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133B1 -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 Google Patents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133B1
KR101987133B1 KR1020170013812A KR20170013812A KR101987133B1 KR 101987133 B1 KR101987133 B1 KR 101987133B1 KR 1020170013812 A KR1020170013812 A KR 1020170013812A KR 20170013812 A KR20170013812 A KR 20170013812A KR 101987133 B1 KR101987133 B1 KR 101987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ontrol
nozzle
unit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124A (ko
Inventor
김경근
Original Assignee
(주) 한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호기술 filed Critical (주) 한호기술
Priority to KR102017001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1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75Manipulators for painting o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75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ipulator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제역 바이러스의 차단과 우사 공간방역을 목적으로 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있어서, SUS판으로 제조되어 부식방지 기능이 있는 베이스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방제액 분사부와 로봇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제액 분사부는 정면에서 상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시에 작동하여 소독하는 상시 분사부 및 구제역 발생시에만 작동하여 소독하는 구제시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구동부는 상기 로봇 구동부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라인 트레이싱 자율주행을 하는 이동부; 상기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제어하고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는 제어부; 상기 로봇 구동부 외벽에 구비되어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on/off하는 스위치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UNMANNED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PEST CONTROL}
본 발명은 구제역 바이러스의 차단과 우사 공간방역을 목적으로 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라인 트레이싱을 사용하여 자율주행 가능하고, 2중 노즐 시스템과 압축분사시스템을 사용하며 공간소독이 가능하고, 방제액으로 로봇이 부식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부식방지베이스로 제작되며, 20 마이크로 이하의 노즐 및 대용량 초음파 진동 소자를 구성하여 공간소독과 대규모 축사를 방제할 수 있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관한 것이다.
소, 돼지, 염소, 양과 같이 발굽이 2개로 갈라진 동물에게 발생하는 제 1종 가축전염병인 구제역은 이병률이 100%에 이르며, 특히 어린 돼지는 5~55%의 폐사율을 나타낸다. 구제역은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치료법은 없으며, 차단방역(외부 차량 및 사람 출입관리, 축사내외 소독 등) 등을 통한 농장 내 구제역 바이러스가 침입하지 못 하도록 하는 것이 최선이며 이후 백신을 통한 예방이 차선책이다.
구제역 증상으로는 고열과 함께 입과 발굽부위에 물집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며, 소의 경우 혀나 잇몸 등에 물집이 생긴 후 터지면 염증과 궤양 등을 보인다. 특히 거품 섞인 침을 흘리는 것이 소의 주요 증상이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하여 공기, 차량 및 사람을 통해 급속도로 퍼지므로 감염된 소와 함께 접촉했던 모든 소를 도살 처분한 후 매장한다.
우리나라에서도 1934년에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64년 만인 2000년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특히 2010년에는 전국적으로 구제역이 확산 되어 약 340만여 마리의 가축이 살 처분되어 3조원이 넘는 경제적인 피해를 입힌 바 있으며, 여전히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질병이다.
현재 구제역에 대응하는 방안은 사람이 직접적인 소독과 방제 이외에는 큰 방안이 없다.
특히, 공기 중이나 농장 내 출입하는 사람에 의해 쉽게 전파되는 구제역의 경우 가능한 한 인간의 접촉을 피하고 상시적인 방제만이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이번 AI 발생의 경우 한국은 2,500만 마리(2016년 12월 27일 기준)를 살처분 하였지만 일본의 경우는 200만 마리(2016년 12월 22일 기준) 그쳤다.
이는 AI발생을 대비하여 일본은 상시 방제를 통하여 감염이 이루어졌을 때 최소한의 피해로 막아 낸 것이다.
