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814B1 -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814B1
KR100665814B1 KR1020050090836A KR20050090836A KR100665814B1 KR 100665814 B1 KR100665814 B1 KR 100665814B1 KR 1020050090836 A KR1020050090836 A KR 1020050090836A KR 20050090836 A KR20050090836 A KR 20050090836A KR 100665814 B1 KR100665814 B1 KR 100665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dy
battery
frame
hous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환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0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프레임과, 전면프레임과의 사이에 소정의 기기부품이 내장된 중간프레임과, 중간프레임과의 사이에 배터리수용공간이 형성된 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단말기본체; 단말기본체의 배터리수용공간에 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단말기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단말기본체에 결합되어 배터리의 출입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인테나하우징; 인테나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인테나; 및 단말기본체와 인테나하우징에 마련되어 인테나하우징을 단말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물림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인테나의 수신감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인테나하우징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역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 배터리, 로킹, 분리, 착탈, 인테나, 인테나하우징

Description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Portable phone having intenn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개방상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인테나하우징의 분리과정을 보인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단말기 12 : 본체부
14 : 폴더부 25 : 배터리
26 : 배터리수용공간 30 : 인테나하우징
31 : 전면프레임 32 : 중간프레임
33 : 후면프레임 34 : 인테나
35 : 제1물림부 36a,37a : 경사면
38 : 제2물림부
본 발명은,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나의 수신감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인테나하우징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역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기에는 이동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써 배터리가 장착된다. 배터리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상체로 형성되며, 이동단말기의 본체부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근자에 출시되는 이동단말기에는 안테나를 단말기본체에 내장한 소위, 인테나(intenna)가 갖춰진 것도 흔히 존재한다.
그런데, 인테나가 적용된 종래의 이동단말기에 있어서는, 배터리의 로킹장치에 금속 등의 이종 재질이 존재하여 인테나의 수신감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로킹장치는 금속 재질로 하되, 인테나를 감싸는 제2의 로킹 구조물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한 것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이중 구조로 인해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보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테나의 수신감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인테나하우징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역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과의 사이에 소정의 기기부품이 내장된 중간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과의 사이에 배터리수용공간이 형성된 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단말기본체; 상기 단말기본체의 배터리수용공간에 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단말기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단말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의 출입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인테나하우징; 상기 인테나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인테나; 및 상기 단말기본체와 상기 인테나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인테나하우징을 상기 단말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물림결합부를 포함하는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림결합부는,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기 인테나하우징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제1물림부; 및 상기 인테나하우징의 타측과 상기 후면프레임에 형성된 제2물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물림부는, 상기 중간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동후크부; 및 상기 인테나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가동후크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피동후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 및 피동후크부가 상호 맞닿는 영역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프레임은 상기 단말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후크부의 선단은 상기 단말기본체로부터 소정 길이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2물림부는, 상기 후면프레임의 단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단부; 및 상기 인테나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단부에 맞물려 끼워지는 계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는 팩(pack) 형태로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개방상태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1)는, 크게 단말기본체(10)와, 단말기본체(10)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1)는 소위, 폴더형 휴대폰을 가리킨다.
단말기본체(10)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전면을 개폐하는 폴더부(18)와, 본체부(12)와 폴더부(18) 사이에 마련되어 본체부(12)에 대해 폴더부(18)를 회동시키는 힌지(21)를 갖는다. 힌지(21)의 양측에는 양방향 스테레오 스피커(23)가 갖춰져 있다.
본체부(12)의 내면에는 복수의 입력버튼(13)이 구비되어 있다. 입력버튼(13)들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혹은,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송신부(1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메뉴검색버튼(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12)의 측면에는 복수의 사이드버튼(17)이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버튼(17)들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13)들과는 달리 수신 음량을 조정하거나 혹은 키톤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폴더부(18)의 내면에는 전화번호, 배터리(25)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 등을 포함하여 문자나 화면이 형성되는 대화면 액정(19)이 마련되어 있다. 액정(19)은 소위, LCD로 채용된다. 액정(19)의 상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20)가 형성되어 있다. 필요시, 폴더부(18)의 외면에 별도의 외부액정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인테나하우징의 분리과정을 보인 도 1의 개략적인 단면 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본체(10)를 형성하는 본체부(12)는 크게, 전면프레임(31), 중간프레임(32) 및 후면프레임(3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프레임(31)의 전방에는 전술한 입력버튼(13)들이 구비되어 있다. 중간프레임(32)은 단말기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프레임(33)은 중간프레임(32)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일측이 절취되어 중간프레임(32)에 비해서는 짧게 형성된다. 절취된 공간에 후술할 인테나하우징(30)이 배치된다.
전면프레임(31)과 중간프레임(32)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PCB) 등을 포함한 소정의 기기부품(28)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프레임(32)과 후면프레임(33) 사이에는 배터리수용공간(26)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용공간(26) 내에는 배터리(25)가 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말기본체(1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는 팩(pack)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배터리(25)는 통상적으로 충전식으로 채용되는데, 그 종류에 따라서 납산(Lead-Acid) 배터리, 니켈 카드뮴(Ni-Cd) 배터리, 니켈 수소(Ni-Mh) 배터리, 리튬이온 충전지(Lithium-ion), 리튬폴리머 충전지(Polymer) 등의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
후면프레임(33)의 상측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에는 외면이 소정의 곡률로써 만곡된 인테나하우징(30)이 마련되어 있다. 인테나하우징(30)은 배터리(25)의 출입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처럼 인테나하우징(30)이 해당 위치에서 단말기본체(10)에 착탈되는 것에 기인하여 배터리(25)가 배터리수용공 간(26)으로부터 출입할 수 있다. 배터리(25)의 출입개구를 차폐한 상태가 도 2이고, 배터리(25)의 출입개구를 개방한 상태가 도 3이며, 도 3과 같이 인테나하우징(30)이 분리되면 배터리(25)를 꺼낼 수 있다.
