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809B1 -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809B1
KR100680809B1 KR1020050090848A KR20050090848A KR100680809B1 KR 100680809 B1 KR100680809 B1 KR 100680809B1 KR 1020050090848 A KR1020050090848 A KR 1020050090848A KR 20050090848 A KR20050090848 A KR 20050090848A KR 100680809 B1 KR100680809 B1 KR 10068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ain body
slider
battery pac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0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809B1/ko
Priority to CNA2006101273317A priority patent/CN194179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본체부의 어느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팩과, 본체부와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물림부와, 본체부와 배터리팩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물림부를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체부에 대한 배터리팩의 로킹 체결력을 높여 부주위로 이동단말기를 떨어뜨리더라도 배터리팩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compact)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동단말기, 배터리, 배터리팩, 로킹, 분리, 착탈

Description

이동단말기{Portab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전면 개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배면도로서 배터리팩이 본체부의 배면에 로킹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배면도로서 로킹부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팩이 본체부의 배면으로부터 로킹해제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배터리팩이 본체부의 배면으로부터 로킹해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단말기 12 : 본체부
14 : 폴더부 20 : 배터리팩
21 : 물림부 30 : 로킹부
31 : 로킹슬라이더 32 : 로커
36 : 안내가이드 38 : 이동거리제한부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에 대한 배터리팩의 로킹 체결력을 높여 부주위로 이동단말기를 떨어뜨리더라도 배터리팩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compact)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자주 이용되는 이동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더형 이동단말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이동단말기에는 이동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써 배터리팩이 장착된다. 배터리팩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상체로 형성되며, 이동단말기의 본체부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배터리팩의 착탈을 위해 통상적으로 배터리팩의 상부 중앙영역에는 수 센티미터 가량의 로킹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의 배면에는 로킹홈에 걸리는 로커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팩은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부에 착탈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단말기에 있어서는, 로커가 배터리팩의 판면에 가로방향으로 동작하면서 본체부에 대해 배터리팩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배터리팩에 대한 로킹 체결력이 그다지 높지 않다. 따라서 부주위로 이동단말기를 떨어뜨릴 경우, 본체부에 대해 배터리팩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에 대한 배터리팩의 로킹 체결력을 높여 부주위로 이동단말기를 떨어뜨리더라도 배터리팩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compact)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어느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팩과,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물림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배터리팩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물림부를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림부는 상기 배터리팩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로킹부는,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로킹슬라이더와, 상기 로킹슬라이더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로킹슬라이더의 이동시, 상기 물림부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로커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슬라이더는, 슬라이더몸체부와, 상기 슬라이더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로킹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상기 축부의 단면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상기 로킹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더몸체부, 상기 축부 및 상기 머리부를 해당 위치에서 각각 안내하는 제1 내지 제3가이드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로킹부는 상기 로킹슬라이더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로킹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머리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부분 측에 인접한 상기 제3가이드부분의 내벽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킹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협조적으로 상기 로킹슬라이더의 과도한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거리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거리제한부는, 상기 슬라이더몸체부에 마련된 후크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분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후크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전면 개방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10)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전면을 개폐하는 폴더부(14)와, 본체부(12)와 폴더부(14) 사이에 마련되어 폴더부(14)를 본체부(12)에 대해 회동시키는 힌지(16)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 기(10)는 소위, 폴더형을 가리킨다.
본체부(12)의 내면에는 복수의 입력버튼(12a)이 구비되어 있다. 입력버튼(12a)들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혹은,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송신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2)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조정버튼(12c)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조정버튼(12c)들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12a)들과는 달리 수신 음량을 조정하거나 혹은 키톤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조정버튼(12c)들의 인접 영역에는 안테나(18)가 마련되어 있다.
폴더부(14)의 내면에는 전화번호, 배터리팩(20)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 등을 확인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창(14a)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창(14a)의 상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디스플레이창(14a)이 폴더부(14)의 내면에 마련되고 입력버튼(12a)들이 본체부(12)에 마련된 이동단말기(10)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창(14a)이 입력버튼(12a)들과 함께 본체부(12)에 마련된 이동단말기(미도시)도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이렇듯, 디스플레이창(14a)과 입력버튼(12a)들은 어디에 배치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과는 무관한 것이다.
