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703B1 -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703B1
KR101986703B1 KR1020180124157A KR20180124157A KR101986703B1 KR 101986703 B1 KR101986703 B1 KR 101986703B1 KR 1020180124157 A KR1020180124157 A KR 1020180124157A KR 20180124157 A KR20180124157 A KR 20180124157A KR 101986703 B1 KR101986703 B1 KR 10198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one
height
mortar layer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성
Priority to KR102018012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2Coverings, the surface of which consists partly of prefabricated units and partly of sections mad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01C11/226Coherent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50Methods or devices for preventing dust by spraying or su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은 원지반을 일정 깊이로 파고 롤러로 다짐한 다짐층과; 상기 다짐층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타설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사괴석이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바닥을 수평으로 만들고 침하 및 세굴을 방지하는 레벨링 모르타르층과;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건식공법으로 설치되어 상기 사괴석 설치 후 수분에 의해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과 일체화가 되고, 상기 제1사괴석과 제2사괴석을 잡아주는 잇몸구조가 되는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과;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의 상부에 상기 제1사괴석과 제2사괴석이 일정 패턴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사괴석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사괴석과 제2사괴석 사이에는 동계에 상기 사괴석의 상부의 수분이 어는 것과 얼음과 눈을 녹이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설치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의 하부에 설치되며, 점적관수의 방법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상기 점적관수로 포장 구간의 비산먼지를 흡수하고 분진 발생을 저감하며, 점적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점적관호스가 설치되며, 시공공법은 지반 굴토단계와; 다짐층 형성단계와; 배수층 형성단계와; 레벨링 모르타르층 형성단계와: 건식공법으로 상기 사괴석을 시공하고 시공 후 상기 사괴석을 고정하는 잇몸 구조가 되게 하는 고정모르타르층 형성단계와;상기 사괴석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패턴으로 설치하는 사괴석 설치단계와; 상기 제2사괴석과 제2사괴석의 사이의 틈새에 쇄석채움층을 형성시키는 쇄석채움층 형성단계와; 점적관호스를 포설하는 점적관호스 포설단계와; 상기 열선을 포설하는 열선 포설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에 따르면 사괴석을 사모래를 사용한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에 잇몸 구조로 설치하여 사괴석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2사괴석의 측면 형상을 경사면을 형성시켜 제2사괴석과 제2사괴석 사이의 틈새 하부에 열선과 물공급용 점적관호스를 설치하여 동계에 표면이 어는 것과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보습력을 가져 미세먼지를 흡수하며, 복사열을 방지하여 열섬화 현상을 막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Environment Adaptive Stone Pav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 앞이나 소방차 구획의 안전도로와 공원산책로, 등산로, 중앙광장, 번잡한 사거리, 횡단보도, 중앙차선, 버스승강장 등과 같은 전용 포장도로에 있어 잇몸 구조로 사괴석을 포장하여 사괴석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하부에 열선과 물공급 점적관호스를 설치하여 동계에 표면이 어는 것과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보습력을 가져 미세먼지와 비산분진을 흡수하며, 복사열을 방지하여 열섬화 현상을 막는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주로 이용하는 인도나 자동차 등이 주행하는 차도 그리고 광장 등을 포장함에 있어서 경제적인 면과 내구성을 고려하여 통상은 아스팔트를 도포하거나 아스콘이라 불리우는 시멘트와 아스팔트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 지면을 포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아스팔트나 아스콘들은 모두 미관적인 면에서는 정교한 우리나라 전통 문양, 패턴 연출 등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고, 마찰계수를 저감하는데도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석재를 사용하여 인도나 광장 등을 포장하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대개 단순한 포장의 기능만 수행하고 있다.
페이빙스톤(paving stone)이라 불리우는 도로포장용 석재는 화강암이나 석회암 등의 자연석을 육면체의 형상으로 기계절단시킨 다음, 매우 거친면이나 날카로운 모서리를 자연석과 같이 부드럽게 기계연마시켜 석재블럭을 준비하고, 지반을 다지고, 쇄석층을 포설한 후에 상기 준비된 석재블럭을 포석하거나, 모르타르로 석재블럭을 고정시키는 시공공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공지의 석재블럭은 자연석으로 꾸미기 위해 사각 육면체를 정교하게 다듬지 않고 포석시키기 때문에 각 석재블럭 사이에는 10㎜ 정도의 틈새가 생기게 되며, 이 틈새에는 상부기층에서 절반은 5㎜ 이하의 쇄석을 채워 넣고, 나머지는 석분으로 마감하는 공법으로 포석되고 있다.