즉, 일본은 감염에 대비하여 평상시도 꾸준하게 방제에 힘써온 결과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상시 방제보다는 감염이 되어서야 상시에 준하는 소독과 방제를 실시한다. 앞으로 점점 확산되는 AI 와 구제역의 확산 방지를 위해서 상시 방제야말로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안이며 이를 위해 방제 소독 로봇의 개발 필요성이 절실하다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축산 농가 중에서 특히 우사를 주 사용처로 정하고 우사의 실내공간에서 2중 노즐 구조와 압축분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공간소독을 상시적으로 자율 주행하며 실시하는 로봇으로, 구제역으로부터 안전한 우사를 지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있어서, SUS판으로 제조되어 부식방지 기능이 있는 베이스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방제액 분사부와 로봇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제액 분사부는 정면에서 상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시에 작동하여 소독하는 상시 분사부 및 구제역 발생시에만 작동하여 소독하는 구제시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구동부는 상기 로봇 구동부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라인 트레이싱 자율주행을 하는 이동부; 상기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제어하고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는 제어부; 상기 로봇 구동부 외벽에 구비되어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on/off하는 스위치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시 분사부는 상기 방제액 분사부의 경사진 면에 위치되며 방제액을 분사하는 자바라 노즐; 상기 자바라 노즐 중심 양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방제액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상시 노즐; 상기 자바라 노즐 및 상시 노즐과 연결되는 상기 방제액을 보관하는 상시 용액탱크 및 상기 상시 용액 탱크와 연결되고 공기를 압축시키는 상시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시 압축기는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상시 용액탱크 안에 보관되어 있던 방제액을 상기 자바라 노즐 및 상시 노즐로 이동시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바라 노즐 및 상시 노즐은 2류체 노즐 구조이고, 상기 상시 노즐은 30 내지 50μ 입자크기로 분사할 수 있다.
희석 비율대로 방제액을 물과 혼합하여 희석할 수 있는 희석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희석탱크는 상기 방제액을 수용하는 방제액 공간부; 상기 방제액을 희석하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물 공간부; 상기 방제액 공간부와 연결되어 상기 방제액을 주입하는 방제액 주입구; 상기 물 공간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을 주입하는 물 주입구; 상기 방제액 공간부와 물 공간부 외벽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용량 눈금 및 희석된 방제액을 내보내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시 용액탱크와 연결되어 희석된 방제액을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희석탱크는 일측이 상기 개폐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상시 용액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희석된 방제액이 이동하는 주입관; 상기 주입관의 상기 희석된 방제액 이동을 조절하는 밸브; 상기 상시 용액탱크의 방제액 높이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직형 볼탑 및 상기 수직형 볼탑과 상기 주입관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형 볼탑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가 개폐되어 상기 주입관의 상기 희석된 방제액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제시 분사부는 상기 구제시 분사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방제액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구제시 노즐; 상기 구제시 노즐과 연결되는 상기 방제액을 보관하는 구제시 용액탱크 및 상기 구제시 용액 탱크와 연결되고 공기를 압축시키는 구제시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제시 압축기는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구제시 용액탱크 안에 보관되어 있던 방제액을 상기 구제시 노즐로 이동시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제시 노즐은 2류체 노즐 구조이고, 15 내지 20μ 입자크기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상시 분사부 및 구제시 분사부는 분사 길이 및 범위가 넓어지도록 하는 초음파 진동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에 의해 초음파 분사가 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로봇 구동부 내부 하측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모듈 및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트래킹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봇 구동부는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니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축사 내 소 개체별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정면 하측에 구비되며 전방에 장애물을 치워주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은 라인 트레이싱을 사용하여 자율주행이 가능하고, 2중 노즐 구조와 압축분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공간소독이 가능하여, 구제역 바이러스가 외부공기를 통해 우사 내 침입 또는 우군 내 공기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부식방지 베이스로 제작하여, 방제액으로 로봇이 부식되는 형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대용량 초음파 진동소자를 구성하여 대규모 축사를 방제할 수 있다.
또한, 방제액과 물을 주입하는 공간을 분리한 방제액 탱크를 구성하여, 희석 비율로 쉽게 방제액을 희석할 수 있고, 방제액 탱크에 원터치 밸브를 구비하여 로봇에 방제액 탱크를 찰탁하는 것이 쉽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을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을 후면에서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희석탱크를 부착한 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을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을 후면에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은 베이스 하우징(1), 방제액 분사부(100), 로봇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하우징(1)은 SUS판으로 제조되어 부식방지 기능을 할 수 있다. 로봇이 방제액으로 인하여 부식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하우징(1)을 SUS판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방제액에 부식되지 않는 재료로 베이스 하우징(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1)은 내부에 팬(2)을 장착할 수 있다. 이는 온습도 문제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팬(2)을 장착하여 결로 방지를 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1)은 방제액 분사부(100)와 로봇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제액 분사부(100)는 베이스 하우징 상측에 구비되며, 사각형상에 정면에서 상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제액 분사부(100)는 상시 분사부(110)와 구제시 분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시 분사부(110)는 상시에 작동하여 방제액을 분사하여 소독할 수 있다. 또한, 방제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가습기 역할까지 할 수 있다. 방제액은 인체에 무해한 것일 수 있다.
