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117B1 -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117B1
KR101988117B1 KR1020170098678A KR20170098678A KR101988117B1 KR 101988117 B1 KR101988117 B1 KR 101988117B1 KR 1020170098678 A KR1020170098678 A KR 1020170098678A KR 20170098678 A KR20170098678 A KR 20170098678A KR 101988117 B1 KR101988117 B1 KR 10198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eating
housing
heating coi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778A (ko
Inventor
민후 오
윤대관
Original Assignee
민후 오
윤대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후 오, 윤대관 filed Critical 민후 오
Priority to KR102017009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1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10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plates
    • F24H3/1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plat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열코일이 내장된 코일 하우징; 상기 코일 하우징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가열코일에서 제공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 상기 코일 하우징의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코일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고정 플랜지가 형성된 하우징 고정부; 상기 코일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결합되며, 저온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가열코일을 냉각시키는 중앙 흡입팬; 상기 고정 플랜지와 결합되는 지지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코일측으로 전원의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기판부재와, 상기 기판부재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패널과, 상기 기판부재와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 구성되며, 저온의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공급팬이 장착되는 제어 하우징; 상기 제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커버; 상기 제어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코일 하우징이 수용되며, 일면에 상기 기판부재와 접속되는 배터리가 구성된 케이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Non-inverter type portable cooking and heating}
본 발명은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구성된 코일에 직접 전원을 인가하여 열원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인버터를 구성하지 않아도 야외에서 각종 조리가 가능함은 물론, 겨울에는 난로로 사용할 수도 있는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상업용 전기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코펠이나 가스버너 등 별도의 휴대용 취사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하지만, 산불예방 및 산림자원 보존 등을 이유로 등산시 발화성 물질을 휴대하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산이 아닌 일반 지역에서도 직접 불을 이용한 취사를 금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야외 레저활동을 하는 경우 불을 피워 취사를 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거나 특별히 정해진 지역 내에서 취사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음식물을 조리하는 라디안트 히팅 모듈(radiant heating module)이 설치되거나, 또는 자기 코일에 전류를 보내 와류전류를 발생시켜 조리용기 자체를 발열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인덕션 히팅 모듈(induction heating module)이 설치된 조리 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인덕션 히팅 모듈은 크게 조립판과, 상기 조립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인덕션 히터와, 상기 조립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덕션 히터를 작동시키는 인버터로 이루어지며, 주로 상기 조립판이 설치됨에 따라 전기레인지의 본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인버터는 각종 전자부품이 장착된 회로기판이기 때문에, 상기 인덕션 히팅 모듈을 전기레인지의 본체 내부에 설치할 경우에 상기 본체의 하부판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인버터의 부피 및 무게로 인하여 휴대가 용이하지 못함에 따라 사용용도가 실내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야외에서는 사용하기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36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2869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AC 및 DC 전원 모두를 통해 내부에 구성된 코일에 직접 전원을 인가하여 열원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인버터를 구성하지 않아도 야외에서 각종 조리가 가능함은 물론, 겨울에는 난로로 사용할 수도 있는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팬들을 구성하여 열원의 순환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코일 및 복수의 팬으로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내장시킴에 따라 조리 및 난방장치의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코일이 내장된 코일 하우징; 상기 코일 하우징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가열코일에서 제공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 상기 코일 하우징의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코일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고정 플랜지가 형성된 하우징 고정부; 상기 코일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결합되며, 저온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가열코일을 냉각시키는 중앙 흡입팬; 상기 고정 플랜지와 결합되는 지지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코일측으로 AC 및 DC 전원 중 어느 하나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기판부재와, 상기 기판부재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패널과, 상기 기판부재와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 구성되며, 저온의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공급팬이 장착되는 제어 하우징; 상기 제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커버; 상기 제어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코일 하우징이 수용되며, 일면에 상기 기판부재와 접속되는 배터리가 구성된 케이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 하우징은, 상기 가열코일이 