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649A - 배터리플립 휴대폰 - Google Patents

배터리플립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649A
KR20020069649A KR1020010009952A KR20010009952A KR20020069649A KR 20020069649 A KR20020069649 A KR 20020069649A KR 1020010009952 A KR1020010009952 A KR 1020010009952A KR 20010009952 A KR20010009952 A KR 20010009952A KR 20020069649 A KR20020069649 A KR 20020069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lip
mobile phone
battery flip
guid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9051B1 (ko
Inventor
정윤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9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05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9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목적 : 휴대폰 전면에 부착된 플립을 대체하여 배터리를 장착하고 이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배터리플립 휴대폰에 대해 개시한다.
구성 : 본 발명의 배터리플립 휴대폰은, 가이드라인을 형성시킨 휴대폰 본체; 및 휴대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가이드라인에 삽입돌기로 체결시켜 휴대폰 본체의 전면을 슬라이딩하며 배터리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로 이루어진 배터리플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과 : 본 발명에 따르면 배면을 차지하는 배터리를 플릅으로 활용함으로써 휴대폰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으며, 배터리플립을 슬라이딩시켜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플립 휴대폰{Cellular phone substituted battery for flip}
본 발명은 배터리플립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전면에 부착된 플립을 대체하여 배터리를 장착하고 이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배터리플립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기(이하, "휴대폰"이라 함)의 사용이 대중화되어 이동통신사마다 많은 고객을 확보하면서, 이에 따르는 휴대폰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진시키기 위해 휴대폰에 많은 기능을 첨가함은 물론 이동성에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그 크기가 작아지고 있다.
최근, 휴대폰은 일반적으로 플립형과 폴더형으로 구분되어지는데, 그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플립형은 폴더형에 비해 그 크기가 비교적 큰 편이지만 , 폴더형은 개방시 한손으로 개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면, 종래의 플립형 휴대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립형 휴대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의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10)의 전면상에 입력키들을 커버하는 플립(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배터리(14)가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립(12)은 통화시 개방시키면 설정각도로 꺽여지게 되는데, 이는 휴대폰 본체(10) 하단에 형성된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설정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10)는 통상 휴대폰 본체의 뒷면에 체결되어 있다. 물론, 배터리가 휴대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된 휴대폰도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주로 폴더형(folder type) 휴대폰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플립형 휴대폰은 플립이 입력키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외에 별다른 기능이 없어 공간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드롭(drop)시에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플립을 개방하는데 한 손으로 개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폴더형의 경우에 더욱 불편하였다.
그리고, 휴대의 편리성을 위해 휴대폰 두께(T)를 더욱 얇게 제조해야하는 관점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공간 및 플립의 비활용성 공간이 휴대폰의 두께를 두껍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방이 쉽고, 박형 휴대폰 제조가 가능하도록 휴대폰 전면에 부착된 플립을 대체하여 배터리를 장착하고 이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배터리플립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플립 휴대폰은, 가이드라인을 형성시킨 휴대폰 본체; 및 상기 휴대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가이드라인에 삽입돌기로 체결시켜 상기 휴대폰 본체의 전면을 슬라이딩하며 상기 배터리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로 이루어진 배터리플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라인 상하단부에는 상기 배터리플립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배터리플립 고정홈을 형성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라인은 전도성부재를 사용하며, 휴대폰 본체의 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는 전도성부재를 사용하며, 배터리 접속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립형 휴대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플립 휴대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플립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폰 본체 110 : 가이드라인
120 : 배터리플립 고정홈 200 : 배터리플립
210 : 배터리 214 : 배터리 착탈부재
220 : 슬라이딩부재 224 : 배터리 접속단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플립 휴대폰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배터리플립이 폐쇄되어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배터리플립이 개방되어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플립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100) 전면에 배터리플립(200)이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플립(200)을 휴대폰의 전면에 위치시켜 휴대폰 뒷면의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휴대폰 두께(T')가 종래의 휴대폰 두께(T)에 비해 훨씬 얇게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 본체(100)에는 배터리플립(200)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라인(110)의 상하단부에는 배터리플립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배터리플립 고정홈(120)을 형성시키고 있다. 물론, 배터리플립(200)에는 상기 배터리플립 고정홈(1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돌기가 가이드라인(110)에 맞물려 슬라이딩되며 배터리플립(2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에 비해 배터리플립(200)의 개방이 휠씬 쉬워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라인(110)은 전도성부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며, 휴대폰 본체(100)의 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미도시)는 전도성부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며, 배터리 접속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부인 배터리플립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자.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플립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플립(200)은 배터리(210)와, 상기 배터리(210)를 고정시키며 상기 휴대폰 본체(10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2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터리(210)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돌기(212)가 형성되며, 배터리(210)를 착탈시킬 수 있는 배터리 착탈부재(214)를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에는 상기한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의 결합돌기(212)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배터리 고정홈(222)이 형성되며, 배터리(210)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배터리 단자와 접속되는 배터리 접속단자(2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착탈부재(214)가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단턱(2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접속단자(224)는 삽입돌기(미도시)와 접속되며, 상기 삽입돌기(미도시)는 가이드라인(110)과 접속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라인(110)은 휴대폰 본체(100)의 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터리플립 휴대폰 동작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배터리플립을 아래로 압착시켜 밀어내리면 입력키가 드러나게 되고, 키입력을 수행하여 통화한 후, 배터리플립을 압착하여 밀어올리면된다.
이 때, 부가적으로 마이크로폰인 송화부를 배터리플립의 하단에 형성시켜, 휴대폰이 소형화됨에 따른 입과 송화부와의 거리의 멀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는 송화부와 휴대폰 본체의 회로와의 접속은 별도로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플립 휴대폰은, 배면을 차지하는 배터리를 플릅으로 활용함으로써 휴대폰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으며, 배터리플립을 슬라이딩시켜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4)

