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895B1 -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895B1
KR0128895B1 KR1019940011556A KR19940011556A KR0128895B1 KR 0128895 B1 KR0128895 B1 KR 0128895B1 KR 1019940011556 A KR1019940011556 A KR 1019940011556A KR 19940011556 A KR19940011556 A KR 19940011556A KR 0128895 B1 KR0128895 B1 KR 0128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lip
lever
protrusion
typ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5248A (ko
Inventor
이양섭
Original Assignee
구자홍
Lg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Lg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11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895B1/ko
Publication of KR95003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립형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플립형 전화기에서 통화모드와 송수신대기 모드로 절환하는 커버의 감지부 구조를 개선하여 플립형 전화기의 박형화, 슬림화를 구현하며, 커버의 개폐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화기 본체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는 PCB에 부착되어 통화모드와 통화대기모드를 절환하는 택스위치와, 커버부의 개폐시에 상기 커버부의 돌기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택스위치를 구동하는 레버를 구비하되; 상기 레버의 제1단부측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버의 제2단부측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레버의 제2단부 부근에 상기 커버부의 돌기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는 돌출부에 상기 커버부의 돌기가 접촉되어 압압되면 상기 택스위치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플립형 전화기의 박형화, 슬림화, 경량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제1도(a)는 종래의 플립형 전화기 구조를 보인 정면도.
제1도(b)는 종래의 플립형 전화기 사용상태 측면도.
제2도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립형 전화기 구조를 보인 정면도.
제2도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립형 전화기의 부분 측단면도.
제2도c는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 있는 본 발명 플립형 전화기의 A-A선 단면도.
제2도d는 제2c도에 도시된 레버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플립형 전화기 32 : 스피커부
33 : 마이크부 34 : 커버부
35 : 키패드부 36 : 택 스위치
37 : 레버 37a : 돌출부
38 : 돌기 39 : 액정 표시부
40 : PCB 41 : 하우징
42 : 체결나사 43 : 삽입홈
본 발명은 플립형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립형 전화기에서 통화모드와 송수신대기 모드를 절환하는 커버의 감지부 구조를 개선하여 플립형 전화기의 박형화, 슬림화를 구현하며, 커버의 개폐상태를 용이하게 감지하도록한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립형 전화기(셀룰라폰, 무선전화기)는 휴대용 전화기인 관계로 제품 특성상 사용에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형, 경량 및 박형화로 제조되며, 이를 위해 다수의 고밀도 부품 실장방법 및 구조등이 고려되고 있다.
종래의 플립형 전화기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길이가 짧은 소형의 플립형 전화기(1)를 구성함에 있어 스피커부(2)와 마이크(3)의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플립커버부(4)의 상단부 소정위치에 마이크(3)를 위치하고, 이를 전선(12)를 이용하여 PCB(7)의 입력포트에 연결한다. 또한 필립커버부(4)의 개폐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PCB(7)의 소정위치에 리드수위치(11)가 위치되며, 리드스위치(11)를 스위칭 시키기 위해 플립커버부(4)의 선단부 소정 위치에 영구자석(6)이 내장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플립형 전화기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립형 전화기의 통화대기 상태에서 착신링이 인가되거나 사용자가 통화를 하고져 핸드셋의 일측면에 위치한 커버 개폐 버튼(5)을 구동하면 플립커버부(4)가 힌지부(10)를 축으로하여 오픈된다. 따라서 플립 커버부(4)의 선단부에 위치한 영구자석(6)이 PCB(7)의 소정위치에 부착된 리드스위치(11)와 이격되므로 영구자석(6)의 자기력이 손실되어 리드스위치(11) 점점이 연결된다. 리드 스위치(11)의 점점 연결로 PCB(7)의 소정위치에 부착된 중앙처리장치가 이를 감지하여 플립형 전화기를 통화모드로 절환함과 동시에 표시부(8) 및 키패드부(9)를 백라이팅 시킨다. 