상시 분사부(110)는 자바라 노즐(111), 상시 노즐(112), 상시 용액탱크(113), 상시 압축기(114) 및 초음파 진동소자(115)를 포함할 수 있다.
자바라 노즐(111)은 방제액 분사부(100)의 경사진 면에 위치되며 방제액을 분사할 수 있다. 자바라 노즐(111)은 초자 방식으로 분사될 수 있고, 각도,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시 노즐(112)은 자바라 노즐(111) 중심 양측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방제액을 분사할 수 있다. 상시 노즐(112)은 30 내지 50μ의 분사노즐이므로, 30 내지 50μ 입자크기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자바라 노즐(111) 및 상시 노즐(112)은 2류체 노즐 구조일 수 있다.
자바라 노즐(111) 및 상시 노즐(112)의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1류계 노즐의 한계점인 공간분사 어려움을 극복하여 공간 전체 분사를 실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로 방제액 분사시 공간에 있는 물체가 젖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바라 노즐(111) 및 상시 노즐(112)과 상시 용액탱크(113)가 연결되는 위치에 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미도시)와 노즐구경의 크기는 방제액이 용액탱크 안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슬러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슬러지에 의해 노즐이 막히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시 용액탱크(113)는 자바라 노즐(111) 및 상시 노즐(112)과 연결되고 방제액을 보관할 수 있다. 상시 용액탱크(113)는 상시 압축기(114)와 연결될 수 있다.
상시 압축기(114)는 상시 용액탱크(113)와 연결되고 공기를 압축하여 방제액을 자바라 노즐(111) 및 상시 노즐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시 압축기(114)는 공기를 압축하여 상시 용액탱크(113) 안에 보관되어 있던 방제액이 자바라 노즐(111) 및 상시 노즐(112)로 이동하여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소자(115) 는 방제액 분사 시 분사 길이 및 범위가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소자(115) 에 의해 초음파 분사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규모 축사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제시 분사부(120)는 구제시 노즐(121), 구제시 용액탱크(122), 구제시 압축기(123) 및 초음파 진동소자(1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제시 노즐(121)은 구제시 분사부(120) 일측에 다수개가 구비되며 방제액을 분사할 수 있다. 구제시 노즐(121)은 15 내지 20μ이므로, 15 내지 20μ 입자크기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구제시 노즐(121)은 2류체 노즐 구조일 수 있다.
구제시 노즐(121)의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1류계 노즐의 한계점인 공간분사 어려움을 극복하여 공간 전체 분사를 실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로 방제액 분사시 공간에 있는 물체가 젖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제시 노즐(121)과 구제시 용액탱크(122)가 연결되는 위치에 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효과는 상시 분사부(110)와 동일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기존 방제액 1/10양으로도 기존과 같은 소독효과를 낼 수 있어 경제적일 수 있다.
구제시 용액탱크(122)는 구제시 노즐(121)과 연결되고 방제액을 보관할 수 있다. 구제시 용액탱크(122)는 구제시 압축기(123)와 연결될 수 있다.
구제시 압축기(123)는 구제시 용액탱크(122)와 연결되고 공기를 압축하여 방제액을 구제시 노즐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제시 압축기(123)는 공기를 압축시켜 구제시 용액탱크(122) 안에 보관되어 있던 방제액이 구제시 노즐(121)로 이동하여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소자(124)는 방제액 분사 시 분사 길이 및 범위가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소자(124)에 의해 초음파 분사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규모 축사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시 분사부(110) 및 구제시 분사부(120)의 구성은 2개의 압축기를 구비하여 상시 소독과 구제시 소독을 나누어 방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시에는 상시 분사부(110)만 작동하여 과하지 않고 적당하게 방제액을 분사하여 효율적이게 사용할 수 있고, 구제시에는 상시 분사부(110) 및 구제시 분사부(120)를 모두 작동하여 소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로봇 구동부(200)는 이동부(210), 제어부(220), 스위치(230), 배터리 모듈(240), 모니터부(250), 초음파 센서(260) 및 브러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210)는 로봇 구동부(200)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라인 트레이싱 자율주행을 할 수 있다. 이동부(210)는 바퀴(211), 모터모듈(212) 및 트래킹 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퀴(211)는 로봇 구동부(200) 내부 하측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바퀴(211)가 회전하여 무인 자율주행 로봇을 이동시킬 수 있다.
