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187B1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187B1
KR101988187B1 KR1020187003987A KR20187003987A KR101988187B1 KR 101988187 B1 KR101988187 B1 KR 101988187B1 KR 1020187003987 A KR1020187003987 A KR 1020187003987A KR 20187003987 A KR20187003987 A KR 20187003987A KR 101988187 B1 KR101988187 B1 KR 101988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od
sliders
slider
hol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246A (ko
Inventor
신스케 시바타
마사히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19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02B6/387Connector plugs comprising two complementary members, e.g. shells, caps, covers, lock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4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the means comprising water blocking or hydrophobic materials
    • G02B6/449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4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mechanical means, e.g. pulling or push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종방향으로 개방된 실린더형 후드 부분을 갖고 복수의 단자들을 수납하는 수형 커넥터에 암형 커넥터가 연결된다. 수형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가 수형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에 후드 부분 내측에 배열된 복수의 단자들을 홀딩하는 홀딩 부분, 홀딩 부분의 외부 표면과 후드 부분의 내부 표면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부, 및 후드 부분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배열되는 슬라이더를 갖는다. 슬라이더는 횡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고, 활주 동작은 수형 커넥터가 암형 커넥터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힘이 후드 부분에 가해져서 후드 부분이 결합되게 한다. 가압 부분이 후드 부분을 홀딩 부분 내로 가압하기 위하여 슬라이더 상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관련 출원
본 출원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고 2015년 7월 1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13905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수형 커넥터가 암형 커넥터와 정합하는 방수 커넥터들에 관한 것이다. 수형 커넥터는 전방으로 개방된 후드를 갖는다(특허 문헌 1에서 실린더형 정합 부분(11)). 암형 커넥터와 정합되는 경우, 후드는 암형 커넥터의 하우징(특허 문헌 1의 후드 부분(21))과 암형 커넥터 상의 단자들을 홀딩하는 홀딩 부분(특허 문헌 1의 타워 부분(2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밀봉부(특허 문헌 1의 밀봉 부분(23))가 홀딩 부분과 암형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수용된 후드 사이에 제공된다. 밀봉부는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 사이의 갭을 폐쇄하고 커넥터들 사이에 방수 밀봉부를 제공한다.
특허 문헌 1: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4-311190호
이러한 유형의 밀봉부를 갖는 커넥터들에서, 밀봉부가 후드 내로 밀리면, 후드 자체가 팽창한다. 후드가 팽창하는 경우, 밀봉부 및 후드는 서로 잘 밀착되지 않을 수 있어서, 수형 및 암형 커넥터의 방수 성능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밀봉부가 제공되는 경우, 밀봉부는 후드와 접촉하게 되고, 작업자가 수형 커넥터를 암형 커넥터와 정합시킬 때 마찰 저항이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를 정합시키는 데 상당한 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의 팽창을 야기하지 않고서 커넥터들의 용이한 정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개방된 실린더형 후드를 갖고 내측에 복수의 단자들을 수납하는 다른 커넥터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인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다른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후드 내측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을 홀딩하는 홀딩 부분; 상기 다른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홀딩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후드의 내부 표면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부; 상기 홀딩 부분이 상기 후드 내측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배열된 슬라이더 -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고, 상기 후드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활주하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다른 커넥터로 하여금 상기 커넥터에 대한 연결 방향으로 상기 후드에 가압력을 가하게 함 -; 및 상기 홀딩 부분을 향하여 상기 후드를 가압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가압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들은 후드의 팽창을 야기하지 않고서 용이하게 정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로부터의 미리결정된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가압 부분으로서 역할을 하는 복수의 가압 부분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 상에 구비된 결합 부분과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홀딩 부분을 상기 후드 내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홈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 상에 구비된 결합 부분과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홀딩 부분을 상기 후드 내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홈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상기 가압 부분은 상기 밀봉부가 배열되는 위치보다 상기 후드 내로 개방되는 선행 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상기 가압 부분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각인 제3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슬라이더로서 