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993B1 -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 Google Patents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993B1
KR102298993B1 KR1020200040075A KR20200040075A KR102298993B1 KR 102298993 B1 KR102298993 B1 KR 102298993B1 KR 1020200040075 A KR1020200040075 A KR 1020200040075A KR 20200040075 A KR20200040075 A KR 20200040075A KR 102298993 B1 KR102298993 B1 KR 102298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battery
power
power supply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인
최대수
최두리
Original Assignee
누구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구나(주) filed Critical 누구나(주)
Priority to KR102020004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열을 생성하는 인덕션, 상기 인덕션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판 형상의 플레이트에 삽입 고정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인덕션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덕션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인덕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PORTABLE INDUCTION RANGE USING BATTERY POWER}
본 발명은 야외에서도 사용 가능한 휴대용 인덕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평상시에 요리를 할 때에는 인덕션에 상용전원 코드로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취사 활동을 수행하고, 외부에서 요리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덕션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인덕션에 내장된 배터리 전력이 활성화됨으로써 취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인덕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가정에서 이용되는 인덕션은 전자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한 조리기구이다. 상기 전자 유도가열 방식이란 자력선 유도 기술을 응용한 것으로 인덕션 내측의 유도 가열 코일에 교류전기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 중심에 자성을 갖는 인덕션 전용 조리용기를 위치시키게 되면, 와류전기가 발생되어 조리 용기가 갖는 전기 저항에 의해 조리 용기가 발열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종래 인덕션의 경우, 상기 인덕션 내측에 위치한 유도가열 코일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교류전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인덕션의 예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74499호(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른 인덕션은 조리용기가 쿠킹 존을 벗어난 편심 상태가 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조리용기의 위치 조정을 안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출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조리물 과열 정보를 제공하여 안전한 음식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한 인덕션의 다른 예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4514호 문헌(선행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른 인덕션은 사용자가 상기 인덕션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음식의 조리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될 때에 자동으로 상기 인덕션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제시한 선행문헌 1 및 2에 개시된 인덕션은 전력 공급을 위해 대부분 교류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교류전기를 공급할 수 없는 야외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행문헌 1 및 2에 개시된 인덕션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서 작동하므로, 주로 건물에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건물에 연결된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캠핑과 같이 아웃도어 활동을 즐기는 사용자들은 야외에서 인덕션을 사용할 수가 없어서, 이를 대체하여 버너 등과 같은 취사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버너 등의 취사수단은 화재 위험이 높고 발열수단을 산소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 자체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4499호(2019.06.28. 공개) 선행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4514호(2015.07.1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 등의 야외 활동 시에도 인덕션에 내장된 배터리 전력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원활하게 음식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인덕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열을 생성하는 인덕션, 상기 인덕션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판 형상의 플레이트에 삽입 고정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인덕션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덕션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인덕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덕션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탈착되면 상기 배터리가 작동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에는 상기 인덕션이 상기 전원 공급부 내에 정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전원 공급부 내의 정 위치에 상기 인덕션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정상 안착 여부에 대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의 하부에는 상기 인덕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코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덕션이 상기 전원 공급부 내에 안착 시 상기 배터리의 작동이 멈추면서 상기 전원 코드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인덕션이 작동되고, 상기 인덕션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탈착 시 상기 배터리가 온 되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인덕션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덕션은, 상부에 음식을 올려두기 위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배터리와 음식 조리를 위한 가열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덕션은,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내장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배터리 확인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력 잔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충전 확인부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충전 