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504B1 - 휴대용 인덕션 및 이를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인덕션 및 이를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504B1
KR102247504B1 KR1020190146671A KR20190146671A KR102247504B1 KR 102247504 B1 KR102247504 B1 KR 102247504B1 KR 1020190146671 A KR1020190146671 A KR 1020190146671A KR 20190146671 A KR20190146671 A KR 20190146671A KR 102247504 B1 KR102247504 B1 KR 102247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d
cooking
induction
rec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인
Original Assignee
박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인 filed Critical 박상인
Priority to KR102019014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인덕션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하는 언어를 수신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을 분석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인덕션 본체, 및 상기 인덕션 본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인덕션 본체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입력된 추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레시피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레시피를 제공하도록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인덕션 및 이를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PORTABLE INDUCTION RANGE AND RECIPE PROVID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외부에서도 사용 가능한 휴대용 인덕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인덕션이 전원공급장치와의 접촉만으로도 동력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써 아웃도어 활동이 활발한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원하는 음식을 조리할 수 있고, 해당 음식을 조리하는 데에 필요한 레시피까지 제공받을 수 있는 휴대용 인덕션 및 이를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가정에서 이용되는 인덕션은 전자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한 조리기구이다. 상기 전자 유도가열 방식이란 자력선 유도 기술을 응용한 것으로 인덕션 내측의 유도 가열 코일에 교류전기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 중심에 자성을 갖는 인덕션 전용 조리용기를 위치시키게 되면, 와류전기가 발생되어 조리 용기가 갖는 전기 저항에 의해 조리 용기가 발열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종래 인덕션의 경우, 상기 인덕션 내측에 위치한 유도가열 코일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교류전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인덕션의 일 예가 등록특허공보 제10-1534514호 문헌(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른 인덕션은 사용자가 상기 인덕션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음식의 조리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될 때에 자동으로 상기 인덕션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가열 수단은 대부분 교류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교류전기를 공급할 수 없는 야외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고, 대체품으로써 주로 휴대용 가스버너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인덕션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서 작동하므로, 주로 건물에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건물에 연결된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캠핑과 같이 아웃도어 활동을 즐기는 사용자들은 야외에서 인덕션을 사용할 수가 없어서, 이를 대체하여 버너 등과 같은 취사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버너 등의 취사수단은 화재 위험이 높고 발열수단을 산소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 자체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465호 문헌(선행문헌 2)에서는 배터리에 의해 동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용 인덕션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르면, 상기 인덕션을 별도의 배터리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위와 같은 인덕션에 따르더라도, 배터리의 용량에 한계가 존재하여 적절한 동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본 전자기기 관련 시장에서는 야외에서 인덕션을 활용할 때에 적절한 음식 조리법 소개 등에 대한 고객의 요구가 있음에도, 현재 출시되고 있는 휴대용 인덕션에는 이러한 기능이 뒷받침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선행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534514호(2015.07.10. 공고) 선행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465호(2014.12.0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 등의 외부 활동 시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을 조리하는 데에 있어서 정확한 레시피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는 휴대용 인덕션 및 이를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인덕션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하는 언어를 수신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을 분석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인덕션 본체, 및 상기 인덕션 본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인덕션 본체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입력된 추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레시피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레시피를 제공하도록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파악한 후 사용자의 메뉴 선호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덕션 본체는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화재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인덕션 본체에 동력을 공급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는 위험 감지부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동력충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충전 확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험 감지부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음식조리 명령을 파악한 후 상기 음식조리에 제공되는 열의 양을 판단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동력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인덕션을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은, 음식 조리와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함에 따라 휴대용 인덕션에 