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376B1 - 안저 카메라 - Google Patents

안저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376B1
KR101990376B1 KR1020170125277A KR20170125277A KR101990376B1 KR 101990376 B1 KR101990376 B1 KR 101990376B1 KR 1020170125277 A KR1020170125277 A KR 1020170125277A KR 20170125277 A KR20170125277 A KR 20170125277A KR 101990376 B1 KR101990376 B1 KR 10199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light source
fundus
a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261A (ko
Inventor
김용한
김윤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다
Priority to KR1020170125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3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33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user inpu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7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고 피검자에 대한 안저 영상의 취득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컴팩트한 구성으로 휴대형 안저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고, 그와 같이 매우 컴팩트한 휴대형으로 구성하면서 무산동 방식의 안저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쉽고 간단하면서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함에 따라 장치의 가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면서도 종래의 안저 카메라와 동등 이상의 영상 품질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저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저 카메라{FUNDUS CAMERA}
본 발명은 안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저(眼底)의 상태나 병변부를 정확하게 영상 데이터로 기록하고 질병의 경과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하는 카메라로서 별도로 산동제를 안구에 점안하여 동공을 확대시키지 않고도 안저의 상태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무산동 방식이면서 휴대가 가능한 안저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의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등 노인성 안질환의 증가와 당뇨 인구의 증가와 함께 안질환 유병률이 급속히 증가되면서 실명원인 1위로 꼽히는 당뇨망막증의 예방과 진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등 전세계적으로 실명 유발 안저질환 환자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실명을 유발하는 4대 망막질환 등은 안저(眼底)에 대한 촬영 영상의 분석을 통한 기본적인 안저검사만으로도 다양한 안과질환의 발병과 진행을 추적하고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안저 카메라는 그 크기가 매우 크고 병원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이동이 어려운 소외계층이나 노인층, 장애인 등은 안저 카메라를 통한 안과질환의 조기진단 및 치료를 제대로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종래의 안저 카메라는 거치형 안저 카메라로서 그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그만큼 매우 복잡한 구조이며 해당 장치의 전문가가 아닌 경우 장치의 제어가 쉽지 않고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농촌이나 격오지역 등의 보건소나 의료기관 등에는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아 안저 카메라를 이용한 조기진단 및 치료를 제대로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 안저 카메라를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휴대형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에 대한 선행발명들이 특허출원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서는 일본특허출원 제2003-89352호, 일본특허출원 제1996-307181호, 한국특허출원 제10-2014-0175741호,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143891호 등이 있다.
안저 카메라는 안구의 동공을 통해 광을 조사하고 안저에서 반사되는 광을 전달받아 영상을 획득하는 장치로서, 특히 무산동 방식의 안저 카메라는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광학계와, 안저에서 반사된 광을 결상광으로서 전달하는 촬영 광학계와, 피검자의 시선을 고정하기 위한 지표를 투영하는 지표투영 광학계와, 적외광을 이용한 관찰 광학계 등의 복잡한 광학적 구성은 물론 이들과 연관된 각종 전자적 구성요소들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형의 안저 카메라로 실제 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종래의 거치식 안저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장치의 제어가 복잡하고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무산동 방식의 안저 카메라란 피검자의 안구에 산동제를 투여하여 동공을 강제로 확장시켜 광을 투과시키는 산동 방식과는 달리 별도로 산동제를 안구에 투여하지 않고도 안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당연히 산동 방식에 비해 장치의 구성이 더욱 복잡해지고 제어가 더욱 까다로울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고 피검자에 대한 안저 영상의 취득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컴팩트한 구성으로 휴대형 안저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고, 그와 같이 매우 컴팩트한 휴대형으로 구성하면서 무산동 방식의 안저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쉽고 간단하면서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함에 따라 장치의 가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면서도 종래의 안저 카메라와 동등 이상의 영상 품질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저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메인 경통부; 상기 메인 경통부의 전단에 결합하며, 안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메인 경통부 내부로 집속하는 대물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대물렌즈 어셈블리; 상기 메인 경통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대물렌즈 모듈에 의해 집속되는 광을 전달함으로써 조명 광학계, 관찰 광학계, 촬영 광학계 및 에이밍 광학계를 통합하여 단일한 광학계의 어셈블리로 구현하는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 및 상기 메인 경통부의 후단에 결합하며,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처리하는 광처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경통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광학 경통부와, 상기 광학 경통부에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가 각각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부터 집속되는 광을 받아 굴절시켜 상기 광학 경통부의 후단부 쪽으로 전달하는 광학렌즈 모듈과, 상기 광학 경통부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 적외광 및 백색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거나 둘 다를 제공하며,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부터 집속되는 광을 받아 상기 광학렌즈 모듈로 진입하기 전에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광원-광필터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광필터 소켓은, 상기 광학 경통부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광학렌즈 모듈을 통과하는 광의 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광필터부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기 광필터부와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적외광 및 백색광을 각각 상기 대물렌즈 모듈 쪽으로 제공하는 듀얼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처리 어셈블리는,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구에 대한 시선 고정을 위한 에이밍광이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안구 쪽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광으로서 결상광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이밍광과 상기 결상광을 분리하는 빔스플리터와, 상기 빔스플리터의 후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결상광을 전달받아 상기 안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에이밍광을 발생시켜 상기 빔스플리터로 전달하여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안구로 전달되도록 하는 에이밍광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처리 어셈블리는,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의 후단부 쪽에 구비되어 상기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광으로서 결상광을 전달받아 상기 안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가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에 대한 결상의 초점이 조절되도록 하는 포커싱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안구와 대면하도록 구성되며 안저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속하는 대물렌즈 모듈; 전단부에서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부터 집속되는 광을 받아 굴절시켜 후단부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렌즈 어셈블리;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 적외광 및 백색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거나 둘 다를 제공하며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부터 집속되는 광을 받아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로 진입하기 전에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광원-광필터 소켓; 및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처리하는 광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경통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광학 경통부와, 상기 광학 경통부에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가 각각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부터 집속되는 광을 받아 굴절시켜 상기 광학 경통부의 후단부 쪽으로 전달하는 