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215A - 다중 전원 구조를 갖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다중 전원 구조를 갖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215A
KR20230080215A KR1020210167729A KR20210167729A KR20230080215A KR 20230080215 A KR20230080215 A KR 20230080215A KR 1020210167729 A KR1020210167729 A KR 1020210167729A KR 20210167729 A KR20210167729 A KR 20210167729A KR 20230080215 A KR20230080215 A KR 2023008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appliance
capacitor
power
communication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주
이태호
김용욱
주정석
강동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215A/ko
Priority to EP22899067.7A priority patent/EP4344020A1/en
Priority to PCT/KR2022/018765 priority patent/WO2023096385A1/ko
Priority to US18/113,824 priority patent/US20230209663A1/en
Publication of KR2023008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5Capacitor coupled rectifi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05B1/0266Cookto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6Cook-top or cookw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픽업 코일, 픽업 코일에서 수신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 통신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류부로부터 전력을 충전하는 제 1 커패시터, 및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류부로부터 전력을 충전하는 제 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수신기기를 포함하되, 제 2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제 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전원 구조를 갖는 조리기기{Multi-power driving in home appliance device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들은 조리기기에서 다중 전원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조리기기의 빠른 동작을 달성하고 전원의 안정화 시간 최소화를 확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케틀(smart kettle), 무선 전력 구동 커피 머신, 무선 전력 구동 냄비 등과 같은 소물 기기는 몸체부(body unit)와 몸체부 하단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테이션(station)으로 구성된다.
스테이션으로부터 몸체부에 무선으로 전력이 공급되면, 소물 기기의 몸체부는 전력을 수신하는 픽업 코일을 통해 몸체부 전체에 단일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소물 기기에서 필요한 직류 전원은 픽업 코일을 통해 수신된 무선 전력을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통해 생성하기도 하고, 정류를 거쳐 커패시터를 통해 이용하기도 한다.
픽업 코일을 통해 단일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 소물 기기 몸체부 전원 안정화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몸체부 전원 안정화 시간 동안 사용자는 조리기기로부터 어떠한 정보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전력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에서 수신기기가 단일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전원 안정화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전원 안정화 시간 동안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할 수 없고 전원 안정화 시간 동안 조리기기 정보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조리기기의 수신기기에 다중 전원 구조를 채용하여 통신부의 빠른 전원 안정화를 통해 사용자가 조리기기에 관한 최소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는, 스테이션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픽업 코일, 픽업 코일에서 수신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 통신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류부로부터 전력을 충전하는 제 1 커패시터, 및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류부로부터 전력을 충전하는 제 2 커패시터를 포함하되, 제 2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제 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으로 조리기기를 구동하는 방법은, 픽업 코일을 통해 스테이션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고, 정류부에 의해 픽업 코일에서 수신한 전력을 정류하고, 통신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류부로부터 정류된 전력을 제 1 커패시터에 충전하고, 및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류부로부터 정류된 전력을 제 2 커패시터에 충전하되, 제 2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제 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활성화 전에라도 통신부를 선 활성화시킴으로써, 가전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미리 스테이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통신부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블록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블록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및 도 도 4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PCB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를 구동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 개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100)은 조리기기(1000)와 스테이션(20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조리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조리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시스템(100)은 조리기기(1000), 스테이션(2000), 서버 장치(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조리기기(1000)는 수신기기, 가전기기 또는 가전 장치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들 용어는 서로 교환되거나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스테이션(2000)은 가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조리기기(1000)는 독립되어 판매되는 가전 장치일 수도 있고 스테이션(2000)과 일체로 판매되는 가전 장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 시스템(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따른 조리기기(1000)는 스마트 주전자(smart kettle)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조리기기(1000)는 안의 내용물을 데우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00)는, 스마트 주전자(smart kettle) 외에도 차주전자(teapot), 커피포트(coffee pot), 냄비, 프라이팬, 찜기(steam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기기(1000)는, 스테이션(2000)에 의해 유도 가열될 수 있고, 스테이션(2000)과 통신할 수 있는 자성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용기일 수 있다. 조리기기(1000) 안의 내용물은 물, 차, 커피, 국, 주스, 와인 등과 같은 액체 류일 수도 있고, 버터 등과 같은 고체 류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조리기기(1000)가 스마트 주전자(smart kettle)인 경우를 주된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기기(1000)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스테이션(20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00)는 아웃렛(power outlet)에 연결되는 전원선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기기(1000)는 유도 가열(IH: induction heating) 방식의 조리기기(도 4a의 1000a와 1000b-1 참조)일 수도 있고, 히터 방식의 조리기기(도 4a의1000b-2 참조)일 수도 있다. 유도 가열(IH)이란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금속 물체를 가열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2000)의 작동 코일(working coil)에 교류 전류가 공급되면, 작동 코일의 내측에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이 유도된다. 작동 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은 조리기기(1000)의 저면을 통과한다.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이 조리기기(1000)의 저면에 포함된 금속(예컨대, 철, 강철 니켈 또는 다양한 종류의 합금 등)을 통과하면, 금속에는 자기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류가 발생한다. 회전하는 전류를 와전류(eddy current)라고 하며,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는 현상을 전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한다. 조리기기(1000)가 유도 가열(IH) 방식의 조리기기인 경우, 와전류와 금속(예컨대, 철)의 저항에 의해 조리기기의 저면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열로 조리기기(1000)의 내용물이 가열될 수 있다.
조리기기(1000)가 히터 방식의 조리기기인 경우, 히터 방식의 조리기기는 히터와 히터를 구동하기 위한 수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 방식의 조리기기의 수신 코일은 스테이션(2000)의 작동 코일(이하에서는, 송신 코일로 표현되기도 함)로부터 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송신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을 수신 코일에 인가함으로써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히터 방식은 스테이션(2000)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측면에서 '전력 수신 방식'이라고도 불리운다. 따라서, 히터 방식의 조리기기는 전력 수신 방식의 조리기기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전력 수신 방식의 조리기기는 수신 코일과 인접한 히터를 구동하는 가열용 조리기기일 수 있고, 수신 코일과 상당한 이격(예) 15cm)이 있는 히터를 구동하는 커피 드리퍼(coffee dripper)일 수도 있으며, 수신 코일을 통해 모터를 구동하는 블렌더(blender)와 같은 기기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 방식의 조리기기에 대응되는 전력 수신 방식의 기기(가전 기기)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배터리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수신 코일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진다.
조리기기(1000)의 종류(type)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후에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00)는 스테이션(2000) 및/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2000)에서는 조리기기(1000)의 통신부(1200)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10)에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1200)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서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통신부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기기(1000)는 통신부(1200)를 통해 스테이션(2000) 또는 서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00)는 프로세서(1210), 통신부 메모리(1220),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1230), 및/또는 원거리 통신부(long-range communication interface, 1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통신부(1200)의 전원이 확립되면 스테이션(2000)과 간단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통신부(1200)의 통신부 메모리(1220), 근거리 통신부(1230) 및 이동 통신부(124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 시스템(100) 전체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전원이 확립되면 프로세서(1210)는 제어부로 조리 시스템(100)의 제어권을 이양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연산처리, 다른 주변 기기나 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필요한 성능과 스펙에 따라 CPU,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혹은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 메모리(1220)는 프로세서(12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스테이션(2000)과 통신하는 소정의 데이터들(예컨대, 조리기기(1000)의 식별정보, 조리기기(1000) 최초 온 시 웰컴 메시지, 조리기기(1000)의 상태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의 식별정보는, 조리기기(1000)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로서,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조리기기(1000)의 모델명, 기기 타입 정보(예컨대, IH 타입 or 히터 타입), 제조사 정보(예컨대, Manufacture ID), 시리얼 넘버, 제조년월(혹은 제조년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기기(1000)의 식별 정보는 일련의 식별 번호 또는 숫자와 알파벳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조리기기(1000)의 최초 온 시 웰컴 메시지는, 예를 들어, 'welcome' 이라는 문자 정보일 수 있거나, 조리기기(1000)에 사용자의 이름(예) David)을 등록하면, 사용자의 이름을 포함하는 메시지 - "Welcome! David" - 일 수 있다. 