역할을 하는 2개의 슬라이더들을 갖고, 상기 2개의 슬라이더들의 각각은 상기 홀딩 부분을 개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각인 제3 방향으로 다른 하나를 향하는 표면을 갖고, 가압 부분들이 서로를 향하는 상기 2개의 슬라이더들의 표면들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커넥터에 제1 방향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및 제1 방향으로 개방된 실린더형 후드를 갖고 내측에 복수의 단자들을 수납하는 상기 다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인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다른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후드 내측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을 홀딩하는 홀딩 부분; 상기 다른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홀딩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후드의 내부 표면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부; 상기 홀딩 부분이 상기 후드 내측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배열된 슬라이더 -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고, 상기 후드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활주하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다른 커넥터로 하여금 상기 커넥터에 대한 연결 방향으로 상기 후드에 가압력을 가하게 함 -; 및 상기 홀딩 부분을 향하여 상기 후드를 가압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가압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상기 가압 부분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활주하고 상기 다른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하는 상기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에 대항하여 가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상기 후드가 상기 커넥터 내측에 수납되지만 상기 제2 방향으로 활주하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하는 상기 방향으로 상기 다른 커넥터를 이동시키지 않은 경우에 상기 가압 부분은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암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하기 내용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모드(이하 실시예로 지칭됨)의 설명이다. 도 1은 정합 전의 암형 커넥터(1) 및 수형 커넥터(2)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하에서는 단순히 실시예로 지칭됨)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가 조립된 후인 커넥터 조립체(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으로부터 취한 암형 커넥터(1)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암형 커넥터(1)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암형 커넥터(1) 내에 조립되는 슬라이더(5)의 전방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슬라이더(5)의 후방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선 VIII-VIII로부터 취한 정합된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의 단면도이다.
하기 설명에서, 각각의 도면에서 X1 및 X2로 나타낸 방향들은 각각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을 의미한다. 각각의 도면에서 Y1 및 Y2로 나타낸 방향들은 각각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도면에서 Z1 및 Z2로 나타낸 방향들은 각각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을 의미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X-축 방향은 본 발명의 '제1 방향'이고, Y-축 방향은 본 발명의 '제2 방향'이고, Z-축 방향은 본 발명의 '제3 방향'이다. 본 발명은 이들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1)는 하우징(10) 및 레버(3)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 측벽들을 갖고, 수형 커넥터(2)를 수용하기 위해 후방 측 상에 개구를 갖는다. 커버(11)가 와이어 번들(미도시)을 안내하기 위해 하우징(10)의 전방 측에 부착된다.
레버(3)는 하우징(10)이 외부로부터 수직으로 개재되도록 장착된다. 레버(3)는 지지 샤프트 부분(3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범위는 하우징(10)의 상부 및 하부 측벽들을 관통하는 아크 형상의 샤프트 구멍들(12)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도 8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샤프트 구멍들(12)을 통과하는 연장 부분(34)이 레버(3)의 그립(31) 및 지지 샤프트 부분(33)에 연결된 지지 샤프트 부분(32)에 형성된다. 레버(3)의 회전 범위는 샤프트 구멍들(12)의 에지와 접촉하게 되는 연장 부분(34)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2)는 하우징(20), 하우징(20)을 통과하고 종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단자들(22), 및 종방향으로 개방되고 복수의 단자들(22)을 내측에 수납하는 실린더형 후드 부분(21)을 포함한다. 후드 부분(21)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프로파일을 갖고 상측 패널(21a), 하측 패널(21b), 좌측 패널(21c), 및 우측 패널(21d)을 포함한다. 수형 커넥터(2) 내의 각각의 단자(22)는 후방을 향하여 굽혀져 있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갖고, 하단부 상의 기판(미도시)에 연결된다. 컬럼 형상의 결합 부분들(23)이 후드 부분(21)의 상측 및 하측 패널들(21a, 21b)의 외부 표면들 상에 형성되고 수직으로 돌출된다. 결합 부분들(23)은 각이 진 컬럼들이고, 하나 이상의 결합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1)는 후방 측 상의 수형 커넥터(2)에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는 서로 정합되어 커넥터 조립체(100)를 형성한다. 암형 커넥터(1)가 수형 커넥터(2)의 전방 측으로부터 삽입된 후에, 작업자는 레버(3)를 우측으로 (즉, Y1 측으로) 밀어서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를 서로 정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레버(3)는 수형 커넥터(2)가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는 해제 위치(도 1 참조)로부터 수형 커넥터(2)가 정합되어 제거될 수 없는 잠금 위치(도 2 참조)로 회전될 수 있다.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가 서로 정합되는 경우, 암형 커넥터(1) 상의 단자들(미도시)은 수형 커넥터(2) 상의 단자들(22)과 접촉을 이루고,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확립된다.