광학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광필터 소켓은,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각각 구비하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제1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광의 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광필터부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제2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적외광 및 백색광을 각각 상기 대물렌즈 모듈 쪽으로 제공하는 듀얼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 하우징은 광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 일측에 상기 제1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제1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광에 대한 주변 반사광을 제거하는 편광필터 및 AR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듀얼광원부는, 상기 제2 수용부에 구비되는 광원제어부와, 상기 광원제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적외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광원소자를 포함하는 적외광원모듈과, 상기 광원제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백색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백색광원소자를 포함하는 백색광원모듈과, 상기 제2 수용부에 상기 광원제어부의 상기 백색광원모듈에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백색광원모듈에서의 광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백색광원모듈에서 발생되는 광에 대한 주변으로의 반사 방지를 위한 AR커버와, 상기 백색광원모듈에서 발생되는 광을 편광시키기 위한 편광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소정의 광원으로부터 안구로 전달되는 광이 안저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받아 굴절시켜 후단부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안저 카메라로서,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구에 대한 시선 고정을 위한 에이밍광이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안구 쪽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광으로서 결상광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이밍광과 상기 결상광을 분리하는 빔스플리터; 상기 빔스플리터의 후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결상광을 전달받아 상기 안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에이밍광을 발생시켜 상기 빔스플리터로 전달하여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안구로 전달되도록 하는 에이밍광 발생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이밍광 발생부는,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에이밍광의 광원을 제공하는 에이밍광원부와, 상기 에이밍광원부와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에이밍 패턴이 식각되어 상기 에이밍광원부의 광이 통과하면서 상기 에이밍광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이밍 마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센서가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에 대한 결상의 초점이 조절되도록 하는 포커싱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커싱조절부는, 상기 이미지센서가 설치되는 센서홀더와, 상기 센서홀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작동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센서홀더가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에 대한 결상의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포커싱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안구의 디옵터 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디옵터 값에 대응되는 초점거리에 상기 이미지센서가 위치하도록 상기 포커싱조절부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일측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본체;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구성요소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광학적 구성을 갖는 메인 경통부; 상기 메인 경통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구를 보호하는 안구보호캡; 및 상기 본체의 상기 결합홈 반대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의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광학적 정보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경통부의 광학적 구성은, 적외광 및 백색광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공하는 광발생수단과, 상기 광발생수단으로부터 안구로 전달되는 광이 안저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받아 굴절시켜 상기 본체 내부의 구성요소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구성요소는, 상기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광으로서 결상광을 전달받아 상기 안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광발생수단에 의한 상기 적외광 및 백색광의 제공을 각각 제어하며,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생성되는 안저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이미지센서가 설치되는 센서홀더와, 상기 센서홀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작동홈을 가지며, 상기 센서홀더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돌기가 상기 작동홈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홀더에 결합하고, 일측에 작동기어부를 구비하는 회전작동부가 설치되는 광처리 본체부와, 상기 광처리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작동기어부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내부의 구성요소는,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안구에 대한 시선 고정을 위한 에이밍광이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안구 쪽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광으로서 결상광을 상기 이미지센서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이밍광과 상기 결상광을 분리하는 빔스플리터와,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에이밍광의 광원을 제공하는 에이밍광원부와, 상기 에이밍광원부와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에이밍 패턴이 식각되어 상기 에이밍광원부의 광이 통과하면서 상기 에이밍광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이밍 마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경통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광학 경통부와, 상기 광학 경통부에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가 각각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광을 굴절시켜 상기 광학 경통부의 후단부 쪽으로 전달하는 광학렌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수단은,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각각 구비하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제1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학렌즈 모듈을 통과하는 광의 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광필터부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제2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적외광 및 백색광을 각각 상기 안구 쪽으로 제공하는 듀얼광원부를 포함하는 광원-광필터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고 피검자에 대한 안저 영상의 취득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컴팩트한 구성으로 휴대형 안저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고, 그와 같이 매우 컴팩트한 휴대형으로 구성하면서 무산동 방식의 안저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쉽고 간단하면서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함에 따라 장치의 가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면서도 종래의 안저 카메라와 동등 이상의 영상 품질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저 카메라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저 카메라의 앞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본체 내부와 메인 경통부의 내부 구성을 측단면도로써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안저 카메라에서 광학렌즈 어셈블리와 광원-광필터 소켓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안저 카메라의 기능 구현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포커싱조절부 및 구동모터에 의한 초점조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저 카메라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외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저 카메라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저 카메라의 앞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FC)는 본체(100), 메인 경통부(200), 안구보호캡(302), 그리고 디스플레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100)는 광처리 본체부(101)와, 상기 광처리 본체부(10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102), 지지부(103) 및 베이스부(10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크레이들(RC)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으며, 크레이들(RC)의 착탈홈부(20)에 베이스부(104)가 가이드부(30)의 가이드에 의해 결합하면서 충전단자(40)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크레이들(RC)에 끼워진 상태로 안저 카메라는 충전이 될 수 있으며 크레이들(RC)에서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크레이들(RC)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손잡이부(102)를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02)를 잡고 안구보호캡(302)을 피검자의 안구에 대고 간편하게 안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라는 점에 일 특징이 있다.