조리기기(1000)의 상태정보는 조리기기(1000)의 제어부 전원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태인지, 아니면 조리기기(1000)가 조리기기인 경우 조리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현재 조리기기(1000)에 고장이 있어서 가동이 불가한 상태인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정보는 스테이션(20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통신부(1200)의 전원이 확립되면 프로세서(121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 메모리(1220)에 저장된 위 소정의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이션(2000)에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 메모리(1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23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FC, Near Field Communication interface),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통신부(1240)는 조리기기(1000)가 IoT(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원격으로 서버 장치(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서버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원거리 통신부는 인터넷,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3G 모듈, 4G 모듈, 5G 모듈, LTE 모듈, NB-IoT 모듈, LTE-M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기기(1000)는 스테이션(2000)을 통해서 서버 장치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00)는 조리기기(1000)가 가지고 있는 정보, 조리기기(1000)에 관한 소정의 정보나 조리 중 획득한 정보(예컨대, 내용물의 온도 정보 등)를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BLE 등)을 통해서 스테이션(2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2000)은 WLAN(와이파이) 통신부와 원거리 통신부(인터넷)를 통해 서버 장치에 접속함으로써, 조리기기(1000)에서 획득한 정보(예컨대, 내용물의 온도 정보 등)를 서버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장치는, 스테이션(2000)으로부터 수신한 조리기기(1000)에서 획득한 정보를 서버 장치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00)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는 온도 센서,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중량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온도 센서를 통해 조리기기(1000)의 내용물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내용물의 온도 정보를 통신부(1200)를 통해서 스테이션(20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기기(1000)는 일정 주기로 센싱된 내용물의 온도 정보를 스테이션(2000)으로 송신할 수도 있고, 특정 이벤트(예컨대, 스테이션(2000)으로부터의 요청 수신 시)가 발생하는 경우에 내용물의 온도 정보를 스테이션(2000)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는 조리기기(1000)가 스테이션(2000)에 놓여졌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중량 센서는 조리기기(1000) 내 내용물의 중량을 센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중량 센서는 조리기기(1000) 내의 내용물 존재 여부도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지자기 센서는 조리기기(1000)가 스테이션(2000)에 제대로 놓였는지를 센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블록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2000)은, 무선 전력 송신부(2100), 프로세서(2200), 통신 인터페이스(2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스테이션(20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스테이션(2000)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2000)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상판에 위치하는 피가열체(예컨대, 조리기기(1000))에 무선 전력 송신부(2100)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스테이션(2000)은 인덕션 또는 전기 레인지로 표현될 수도 있다. 스테이션(2000)은 조리기기(1000)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하는 작동 코일을 무선 전력 송신부(2100) 내에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가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히터 방식의 조리기기인 경우, 작동 코일은 송신 코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에 의하면, 스테이션(2000)은 무선 전력 송신부(2100)에 복수의 작동 코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2000)의 상판이 복수의 조리 영역(cooking zone)을 포함하는 경우, 스테이션(2000)은 복수의 조리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2000)은 내측에 제 1 작동 코일이 마련되고, 외측에 제 2 작동 코일이 마련되는 고출력 조리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고출력 조리 영역은 3개 이상의 작동 코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2000)의 상판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세라믹 글라스(ceramic glass) 등의 강화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2000)의 상판에는 조리기기(1000)가 위치해야 하는 조리 영역(cooking zone)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마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이션(2000)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2000)은 통신 인터페이스(2300)를 통해 조리기기(1000) 또는 서버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스테이션(20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0)는, 근거리 통신부(예컨대, NFC 통신부, 블루투스 통신부 등), 원거리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이션(2000)은, 통신 인터페이스(2300)를 통해서 상판에 위치하는 조리기기(100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2000)은 NFC 통신을 이용하여 상판에 위치하는 조리기기(1000)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000)의 통신부(1200)의 전원이 확립되면, 스테이션(20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NFC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등)을 이용하여 조리기기(100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의 통신부(1200)로부터 수신하는 소정의 데이터는 조리기기(1000)의 식별정보, 조리기기(1000) 온 시 웰컴 메시지, 조리기기(1000)의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의 식별정보는 조리기기(1000)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모델명, 타입 정보, 제조사 정보, 시리얼 넘버, 제조년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이션(2000)은 원거리 통신부로서 D2D(device to device) 통신(예컨대, WFD(Wi-Fi Direct) 통신 또는 BLE 통신)을 통해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조리기기(1000)에서 획득한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스테이션(2000)은 조리기기(1000) 안의 내용물을 조리하도록 조리기기(1000)에 무선 전력 송신부(2100)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한다는 것은, 자기유도 방식으로 수신 코일 또는 금속(예컨대, 철 성분)에 유기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2000)은, 작동 코일(송신 코일)에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1000)에 와전류가 발생하도록 하거나, 수신 코일에 자기장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2000)은, 무선 전력 송신부(2100), 프로세서(2200), 통신 인터페이스(2300), 센서부(2400), 출력 인터페이스(2500), 사용자 인터페이스(2600), 메모리(2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전력 송신부(2100)는, 구동부(2110)와 작동 코일(212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211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프로세서(2200)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 코일(212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2110)는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2111), 정류 회로(2112), 인버터 회로(2113), 분배 회로(2114), 전류 감지 회로(2115), 구동 프로세서(2116)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MI 필터(2111)는 외부 전원(ES: External Source)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에 포함된 고주파 잡음을 차단하고, 미리 정해진 주파수(예를 들어, 50Hz 또는 60Hz)의 교류 전압과 교류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다. EMI 필터(2111)와 외부 전원(ES) 사이에는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퓨즈(Fuse)와 릴레이(Relay)가 마련될 수 있다. EMI 필터(2111)에 의하여 고주파 잡음이 차단된 교류 전력은 정류 회로(2112)에 공급된다.
정류 회로(2112)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 회로(2112)는 시간에 따라 크기와 극성(양의 전압 또는 음의 전압)이 변화하는 교류 전압을 크기와 극성이 일정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양의 전류 또는 음의 전류)이 변화하는 교류 전류를 크기가 일정한 직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정류 회로(2112)는 브리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 회로(2112)는 4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 다이오드는 시간에 따라 극성이 변화하는 교류 전압을 극성이 일정한 양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시간에 따라 방향이 변화하는 교류 전류를 방향이 일정한 양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정류 회로(2112)는 직류 연결 커패시터(DC link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 연결 커패시터는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는 양의 전압을 일정한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인버터 회로(2113)는 작동 코일(2120)로의 구동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 회로와, 작동 코일(2120)과 함께 공진을 일으키는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는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는 정류 회로(2112)로부터 출력되는 플러스 라인과 마이너스 라인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는 구동 프로세서(2116)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될 수 있다.
인버터 회로(2113)는 작동 코일(21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 회로(2113)에 포함된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의 턴 온/턴 오프에 따라 작동 코일(212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이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코일(2120)에는 교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작동 코일(2120)에 사인파 형태의 교류 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가 길수록(예컨대,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가 작을수록) 작동 코일(2120)에 공급되는 전류가 커질 수 있으며, 작동 코일(2120)이 출력하는 자기장의 세기(스테이션(2000)의 출력)가 커질 수 있다.
스테이션(2000)이 복수의 작동 코일(2120)을 포함하는 경우, 구동부(2110)는 분배 회로(211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회로(2114)는 복수의 작동 코일(2120)에 공급되는 전류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스위치는 구동 프로세서(2116)의 분배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될 수 있다.
