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238B1 -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238B1
KR100856238B1 KR1020070027094A KR20070027094A KR100856238B1 KR 100856238 B1 KR100856238 B1 KR 100856238B1 KR 1020070027094 A KR1020070027094 A KR 1020070027094A KR 20070027094 A KR20070027094 A KR 20070027094A KR 100856238 B1 KR100856238 B1 KR 100856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guide member
keypad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이재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238B1/ko
Priority to US12/044,476 priority patent/US86348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대면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안내를 받아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는 제2 가이드 부재;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타단이 상기 제2 하우징에 각각 지지되고, 그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겹쳐진 지점으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슬라이드 부재, 제2 가이드 부재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제2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성이다.
단말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 슬라이드 부재, 탄성 부재

Description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이 폐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의 하우징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과 플립형(flip type)과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housing)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가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hinge module)로 구성된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가 설치되며, 상기 플립이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를 덮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 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형태로서, 상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통화대기 모드로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더형 단말기가 휴대용 단말기 시장의 주류를 이루어왔다.
상기 플립형 단말기나 폴더형 단말기는 플립 또는 폴더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모듈에 의해 플립 또는 폴더가 본체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않아도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받고, 소정 각도 이하에서는 본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받게 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과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형, 스윙형, 팝-업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였으며, 특히,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 시장에서 점차 폴더형 단말기의 점유율을 잠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서비스가 점차 다양화됨과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기기화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종래의 폴더형, 슬라이딩 형 단말기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여전히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서 비스 이용에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들이 등장하였으나, 그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상용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에도 편리한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각각을 이용하는데 편리한 개폐동작을 구현하면서, 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대면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안내를 받아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는 제2 가이드 부재;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타단이 상기 제2 하우징에 각각 지지되고, 그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겹쳐진 지점으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슬라이드 부재, 제2 가이드 부재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제2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으로서, 한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에 접철된 상태로부터 서로 수직인 제1, 제2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들을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제2 하우징에 각각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제2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 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 제1 방향(Y) 또는 제2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102)을 구비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중첩된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또는 제2 방향(Y, X)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부분이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방향(Y)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방향(X)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일측이 개방된다.
여기서, 제1 방향(Y)이라 함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 즉 종방향을 의미하는 것이고, 제2 방향(X)이라 함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폭 방향, 즉 횡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제2 방향(Y, X)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그 일면에 제1 키패드(111), 기능성 키패드(113), 제2 키패드(115)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음성통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에는 마이크 장치를 내장하는 수화부(12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키패드(111)는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작성을 할 때 숫자, 문자 입력에 이용되고, 상기 기능성 키패드(113)는 네비게이션 키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100) 자체의 메뉴 호출/선택, 통화 시작/종료, 메뉴를 경유하지 않고 특정 기능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는 핫 키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키패드(115)는 장문의 메일이나 문서 작성에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키패드(111)와 조합되어 쿼티 자판(QWERTY key board) 배열의 키패드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그 일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수화부(123)를 구비한다. 아울러,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스피커 장치(125)들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Y)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키패드(111)와 기능성 키패드(113)가 개방(이하, '제2 지점'이라 칭함)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지점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하측이 개방되면, 상기 제1 키패드(111)와 기능성 키패드(113)가 개방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 키패드(111)를 이용하여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호출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키패드(113)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환경이나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각종 메뉴를 호출/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X)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제2 키패드(111, 115)가 개방(이하, '제3 지점'이라 칭함)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3 지점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일측이 개방되면, 상기 제1, 제2 키패드(111, 115)가 개방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 제2 키패드(111, 115)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쿼티 자판 배열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장문의 메일이나 문서를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를 횡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제1, 제2 키패드(111, 115)를 양손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동영상 파일이나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횡방향으로 긴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거나 방송을 시청하는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스피커 장치(125)들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면서 스테레오 또는 3차원 입체음향이 구현되어 멀티미디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 부재(201), 슬라이드 부재(202), 제2 가이드 부재(203)를 통해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탄성 부재(20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방향(Y)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102)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는 장착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117)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는 견고성, 