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385A -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385A
KR20190012385A KR1020170095249A KR20170095249A KR20190012385A KR 20190012385 A KR20190012385 A KR 20190012385A KR 1020170095249 A KR1020170095249 A KR 1020170095249A KR 20170095249 A KR20170095249 A KR 20170095249A KR 20190012385 A KR20190012385 A KR 20190012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ower generation
generation module
cooking
therm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현테크
Priority to KR102017009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2385A/ko
Publication of KR2019001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01L35/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휴에너지의 재활용을 위한 가열조리기용 용기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조리과정에서 발생한 폐열(廢熱, waste heat)을 회수 전기에너지로 전환생산(convertible production)하여 각종 전자장치의 동력원(動力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조리를 위한 식재료 또는 식품이 담긴 조리용기를 떠받치도록 상기 가열조리기의 연소부에 더 구비되는 용기받침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용기받침으로부터의 열전도에 반응하여 폐열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생산하게 된 발전모듈; 일단이 상기 용기받침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발전모듈에 연결된 상태로, 조리과정중 과열된 상기 용기받침으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발전모듈로 전달하게 된 전도부재; 및, 상기 발전모듈로부터 전환생산된 전력이 저장되는 충전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ELECTRIC POWER GENERATION TYPE COOKING VESSEL STAND FOR HEATING COOKER}
본 발명은 유휴에너지의 재활용을 위한 가열조리기용 용기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조리과정에서 발생한 폐열(廢熱, waste heat)을 회수 전기에너지로 전환생산(convertible production)하여 각종 전기장치의 동력원(動力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처음으로 불(火, fire)에 대해 인식하고 그것을 인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내면서 불은 인간에게 반드시 필요한 존재로 그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나무를 이용한 불의 사용으로부터 다양한 화기(火器 / 화력발생장치)가 개발된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발전은 계속되었는바, 특히 조리용 화기인 레인지(range)라는 것은 버너(burner)와 그릴(grill) 등을 사용하기 쉽게 배열하여 만든 가열조리기의 일종으로써, 열원(熱源, heat source)의 발생패턴에 따라 가스레인지와 전자레인지(또는 "전기레인지"라고도 함)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microwave range)레인지는, 마이크로파(microwave)의 전력에 의한 유전가열(誘電加熱)을 이용하는데,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전기장 속에 식품(유기체)을 넣으면 그 식품 중의 분극(分極)한 분자가 급격한 회전운동을 일으킨다. 이 회전운동의 에너지는 분자의 열운동에너지로 전화(轉化)하기 때문에 식품이 발열하고 이 과정에서 식품의 표면과 내부가 균일하게 가열되는바, 조리에 필요한 시간도 짧고 연기나 열기 등에 의한 환경악화가 없으며 위생적인 가열조리기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레인지(gas range)는, 가스연소로 발생한 열원으로 식품을 조리(굽거나 익힘)하는 가열조리기로써, 주방문화(및 기술)의 발전으로 인덕션(induction) 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전열기(電熱器, electric heating instrument)가 등장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우리네 주방에서는 가장 보편화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대부분의 가열조리기들은, 식품가열을 위한다는 공통된 목적을 나타내는바, 이때 사용되는 화기는 단순히 식품조리의 열원으로만 활용할 뿐 그대로 소멸된다.