도 3은 암형 커넥터(1)의 단면도이지만, 홀딩 부분(4) 및 밀봉부(41)가 단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1) 상의 단자들(미도시)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 부분(4)은 암형 커넥터(1) 내측에 부착된다. 홀딩 부분(4)은 각이 진 컬럼 형상을 갖고 종방향으로 (도 3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홀딩 부분(4)은 후방 측에 형성되고 후드 부분(21)을 수용하는 수용 홀딩 부분(4a), 및 홀딩 부분(41) 내의 수형 커넥터(2)(미도시) 상의 단자들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전방 측에 형성된 고정 홀딩 부분(4b)을 갖는다. 수용 홀딩 부분(4a)과 고정 홀딩 부분(4b)은 일체로 형성되고, 링 형상의 밀봉부(41)가 전체 주연부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외주연부 표면의 중심에 형성된다. 밀봉부(41)는 원주 방향으로 홀딩 부분(4) 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마운드(mound)(본 예에서는 2개의 마운드)이고, 이는 후드 부분(21)의 내부 표면에 의해 압축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부(41)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밀봉부(41)는 본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구멍들(미도시)이 홀딩 부분(4)의 후방 표면(도 3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고, 암형 커넥터(1)(미도시)의 단자들이 이들 구멍 내측에 배열된다.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가 서로 연결된 경우, 수형 커넥터(2) 상의 단자들(22)은 홀딩 부분(4)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과하여 암형 커넥터(1)의 단자들과 접촉을 이룬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5A) 및 슬라이더(5B)가 암형 커넥터(1) 내측에 배열된다. 슬라이더(5A)는 하우징(1)의 상부 측벽(도 3의 좌측)에 연결되고, 슬라이더(5B)는 하우징(10)의 하부 측벽(도 3의 우측)에 연결된다. 슬라이더(5A) 및 슬라이더(5B)는 각각 홀딩 부분(4)이 슬라이더들(5)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다른 하나를 향하는 표면(5a)을 갖는다. 가압 부분(51)이 홀딩 부분(4)을 향하여 후드 부분(21)을 밀기 위해 각각의 표면(5a) 상에 제공된다. 수용 공간(S)이 수형 커넥터(2)의 후드 부분(21)(도 1 참조)을 수용하기 위하여 홀딩 부분(4)과 각각의 슬라이더(5) 사이에 제공된다. 작업자가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 수형 커넥터(2)의 후드 부분(21)은 수용 공간(S) 내로 들어가고, 홀딩 부분(4)의 수용 홀딩 부분(4a)은 후드 부분(21) 내측에 수용된다.