내구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며, 스크류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장착홈(117)에 고정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의 장착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홈(117)에는 돌기들이,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에는 상기 돌기들에 상응하는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들과 홀들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의 장착 위치를 설정한 후 스크류 등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의 양측단 일부분에는 각각 제1 가이드 리브(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와 슬라이드 부재(202)는 모두 상기 제1 방향(Y)으로 연장된 판재(plate) 형상으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제1 방향(Y)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 가이드 리브(211)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의 양측단을 감싸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 또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와 슬라이드 부재(202)가 모두 금속성 재질로 제작될 경우,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금속성 재질의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와 슬라이드 부재(202)가 마찰하여 발생되는 소음은 사용자에게 심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와 슬라이드 부재(202)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마찰하는 부분에는 윤활성 재질의 코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와 슬라이드 부재(202)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마찰하는 부분,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리브(211)의 내측면은 폼(POM; polyoxymethylene) 재질로 코팅된다. 폼은 윤활성과 내마모성 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리브(211)와 슬라이드 부재(202)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완화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는 그 양측단 일부분에 각각 형성된 제2 가이드 리브(221)를 구비한다. 상기 제2 가이드 리브(221)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의 양측단을 감싸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때,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의 양측단을 감싸는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 가이드 리브(211)는 상기 제2 가이드 리브(221)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의 다른 일부분을, 상기 제2 가이드 리브(221)는 상기 제1 가이드 리브(211)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의 다른 일부분을 각각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는 상기 제1, 제2 가이드 리브(211, 221)의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리브(221)의 내측면 또한 폼 재질로 코팅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리브(221)와 제1 가이드 부재(201) 사이의 마찰을 완화하고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3)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에 돌출된 상태로 장착, 고정되어 상기 제2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3)는 한 쌍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의 상단과 중앙부에 각각 장착되며, 외측으로 연장된 제3 가이드 리브(231)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3)는 한 쌍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에 각각 장착된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3)들을 한 몸체로 제작하고 그 상측단과 하측단에 각각 상기 제3 가이드 리브(231)를 형성하더라도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 상에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3)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가이드 홈(1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127)은 상기 제2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으로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3)들을 수용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방향(X)으로 이동하는 때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3)들은 상기 가이드 홈(127)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에는 제1 가이드 슬릿(129a)과 제2 가이드 슬릿(129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슬릿(129a)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타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슬릿(129a)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의 일단과 맞물리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방향(X)으로 이동하는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의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 슬릿(129a)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가이드 슬릿(129b)은 상기 가이드 홈(127)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3 가이드 리브(231)와 맞물려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3)를 상기 제2 하우징(102)에 결속시킴과 아울러 상 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204)는 그의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지지되어 그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탄성 부재(204)는 스프링 하우징(241)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자유단들(243, 24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241) 내에는 한 쌍의 코일(미도시)이 나란하게 수용되고, 각각의 코일로부터 상기 자유단들(243, 245)이 연장된다. 상기 단말기(100)에 장착되면 상기 탄성 부재(204)는 상기 자유단들(243, 245)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자유단들(243, 245) 중, 제1의 자유단(243)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에, 제2의 자유단(245)은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지지된다.
도 6 내지 도 10은 각각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상기 제1 지점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은 완전히 폐쇄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부 재(202)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에 위치된 때, 상기 제1 가이드 리브(211)와 제2 가이드 리브(221)가 서로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이다.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6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3)는 상기 가이드 홈(127)의 일단에 간섭된 상태이면서, 상기 탄성 부재(204)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을 완전히 폐쇄시키면서 안정적인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방향(Y)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1 방향(Y)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면, 상기 제1, 제2 자유단이 점차 근접하면서 상기 탄성 부재(204)에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하향 이동시키려는 탄성력이 점차 증가된다. 상기 탄성 부재(204)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에서 최대로 축적되고,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을 지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향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더 이상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향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하는 범위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하향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향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하측을 개방시킨 제2 지점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제1 키패드(111)와 기능성 키패드(113)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01)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되더라도 상기 탄성 부재(204)는 여전히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향 이동시키려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 리브(211)의 일부분이 상기 제1 가이드 슬릿(129a)에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더 이상 상향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되어서도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안정적인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하는 범위는 상기 제1 가이드 리브(211)와 제2 가이드 리브(221), 상기 제1 가이드 리브(211)와 제1 가이드 슬릿(129a)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탄성 부재(204)로부터 구동력과 함께 정지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힘을 제공받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의 일부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3)를 상기 가이드 홈(127)의 일단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2 방향(X)으로 유 동하지 않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방향(Y)을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면서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들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을 언급하였으나, 이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방향(Y)으로 이동하는 동작에만 한정된 설명임에 유의한다.