동력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서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고 상기 추천 레시피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단계, 사용자가 추천된 레시피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레시피 안내에 따른 음식 조리가 실시되고, 상기 레시피가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이 부정적인 경우, 사용자의 기호 및 현재 환경에 대한 재조사를 실시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음식 조리 전에 가상의 음식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서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증강현실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가상의 음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의 음식 정보를 확인하여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의 음식 정보가 완성된 음식의 종류에 관한 추천 모드인 경우,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서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증강현실 모드를 실행하여 사용자의 기호 및 현재 환경에 맞는 가상의 조리된 음식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의 조리된 음식들을 확인하여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의 음식 정보가 음식의 조리 방식에 관한 추천 모드인 경우,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서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증강현실 모드를 실행하여 조리 시간 및 조리 방법에 따른 가상의 조리된 음식들의 조리 과정을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의 조리 방식을 확인하여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 동력이 공급되는 단계는, 인덕션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에서 화구에 용기가 정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화구에 용기가 정 위치에 안착 시 조명이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조명이 상기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 동력이 공급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이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 전원공급장치의 조명부가 활성화 되도록 작동된 이후에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 동력이 공급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식 조리가 실시되는 단계는, 음식 종류에 따른 예정된 조리 지속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예정된 음식조리 종료 시간에 화구에 열이 공급되는지를 검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정된 음식조리 종료 시간에도 상기 화구에 열이 공급되는 경우, 제어부에서 상기 화구로 공급되는 열을 강제 차단하고, 사용자에게 위험 알림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도어 활동이 활발한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음식을 정확한 레시피를 기반으로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공급장치에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인덕션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캠핑 등의 아웃도어 시장에 빗발치는 휴대용 인덕션이라는 고객의 니즈를 원활히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레시피가 서버에 지속적으로 저장되므로 자신만의 레시피가 제작될 수도 있고, 특히 1인 가구가 증가하는 현실을 고려하여 볼 때 취사의 편의성도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덕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휴대용 인덕션이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가 음식 조리 명령 시 휴대용 인덕션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상기 휴대용 인덕션의 화구에 음식물을 담은 용기가 제대로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음식 조리 시 위험을 감지한 경우 상기 화구의 자동 종료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음식 종류 추천 모드 실행 시 휴대용 인덕션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음식 조리방식 추천 모드 실행 시 휴대용 인덕션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덕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휴대용 인덕션이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덕션(5)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냄비나 프라이팬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화구가 형성되는 인덕션 본체(10) 및 상기 인덕션 본체(10)에 동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0)로 구성된다. 상기 인덕션 본체(10)에는 전원버튼 및 상기 화구에서 생성하는 열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절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인덕션 본체(10)에 동력을 제공하는 방식은 상기 인덕션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기 코드(11)를 콘센트에 직접 꽂는 수동 방식과, 상기 전원공급장치(20)와 접촉함으로써 무선으로 동력을 제공받는 자동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자동 방식은 가정이나 회사와 같이 실내에서 전기 콘센트가 충분할 때에 활용하면 족하다. 다만, 야외에서 인덕션을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특히 아웃도어 활동이 활발한 사용자에게는 상기 수동 방식 대신 자동 충전 방식이 활용도 측면에서 훨씬 효율적일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인덕션의 자동 충전 방식을 대표 실시 예로 소개하고자 한다.
상기 휴대용 인덕션(5)은 전자기기와 통신하여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일 예로 사용자가 흔히 사용하는 스마트폰(100)을 도시하였지만, 다른 예로 PDA, 노트북 등의 기기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인덕션 본체(10)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의 스피커를 통해 입력하는 언어를 수신하는 음성 인식부(16), 상기 음성 인식부(16)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을 분석하는 제어부(15) 및 상기 제어부(15)에서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출력부(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5)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부(15)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명령에 대한 대응 방안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 용량이 많이 쌓일수록 해당 정보의 정확도는 향상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데이터 용량이 너무 많이 쌓여서 제어부(15)의 저장 공간이 부족할 우려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와 통신 가능한 서버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음성 인식부(16)에서 입력된 추천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파악한 후 사용자의 메뉴 선호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제어부(15)에 쌓인 데이터들이 향후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메뉴를 추천하는 데에 상당한 역할을 한다.