이에, 조리용기의 거치목적으로 가열조리기에 함께 구비되되, 가열조리의 특성상 조리과정에서 더불어 과열되는 용기받침(대)으로부터 폐열을 회수 전기에너지로 재활용한다면 지구 에너지원 고갈의 차원에서 인류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1650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8189호 등을 통해, 가스레인지의 폐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그렇게 가열된 온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종래 기술이 다수 개시되어 있으나, 폐열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어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고, 또한 물공급 파이프라인과 온수저장을 위한 물탱크 등을 구비하여야만 하는 등 해당 기술구현을 위한 장치(시스템)구조가 복잡하며 충분한 설비(설치)공간이 마련되어야만 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대형음식점 등을 제외한 일반 세대가정 내에 설치사용이 사실상 불가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1650호(공개일자 : 2011. 10. 1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8189호(등록일자 : 2014. 01. 27.)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조리 도중 과열되는 용기받침으로부터 폐열(열원)을 확보 그렇게 확보된 열전도에 반응하는 열전소자로부터 전환생산된 전력(電力, ectric power)을 다른 전기장치의 동력원(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화가 달성된 소형모듈 형태로 전기발전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 용기받침에도 적용사용이 용이한 한편 소형크기임에 따라 활용성과 편의성이 동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열조리를 위한 식재료 또는 식품이 담긴 조리용기를 떠받치도록 상기 가열조리기의 연소부에 더 구비되는 용기받침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용기받침으로부터의 열전도에 반응하여 폐열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생산하게 된 발전모듈; 일단이 상기 용기받침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발전모듈에 연결된 상태로, 조리과정중 과열된 상기 용기받침으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발전모듈로 전달하게 된 전도부재; 및, 상기 발전모듈로부터 전환생산된 전력이 저장되는 충전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전모듈은, 장치구성의 단일화를 위한 박스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태로, 열전도에 반응하여 전력를 전환생산케 된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에 밀착구비된 상태로,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끌어내서 방산시키는 방랭판과,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에 밀착구비된 상태로,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끌어내서 방산시키는 방열판과, 상기 방랭판의 외측에 근접배치된 상태로, 방산 냉기를 외부배출시켜 장치과랭이 억제되도록 한 제1송풍팬과, 상기 방열판의 외측에 근접배치된 상태로, 방산 열기를 외부배출시켜 장치과열이 억제되도록 하는 제2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전도부재는, 열의 양도체인 구리를 소재로 한 구리판으로써, 상기 용기받침에 일측 선단부가 접합되고, 길게 연장된 타측 선단부가 상기 열전소자 일측에 접합됨에 따라, 과열된 상기 용기받침으로부터 폐열을 회수 상기 열전소자로의 열전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충전배터리는, 상기 발전모듈에서 전환생산된 전력을 일정용량 저장이 가능하고, 다른 전기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연장케이블을 포함하되, 어느 하나의 연장케이블 선단부에는 상기 다른 전기장치의 연결포트에 대응접속 가능한 커넥터가 더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하우징은, 다수 구성요소의 동시수용을 위한 내부공간을 갖되,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열전소자의 중앙부 수직배치에 따라, 상기 방랭판과 상기 제1송풍팬의 배치구성 및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산된 냉기의 방산 흐름이 형성되는 제1챔버와, 상기 방열판과 상기 제2송풍팬의 배치구성 및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산된 열기의 방산 흐름이 형성되는 제2챔버로 분할되고, 상기 제1챔버에서 형성되는 냉기의 외부배출을 위한 제1배출구가 일측 단부에 관통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2챔버에서 형성되는 열기의 외부배출을 위하는 제2배출구가 가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는, 과열된 상기 용기받침으로부터 열전도되는 폐열에 반응하여 일측으로부터는 냉기를 발산하고 타측으로부터는 열기를 발산하는 펠티어효과를 나타냄에 더해, 열원을 전기로 전환생산하는 발전이 가능하고,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충전배터리에 연결됨으로써, 전환생산 전력이 상기 충전배터리로 충전되도록 하는 연장배선을 포함한다.
