピーカー
AU2005205632A1 (en) Portable telephone using bone conduction device
WO2013164999A1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8141589A (ja) 骨伝導スピーカを搭載した携帯電話
CN110856082A (zh) 发声器件
KR20160105807A (ko) 마이크로폰 차단 장치 및 방법
JP2014107828A (ja) 音声振動出力装置
WO2021093003A1 (zh) 扬声器箱
KR20140136184A (ko) 마이크로 스피커
KR100854723B1 (ko) 마이크로스피커
CN110995900A (zh) 电子设备
KR20200102784A (ko) 음향 신호를 촉각 신호로 변환시키는 촉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482649Y1 (ko) 음향 진동 왜곡 방지 구조의 전기 음향 변환기
CN117440302B (zh) 扬声器模组
US20210375105A1 (en) Haptic providing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sound signal to haptic signal
CN116489579A (zh) 发声装置和电子设备
JP2004140719A (ja) 骨伝導発生装置
KR20040084579A (ko) 전기에너지/음향에너지 변환기에서의 자기장 저감기술
KR200221541Y1 (ko) 전자파가 배제된 전화용 수화갑 세트
KR20200102783A (ko) 음향 신호를 촉각 신호로 변환시키는 촉각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21100230A (ja) 聴取装置
CN113015058A (zh) 骨传导耳机的振子和传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