상기 인덕션 본체(10)의 하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인덕션 본체(10)에 동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0)는 일 예로 배터리일 수 있다. 즉, 상기 인덕션 본체(10)의 하부에는 전기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칩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칩과 상기 전원공급장치(20)가 접촉함에 따라 동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20)가 상기 인덕션 본체(10)에 접촉함으로써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 문제가 항상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장치(20)는 음식의 조리 방식을 파악하여 필요 이상의 고온이 공급되는 경우나 필요 이상의 장기간 열이 공급되는 경우 등과 같이 화재의 위험을 인지하고 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위험 감지부(2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위험 감지부(21)는 상기 스마트폰(100)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음식조리 등과 같은 명령을 파악하여 해당 음식조리에 필요 이상의 열 공급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상기 위험 감지부(21)에서 화재 위험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장치(20)의 동력을 차단하여 상기 인덕션 본체(10)에 더 이상 열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20)는 아웃도어용 동력공급수단이므로 항상 충전이 잘 이루어졌는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장치(20)에는 충전 확인부(22)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 확인부(22)는 현재 전원공급장치(20)의 동력충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용 인덕션(5)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사용자가 음식 조리 명령 시 휴대용 인덕션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만약 사용자가 어떤 음식을 조리하고자 할 때에, 먼저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100)과 휴대용 인덕션(5)을 서로 전기적으로 통신하여 연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100)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서 상기 스마트폰(100)과 휴대용 인덕션(5)을 서로 연결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식 및 해당 음식을 조리하는 방식 등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100)의 스피커에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는 인덕션 본체(10)의 음성 인식부(16)를 통해 상기 휴대용 인덕션(5)에서 수신할 수 있다(S10).
상기 휴대용 인덕션(5)에서 사용자의 음식 조리에 대한 명령을 인식하면, 제어부(15)에서는 인식된 음식의 종류를 파악하여 해당 음식의 적절한 요리 방식을 검색한다(S11). 즉, 상기 제어부(15)에는 음식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요리 방식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정보 중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적절한 요리 방식을 검색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5)의 검색이 완료되면, 출력부(17)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레시피를 추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12). 상기 출력부(17)는 상기 인덕션 본체(10)의 일측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상기 인덕션 본체(10)에 설치되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음성 형태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추천 레시피에 관한 정보는 상기 출력부(17)로부터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으로 전송되어, 상기 스마트폰(100)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추천된 레시피에 대해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13). 만약, 사용자가 추천 레시피에 만족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의 기호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것이므로 다시 사용자의 선호도를 재조사하는 과정을 실시한다(S14). 구체적으로, 아직 상기 제어부(15)에 사용자의 취향에 관한 정보가 많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나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달라져서 음식 조리 방식이 바뀌어야 하는 경우 등 다양한 돌발 변수가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부적합한 레시피 추천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대비하여, 사용자는 스마트폰(100)을 통해 현재 자신이 원하는 음식 조리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상기 제어부(15)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5)는 사용자가 원하는 레시피를 다시 제공할 수 있도록 음식의 조리 방식에 대해 재검토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12).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가 추천 레시피에 만족한다면 바로 선택된 음식 조리에 관한 레시피가 순차적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순차적으로 안내되는 레시피를 참고하여 요리를 실시할 수 있다(S15). 상기 S15 단계가 종료되면 서버에 사용자의 조리 방식에 대한 요구와 이를 만족시키는 레시피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는 향후 상기 제어부(15)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취향 등의 기호에 따른 음식 조리 방식에 관한 학습이 이루어짐으로써 향후에 사용자에게 더욱 정확한 레시피를 추천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원활한 음식 조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휴대용 인덕션(5)의 화구에 음식물을 담은 용기가 제대로 안착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 상세히 소개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휴대용 인덕션의 화구에 음식물을 담은 용기가 제대로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음식 조리 시 위험을 감지한 경우 상기 화구의 자동 종료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인덕션(5)의 화구에 용기를 안착시키면(S100), 상기 인덕션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무게감지센서에서는 상기 화구에 음식물을 담은 용기가 놓였다는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무게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수치가 미리 저장된 기준 수치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화구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안착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에서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5)는 사용자에게 음식을 실제로 조리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확인한다(S110).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사용자는 화구에 음식물이 제대로 안착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야간에 아웃도어에서 휴대용 인덕션(5)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어두운 주변 환경으로 인해 음식 조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20)의 일측에는 LED를 발광할 수 있는 조명부가 설치된다. 상기 S110 단계가 완료되어 사용자가 음식을 조리할 의사가 있음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15)는 현재 주변의 환경 상태를 측정하여 조명이 기준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만약, 주변 조명이 기준치 이하라면,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조명부를 활성화시켜서 원활한 음식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를 작동시킨다(S130).