도 9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좌측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면,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들이 점차 근접하면서 상기 탄성 부재(204)에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탄성력이 점차 증가된다. 상기 탄성 부재(204)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들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에서 최대로 축적되고,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들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을 지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좌측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더 이상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3 지점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이동하는 범위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 하는 것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일측을 개방시킨 제3 지점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키패드(111)와 제2 키패드(115)가 개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되더라도 상기 탄성 부재(204)는 여전히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03)가 상기 가이드 홈(127)의 타단에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더 이상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되어서도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안정적인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 지점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 중 일부는 상기 제1, 제2 가이드 리브(211, 221)를 서로 간섭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하향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 지점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방향(Y)으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방향(X)을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면서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들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을 언급하였으나, 이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이동하는 동작에만 한정된 것임에 유의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 는 동작을 살펴보면서 상측, 하측, 좌측, 우측으로 방향을 규정하였으나, 이는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이동하는 방향은 제품을 제작함에 있어 당업자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서로 수직하는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제2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일반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에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의 하우징들이 두 방향으로 개폐되는 동작이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구현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단말기의 하우징들을 결합시킴에 있어서 하나의 탄성 부재만으로 서로 수직인 제1, 제2 방향 각각으로 제2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그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대면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안내를 받아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는 제2 가이드 부재;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타단이 상기 제2 하우징에 각각 지지되고, 그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겹쳐진 지점으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슬라이드 부재, 제2 가이드 부재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제2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수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양측단의 일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리브;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측단의 일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리브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 양측단의 다른 일부분을, 상기 제2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양측단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슬릿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을 폐쇄한 때 상기 제1, 제2 가이드 리브가 서로 간섭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부분이 개방된 때 상기 제2 가이드 리브의 일부분이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맞물려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이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릿 내에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제3 가이드 리브;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슬릿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3 가이드 리브와 제2 가이드 슬릿의 안내를 받아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은 상기 가이드 홈의 상측과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한 쌍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각각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가 상기 가이드 홈의 양단에 간섭되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이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 하측에 설치되는 제1 키패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키패드에 인접하는 기능성 키패드;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키패드에 인접하는 제2 키패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키패드 및 기능성 키패드를 개폐시키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키패드 및 제2 키패드를 개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키패드는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키패드가 조합되어 쿼티 자판(QWERTY key board) 배열의 키패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한 쌍의 코일을 수용하는 스프링 하우징; 및
    상기 코일들로부터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외부로 각각 연장되는 자유단들을 구비하고,
    상기 자유단들 중 하나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다른 하나가 상기 제2 하우징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들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어 회동하고, 다른 하나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어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70027094A 2007-03-20 2007-03-20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856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94A KR100856238B1 (ko) 2007-03-20 2007-03-20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US12/044,476 US8634884B2 (en) 2007-03-20 2008-03-07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94A KR100856238B1 (ko) 2007-03-20 2007-03-20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238B1 true KR100856238B1 (ko) 2008-09-03

Family

ID=3977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094A KR100856238B1 (ko) 2007-03-20 2007-03-20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34884B2 (ko)
KR (1) KR100856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0652A1 (en) * 2006-01-25 2007-08-09 Makoto Miyamoto Opening and closing device
EP2007116A3 (en) * 2007-06-22 201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 of housings used as input for a mobile phone
US7933123B2 (en) 2008-04-11 2011-04-26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wo-piece housing
JP2009284018A (ja) * 2008-05-19 2009-12-03 Fujitsu Ltd 情報端末
KR20100053222A (ko) * 2008-11-12 2010-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형 휴대 단말기
JP2010157832A (ja) * 2008-12-26 2010-07-15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US8014137B2 (en) * 2009-04-24 2011-09-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ovable parts
US8467839B2 (en) * 2009-04-24 2013-06-18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ovable parts
CN103444158B (zh) * 2011-03-31 2015-11-25 富士通株式会社 滑动辅助装置
CN202183921U (zh) * 2011-07-11 2012-04-04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便携电子设备终端的滑板铰链
USD732498S1 (en) * 2013-01-16 2015-06-23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733693S1 (en) 2013-01-16 2015-07-07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D158709S (zh) 2013-01-16 2014-02-0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之部分
USD731453S1 (en) * 2013-01-29 2015-06-09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101459461B1 (ko) * 2013-05-20 2014-11-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아날로그 조작장치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입력 시스템
USD750586S1 (en) * 2013-09-25 2016-03-01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phone
USD758335S1 (en) * 2013-11-07 2016-06-0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059A (ko) * 2004-08-24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543B1 (ko) * 2004-03-0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팝-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TWI260904B (en) * 2005-03-14 2006-08-21 Benq Corp Two ways slider-type electronic device and sliding assembly
KR100677474B1 (ko) * 2005-07-07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US7778663B2 (en) * 2006-04-24 2010-08-17 Virgin Mobile Usa, L.P. Hinge module for three-step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00843B1 (ko) * 2006-09-0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US7853301B2 (en) * 2006-09-19 2010-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 module for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29525B2 (en) * 2006-09-26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65351B1 (ko) * 2006-10-02 2008-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059A (ko) * 2004-08-24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34014A1 (en) 2008-09-25
US8634884B2 (en)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238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US8195255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8363391B2 (en) Portable terminal
EP1775596B1 (en) Keypad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100663543B1 (ko) 팝-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7953464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790109B1 (ko) 푸쉬 로드 및 그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US850516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hinge apparatus
KR100800770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819284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99623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의 휴대 단말기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90106B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80078187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1469969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860678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100056862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856252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7499266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20090013365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8006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110088366A (ko) 휴대용 단말기
KR20050109643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20090003845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