도 4 및 도 5는 하우징(10)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들 예에서, 홀딩 부분(4)은 제거되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라이더(5)는 복수의 홈 부분들(52)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 홈 부분들(52)은 횡방향으로 슬라이더들(5)에 나란히 형성된다. 각각의 홈 부분(52)은 슬라이더(5)의 후방 단부에서 연결되고, 전방 단부 근처의 임시 결합 위치(56)만큼 멀리 전방 단부로 연장된다. 이어서, 이들은 전방 및 좌측 단부에서 영구 결합 위치(57)까지 일정 각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홈 부분(52)은 후드 부분(21)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결합 부분(23)(도 1 참조)과 결합한다. 슬라이더들(5)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형 커넥터(2)를 암형 커넥터(1)에 연결하는 방향으로 후드 부분(21)(도 1 참조)을 안내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들(5)은 횡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지지 샤프트 부분(33)을 중심으로 레버(3)를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더들(5)은 레버(3) 내에 형성된 연장 부분(34)(도 1 참조)에 대항하여 밀려서 횡방향으로 활주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레버(3)는 해제 위치에 있고, 슬라이더들(5)은 암형 커넥터(1)의 좌측에 해제 위치에 위치된다. 이때, 각각의 홈 부분(52)의 후방 단부들은 하우징(10)의 후방 단부 표면에 형성된 안내 홈들(13)에 연결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수형 커넥터(2)를 암형 커넥터(1) 내로 삽입하여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를 임시로 결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수형 커넥터(2)의 후드 부분(21)에 형성된 결합 부분들(23)은 하우징(10)의 안내 홈들(13)을 통과하여 슬라이더들(5)의 임시 결합 위치들(56)을 향하여 이동한다. 여기서, 하우징(10)으로부터 내향 돌출된 돌기부인 임시 결합 부분(53)이 각각의 홈 부분(52)의 저부 표면에 형성된다. 수형 커넥터(2) 상의 결합 부분들(23)은 임시 결합 부분들(53)을 포착하고, 수형 커넥터(2)는 임시로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임시 결합 부분들(53)은 작업자가 수형 커넥터(2)를 의도하지 않게 분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레버(3)는 잠금 위치에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슬라이더들(5)은 암형 커넥터(1)의 우측에 잠금 위치에 배열된다. 다시 말하면, 레버(3)가 조작되는 경우, 슬라이더들(5)은 해제 위치와 잠금 위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활주한다. 슬라이더들(5)이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활주하는 경우, 수형 커넥터(2)가 암형 커넥터(1)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후드 부분(21)에 힘이 가해진다. 더 구체적으로, 임시 결합 위치(56) 내로 삽입된 결합 부분들(23)은 임시 결합 위치(56)의 전방에 그리고 그의 좌측에 위치된 영구 결합 위치(57)로 홈 부분들(52)을 따라서 이동한다. 슬라이더들(5)이 후드 부분(21)을 하우징(10)의 전방 측으로 밀었을 때,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는 정합된다.
또한, 레버(3)가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여 편의(bias)되고 슬라이더들(5)이 해제 위치로 활주된 경우,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를 서로 결합해제하는 방향으로 후드 부분(21)에 힘이 인가된다. 더 구체적으로, 영구 결합 위치들(57) 내에 배열된 결합 부분들(23)이 임시 결합 위치들(56)로 후방으로 안내되고, 후드 부분(21)이 하우징(10)의 후방으로 밀리고, 임시 결합 위치에 있는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가 분리되어, 암형 커넥터(1)는 수형 커넥터(2)로부터 결합해제된다.