장착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되, 90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코일 장착부와, 상기 중앙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는 저온의 외부공기가 상향 이동되도록 하는 코일 냉각홀과, 상기 가열코일과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홀과, 상부에 상기 가열판이 장착되며, 내부 중앙으로 상기 중앙 흡입팬이 결합되는 고정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부재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배터리 커넥터와, 상기 배터리에 충진된 전원을 상기 가열코일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 소자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부재는 상기 배터리 커넥터가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가열코일을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보조 배터리와 연결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외부 일면에 충전 커넥터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에는, 상기 중앙 흡입팬 및 복수의 공급팬을 각각 상기 코일 하우징과 제어 하우징에 고정 결합하며,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부재가 구성된 복수의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부재는 상기 가열코일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전원을 중앙 흡입팬 및 복수의 공급팬으로 공급하여 자동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구성된 AC 및 DC 전원 모두를 통해 코일에 직접 전원을 인가하여 열원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인버터를 구성하지 않아도 야외에서 각종 조리가 가능함은 물론, 겨울에는 난로로 사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팬들을 구성하여 열원의 순환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코일 및 복수의 팬으로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내장시킴에 따라 조리 및 난방장치의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의 가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저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의 가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가열장치의 저면부 및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는, 코일에 직접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야외에서 조리용 장치, 또는 난방용 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장치(200)와, 이 가열장치(200)가 내장되게 구성되는 케이싱 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열장치(200)는 내부에 가열코일(220)이 내장되는 코일 하우징(210)과, 코일 하우징(210)의 하부에 구성되며, 가열코일(220)의 발열 및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AC 및 DC 전원 중 공급이 이루어지는 전원에 대한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기판부재(280)가 장착된 제어 하우징(240)과, 제어 하우징(240)의 내부 일면에 장착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팬(270)과, 코일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코일(220)을 냉각시키는 중앙 흡입팬(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일 하우징(210)은, 상부에 가열코일(22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202)이 구성된다.
이때, 가열판(202)은 야외에서도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인덕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열판(202)의 내부에도 별도의 코일이 구성되어 있어서 가열코일(220)로부터 제공되는 열원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열코일(220)의 상부가 가열판(202)의 내부에 직접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가열코일(220)의 발열에 의해 생성되는 열원이 직접 가열판(202)을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코일 하우징(210)은 상단부에 가열판(202)이 고정되는 고정패널(212)이 구성되며, 내부에는 가열코일(220)이 장착되는 코일 장착부(214)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패널(212)은 가열코일(220)의 상부가 관통하면서 가열판(202)과 직접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스크류 등을 통해 가열판(202)이 고정될 수 있도록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홀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패널(212)은 중앙부에 가열코일(220)을 냉각하는 중앙 흡입팬(260)이 장착되어 공급팬(27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중앙 흡입팬(260)의 구동 여부에 따라 가열코일(220)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정패널(212)은 가열코일(220)이 가열판(202)의 내부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경우, 코일 하우징(210)과의 접촉면과 중앙 흡입팬(260)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소정의 공간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코일 하우징(2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코일 장착부(214)는 가열코일(220)이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되, 90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대략적인 단면의 형상이 계단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코일 하우징(210)은 내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공급팬(27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중앙 흡입팬(260)에 의해 상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가열코일(220)과 접하도록 하여 가열된 상태의 가열코일(220)과 공기 간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일 냉각홀(216)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 하우징(210)에는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가열코일(220)의 냉각시 코일 냉각홀(216)로 저온의 공기가 계속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 배출홀(218)이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가열코일(220)의 냉각시 중앙 흡입팬(260)이 공급팬(270)에 의해 공급된 저온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향 이동시키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가 공기 배출홀(218)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열코일(220)은 항상 저온의 공기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가열코일(22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 하우징(210)의 하부에는 제어 하우징(240)의 상부에 연결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우징 고정부(230)가 일체로 구성된다.