인테나하우징(30) 내에는 인테나(34)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인테나(34)의 주변에 전파의 송수신을 방해하는 물질,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이 배치되면 전파의 송수신에 방해를 받는다. 결국, 금속 재질은 인테나(34)의 수신감도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전면프레임(31), 중간프레임(32) 및 후면프레임(33)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강성을 위해 굳이 금속 재질을 채용해야 한다면, 인테나(34)가 접하는 적어도 중간프레임(32)과 인테나하우징(30)만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25)의 교체를 위해 인테나하우징(30)은 단말기본체(10)에 대해 착탈된다. 이를 위해, 단말기본체(10)와 인테나하우징(30)에는 인테나하우징(30)을 단말기본체(10)에 착탈시키는 물림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의 편의를 위해 물림결합부의 참조부호는 생략한다.
물림결합부는, 중간프레임(32)과 인테나하우징(3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제1물림부(35)와, 인테나하우징(30)의 타측과 후면프레임(33)에 형성된 제2물림부(38)를 포함한다.
제1물림부(35)는 중간프레임(32)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동후크부(36)와, 인테나하우징(30)의 일측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가동후크부(36)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피동후크부(37)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프레임(32)은 단 말기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의 "A"방향으로 가압하면 자체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소정 거리 밀린다. 물론, 가압한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가동 및 피동후크부(36,37)가 상호 맞닿는 영역에는 경사면(36a,3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인테나하우징(30)이 개방된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로 다시 인테나하우징(30)을 결합시킬 경우, 가동 및 피동후크부(36,37)에 형성된 경사면(36a,37a)으로 인해 가동 및 피동후크부(36,37)가 상호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다. 동작의 편의성을 위해 가동후크부(36)의 선단은 단말기본체(10)로부터 소정 길이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물림부(38)는 후면프레임(33)의 단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단부(38a)와, 인테나하우징(30)의 타측에 형성되어 프레임단부(38a)에 맞물려 끼워지는 계단부(38b)를 포함한다. 도 2와 같이, 인테나하우징(30)이 단말기본체(10)에 결합되면 인테나하우징(30)의 계단부(38b)는 후면프레임(33)의 프레임단부(38a)에 형상맞춤되게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단말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와 같이, 단말기본체(10)에 인테나하우징(3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동후크부(36)를 도 2의 "A"방향으로 가압하다. 가동후크부(36)를 형성하는 중간프레임(32)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후크부(36)를 "A"방향으로 가압하면 자체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소정 거리 밀린다.
가동후크부(36)가 후방으로 밀리면 가동 및 피동후크부(36,37) 간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인테나하우징(30)을 도 3의 "B"방향으로 뽑아 올려 단말기본체(10)에 대해 인테나하우징(30)을 분리한다. 그런 다음, 배터리수용공간(26) 내에 존재하는 배터리(25)를 꺼내어 충전하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체한 후, 역순으로 인테나하우징(30)을 결합시키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조를 개선하면, 인테나(34)의 수신감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인테나하우징(30)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25) 역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폴더형 이동단말기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만, 플립형이나 혹은 슬라이더형 이동단말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테나의 수신감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인테나하우징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역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과의 사이에 소정의 기기부품이 내장된 중간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과의 사이에 배터리수용공간이 형성된 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단말기본체;
    상기 단말기본체의 배터리수용공간에 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단말기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단말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의 출입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인테나하우징;
    상기 인테나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인테나; 및
    상기 단말기본체와 상기 인테나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인테나하우징을 상기 단말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물림결합부;
    를 포함하는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결합부는,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기 인테나하우징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제1물림부; 및
    상기 인테나하우징의 타측과 상기 후면프레임에 형성된 제2물림부;
    를 포함하는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림부는,
    상기 중간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동후크부; 및
    상기 인테나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가동후크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피동후크부;
    를 포함하는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및 피동후크부가 상호 맞닿는 영역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프레임은 상기 단말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후크부의 선단은 상기 단말기본체로부터 소정 길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물림부는,
    상기 후면프레임의 단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단부; 및
    상기 인테나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단부에 맞물려 끼워지는 계단부;
    를 포함하는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팩(pack)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20050090836A 2005-09-28 2005-09-28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665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836A KR100665814B1 (ko) 2005-09-28 2005-09-28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836A KR100665814B1 (ko) 2005-09-28 2005-09-28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814B1 true KR100665814B1 (ko) 2007-01-09

Family

ID=3786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836A KR100665814B1 (ko) 2005-09-28 2005-09-28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81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279B1 (ko) 전자파 발생을 최소화한 휴대용 통신 장치
US5251329A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with microphone mounted in battery case
JP2518436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US20050181745A1 (en) Protective devices for a mobile terminal
KR20000034939A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1261997B1 (ko) 사이드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US20080226970A1 (en) Portable terminal
KR100665814B1 (ko)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1162552B1 (ko) 이동단말기용 충전 시스템
JP3397930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6198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KR101271724B1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
KR20070024067A (ko)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시계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0705020B1 (ko) 스크롤 타입 이동단말기
KR101123747B1 (ko) 외장형 메모리카드 슬롯을 갖는 이동단말기
KR100659051B1 (ko) 배터리플립 휴대폰
KR100680809B1 (ko) 이동단말기
KR100710624B1 (ko) 스크루 타입 안테나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1284272B1 (ko)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JP4366174B2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100705013B1 (ko)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640457B1 (ko) 와치 타입 텔레폰
KR100800434B1 (ko) 이동단말기
KR100681016B1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
KR20020078381A (ko)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