작업자가 레버(3)를 사용하여 슬라이더들(5)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결합 부분들(23) 및 수형 커넥터(2)는 종방향으로 밀린다. 원리적으로는 레버(3)가 지지 샤프트 부분(33)이 받침점(fulcrum)으로서 역할을 하는 배력기(force multiplier)와 같이 작동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수형 커넥터(2)를 암형 커넥터(1) 내로 직접 삽입하는 데 사용되는 힘보다 더 작은 힘을 사용하여 커넥터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암형 커넥터(1)를 수형 커넥터(2)와 정합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더들(5)이 횡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는 후드(21)가 종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보다 더 멀다. 작업자에 의해 이동된 거리가 후드 부분(21)에 의해 이동된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거리의 차이로 인해 배력기 기능이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슬라이더들(5)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는 상당히 작은 크기의 힘을 가함으로써 커넥터들을 서로 정합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1 구멍(54)이 홈 부분들(52) 중 임의의 홈 부분에 형성되고, 정사각형 돌출 팁을 갖는 버튼 부분(15)이 제1 구멍(54)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후드 부분(21)은 삽입되지 않고, 슬라이더들(5)의 활주 및 레버(3)의 회전은 버튼 부분(15)이 제1 구멍(54)의 에지를 포착할 때 제한된다. 후드 부분(21)이 삽입되고 결합 부분들(23)이 임시 결합 위치들(56)에 배열되는 경우, 버튼 부분(15)은 결합 부분들(23)에 의해 밀려서, 그가 제1 구멍(54)의 에지를 포착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수형 커넥터(2)가 임시 결합 위치로 삽입되는 경우, 슬라이더(5) 및 레버(3)에 대한 제한이 해제된다. 슬라이더들(5)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 버튼 부분(15)은 제1 구멍(54)의 전방에 형성된 제2 구멍(55) 내로 삽입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들(5)에 형성된 가압 부분들(51)은 횡방향으로 슬라이더들(5)의 양 단부들 상에 형성된다. 복수의 가압 부분들(51)은 또한 횡방향으로 슬라이더들(5)에 서로로부터의 미리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가압 부분들(51)의 각각은 종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부분들(51)은 종방향으로 영구 결합 위치(57)와 동일한 위치에 배열된다. 다시 말하면, 가압 부분들(51)은 2개의 영구 결합 위치들(57)을 연결하는 선의 중심에 또는 그 중심 근처에 배열된다. 슬라이더들(5)이 횡방향으로 활주하고 수형 커넥터(2)가 그를 암형 커넥터(1)에 연결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압 부분들(51)은 후드 부분(21)의 외부 표면에 대항하여 가압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압 부분(51)은 후방 측으로부터 전방 측(즉, X1 측) 및 하부 측(즉, Z1 측)을 향하여 일정 각으로 연장된 경사 표면(51a) 및 전방 측으로부터 후방 측(즉, X2 방향으로) 및 하부 측을 향하여 일정 각으로 연장된 경사 표면(51b)을 갖는다. 후드 부분(21)은 외부 표면이 가압 부분들(51)과 접촉을 이루면서 종방향으로 이동하지만, 가압 부분들(51) 내의 경사 표면들은 후드 부분(21)이 종방향으로 이동할 때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켜서, 후드 부분(21)이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거나 또는 후드 부분(21)이 용이하게 분리되게 한다. 특히, 경사 표면(51a)은 상측 및 하측 패널들(21a, 21b)에 형성된 전방 에지들(21e, 21f)이 가압 부분들(51)을 넘어갈 때 저항을 감소시킨다.
각각의 가압 부분(51)은 또한 일정 각으로 좌측으로부터 우측(즉, Y1 측) 및 하부 측을 향하여 연장된 경사 표면(51c), 및 일정 각으로 우측으로부터 좌측(즉, Y2 측) 및 하부 측을 향하여 연장된 경사 표면(51d)을 갖는다. 가압 부분들(51)이 이러한 경사 표면들을 갖기 때문에, 슬라이더들(5)이 횡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압 부분들(51)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 부분(59)이 슬라이더(5)의 후방 표면(5b)에 형성된다. 암형 커넥터(1)에 부착된 레버(3)는 후드 부분(21)으로부터 슬라이더(5)를 향하는 방향(즉, 수직 방향; 도 1 및 도 8 참조)으로의 연장 부분(34)을 갖고, 슬라이더(5) 내의 리세스 부분(59)은 연장 부분(34)의 선행 단부와 결합한다. 레버(3)가 회전되는 경우, 리세스 부분(59)의 에지는 연장 부분(34)에 의해 밀려서 슬라이더(5)는 횡방향으로 활주한다.