한편, 본체부(12)의 배면에는 배터리팩(20)이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팩(20)은 본체부(12)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단말기(1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팩(20)은 통상적으로 충전식으로 채용되는데, 그 종류에 따라서 납산(Lead-Acid) 배터리, 니켈 카드뮴(Ni-Cd) 배터리, 니켈 수소(Ni-Mh) 배터리, 리튬이온 충전지(Lithium-ion), 리튬폴리머 충전지(Polymer) 등의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 이러한 배터리팩(20)은 다음의 구성 및 방법에 의해 본체부(12)에 대해 착탈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배면도로서 배터리팩이 본체부의 배면에 로킹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배면도로서 로킹부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팩이 본체부의 배면으로부터 로킹해제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20)에는 물림부(21)가 마련되어 있다. 물림부(21)는 후술할 로킹부(30)의 로커(32)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된다. 로커(32)에 물림부(21)가 물려 배터리팩(20)이 본체부(12)에 결합된 상태가 도 2 및 도 6이고, 로커(32)로부터 물림부(21)가 물림해제되어 배터리팩(20)이 본체부(12)에 대해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도 4 및 도 8이다. 이러한 물림부(21)는 배터리팩(20)의 상측에 본체부(12)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로킹부(30)는 본체부(12)의 배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물림부(21)를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시킨다. 이러한 로킹부(30)는 도 2, 도 4에서의 좌우방향(이를, 본체부(12)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이라 함)으로 이동하면서 배터리팩(20)을 착탈시킨다.
이러한 로킹부(30)는 본체부(12)의 배면 상측에 위치하여 본체부(12)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로킹슬라이더(31)와, 로킹슬라이더(3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로킹슬라이더(31)의 이동시, 물림부(21)에 걸림 및 걸림해제 되는 로커(32)를 갖는다.
대략 원형의 형상을 취하는 로킹슬라이더(31)는, 슬라이더몸체부(33)와, 슬라이더몸체부(33)의 일측으로부터 로킹슬라이더(31)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부(34)와, 축부(34)의 단부에 축부(34)의 단면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머리부(35)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로킹슬라이더(31)가 설치 위치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부(12)의 배면에는 로킹슬라이더(31)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36)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가이드(36)는 그 위치에 따라 제1 내지 제3가이드부분(36a~36c)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가이드부분(36a)은 슬라이더몸체부(33) 및 로커(32)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2가이드부분(36b)은 축부(34)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제3가이드부분(36c)은 머리부(35)의 이동을 안내한다. 머리부(35)는 제3가이드부분(36c) 내에서만 이동할 뿐, 자체 크기로 인해 제2가이드부분(36b)으로는 빠져 나오지 않는다.
이에, 도 2, 도 3과 같이, 배터리팩(20)의 물림부(21)가 로커(32)에 물림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4, 도 5와 같이, 로킹슬라이더(31)를 "A"방향(도 5 참조)으로 민다. 그러면, 제1 내지 제3가이드부분(36a~36c)을 따라서 슬라이더몸체부(33) 및 로커(32), 축부(34), 머리부(35)가 일체로 이동한다. 이동하면서 로커(32)에 물려있던 물림부(21)의 물림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배터리팩(20)을 "B"방향(도 5 참조)으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방향으로 로킹슬라이더(31)를 이동시킨 후, 힘을 제거하면 로킹슬라이더(31)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경우, 로킹부(30)는 로킹슬라이더(31)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로킹슬라이더(3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37)를 더 포함하고 있다.
탄성부재(37)는 그 일단이 머리부(35)에 배치되고, 타단은 제2가이드부분(36b) 측에 인접한 제3가이드부분(36c)의 내벽에 배치되어 이 위치에서 탄성바이어스된다. 탄성부재(37)로는 압축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37)로 인해 로킹슬라이더(31)를 "A"방향으로 밀었던 힘을 제거하면, 로킹슬라이더(31)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로킹부(30)는 탄성부재(37)와 협조적으로 로킹슬라이더(31)의 과도한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거리제한부(38)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동거리제한부(38)는, 슬라이더몸체부(33)에 마련된 후크부(38a)와, 제1가이드부분(36a)의 내면에 형성되어 후크부(38a)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후크걸림턱(38b)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단말기(10)에서 배터리팩(20)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도 3, 도 6과 같이, 배터리팩(20)의 물림부(21)가 로커(32)에 물림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4, 도 5와 같이, 로킹슬라이더(31)를 "A"방향(도 5 참조)으로 민다.