종래의 안저 카메라를 구성하는 조명 광학계, 관찰 광학계, 에이밍 광학계, 촬영 광학계 등의 복잡한 구성을 단순화시켜서 광학적인 구성은 메인 경통부(200) 내부에 통합하여 구성하고 광학적인 정보의 처리는 본체(100) 내부에 구비하도록 구성하며, 본체(100) 후방에 디스플레이부(700)를 구비하여 안저 검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도 1의 MD는 초점의 미세조정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조정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다른 안저 카메라는 본체(100)의 광처리 본체부(101)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107)에 메인 경통부(20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부(201)를 끼워서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본체(100) 내부의 구성요소와 상기 메인 경통부(200) 내부의 구성요소가 서로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결합홈(107)과 메인 경통부(200)의 결합부(201)에는 각각 복수개의 결합가이드부(108)와 결합가이드홈(20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가이드홈(202)에 결합가이드부(108)가 맞물려서 상기 본체(100)의 결합홈(107)에 상기 메인 경통부(200)의 결합부(201)가 정확하고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02)를 잡고 안구보호캡(302)을 피검자의 안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초점조절을 한 후 손잡이부(102)에 구비된 샷버튼(105)을 누름으로써 안구 내의 안저 부분의 영상을 쉽게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에서 메인 경통부(200)의 단부의 300번이 지칭하는 것은 대물렌즈 모듈을 구비하는 대물렌즈 어셈블리로서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외적 구성을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복잡한 광학계를 통합적으로 메인 경통부(200) 내부에 구비시키고 광처리 등을 위한 복잡한 구성요소들을 본체(100) 내부에 효과적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내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내적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본체 내부와 메인 경통부의 내부 구성을 측단면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주요 구성은 대물렌즈 어셈블리(300)와,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와, 광처리 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안저 카메라의 구성을 도 2 및 3에 도시된 안저 카메라의 구성과 대응하도록 설명하면, 상기 대물렌즈 어셈블리(300)와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는 메인 경통부(200)에 구비되고, 광처리 어셈블리(600)와 구동모터(660) 등은 본체(100)에 구비되는데, 상기 광처리 어셈블리(600)는 광처리 본체부(101)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660) 등은 손잡이부(66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광처리 본체부(101) 후단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700)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대물렌즈 어셈블리(300),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 및 광처리 어셈블리(6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렌즈 어셈블리(300)와,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와, 광처리 어셈블리(600)가 서로 수평적으로 결합하여 안구에 대해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대물렌즈 어셈블리(300)는 메인 경통부(200)의 전단에 결합하는 대물렌즈 홀더(301) 및 상기 대물렌즈 홀더(301)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적 특징을 갖는 렌즈(311, 312, 313)를 포함하는 대물렌즈 모듈(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경통부(200) 내부에는 상기 대물렌즈 어셈블리(300)의 대물렌즈 모듈(310)로 적외광이나 백색광을 조사하는 광원수단이 구비될 뿐더러 그 광이 안구의 안저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을 최종적으로 이미지센서로 전달하는 복잡한 광학계의 구성을 상기 메인 경통부(200) 내부에 통합적으로 구성한다.
상기 대물렌즈 어셈블리(300)의 대물렌즈 모듈(310)은 메인 경통부(200) 내부의 광원수단, 즉 후술할 광원-광필터 소켓(500)의 듀얼광원부(51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굴절시켜 피검자의 안구의 동공에 집속시키고 상기 동공을 통해 안저(眼底,Fundus) 영역 전반에 도달하도록한다. 그리고 상기 대물렌즈 모듈(310)은 상기 안저에서 반사된 광을 집속하여 메인 경통부(200) 안쪽의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로 전달한다.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는, 조명 광학계, 관찰 광학계, 촬영 광학계, 에이밍 광학계 등의 여러 가지 복잡하고 다양한 광학계의 구성을 통합하여 단일한 광학계 어셈블리로 구현한다.
여기서, 조명 광학계는 백색광(가시광선)을 적절히 굴절시켜 안구의 동공을 통해 안저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광학적 구성을 말하고, 관찰 광학계는 적외광을 적절히 굴절시켜 안구의 동공을 통해 안저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안저에서 반사된 광을 적절히 굴절시켜 이미지 센서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광학적 구성을 말하며, 촬영 광학계는 백색광이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광을 적절히 굴절시켜 이미지 센서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광학적 구성을 말하고, 에이밍 광학계는 피검자의 시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특정 패턴의 에이밍광을 안구로 적절히 전달하는 광학적 구성을 말한다.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광학계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구비되거나 일부 광학계만 통합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한 광학계들을 모두 구비하는 경우에는 장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크기 또한 상당히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광학계의 구성을 통합하여 하나의 단일한 광학계 어셈블리의 구성으로 단순화시켜 장치의 크기를 대폭 소형화하여 휴대형 안저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는 광학렌즈 모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는 광학렌즈 어셈블리(410)와 광원-광필터 소켓(500)을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광학계의 구성을 단일한 광학계 어셈블리로 통합하여 구현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의 광학렌즈 어셈블리(410)는 메인 경통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광학 경통부(401)와, 상기 광학 경통부(401에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가 각각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310)로부터 집속되는 광을 받아 굴절시켜 상기 광학 경통부(401)의 후단부 쪽으로 전달하는 광학렌즈 모듈(4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광필터 소켓(500)은 상기 광학 경통부(401)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310)로 적외광 및 백색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거나 둘 다를 제공하며, 상기 대물렌즈 모듈(310)로부터 집속되는 광(안저로부터 반사되어 대물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받아 상기 광학렌즈 모듈(412)로 진입하기 전에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광필터 소켓(500)은 하나의 소켓으로서 적외광을 적절히 제공하는 수단과 백색광을 적절히 제공하는 수단, 그리고 이미지센서로 향하는 광에 대한 필터링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광원-광필터 소켓(500)은 적외광원모듈(520)과 백색광원모듈(530)을 구비하는 듀얼광원부(510)와, 광필터부(55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저 카메라에서 안저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백색광이 안저에 도달하여 그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할 필요가 있는데, 여기서 무산동 방식으로 