다만, 주변 조명 상태가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음식 조리에 있어서 조명 문제가 없는 경우이므로 상기 S130 단계를 거치지 않고, 상기 조명부의 작동 없이 사용자는 레시피에 따라 음식 조리를 실시한다(S140). 상기 레시피에 따른 음식 조리를 실시할 때에 고온의 열이 발화하게 되므로 항상 사용자의 안전 문제가 뒤따르게 된다. 이를 고려한 과정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15)는 결정된 음식의 종류 및 레시피에 따른 예정된 조리 지속시간을 산출한다(S141). 즉, 조리 시작 시간을 체크하여 음식의 조리 종료 예정시간을 설정한다(S142). 그 다음, 상기 제어부(15)는 예정된 종료시간에 화구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3).
만약, 상기 제어부(15)에서 판단한 결과, 예정된 종료시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화구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화구의 자동 강제오프를 실시한다(S144). 그 다음,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화구의 강제오프가 실시되었음을 알림과 동시에 위험신호도 함께 송출한다(S145). 다만, 예정된 종료시간에 상기 화구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조리시간에 맞춘 정상적인 음식 조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상기 S144 및 S145 단계가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화구에 음식물을 담은 용기가 제대로 안착되었는지를 여부 및 위험 감지에 따른 상기 화구의 자동 종료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보다 안전한 음식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인덕션(5)을 사용한 다른 예로서, 스마트폰(100)의 증강 현실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인덕션(5)이 작동되는 예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은 사용자가 음식 종류 추천 모드 실행 시 휴대용 인덕션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만약 사용자가 실내에서 벗어나 외부에 나와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인덕션은 사용자에게 현재 환경에 어울리는 음식을 추천해줄 필요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폰(100)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휴대용 인덕션(5)을 연결하고, 사용자의 음식종류 추천 모드를 실시한다(S20). 이에 따라, 스마트폰(100)에서 증강현실 모드(AR 모드)가 진행된다(S21).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현재 원하는 음식을 편하고 효율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증강현실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부(15)는 사용자의 기호 및 현재 외부 환경에 맞는 가상의 조리된 음식들을 선별한다(S22). 즉, 상기 제어부(15)는 사용자가 평소에 원하는 음식 취향, 건강 상태 및 현재 외부의 날씨와 주변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양한 조리된 음식들을 선별한다. 이와 같이 선별된 음식들이 스마트폰(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음식들을 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추천 메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23). 만약,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제어부(15)는 사용자의 기호 및 현재 외부 환경에 대한 재조사를 실시한다(S24). 즉, 사용자가 추천된 가상의 메뉴에 만족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의 기호 및 현재 환경 정보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것이므로 다시 이를 전체적으로 재조사하는 과정을 실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직접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상세하게 입력하여 상기 휴대용 인덕션(5)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5)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S23 단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가상의 추천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추천 메뉴를 선택하면 족하다(S25). 이에 따라, 해당 추천 메뉴에 관한 정보가 제어부(15)에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추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레시피 안내를 검색한다. 검색이 완료된 레시피는 출력부(1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사용자는 상기 레시피에 따라 요리를 실시하게 된다(S26).
