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744B1 -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744B1
KR101990744B1 KR1020180103748A KR20180103748A KR101990744B1 KR 101990744 B1 KR101990744 B1 KR 101990744B1 KR 1020180103748 A KR1020180103748 A KR 1020180103748A KR 20180103748 A KR20180103748 A KR 20180103748A KR 101990744 B1 KR101990744 B1 KR 101990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ondenser
frame
lav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순
Original Assignee
최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순 filed Critical 최정순
Priority to KR102018010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2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from fruit, e.g.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23P20/18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by spray-coating, fluidised-bed coating or coating by c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미김에 매실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조미김이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를 함유하도록 하여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매실 특유의 향미가 부가되어 남녀노소 막론하고 언제나 즐겨 먹을 수 있도록 하여 김의 활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Manufacturing method for laver with plum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미김에 매실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조미김이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를 함유하도록 하여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매실 특유의 향미가 부가되어 남녀노소 막론하고 언제나 즐겨 먹을 수 있도록 하여 김의 활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Laver)은 해태(海苔)라고도 하며, 바다의 암초에 이끼처럼 붙어서 자라는 홍조식물로서, 학명으로는 Porphyra tenera라 한다. 이러한 김은 고래로부터 우리 민족들이 즐겨 먹던 건강식품으로 참김, 방사무늬돌김, 둥근돌김, 긴잎돌김, 미역김, 모두무늬돌김 등 전세계적으로 50 여종이 존재한다.
김에는 탄수화물인 한천이 가장 많이 들어 있으며, 그밖에 헤미셀룰로오스·소르비톨·둘시톨 등이 들어 있고, 지방은 거의 없으나 단백질은 30∼40% 들어 있다.
특히, 트레오닌·발린·로이신·이소로이신·리신·메티오닌·페닐알라닌·트립토판 등의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들어 있고, 다른 해조류와 마찬가지로 나트륨·칼륨·칼슘·인·철 등의 무기질이 들어 있으며 카로틴이 많이 들어 있어 비타민 A의 좋은 공급원이 된다.
그밖에도 리보플라빈·니아신·비타민 C 등도 비교적 많이 들어 있으며, 붉은색 색소인 푸코에리트로빈이 있어 특유한 빛깔을 낼 뿐만 아니라, 디메틸술파이드로 독특한 맛과 냄새를 니며, 달콤한 맛과 기름진 맛이 나는 아미노산인 글리신과 알라닌이 들어 있어 감칠맛을 낸다.
때문에, 김은 구워서 바로 먹기도 하고, 조리하여 반찬 혹은 국 등에 투하하여 먹기도 한다. 일반적인 김 제조방법은 김의 원초를 채취하여 세척과 선별과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일정한 규격과 모양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건조와 열처리의 공정 중에 김에 식용유를 도포하고, 그 위에 소금을 뿌려 제조해 왔었다.
이러한 김의 제조방법은 김 고유의 맛을 유지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김의 고유한 맛만으로는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할 수 없었다. 즉, 단순히 김에 식용유와 식염을 첨가하는 조미김과 같은 종래의 김가공품만으로는 수요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근래에는 김을 가공한 여러가지 김 가공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으로 김자반을 들 수 있다. 김자반은 양념을 하여 식용유로 볶아먹는 기능성 김의 하나로 반찬 외에 술안주, 간식 등 많이 애용되고 있다.