하우징 고정부(230)는 내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그 상부가 코일 냉각홀(216)과 연통되게 구성되고, 하부가 제어 하우징(240)의 에어 공급홀(246)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 고정부(230)는 에어 공급홀(246)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의 상향 이동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내면의 형상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 고정부(230)의 하측 선단부에는 제어 하우징(240)과의 보다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중에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플랜지(232)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 플랜지(232)는 제어 하우징(240)의 지지 플랜지(24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의 끼움 결합 방식, 또는 스크류 체결 방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 플랜지(232)와 지지 플랜지(242)가 서로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하우징 고정부(230)와 제어 하우징(240)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 하우징(240)은 내부에 가열코일(220)측으로 전원의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기판부재(280)가 장착되고, 이 기판부재(280)와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 구성되며, 저온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급팬(270)이 장착된다.
또한, 제어 하우징(240)에는 상부 중앙으로 복수의 공급팬(270)에 의해 흡입된 저온의 외부공기가 중앙 흡입팬(260)의 구동에 따라 상향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코일 하우징(2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홀(246)이 형성된다.
또한, 제어 하우징(240)에는 그 하부에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밀폐커버(25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밀폐커버(250)에는 공급팬(270)의 구동시 저온의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어 하우징(240)에 고정 결합되는 기판부재(280) 및 복수의 공급팬(270)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기판부재(280)는 제어 하우징(240)의 일측부에 결합되되 축 중심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에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복수의 공급팬(270)은 제어 하우징(240)의 타측부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된다.
즉, 상기 복수의 공급팬(270)은 제어 하우징(240)의 축 중심으로부터 타측부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판부재(280)는 가열코일(220)측으로 소정의 전원의 인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배터리(110)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배터리 커넥터가 구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110)에 충진된 전원을 가열코일(220)측으로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기판부재(280)는 배터리(110)가 방전되어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통상의 보조 배터리와 연결되어 이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가열코일(220)의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배터리 커넥터가 보조 배터리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5핀 구조, USB 커넥터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부재(280)는 가열코일(220)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전원을 중앙 흡입팬(260) 및 복수의 공급팬(270)으로 공급하여 자동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팬 구동 스위칭 소자를 구성하여 가열코일(220)의 전원 인가와 무관하게 중앙 흡입팬(260) 및 복수의 공급팬(27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 하우징(240)에는 기판부재(280)를 제어 하우징(240)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기판부재(280)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패널(244)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열패널(244)은 기판부재(280)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방출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열핀이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중앙 흡입팬(260) 및 복수의 공급팬(270)에는 각각 코일 하우징(210)과 제어 하우징(24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팬들(260, 27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 브라켓(29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브라켓(290)에는 각각의 팬들(260, 270)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부재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진동 저감부재는 복수의 고정 브라켓(290) 사이에 구성되는 통상의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케이싱 부재(100)는 하단이 제어 하우징(24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코일 하우징(210)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케이싱 부재(100)의 내부에는 코일 하우징(210)이 가열코일(220)의 가열 작동, 또는 각각의 팬들(260,270)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지지패널(310)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지지패널(310)은 통상의 리브와 같은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케이싱 부재(100)에는 가열코일(220)의 가열시 가온된 공기가 공기 배출홀(218)을 통해 배출되면서 가열코일(220)의 가열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공간의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가열코일(220)의 가열시에는 케이싱 부재(100)와 가열장치(200)를 결합한 상태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열코일(220)의 냉각시에는 케이싱 부재(100)를 가열장치(2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케이싱 부재(100)의 내부 일면에는 기판부재(280)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배터리(110)가 내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10)는 케이싱 부재(100)에 내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어 하우징(240)의 내부에 내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110)는 충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배터리와 연결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외부 일면에 충전 커넥터(112)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케이싱 부재(100)의 그 상부면에 가열판(202)으로부터 발산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온의 열을 상측으로 반사시키는 열반사 패널(미도시)이 탈착 가능하게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싱 부재 110: 배터리
200: 가열장치 210: 코일 하우징
220: 가열코일 230: 하우징 고정부
240: 제어 하우징 250: 밀폐커버
260: 중앙 흡입팬 270: 공급팬
280: 기판부재 290: 고정 브라켓

Claims (6)

  1. 가열코일이 내장된 코일 하우징;
    상기 코일 하우징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가열코일에서 제공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