모터모듈(212)은 바퀴를 구동할 수 있다. 모터모듈(212)의 동작에 의해 바퀴(2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모듈(212)은 전자브레이크와 저속 기어비(20:1 이상) 탑재한 180W 급 BLDC 모터의 컨트롤 보드일 수 있다. 모터모듈(212)을 통하여 우사 내에서 저소음의 구동체를 구현하여 비육소들에게 환경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로봇의 안정적인 주행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과의 연계 시 지연현상이나 구동의 덜컥거림을 제거한 PWM 제어를 구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트래킹 모듈(213)은 우사 내 라인을 구비하고 그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바퀴(211)를 제어할 수 있다. 트래킹 모듈(213)은 무인상태에서 방제로봇이 자율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210)는 로봇 구동부(200) 하단 일측에 보조 바퀴(214)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바퀴(214)는 이동부(210) 바퀴(211)의 균형 및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방제액 주입 시 무게 증가에도 버티도록 도와줄 수 있다.
제어부(220)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제어하고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자바라 노즐(111), 상시 및 구제시 압축기(123), 모터모듈(212) 및 트레킹 모듈(213)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하여 디바이스에서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이동, 분사 작동 등을 원격제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의 노동력을 줄이고, 우사내 사람출입을 최소화하여 가축질병 병원체의 우사내 유입 및 우군내 전파를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스위치(230)는 로봇 구동부(200) 외벽에 구비되어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을 on/off할 수 있다. 스위치(230)는 키 또는 E/W 스위치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 모듈(240)은 로봇 구동부(200) 내부에 위치하며 충전 가능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240)은 로봇 구동부 후면에 구비된 파워 콘센트와 연결되고, 우사 내 충전 스테이션을 구비하여 충전 스테이션과 충전 콘센트(241)가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전원이 연결되는 충전 방식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240)은 배터리 방전 전 제어부(220)에 신호를 보내 제어부(220)에 의해 충전 스테이션으로 자동복귀하여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충전 스테이션과 무선 연결하여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이 충전 스테이션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은 로봇 구동부(200)에 모니터부(250), 초음파 센서(260) 및 브러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부(250)는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모니터부(250)는 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무선 연결된 디바이스에 축사 내 모습이 찍힌 실시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축사 내 소의 움직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영상을 통해 상시 임상관찰이 가능하고 신속한 질병대응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축주와 가축 방역 기관 간 합의를 통한 농장 내 실시간 영상 공유 및 신속한 질병 전문가 분석의견 교환으로 현장 방역관 파견 등의 신속 대응 체계 구축이 가능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260)는 로봇 구동부(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축사 내 소 개체별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브러쉬(270)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정면 하측에 구비되며, 전방에 장애물 및 먼지, 흙, 지프라기, 소 배설물 등을 치워줄 수 있다.
브러쉬(270)가 전방의 장애물을 치워줌으로써,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은 바퀴 걸림 또는 고장 없이 주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희석탱크를 부착한 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은 희석탱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희석탱크(300)는 희석 비율대로 방제액을 물과 혼합하여 희석할 수 있다. 희석탱크(300)는 누구나 쉽게 비율대로 방제액을 희석 시킬 수 있다.
희석탱크(300)는 방제액 공간부(310), 물 공간부(320), 방제액 주입구(330), 물 주입구(340), 제1 및 제2 용량 눈금(351,352) 및 개폐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제액 공간부(310)는 방제액을 수용할 수 있다. 방제액 공간부(310)는 물 공간부(320)로 방제액이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 일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희석탱크(300) 상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희석탱크(300) 내부 어디든 위치할 수 있다.