김자반은 볶아 조리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내용물이 균일한 맛을 내기 어렵고 김 특유의 비린내가 쉽게 제거되지 않아 세계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그 지위도 주식에 부수적으로 딸리는 반찬이나 안주로써 식용되는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었다. 아울러, 김자반은 바삭거리는 식감이 없어 어린이나 김에 친숙하지 않은 외국인의 입맛을 사로잡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517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조미김에 매실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조미김이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를 함유하도록 하여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매실 특유의 향미가 부가되어 남녀노소 막론하고 언제나 즐겨 먹을 수 있도록 하여 김의 활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건조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김 조미유 및 매실액이 도포된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에 있어서, 상기 김 조미유는 식용유, 참기름 및 들기름을 포함하며, 상기 김 조미유는, 식용유 60 내지 80 중량%, 참기름 5 내지 15 중량%, 들기름 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실액은 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a)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김 원초를 준비하는 단계; (b)준비된 김 원초에 매실향을 입히는 단계; (c)매실향이 입혀진 김 원초를 1차 건조하는 단계; (d)1차 건조가 이루어진 김의 표면에 김 조미유 및 매실액을 도포하는 단계; (e)김 조미유 및 매실액이 도포된 김을 2차 건조하는 단계; 및 (f)건조가 완료된 김을 일정 크기로 절단한 후 포장지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김의 표면으로 매실향을 침투시키는 디퓨징부, 상기 디퓨징부를 통과한 김을 1차 건조하는 제1 건조부, 상기 제1 건조부를 통과한 김의 표면에 매실액을 도포하고 양념가루를 분사하는 양념부, 상기 양념부를 통과한 김을 2차 건조하는 제2 건조부 및 상기 제2 건조부를 통과한 김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퓨징부는, 내부로 건조실을 구비하고 김이 적층된 적층프레임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건조된 김이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적층프레임이 유입되어 안착되며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들이 결합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의 동력이 상기 체인을 통해 전달되는 종동기어로 구성되는 구동부; 상기 체인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적층프레임의 내측에 김이 소정의 시간을 거쳐 건조되면 상기 유출구로 적층프레임을 배출시키는 분리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매실향을 발산하는 디퓨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열풍을 순환시키는 공조실;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프레임은 전단부가 외측을 향하여 소정각도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양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복수의 스프로켓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적층프레임이 삽입되어 후단부까지 진입될 시 상기 적층프레임이 더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한부재가 적층프레임상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한부재는 안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는 접촉부와 안착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톱니부로 구성되어 제한부재가 상기 건조실의 전단부 측으로 회동될 시 최후단 스프로켓과 치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층프레임은 상기 스프로켓과 서로 치결합되도록 상하단 양측단부에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부만 개방되고 측면이 차단되거나, 상부가 개방되고 네 측면이 철망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수단은 하우징의 양측 내벽면에 고정되되, 상기 체인의 중간부를 가로지르는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상에 구비되는 유압부 및 상기 유압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로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적층프레임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한부재와 스프로켓 간에 치결합이 해제되면서 안착프레임에서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유출구에는 슬라이드 부재가 구비되어 적층프레임 내부의 김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로 낙하되어 유출구로 배출되며, 상기 공조실은 공조케이싱의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앵글과, 상기 공조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고정앵글의 상면에 설치되고, 압축기와 연결되어 냉매를 응축하며, 이를 지나는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와 상기 고정앵글의 상면에 건조실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팽창밸브를 통해 응축기 및 압축기와 연결되어 그 내부를 지나는 응축된 냉매와 공기 유입로를 통해 건조실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제습하는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하강시켜 압축기의 부하를 줄여주는 저장조와 상기 고정앵글의 상면에 설치되어 응축기를 지난 공기를 건조실로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고정앵글 하부에 설치되어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공조케이싱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는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싱의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 및 상기 흡기구에 설치되어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미김은 매실의 유효성분을 통해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를 함유하도록 하여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매실 특유의 향미가 부가되어 남녀노소 막론하고 언제나 즐겨 먹을 수 있도록 하여 김의 활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김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디퓨징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퓨징부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적층프레임이 안측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의 과정을 보인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적층프레임의 다양한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제한부재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10은 공조실에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건조김을 굽는 과정에서 김 조미유와 매실액을 건조김에 첨가하여 특유의 맛과 풍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건조김에 매실향을 입혀 더욱 은은한 매실향미를 느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은 제조 과정에서 매실향이 입혀짐과 동시에 표면에 매실액이 도포된다.
이러한 조미김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김 원초를 준비한다(S1). 김 원초는 가로 세로 21cm x 19cm 크기로 재단된 것을 활용하며, 특히, 장당 0.2g ~ 2.5g 중량을 가지는 김 원초를 준비한다.
김 원초의 장당 중량이 2.5g을 초과하게 되면 최종 제조되는 조미김이 질겨지거나 매실액 또는 매실향의 흡수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준비된 김 원초에 매실향을 입힌다(S2). 이 단계에서는 김 원초를 디퓨져가 설치된 함체에 투입시킨 뒤 일정 시간 함체의 내부를 계류하도록 하여 김 원초에 자연적으로 매실향이 입혀질 수 있도록 한다.