더하여, 상기 방랭판 및 상기 방열판은, 열의 양도체인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고, 냉기의 방산효율을 극대화하는 다수의 날개가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세로로 배열되고 외측방으로 각각 수평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제1송풍팬 및 상기 제2송풍팬은,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날개차, 상기 날개차로 들어가고 나오는 공기 유동의 안내와 아울러 상기 방랭판 일측 단부에 밀착조립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은, 가열조리의 진행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과열되는 용기받침으로부터 폐열(열원)을 회수 각종 전기장치의 동력원으로 재활용 가능함으로 인한 에너지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고 설비(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던 기존 폐열 재활용시스템(보일러 시스템, 온수가열장치 등)과는 달리, 소형모듈 형태로의 전기발전기 구조개선으로,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최소한의 공간만 마련되더라도 장치가 충분히 가능케 되는 등 사용편의성과 공간활용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조리과정의 종료 이후 그대로 소멸되기 마련인 폐열을 대체에너지로 재활용함에 의한 유휴에너지의 확보 및 활용의 효과와 더불어, 이를 통해 인류의 존속 및 자연의 이용에 따른 자원고갈을 억제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효과 달성으로 인한 제품경쟁력 확보는 물론 소비자 만족도 충족을 통한 관련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장치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에 있어서, 열전소자 및 방랭판과 방열판 그리고 제1,2송풍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장치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에 있어서 열전소자 및 방랭판과 방열판 그리고 제1,2송풍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는, 가열조리를 위한 식재료 또는 식품이 담긴 조리용기를 떠받칠 수 있게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가열조리기의 연소부에 더 구비되는 용기받침(1)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1)에 연결된 상태로 그 용기받침(1)으로부터의 열전도에 반응하여 폐열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생산하게 된 발전모듈(2)과, 일단이 상기 용기받침(1)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발전모듈(2)에 연결된 상태로 조리과정중 과열된 용기받침(1)으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발전모듈(2)로 전달하게 된 전도부재(3)와, 상기 발전모듈(2)로부터 생산된 전력이 저장되는 충전배터리(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받침(vessel stand, 1)은, 가스레인지와 같은 각종 가열조리기의 연소부에 더 구비된 상태로 조리용기를 떠받치기 위한 것으로, 연소부로부터 피어오르는 화염에 간섭되지 않게 링(ring) 형태를 이루는 안착림(11)과, 상기 안착림(11)의 상단에 상호 균등간격을 두고 수직한 상태를 이루는 다수의 거치구(12)로 구성된다.
발전모듈(electric power generation module, 2)은,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식품조리시 연소부로부터 피어오르는 화염에 의해 필연적으로 과열되는 상기 용기받침(1)으로부터 폐열(열원)을 전도받아 전기에너지로 전환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구성의 단일화를 위한 박스형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태로 열전도에 의한 반응으로 전력(전기에너지)를 전환생산케 된 열전소자(22)와, 상기 열전소자(22)의 일측에 밀착구비된 상태로 열전소자(22)로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끌어내서 방산(放散)시키는 방랭판(23)과, 상기 열전소자(22)의 타측에 밀착구비된 상태로 열전소자(22)로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끌어내서 방산시키는 방열판(24)과, 상기 방랭판(23)의 외측에 근접배치된 상태로 방산 냉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장치과랭이 억제되도록 한 제1송풍팬(25)과, 상기 방열판(24)의 외측에 근접배치된 상태로 방산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장치과열이 억제되도록 하는 제2송풍팬(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housing, 21)은, 상기 열전소자(22), 방랭판(23) 및 방열판(24) 그리고 상기 제1송풍팬(25)과 제2송풍팬(26)의 내재수용이 가능한 내부공간을 갖되, 그 내부공간은 상기 열전소자(22)의 중앙부 수직배치에 따라 상기 방랭판(23)과 제1송풍팬(25)의 배치구성 및 상기 열전소자(22)로부터 발산된 냉기의 방산 흐름이 형성되는 제1챔버(21a)와, 상기 방열판(24)과 제2송풍팬(26)의 배치구성 및 상기 열전소자(22)로부터 발산된 열기의 방산 흐름이 형성되는 제2챔버(21b)로 분할된다.
또한, 상기 제1챔버(21a)에서 형성되는 냉기의 외부배출을 위한 제1배출구(211)가 일측 단부에 관통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2챔버(1b)에서 형성되는 열기의 외부배출을 위하는 제2배출구(212)가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소자(thermoelement, 22)는, 과열된 상기 용기받침(1)으로부터 전도되는 폐열에 반응하여, 일측으로부터는 냉기를 발산하고 타측으로부터는 열기를 발산하는 펠티어효과(peltier effect)를 나타냄과 더불어 열원을 전기로 전환생산하는 발전(發電, power generation)이 가능하다.