도 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가 연결된 경우, 암형 커넥터(1)의 단자들(미도시)을 홀딩하는 홀딩 부분(4)의 수용 홀딩 부분(4a)은 후드 부분(21) 내측에 수용된다. 또한,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가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밀봉부(41)는 홀딩 부분(4)의 외부 표면과 후드 부분(21)의 내부 표면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부(41)는 홀딩 부분(4)과 후드 부분(21)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고,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는 방수가 된다.
홀딩 부분(4)이 이러한 방식으로 후드 부분(21) 내측에 배열되면, 슬라이더들(5)은 후드 부분(21)의 외부 표면 상에 배열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가압 부분들(51)이 슬라이더들(5) 내에 형성되어 홀딩 부분(4)을 향하여 후드 부분(21)을 가압한다. 홀딩 부분(4)이 후드 부분(21) 내측에 배열되는 경우, 가압 부분들(51)은 밀봉부(41)가 배열되는 위치보다 후드 부분(21)의 개방 선행 단부에 (즉, 밀봉부(41)의 전방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열된다.
가압 부분들(51)이 이러한 위치에 배열되고 수형 커넥터(2)의 결합 부분들(23)이 임시 결합 위치들(56)에 있는 경우, 후드 부분(21)은 가압 부분들(51)에 도달하지 않고 가압 부분들(51)은 후드 부분(21)에 대항하여 가압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가 임시 결합 상태로 연결되거나 또는 임시 결합 상태로부터 연결해제되는 경우에, 매우 작은 저항을 겪는다.
이후에, 슬라이더들(5)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후드 부분(21)은 정합 위치로 이동되고, 후드 부분(21)의 전방 에지들(21e, 21f)은 가압 부분들(51)을 넘어간다. 가압 부분들(51)이 경사 표면들(51a)을 갖기 때문에, 전방 에지들(21e, 21f)은 가압 부분들(51)을 용이하게 넘어간다.
후드 부분(21)의 내부 표면이 밀봉부(41)와 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후드 부분(21)에 힘이 가해져서 그가 외향으로 팽창하게 한다. 여기서, 후드 부분(21)의 일시적인 외향 팽창은 밀봉부(41)와의 밀접한 접촉을 감소시키고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의 방수 성능이 감소된다. 그러나, 가압 부분들(51)은 암형 커넥터(1) 상에 위치된 슬라이더들(5)에 형성된다. 가압 부분들(51)이 후드 부분(21)을 외향으로 미는 경우, 후드 부분(21)의 팽창은 억제되고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의 방수 성능은 유지된다.