이 단계는 후술되는 조미김 제조장치의 디퓨징부(1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매실향이 입혀진 김 원초를 1차 건조한다(S3). 매실향이 충분히 입혀진 김 원초는 함체에서 배출되는데 이 단계에서 김 원초의 수분 함유량이 조절된다. 그리고, 김 원초의 표면이 초벌하면서 표면의 이물질 등을 제거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매실액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김 원초의 건조 후 김의 수분이 너무 낮은 경우 김이 부스러지기 쉬우며, 김의 수분이 너무 높은 경우 바삭한 식감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화입기의 열기에 의해 김 원초가 가지는 고유의 향이나 질감이 훼손되지 않도록 일정 범위에서 건조 온도와 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한다.
다음으로, 1차 건조가 이루어진 김의 표면에 김 조미유 및 매실액을 도포한다(S4). 이때, 상기 김 조미유는 식용유, 참기름 및 들기름을 포함하며, 식용유 60 내지 80 중량%, 참기름 5 내지 15 중량%, 들기름 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지고 매실액은 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김의 표면에 매실향이 흡수되거나 매실액이 도포되면 매실의 유효성분이 김의 표면으로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 김 조미유 및 매실액이 도포된 김을 2차 건조한다(S5). 이 단계에서는 상술한 S3 단계에서의 건조온도보다 더 높은 건조온도의 조건으로 건조를 수행하며 특히, 김을 300 내지 350도 내에서 수 초 동안 가열하여 김을 완전 건조시킨다.
상기 김을 300℃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하게 되면 상기 김의 구이 정도가 미미하며, 350℃ 초과한 온도에서 가열하게 되면 상기 김이 바짝 구워져 상기 김의 표면이 거칠하고, 탄맛이 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건조가 완료된 김을 일정 크기로 절단한 후 포장지에 포장한다(S6). 제조된 김을 일정량 방습포장지로 밀봉 포장하며, 필요한 경우 산소차단제, 흡습제 등을 함께 포장할 수 있다.
포장이 완료된 제품들은 은박검출기를 통과시켜 은박이 포함된 제품은 유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전량 폐기처리 한다.
이렇게, 제조된 조미김은 매실의 유효성분을 통해 영양성이 대폭 향상되었으며, 매실 특유의 향미를 부가하여 남녀노소 막론하고 언제나 즐겨 먹을 수 있도록 하여 김의 활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조미김 제조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김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디퓨징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퓨징부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6은 적층프레임이 안측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의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8은 적층프레임의 다양한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제한부재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공조실에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미김 제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의 표면으로 매실향을 침투시키는 디퓨징부(100), 상기 디퓨징부(100)를 통과한 김을 1차 건조하는 제1 건조부(200), 상기 제1 건조부(200)를 통과한 김의 표면에 매실액을 도포하고 양념가루를 분사하는 양념부(300), 상기 양념부(300)를 통과한 김을 2차 건조하는 제2 건조부(400) 및 상기 제2 건조부(400)를 통과한 김을 포장하는 포장부(5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먼저, 디퓨징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건조실(112)을 구비하고 김이 적층된 적층프레임(130)이 유입되는 유입구(113)와, 상기 유입구(113)를 통하여 건조된 김이 배출되는 유출구(114)가 구비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구(113)를 통하여 유입되는 적층프레임(130)이 유입되어 안착되며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프레임(121)과, 상기 안착프레임(121)들이 결합되는 체인(123)과, 상기 체인(123)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124) 및 상기 구동기어(124)의 동력이 상기 체인(123)을 통해 전달되는 종동기어(125)로 구성되는 구동부(120), 상기 체인(12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적층프레임(130)의 내측에 김이 소정의 시간을 거쳐 건조되면 상기 유출구(114)로 적층프레임(130)을 배출시키는 분리수단(14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우징(110)의 내부로 매실향을 발산하는 디퓨저(150) 및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열풍을 순환시키도록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통 설치되는 공조실(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과 공조실(160) 사이엔 이들을 구획하는 격벽(11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16)에는 공기 유입로(I)와 공기 유출로(O)가 각각 형성된다. 공기 유출로(O)를 통해 공조실(160)에서 생성되는 열풍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열풍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습기를 제거한 뒤 공기 유입로(I)를 통해 공조실(160) 측으로 배출된다. 하우징(110)에 인접 설치되는 공조실(160)은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적층프레임(130)에 내재된 김을 건조시키는 작용을 담당한다. 