전류 감지 회로(2115)는 인버터 회로(2113)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센서는 측정된 전류 값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구동 프로세서(2116)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 프로세서(2116)는 스테이션(2000)의 출력 세기(파워 레벨)에 기초하여 인버터 회로(2113)에 포함된 스위칭 회로의 스위칭 주파수(턴 온/턴 오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동 프로세서(2116)는, 결정된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스위칭 회로를 턴 온/턴 오프하기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작동 코일(2120)은 조리기기(1000)를 가열하기 위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코일(2120)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작동 코일(2120)의 주변에 자기장이 유도될 수 있다. 작동 코일(2120)에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는 전류, 즉 교류 전류가 공급되면, 작동 코일(2120)의 주변에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는 자기장이 유도될 수 있다. 작동 코일(2120) 주변의 자기장은 강화 유리로 구성된 상판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판에 놓인 조리기기(1000)에 도달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는 자기장으로 인하여 조리기기(1000)에는 자기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할 수 있으며, 와전류로 인해 조리기기(1000)에는 전기 저항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전기 저항 열은 저항체에 전류가 흐를 때 저항체에 발생하는 열로써, 줄 열(Joule Heat)이라고도 한다. 전기 저항 열에 의하여 조리기기(1000)가 가열되며, 조리기기(1000) 안의 내용물이 가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코일(2120)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수신 코일을 통과하면서 조리기기(1000)의 수신 코일(1003)에 유도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때, 조리기기(1000)는 수신 코일(1003)에서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부하(1004)인 히터를 구동하여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다. 작동 코일(2120)은 조리기기(1000)의 수신 코일(1003) 대비 송신 코일이라 표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0)는, 스테이션(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00)는 메모리(2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부(2100), 통신 인터페이스(2300), 센서부(2400), 출력 인터페이스(2500), 사용자 인터페이스(2600), 메모리(27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이션(2000)은, 인공 지능(AI) 프로세서를 탑재할 수도 있다. 인공 지능(AI) 프로세서는, 인공 지능(AI)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스테이션(2000)에 탑재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200)는 조리기기(1000)의 다중 전원 구조를 채용하는 조리기기(1000)의 다중 전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의 다중 전원 제어 방식에 관한 정보는 스테이션(2000)의 메모리(270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조리기기(10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또는 외부 서버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0)는 조리기기(1000) 안의 내용물의 온도가 목표 가열 온도에 도달하도록 무선 전력 송신부(2100)에 의한 전력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300)를 통해서 조리기기(1000)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조리기기(1000) 안의 내용물의 온도가 목표 가열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 안의 내용물의 온도가 목표 가열 온도에 도달한 경우, 프로세서(2200)는 무선 전력 송신부(2100)에 의한 전력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0)는 작동 코일(2120)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인버터 회로(2113)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0)는, 근거리 통신부(2310), 원거리 통신부(2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FC, Near Field Communication interface),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통신부(23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통신부(2320)는, 3G 모듈, 4G 모듈, 5G 모듈, LTE 모듈, NB-IoT 모듈, LTE-M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인터페이스(2300)를 통해 상판에 위치하는 조리기기(1000)의 식별 정보(예컨대, 조리기기의 종류, 맥 어드레스, 모델 명 등)를 조리기기(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0)는 조리기기(1000)에서 측정되는 내용물의 온도 정보를 조리기기(10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센서부(2400)는 스테이션(2000)의 기능에 따라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센서부(2400)는 온도 센서(2410), 적외선 센서(2420), 근접 센서(2430), 중량 센서(2440), 자기 센서(2450)를 비롯하여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2410)는 상판에 놓인 조리기기(1000)의 온도 또는 상판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는 작동 코일(2120)에 의하여 유도 가열되며, 재질에 따라 과열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션(2000)은 상판에 놓인 조리기기(1000) 또는 상판의 온도를 감지하고, 조리기기(1000)가 과열되면 작동 코일(2120)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온도 센서(2410)는 작동 코일(2120) 인근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2410)는 작동 코일(2120)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온도 센서(2410)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는 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온도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 센서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온도 센서일 수도 있다. 적외선 센서(2420), 근접 센서(2430), 중량 센서(2440) 및 자기센서(2450)는 조리기기(1000)가 스테이션(2000) 상에 놓여졌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510)와 음향 출력부(25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이션(2000)은 디스플레이부(2510)를 통해서 조리기기(100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2000)은, 조리기기(1000)가 감지되거나 조리기기(1000)의 통신부(1200) 전원이 확립되어 통신부(1200)로부터 전송되는 조리기기(1000)의 식별 정보(예컨대, 전기 포트)를 디스플레이부(2510)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션(2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스테이션(2000)는 디스플레이부(25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2520)는 통신 인터페이스(23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520)는 스테이션(20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000)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력 인터페이스(2500)는 다중 전원 상태 정보, 조리기기(1000) 안의 내용물의 현재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25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출력 인터페이스(2500)는 조리기기(1000) 안의 내용물의 현재 온도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력 인터페이스(2500)는 조리기기(1000)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2500)는, 조리기기(1000)의 종류, 조리기기(1000)의 모델명, 조리기기(1000)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251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력 인터페이스(2500)는 현재 파워 레벨, 동작 모드(예컨대, 저소음 모드, 일반 모드, 고출력 모드 등), 다중 전원 확립 상태(통신부 전원 확립 완료, 제어부 전원 확립 완료, 디스플레이부 전원 확립 중, 디스플레이부 전원 확립 완료)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6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60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600)는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20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ASR(Automatic Speech Recognition) 모델을 이용하여 음성 부분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스테이션(2000)은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모델을 이용하여 변환된 텍스트를 해석하여, 사용자의 발화 의도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ASR 모델 또는 NLU 모델은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된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 질 수 있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은, 기본 인공지능 모델이 학습 알고리즘에 의하여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학습됨으로써, 원하는 특성(또는, 목적)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이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가중치들(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들 간의 연산을 통해 신경망 연산을 수행한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계 번역(Machine Translation), 대화 시스템(Dialog System), 질의 응답(Question Answering), 음성 인식/합성(Speech Recognition/Synthesis)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2700)는, 프로세서(2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조리기기(1000)의 식별 정보, 조리기기(1000)의 온도 제어 방식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700)는 인공지능 모델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20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및 도 4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조리기기(1000)는, 자성체(예컨대, IH 금속)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IH 용기인 제 1 타입 조리기기(1000a)를 포함할 수 있는데, IH 용기인 제 1 타입 조리기기(1000a)와 스테이션(2000)과 통신 가능한 제 2 타입 조리기기(1000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2000)과 통신 가능한 제 2 타입의 조리기기(1000b)는 소형 가전(small appliance)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타입의 조리기기(1000b)는 IH 금속(예컨대, 철 성분)을 포함하는 제 2-1 타입의 조리기기(1000b-1)와 수신 코일(1003)을 포함하는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로 분류될 수 있다. 각 타입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제 1 타입의 조리기기(1000a)는, 스테이션(2000)에 의해 유도 가열될 수 있고, 자성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용기일 수 있다. 유도 가열(IH)에 대해서는 앞선 도 1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제 2 타입의 조리기기(1000b)는 픽업 코일(1001), 전원부(1010), 제어부(1100), 통신부(1200), 출력인터페이스(1300), 센서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010), 제어부(1100), 통신부(1200), 출력인터페이스(1300), 센서부(1400)는 인쇄회로기판(1005, 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될 수 있다. 픽업 코일(1001)은 PCB(1005)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생성하는 '소전력용 코일' 또는 '소전력 코일'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픽업 코일(1001)을 통해 PCB(1005)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PCB(1005)에 실장된 부품들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 코일(1001)을 통해 PCB(1005)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전원부(1010), 제어부(1100), 통신부(1200), 출력 인터페이스(1300), 센서부(140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PCB(1005)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PCB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1005)는 전원부(1010), 제어부(1100), 통신부(1200), 출력 인터페이스(1300) 및 센서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10)는 픽업 코일(1001)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1100), 통신부(1200), 출력인터페이스(1300) 및 센서부(140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일 수 있다. 또한, 전원부(1010)는 제어부(1100) 통신부(1200), 출력 인터페이스(1300) 및 센서부(1400)뿐만 아니라 조리기기(1000b)내 다른 콤포넌트에서 상용 교류 전원이 아닌 형태의 교류, 직류 전원이 필요한 경우 이를 공급해주는 인버터(inverter) 및/또는 컨버터(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1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정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는 시간에 따라 크기와 극성(양의 전압 또는 음의 전압)이 변화하는 교류 전압을 크기와 극성이 일정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양의 전류 또는 음의 전류)이 변화하는 교류 전류를 크기가 일정한 직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정류부는 브리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 다이오드는 시간에 따라 극성이 변화하는 교류 전압을 극성이 일정한 양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시간에 따라 방향이 변화하는 교류 전류를 방향이 일정한 양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정류부는 직류 연결 커패시터(DC link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 연결 커패시터는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는 양의 전압을 일정한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평활화할 수 있다. 직류 연결 커패시터에 연결된 인버터는 조리기기(1000b)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주파수 및 크기의 교류 전원을 생성할 수 있고, 컨버터는 조리기기(1000b)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직류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0), 메모리(1120)와 통신 인터페이스(1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조리기기(1000b)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원부(1010), 통신부(1200), 출력 인터페이스(1300) 및 센서부(140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100)는 전원부(1010)를 통해 스테이션(2000)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의 전력 전송 패턴을 감지하여 조리기기(1000b)의 현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0)는, 기 저장된 조리 영역 별 전력 전송 패턴들과 감지된 전력 전송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감지된 전력 전송 패턴이 어떤 조리 영역에서의 전력 전송 패턴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조리기기(1000b)는 전력 전송 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0)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통신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0)는 조리기기(1000b)의 식별 정보, 조리기기(1000b)의 위치 정보, 및 조리기기(1000b)의 통신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스테이션(20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100)는 센서부(14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센서부(1400)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온도 센서(1410), 적외선 센서(1420), 근접 센서(1430), 중량 센서(1440) 및 지자기 센서(145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0)는 조리기기(1000b) 안의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1100)에 전달하도록 온도 센서(14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0)는, 일정 주기로 내용물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온도 센서(14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스테이션(2000)으로 내용물의 온도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조리기기(1000a)는 센서부(140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1100)의 프로세서(1110)는 조리기기(1000b)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30) 및 통신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13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30)는, 조리기기(1000b)와 스테이션(2000), 조리기기(1000b)와 서버 장치(미도시), 조리기기(1000b)와 모바일 단말(미도시), 조리기기(1000b)와 다른 가전 기기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130)는, 근거리 통신부, 원거리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130)의 기능은 통신부(1200)가 모두 대체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1130)는 제어부(11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30)는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통신부는 조리기기(1000b)가 IoT(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원격으로 서버 장치(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서버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원거리 통신부는 인터넷,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3G 모듈, 4G 모듈, 5G 모듈, LTE 모듈, NB-IoT 모듈, LTE-M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조리기기(1000a)는 통신 인터페이스(1130)를 통신부(1200)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메모리(1120)에는 조리기기(1000b)를 동작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과 조리기기(1000b)에 대한 정보, 그리고 조리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메모리(1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이 저장될 수도 있다.