그러면, 제1 내지 제3가이드부분(36a~36c)을 따라서 슬라이더몸체부(33) 및 로커(32), 축부(34), 머리부(35)가 일체로 이동한다. 이동하면서 로커(32)에 물려 있던 물림부(21)의 물림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른 손으로 배터리팩(20)을 "B"방향(도 4 참조)으로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되는 상태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로킹슬라이더(31)를 "A"방향(도 4 참조)으로 가압함에 따라, 탄성부재(37)는 압축되고, 이동거리제한부(38)의 후크부(38a)는 후크걸림턱(38b)에 걸린 상태가 된다.
다음, 도 8과 같이, 본체부(12)로부터 배터리팩(20)을 분리한 후, 로킹슬라이더(31)에 가했던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37)가 다시 팽창하면서 머리부(35)를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민다. 이러한 탄성부재(37)의 탄성력에 의해 로킹슬라이더(31)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12)에 대한 배터리팩(20)의 로킹 체결력을 높여 부주위로 이동단말기를 떨어뜨리더라도 배터리팩(20)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compact)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폴더형 이동단말기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만, 플립형이나 혹은 슬라이더형 이동단말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에 대한 배터리팩의 로킹 체결력을 높여 부주위로 이동단말기를 떨어뜨리더라도 배터리팩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compact)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어느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팩과,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물림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배터리팩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물림부를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부는 상기 배터리팩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로킹슬라이더와,
    상기 로킹슬라이더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로킹슬라이더의 이동시, 상기 물림부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슬라이더는,
    슬라이더몸체부와,
    상기 슬라이더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로킹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상기 축부의 단면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상기 로킹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더몸체부와, 상기 축부 및 상기 머리부를 해당 위치에서 각각 안내하는 제1 내지 제3가이드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로킹슬라이더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로킹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머리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부분 측에 인접한 상기 제3가이드부분의 내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협조적으로 상기 로킹슬라이더의 과도한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거리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제한부는,
    상기 슬라이더몸체부에 마련된 후크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분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후크걸림턱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KR1020050090848A 2005-09-28 2005-09-28 이동단말기 KR10068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848A KR100680809B1 (ko) 2005-09-28 2005-09-28 이동단말기
CNA2006101273317A CN1941797A (zh) 2005-09-28 2006-09-14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848A KR100680809B1 (ko) 2005-09-28 2005-09-28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809B1 true KR100680809B1 (ko) 2007-02-09

Family

ID=3795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848A KR100680809B1 (ko) 2005-09-28 2005-09-28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0809B1 (ko)
CN (1) CN19417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7508B2 (ja) * 2011-02-07 2015-03-18 セイコ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チャージャ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1797A (zh)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5290A2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100086840A1 (en) Battery latching mechanism
US7702372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481202B2 (en) Battery cover assembly
IE81064B1 (en) Battery housing with integral latch and positive displacement apparatus
EP1705876B1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phone, comprising a sliding cover for protecting a camera lens
JP2004235897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スライド機構
US7488554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0129541U (zh) 电池固定装置
US20140110206A1 (en) Mobile power pack with built-in retractable cable
US20140038018A1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176012A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20100279164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over latch
US20030022633A1 (en) Mobile phone with battery latch
JPH04281624A (ja) 携帯形無線機
KR100680809B1 (ko) 이동단말기
JP2012054193A (ja) ロック機構及び電子機器
US20100188805A1 (en) Cover releasing mechanisms
KR10065800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을 갖는 악세사리
US8455127B2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tilizing same
KR101144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37836B1 (ko) 다목적 사이드키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0665814B1 (ko)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661570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잠금장치
JPH0689744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れへ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形の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