공조실(16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유입구(113)에는 이송컨베이어(118)가 구비되어 적층프레임(13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출구(114)에는 슬라이드 부재(115)가 구비되어 적층프레임(130) 내부의 김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115)로 낙하되어 유출구(114)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부재(115)는 낙하되는 적층프레임(130)이 부드럽게 낙하되도록 하기 위해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김의 건조 효율 및 건조된 김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유입구(113) 및 유출구(114)에는 자동문이 구성된다. 따라서 김이 건조되었을 시 내부의 습도를 파악하여 구동부(1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적층프레임(130)이 배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구동부(120)의 안착프레임(121)은 전단부가 외측을 향하여 소정각도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양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복수의 스프로켓(126)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적층프레임(130)이 삽입되어 후단부까지 진입될 시 상기 적층프레임(130)이 더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한부재(122)가 적층프레임(130)상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한부재(122)는 안착프레임(121)의 내측에 위치되는 접촉부(1221)와 안착프레임(1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톱니부(1222)로 구성되어 제한부재(122)가 상기 건조실(112)의 전단부 측으로 회동될 시 최후단 스프로켓(126)과 치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톱니부(1222)는 최후단 스프로켓(126)과 치결합되기가 용이하도록 상기 스프로켓(126)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한부재(122)가 구성되면 적층프레임(130)이 안착프레임(121)의 내측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한부재(122)는 필수가 아닌 선택적인 구성이 된다.
또한, 상기 적층프레임(130)은 상기 스프로켓(126)과 서로 치결합되도록 상하단 양측단부에 복수의 결합홈(131)이 형성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만 개방되고 측면이 차단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네 측면이 철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프레임(130)은 김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적절한 구성으로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으로, 분리수단(140)은 하우징(110)의 양측 내벽면에 고정되되, 상기 체인(123)의 중간부를 가로지르는 고정로드(141)와, 상기 고정로드(141)상에 구비되는 유압부(142) 및 상기 유압부(142)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143)로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143)는 상기 적층프레임(13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한부재(122)와 스프로켓(126) 간에 치결합이 해제되면서 안착프레임(121)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유입구(113)를 통하여 안착프레임(121)에 유입되는 적층프레임(130)은 유출구(114) 까지 아주 천천히 1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안착프레임(121)에 유입된 적층프레임(130)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115)의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분리수단(140)의 가압부(143)가 작동하여 접촉부(1221)를 가압하게 되면 안착프레임(121)에서 적층프레임(130)은 자연스럽게 치결합이 해제되어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톱니부(1222)와 스프로켓(126) 간의 치결합이 해제되면서 안착프레임(121)에서 적층프레임(130)은 자연스럽게 치결합이 해제되어 낙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디퓨져(150)는 하우징(110)의 건조실(112)로 투입되는 김의 표면에 매실향이 입혀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매실향이 건조실(112)의 대기 중으로 자연 휘발 되도록 디퓨져(150)에는 매실 농축액과 휘발성 오일 등이 혼합되어 충진될 수 있다.
즉, 김이 디퓨징부(100)를 통과하게 되면 김의 표면으로 자연스럽게 매실향이 입혀지게 됨으로써 최종 제조된 조미김의 향미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디퓨져(150)는 건조실(112)에 매실향을 공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디퓨징부(100)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송 컨베이어(118)를 통해 젖은 김이 적층된 적층프레임(130)이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된 적층프레임(130)은 유입구(113)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적층프레임(130)이 유입구(113)의 근처로 접근하게 되면 상기 유입구(113)에 구비된 자동문은 개방되어 건조실(112)의 내부로 유입된다.
건조실(112)의 내부로 적층프레임(130)이 유입되면 유입구(113)의 앞에서 대기하고 있던 안착프레임(121)의 내측으로 적층프레임(130)이 유입된다. 이때 적층프레임(130)은 상하부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31)과 복수의 스프로켓(126)이 서로 치결합되면서 적층프레임(130)이 안착프레임(121)에서 이탈되지 않고 쉽게 삽입된다.