반면에 통화모드를 종료하고 대기모드로 전환하고져 플립커버부(4)를 닫으면 영구자석(6)의 자기력이 리드스위치(11)의 접점연결을 단락시켜 통화모드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플립형 전화기는 플립 커버부 내면에 영구자석과 마이크 및 전선 등의 다수 부품을 내장하므로 부품 실장을 위한 공간이 소요되어 플립커버부가 두꺼워짐에 따라 박형의 플립형 전화기 구현에 문제점이 있으며, 힌지부 구성에 소요되는 부품이외의 플립 커버부 구성에도 다수의 부품이 소요되고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플립형 전화기의 플립커버부 구조 및 개폐 감지부의 구조를 변형하여 단순화, 박형화 및 슬림화를 제공하며, 장치 조립에 대한 생산성을 행상시키도록 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화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전화기 본체의 키패드부(35)에 대향되도록 회동하되 중앙선단부에 돌기(38)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부(34)를 구비하는 플립형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본체의 하우징(41)에 결합되어 있는 PCB(7)에 부착되어 통화모드와 통화대기모드를 절환하는 택스위치(36)와, 상기 커버부(34)의 개폐시에 상기 돌기(38)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택스위치(37)를 구동하는 레버(37)를 구비하되; 상기 레버(37)의 제1단측은 상기 하우징(4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버(37)의 제2단부측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레버(37)의 제2단부 부근에 상기 커버부(34)의 돌기(38)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돌출부(3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37)는 돌출부(37a)에 상기 커버부(34)의 돌기(38)가 접촉되어 압압되면 상기 택스위치(36)에 압력을 가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립형 전화기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립형 전화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제2c도는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플립형 전화기의 A-A선 단면도이고, 제2d도는 제2c도에 도시된 레버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도이다.
제2a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플립형 전화기는 송수신 음성을 입출력하는 마이크부(33)와 스피커부(32)가 플립형 전화기(31) 본체에 실장되고, 스피커부(32)에 하단부 소정위치에 플립형 전화기 사용에 따른 제반적인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부(39)가 구비되며, 액정표시부(39)의 하단부 소정 위치에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텐키(0∼9)와 통화형성 및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소정의 기능키가 구비된 키패드부(35)가 위치된다. 또한, 키패드부(35)의 보호덮개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통화음을 모아 플립형 전화기(31) 본체 하단부에 실장된 마이크부(33)에 반사시키는 커버부(34)가 힌지부를 통해 플립형 전화기(31)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커버부(34)의 중앙선단부 소정위치에 돌기(38)가 형성되는데, 돌기(38)는 플립형 전화기의 주요부품이 실장되는 PCB(40)에 부착되어 모드 전환하는 택스위치(36)의 접점을 단속한다. 택스위치(36)는 표시부(39)의 하단부 키패드부(35)의 상단부 사이의 하우징(41) 내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는 첨부된 도면 제2c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택스위치(36)가 부착된 PCB(40)는 플립형 전화기(31)의 형상을 유지하여 주는 하우징(41)에 다수의 체결나사(42)에 의한 결합으로 고정된다. 한편 소정의 탄력성과 길이를 갖는 레버(34)가 설치되는데, 레버(37)의 제1단부(端部)측은 하우징(41)의 일측에 고정되고 레버(37)의 제2단부측의 소정 위치에는 커버부(34)의 중앙 선단부에 형성된 돌기(38)와 접촉되는 돌출부(37a)가 형성된다. 또한 액정표시부(39)와 키패드부(35) 사이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삽입홈(43)에는 커버부(34)의 돌기(38)가 삽입되는데, 삽입홈(43)의 중앙부분에는 호올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호올을 통해 레버(37)의 돌출부(37a)가 돌출되어 있으며, 해당 돌출부(37a)는 커버부(34)의 돌기(38)에 의해 접촉되어 압압된다. 그리고 커버부(34)는 힌지부를 통해서 플립형 전화기(31)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는데, 커버부(34)가 완전히 닫혀지는 경우에는 힌지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커버부(34)가 완전히 열려지는 경우에는 힌지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열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같은 기능을 구비한 힌지부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해당 힌지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커버부(34)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는데, 커버부(34)가 닫히는 경우에 커버부(34)의 돌기(38)는 액정표시부(39)와 키패드부(35)사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삽입홈(43)에 삽입되며, 이때 커버부(34)의 돌기(38)가 레버(37)의 돌출부(37a)를 압압하므로써 레버(37)가 택스위치(36)에 압력을 가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플립형 전화기(34)가 닫힌 통화대기 커버부(34)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기(38)가 레버(37)의 돌출부(37a)를 가압하므로 레버(37)는 제2d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0.0점을 기준으로하여 일정량 만큼 PCB(40)측으로 눌리게 된다. 