도 7에서는 도 6의 음식종류 추천 모드가 아닌 음식 조리방식 추천 모드가 진행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서는 스마트폰(100)의 증강현실 모드를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도 6은 상기 증강현실 모드를 통해 음식 종류를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고, 도 7은 상기 증강현실 모드를 통해 음식의 조리 방식을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라는 데에만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사용자는 스마트폰(100)을 통해 음식의 조리 방식 추천 모드를 선택하면(S30), 상기 스마트폰(100)에서 증강현실 모드가 진행된다(S31).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는 음식의 조리 시간 및 조리 방법에 따른 가상의 조리된 음식들을 선별한다(S32).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5)에서 선별된 음식들이 스마트폰(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음식들을 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추천 메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33). 만약,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제어부(15)는 음식의 조리 방식 및 음식 조리 정도와 관련된 사용자의 선호도 등에 대한 재조사를 실시한다(S34). 즉, 사용자가 추천된 가상의 메뉴에 만족하지 못한 경우,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이 정확하게 표현되지 않은 것이거나 사용자의 음식 조리 선호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것이므로 다시 이를 전체적으로 재조사하는 과정을 실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직접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음식 조리 방식 등에 관한 정보를 상세하게 입력하여 상기 휴대용 인덕션(5)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5)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S33 단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가상의 추천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추천 메뉴를 선택하면 족하다(S35). 이에 따라, 해당 추천 메뉴에 관한 정보가 제어부(15)에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추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레시피 안내를 검색한다. 검색이 완료된 레시피는 출력부(1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사용자는 상기 레시피에 따라 요리를 실시하게 된다(S36).
본 발명에서는 음식 조리와 관련되어 휴대용 인덕션(5)과 스마트폰(100)이 서로 통신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양 구성 간의 통신 내용이 음식 조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인덕션(5)과 스마트폰(100)은 현재 날씨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요리하기에 적합한 날씨인지에 관한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인덕션(5)과 스마트폰(100)은 음악에 관한 정보, 일상 생활에 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도어 활동이 활발한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야외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음식을 정확한 레시피를 기반으로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 휴대용 인덕션
10: 인덕션 본체
15: 제어부
16: 음성 인식부
17: 출력부
20: 전원공급장치
21: 위험 감지부
22: 충전 확인부
100: 스마트폰

Claims (14)

  1.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하는 언어를 수신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을 분석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인덕션 본체; 및
    상기 인덕션 본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인덕션 본체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입력된 추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레시피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레시피를 제공하도록 데이터를 가공하고, 상기 추천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파악한 후 사용자의 메뉴 선호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버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사용자의 음식 조리에 대한 명령을 인식하면, 인식된 음식의 종류를 파악하여 상기 음식의 요리 방식을 상기 사용자의 기호를 감안하여 검색하며,
    상기 인덕션 본체는,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인덕션 본체에 설치되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음성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덕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화재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인덕션 본체에 동력을 공급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는 위험 감지부;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동력충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충전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덕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감지부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음식조리 명령을 파악한 후 상기 음식조리에 제공되는 열의 양을 판단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동력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덕션.
  6. 음식 조리와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함에 따라 휴대용 인덕션에 동력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서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고 상기 추천 레시피가 스마트폰에서 출력되는 단계;
    사용자가 추천된 레시피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천 레시피 안내에 따른 음식 조리가 실시되고, 상기 레시피가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인덕션과 상기 스마트폰이 요리하기 적합한 날씨인지에 관한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인덕션과 상기 스마트폰이 음악이나 일상 생활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이 부정적인 경우, 사용자의 기호 및 현재 환경에 대한 재조사를 실시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의 기호 및 현재 환경에 대한 재조사를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 조리 방식을 설명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가 원하는 레시피를 다시 제공할 수 있도록 음식의 조리방식에 대해 재검토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덕션을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7. 삭제
  8. 제6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식 조리 전에 가상의 음식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서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증강현실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가상의 음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의 음식 정보를 확인하여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덕션을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음식 정보가 완성된 음식의 종류에 관한 추천 모드인 경우,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서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증강현실 모드를 실행하여 사용자의 기호 및 현재 환경에 맞는 가상의 조리된 음식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의 조리된 음식들을 확인하여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덕션을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음식 정보가 음식의 조리 방식에 관한 추천 모드인 경우,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서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증강현실 모드를 실행하여 조리 시간 및 조리 방법에 따른 가상의 조리된 음식들의 조리 과정을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의 조리 방식을 확인하여 추천 레시피를 검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덕션을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 동력이 공급되는 단계는,