이때 구동기어(124)에는 동력이 전달되어 계속적으로 회전되고, 이와 같은 동력은 체인(123)을 통해 종동기어(125)에 전달되면서 체인(123)은 각각의 기어 외주면과 치결합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체인(123)에 결합된 복수의 안착프레임(12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입구(113)를 통하여 유입되는 적층프레임(130)을 안착시키기 위해 다음 차례의 안착프레임(121)이 유입구(113)의 앞에 도달하게 되면 적층프레임(130)이 안착프레임(121)으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안착프레임(121)의 내측에 적층프레임(130)이 모두 적층되면 유입구(113)는 폐쇄되고, 공조실(160)이 작동하며, 동시에 구동기어(124)도 계속 회전하게 되면서 적층프레임(130) 내부의 젖은 김이 건조됨과 동시에 디퓨져(150)에 의해 젖은 김의 표면으로 매실향이 입혀진다.
한편, 공조실(160)은 공조케이싱(161)의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앵글(161a)과, 상기 공조케이싱(161)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62)와, 상기 고정앵글(161a)의 상면에 설치되고, 압축기(162)와 연결되어 냉매를 응축하며, 이를 지나는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163)와 상기 고정앵글(161a)의 상면에 건조실(112)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팽창밸브(165)를 통해 응축기(163) 및 압축기(162)와 연결되어 그 내부를 지나는 응축된 냉매와 공기 유입로(I)를 통해 건조실(112)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제습하는 증발기(164)와 상기 응축기(163)와 팽창밸브(165) 사이에 설치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하강시켜 압축기(162)의 부하를 줄여주는 저장조(169)와 상기 고정앵글(161a)의 상면에 설치되어 응축기(163)를 지난 공기를 건조실(112)로 공급하는 송풍기(166)와 상기 고정앵글(161a) 하부에 설치되어 송풍기(166)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67)와, 상기 공조케이싱(161)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는 흡기구(168)와, 상기 흡기구(168)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싱(161)의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168a) 및 상기 흡기구(168)에 설치되어 흡기구(168)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168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조실(160)은 건조실(112)과 연통되는 공조케이싱(161)에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162), 응축기(163), 팽창밸브(165), 증발기(164)가 설치되어 있고, 냉동사이클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공조케이싱(161)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고정앵글(161a)이 설치되어 있다.
압축기(162)는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응축기(163)는 고정앵글(161a)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편 압축기(162)와 연결되어 냉매를 응축하고 응축기(163)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팽창밸브(165)는 응축기(163)로부터 배출된 액상의 고온 고압의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형성하고, 상기 증발기(164)는 고정앵글(161a)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편 그 내부를 통과하는 응축된 냉매와 건조실(11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열교환되고, 그 과정에 제습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증발기(164)를 지난 냉매는 증발기(164)와 연결된 압축기(162)에 의해 압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앵글(161a)의 상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증발기(164)는 건조실(112)로부터 배출된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극대화(수직하게 세웠을 때보다 극대화됨) 됨으로써 우수한 제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송풍기(166)는 건조실(11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응축기(163)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열풍이 공기 유출로(O)를 통해서 건조실(112)로 강제 공급된다.
공조케이싱(161)의 내측 바닥면에는 히터(167)가 설치되고, 히터(167)는 컨트롤러에 의해서 냉동사이클과는 별개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건조실(112)의 온도와 습도를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에 의해 검출한 값에 따라 히터(167) 또는 냉동사이클을 작동시키게 된다.
일례로, 컨트롤러는 건조실(112)의 온도가 27℃ 미만이면 공조실(160)의 송풍기(166)와 히터(167)를 작동시키고, 건조실(112)의 온도가 27℃ 이상이면 히터(167)는 정지되고 냉동사이클을 작동시켜 건조실(112) 속으로 열풍을 공급한다.
또한, 공조케이싱(161)의 상면에는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흡기구(168)가 설치되어 있고, 흡기구(168)의 내측 하부에는 공조실(160)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흡기팬(168a)이 설치되어 있으며, 흡기구(168)의 상부에는 흡기구(168)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재(168b)가 설치되어 있다.
정리하면, 전술한 공조실(160)에 마련된 냉동사이클은 냉매순환계통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62),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63), 응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65), 팽창밸브(165)에 의해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164), 고온 고압의 냉매가 흐르는 저장조(169)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압축기(162)는 냉매를 압축시켜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증발기(164)에서 기화된 저온 저압의 냉매를 응축기(163)를 통해 액화상태로 응축되도록 포화압력까지 압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응축기(163)는 압축기(162)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액화된 고온 고압의 냉매로 응축 액화시킴과 더불어 주변 공기를 가열시키는 작용을 한다.