또한,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충전배터리(4)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환생산된 전력이 충전배터리(4)로 충전되도록 하는 연장배선(221)을 포함한다.
상기 방랭판(coldsink, 23)은, 상기 열전소자(22)의 일측에 밀착구비된 상태로 열전소자(22)로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끌어내서 제1챔버(21a)로 방산시키게 되는바, 열의 양도체(전도체)로 알려진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며 냉기의 방산효율을 극대화하는 다수의 날개(fin)가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세로로 배열되고 외측방으로 각각 수평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방열판(Heatsink, 24)은, 상기 열전소자(22)의 타측에 밀착구비된 상태로 열전소자(22)로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끌어내서 제2챔버(21b)로 방산시키게 되는바, 상기 방랭판(23)과 같이, 역시 열의 양도체로 알려진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며 열기의 방산효율을 극대화하는 다수의 날개가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세로로 배열되고 외측방으로 각각 수평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1송풍팬(cooling fan, 25)은, 상기 방랭판(23)을 통해 제1챔버(21a)로 방산된 냉기를 제1배출구(211)를 통해 하우징(21) 외부로 배출시키는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날개차(impeller), 그 날개차로 들어가고 나오는 공기 유동의 안내와 아울러 방랭판(23) 일측 단부에 밀착조립되는 케이싱(casing)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송풍팬(cooling fan, 26)은, 상기 방열판(24)을 통해 제2챔버(21b)로 방산된 열기를 제2배출구(212)를 통해 하우징(21) 외부로 배출시키는바, 상기 제1송풍팬(25)과 마찬가지로,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날개차, 그 날개차로 들어가고 나오는 공기 유동의 안내와 아울러 방열판(24) 일측 단부에 밀착조립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전도부재(conduction materials, 3)는, 상기 용기받침(1)으로부터 폐열(열원)을 회수 상기 열전소자(22)에 전달하는 열전도(熱傳導, heat conduction)를 위한 것으로, 가장 뛰어난 열의 양도체로서 널리 알려진 구리를 소재로 한 구리판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받침(1)의 안착림(11)에 일측 선단부가 접합되고 길게 연장된 타측 선단부가 상기 열전소자(22) 일측에 접합됨에 따라 과열된 상기 용기받침(1)으로부터 폐열을 회수 열전소자(22)로의 열전도가 용이케 된다.
충전배터리(rechargeable battery, 4)는, 상기 발전모듈(2)에서 전환생산된 일정용량의 전력을 일정기간 저장해 둘 수 있고 그렇게 저장된 전력을 다른 전기장치로 공급함이 가능한 통상의 충전식(充電式) 배터리(battery)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다른 각종 전기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연장케이블(41)을 포함하는바, 복수의 상기 연장케이블(41)들 중 어느 하나의 연장케이블 선단부에는 스마트폰 연결포트에 대응접속 가능한 커넥터(411)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발전모듈(2)의 하우징(21) 내부공간으로 열전소자(22), 방랭판(23)과 방열판(24) 그리고 제1,2송풍팬(25)(26)을 정해진 위치에 각각 내재수용 장착하는 것을 통해 단일장치 구성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소자(22)와 방랭판(23)의 접합면 그리고 열전소자(22)와 방열판(24)의 접합면에는 컴파운드(compound)를 미리 도포하여, 열기 혹은 냉기에 의한 소재변형이 방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접합소재 간 긴밀한 밀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랭판(23)의 외측으로는 제1송풍팬(25)이, 상기 방열판(24)의 외측으로는 제2송풍팬(26)이 각각 근접배치 및 상호 일체로 조립하게 되는데, 이는 별도의 스크루볼트(b)로 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도부재(3)의 일측 선단부는 용기받침(1)의 상기 안착림(11)에 접합된 상태이고, 상기 전도부재(3)의 연장 타측 선단부는 상기 열전소자(22)의 일측 단부에 접합된 상태가 됨으로써, 조리과정에서 더불어 과열되는 상기 용기받침(1)로부터의 폐열 회수가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발전모듈(2)은 용기받침(1)으로부터 폐열을 회수하고 그렇게 회수한 폐열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생산하는 작용을 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조리기구인 가스레인지(r)의 연소부 상에 구비된 