통신부(12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0), 출력 인터페이스(1300), 및 센서부(1400)보다 먼저 전원이 확립될 수 있다. 통신부(1200)가 제어부(1100), 출력 인터페이스(1300), 및 센서부(1400)보다 먼저 전원이 확립되면, 통신부(1200) 내의 프로세서(1210)의 제어를 통해 통신부 메모리(1220)에 저장된 조리기기(1000b)의 정보를 스테이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0)의 전원이 확립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10)는 조리기기(1000b)의 제어권을 제어부(1100)로 이양할 수 있다. 제어부(1100)의 프로세서(1110)는 이양된 제어권을 통해 조리기기(1000b)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이며, 프로세서(1210)는 제어부(1100)의 전원 확립 전까지 조리기기(1000b)에 필요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부(1100)의 전원이 확립되면 제어부(1100)의 프로세서(1110)와 통신부(1200)의 프로세서(1210)는 서로 역할을 나누어 조리기기(1000b)를 각각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0)는, 조리기기(1000b)와 스테이션(2000), 조리기기(1000b)와 서버 장치(미도시), 또는 조리기기(1000b)와 모바일 단말(미도시)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0)는, 근거리 통신부, 원거리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FC,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통신부는 조리기기(1000b)가 IoT(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원격으로 서버 장치(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서버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원거리 통신부는 인터넷,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3G 모듈, 4G 모듈, 5G 모듈, LTE 모듈, NB-IoT 모듈, LTE-M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기기(1000b)는 스테이션(2000)을 통해서 서버 장치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00b)는 조리기기(1000b)에서 획득한 정보(예컨대, 내용물의 온도 정보, 조리기기의 장치 정보, 제조 년월일, 시리얼 넘버 등)를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BLE 등)을 통해서 스테이션(2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2000)은 WLAN(와이파이) 통신부와 원거리 통신부(인터넷)를 통해 서버 장치에 접속함으로써, 조리기기(1000b)에서 획득한 정보(예컨대, 내용물의 온도 정보, 조리기기의 장치 정보, 제조 년월일, 시리얼 넘버 등)를 서버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장치는, 스테이션(2000)으로부터 수신한 조리기기(1000b)에서 획득한 정보를 서버 장치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이션(2000)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예컨대, WFD(Wi-Fi Direct) 통신 또는 BLE 통신)을 통해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조리기기(1000b)에서 획득한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조리기기(1000a)의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디스플레이부(1310), 음향 출력부(1320), 진동 모터(1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10)는 출력 인터페이스 이외에 입력 인터페이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0)는 액정 디스플레이부(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부(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부(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부(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기기(1000b)는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3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30)를 통해 수신되거나 메모리(112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320)는 조리기기(1000b)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예를 들어, 알림음, 안내 음성, 목표 가열 온도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내용물의 현재 온도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다중 전원 상태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조리기기(1000b)는 음향 출력부(132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조명 장치(예컨대,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조리기기(1000b)의 다중 전원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PCB(1005)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PCB(1005)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1005)는 통신 인터페이스(1130)가 생략되고 제어부(1100)와 통신부(1200)로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PCB(1005)는, 제어부(1100), 통신부(1200) 및 출력 인터페이스(1300)로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PCB(1005)를 포함하는 조리기기(1000b)는, 제어부(1100), 통신부(1200), 출력 인터페이스(1300) 및 센서부(1400) 외에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배터리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PCB(1005)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조리기기(1000b)의 다중 전원 제어 방식을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기기(1000b)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배터리를 보조 전력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00b)가 보온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조리기기(1000b)는 스테이션(2000)로부터의 전력 송신이 중단되더라도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조리기기(1000b)를 계속 가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기기(1000b)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배터리를 보조 전력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00b)가 보온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조리기기(1000b)는 스테이션(2000)로부터의 전력 송신이 중단되더라도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내용물의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b)는 내용물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로 알림을 전송하거나, 스테이션(2000)에 전력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000b)가 스테이션(2000)로부터 전력을 수신 받기 전에,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통신부(1200)를 구동하고, 스테이션(2000)에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스테이션(2000)에서 조리기기(1000b)를 미리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배터리는 2차 전지(예컨대, 리튬이온전지, 니켈·카드뮴전지, 폴리머전지, 니켈수소전지 등), 슈퍼 커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슈퍼 커패시터는 축전용량이 대단히 큰 커패시터로 울트라 커패시터(Ultra-Capacitor) 또는 초고용량 커패시터라고 부른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기기(1000b)가 메모리를 포함하는 경우,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조리 영역 별 전력 전송 패턴 정보, 조리기기(1000b)의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될 수 있다. 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이 저장될 수도 있다.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제 2 타입의 조리기기(1000b)는 통신 코일(100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코일(1002)은 스테이션(200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코일이다. 예를 들어, 통신 코일(1002)은 NFC 통신을 위한 NFC 안테나 코일일 수 있다. 도 4b에서는 통신 코일(1002)의 권선 수가 하나인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코일(1002)의 권선 수는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코일(1002)은 5~6 턴으로 권취될 수 있다. 통신 코일(1002)에 연결된 NFC 회로는 픽업 코일(1001)을 통해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타입의 조리기기(1000b)는 IH 금속(예컨대, 철 성분)을 포함하는 제 2-1 타입의 조리기기(1000b-1)와 수신 코일(1003)을 포함하는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1 타입의 조리기기(1000b-1)의 경우, 일반적인 IH 용기인 제 1 타입의 조리기기(1000a)와 같이, 조리기기(1000b-1)의 IH 금속에 와전류가 발생함으로써, 조리기기(1000b-1) 안의 내용물이 가열될 수 있다. 제 2-1 타입의 조리기기(1000b-1)에는 스마트 주전자(smart kettle), 전기 밥솥(스마트 냄비)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는, 제 2-1 타입의 조리기기(1000b-1) 보다 수신 코일(1003)과 부하(10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1003)은 스테이션(2000)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부하(1004)를 구동하는 코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2000)의 송신 코일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이 수신 코일(1003)을 통과하면서 수신 코일(1003)에 유도 전류가 흘러 부하(1004)로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수신 코일(1003)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것을 수신 코일(1003)이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 코일(1003)은 동심원 형태일 수도 있고, 타원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 코일(1003)은 복수 개 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는, 보온 히터용 수신 코일과 가열 히터용 수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열 히터용 수신 코일은 가열 히터를 구동하고 보온 히터용 수신 코일은 보온 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에서 픽업 코일(1001), 통신 코일(1002), 수신 코일(1003)은 동일한 레이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하면, 통신 코일(1002)이 가장 안쪽에 배치되고 중간에 수신 코일(1003)이 배치되고, 픽업 코일(1001)이 가장 외곽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c의 410을 참조하면, 수신 코일(1003)이 가장 안쪽에 배치되고, 중간에 픽업 코일(1001)이 배치되고, 가장 외곽에 통신 코일(100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c의 420을 참조하면, 수신 코일(1003)이 가장 안쪽에 배치되고, 중간에 통신 코일(1002)이 배치되고, 가장 외곽에 픽업 코일(1001)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라 가장 안쪽부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코일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1) 픽업 코일(1001) - 수신 코일(1003) - 통신 코일(1002)
2) 픽업 코일(1001) - 통신 코일(1002) - 수신 코일(1003)
3) 통신 코일(1002) - 픽업 코일(1001) - 수신 코일(1003)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에서 픽업 코일(1001), 통신 코일(1002), 수신 코일(1003)은 적층된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c의 430을 참조하면, 권선 수가 많지 않은 픽업 코일(1001)과 통신 코일(1002)이 한 레이어를 이루고, 수신 코일(1003)이 또 다른 레이어를 형성하여 두 레이어가 적층될 수 있다.
부하(1004)는 히터,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터는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 안의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히터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외피의 재질(예컨대, 철, 스테인레스, 동, 알루미늄, 인코로이, 인코텔 등)도 다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는 히터를 복수 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는 보온 히터와 가열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보온 히터와 가열 히터는 다른 레벨의 히팅 출력을 낼 수 있다. 예컨대, 보온 히터의 히팅 레벨이 가열 히터의 히팅 레벨 보다 낮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는, 수신 코일(1003)과 부하(1004) 사이에 공진 캐패시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하(1004)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량에 맞게 공진 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는, 부하(1004)의 동작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부(예컨대, 릴레이 스위치 또는 반도체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는, 히터 적용 제품(예컨대, 커피 머신(커피 드리퍼), 토스터), 모터 적용 제품(예컨대, 블렌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타입의 조리기기(1000a)는 IH 금속을 포함하므로, 스테이션(2000)의 IH 용기 감지 모드에서는 감지될 수 있으나, 제 1 타입의 조리기기(1000a)는 스테이션(2000)과 통신이 불가능하므로 스테이션(2000)의 소형 가전 감지 모드에서는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1 타입의 조리기기(1000b-1)는 IH 금속을 포함하므로, 스테이션(2000)의 IH 용기 감지 모드에서 감지될 수 있으며, 제 2-1 타입의 조리기기(1000b-1)는 스테이션(2000)과 통신도 가능하므로, 스테이션(2000)의 소형 가전 감지 모드에서도 감지될 수 있다.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는 IH 금속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스테이션(2000)의 IH 용기 감지 모드에서는 감지되지 않으나,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1000b-2)는 스테이션(2000)과 통신 가능하므로, 스테이션(2000)의 소형 가전 감지 모드에서는 감지될 수 있다.
도 4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00b-1)은 IH 방식에 의해 가열되는 제 2-1 타입의 조리기기로서 케틀을 도시하고 잇다.