전술한 팽창밸브(165)는 응축기(163)에 의해 액화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으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증발기(164)는 팽창밸브(165)를 통과한 냉매가 기화할 때 발생되는 열과 주변의 대기열이 열교환되면서 온도를 낮추는 작용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162), 응축기(163), 팽창밸브(165) 및 증발기(164)는 순환하는 냉매는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계속 반복하면서 주변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또는 주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가열된 열풍은 건조실(112) 속으로 공급되고, 또 건조실(112)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응축하여 제거될 수있다.
즉, 상기 응축기(163)의 뜨거운 열원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한 후, 가열된 열풍을 건조실(112) 내로 공급하여 젖은 김을 건조시키고 건조실(11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증발기(164)를 통과하면서 수증기가 증발기(164) 표면에 응축되고, 응축된 물은 고정앵글(161a)에 마련된 드레인수단(도면에는 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응축기(163)와 팽창밸브(165) 사이에는 모세관(미도시)을 포함하는 저장조(169)가 연결되어 설치됨으로써, 기화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저장조(169)의 모세관을 통과하면서 그 압력과 온도가 하강되므로, 압축기(162)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공조실(160)은 건조실(112)의 공기를 강제흡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열교환에 의해 건조실(112)에 수용된 젖은 김을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하우징(110)에서 디퓨져(150)에 의한 매실향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디퓨징부(100)에서 배출되는 적층프레임(130)은 컨베이어(C)를 따라 이동하면서 컨베이어(C)의 상부에 설치된 제1 건조부(200)를 통과하여 1차 건조된다.
다음으로, 1차 건조된 김의 표면으로 제1 건조부(200)의 후단에 설치된 양념부(300)에서 매실액이 도포됨과 동시에 양념가루가 분사되어 김이 조미되고, 제2 건조부(400)를 거쳐 2차 건조가 이루어진 김은 포장부(500)에서 포장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1 건조부(200)와 제2 건조부(400)는 김을 가열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고, 양념부(300)는 매실액 또는 양념가루를 저장하여 김의 표면으로 제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포장부(500)로 이송된 김은 진공포장 또는 질소포장을 통해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포장부(500)는 김을 다양한 방법으로 포장할 수 있기 때문에 김의 포장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100: 디퓨징부 200: 제1 건조부
300: 양념부 400: 제2 건조부
500: 포장부

Claims (3)

  1. 김의 표면으로 매실향을 침투시키는 디퓨징부, 상기 디퓨징부를 통과한 김을 1차 건조하는 제1 건조부, 상기 제1 건조부를 통과한 김의 표면에 매실액을 도포하고 양념가루를 분사하는 양념부, 상기 양념부를 통과한 김을 2차 건조하는 제2 건조부 및 상기 제2 건조부를 통과한 김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퓨징부는,
    내부로 건조실을 구비하고 김이 적층된 적층프레임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건조된 김이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적층프레임이 유입되어 안착되며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들이 결합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의 동력이 상기 체인을 통해 전달되는 종동기어로 구성되는 구동부;
    상기 체인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적층프레임의 내측에 김이 소정의 시간을 거쳐 건조되면 상기 유출구로 적층프레임을 배출시키는 분리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매실향을 발산하는 디퓨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열풍을 순환시키는 공조실;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프레임은 전단부가 외측을 향하여 소정각도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양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복수의 스프로켓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적층프레임이 삽입되어 후단부까지 진입될 시 상기 적층프레임이 더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한부재가 적층프레임상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한부재는 안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는 접촉부와 안착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톱니부로 구성되어 제한부재가 상기 건조실의 전단부 측으로 회동될 시 최후단 스프로켓과 치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층프레임은 상기 스프로켓과 서로 치결합되도록 상하단 양측단부에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부만 개방되고 측면이 차단되거나, 상부가 개방되고 네 측면이 철망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수단은 하우징의 양측 내벽면에 고정되되, 상기 체인의 중간부를 가로지르는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상에 구비되는 유압부 및 상기 유압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로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적층프레임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한부재와 스프로켓 간에 치결합이 해제되면서 안착프레임에서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유출구에는 슬라이드 부재가 구비되어 적층프레임 내부의 김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로 낙하되어 유출구로 배출되며,
    상기 공조실은 공조케이싱의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앵글과, 상기 공조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고정앵글의 상면에 설치되고, 압축기와 연결되어 냉매를 응축하며, 이를 지나는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와 상기 고정앵글의 상면에 건조실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팽창밸브를 통해 응축기 및 압축기와 연결되어 그 내부를 지나는 응축된 냉매와 공기 유입로를 통해 건조실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제습하는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하강시켜 압축기의 부하를 줄여주는 저장조와 상기 고정앵글의 상면에 설치되어 응축기를 지난 공기를 건조실로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고정앵글 하부에 설치되어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공조케이싱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는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싱의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 및 상기 흡기구에 설치되어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 제조장치.