슬라이더(5)에 형성된 리세스 부분(59)은 레버(3)의 지지 컬럼 부분(32)에 형성된 연장 부분(34)과 결합한다.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2)가 연결된 경우, 후드 부분(21)으로부터 가압 부분들(51)을 통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더(5)에 힘이 가해진다. 여기서, 레버(3)에 형성된 연장 부분(34)의 선행 단부에 형성된 단부 표면(34a)은 후드 부분(21)으로부터 슬라이더(5)로 연장되는 수직 방향(도 8에서는 횡방향)으로 슬라이더(5)에 형성된 리세스 부분(59)의 저부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는 슬라이더(5)가 후드 부분(21)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고 암형 커넥터(1) 자체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슬라이더들(5)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이들은 상이한 슬라이더들(예를 들어, 종방향으로의 상이한 높이를 갖는 슬라이더들, 가압 부분들(51)이 상이한 위치들에 있는 슬라이더들, 또는 가압 부분들(51)이 소정 위치들에 없는 슬라이더들)로 교체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더들(5)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슬라이더들(5) 자체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작업자가 암형 커넥터(1)를 수형 커넥터(2)와 정합시키는 경우, 밀봉부(41)와 가압 부분들(51)은 후드 부분(21)과 접촉을 이루어, 마찰 저항을 야기한다. 그러나, 레버(3) 및 슬라이더들(5)이 그들의 구조로 인한 배력 효과(force multiplying effect)를 갖기 때문에, 작업자는 암형 커넥터(1)를 수형 커넥터(2)와 상당히 용이하게 정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많은 상이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들(5) 상에 형성된 가압 부분들(51)은 슬라이더들(5)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그러나, 가압 부분들(51)은 다양한 위치에서 슬라이더들(5)의 수직 방향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수형 커넥터(2)가 암형 커넥터(1)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후드 부분(21)을 안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조는 슬라이더들(5)에 형성된 홈 부분들(52)로 구성된다. 그러나, 홈들은 후드 부분(2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돌출부들이 슬라이더들(5)에 형성되어 후드 부분(21)의 홈들과 결합한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암형 커넥터(1) 상의 레버(3)는 슬라이더들(5)을 횡방향으로 활주시킨다. 그러나, 암형 커넥터(1)는 레버(3)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슬라이더들(5)은 후드 부분(21)이 하우징(10)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횡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후드 부분(21)과 슬라이더들(5)의 이동 거리의 차이가 슬라이더들(5)에게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배력 효과를 부여하기 때문에, 커넥터들은 레버(3)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작업자에 의해 매우 작은 힘으로 정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가압 부분들(51)은 4개의 경사 표면들을 갖는다. 그러나, 돌출 부분들은 슬라이더들(5)의 활주 마찰을 감소시키고 후드 부분(21)의 전방 에지들(21e, 21f)이 돌출 부분들을 넘어갈 수 있게 하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부분들(51)은 낮은 돔 형상의 돌출부들일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의 개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예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사항들을 유지하면서 변형예들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고, 이러한 변형예들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다. 도면 내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폭, 두께, 및 형상은 개략적인 예시이고 본 발명의 해석을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10)

  1. 제1 방향으로 개방된 실린더형 후드를 갖고 내측에 복수의 단자들을 수납하는 다른 커넥터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다른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후드 내측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을 홀딩하는 홀딩 부분;
    상기 다른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홀딩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후드의 내부 표면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부;
    상기 홀딩 부분이 상기 후드 내측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배열된 2개의 슬라이더; 및
    상기 홀딩 부분을 향하여 상기 후드를 가압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상기 2개의 슬라이더의 표면들에 형성된 가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고, 상기 후드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활주하는 상기 2개의 슬라이더가 상기 다른 커넥터로 하여금 상기 커넥터에 대한 연결 방향으로 상기 후드에 가압력을 가하게 하고,
    상기 가압 부분은 상기 2개의 슬라이더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활주하고 상기 다른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하는 상기 연결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로부터의 미리결정된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가압 부분으로서 역할을 하는 복수의 가압 부분들을 갖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 상에 구비된 결합 부분과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홀딩 부분을 상기 후드 내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홈들을 갖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분은 상기 밀봉부가 배열되는 위치보다 상기 후드 내로 개방되는 선행 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열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분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각인 제3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 표면을 갖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분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각인 제3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 표면을 갖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슬라이더의 표면들은 상기 홀딩 부분을 개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각인 제3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커넥터.