물 공간부(320)는 방제액을 희석하기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다. 물 공간부(320)는 희석탱크(300) 전반적인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방제액 주입구(330)는 방제액 공간부(310)와 연결되어 방제액을 주입할 수 있다.
물 주입구(340)는 물 공간부(320)와 연결되어 물을 주입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용량 눈금(351,352)은 방제액 공간부(310) 및 물 공간부(320) 외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용량 눈금(351,352)에 의해 방제액 공간부(310) 및 물 공간부(320)에 방제액과 물을 주입 시 계량 없이 원하는 용량으로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다.
개폐부(360)는 희석된 방제액을 상시 용액탱크(113)와 연결되어 주입할 수 있다.
개폐부(360)는 삽입관(361) 및 개폐마개(36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관(361)에 상시 용액탱크의 주입구(미도시) 또는 주입관(370)이 삽입될 수 있다.
개폐마개(362)는 삽입관(361) 일단에 구비되며, 희석탱크(300) 미사용 시 삽입관(361)을 폐(닫힘) 상태이고, 사용 시 삽입관(361)에 상시 용액탱크의 주입구(미도시) 또는 주입관(370)이 삽입되어 개(열림)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희석탱크(300)는 방제액 주입 시 별도의 계량을 하지 않고 주입하면서, 희석비율에 맞게 방제액과 물을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시 용액탱크(113)와 연결하여 바로 희석된 방제액을 상시 용액탱크(113)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희석탱크(300)는 주입관(370), 밸브(371), 수직형 볼탑(372) 및 연결대(373)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관(370)은 일측이 개폐부(360)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시 용액탱크(113)와 연결될 수 있다. 주입관(370)은 희석탱크(300)의 희석된 방제액을 상시 용액탱크(113)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밸브(371)는 주입관(370)의 희석된 방제액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밸브(371)의 개폐는 수직형 볼탑(37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수직형 볼탑(372)은 상시 용액탱크(113)의 방제액 높이에 따라 밸브(37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수직형 볼탑(372)은 상시 용액탱크의 방제액이 줄어들어 높이가 낮아지면 아래로 내려감으로써 밸브가 개(열림) 상태가 되고, 희석된 방제액이 주입되어 상시 용액탱크(113)의 방제액 높이가 높아져 위로 올라감으로써 밸브가 폐(닫힘) 상태가 될 수 있다.
연결대(373)는 수직형 볼탑(372)과 주입관(37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대(373)는 수직형 볼탑(372)과 주입관(370)을 연결하여 수직형 볼탑(372)의 이동에 의해 주입관(370)에 위치한 밸브(371)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은 스피커(280), 온도센서(281), 암모니아 수치센서(282) 및 비상등(28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80)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280)는 로봇 구동부(200)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베이스 하우징(1) 내에 어디든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280)는 음원재생모듈로도 가능할 수 있고, 제어부(220)에 의해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거나, 디바이스와 무선연결되어 디바이스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온도센서(281)는 축사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281)는 측정한 축사의 온도를 제어부(220)에 전달하고, 제어부(220)는 전달받은 축사의 온도를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암모니아 수치센서(282)는 암모니아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암모니아 수치센서(282)는 측정한 암모니아 수치를 제어부(220)에 전달하고, 제어부(220)는 전달받은 암모니아 수치를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비상등(283)은 비상상태에 따라 불빛을 낼 수 있다. 비상등(283)은 빨강, 초록, 노랑의 불빛색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색깔의 불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상등은, 예를 들면, 빨강 불빛일 시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고장을 나타내고, 초록 불빛일 시 방제액의 없음을 나타내고, 노랑 불빛일 시 구제역 발생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은 우사 및 축사를 무인으로 공간소독이 가능하며, 상시와 구제시를 분리하여 소독할 수 있어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은 가정용, 병원, 노인시설 등 실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제액을 대신하여 물, EM, 유산균 등을 분사하여 각기 다른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했던 노즐은 단순하게 교체가 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베이스 하우징 2: 팬
100: 방제액 분사부 110: 상시 분사부
111: 자바라 노즐 112: 상시 노즐
113: 상시 용액탱크 114: 상시 압축기
115: 초음파 진동소자
120: 구제시 분사부 121: 구제시 노즐
122: 구제시 용액탱크 123: 구제시 압축기
124: 초음파 진동소자
200: 로봇 구동부 210: 이동부
211: 바퀴 212: 모터모듈
213: 트래킹 모듈 214: 보조 바퀴
220: 제어부 230: 스위치
240: 배터리 모듈 241: 충전 콘센트
250: 모니터부 260: 초음파 센서
270: 브러쉬 280: 스피커
281: 온도센서 282: 암모니아 수치센서
283: 비상등
300: 희석탱크 310: 방제액 공간부
320: 물 공간부 330: 방제액 주입구