  2. 김의 표면으로 매실향을 침투시키는 디퓨징부, 상기 디퓨징부를 통과한 김을 1차 건조하는 제1 건조부, 상기 제1 건조부를 통과한 김의 표면에 매실액을 도포하고 양념가루를 분사하는 양념부, 상기 양념부를 통과한 김을 2차 건조하는 제2 건조부 및 상기 제2 건조부를 통과한 김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퓨징부는,
    내부로 건조실을 구비하고 김이 적층된 적층프레임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건조된 김이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적층프레임이 유입되어 안착되며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들이 결합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의 동력이 상기 체인을 통해 전달되는 종동기어로 구성되는 구동부;
    상기 체인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적층프레임의 내측에 김이 소정의 시간을 거쳐 건조되면 상기 유출구로 적층프레임을 배출시키는 분리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매실향을 발산하는 디퓨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열풍을 순환시키는 공조실;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프레임은 전단부가 외측을 향하여 소정각도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양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복수의 스프로켓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적층프레임이 삽입되어 후단부까지 진입될 시 상기 적층프레임이 더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한부재가 적층프레임상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한부재는 안착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는 접촉부와 안착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톱니부로 구성되어 제한부재가 상기 건조실의 전단부 측으로 회동될 시 최후단 스프로켓과 치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층프레임은 상기 스프로켓과 서로 치결합되도록 상하단 양측단부에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부만 개방되고 측면이 차단되거나, 상부가 개방되고 네 측면이 철망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수단은 하우징의 양측 내벽면에 고정되되, 상기 체인의 중간부를 가로지르는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상에 구비되는 유압부 및 상기 유압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로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적층프레임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한부재와 스프로켓 간에 치결합이 해제되면서 안착프레임에서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유출구에는 슬라이드 부재가 구비되어 적층프레임 내부의 김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로 낙하되어 유출구로 배출되며,
    상기 공조실은 공조케이싱의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앵글과, 상기 공조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고정앵글의 상면에 설치되고, 압축기와 연결되어 냉매를 응축하며, 이를 지나는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와 상기 고정앵글의 상면에 건조실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팽창밸브를 통해 응축기 및 압축기와 연결되어 그 내부를 지나는 응축된 냉매와 공기 유입로를 통해 건조실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제습하는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하강시켜 압축기의 부하를 줄여주는 저장조와 상기 고정앵글의 상면에 설치되어 응축기를 지난 공기를 건조실로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고정앵글 하부에 설치되어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공조케이싱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는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싱의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 및 상기 흡기구에 설치되어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조미김 제조장치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김 원초를 준비하는 단계;
    (b)상기 디퓨징부를 이용해 준비된 김 원초에 매실향을 입히는 단계;
    (c)매실향이 입혀진 김 원초를 1차 건조하는 단계;
    (d)1차 건조가 이루어진 김의 표면에 김 조미유 및 매실액을 도포하는 단계;
    (e)김 조미유 및 매실액이 도포된 김을 2차 건조하는 단계; 및
    (f)건조가 완료된 김을 일정 크기로 절단한 후 포장지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3. 삭제
KR1020180103748A 2018-08-31 2018-08-31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990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748A KR101990744B1 (ko) 2018-08-31 2018-08-31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748A KR101990744B1 (ko) 2018-08-31 2018-08-31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744B1 true KR101990744B1 (ko) 2019-06-19