확인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람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충전 포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 인덕션을 사용 시 전원 코드를 꽂아서 전력을 공급하고, 야외에서 상기 인덕션을 사용 시 내장된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하므로 사용자가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편리하게 인덕션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션이 고정 결합되는 전원 공급부에 감지 센서가 설치되므로, 상기 인덕션이 정 위치에 제대로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덕션의 일측에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 포트가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배터리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의 전력 잔량이 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람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신호가 전송되므로, 배터리 부족으로 인하여 인덕션 사용이 불가한 상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덕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열을 생성하는 인덕션이 전원 공급부에 탈착 또는 부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인덕션의 일측에 형성된 충전 포트에 USB 충전 잭이 삽입됨으로써 배터리가 충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인덕션과 전원 공급부가 서로 전기적 신호를 통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사용자가 인덕션을 전원 공급부 내의 정 위치에 안착하여 상기 인덕션에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인덕션을 분리한 후 배터리를 통해 상기 인덕션에 전력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덕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열을 생성하는 인덕션이 전원 공급부에 탈착 또는 부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덕션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냄비나 프라이팬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화구가 형성되는 인덕션(10) 및 상기 인덕션(10)과 탈착 또는 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전원 공급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공급부(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상기 전원 공급부(20)에는 외형을 이루는 사각 틀 내에 상기 인덕션(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수용 영역(2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20)의 하부에는 콘센트를 통해 상기 인덕션(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코드(22)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 코드(22)는 가정이나 회사에 기 설비되어 있는 콘센트에 꽂음으로써 상기 인덕션(10)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평상시에 인덕션(10)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사용자는 상기 수용 영역(21) 내에 상기 인덕션(10)을 안착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전원 코드(22)를 콘센트에 꽂아서 상기 인덕션(10)에 전력을 공급하여 음식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20)는 상면이 평평한 플레이트(5)에 끼움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5)는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책상이나 식탁의 상판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플레이트(5)의 일부분을 천공한 후, 그 위치에 상기 전원 공급부(20)를 끼움 결합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의 수용 영역(21)에 탈착 또는 부착되는 인덕션(10)은, 상부에 음식을 올려두기 위한 지지판(11) 및 내부에 음식 조리를 위한 가열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하우징(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지지판(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수용 영역(21)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12) 내에는 상기 인덕션(1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5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배터리(50)는 상기 하우징(12)에 내장되어 음식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열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만약, 사용자가 야외에서 상기 인덕션(10)을 이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먼저 사용자는 상기 인덕션(10)을 상기 전원 공급부(20)로부터 탈착하여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인덕션(10)이 전원 공급부(20)로부터 탈착되면, 상기 인덕션(10) 내에 수용된 배터리(50)가 작동되기 시작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50)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통해 음식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배터리(50)의 작동이 멈춘 상태에서 전원 코드(22)를 콘센트에 꽂음으로써 상기 인덕션(10)에 전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고, 야외에서는 상기 배터리(50)의 작동이 이루어져서 상기 인덕션(1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0)의 충전 방식에 관한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인덕션의 일측에 형성된 충전 포트에 USB 충전 잭이 삽입됨으로써 배터리가 충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10)은 야외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50)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야외에서도 상기 인덕션(10)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50)는 항상 충분하게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10)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5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충전 포트(15)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0)의 일 측면에는 상기 충전 포트(15)가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충전 포트(15)에 USB 충전 잭(70)을 꽂아서 상기 배터리(5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USB 방식의 충전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배터리(50)의 충전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블루투스 방식의 배터리(50) 충전 방식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외 다른 예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인덕션(10)의 원활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인덕션과 전원 공급부가 서로 전기적 신호를 통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인덕션(10)은 상기 하우징(12) 내에 상기 배터리(50)가 정 위치에 내장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배터리 확인부(120)와 통신할 수 있다. 