사괴석(달리 '사고석'이라고도 함)은 벽이나 돌담 또는 화방(火防)을 쌓는 데 쓰는 육면체의 돌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대개 한 변의 길이는 150 내지 250㎜의 규격을 갖는 돌로서, 대체로 육면체로 가공되기는 하나, 모든 면 또는 어느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이 울퉁불퉁하게 되도록 가공되어 있다.
이를 사용하여 도로를 포장하는 경우, 사괴석의 각 면에 거친 상태로 되어 있어야 사괴석과 사괴석 사이에 매지를 쇄석으로 채워져 서로 축대형상으로 지지하여 맞물려있기 때문에 도로침하방지 차원에서 매우 단단히 고정되어 충진 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럴 경우, 기존 포장재로 사용되고 있는 사괴석의 크기가 블록의 크기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사괴석과 사괴석 사이의 매지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져 쇄석이 쉽게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있었고, 재료가 분리되거나 결속력 약화로 마모에 의한 분진이 발생하였고, 또한 사괴석의 윗부분이 거친 상태로 되어 있는데다가 사괴석과 사괴석 사이의 틈새들이 블록에 비해 많다 보니 이 틈새들로 인하여 울퉁불퉁한 요철이 형성되게 되어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 데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장시간 경과하면 마찰계수가 줄어들어 미끄럼에 의한 사고유발과 차량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심하게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괴석 설치에 문제점이 있어 사괴석이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는 문제점과, 사괴석이 돌이므로 겨울에 상부가 얼거나 눈이 왔을 때 미끄러져 사고가 나는 경우가 많았고, 보습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괴석의 안전 고정, 수평유지 및 노면의 분진을 제거하고 보습과 습도 유지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26539 (등록일자 : 2009년 11월 05일) 지열과 우수의 순환을 통한 석재포장 보도의 온도 습도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석재포장 보도의 시공방법 2.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09-0005273 (공개일자 : 2009년 06월 02일) 포도용 사괴석 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81154 (공개일자 : 2017년 07월 11일) 도로포장용 석재블럭 4.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06951 (등록일자 : 2006년 02월 14일) 석재를 이용한 포장구조 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04311 (등록일자 : 2012년 01월 03일) 패널형 줄눈 인조석과 시공방법 및 제조방법 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49252 (등록일자 : 2010년 03월 16일) 석재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을 형성시켜 사괴석을 잇몸 구조로 설치하고, 사괴석의 측면 형상을 경사면을 두어 사괴석과 사괴석 사이의 하부에 수분의 왕래와 보호를 위해 규사채움층을 두어 규사채움층에 열선을 설치하고, 규사채움층 하부에 수분의 왕래와 점적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쇄석채움층을 두어 쇄석채움층에 물공급 점적관호스를 설치하는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사괴석을 이용한 포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괴석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정사각형이고 일정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인 사각기둥 형상의 제1사괴석과; 상부면은 상기 제1사괴석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상기 제1사괴석과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좌측수직면을 가지며, 우측면은 하부면이 좁아져 경사면을 이루며 마름모 기둥 형상의 제2사괴석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장 시스템은 원지반을 일정 깊이로 파고 롤러로 다짐한 다짐층과; 상기 다짐층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타설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사괴석이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바닥을 수평으로 만들고 침하 및 세굴을 방지하는 레벨링 모르타르층과;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건식공법으로 설치되어 상기 사괴석 설치 후 수분에 의해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과 일체화가 되고, 상기 제1사괴석과 제2사괴석을 잡아주는 잇몸구조가 되는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과;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의 상부에 상기 제1사괴석과 제2사괴석이 일정 패턴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사괴석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 하부에 형성되며, 사괴석을 포장할 지반을 터파기할 때 흐트러진 바닥이 나중에 침하되지 않도록 하며, 굵은골재로 포설되고 측구 배수로로 연결되는 배수층이 추가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사괴석(511)의 크기는 가로 100±5mm 세로 100±5mm 높이 150±5mm 이거나, 가로 150±5mm 세로 150±5mm 높이 150±5mm 이거나, 가로 200±5mm 세로 200±5mm 높이 150~200±5mm 이다.
상기 제2사괴석(512)의 크기는 상기 제1사괴석(511)과 하부면(5122)과 우측면(5124)만 상이하고 상부면 좌측면, 전면, 후면이 동일하며, 하부면의 크기가 가로 100±5mm 세로 85±5mm이거나, 가로 150±5mm 세로 135±5mm이거나, 가로 200±5mm 세로 185±5mm이다.