안저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적외광을 안저로 보낼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므로, 백색광을 안저로 보내는 구성과 적외광을 안저로 보내는 구성의 복합적인 구성이 모두 필요하므로 장치의 구성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에서는 하나의 광원-광필터 소켓(500)이 적외광과 백색광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거나 두가지를 모두 제공하기 때문에, 장치를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하면서도 무산동 방식의 안저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광학렌즈 어셈블리(410)와 광원-광필터 소켓(5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의 후단부, 즉 광학렌즈 어셈블리(410)의 후단부에는 광처리 어셈블리(600)가 본체(100, 도 2 참조)의 광처리 본체부(101, 도 2 참조) 내부에 구비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스플리터(610)와, 이미지센서(630), 그리고 에이밍광 발생부(621, 622)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광처리 어셈블리(600)는 상기 이미지센서(630)가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에 대한 결상의 초점이 조절되도록 하는 포커싱조절부(도면번호 미지정, 이에 대해서는 후술함)에 대한 구성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미지 센서(630)와, 상기 에이밍광 발생부(621, 622)와, 빔스플리터(610)와, 포커싱조절부를 모두 광처리 어셈블리(600)로서 본체(100, 도 2 참조) 내부에 구성시킴에 따라 상당히 집약적이면서 전체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광학계의 구성을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빔스플리터(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렌즈 어셈블리(4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안구에 대한 시선 고정을 위한 에이밍광이 광학렌즈 어셈블리(410)를 통해 안구 쪽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광학렌즈 어셈블리(410)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광으로서 결상광(이미지센서에서 상을 형성하기 위한, 즉 결상을 위한 광)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이밍광과 상기 결상광을 분리하는 기능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특정 성질의 에이밍광은 반사시켜 광학렌즈 모듈(412)로 보내고, 적외광과 백색광은 통과를 시켜 이미지센서(630)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빔스플리터(610)이다.
상기 이미지 센서(630)는 상기 빔스플리터(610)의 후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빔스플리터(610)를 통과하는 결상광을 전달받아 안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이밍광 발생부는 상기 빔스플리터(610)의 측면 쪽에 구비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이밍광 발생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스플리터(610)의 측면 쪽에 구비되어 에이밍광의 광원을 제공하는 에이밍광원부(621)와, 상기 에이밍광원부(621)와 상기 빔스플리터(610)의 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에이밍 패턴이 식각되어 상기 에이밍광원부(621)의 광이 통과하면서 상기 에이밍광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이밍 마스크(6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커싱조절부는 이미지센서(630)가 광축(결상광에 대한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즉, 메인 경통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630)에 대한 결상의 초점이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센서홀더와 회전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작동부를 구동모터(660)가 회전시키면서 상기 센서홀더가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대물렌즈 어셈블리(300)와,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와, 광처리 어셈블리(600)를 안구에 대해 일직선 상에 구비하여 광의 경로(구체적으로 적외광과 백색광의 이미지센서쪽으로 향하는 광의 경로와 에이밍광의 경로)가 동일한 광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로써 조명 광학계, 관찰 광학계, 촬영 광학계 및 에이밍 광학계 등의 여러 광학적 구성을 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의 후단부 쪽에서 광처리를 위한 빔스플리터(610), 이미지센서(630), 에이밍광발생부, 포커싱조절부 등의 구성을 구비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매우 컴팩트한 휴대형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상기 광처리 어셈블리의 일 구성요소로써 본체(100, 도 2 참조) 내부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제어부와 이를 통한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에 따른 안저 영상의 취득에 대한 동작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상기한 광학렌즈 어셈블리(41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한 광학렌즈 어셈블리(410)와 광원-광필터 소켓(500)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한 광원-광필터 소켓(5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메인 경통부 내부의 후단 쪽에 설치되어 구비되는 광학렌즈 어셈블리(410)는, 광학 경통부(401)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는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갖는 광학렌즈들에 의해 구성되는 광학렌즈 모듈(412)과, 상기 광학렌즈 모듈(412)이 광학 경통부(401)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후단커버(40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학 경통부(401)의 전단에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광전달홀(40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학 경통부(401)의 광전달홀(403)이 형성된 전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광필터 소켓(50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광필터 소켓(5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501)과, 상기 소켓 하우징(501)의 일측에 구비되는 듀얼광원부(510)와, 상기 소켓 하우징(501)의 타측에 구비되는 광필터부(5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고정볼트(BT)가 소켓 하우징(501)의 측면에 형성된 설치홀(502)을 관통하여 광학 경통부(401)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홀(404)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광학 경통부(401)의 전단부에 상기 광원-광필터 소켓(500)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여하한 체결방식에 의해 광원-광필터 소켓(500)이 광학 경통부(401)의 전단부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광원-광필터 소켓(500)의 듀얼광원부(510)는 적외광원모듈(520)과 백색광원모듈(530)을 포함하는데, 그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는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501)에는 관통홀(505)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505) 주변에 제1 수용부(506)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켓 하우징(501)의 상기 제1 수용부(506) 일측에는 듀얼광원부를 구성하기 위한 제2 수용부(504)가 형성된다.
상기 광원-광필터 소켓(50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경통부(401)의 전단부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광학 경통부(401) 전단부의 광전달홀(40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501)의 관통홀(505)과 서로 연통된다.
상기 광학 경통부(401) 전단부의 광전달홀(403)과 상기 소켓 하우징(501)의 관통홀(505)은 서로 연통되어 광이 전달되는 경로가 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관통홀(505)과 광전달홀(403)이 서로 연통됨으로써 광필터부(550)를 통과하는 광의 광축과 광학렌즈 모듈(412)을 통과하는 광의 광축은 서로 일치하게 된다.