340: 물 주입구 351: 제1 용량 눈금
352: 제2 용량 눈금 360: 개폐부
361: 삽입관 362: 개폐마개
370: 주입관 371: 밸브
372: 수직형 볼탑 373: 연결대

Claims (12)

  1.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있어서,
    SUS판으로 제조되어 부식방지 기능이 있는 베이스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방제액 분사부와 로봇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제액 분사부는,
    정면에서 상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시에 작동하여 소독하는 상시 분사부 및
    구제역 발생시에만 작동하여 소독하는 구제시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구동부는,
    상기 로봇 구동부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라인 트레이싱 자율주행을 하는 이동부;
    상기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제어하고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는 제어부;
    상기 로봇 구동부 외벽에 구비되어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on/off하는 스위치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시 분사부는,
    상기 방제액 분사부의 경사진 면에 위치되며 방제액을 분사하는 자바라 노즐;
    상기 자바라 노즐 중심 양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방제액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상시 노즐;
    상기 자바라 노즐 및 상시 노즐과 연결되는 상기 방제액을 보관하는 상시 용액탱크 및
    상기 상시 용액탱크와 연결되고 공기를 압축시키는 상시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시 압축기는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상시 용액탱크 안에 보관되어 있던 방제액을 자바라 노즐 및 상시 노즐로 이동시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 노즐 및 상시 노즐은,
    2류체 노즐 구조이고,
    상기 상시 노즐은 30 내지 50μ 입자크기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4. 제 1항에 있어서,
    희석 비율대로 방제액을 물과 혼합하여 희석할 수 있는 희석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희석탱크는,
    상기 방제액을 수용하는 방제액 공간부;
    상기 방제액을 희석하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물 공간부;
    상기 방제액 공간부와 연결되어 상기 방제액을 주입하는 방제액 주입구;
    상기 물 공간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을 주입하는 물 주입구;
    상기 방제액 공간부와 물 공간부 외벽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용량 눈금 및
    희석된 방제액을 내보내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시 용액탱크와 연결되어 희석된 방제액을 주입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탱크는,
    일측이 상기 개폐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상시 용액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희석된 방제액이 이동하는 주입관;
    상기 주입관의 상기 희석된 방제액 이동을 조절하는 밸브;
    상기 상시 용액탱크의 방제액 높이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직형 볼탑 및
    상기 수직형 볼탑과 상기 주입관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형 볼탑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가 개폐되어 상기 주입관의 상기 희석된 방제액 이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6.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있어서,
    SUS판으로 제조되어 부식방지 기능이 있는 베이스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방제액 분사부와 로봇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제액 분사부는,
    정면에서 상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시에 작동하여 소독하는 상시 분사부 및
    구제역 발생시에만 작동하여 소독하는 구제시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구동부는,
    상기 로봇 구동부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라인 트레이싱 자율주행을 하는 이동부;
    상기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제어하고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는 제어부;
    상기 로봇 구동부 외벽에 구비되어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on/off하는 스위치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구제시 분사부는,
    상기 구제시 분사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방제액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구제시 노즐;
    상기 구제시 노즐과 연결되는 상기 방제액을 보관하는 구제시 용액탱크 및
    상기 구제시 용액 탱크와 연결되고 공기를 압축시키는 구제시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제시 압축기는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구제시 용액탱크 안에 보관되어 있던 방제액을 상기 구제시 노즐로 이동시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제시 노즐은,
    2류체 노즐 구조이고,
    15 내지 20μ 입자크기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8.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있어서,