  8. 다른 커넥터에 제1 방향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다른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개방된 실린더형 후드를 갖고 내측에 복수의 단자들을 수납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다른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후드 내측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을 홀딩하는 홀딩 부분;
    상기 다른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홀딩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후드의 내부 표면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부;
    상기 홀딩 부분이 상기 후드 내측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배열되는 2개의 슬라이더; 및
    상기 홀딩 부분을 향하여 상기 후드를 가압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상기 2개의 슬라이더의 표면들에 형성된 가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고, 상기 후드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활주하는 상기 2개의 슬라이더가 상기 다른 커넥터로 하여금 상기 커넥터에 대한 연결 방향으로 상기 후드에 가압력을 가하게 하고,
    상기 가압 부분은 상기 2개의 슬라이더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활주하고 상기 다른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하는 상기 연결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가 상기 커넥터 내측에 수납되지만 상기 제2 방향으로 활주하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하는 상기 방향으로 상기 다른 커넥터를 이동시키지 않은 경우에 상기 가압 부분은 상기 후드의 외부 표면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87003987A 2015-07-10 2016-07-07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1988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9053A JP6438360B2 (ja) 2015-07-10 2015-07-10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5-139053 2015-07-10
PCT/US2016/041235 WO2017011254A1 (en) 2015-07-10 2016-07-07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246A KR20180019246A (ko) 2018-02-23
KR101988187B1 true KR101988187B1 (ko) 2019-06-11

Family

ID=5775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987A KR101988187B1 (ko) 2015-07-10 2016-07-07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73156B2 (ko)
JP (1) JP6438360B2 (ko)
KR (1) KR101988187B1 (ko)
CN (1) CN107850741B (ko)
WO (1) WO2017011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8360B2 (ja) 2015-07-10 2018-12-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7134700B2 (ja) * 2018-05-14 2022-09-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防水コネクタ
GB2579658A (en) * 2018-12-11 2020-07-01 Secr Defence Fibre optic connector
KR20200002681U (ko) * 2019-05-31 2020-12-0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쑤저우) 리미티드 커넥터 하우징,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
JP7249506B2 (ja) * 2019-10-18 2023-03-3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020001995A1 (de) 2020-03-27 2021-09-30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Steckverbinderbaugruppe, Stecksystem und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5827A (ja) * 1993-01-18 1994-08-05 Amp Japan Ltd カム部材付きコネクタ
JP2004311190A (ja) 2003-04-07 2004-11-04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7070438B2 (en) * 2004-03-31 2006-07-04 Jst Corporation Connector lever lock
US20060040535A1 (en) * 2004-08-20 2006-02-23 Vijy Koshy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with slide members
JP4234179B2 (ja) * 2007-03-23 2009-03-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494443B2 (ja) * 2007-08-10 2010-06-3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059510A (ja) * 2007-08-30 2009-03-19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4523987B1 (ja) * 2009-02-27 2010-08-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スライドカム付きコネクタ
JP5500680B2 (ja) * 2010-03-26 2014-05-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電気コネクタ
JP5945964B2 (ja) * 2013-02-26 2016-07-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38360B2 (ja) 2015-07-10 2018-12-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44389A1 (en) 2020-02-06
CN107850741A (zh) 2018-03-27
KR20180019246A (ko) 2018-02-23
WO2017011254A1 (en) 2017-01-19
CN107850741B (zh) 2019-10-18
US10873156B2 (en) 2020-12-22
JP2017022000A (ja) 2017-01-26
JP6438360B2 (ja)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187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892635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8920187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84188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releasable locking means
JP5428730B2 (ja) 防水コネクタ
US2013023708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281933B1 (en) Lever fitting type connector
US20150349470A1 (en) Connector
JP6105263B2 (ja) コネクタ
KR101909830B1 (ko)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
JP4962787B2 (ja) コネクタ
CN108110496B (zh) 连接器
JP6287988B2 (ja) コネクタ
US9083116B2 (en) Connector
JP6839292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6036663B2 (ja) 防水コネクタ
JP2005190808A (ja) コネクタ
CN110299641B (zh) 杆式连接器
JP2021005517A (ja) コネクタ
JP6094897B2 (ja) コネクタ
JP5471819B2 (ja) コネクタ
JP5494222B2 (ja) コネクタ
JP5376031B2 (ja) コネクタ
JP5217874B2 (ja) コネクタ
JP2008108711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