    인덕션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에서 화구에 용기가 정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화구에 용기가 정 위치에 안착 시 조명이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조명이 상기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 동력이 공급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덕션을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이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 전원공급장치의 조명부가 활성화 되도록 작동된 이후에 상기 휴대용 인덕션에 동력이 공급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덕션을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13.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조리가 실시되는 단계는,
    음식 종류에 따른 예정된 조리 지속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예정된 음식조리 종료 시간에 화구에 열이 공급되는지를 검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덕션을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음식조리 종료 시간에도 상기 화구에 열이 공급되는 경우,
    제어부에서 상기 화구로 공급되는 열을 강제 차단하고, 사용자에게 위험 알림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덕션을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KR1020190146671A 2019-11-15 2019-11-15 휴대용 인덕션 및 이를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KR102247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671A KR102247504B1 (ko) 2019-11-15 2019-11-15 휴대용 인덕션 및 이를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671A KR102247504B1 (ko) 2019-11-15 2019-11-15 휴대용 인덕션 및 이를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504B1 true KR102247504B1 (ko) 2021-05-03

Family

ID=7591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671A KR102247504B1 (ko) 2019-11-15 2019-11-15 휴대용 인덕션 및 이를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502A1 (ko) * 2021-12-16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성 명령어 추천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5234A (ja) * 2006-06-15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装置
JP2009289674A (ja) * 2008-05-30 2009-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0135289A (ja) * 2008-11-04 2010-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200475465Y1 (ko) 2013-10-11 2014-12-02 이승복 휴대용 인덕션 렌지
KR20140139696A (ko) * 2013-05-28 2014-12-08 주홍찬 증강현실을 이용한 레시피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50031610A (ko) * 2013-09-16 2015-03-25 김준수 휴대용 유도 가열기
KR101534514B1 (ko) 2014-12-04 2015-07-10 (주)피스월드 거리 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 렌지
KR20190100525A (ko) * 2018-02-08 2019-08-29 주식회사 컴투루 조리기기 기반 레시피 저작 및 공유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5234A (ja) * 2006-06-15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装置
JP2009289674A (ja) * 2008-05-30 2009-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0135289A (ja) * 2008-11-04 2010-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20140139696A (ko) * 2013-05-28 2014-12-08 주홍찬 증강현실을 이용한 레시피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50031610A (ko) * 2013-09-16 2015-03-25 김준수 휴대용 유도 가열기
KR200475465Y1 (ko) 2013-10-11 2014-12-02 이승복 휴대용 인덕션 렌지
KR101534514B1 (ko) 2014-12-04 2015-07-10 (주)피스월드 거리 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 렌지
KR20190100525A (ko) * 2018-02-08 2019-08-29 주식회사 컴투루 조리기기 기반 레시피 저작 및 공유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502A1 (ko) * 2021-12-16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성 명령어 추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33186U (zh) 无线控制烹饪系统及无线设备
JP2019052843A (ja) 調理システム用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20150147441A1 (en) Food cooking device, an electronic library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201902232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247504B1 (ko) 휴대용 인덕션 및 이를 이용한 레시피 제공 방법
JP2020112320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12319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143697A1 (zh) 电子烟的控制方法和装置
US202302769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utomatic cooking and cooking appliance therefor
CN109210583B (zh) 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烹饪套装
EP4354705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cooking device positioning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230233020A1 (en) Method of outputting information regarding cooking applian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erefor
US20230086159A1 (en) Sensor device,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cooking system
US20230389132A1 (en) Home appliance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detecting empty heating
JP7482712B2 (ja) 加熱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304037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
JP2023009316A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KR20230067953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조리 기기 위치 식별 방법
JP2023007587A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JP2022180957A (ja) 複合型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JP2024004644A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KR20230080215A (ko) 다중 전원 구조를 갖는 조리기기
JP2022165680A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KR20230144854A (ko) 무선 전력 전송에서 출력 제한 레벨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장치
JP2024004643A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