상기 제1 수용부(506)에는 상기 관통홀(505)을 통과하는 광에 대한 주변 반사광을 제거하는 편광필터(554) 및 AR필터(55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도면번호 558번은 상기 편광필터(554) 및 AR필터(556)를 상기 제1 수용부(506)에 수용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필터고정부(558)를 나타낸다.
상기 AR필터(556)는 반사방지필터(Anti-Reflecting Filter)로서 듀얼광원부(510)가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듀얼광원부(510)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반사되어 광필터부(55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대물렌즈 모듈(310, 도 4 참조)로부터 집속되는 광이 진입할 때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필터이다.
그리고 상기 편광필터(554)는 대물렌즈 모듈(310, 도 4 참조)로부터 집속되는 광이 진입할 때 광의 파동의 진동이 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필터링함으로써 표면 반사광(광이 통과하는 어떤 물질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반사광)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한 편광필터(554) 및 AR필터(556)는 광필터부(550)로 진입하여 광학렌즈 모듈로 전달되는 결상광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필터들이다.
한편, 상기 소켓 하우징(501)의 제2 수용부(504)에는 광원제어부(512)가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TP) 등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광원제어부(512)는 적외광과 백색광의 제어를 위한 소정의 부품들이 실장된 회로기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원제어부(51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적외광원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광원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적외광(Infra-Red Light)을 발광하는 적외광원모듈(520)과, 상기 적외광원모듈(520)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백색광원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광원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백색광(가시광선, Visible Light)을 발광하는 백색광원모듈(530)이 구비된다.
상기 광원제어부(512)는 후술할 장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적외광원모듈(520)과 백색광원모듈(530)을 각각 제어하여 광의 제공 및 차단 등을 수행한다.
백색광의 경우 다양한 파장의 빛이 모여있으므로 주변으로의 난반사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반사방지 등을 위하여 필터링이 필요하며, 상기 제2 수용부(504)에 광원제어부(512)의 백색광원모듈(530)에 대응되는 부분에 필터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백색광원모듈(530)에서의 광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백색광원모듈(530)에서 발생되는 광에 대한 주변으로의 반사 방지를 위한 AR커버(536)와, 상기 백색광원모듈(530)에서 발생되는 광을 편광시키기 위한 편광커버(5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 도면번호 528은 광원커버로서 제2 수용부(504)에 광원제어부(512)와 상기 편광커버(534) 및 AR커버(536)를 각각 수용시킨 다음 이들을 덮어서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며, 상기 광원커버(528)는 적외광원모듈(520) 부분을 커버링하면서 백색광원모듈(530)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개구부(529)가 위치하도록 한다(백색광원모듈(530)은 이미 필터커버(534, 536)가 커버링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부(529)가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렌즈 어셈블리(410)와 광원-광필터 소켓(500)의 결합된 구성, 즉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400)가 메인 경통부(200)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조명 광학계, 관찰 광학계, 촬영 광학계 등의 복잡한 광학계 구성을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하면서도 안저 카메라의 기능 구현에 필요한 광학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제어계통에 관한 구성과 이를 통한 안저 카메라의 동작 및 광학적 기능 구현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제어계통에 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9의 (a)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른 안저 카메라를 이용한 에이밍 광학계 및 관찰 광학계의 기능을 구현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도시된 안저 카메라의 광학적 기능 구현에 대해 광의 진행 상태를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의 (a)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른 안저 카메라를 이용한 조명 광학계 및 촬영 광학계의 기능을 구현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도시된 안저 카메라의 광학적 기능 구현에 대해 광의 진행 상태를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8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전체 구성요소의 제어를 통해 안저 카메라의 광학적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부(601)를 중심으로 광원제어부(512), 에이밍광원부(621), 구동모터(660), 데이터저장부(602), 이미지센서(630), 이미지처리부(603) 및 디스플레이부(700) 등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제어부(512)에는 적외광원모듈(520)과 백색광원모듈(530)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광원제어부(512)에 의해 적외광원모듈(520) 및 백색광원모듈(530) 중 어느 하나가 구동하거나 둘 다 구동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광원제어부(512)의 제어는 제어부(601)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어부(601)는 에이밍광원부(621)를 제어하여 에이밍광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오프되도록 하며, 구동모터(660)를 제어하여 이미지센서(630)의 포커싱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01)는 이미지센서(630)에 의해 결상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이미지처리부(603)로 전달하여, 상기 이미지처리부(603)가 상기 이미지센서(63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안저 촬영 영상)를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이미지 포맷을 설정 또는 변경한다거나 이미지의 사이즈를 조정한다거나 이미지의 밝기 등을 조정하는 등의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한다.