조리기기(1000b-1)는 픽업 코일(1001)과 통신 코일(1002)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2000)으로부터 유도된 전력에 의해 조리기기(1000b-1)에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를 통해 조리기기(1000b-1)는 가열된다.
픽업 코일(1001)을 통해 PCB(1005)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이 생성된다. 통신 코일(1002)을 통해서 조리기기(1000b-1)와 스테이션(2000)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4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e는 수신 코일(1003)을 통해 가열하는 제 2-2 타입의 조리기기로서 케틀이라는 조리기기(1000b-2)를 도시하고 있다.
도 4e에 따른 조리기기(1000b-2)는 IH 방식의 조리기기(1000a, 1000b-1) 보다 수신 코일(1003)과 부하(10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픽업 코일(1001)과 통신 코일(1002)은 도 4a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PCB(1005)가 포함하는 구성들(제어부(1100), 통신부(1200), 출력 인터페이스(1300) 및 센서부(1400))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히터 방식의 조리기기로서 부하(1004)와 수신 코일(1003)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수신 코일(1003)은 스테이션(2000)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히터인 부하(1004)를 구동하는 코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2000)의 송신 코일(작동 코일)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이 수신 코일(1003)을 통과하면서 수신 코일(1003)에 유도 전류가 흘러 히터인 부하(1004)로 조리기기(1000b-2)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 코일(1003)은 동심원 형태일 수도 있고, 타원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하(1004)는 조리기기(1000b-2) 안의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부하(1004)는 히터로서 동작하며, 여기서 히터 형상은 다양할 수 있는데, 외피의 재질(예컨대, 철, 스테인레스, 동, 알루미늄, 인코로이, 인코텔 등)도 다양할 수 있다.
도 4e의 히터 방식의 조리기기(1000b-2)는 전력 수신 방식의 조리기기라고도 하는데, 전력 수신 방식의 조리기기(1000b-2)는 수신 코일(1003)과 인접한 히터를 구동하는 가열용 조리기기일 수 있고, 수신 코일(1003)과 상당한 이격(예) 15cm)이 있는 히터를 구동하는 커피 드리퍼와 같은 조리기기일 수도 있으며, 수신 코일(1003)을 통해 모터를 구동하는 블렌더와 같은 조리기기일 수도 있다. 비록 조리기기는 아니지만, 전력 수신 방식의 조리기기(1000b-2)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때 배터리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수신 코일(1003)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진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기기(1000b-2)는, 수신 코일(1003)과 부하(1004) 사이에 공진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하(1004)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량에 맞게 공진 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기기(1000b-2)는, 부하(1004)의 동작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부(예컨대, 릴레이 스위치 또는 반도체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 코일(1003)과 픽업 코일(1001)은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통해 스테이션(2000)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으로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전기에너지를 전자기파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선 없이 무선으로 에너지를 부하로 전달하는 기술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자기유도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유도 방식은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의 대부분이 2차 코일을 통과하면서 2차 코일에 유도 전류가 흘러 부하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술이다. 일례로서 스테이션(2000)에서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을 계속적 혹은 간헐적으로 인가할 때, 픽업 코일(1001)은 10W 정도의 전력을 생성하고 수신 코일(1003)에서는 1000W 정도의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할 수 있다. 수신 코일(1003)은 '대전력 코일'이고 상대적으로 픽업 코일(1001)은 '소전력 코일'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가전 장치는 조리기기(1000)일 수 있다. 조리기기(1000)는 스테이션(2000)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픽업 코일(1001), 픽업 코일(1001)의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1500), 정류부(1500) 출력을 평활화하는 정류부 커패시터(1510), 통신부(1200)를 빠르게 안정시키기 위한 소용량의 커패시터인 제 1 커패시터(1270)와 정류부(1500)로부터 제 1 커패시터(1270)에 감압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통신부 전원부(1250)로 구성된다. 또한, 조리기기(1000)는 정류부(1500) 출력을 입력받아 제어부(1100) 전원을 안정화시키고 확립하기 위해 제 1 커패시터(1270)에 비해 대용량인 제 2 커패시터(1170)에 전압을 공급하는 제어부 전원부(1150)를 포함한다.
통신부 전원부(1250)와 제어부 전원부(1150)는 레귤레이터, 아날로그 릴레이 회로 또는 감압 컨버터인 벅 컨버터(buck converte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 전원부(1250)는 통신부(1200)만 구동시키면 되므로 수십 mW 정도의 저전력만 공급할 수 있는 정도의 공급 능력을 가지면 충분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0)는 제어부(1100)의 프로세서(1110)를 구동시킬 경우 설계 사양에 따라 0.5W~200W의 전력이 필요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가 제어부(1100)와 출력 인터페이스(1300)까지 함께 구동시킬 경우는 수백 W의 전력이 필요할 것이다.
픽업 코일(1001)에서 무선으로 전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전력은 정류부(1500)를 통해 정류되고, 상대적으로 저용량 커패시터인 제 1 커패시터(1270)에서의 충전이 제 2 커패시터(1170)에 비해 빠르게 완료될 수 있으므로 통신부(1200)는 제어부(1100)에 비해 빠른 시간 - 대략 100ms - 안에 전원 안정화가 이루어진다. 통신부(1200)는 전원 안정화가 이루어지면 스테이션(2000)에 소정의 데이터 - 가전 장치인 조리기기(1000)의 식별정보, 조리기기(1000) 온 시 웰컴 메시지, 조리기기(1000)의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 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제 1 커패시터(1270)보다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제 2 커패시터(1170)에서의 충전이 완료되면서 전원이 안정화되므로 통신부(1200)에 비해 비교적 늦은 시간에 활성화된다. 제어부(1100) 전원이 활성화되면 제어부(1100)는 프로세서(1110)를 통해 조리기기(10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의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1000)는 제 1 커패시터(1270)와 제 2 커패시터(1170)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치(SW1, 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따른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1000)는 앞선 도 6에서와 같이 동작한다. 그런데, 조리기기(1000)의 제어부(1100) 전원이 안정화되면, 제 2 커패시터(1170)에 의해 확립되는 전원은 제 1 스위치(1600)를 통해 통신부(1200)와 제어부(1100)가 공유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스위치(1600)는 다이오드(1601) 혹은 트랜지스터(160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는 어떤 전기기기 - 예를 들어, FET(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 - 도 제 1 스위치(1600)로 사용될 수 있다.
만일 제 1 스위치(1600)가 다이오드(1601)이면 제 2 커패시터(1170)의 양(+)극이 다이오드(1610)의 애노드(anode), 제 1 커패시터(1270)의 양(+)극이 다이오드(1601)의 캐쏘드(cathode)와 각각 연결된다. 제어부(1100) 전원이 안정화될 때, 제 2 커패시터(1170)의 전원은 제 1 스위치(1600)를 통해 통신부(1200)가 제어부(1100)가 공유할 수 있다.
만일 제 1 스위치(1600)가 트랜지스터(1603)이면, 제 2 커패시터(1170)의 양(+)극이 트랜지스터(1603)의 컬랙터, 제 1 커패시터(1270)의 양(+)극이 트랜지스터(1603)의 이미터와 각각 연결된다. 제어부(1100) 전원이 안정화될 때, 제 2 커패시터(1170)의 전원이 제 1 스위치(1600)인 트랜지스터(1603)를 통해 통신부(1200)와 제어부(1100)는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0)는, 조리기기(1000)가 픽업 코일(1001)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제 2 커패시터(1170)를 통해 제어부(1100) 전원이 안정화되는 시간을 포함한 소정의 시간 경과 후, 트랜지스터(1603)를 턴 온하여 제어부(1100)는 통신부(1200)와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정의 시간은 제 2 커패시터(1170)에 충전이 완료되는 시간 또는 제 2 커패시터(1170)에 소정의 크기만큼 충전이 되는 시간일 수 있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8a에 따른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1000)는 정류부(1500) (혹은 정류부 커패시터(1510))와 통신부 전원부(1250) 사이에 통신부 스위치(SW2, 162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트랜지스터(1603)를 턴 온하여 제어부(1100)가 통신부(1200)와 전원을 공유하게되면, 정류부(1500)와 제 1 커패시터(1270) 간 연결된 통신부 스위치(1620)를 오프하여 통신부(1200)가 더 이상 정류부(1500)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지 않고 제 2 커패시터(117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한다. 이 경우 통신부 전원부(1250)가 더 이상 동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통신부 전원부(125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절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0)는 제 2 커패시터(1170)의 충전량에 따라 정류부(1500) 혹은 정류부 커패시터(1510)와 통신부 전원부(1250) - 궁극적으로 제 1 커패시터(1270) - 를 연결하는 통신부 스위치(1620)의 개폐(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0)는 제 2 커패시터(1170)의 충전량이 통신부(1200)와 제어부(1100)에 전원을 함께 공급하기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소정의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제어부(1100)는 통신부 스위치(1620)를 턴 온함으로써 통신부 전원부(1250)는 정류부(1500)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0)는 트랜지스터(1603)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제어를 함께 병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0)는 조리기기(1000)가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 2 커패시터(1170)의 충전량이 통신부(1200)와 제어부(1100)에 전원을 함께 공급하기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소정의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제어부(1100)는 배터리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스위치(1620)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는 어떤 전기기기 - 예를 들어, FET(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 - 도 통신부 스위치(1620)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8a에 따른 조리기기(1000)는 출력 인터페이스(1300)도 제어부(1100)와 함께 제 2 커패시터(117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커패시터(1170)의 커패시턴스 용량은 제어부(1100)에만 전력을 공급할 때에 비해 좀더 넉넉한 용량 크기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8b에 따른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1000)에는 제 2 커패시터(1170)와 제 1 커패시터(1270) 간 제 1 다이오드(1601)가 연결되고, 정류부(1500)(혹은 정류부 커패시터(1510))와 통신부 전원부(1250) 간에 통신부 스위치(SW2, 1620)가 연결된다.