    SUS판으로 제조되어 부식방지 기능이 있는 베이스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방제액 분사부와 로봇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제액 분사부는,
    정면에서 상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시에 작동하여 소독하는 상시 분사부 및
    구제역 발생시에만 작동하여 소독하는 구제시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구동부는,
    상기 로봇 구동부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라인 트레이싱 자율주행을 하는 이동부;
    상기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제어하고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는 제어부;
    상기 로봇 구동부 외벽에 구비되어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on/off하는 스위치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시 분사부 및 구제시 분사부는,
    분사 길이 및 범위가 넓어지도록 하는 초음파 진동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에 의해 초음파 분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9.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에 있어서,
    SUS판으로 제조되어 부식방지 기능이 있는 베이스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방제액 분사부와 로봇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제액 분사부는,
    정면에서 상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시에 작동하여 소독하는 상시 분사부 및
    구제역 발생시에만 작동하여 소독하는 구제시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구동부는,
    상기 로봇 구동부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라인 트레이싱 자율주행을 하는 이동부;
    상기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제어하고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는 제어부;
    상기 로봇 구동부 외벽에 구비되어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의 작동을 on/off하는 스위치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로봇 구동부 내부 하측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모듈 및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트래킹 모듈을 포함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10. 제 1항, 제 6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구동부는,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11. 제 1항, 제 6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사 내 소 개체별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를 더 포함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12. 제 1항, 제 6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정면 하측에 구비되며 전방에 장애물을 치워주는 브러쉬를 더 포함하는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KR1020170013812A 2017-01-31 2017-01-31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KR101987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12A KR101987133B1 (ko) 2017-01-31 2017-01-31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12A KR101987133B1 (ko) 2017-01-31 2017-01-31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124A KR20180089124A (ko) 2018-08-08
KR101987133B1 true KR101987133B1 (ko) 2019-06-10

Family

ID=6323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812A KR101987133B1 (ko) 2017-01-31 2017-01-31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13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422A1 (en) * 2020-03-26 2021-09-30 Solubots Pte. Ltd. Spr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66332B1 (ko) 2021-07-08 2022-02-23 주식회사 제타뱅크 인공 지능 알고리즘이 적용된 방역 로봇, 멸균 로봇, 방역 접객 로봇, 방역 협동 로봇
KR102366333B1 (ko) 2021-07-08 2022-02-25 주식회사 제타뱅크 로봇용 인공지능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383742B1 (ko) 2021-10-26 2022-04-11 (주)에이버츄얼 하이브리드 살균 로봇
KR20230077847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제타뱅크 인공 지능 알고리즘이 적용된 자율 주행 로봇
KR20230080596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라스테크 서비스 모듈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형 모빌리티
KR20240027193A (ko) 2022-08-22 2024-03-04 이경민 자율주행 소독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795B1 (ko) * 2018-11-16 2020-10-22 메타로보틱스 주식회사 가축전염병 예방을 위한 무인주행 소독 로봇시스템
CN109590980B (zh) * 2018-12-14 2021-01-26 康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巡检机器人的防护机壳结构及防护系统
KR102334385B1 (ko) * 2019-01-24 2021-12-02 (주) 한호기술 무인자율주행 및 고정식 겸용 우사방제로봇
CN109927011A (zh) * 2019-03-26 2019-06-25 盐城工学院 一种六轴机器人移动台