제어부(601)는 이미지처리부(603)에 의해 디스플레이 될 이미지로 처리된 안저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70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제어부(601)는 촬영된 안저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602)에 저장하며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로 연결된 PC나 서버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계통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렌즈 어셈블리(300)가 안구(EB)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있을 때(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보호캡(302)을 피검자의 눈 주위에 적절히 위치시킴에 따라 상기 대물렌즈 어셈블리(300)가 안구(EB)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동공(PL)의 축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먼저 광원-광필터 소켓(500)의 듀얼광원부(510)의 광원제어부(512, 도 8 참조)를 제어하여 적외광원모듈(520)이 적외광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적외광원모듈(520)의 적외광(Lr)은 대물렌즈 모듈(310)을 통해 안구(EB)의 동공(PL)으로 집속되어 안구(EB) 내 안저(FD) 부분에 도달하는데, 이에 대한 광학적 분포는 도 9의 (b)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그리고, 피검자의 안구(EB)는 시선 고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움직이므로 안정적인 안저 촬영을 위해서는 에이밍광(La)을 안구(EB)로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제어부는 에이밍광 발생부(621)에서 광이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그 발생된 광은 에이밍 마스크(622)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패턴을 가진 에이밍광(La)이 되어 빔스플리터(610)에서 반사되어 광학렌즈 어셈블리(410)의 광학렌즈 모듈(412) 및 광워-광필터 소켓(500)의 광필터부(550)를 각각 통과하고 대물렌즈 모듈(310)을 통과하여 안구(EB)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에이밍광에 의한 특정 패턴을 피검자가 바라보면서 시선이 고정되고, 적외광이 동공(PL)을 통해 안저(FD)로 도달하게 되고 상기 안저(FD)에서 반사된 광은 다시 동공(PL)을 통해 대물렌즈 모듈(310)로 전달되고 그 전달된 광은 광필터부(550)와 광학렌즈 모듈(412), 그리고 빔스플리터(610)를 통과하여 이미지센서(630)로 도달하여 결상하게 된다.
이렇게 결상이 되면 그 적외광에 의한 안저 부분의 영상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그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면서 안저 영상에 대한 해상도 조절, 초점 조절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외광이 동공(PL)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별도의 산동제를 피검자의 안구에 투여하지 않더라도 동공(PL)이 축소되지 않고 안정적인 안저 부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이를 '무산동 방식'이라고 하며 앞서 설명한 바 있다).
그런데, 적외광에 의한 안저(FD) 부분의 영상은 안저 검사의 기초로 하기에 적절한 영상 데이터는 아니며 이는 해상도 조절, 초점 조절 등을 위해 사용자가 관찰하기 위한 영상이며, 백색광에 의한 안저(FD) 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목적이다.
백색광이 안구의 동공을 통해 전달되면 동공이 축소되기 때문에 적외광이 안구의 동공을 통해 전달되고 있는 상태에서 매우 짧은 시간에 적외광이 차단되면서 백색광이 안구의 동공을 통해 안저로 전달되어 그 반사광을 획득하여야 한다.
상기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광이 안구(EB)의 동공(PL)을 통해 안저(FD) 부분으로 전달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2)의 샷버튼(105)을 사용자가 누르면,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적외광원모듈(520)에 의한 적외광의 발생이 차단되고 에이밍광원부(621)에 의한 에이밍광의 발생이 차단되면서 백색광원모듈(530)이 백색광(Lw)을 발생시켜 동공(PL)이 축소되기 전에 안저(FD) 부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샷버튼을 누르면, 제어부(601, 도 8 참조)는 광원제어부(512, 도 8 참조)를 제어하여,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광원모듈(520)이 적외광을 발생을 오프하는 동시에 에이밍광원부(621)를 제어하여 에이밍광의 발생을 오프하면서, 상기 광원제어부에 의해 백색광원모듈(530)이 백색광(Lw)을 제공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백색광원모듈(530)의 백색광(Lw)은 대물렌즈 모듈(310)을 통해 안구(EB)의 동공(PL)으로 집속되어 안구(EB) 내 안저(FD) 부분에 도달하는데, 이에 대한 광학적 분포는 도 10의 (b)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백색광(Lw)이 동공(PL)을 통해 안저(FD)로 도달하게 되고 상기 안저(FD)에서 반사된 광은 다시 동공(PL)을 통해 대물렌즈 모듈(310)로 전달되고 그 전달된 광은 결상광(Lf)으로서 광필터부(550)와 광학렌즈 모듈(412), 그리고 빔스플리터(610)를 통과하여 이미지센서(630)로 도달하여 결상하게 된다.
이렇게 결상이 되면 그 백색광에 의한 안저 촬영 영상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되면서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고, 필요한 경우 다른 PC나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포커싱조절부 및 구동모터에 의한 초점 조절에 관한 부분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광처리 어셈블리(600)는 이미지센서(630)가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이미지센서(630)에 대한 결상의 초점이 조절되도록 하는 포커싱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상기 포커싱조절부는,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홀더(632) 및 회전작동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의 (a)는 센서홀더, 회전작동부 및 구동모터의 구성에 대해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의 (b)는 상기 센서홀더, 회전작동부 및 구동모터가 모두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홀더(632)에는 이미지센서(630)가 설치되며, 회전작동부(650)는 그 내면(652)이 상기 센서홀더(632)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데, 이때 회전작동부(650)에는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작동홈(654)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홀더(632)에는 체결구멍(h)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센서홀더(632)에 회전작동부(650)가 끼워지면서 고정돌기(fb)가 상기 작동홈(654) 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체결구멍(h)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작동부(650)가 센서홀더(632)에 대해 회전하면 상기 고정돌기(fb)가 작동홈(654)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홀더(632)가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작동부(650)의 일측에는 작동기어부(656)가 형성되며, 구동모터(660)의 구동축에는 상기 작동기어부(656)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부(662)가 구비되어 있어서, 결국 구동모터(660)가 구동하면서 구동기어부(662)를 회전시키면 이에 맞물린 작동기어부(656)가 회전작동부(650)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고정돌기(fb)가 작동홈(654)을 따라 이동하면서 센서홀더(632)가 이미지센서(630)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부(601, 도 8 참조)는 구동모터(660)를 제어하여 적절히 구동시킴으로써 이미지센서(630)의 결상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660)의 구동 제어는 제어부(601)에 의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와 사용자(안저 카메라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미세조정을 함에 따른 제어가 모두 가능하다(이와 같은 미세조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2)의 후면에 구비된 미세조정부(MD)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모터가 제어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제어부(601)에 의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의 일 예로서, 사용자가 피검자에게 문진하여 안구의 디옵터 값을 미리 알아내어 사용자입력부(별도로 장치에 사용자가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700)를 터치패널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70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를 통해 입력함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디옵터 값에 대응되는 초점거리에 상기 이미지센서(630)가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6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검자의 디옵터 값을 미리 입력하여 그에 따라 이미지센서를 적절하게 미리 위치시키고 미세한 초점조절을 상기한 미세조정부(MD)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저 카메라를 이용한 안저 영상의 촬영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고 촬영 시간의 단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매우 컴팩트한 휴대형으로 구성하면서 무산동 방식의 안저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쉽고 간단하며 높은 품질의 안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등의 특장점이 있다.
