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425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4258A
KR20010084258A KR1020000009139A KR20000009139A KR20010084258A KR 20010084258 A KR20010084258 A KR 20010084258A KR 1020000009139 A KR1020000009139 A KR 1020000009139A KR 20000009139 A KR20000009139 A KR 20000009139A KR 20010084258 A KR20010084258 A KR 20010084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opening
mobile communication
cov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선경
김종국
Original Assignee
허진호
주식회사 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호, 주식회사 이트로닉스 filed Critical 허진호
Priority to KR102000000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4258A/ko
Publication of KR2001008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2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Abstract

개시한 내용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프론트 케이스를 덮고 있는 프론트 커버를 자동으로 여닫도록 하는 프론트 케이스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페장치는, 프론트 케이스의 적소에 취부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여닫이를 선택하는 덮개버튼과, 그 덮개버튼의 조작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를 여닫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테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압단속수단과, 프론트 커버에 부착된 매우 얇고 가벼운 금속부재와, 이 금속부재와 대향되게 프론트 케이스의 적소에 설치되며 전압단속수단의 전원입력 여부에 따라 금속부재에 자력을 발생하여 프론트 커버를 여닫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력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프론트 케이스에 설치된 하나의 덮개버튼 조작으로 프론트 케이스의 하단부에 설치된 자력발생수단을 제어하여 매우 얇고 가벼운 프론트 커버를 자동으로 여닫아 주게 되는 편리성을 얻을 수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Automatic Front Co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에서의 키이패드 부위를 덮고 있는 프론트 커버를 자동으로 여닫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마그네트 및 탄성체를 이용하여 통화 시에 하나의 버튼 조작으로 프론트 커버를 자동으로 열어주고 통화 후에는 프론트 커버를 자동으로 닫아주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내장하고 있으며, 일반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연결하는 선로를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쌍방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원거리에서의 전화 통화의 편리성과 이동성을 추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통화자가 쌍방간의 통화를 하기 위해 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링신호가 도래되면 먼저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를 재취한 후에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거나 또는 링신호의 도래에 따른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 양산되는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프론트 커버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해 프론트 케이스의 외관부위에 "H"형상의 리브를 설치하여 링신호가도래되거나 또는 전화를 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커버를 손으로 재취하게 되면 프론트 커버가 일정한 각도로 시계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한 후에 회전이 멈추어지면서 열리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거나 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링신호가 도래될 때마다 한 손으로 단말기의 몸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프론트 커버를 일일이 열어 주어야 하며 통화종료 후에는 다시 프론트 커버를 닫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프론트 커버를 열어 주어야 함으로 링신호가 도래한 시점에서부터 프론트 커버가 열리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지연되며, 이것에 의해 지하철 또는 관공서, 도서실, 영화관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장시간의 링신호 발생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게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치유하면서도 구조면에서는 보다 간소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개폐장치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보다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커버를 여닫을 수 있는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형의 셀룰라폰 또는 PCS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자 할 때, 또는 전화를 받고자 할 때에 프론트 케이스를 덮고 있는 프론트 커버를 자동으로 여닫아 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개폐장치는 몸체의 적소에 취부된 하나의 버튼 조작으로 프론트 케이스의 하단부에 설치된 자력발생수단을 제어하여 프론트 커버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여닫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론트 커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주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01 : 리얼케이스
102 : 프론트 케이스 103 : 프론트 커버
104 : 덮개버튼 105, 105a : 제1, 제2 자력발생부
106, 106a : 제1, 제2 금속부재 107 : 리브
108 : 조작패널 109 : 마이크로 프로세서
110 : 전압단속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는, 프론트 커버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해 프론트 케이스의 하부 단부에 리브를 설치하여 프론트 커버를 여닫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1)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적소에 취부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여닫이를 선택하는 덮개버튼;