야외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인덕션(10)을 상기 전원 공급부(20)로부터 분리시켜야만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2) 내의 배터리(50)가 작동되기 시작한다. 다만, 상기 배터리(50)가 하우징(12) 내에 제대로 내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인덕션(10)은 상기 배터리 확인부(120)와 서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션(10)은 상기 배터리(50)의 전력 잔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충전 확인부(110)와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인덕션(10)을 분리하여 야외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50)의 충전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음식 조리를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큰 불편이 초래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인덕션(10)을 야외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상기 배터리(50)의 충전이 충분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10)은 상기 배터리(50)의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충전 확인부(110)와 서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50)가 충분히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상기 충전 확인부(110)에서 전송되는 상기 배터리(50)의 전력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림 신호가 전송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에는 사용자가 야외 활동을 하기에 충분한 배터리(50) 전력 잔량에 대한 미리 설정된 기준 수치가 저장되어 있다. 만약, 상기 인덕션(10)이 상기 전력 공급부(2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수치와 상기 배터리(50)의 전력 잔량을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충전 확인부(110)에서 전송되는 배터리(50)의 전력 잔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충전 확인부(110)는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알림 신호는 사용자에게 배터리(50) 부족 신호를 시각적인 신호로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일 수도 있고, 상기 배터리(50) 부족 신호를 청각적인 신호로 전달하는 알람 신호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또는 알람 신호는 상기 인덕션(10) 자체에 표시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전자기기인 스마트 폰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충전 확인부(110)가 상기 인덕션(10) 또는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배터리(50)의 전력 잔량이 야외 활동 시 음식 조리를 하기에 충분한지 여부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일 예로 사용자가 흔히 사용하는 스마트 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예로 PDA, 노트북 등의 기기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인덕션(10)이 탈착 또는 부착되는 전원 공급부(20)에는 상기 인덕션(10)이 상기 전원 공급부(20) 내에 정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 센서(2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감지 센서(210)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수용 영역(21) 내에 상기 인덕션(10)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감지 센서(210)는, 상기 전원 공급부(20) 내의 정 위치에 상기 인덕션(10)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정상 안착 여부에 대한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알림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덕션(10)의 정상 안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션(10)의 사용 시, 결국 전력 공급에 따른 열이 발생하므로 사용자의 안전 문제가 항상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10)과 전원 공급부(20)는 음식의 조리 방식을 파악하여 필요 이상의 고온이 공급되는 경우나 필요 이상의 장기간 열이 공급되는 경우 등과 같이 화재의 위험을 인지하고 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위험 감지부(300)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위험 감지부(300)는 음식 조리를 하는 데에 필요 이상의 열 공급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상기 위험 감지부(300)에서 화재 위험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인덕션(10) 및 전원 공급부(20)로 제공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더 이상 상기 인덕션(10)에 열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평상시와 야외 각각의 상황에서 상기 인덕션(10)에 전력이 인가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사용자가 인덕션을 전원 공급부 내의 정 위치에 안착하여 상기 인덕션에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즉, 평상시 상황에서 상기 인덕션(10)에 전력이 인가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평상시 상기 인덕션(10)을 통해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수용 영역(21) 내에 상기 인덕션(10)을 안착시킨다(S10).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20)에 설치된 감지 센서(210)에서는 상기 인덕션(10)이 정 위치에 제대로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11).
즉, 상기 감지센서(210)에서 상기 인덕션(10)의 정상 안착 여부를 확인한 결과(S12), 상기 인덕션(10)의 위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명 시, 사용자는 상기 인덕션(10)의 위치를 재 조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3). 그 다음, 다시 상기 S11 단계로 돌아가서 상기 인덕션(10)의 정상 안착 여부에 대해 재 확인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 S12 단계에서 상기 인덕션(10)의 위치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 시, 사용자는 전원 코드(22)를 콘센트에 꽂아서 상기 인덕션(10)에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4).
이와 같이, 사용자는 평상시 상기 전원 코드(22)를 통해 상기 인덕션(10)에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원활한 음식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의 예와 달리, 도 6에서는 사용자가 야외에서 상기 인덕션(1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 상기 인덕션(10)에 전력이 인가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인덕션을 분리한 후 배터리를 통해 상기 인덕션에 전력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야외에서 상기 인덕션(10)을 통해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전원 공급부(20)로부터 상기 인덕션(10)을 분리하는 작업을 실시한다(S20).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20)에 설치된 감지 센서(210)에서는 상기 인덕션(10)이 정상적으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S21).