  1. 가이드라인을 형성시킨 휴대폰 본체; 및
    상기 휴대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가이드라인에 삽입돌기로 체결시켜 상기 휴대폰 본체의 전면을 슬라이딩하며 상기 배터리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로 이루어진 배터리플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플립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 상하단부에는 상기 배터리플립이 고정될수 있도록 배터리플립 고정홈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플립 휴대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은 전도성부재를 사용하며, 휴대폰 본체의 회로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플립 휴대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전도성부재를 사용하며, 배터리 접속단자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플립 휴대폰.
KR1020010009952A 2001-02-27 2001-02-27 배터리플립 휴대폰 KR100659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952A KR100659051B1 (ko) 2001-02-27 2001-02-27 배터리플립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952A KR100659051B1 (ko) 2001-02-27 2001-02-27 배터리플립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649A true KR20020069649A (ko) 2002-09-05
KR100659051B1 KR100659051B1 (ko) 2006-12-18

Family

ID=2769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952A KR100659051B1 (ko) 2001-02-27 2001-02-27 배터리플립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50B1 (ko) * 2007-02-12 2008-09-0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50B1 (ko) * 2007-02-12 2008-09-0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051B1 (ko) 200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6226501B1 (en) Radiotelephone having a primary keypad and a movable flip cover that contains a secondary keypad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20040018169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US7450968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e portion
EP1748628B1 (en) Slim portable terminal
KR20050100478A (ko) 자동 슬라이딩 팝-업 타입 표시 장치를 구비한 휴대 통신장치
KR20070030566A (ko)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KR100640388B1 (ko) 터치 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59051B1 (ko) 배터리플립 휴대폰
KR100762657B1 (ko) 초 슬림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509889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KR100640457B1 (ko) 와치 타입 텔레폰
KR20020078381A (ko)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299190Y1 (ko) 키 인터페이스 커넥터 내장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KR100313146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20065718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20010026579A (ko) 디지탈 카메라 겸용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244607Y1 (ko) 듀얼 엘시디 폴더 폰의 외부송/수신장치
KR20040043875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20020031572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버튼 홀딩장치
KR20000034317A (ko) 더블 플립을 갖는 와치 타입 텔레폰
KR100665814B1 (ko)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20060121483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