(2) 상기 덮개버튼의 조작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를 여닫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3)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얻어진 제어신호에 따라 바테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압단속수단;
(4) 상기 프론트 커버에 부착된 매우 얇고 가벼운 금속부재; 및
(5) 상기 금속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적소에 설치되며 상기 전압단속수단의 전원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금속부재에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를 여닫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력발생수단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압단속수단은 스위칭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자력발생수단은 그 내부에 코일이 감겨진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자식 마그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마그네트는 적어도 상기 금속부재와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 하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자 할 때나 상대방의 전화를 받고자 할 때, 또는 통화 종료 후에 덮개버튼을 조작하여 프론트 커버를 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시간 지연 없이 보다 신속 정확하고 원활하게 프론트 커버를 자동으로 여닫을 수가 있는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제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주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는,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얼케이스(101)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몸체(100)에 프론트 커버(103)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해 프론트 케이스(102)의 하부 단부에 내부적으로 탄성체를 갖는 리브(107)를 설치하여 프론트 커버(103)를 여닫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몸체(100)의 측벽에 프론트 커버(103)의 여닫이를 선택하기 위해 설치된 덮개버튼(104)과, 몸체(100)에 내장되며 덮개버튼(104)의 조작여부를 판단하여 프론트 커버(103)를 여닫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9)와,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109)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리얼케이스(101)에 결합된 축전지(111)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압단속부(110)와, 프론트 커버(103)의 하단 좌우 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매우 얇고 가벼운 제1, 제2 금속부재(106, 106a)와, 그 제1, 제2 금속부재(106, 106a)와 대향되게 프론트 케이스(102)의 하단 좌우면에 설치되며 전압단속부(110)의 전원입력 여부에 따라 제1, 제2 금속부재(106, 106a)에 자력을 발생하여 프론트 커버(103)를 여닫는 각각 코일(L)을 내장한 제1, 제2 자력발생부(105, 105a)로 구성된 것으로, 도면중 미 설명부호 108은 각각의 기능버튼을 갖는 조작패널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를 이하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프론트 케이스(102)의 하단 좌우면에 설치된 마그네트와 같은 제1, 제2 자력발생부(105, 105a)의 코일(L)로 축전지(111)의 전원이 인가되어 그 코일(L)들로부터 자력이 발생되고 이것에 의해 제1, 제2 금속부재(106, 106a)를 갖는 매우 얇고 가벼운 프론트 커버(103)가 몸체(100)의 프론트 케이스(102)를 덮고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통화 목적으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고자 할 경우,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링신호가 도래될 경우, 이 경우에 있어서는 프론트 커버(103)가 열린 뒤에 다이얼링 조작 또는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므로, 따라서 사용자는 먼저 몸체(100)의 프론트 케이스(102)를 덮고 있는 프론트 커버(103)를 열어야 한다.
이때, 사용자가 몸체(100)의 측벽에 설치된 덮개버튼(104)를 한 번 누르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체(100)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09)가 이를 인식하여 프론트 커버(103)를 열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 소자와 같은 전압단속부(11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덮개버튼(104)을 프론트 케이스(102)의 전면에 부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전압단속부(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9)의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되어 축전지(111)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축전지(110)의 전원이 전압단속부(110)에 의해 차단되면 내부에 코일(L)을 갖고 프론트 케이스(102)의 하단 좌우면에 설치된 전자석 마그네트와 같은 제1, 제2 자력발생부(105, 105a)로부터의 자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자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리브(107)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탄성체가 반발력을 발생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2)를 덮고 있는 프론트 커버(103)를 열어줌으로써, 그 결과 조작패널(108)을 통해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할 수 있고, 또한 즉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화종료 후 사용자가 프론트 커버(103)를 닫고자 하여 덮개버튼(104)을 다시 누르게 되면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9)는 프론트 커버(103)를 닫기 위해 제어신호를 발생, 즉 하이신호를 발생하여 전압단속부(110)를 도통(ON)시켜 주게 된다.
전압단속부(110)가 도통되면 축전지(111)에서 발생된 전원이 그 전압단속부(110)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102)의 하단 좌우면에 설치된 전자석 마그네트와 같은 제1, 제2 자력발생부(105, 105a)의 코일(L)로 인가되어, 그 코일로부터 자력이 발생된다.