CN110033612B (zh) * 2019-05-21 2021-05-04 上海木木聚枞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人的行人提醒方法、系统及机器人
CN110027000A (zh) * 2019-05-24 2019-07-19 北京深醒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安全防护机器人
CN110340865A (zh) * 2019-07-01 2019-10-18 东莞理工学院 一种医疗辅助用具有器械消毒结构的移动式机器人
CN111317836A (zh) * 2020-03-05 2020-06-23 上海飒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移动消毒机器人
CN111331571A (zh) * 2020-03-16 2020-06-26 中自机器人技术(安庆)有限公司 一种疫情防控用多功能巡检机器人
CN211986374U (zh) * 2020-03-17 2020-11-24 深圳优艾智合机器人科技有限公司 紫外光巡检机器人
KR102373424B1 (ko) 2020-04-13 2022-03-11 이명오 실내공간 방역을 위한 자율주행 공간살균로봇
KR102366329B1 (ko) * 2020-04-27 2022-02-23 주식회사 제타뱅크 IoT 기반 공간 지능 기능이 구현되는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KR102484294B1 (ko) * 2020-10-13 2023-01-02 차예린 스마트 방역 및 탈취용 이동식 안개분사기
CN112318523B (zh) * 2020-10-28 2023-12-22 扬州大学 一种自消毒的智能防疫机器人
KR102404895B1 (ko) * 2020-11-19 2022-06-08 (주)제이라로비 실내공간의 항균탈취를 위한 위생관리장치
CN112720465A (zh) * 2020-12-15 2021-04-30 大国重器自动化设备(山东)股份有限公司 一种人工智能消毒机器人的控制方法
CN112720520A (zh) * 2020-12-22 2021-04-30 武汉菩济医疗科技有限公司 基于超快激光的杀毒机器人
CN112847396B (zh) * 2021-01-07 2022-03-11 上海建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爬壁式防腐除锈机器人
CN113084776B (zh) * 2021-03-19 2023-04-07 上海工程技术大学 基于视觉的多传感器融合的智能防疫机器人及系统
KR102532007B1 (ko) * 2022-01-14 2023-05-11 신기택 자율주행 무인방제 소독운반차량
CN114833799B (zh) * 2022-04-26 2024-01-02 浙江大学 一种用于养殖场动物唾液样本无人化采集的机器人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55B1 (ko) * 2006-12-19 2007-10-29 동일파텍주식회사 화재 진압용 소방로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056B1 (ko) * 2012-09-17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90666B1 (ko) * 2015-01-30 2016-12-28 안태운 이동식 스팀 방역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55B1 (ko) * 2006-12-19 2007-10-29 동일파텍주식회사 화재 진압용 소방로봇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422A1 (en) * 2020-03-26 2021-09-30 Solubots Pte. Ltd. Spr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66332B1 (ko) 2021-07-08 2022-02-23 주식회사 제타뱅크 인공 지능 알고리즘이 적용된 방역 로봇, 멸균 로봇, 방역 접객 로봇, 방역 협동 로봇
KR102366333B1 (ko) 2021-07-08 2022-02-25 주식회사 제타뱅크 로봇용 인공지능 플랫폼 제공 방법
KR20230009280A (ko)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제타뱅크 로봇용 인공지능 모델 제공 방법
KR102383742B1 (ko) 2021-10-26 2022-04-11 (주)에이버츄얼 하이브리드 살균 로봇
KR20230077847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제타뱅크 인공 지능 알고리즘이 적용된 자율 주행 로봇
KR20230080596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라스테크 서비스 모듈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형 모빌리티
KR20240027193A (ko) 2022-08-22 2024-03-04 이경민 자율주행 소독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124A (ko)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133B1 (ko) 무인 자율주행 방제로봇
KR102334385B1 (ko) 무인자율주행 및 고정식 겸용 우사방제로봇
KR102168795B1 (ko) 가축전염병 예방을 위한 무인주행 소독 로봇시스템
ES2967263T3 (es) Conjunto de vigilancia e intervención para locales de cría
US95387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care and maintenance of animals
US7261054B2 (en) Assembly for and a method of feeding and milking animals
CN207383212U (zh) 一种养猪场用全方位喷雾清洗消毒机
KR102192179B1 (ko) 다중 분사구가 형성되는 출입자용 소독장치
CN110755664A (zh) 一种自主移动式智能雾化消毒机器人
CN208339819U (zh) 一种牧场消毒通道
EP3928801A1 (en) Fogging system for dry-mist disinfection
RU2673737C2 (ru) Композиции летучих орган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обладающие антимикроб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WO2016036008A1 (ko) 무인 자동화 방역시스템
CN108308062A (zh) 一种养鸡场粪便清理装置
KR200392987Y1 (ko) 농업용 운반차량의 소독장치
CN212282288U (zh) 一种全方位正压新风通道消毒系统
CN208317880U (zh) 一种养鸡场粪便清理装置
CN207755424U (zh) 一种养殖场多功能喷雾车
ES2702540T3 (es) Proceso de desinfestación
CN212730505U (zh) 一种智能消毒系统
CN214801894U (zh) 一种草原防护用防病虫喷药装置
CN203777362U (zh) 三维式除污抗菌走道
KR101230635B1 (ko) 방제액의 초미립분사용 방제장치
CN214435517U (zh) 一种养猪场用全方位喷雾消毒系统
CN214339377U (zh) 一种车载羊用防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