제어부(1100)의 전원이 안정화되면 통신부(1200)는 안정화된 제어부(1100) 전원을 통신부(1200) 전원으로 공유하여 사용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100)는 제어부(1100)의 전원 확립을 기초로 정류부(1500)와 제 1 커패시터(1270) 간 연결된 통신부 스위치(1620)를 오프하여 통신부(1200)가 더 이상 정류부(1500)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지 않고 제 2 커패시터(117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 전원부(1250)는 더 이상 동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통신부 전원부(125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절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0)는 제 2 커패시터(1170)의 충전량에 따라 정류부(1500) 혹은 정류부 커패시터(1510)와 통신부 전원부(1250) - 궁극적으로 제 1 커패시터(1270) - 를 연결하는 통신부 스위치(1620)의 개폐(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커패시터(1170)의 충전량이 통신부(1200)와 제어부(1100)에 전원을 함께 공급하기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소정의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제어부(1100)는 통신부 스위치(1620)를 턴 온함으로써 통신부 전원부(1250)가 정류부(1500)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8b에 따른 조리기기(1000)는 출력 인터페이스(1300)도 제어부(1100)와 함께 제 2 커패시터(117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커패시터(1170)의 커패시턴스 용량은 제어부(1100)에만 전력을 공급할 때에 비해 좀더 여유있는 용량 크기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기기(1000)는 정류부(1500)(혹은 정류부 커패시터(1510))와 제어부 전원부(1150) 간에 제어부 스위치(SW3, 1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200)의 전원이 안정화될 때까지 제어부 스위치(1630)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어 픽업 코일(1001)로부터의 생성되는 전원은 온전히 통신부(1200) 전원 안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1200)의 전원이 빠르게 안정화되면, 통신부(1200)의 활성화(전원 안정화)에 기초하여 제어부(1100)를 활성화기 위해 제어부 스위치(1630)가 턴 온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0)가 활성화되기 전에는 제어부 스위치(1630)의 개폐는 통신부(1200)의 프로세서(1210)가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스위치(1630)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는 어떤 전기기기 - 예를 들어, FET(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 - 도 제어부 스위치(1630)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1000)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커패시터(1170)의 출력단에 제어부(1100) 뿐만 아니라 출력 인터페이스(1300)도 연결되므로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제어부(1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제어부(1100)와 공유한 제 2 커패시터(117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310), 음향출력부(1320) 및/또는 진동모터(1330)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0)의 전원 안정화 후에 출력 인터페이스(1300)를 순차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해 제 2 커패시터(1170)와 출력 인터페이스(1300) 간에 출력 인터페이스 스위치(SW4, 16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100)의 프로세서(1110)는 제어부(1100)의 전원 안정화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100) 전원 안정화를 스위치 제어 이벤트로 하여, 출력 인터페이스 스위치(1640)를 턴 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스위치(1640)가 턴 온되면 제 2 커패시터(1170)를 통한 전원이 출력 인터페이스(1300)에 공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조리기기(1000)는 출력 인터페이스 스위치(1640) 없이 제 2 커패시터(1170)를 통해 제어부(1100)와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 안정화를 동시에 꾀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기기(1000)는 스테이션(2000)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픽업 코일(1001), 픽업 코일(1001)의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1500), 정류부(1500)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정류부 커패시터(도시되지 않음), 통신부(1200)를 빠르게 안정시키기 위한 소용량의 커패시터인 제 1 커패시터(1270)와 정류부(1500)로부터 제 1 커패시터(1270)에 감압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통신부 전원부(1250)로 구성된다. 또한, 조리기기(1000)는 정류부(1500) 출력을 입력받아 제어부(1100)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제 1 커패시터(1270)에 비해 대용량인 제 2 커패시터(1170)에 전압을 공급하는 제어부 전원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기기(1000)는 정류부(1500) 출력을 입력받아 출력 인터페이스(1300)에 공급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제 3 커패시터(1370)에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인터페이스 전원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커패시터(1370)는 제 2 커패시터(1170)에 비해 대용량일 수 있다.
통신부 전원부(1250), 제어부 전원부(1150) 및 출력 인터페이스 전원부(1350)는 정류부(1500) 출력을 각각 제 1 커패시터(1270), 제 2 커패시터(1170) 및 제 3 커패시터(1370)에 공급하기 위한 레귤레이터, 아날로그 릴레이 회로 또는 감압 컨버터인 벅 컨버터(buck converte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 전원부(1250)는 통신부(1200)만 구동시키면 되므로 수십 mW 정도의 저전력만 공급할 수 있는 정도의 공급 능력을 가지면 충분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0)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략 0.5W~200W의 전력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수백 W를 소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0)에 비해 좀더 큰 전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의 픽업 코일(1001)에서 무선으로 전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전력은 정류부(1500)를 통해 정류되고, 저용량의 제 1 커패시터(1270)의 충전이 제 2 커패시터(1170)와 제 3 커패시터(1370)에 비해 빠르게 완료된다. 따라서, 통신부(1200)는 제어부(1100)와 출력 인터페이스(1300)에 비해 빠른 시간 - 대략 100ms - 안에 전원 안정화가 이루어진다. 통신부(1200)는 전원 안정화가 이루어짐과 함께 스테이션(2000)에 소정의 데이터 - 조리기기(1000)의 식별정보, 조리기기(1000) 온 시 웰컴 메시지, 조리기기(1000)의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 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커패시터(1270)보다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제 2 커패시터(1170)의 충전이 완료되면서 제어부(1100)의 전원이 안정화된다. 따라서, 제어부(1100)는 통신부(1200)에 비해 비교적 늦은 시간에, 하지만 출력 인터페이스(1300)보다는 좀더 이른 시간에 전원이 안정화된다. 제어부(1100) 전원이 안정화되면 제어부(1100)는 프로세서(1110)를 통해 조리기기(10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커패시터(1170)보다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제 3 커패시터(1370)의 충전이 완료되면서 출력 인터페이스(1300)를 위한 전원이 안정화되므로 제어부(1100)에 비해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은 상대적으로 늦은 시간에 안정화된다. 출력 인터페이스(1300) 전원이 안정화되면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디스플레이(1310), 음향출력부(1320) 및/또는 진동모터(1330)를 통해 조리기기(1000)는 시각적 출력, 청각적 출력 및/또는 촉각적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 따른 회로도에서 제 1 커패시터(1270)의 커패시턴스가 C1, 제 2 커패시터(1170)의 커패시턴스가 C2, 제 3 커패시터(1370)의 커패시턴스가 C3일 때, C3 ≥ C2 ≥ C1가 성립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크기는 전원 안정화 시간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세 개의 커패시터 중 가장 큰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제 3 커패시터(1370)에 의해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 안정화가 이루어지면, 제 3 커패시터(1370)로부터 제 5 스위치(SW5, 1650)를 통해 통신부(1200)에도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5 스위치(1650)는 다이오드(1651) 혹은 트랜지스터(165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는 어떤 전기기기 - 예를 들어, FET(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 - 도 제 5 스위치(1650)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커패시터(1170)와 제 1 커패시터(1270)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치(1600)를 통해, 제어부(1100) 전원이 확립되면 제 2 커패시터(1170)에 확립된 전원을 통신부(1200)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 3 커패시터(1370)에 의해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 안정화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100)에 의해 제 5 스위치(1650)와 제 1 스위치(1600) 중 어느 하나만 턴 온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세 개의 커패시터 중 가장 큰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제 3 커패시터(1370)에 의해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 