상기 사괴석(51)과 사괴석(51) 사이의 이격거리는 10±2mm이다.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3)은 #10 크기의 메쉬(31)를 포함하며, 높이는 50~100mm이고,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높이는 40~60mm 이다.
상기 사괴석층의 설치 패턴은 열 별로 좌측부터 상기 제1사괴석과 제2사괴석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2개씩 차례로 연속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2사괴석은 서로 상기 우측경사면이 맞보게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사괴석과 제2사괴석 사이에는 동계에 상기 사괴석의 상부의 수분이 어는 것과 얼음과 눈을 녹이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설치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의 하부에 설치되며, 점적관수의 방법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상기 점적관수로 포장 구간의 비산먼지를 흡수하고 분진 발생을 저감하며, 점적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점적관호스가 설치된다.
상기 제2사괴석과 제2사괴석 사이에는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점적관호스가 설치되며 상기 점적관호스의 점적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점적관수와 물 고임으로 포장 구간의 비산먼지를 흡수하고 분진 발생을 저감하며, 상부와 수분의 원활한 왕래할 수 있는 투수층이고, 쇄석 또는 굵은 모래로 충전되며 일정 높이를 가지는 쇄석채움층과; 상기 열선이 설치되며, 상기 쇄석채움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결로와 먼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투수층인 제2규사채움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사괴석과 제1사괴석 사이와 상기 제1사괴석과 제2사괴석의 사이의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 상부에는 결로와 먼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투수층인 제1규사채움층이 형성된다.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30~40% 이고, 상기 쇄석채움층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30~40%이며, 상기 제2규사채움층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20~40%이고, 상기 제1규사채움층의 높이는 사괴선 전체 높이의 60~70%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시공공법은 지면을 일정 깊이로 터파기하는 지반 굴토단계와; 굴토된 지반을 10톤 이상의 롤러로 다짐하여 다짐층을 형성시키는 다짐층 형성단계와; 상기 다짐층 위에 굵은골재를 포설하여 측구 배수로로 연결시키는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배수층 형성단계와; #10 메쉬를 포설하고 기초 모르타르가 일정 높이로 타설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사괴석이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바닥을 수평으로 만들고 침하 및 세굴을 방지하는 레벨링 모르타르층을 형성시키는 레벨링 모르타르층 형성단계와: 건식공법으로 상기 사괴석을 시공하고 시공 후 상기 사괴석을 고정하는 잇몸 구조가 되게, 모래 50~60중량%와 시멘트 40~50중량%를 혼합하여 사모래를 일정 높이로 포설하여 상기 고정모르타르층을 형성시키는 고정모르타르층 형성단계와; 사괴석을 열 별로 좌측부터 상기 제1사괴석과 제2사괴석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패턴으로 설치하는 사괴석 설치단계와; 상기 제2사괴석과 제2사괴석의 사이의 틈새에 10mm 미만의 크기의 쇄석을 일정 높이까지 채움하여 1차 쇄석채움층을 형성시키는 1차 쇄석채움층 형성단계와; 상기 1차 쇄석채움층의 상부에 점적관호스를 포설하는 점적관호스 포설단계와; 상기 점적관호스의 상부에 10mm 미만의 크기의 쇄석을 일정 높이까지 채움하여 2차 쇄석채움층을 형성시키는 2차 쇄석채움층 형성단계와; 상기 2차 쇄석채움층의 상부에 열선을 포설하는 열선 포설단계와;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 상부 또는 상기 2차 쇄석채움층과 열선 상부에 2~3mm 크기의 규사를 상기 사괴석의 상단까지 충전하여 제1규사채움층 또는 제2규사채움층을 형성시키는 규사채움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괴석 설치단계는 최좌측 또는 최우측부터 1열의 제1사괴석을 설치하는 1열 제1사괴석설치단계와; 1열의 제1사괴석과 일정 간격을 두고 2열의 제1사괴석을 설치하는 2열 제1사괴석설치단계와; 2열의 제1사괴석과 일정 간격을 두고 3열의 제2사괴석을 설치하는 3열 제2사괴석설치단계와; 3열의 제2사괴석과 일정 간격을 두고 4열의 제2사괴석(512)을 설치하는 4열 제2사괴석설치단계와; 상술한 단계를 반복하는 반복단계로 구성된다.