제1, 제2 자력발생부(105, 105a)에서 자력이 발생되면 이와 대향하게 설치되고 또한 제1, 제2 자력발생부(105, 105a)와의 최소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프론트 커버(103)의 제1, 제2 금속부재(106, 106a)에 자력이 미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매우 얇으면서도 아주 가벼운 프론트 커버(103)가 자력에 이끌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2)를 덮어주게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할 때, 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링신호가 도래될 때마다 수동으로 프론트 커버를 열고 닫아야 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몸체의 적소에 취부된 하나의 버튼 조작으로 프론트 케이스의 하단부에 설치된 자력발생수단을 제어하여 프론트 커버를 자동으로 여닫아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다 신속 정확하고 편리하게 프론트 커버를 여닫을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는, 폴더형의 셀룰라폰 또는 PCS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자 할 때나 상대방의 전화를 받고자 할 때 또는 통화 종료 후에 매우 얇고 가벼운 프론트 커버를 하나의 덮개버튼을 통해 보다 신속 정확하고 편리하게 자동으로 여닫을 수가 있고 또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조작의 편리성이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프론트 커버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해 프론트 케이스의 하부단부에 리브를 설치하여 매우 얇고 아주 가벼운 프론트 커버를 여닫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1)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적소에 취부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여닫이를 선택하는 덮개버튼;
    (2) 상기 덮개버튼의 조작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를 여닫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3)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얻어진 제어신호에 따라 바테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압단속수단;
    (4) 상기 프론트 커버에 부착된 매우 얇고 가벼운 금속부재; 및
    (5) 상기 금속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적소에 설치되며 상기 전압단속수단의 전원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금속부재에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를 여닫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력발생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단속수단은 스위칭 소자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수단은 그 내부에 코일이 감겨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식 마그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적어도 상기 금속부재와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 하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1020000009139A 2000-02-24 2000-0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20010084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139A KR20010084258A (ko) 2000-02-24 2000-0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139A KR20010084258A (ko) 2000-02-24 2000-0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258A true KR20010084258A (ko) 2001-09-06

Family

ID=1964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139A KR20010084258A (ko) 2000-02-24 2000-0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425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88B1 (ko) * 2007-01-31 2008-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용 전자석
US7471967B2 (en) 2004-10-26 2008-12-30 Pantech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opening/closing sensing function using a plurality of magnetic pole sensors and method therefor
KR101110402B1 (ko) * 2010-09-17 2012-04-05 애플 인크. 자기 부착 구조를 갖는 액세서리 장치
CN106325661A (zh) * 2015-06-26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1967B2 (en) 2004-10-26 2008-12-30 Pantech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opening/closing sensing function using a plurality of magnetic pole sensors and method therefor
KR100797688B1 (ko) * 2007-01-31 2008-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전화기의 개폐장치용 전자석
KR101110402B1 (ko) * 2010-09-17 2012-04-05 애플 인크. 자기 부착 구조를 갖는 액세서리 장치
CN106325661A (zh) * 2015-06-26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1416B1 (en) Foldable portable telephone set
KR0144390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통화키를 이용한 다기능 구현방법
US7031743B2 (en) Foldabl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6704585B1 (en) Portable telephone with flap hinged to its casing
JP2834078B2 (ja) フリップ機構を有する携帯電話機
KR2001008425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자동 개폐장치
EP1345389B1 (en) Folding-type radio terminal, conversation start method and conversation start program
EP1153525A1 (en) Sound directing device
KR100351640B1 (ko)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00014986A (ko) 플립형 무선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1007272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및장치
KR100694025B1 (ko) 폴더형 휴대폰의 통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008425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신호 수신에 의한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100405141B1 (ko)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엘 씨 디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200241947Y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전화기
KR20010084260A (ko) 이동통신 단말기 커버의 슬라이드 방식 개폐장치
KR100547369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자석을 이용한 덮개 자동 개폐장치 및 그 방법
JP3373969B2 (ja) 携帯電話装置
JPH07177208A (ja) コードレステレホン
KR0128895B1 (ko)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KR2007005569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대별 수신모드 전환방법
JPH1117609A (ja) 複合無線携帯端末装置
BE1012577A6 (fr) Systeme de commandes sequencees d&#39;automatismes a partir des memoires d&#39;un poste telephonique.
JPH10190792A (ja) 携帯型電話機
JP2001127869A (ja) 携帯電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携帯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