안정화가 이루어지면, 제 3 커패시터(1370)로부터 제 6 스위치(SW6, 1660)가 턴 온되어 제어부(1100)에도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6 스위치(1660)는 다이오드(1661) 혹은 트랜지스터(166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는 어떤 전기기기 - 예를 들어, FET(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 - 도 제 6 스위치(1660)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커패시터(1170)와 제 1 커패시터(1270)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치(1600)를 통해, 출력 인터페이스(1300) 전원이 확립되면 제 3 커패시터(1370)에 확립된 전원을 제어부(1100)뿐 아니라 통신부(1200)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 안정화 후 제 6 스위치(1660)가 턴 온된 다음, 제 1 스위치(1600)가 턴 온되는 순서로 제어부(1100)가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 안정화 이후 제 6 스위치(1660) 턴 온과 동시에 제 1 스위치(1600)가 턴 온되도록 제어부(1100)가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스위치 제어는 제어부(1100)의 프로세서(11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200) - 제어부(1100) - 출력 인터페이스(1300) 순서로 전원이 안정화되므로, 제어부(1100) 전원이 안정화되면 제어부(1100)는 제 1 스위치(1600)를 턴 온하도록 제어하고, 이후에 출력 인터페이스(1300) 전원이 안정화되면 제 6 스위치(1660)를 턴 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1600)와 제 6 스위치(1660) 턴 온에 의해 가장 용량이 큰 제 3 커패시터(1370) 만으로 도 13에 따른 통신부(1200), 제어부(1100) 및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통신부 전원부(1250) 및 제어부 전원부(115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또 다른 회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4에 따른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1000)는 통신부 전원부(1250) 앞단에 통신부 스위치(1620), 제어부 전원부(1150) 앞단에 제어부 스위치(1630) 및/또는 출력 인터페이스 전원부(1350) 앞단에 제 7 스위치(SW7, 1670)를 각각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조리기기(1000)는 통신부(1200)의 전원 안정화를 빠르게 하기 위해 제어부 스위치(1630)와 제 7 스위치(1670)는 오프하고 통신부 스위치(1620) 만을 턴 온하여 통신부(1200)의 전원 만을 안정화시킨다. 통신부(1200)의 전원이 안정화된 것을 기초로, 다음으로 가전장치(1000)는 제어부 스위치(1630)를 턴 온하여 제어부(1100) 전원을 안정화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100)의 전원이 안정화된 것을 기초로 가전장치(1000)는 제 7 스위치(1670)를 턴 온하여 출력 인터페이스(1300) 전원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앞선 도 13에서와 같이 제 2 커패시터(1170)와 제 1 커패시터(1270)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치(1600) 및 제 3 커패시터(1370)와 제 2 커패시터(1170)를 연결하는 제 6 스위치(1660)를 통해, 출력 인터페이스(1300) 전원이 확립(전원 안정화)되면 제 3 커패시터(1370)에 확립된 전원을 제어부(1100)뿐 아니라 통신부(1200)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 안정화 이후 제 6 스위치(1660) 턴 온
Figure pat00001
제 1 스위치(1600) 턴 온 순서로 제어부(1100)에 의해 스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 안정화 이후 제 6 스위치(1660) 턴 온과 동시에 제 1 스위치(1600)가 턴 온되도록 제어부(1100)에 의해 스위치들이 제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스위치(1600)가 턴 온되면, 통신부 스위치(1620)를 턴 오프하여 통신부 전원부(1250)와 정류부(1500) 연결이 단절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0)는 제 6 스위치(1660)가 턴 온되면 제어부 스위치(1630)를 턴 오프하여 제어부 전원부(1150)와 정류부(1500) 연결을 단절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통신부 스위치(1620)와 제어부 스위치(1630)를 턴 오프함으로써, 통신부 전원부(1250)와 제어부 전원부(1150)에서 전력 소비없이 제 3 커패시터(1370), 제 6 스위치(1660), 및 제 1 스위치(1600) 연결에 의해 조리기기(1000)의 주요 컴포넌트인 통신부(1200), 제어부(1100) 및 출력 인터페이스(1300) 전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5에 따른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1000)는 통신부 전원부(1250) 앞단에 통신부 스위치(1620), 제어부 전원부(1150) 앞단에 제어부 스위치(1630) 및 출력 인터페이스 전원부(1350) 앞단에 제 7 스위치(SW7, 1670)를 각각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커패시터(1270)와 제 2 커패시터(1170)는 제 1 다이오드(D1, 1601)로 연결되고, 제 3 커패시터(1370)와 제 2 커패시터(1170)는 제 6 다이오드(D6, 1661)로 연결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조리기기(1000)는 통신부(1200)의 전원 안정화를 빠르게 하기 위해 제어부 스위치(1630)와 제 7 스위치(1670)는 턴 오프하고 통신부 스위치(1620) 만을 턴 온하여 통신부(1200)의 전원을 안정화시킨다. 통신부(1200)의 전원이 안정화된 것을 기초로 통신부(1200)의 조리기기(1000)는 제어부 스위치(1630)를 턴 온하여 제어부(1100) 전원을 안정화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100)의 전원이 안정화된 것을 기초로 조리기기(1000)는 제 7 스위치(1670)를 턴 온하여 출력 인터페이스(1300) 전원을 안정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앞선 도 13에서와 같이 제 2 커패시터(1170)와 제 1 커패시터(1270)를 연결하는 제 1 다이오드(1601)를 통해, 제어부(출력 인터페이스(1300) 전원이 확립(전원 안정화)되면 제 2 커패시터(1170)에 확립된 전원을 제어부(1100)뿐 아니라 통신부(1200)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커패시터(1170)와 제 1 커패시터(1270)는 다이오드로 연결되므로, 제어부(1110) 전원이 안정화된 후 조리기기(1000)는 통신부 스위치(1620)를 오프시켜 통신부 전원부(1250) 구동을 중단하여 통신부 전원부(1250)에 의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통신부(1200)는 오로지 제 2 커패시터(1170)에 의한 전원을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 안정화 이후 제 6 다이오드(1661) 및 제 1 다이오드(1601)를 통해 제어부(1100)와 통신부(1200)가 제 3 커패시터(1370)에 의한 전원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300)의 전원 안정화가 확립되면, 조리기기(1000)는 통신부 스위치(1620)를 턴 오프하여 통신부 전원부(1250)와 정류부(1500) 연결을 단절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000)는 제어부 스위치(1630)를 턴 오프하여 제어부 전원부(1150)와 정류부(1500) 연결을 단절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는 통신부 스위치(1620)와 제어부 스위치(1630)를 턴 오프함으로써, 통신부 전원부(1250)와 제어부 전원부(1150)에서 전력 소비없이 제 3 커패시터(1370), 제 6 다이오드(1661), 및 제 1 다이오드(1601) 연결에 의해 조리기기(1000)의 주요 컴포넌트인 통신부(1200), 제어부(1100) 및 출력 인터페이스(1300) 전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 내지 도 15에 따른 조리기기(1000)의 컴포넌트로서 통신부(1200), 제어부(1100) 및 출력 인터페이스(1300)가 예시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본 개시에 따른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1000)는 가장 적은 전원 용량을 사용하면서 가장 먼저 전원 안정화가 필요한 컴포넌트를 최우선으로 전원 안정화시키고, 큰 전원 용량이 필요하면서 시간적으로 다른 컴포넌트에 비해 지연을 가지고 전원 안정화가 이루어져도 동작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컴포넌트를 나중에 전원 안정화시키는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1200), 제어부(1100) 및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일 실시예를 위해 사용되었을 뿐이므로, 통신부(1200)는 도 16에서와 같이 가장 전원 용량이 작은 제 1 컴포넌트(1100_1), 제어부(1100)는 제 1 컴포넌트(1100_1)보다는 더 전원 용량이 큰 제 2 컴포넌트(1100_2)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6에서 가장 전원 용량이 크고 가장 나중에 전원이 안정화되는 컴포넌트로 제 N 컴포넌트(1100_N)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커패시턴스의 용량 크기 순서는 C1 < C2 < ?? CN-1< CN 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원 용량이 제 1 컴포넌트(1100_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컴포넌트인 제 2 컴포넌트(1100_2)의 전원이 안정화되면 SW_1(1600_1)에 의해 제 1 컴포넌트(1100_1)는 제 2 컴포넌트(1100_2)의 전원 공급원인 C2(1170_2)의 전원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원 용량이 가장 큰 제 N 컴포넌트(1100_N)가 안정화되면, SW_N-1(1600_N-1)이 턴 온되어, 제 N-1 컴포넌트(1100_N-1)에도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전원 용량이 가장 큰 제 N 컴포넌트(1100_N)가 안정화되면, SW_1(1600_1)~SW_N-1(1600_N-1)이 모두 턴 온되어 제 1 컴포넌트(1100_1) 내지 제 N-1 컴포넌트(1100_N-1)에도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기기(1000)는 제 N 컴포넌트(1100_N)이 안정화된 후, CN(1170_N)의 커패시턴스 용량에 따라 SW_N-1(1600_N-1)부터 몇 개의 스위치 만을 턴 온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CN(1170_N)의 커패시턴스 용량이 제 N 컴포넌트(1100_N)과 제 N-1 컴포넌트(1100_N-1)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이라면, 조리기기(1000)는 SW_N-1(1600_N-1)만을 턴 온하고 나머지 SW_1(1600_1) ~ SW_N-2(1600_N-2)는 턴 오프할 수 있다. 각 컴포넌트들이 사용하는 전원 용량은 각 컴포넌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패시터 양단 전압과 각 컴포넌트에 입력되는 전류를 센싱하여 계산할 수 있다.
도 16에서 각 스위치의 개폐 제어는 전원이 확립된 컴포넌트에 포함된 프로세서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된다.