상술한 포장 시스템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에 따르면 사괴석을 잇몸 구조로 설치하여 사괴석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사괴석의 측면 형상을 경사면을 두어 사괴석과 사괴석 사이의 하부에 열선과 물공급 점적관호스를 설치하여 동계에 표면이 어는 것을 방지하고 보습력을 가져 미세먼지와 비산분진을 흡수하며, 복사열을 방지하여 열섬화 현상을 막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1사괴석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2사괴석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의 A-A 부분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에 따른 점적관호스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의 시공방법 순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1사괴석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2사괴석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의 A-A 부분 단면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에 따른 점적관호스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의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A)에 사용되는 사괴석(51)은 화강암이나 석회암 등의 자연석을 육면체의 형상으로 기계절단시킨 다음, 매우 거친면이나 날카로운 모서리를 자연석과 같이 부드럽게 기계연마시켜 제조한다.
상기 사괴석(51)은 상부면(5111)과 하부면(5112)이 정사각형이고 일정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인 사각기둥 형상의 제1사괴석(511)과; 상부면(5121)은 상기 제1사괴석(511)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상기 제1사괴석(511)과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좌측수직면(5123)을 가지며, 우측면(5124)은 하부면(5122)이 좁아져 경사면을 이루며 마름모 기둥 형상의 제2사괴석(512)으로 구성된다.
일부 작업의 간편화를 위해 인조화강 사괴석을 모듈화해서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과 같이 상기 제1사괴석(511)은 상부면(5111)과 하부면(5112)이 정사각형이고 일정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인 사각기둥 형상이다.
상기 제1사괴석(511)의 크기는 가로 100±5mm 세로 100±5mm 높이 150±5mm 이거나, 가로 150±5mm 세로 150±5mm 높이 150±5mm 이거나, 가로 200±5mm 세로 200±5mm 높이 150~200±5mm 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에서는 파손 방지 및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제1사괴석(511)의 크기는 가로 100±5mm 세로 100±5mm 높이 150±5mm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제2사괴석(512)은 상부면(5121)이 상기 제1사괴석(511)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상기 제1사괴석(511)과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좌측수직면(5123)을 가지며, 우측면(5124)은 하부면(5122)이 좁아져 경사면을 이루며 마름모 기둥 형상이다.
상기 제2사괴석(512)의 크기는 상기 제1사괴석(511)과 하부면(5122)과 우측면(5124)만 상이하고 상부면 좌측면, 전면, 후면이 동일하며, 하부면의 크기가 가로 100±5mm 세로 85±5mm이거나, 가로 150±5mm 세로 135±5mm이거나, 가로 200±5mm 세로 185±5mm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에서는 파손 방지 및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제2사괴석(512)의 크기는 상부면이 가로 100±5mm 세로 100±5mm 이고, 하부면의 크기가 가로 100±5mm 세로 85±5mm이며, 높이 150±5mm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사괴석(51)이 측면이 모두 경사면을 가지는 정사각뿔기둥 형상일 때는 안정성이 떨어져 사괴석이 정확한 위치에 수직으로 서지 않을 수 있어 포장면이 요철이 발생할 수 있고 훼손, 파손을 우려가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A)은 원지반을 일정 깊이로 파고 롤러로 다짐한 다짐층(1)과; 상기 다짐층(1)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타설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사괴석(51)이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바닥을 수평으로 만들고 침하 및 세굴을 방지하는 레벨링 모르타르층(3)과;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3)의 상부에 형성되며, 건식공법으로 설치되어 상기 사괴석 설치 후 수분에 의해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3)과 일체화가 되고,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을 잡아주는 잇몸구조가 되는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과;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상부에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이 일정 패턴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사괴석층(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장 시스템(A)은 도 3과 같이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3)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사괴석(51)을 포장할 지반을 터파기할 때 흐트러진 바닥이 나중에 침하되지 않도록 하며, 굵은골재로 포설되고 측구 배수로로 연결되는 배수층(2)이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사괴석(51)과 사괴석(51) 사이의 이격거리는 10±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3)은 #10 크기의 메쉬(31)를 포함하며, 높이는 50~1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높이는 40~6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사괴석층(5)의 사괴석(51) 설치 패턴은 열 별로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2개씩 차례로 연속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2사괴석(512)은 옆의 상기 제2사괴석(512)과의 틈새에 열선(52)과 점적관호스(53)을 설치하기 위하여 서로 상기 경사면이 맞보게 대칭되게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 사이에는 동계에 상기 사괴석(51)의 상부의 수분이 어는 것을 방지하고 얼음과 눈을 녹이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설치되는 열선(52)과; 상기 열선(52)의 하부에 설치되며, 점적관수의 방법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상기 점적관수로 포장 구간의 비산먼지를 흡수하고 분진 발생을 저감하며, 점적홀(5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점적관호스(53)가 설치된다.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 사이에는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점적관호스(53)가 설치되며 상기 점적관호스(53)의 점적홀(53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점적관수와 물 고임으로 포장 구간의 비산먼지를 흡수하고 분진 발생을 저감하며, 상부와 수분의 원활한 왕래할 수 있는 투수층이고, 쇄석 또는 굵은 모래로 충전되며 일정 높이를 가지는 쇄석채움층(54)과; 상기 열선(52)이 설치되며, 상기 쇄석채움층(54)의 상부에 형성되어 결로와 먼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투수층인 제2규사채움층(55)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1사괴석(511) 사이와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의 사이의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 상부에는 결로와 먼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투수층인 제1규사채움층(56)이 형성된다.