100: 본체, 101: 광처리 본체부
102: 손잡이부, 105: 샷버튼
200: 메인 경통부, 300: 대물렌즈 어셈블리
310: 대물렌즈 모듈, 400: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
410: 광학렌즈 어셈블리, 412: 광학렌즈 모듈
500: 광원-광필터 소켓, 510: 듀얼광원부
520: 적외광원모듈, 530: 백색광원모듈
550: 광필터부, 600: 광처리 어셈블리
610: 빔스플리터, 630: 이미지 센서
632: 센서홀더, 650: 회전작동부
660: 구동모터, 601: 제어부

Claims (20)

  1. 메인 경통부;
    상기 메인 경통부의 전단에 결합하며, 안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메인 경통부 내부로 집속하는 대물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대물렌즈 어셈블리;
    상기 메인 경통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대물렌즈 모듈에 의해 집속되는 광을 전달함으로써 조명 광학계, 관찰 광학계, 촬영 광학계 및 에이밍 광학계를 통합하여 단일한 광학계의 어셈블리로 구현하는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 및
    상기 메인 경통부의 후단에 결합하며,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처리하는 광처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경통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광학 경통부와,
    상기 광학 경통부에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가 각각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부터 집속되는 광을 받아 굴절시켜 상기 광학 경통부의 후단부 쪽으로 전달하는 광학렌즈 모듈과,
    상기 광학 경통부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 적외광 및 백색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거나 둘 다를 제공하며,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부터 집속되는 광을 받아 상기 광학렌즈 모듈로 진입하기 전에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광원-광필터 소켓을 포함하는 안저 카메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광필터 소켓은,
    상기 광학 경통부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광학렌즈 모듈을 통과하는 광의 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광필터부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기 광필터부와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적외광 및 백색광을 각각 상기 대물렌즈 모듈 쪽으로 제공하는 듀얼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4. 메인 경통부;
    상기 메인 경통부의 전단에 결합하며, 안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메인 경통부 내부로 집속하는 대물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대물렌즈 어셈블리;
    상기 메인 경통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대물렌즈 모듈에 의해 집속되는 광을 전달함으로써 조명 광학계, 관찰 광학계, 촬영 광학계 및 에이밍 광학계를 통합하여 단일한 광학계의 어셈블리로 구현하는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 및
    상기 메인 경통부의 후단에 결합하며,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처리하는 광처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광처리 어셈블리는,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안구에 대한 시선 고정을 위한 에이밍광이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안구 쪽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광으로서 결상광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이밍광과 상기 결상광을 분리하는 빔스플리터와,
    상기 빔스플리터의 후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결상광을 전달받아 상기 안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에이밍광을 발생시켜 상기 빔스플리터로 전달하여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안구로 전달되도록 하는 에이밍광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처리 어셈블리는,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의 후단부 쪽에 구비되어 상기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통합 광학계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광으로서 결상광을 전달받아 상기 안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가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에 대한 결상의 초점이 조절되도록 하는 포커싱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6. 안구와 대면하도록 구성되며 안저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속하는 대물렌즈 모듈;
    전단부에서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부터 집속되는 광을 받아 굴절시켜 후단부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렌즈 어셈블리;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 적외광 및 백색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거나 둘 다를 제공하며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부터 집속되는 광을 받아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로 진입하기 전에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광원-광필터 소켓; 및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처리하는 광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안저 카메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는,
    전단부에 상기 대물렌즈 모듈을 구비하는 메인 경통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광학 경통부와,
    상기 광학 경통부에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가 각각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대물렌즈 모듈로부터 집속되는 광을 받아 굴절시켜 상기 광학 경통부의 후단부 쪽으로 전달하는 광학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광필터 소켓은,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각각 구비하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제1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광의 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광필터부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제2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적외광 및 백색광을 각각 상기 대물렌즈 모듈 쪽으로 제공하는 듀얼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은 광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 일측에 상기 제1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제1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광에 대한 주변 반사광을 제거하는 편광필터 및 AR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광원부는,
    상기 제2 수용부에 구비되는 광원제어부와,
    상기 광원제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적외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광원소자를 포함하는 적외광원모듈과,
    상기 광원제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백색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백색광원소자를 포함하는 백색광원모듈과,
    상기 제2 수용부에 상기 광원제어부의 상기 백색광원모듈에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백색광원모듈에서의 광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백색광원모듈에서 발생되는 광에 대한 주변으로의 반사 방지를 위한 AR커버와, 상기 백색광원모듈에서 발생되는 광을 편광시키기 위한 편광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12. 소정의 광원으로부터 안구로 전달되는 광이 안저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받아 굴절시켜 후단부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안저 카메라로서,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구에 대한 시선 고정을 위한 에이밍광이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안구 쪽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광으로서 결상광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이밍광과 상기 결상광을 분리하는 빔스플리터;
    상기 빔스플리터의 후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결상광을 전달받아 상기 안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에이밍광을 발생시켜 상기 빔스플리터로 전달하여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안구로 전달되도록 하는 에이밍광 발생부;
    를 포함하는 안저 카메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광 발생부는,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에이밍광의 광원을 제공하는 에이밍광원부와,