이상 도 6 내지 도 15에서 각 스위치의 개폐는 조리기기(1000) 제어부(1100)의 프로세서(1110)가 제어할 수 있고, 만일 제어부(1100)의 전원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라면 통신부(1200)의 프로세서(1210)가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조리기기(1000) 내에서 전원이 확립된 컴포넌트에 포함된 프로세서나 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을 사용하는 조리기기(1000)를 구동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S1701 단계에서, 조리기기(1000)는 픽업 코일(1001)을 통해 스테이션(2000)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한다. 스테이션(2000)의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픽업 코일(1001)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것을 픽업 코일(1001)이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픽업 코일(1001)은 동심원 형태일 수도 있고, 타원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1703 단계에서, 조리기기(1000)의 정류부(1500)는 픽업 코일(1001)에서 무선으로 수신한 전력을 정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류부(1500)는 단상 다이오드 정류기를 사용할 수 있다.
S1705단계에서, 조리기기(1000)는, 통신부(1200)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류부(1500)로부터 정류된 전력을 제 1 커패시터(1270)에 충전한다. 통신부(1200)는 통신부 메모리(1220)에 스테이션(2000)과 통신하는 소정의 데이터들(예컨대, 조리기기(1000)로서 조리기기(1000)의 식별정보, 조리기기(1000) 최초 온 시 웰컴 메시지, 상태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조리기기(1000)의 식별정보는, 조리기기(1000)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로서,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조리기기(1000)의 모델명, 기기 타입 정보(예컨대, IH 타입 or 히터 타입), 제조사 정보(예컨대, Manufacture ID), 시리얼 넘버, 제조년월(혹은 제조년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0)가 활성화되면 통신부(1200)는 이러한 소정의 데이터를 스테이션(2000)에 전송하여 스테이션(2000)의 디스플레이부(25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S1707 단계에서, 조리기기(1000)는 제어부(1100)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류부(1500)로부터 정류된 전력을 제 2 커패시터(1170)에 충전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커패시터(1170)의 커패시턴스는 제 1 커패시터(1270)의 커패시턴스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mputer program product)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1000; 조리기기
1000a; 제 1 타입 조리기기
1000b; 제 2 타입 조리기기
1000b-1; 제 2-1 타입 조리기기
1000b-2; 제 2-2 타입 조리기기
1001; 픽업 코일
1002; 통신 코일
1003; 수신 코일
1004; 부하
1005; PCB
1010; 전원부
1100; 제어부
1100_1; 제 1 컴포넌트
1100_2; 제 2 컴포넌트
1100_N-1; 제 N-1 컴포넌트
1100_N; 제 N 컴포넌트
1110; 프로세서
1120; 메모리
1130; 통신 인터페이스
1150; 제어부 전원부
1170; 제 2 커패시터
1200; 통신부
1210; 프로세서
1220; 통신부 메모리
1230; 근거리 통신부
1240; 이동 통신부
1250; 통신부 전원부
1270; 제 1 커패시터
1300; 출력 인터페이스
1310; 디스플레이부
1320; 음향 출력부
1330; 진동모터
1350; 출력 인터페이스 전원부
1370; 제 3 커패시터
1400; 센서부
1410; 온도 센서
1420; 적외선 센서
1430; 근접 센서
1440; 중량 센서
1450; 지자기 센서
1500; 정류부
1510; 정류부 커패시터
1600; 제 1 스위치
1600_1; SW_1
1600_N-2; SW_N-2
1600_N-1; SW_N-1
1601, 1651, 1661; 다이오드
1603, 1653, 1663; 트랜지스터
1620; 통신부 스위치
1630; 제어부 스위치
1640; 출력 인터페이스 스위치
1650; 제 5 스위치
1660; 제 6 스위치
1670; 제 7 스위치
1170_2; C2
1170_N; CN
2000; 스테이션
2100; 무선 전력 송신부
2110; 구동부
2111; EMI 필터
2112; 정류회로
2113; 인버터 회로
2114; 분배 회로
2115; 전류 감지 회로
2116; 구동 프로세서
2120; 작동 코일
2200; 프로세서
2300; 통신 인터페이스
2310; 근거리 통신부
2320; 원거리 통신부
2400; 센서부
2410; 온도 센서
2420; 적외선 센서
2430; 근접 센서
2440; 중량 센서
2450; 자기 센서
2500; 출력 인터페이스
2510; 디스플레이부
2520; 음향 출력부
2600; 사용자 인터페이스
2700; 메모리

Claims (20)

  1.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픽업 코일;
    상기 픽업 코일에서 수신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
    통신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정류부로부터 전력을 충전하는 제 1 커패시터; 및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정류부로부터 전력을 충전하는 제 2 커패시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 활성화 전에 상기 통신부의 활성화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가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게 전송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제 2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다이오드이고,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양(+)극이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양(+)극이 상기 다이오드의 캐쏘드에 연결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양(+)극이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랙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양(+)극이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에 연결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업 코일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트랜지스터를 턴 온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제 2 커패시터에 충전이 완료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정류부와 상기 제 1 커패시터 간 연결된 스위치를 오프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충전량에 따라 상기 정류부와 상기 제 1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충전량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면 상기 통신부가 활성화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전송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는 상기 조리기기의 식별정보, 조리기기 온 시 웰컴 메시지, 및 상기 조리기기의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조리기기의 식별정보는 상기 조리기기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모델명, 타입 정보, 제조사 정보, 시리얼 넘버, 및 제조년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와 상기 제 2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스위치는 상기 통신부 활성화가 완료될 때까지 턴 오프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와 상기 제 2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스위치는 상기 통신부 활성화가 완료되는 것에 기초하여 턴 온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전원을 이용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정류부로부터 전력을 충전하는 제 3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3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패시터와 상기 제 3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가 활성화됨에 따라 턴 온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턴 온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정류부를 연결하는 스위치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턴 온하는 것에 기초하여 턴 오프되고,
    상기 제 2 커패시터와 상기 정류부를 연결하는 스위치는, 상기 제 2 스위치를 턴 온하는 것에 기초하여 턴 오프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커패시터 양단 전압이 소정의 값 이하이면 상기 제 2 커패시터와 상기 정류부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온하고,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양단 전압이 소정의 값 이하이면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정류부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온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자기 유도에 의해 상기 조리기기에 생성되는 와전류에 의해 가열되거나,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상기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통해 전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 내 조리물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전원으로 구동되는 조리기기.
KR1020210167729A 2021-11-29 2021-11-29 다중 전원 구조를 갖는 조리기기 KR20230080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729A KR20230080215A (ko) 2021-11-29 2021-11-29 다중 전원 구조를 갖는 조리기기
EP22899067.7A EP4344020A1 (en) 2021-11-29 2022-11-24 Cooking appliance having multi-power structure
PCT/KR2022/018765 WO2023096385A1 (ko) 2021-11-29 2022-11-24 다중 전원 구조를 갖는 조리기기
US18/113,824 US20230209663A1 (en) 2021-11-29 2023-02-24 Cooking device having multi-powe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729A KR20230080215A (ko) 2021-11-29 2021-11-29 다중 전원 구조를 갖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215A true KR20230080215A (ko) 2023-06-07

Family

ID=8654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729A KR20230080215A (ko) 2021-11-29 2021-11-29 다중 전원 구조를 갖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09663A1 (ko)
EP (1) EP4344020A1 (ko)
KR (1) KR20230080215A (ko)
WO (1) WO20230963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026B1 (ko) * 2014-03-05 2015-04-24 주식회사 리홈쿠첸 복수의 워킹코일을 구비한 유도가열 장치
KR101727744B1 (ko) * 2016-02-26 2017-04-17 (주)그린파워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의 동작제어를 위한 부하 인식 방법
KR101968553B1 (ko) * 2017-01-04 2019-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Wpt 구현 가능한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pfc 전력 변환 장치
KR102413858B1 (ko) * 2017-08-31 2022-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알고리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541269B1 (ko) * 2018-06-25 202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6385A1 (ko) 2023-06-01
US20230209663A1 (en) 2023-06-29
EP4344020A1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2577B2 (ja) 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加熱調理器に用いられる調理器具
JP6328572B2 (ja) 非接触給電機能付き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5032419A1 (en) An individual cookware control device for use with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wireless cooking system having the same
US202304037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
KR20230080215A (ko) 다중 전원 구조를 갖는 조리기기
JP4834681B2 (ja) 加熱調理のシステムおよび調理器具
KR20230115749A (ko) 조리 기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US20230389132A1 (en) Home appliance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detecting empty heating
US20240195223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240171016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025123A1 (en) He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heating device
EP4354705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cooking device positioning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2302769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utomatic cooking and cooking appliance therefor
US20230086159A1 (en) Sensor device,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cooking system
US20230233020A1 (en) Method of outputting information regarding cooking applian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erefor
KR20230067953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조리 기기 위치 식별 방법
KR20240076224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44854A (ko) 무선 전력 전송에서 출력 제한 레벨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20240087389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65681A (ko) 공가열을 검출하기 위한 가전기기와 전력 전송 장치
KR20230041523A (ko) 센서 장치, 유도 가열 장치, 및 조리 시스템
KR20230013991A (ko)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131716A (ko) 자동 조리를 위해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리 기기
KR20210046403A (ko) 전기 주전자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412567A1 (en) Electric range of which heat power is controlled without user interven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