    상기 코일 하우징의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코일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고정 플랜지가 형성되고, 공기의 상향 이동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내면의 형상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하우징 고정부;
    상기 코일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결합되며, 저온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가열코일을 냉각시키는 중앙 흡입팬;
    상기 고정 플랜지와 결합되는 지지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코일측으로 AC 및 DC 전원 중 어느 하나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며, 축 중심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기판부재와, 상기 기판부재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패널과, 상기 기판부재와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 구성되며, 저온의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공급팬이 장착되는 제어 하우징;
    상기 제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커버;
    상기 제어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코일 하우징이 수용되며, 일면에 상기 기판부재와 접속되는 배터리가 구성되고, 상기 코일하우징의 외주면에 밀착 구성되어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패널이 구성되며, 상기 가열코일의 가열시 가열장치를 결합한 상태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가열코일의 냉각시에는 가열장치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 부재; 및
    상기 중앙 흡입팬 및 복수의 공급팬을 각각 상기 코일 하우징과 제어 하우징에 고정 결합하며,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부재가 구성된 복수의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하우징은,
    상기 가열코일이 장착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되, 90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코일 장착부와, 상기 중앙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는 저온의 외부공기가 상향 이동되도록 하는 코일 냉각홀과, 상기 가열코일과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가열코일이 지속적으로 저온의 공기와 접촉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배출홀과, 상부에 상기 가열판이 장착되며, 내부 중앙으로 상기 중앙 흡입팬이 결합되는 고정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재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배터리 커넥터와, 상기 배터리에 충진된 전원을 상기 가열코일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 소자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재는 상기 배터리 커넥터가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가열코일을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보조 배터리와 연결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외부 일면에 충전 커넥터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재는 상기 가열코일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전원을 중앙 흡입팬 및 복수의 공급팬으로 공급하여 자동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KR1020170098678A 2017-08-03 2017-08-03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KR10198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78A KR101988117B1 (ko) 2017-08-03 2017-08-03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78A KR101988117B1 (ko) 2017-08-03 2017-08-03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78A KR20190014778A (ko) 2019-02-13
KR101988117B1 true KR101988117B1 (ko) 2019-06-11

Family

ID=6536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678A KR101988117B1 (ko) 2017-08-03 2017-08-03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993B1 (ko) * 2020-04-02 2021-09-07 누구나(주)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2911B1 (ja) 2022-09-09 2023-01-26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JP7178034B1 (ja) 2022-09-09 2022-11-25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381Y1 (ko) * 2004-06-24 2004-09-13 유길상 인덕션 낮은 렌지
JP2005332596A (ja) * 2004-05-18 2005-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KR200480946Y1 (ko) * 2016-05-24 2016-07-27 김화기 휴대용 인덕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617B1 (ko) 2015-04-16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712869B1 (ko) 2016-03-17 2017-03-31 (주)진성하이테크 휴대용 인덕션 렌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2596A (ja) * 2004-05-18 2005-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KR200361381Y1 (ko) * 2004-06-24 2004-09-13 유길상 인덕션 낮은 렌지
KR200480946Y1 (ko) * 2016-05-24 2016-07-27 김화기 휴대용 인덕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993B1 (ko) * 2020-04-02 2021-09-07 누구나(주)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78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117B1 (ko)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CN108266764B (zh) 加热烹调器
KR20200053119A (ko) 냉각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080078760A (ko) 유도 가열기
KR101772189B1 (ko) 전자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냉각장치
JP6333040B2 (ja) 加熱調理器
JP2017188475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50137755A (ko) 조리기기
JP2015210901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361381Y1 (ko) 인덕션 낮은 렌지
JP6893196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8361765B (zh) 加热烹调器
CN220553841U (zh) 一种无线充电宝
US20210285656A1 (en) Electric range and air guide for electric range
US11946647B2 (en) Electric range
JP6840109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213030518U (zh) 一种烹饪设备
JP2015138631A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10289660A1 (en) Electric range and air guide for electric range
US20210289591A1 (en) Electric range
JP6887395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90012385A (ko)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CN220892357U (zh) 一种电暖器
CN208551225U (zh) 电路板组件及烹饪器具
CN217928902U (zh) 一种嵌入式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