    상기 에이밍광원부와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에이밍 패턴이 식각되어 상기 에이밍광원부의 광이 통과하면서 상기 에이밍광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이밍 마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가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에 대한 결상의 초점이 조절되도록 하는 포커싱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조절부는,
    상기 이미지센서가 설치되는 센서홀더와, 상기 센서홀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작동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센서홀더가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에 대한 결상의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16.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포커싱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안구의 디옵터 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디옵터 값에 대응되는 초점거리에 상기 이미지센서가 위치하도록 상기 포커싱조절부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17. 일측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본체;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구성요소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광학적 구성을 갖는 메인 경통부;
    상기 메인 경통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구를 보호하는 안구보호캡; 및
    상기 본체의 상기 결합홈 반대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의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광학적 정보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경통부의 광학적 구성은,
    적외광 및 백색광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공하는 광발생수단과, 상기 광발생수단으로부터 안구로 전달되는 광이 안저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받아 굴절시켜 상기 본체 내부의 구성요소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구성요소는,
    상기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광으로서 결상광을 전달받아 상기 안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광발생수단에 의한 상기 적외광 및 백색광의 제공을 각각 제어하며,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생성되는 안저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저 카메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이미지센서가 설치되는 센서홀더와, 상기 센서홀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작동홈을 가지며, 상기 센서홀더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돌기가 상기 작동홈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홀더에 결합하고, 일측에 작동기어부를 구비하는 회전작동부가 설치되는 광처리 본체부와,
    상기 광처리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작동기어부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구성요소는,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안구에 대한 시선 고정을 위한 에이밍광이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안구 쪽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안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반사광으로서 결상광을 상기 이미지센서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이밍광과 상기 결상광을 분리하는 빔스플리터와,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쪽에 구비되어 상기 에이밍광의 광원을 제공하는 에이밍광원부와,
    상기 에이밍광원부와 상기 빔스플리터의 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에이밍 패턴이 식각되어 상기 에이밍광원부의 광이 통과하면서 상기 에이밍광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이밍 마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경통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광학 경통부와, 상기 광학 경통부에 복수개의 서로 다른 광학 렌즈가 각각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광을 굴절시켜 상기 광학 경통부의 후단부 쪽으로 전달하는 광학렌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수단은,
    상기 광학렌즈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각각 구비하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제1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학렌즈 모듈을 통과하는 광의 광축과 동일한 광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광필터부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제2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적외광 및 백색광을 각각 상기 안구 쪽으로 제공하는 듀얼광원부를 포함하는 광원-광필터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KR1020170125277A 2017-09-27 2017-09-27 안저 카메라 KR10199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277A KR101990376B1 (ko) 2017-09-27 2017-09-27 안저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277A KR101990376B1 (ko) 2017-09-27 2017-09-27 안저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261A KR20190036261A (ko) 2019-04-04
KR101990376B1 true KR101990376B1 (ko) 2019-06-20

Family

ID=6610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277A KR101990376B1 (ko) 2017-09-27 2017-09-27 안저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3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429B1 (ko) 2019-08-23 2020-02-06 주식회사 디오스텍 광시야각을 가지며 경량화한 안저 카메라용 광학계
KR102263830B1 (ko) * 2021-01-05 2021-06-11 주식회사 유엠아이옵틱스 자동 초점 기능을 이용한 안저 영상 촬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57B1 (ko) * 2019-07-29 2020-08-28 주식회사 유엠아이옵틱스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갖는 안저 영상 촬영 장치
KR102313856B1 (ko) * 2020-04-01 2021-10-19 인더스마트 주식회사 안과용 광학 영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영상 촬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313A (ja) * 2003-02-28 2004-09-24 Nidek Co Ltd 眼内手術装置
US20160249804A1 (en) * 2015-02-27 2016-09-01 Welch Allyn, Inc. Through Focus Retinal Image Captu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313A (ja) * 2003-02-28 2004-09-24 Nidek Co Ltd 眼内手術装置
US20160249804A1 (en) * 2015-02-27 2016-09-01 Welch Allyn, Inc. Through Focus Retinal Image Captu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429B1 (ko) 2019-08-23 2020-02-06 주식회사 디오스텍 광시야각을 가지며 경량화한 안저 카메라용 광학계
KR102263830B1 (ko) * 2021-01-05 2021-06-11 주식회사 유엠아이옵틱스 자동 초점 기능을 이용한 안저 영상 촬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261A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376B1 (ko) 안저 카메라
EP1694195B1 (en) Digital documenting ophthalmoscope
JP4937792B2 (ja) 眼底カメラ
CN209611102U (zh) 适配器和包含适配器的眼底照相系统
US20130194548A1 (en) Portable retinal imaging device
JP5084594B2 (ja) 眼科撮像装置
US8488895B2 (en) Laser scanning digital camera with pupil periphery illumination and potential for multiply scattered light imaging
JP4231146B2 (ja) 眼底カメラ
JP4047255B2 (ja) 眼底カメラ
WO2014158263A1 (en) Portable retinal imaging device
JP2014533556A (ja) 眼底カメラ
JP4649229B2 (ja) 眼底カメラ
JP6456206B2 (ja) 眼科装置、眼科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047595A (ja) 眼科撮影装置
JP2004208744A (ja) 眼科撮影装置
JP4886389B2 (ja) 眼底カメラ
JP5328517B2 (ja) 眼底撮影装置
JP2008212375A (ja) 眼科撮影装置
JP2004254945A (ja) 眼底カメラ
US20160242643A1 (en) Transparent Camera for Imaging the Eye
KR20210103276A (ko)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JP4546214B2 (ja) 眼底カメラ
JP5253299B2 (ja) 眼底カメラ
JP4503377B2 (ja) 眼底カメラ
JPH11169349A (ja) 眼科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