용기받침(1) 위에 거치된 조리용기(r-1)를 화기로 가열하는 조리과정에서 상기 용기받침(1)이 더불어 과열되는 것이며, 그렇게 과열된 상기 용기받침(1)으로부터 전도되는 폐열에 반응하는 상기 열전소자(22)의 양측으로 열기와 냉기가 각각 발산된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22)의 일측으로부터 발산되는 냉기는 상기 방랭판(23)에 의해 제1챔버(21a) 측으로 방산된 다음 제1송풍팬(25)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1)의 제1배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열전소자(22)의 타측으로부터 발산되는 열기는 상기 방열판(24)에 의해 제2챔버(21b) 측으로 방산된 이후 제2송풍팬(26)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1)의 제2배출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발전모듈(1)의 과냉·열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열전소자(22)로부터 열전도되는 폐열이 전기에너지로 전환생산되고, 그렇게 생산된 전력에 의해 상기 제1,2송풍팬(25)(26)이 구동케 됨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충전배터리(4)로 충전(저장)되며, 이후 그렇게 저장된 전력을 스마트폰(e-1)이나 각종 전기장치(e-2)의 구동을 위한 동력원으로 활용함이 가능하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배터리(4)로부터 연장된 어느 하나의 연장케이블(41) 선단에 구비된 커넥터(411)를 스마트폰(e-1)의 연결포트에 접속시켜 상기 스마트폰(e-1)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고, 또 다른 연장케이블(41)에는 전기장치(e-2)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원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은, 과열된 용기받침(1)으로부터 폐열(열원)을 회수 그 폐열의 열전도로 반응하는 발전모듈(2)로부터 전환생산되는 전력을 스마트폰이나 각종 전자기기의 동력원으로 공급 및 활용 가능한바, 예컨대 주방 내 환기시스템(환풍기 등) 구동의 대체전력으로 사용하는 등 휴유에너지를 재활용에 따른 에너지활용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용기받침, 2 : 발전모듈, 3 : 전도부재
4 : 충전배터리, 11 : 안착림, 12 : 거치구
21 : 하우징, 21a : 제1챔버, 21b : 제2챔버
22 : 열전소자, 23 : 방랭판, 24 : 방열판
25 : 제1송풍팬, 26 : 제2송풍팬, 211 : 제1배출구
212 : 제2배출구, 221 : 연장배선, 411 : 커넥터

Claims (8)

  1. 가열조리를 위한 식재료 또는 식품이 담긴 조리용기를 떠받치도록 상기 가열조리기의 연소부에 더 구비되는 용기받침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용기받침으로부터의 열전도에 반응하여 폐열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생산하게 된 발전모듈;
    일단이 상기 용기받침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발전모듈에 연결된 상태로, 조리과정중 과열된 상기 용기받침으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발전모듈로 전달하게 된 전도부재; 및,
    상기 발전모듈로부터 전환생산된 전력이 저장되는 충전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모듈은, 장치구성의 단일화를 위한 박스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태로, 열전도에 반응하여 전력를 전환생산케 된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에 밀착구비된 상태로,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끌어내서 방산시키는 방랭판과,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에 밀착구비된 상태로,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끌어내서 방산시키는 방열판과,
    상기 방랭판의 외측에 근접배치된 상태로, 방산 냉기를 외부배출시켜 장치과랭이 억제되도록 한 제1송풍팬과,
    상기 방열판의 외측에 근접배치된 상태로, 방산 열기를 외부배출시켜 장치과열이 억제되도록 하는 제2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재는, 열의 양도체인 구리를 소재로 한 구리판으로써,
    상기 용기받침에 일측 선단부가 접합되고, 길게 연장된 타측 선단부가 상기 열전소자 일측에 접합됨에 따라, 과열된 상기 용기받침으로부터 폐열을 회수 상기 열전소자로의 열전도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배터리는, 상기 발전모듈에서 전환생산된 전력을 일정용량 저장이 가능하고,