그 다음, 상기 인덕션(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인덕션(10)에 내장된 배터리(50)가 작동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22). 즉, 상기 인덕션(10)이 외부로 분리되어 전원 코드(22)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공급받지는 못하지만, 상기 하우징(12)에 내장된 배터리(50)가 가동됨으로써 상기 인덕션(1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50)의 작동이 시작됨과 동시에 상기 충전 확인부(110)는 상기 배터리(50)의 충전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3). 즉, 상기 충전 확인부(110)에서 전송되는 상기 배터리(50)의 전력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림 신호가 전송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50)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션 내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상기 인덕션에 전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야외에서도 용이하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 플레이트
10: 인덕션
11: 지지판
12: 하우징
15: 충전 포트
20: 전원 공급부
21: 수용 영역
22: 전원 코드
50: 배터리
70: USB 충전 잭

Claims (10)

  1.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열을 생성하는 인덕션;
    상기 인덕션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판 형상의 플레이트에 삽입 고정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인덕션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덕션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인덕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탈착되면 상기 배터리가 작동되기 시작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의 하부에는, 상기 인덕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코드가 설치되고,
    상기 인덕션이 상기 전원 공급부 내에 안착 시 상기 배터리의 작동이 멈추면서 상기 전원 코드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인덕션이 작동되며,
    상기 인덕션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탈착 시 상기 배터리가 온 되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인덕션이 작동되고,
    상기 전원 코드는 기 설비되어 있는 콘센트에 꽂아서 상기 인덕션에 전력을 공급하며,
    화재 위험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및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제공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위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에는 상기 인덕션이 상기 전원 공급부 내에 정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전원 공급부 내의 정 위치에 상기 인덕션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정상 안착 여부에 대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은,
    상부에 음식을 올려두기 위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배터리와 음식 조리를 위한 가열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은,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내장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배터리 확인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력 잔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충전 확인부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확인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람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충전 포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KR1020200040075A 2020-04-02 2020-04-02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KR102298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075A KR102298993B1 (ko) 2020-04-02 2020-04-02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075A KR102298993B1 (ko) 2020-04-02 2020-04-02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993B1 true KR102298993B1 (ko) 2021-09-07

Family

ID=7779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075A KR102298993B1 (ko) 2020-04-02 2020-04-02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2083A (ja) * 2013-03-28 2014-10-06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101534514B1 (ko) 2014-12-04 2015-07-10 (주)피스월드 거리 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 렌지
KR101988117B1 (ko) * 2017-08-03 2019-06-11 민후 오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KR20190074499A (ko) 2017-12-20 2019-06-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편심과 과열 및 부적합 조리용기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2083A (ja) * 2013-03-28 2014-10-06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101534514B1 (ko) 2014-12-04 2015-07-10 (주)피스월드 거리 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 렌지
KR101988117B1 (ko) * 2017-08-03 2019-06-11 민후 오 무 인버터형 휴대용 조리가열장치 및 난방장치
KR20190074499A (ko) 2017-12-20 2019-06-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편심과 과열 및 부적합 조리용기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2141B1 (en) Cook top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144535B (zh) 无线功率输送系统及其功率接收器和操作方法
CN210747949U (zh) 多功能智能无线充电桌子
WO2021031703A1 (zh) 脉冲点火装置、燃气具及其点火控制方法、控制系统
KR102298993B1 (ko)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인덕션
JP6080472B2 (ja) 炊飯器
CN111667671B (zh) 提醒烹饪的方法及相关设备和存储装置
US10883723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US20180227988A1 (en) Portable Induction Stove Assembly
JPWO2015041232A1 (ja) 電気機器
CN108709203B (zh) 可双面加热的电磁炉及其控制方法
KR102247504B1 (ko) 휴대용 인덕션 및 이를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CN109407169A (zh) 分体式烹饪器具及其识别方法
JP2005259540A (ja) 加熱調理器
CN210095457U (zh) 一种能精准控温的电炒锅
CN117137342B (zh) 一种料理锅的安全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38930B1 (ko) 푸드 워머 및 그 동작 방법
JP2016181427A (ja) 加熱調理器およびhems
JP7482712B2 (ja) 加熱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17592548U (zh) 一种带有加热水壶的橱柜
CN205079279U (zh) 一种遥控式具有提示功能的电磁炉
US11684208B2 (en) Split-type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0744334U (zh) 一种插座系统
CN216960225U (zh) 电路板及电子设备
CN212165591U (zh) 一种智能探温水壶、电磁炉及智能控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