이때 P포인트에 택스위치(36)가 위치되므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레버(37)는 택스위치(36)를 압압하여 플립형 전화기를 통화대기 모드로 전환시킨다. 또한 레버(37)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이므로 커버부(34)의 돌기(38)에 의한 가압되고 남는 눌림 여유량에 의해 휘어져서 택스위치(36)에 무리한 압력을 가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은 통화대기 모드에서 착신링이 인가되거나 사용자가 통화를 하고져 할 때는 커버부(34)를 수동으로 당겨 힌지부를 축으로하여 오픈시킨다. 이때 탄성력에 의해 휘어진 레버(37)가 복원됨과 동시에 택스위치(36)의 가압 상태가 해체되므로 택스위치(36)의 접점이 연결되어 통화모드로 전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레버를 이용하여 모드 절환하는 스위치 접접의 단속을 편리하게 수행하며, 커버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경량, 박형 및 슬림화의 플립형 전화기를 제공한다.

Claims (3)

  1. 전화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전화기 본체의 키패드부(35)에 대향되도록 회동하되 중앙선단부에 돌기(38)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부(34)를 구비하는 플립형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본체의 하우징(41)에 결합되어 있는 PCB(40)에 부착되어 통화모드와 통화대기모드를 절환하는 택스위치(36)와 상기 커버부(34)의 개폐시에 상기 돌기(38)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택스위치(36)를 구동하는 레버(37)를 구비하되; 상기 레버(37)의 제1단부측은 상기 하우징(4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버(37)의 제2단부측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레버(37)의 제2단부 부근에 상기 커버부(34)의 돌기(38)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돌출부(3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37)는 돌출부(37a)에 상기 커버부(34)의 돌기(38)가 접촉되어 압압되면 상기 택스위치(36)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택스위치(36)는 상기 레버(37)의 중앙부에 접촉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7)의 가압되는 상기 택스위치(36)의 중심점에서 상기 택스위치(36)의 스트로크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KR1019940011556A 1994-05-26 1994-05-26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KR012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556A KR0128895B1 (ko) 1994-05-26 1994-05-26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556A KR0128895B1 (ko) 1994-05-26 1994-05-26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248A KR950035248A (ko) 1995-12-30
KR0128895B1 true KR0128895B1 (ko) 1998-04-08

Family

ID=1938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556A KR0128895B1 (ko) 1994-05-26 1994-05-26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8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248A (ko) 199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436B1 (en) Portable telephone
JP2689880B2 (ja) 携帯電話機
JP2755096B2 (ja) 携帯電話機構造
EP1643733B1 (en) Method for cancelling a timed function in a radiotelephone
GB2310561A (en) Mobile telephone keys usable for a range of positions of a sliding cover
US8013266B2 (en) Key button and key assembly using the key butt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keypad assembly
KR0128895B1 (ko) 플립형 전화기의 커버 개폐 감지장치
KR20030068664A (ko) 폴더를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 폴더형 휴대폰
KR100396522B1 (ko) 폴더형 통신 장치
KR200275000Y1 (ko) 폴더를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 폴더형 휴대폰
KR20040078205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위치장치
JP2003087379A (ja) 携帯電話機
KR20020056992A (ko) 고무자석을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20069649A (ko) 배터리플립 휴대폰
KR19980011199U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엔드버튼 배치 구조
KR19990041222U (ko) 계산기가 일체로 설치된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7201001895;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