    다른 전기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연장케이블을 포함하되, 어느 하나의 연장케이블 선단부에는 상기 다른 전기장치의 연결포트에 대응접속 가능한 커넥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다수 구성요소의 동시수용을 위한 내부공간을 갖되,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열전소자의 중앙부 수직배치에 따라, 상기 방랭판과 상기 제1송풍팬의 배치구성 및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산된 냉기의 방산 흐름이 형성되는 제1챔버와, 상기 방열판과 상기 제2송풍팬의 배치구성 및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산된 열기의 방산 흐름이 형성되는 제2챔버로 분할되고,
    상기 제1챔버에서 형성되는 냉기의 외부배출을 위한 제1배출구가 일측 단부에 관통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2챔버에서 형성되는 열기의 외부배출을 위하는 제2배출구가 가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과열된 상기 용기받침으로부터 열전도되는 폐열에 반응하여 일측으로부터는 냉기를 발산하고 타측으로부터는 열기를 발산하는 펠티어효과를 나타냄에 더해, 열원을 전기로 전환생산하는 발전이 가능하고,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충전배터리에 연결됨으로써, 전환생산 전력이 상기 충전배터리로 충전되도록 하는 연장배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랭판 및 상기 방열판은, 열의 양도체인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고, 냉기의 방산효율을 극대화하는 다수의 날개가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세로로 배열되고 외측방으로 각각 수평돌출된 형태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팬 및 상기 제2송풍팬은,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날개차,
    상기 날개차로 들어가고 나오는 공기 유동의 안내와 아울러 상기 방랭판 일측 단부에 밀착조립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KR1020170095249A 2017-07-27 2017-07-27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KR20190012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249A KR20190012385A (ko) 2017-07-27 2017-07-27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249A KR20190012385A (ko) 2017-07-27 2017-07-27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385A true KR20190012385A (ko) 2019-02-11

Family

ID=6537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249A KR20190012385A (ko) 2017-07-27 2017-07-27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23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0771A (zh) * 2020-11-10 2021-01-19 河北工业大学 一种具有风光互补供电散热功能的车载导航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0771A (zh) * 2020-11-10 2021-01-19 河北工业大学 一种具有风光互补供电散热功能的车载导航仪
CN112240771B (zh) * 2020-11-10 2024-05-14 河北工业大学 一种具有风光互补供电散热功能的车载导航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4736B1 (ja) 充放電装置
WO2010009108A2 (en) Self-powered electrical system
KR20080078760A (ko) 유도 가열기
EP2676304B1 (en) Thermally driven power generator
EP3667175B1 (en) Domestic kitchen appliance with a peltier cooling system
US20060151471A1 (en) Cooking apparatus
CN110464199B (zh) 烹饪设备及其煲体
KR20190012385A (ko)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TWM525395U (zh) 一種燃氣灶具的餘熱發電結構
US2256049A (en) Heater
CN214964755U (zh) 一种带温差发电功能的户外烧烤炉
KR101529219B1 (ko) 가스를 연료로 하는 발열 기구의 유실열을 이용한 발전 장치
CN205006640U (zh) 一种具有散热结构的壳体及电压力锅
CN114636190A (zh) 一种具有电热补偿的燃气取暖装置
CN210956588U (zh) 磁控管组件和烹饪设备
WO2013046179A1 (en) Heating device
CN105054774A (zh) 一种具有散热结构的壳体及电压力锅
KR20170083682A (ko) 열전 발전기
KR20160002292U (ko) 월 마운트형 온풍기
JP5896614B2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19107358A1 (ja) 密閉型電子装置
CN218763541U (zh) 一种温差式点火供电装置
CN110645618A (zh) 发热模块、发热模组及电暖气片
KR102064802B1 (ko) 효율적인 냉각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조리기
CN210861219U (zh) 一种电磁炉散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