Family

ID=6710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748A KR101990744B1 (ko) 2018-08-31 2018-08-31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7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220A (ko) * 2018-11-16 2020-05-26 (주)청원식품 냉동고추 건조 및 분쇄장치
KR102115609B1 (ko) * 2018-11-27 2020-05-27 농업회사법인누리푸드(주) 냉동고추 건조 및 분쇄 시스템
KR102168277B1 (ko) 2020-07-17 2020-10-21 이희택 김가루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가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396A (ja) * 1993-06-08 1994-12-20 Tenchi Kikai Kk 海苔加湿装置
KR100954434B1 (ko) * 2010-01-26 2010-04-27 김기문 조미김 가공용 향유 도포장치
KR20130003720A (ko) * 2011-06-30 2013-01-09 김병문 김 구이장치
KR101485174B1 (ko) 2013-11-12 2015-01-23 슬로푸드영농조합법인 매실을 이용한 김의 제조방법
KR20150130173A (ko) * 2014-05-13 2015-11-23 백창현 해양심층수 소금이 도포된 조미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396A (ja) * 1993-06-08 1994-12-20 Tenchi Kikai Kk 海苔加湿装置
KR100954434B1 (ko) * 2010-01-26 2010-04-27 김기문 조미김 가공용 향유 도포장치
KR20130003720A (ko) * 2011-06-30 2013-01-09 김병문 김 구이장치
KR101485174B1 (ko) 2013-11-12 2015-01-23 슬로푸드영농조합법인 매실을 이용한 김의 제조방법
KR20150130173A (ko) * 2014-05-13 2015-11-23 백창현 해양심층수 소금이 도포된 조미김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220A (ko) * 2018-11-16 2020-05-26 (주)청원식품 냉동고추 건조 및 분쇄장치
KR102188728B1 (ko) 2018-11-16 2020-12-08 (주)청원식품 냉동고추 건조 및 분쇄장치
KR102115609B1 (ko) * 2018-11-27 2020-05-27 농업회사법인누리푸드(주) 냉동고추 건조 및 분쇄 시스템
KR102168277B1 (ko) 2020-07-17 2020-10-21 이희택 김가루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가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744B1 (ko) 매실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3907964B (zh) 一种即食桂花香型鱼肉粒及其制备方法
US20080274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hydrated food product
CN101869305B (zh) 软包装真空熏肉的加工制作方法
KR102471592B1 (ko) 즉석 비빔밥 제조 방법
CN106974261A (zh) 一种即食食用菌菇脆片及其无油加工方法
Venkanna et al. Study on drying kinetics of coriander leaves using different drying techniques
Panda The Complete Book on Fruits, Vegetables and Food Processing: Fruit Processing Business Plan, Business Plan for Vegetable Processing, Small Scale Industries in India, Margarine Manufacturing Based Small Business Ideas in India, Small Scale Industry You Can Start on Your Own, Business Plan for Small Scale Industries, Set Up Butter Production, Profitable Small Scale Manufacturing, How to Start Small Business in India, Free Manufacturing Business Plans, Small and Medium Scale Manufacturing, Profitable Small Business Industries Ideas, Business Ideas for Startup, Most Profitable Food Processing Business Ideas, Food Processing Industry
CN105124547B (zh) 反复多次压差膨化工艺生产蘑菇制品的方法
CN103653022A (zh) 一种鸡肉粒及其制备方法
CN106473022A (zh) 一种柠檬烤鱼的制作方法
CN104207182A (zh) 一种马肉卷及其制作方法
KR20200005114A (ko) 김 스낵의 제조방법
CN109007552A (zh) 一种五彩营养保健米粉及加工方法
CN103750350A (zh) 一种蜜汁叉烧肉的制作方法
CN104886613A (zh) 一种烤西瓜肉及其制作方法
KR20010018234A (ko)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 첨가 녹차와 그 제조 방법
CN204861025U (zh) 一种烤西瓜肉
CN112352936A (zh) 一种速冻笋干及其制作方法
KR100902472B1 (ko) 미나리잎을 원료로 하는 차의 제조방법
KR20200027104A (ko) 김스낵 제조방법 및 김스낵 제조장치
KR100601032B1 (ko) 연잎과 황토용기를 이용한 참조기의 가공 방법
CN108902826A (zh) 一种坚果薯片及其制作方法
CN105831333A (zh) 一种利用楤木嫩芽制作保健茶的方法
Rebai et al. Fig (Ficus carica) Drying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