상기 제2규사채움층(55)과 제1규사채움층(56)의 상부에는 상부 노면 틈새용 충전재로 녹색 이끼를 발생하게 하고 디자인 기능이 있는 엣지처리를 할 수 있는 특수바인드가 충전될 수도 있다.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30~40% 로 사괴석 전체 높이가 150mm 일 때 45mm~60mm 이다.
상기 쇄석채움층(54)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30~40%로, 사괴석 전체 높이가 150mm 일 때 45mm~60mm 이다.
상기 제2규사채움층(55)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20~40%로, 사괴석 전체 높이가 150mm 일 때 30mm~60mm 이다.
상기 제1규사채움층(56)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60~70%로, 사괴석 전체 높이가 150mm 일 때 90mm~105mm 이다.
상기 열선(52)은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신호을 받아 세팅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되게 제어하고 기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선(52)의 전원은 편리하게는 가로등에서 공급받을 수 있고, 기타의 방법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열선(52)는 직경이 5mm정도이고 컨넥터를 포함해도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의 사이의 틈새에 설치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A)의 핵심사항은 상기 사괴석(51)을 모래 50~60중량%와 시멘트 40~50중량%를 혼합한 사모래를 이용한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에 잇몸 구조로 설치하여 상기 사괴석(5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2사괴석(512)의 측면 형상을 경사면을 형성시켜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 사이의 틈새 하부에 상기 열선(52)과 물공급용 점적관호스(53)를 설치하여 동계에 표면이 어는 것과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보습력을 가져 미세먼지를 흡수하며, 복사열을 방지하여 열섬화 현상을 막는다.
상기 점적관호스(53)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열선(52)의 하부에 설치되며, 점적관수의 방법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상기 점적관수로 포장 구간의 비산먼지를 흡수하고 분진 발생을 저감하며, 점적홀(5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가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점적관호스(53)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점적홀(53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호스본체(531)와, 상기 호스본체(531)의 점적홀(5311)에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호스본체(531)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다수 개의 위크(5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본체(531)는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의 사이의 틈새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직경이 10mm 이하이어야 한다.
상기 호스본체(531)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호스본체(531)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내마모성이 우수(예를 들면 고무호스에 비하여 2.5~5배 정도, 연성 폴리염화비닐호스에 비하여 3~4배 정도 내마모성이 우수함)하고, 가볍고 신축성이 뛰어나며,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내용물의 흐름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호스본체(531)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탄력성과 신축성이 매우 우수하고, 복원력이 좋고 영구 압축률이 낮아 내구성이 우수하며, 잘 찢어지지 않아 쉽게 손상되지 않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본체(531)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내약품성이 크고, 자외선과 날씨 등에 대한 내후성이 우수하고, 연화점이 높고 내열성이 커서 화재시에 다른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에 비해 안전하다. 또 상기 호스본체(531)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저온에서 신축성이 매우 커서 겨울철에 작업하는 경우에도 부러질 위험성이 낮다.
상기 위크(532)는 상기 호스본체(531)에 일정 간격을 두고 [0027]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위크(532)는 상기 호스본체(531)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위크(532)는 상기 호스본체(531)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유도하는 점적섬유체(5322)와 상기 점적섬유체(5322)가 삽입되어 수로를 형성할 수 있게 슬리브 역할을 하고, 상기 점적홀(5311)에 삽입되는 튜브체(53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체(5321)는 상기 호스본체(531)의 상기 점적홀(5311)에 삽입되어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튜브체(5321)는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의 변경되는 연질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점적섬유체(5322)는 상기 튜브체(532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점적섬유체(5322)는 상기 호스본체(531)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점적섬유체(5322)는 다수의 섬유로 구성된다.
상기 점적섬유체(5322)는 실과 같은 섬유 여러 가닥이 일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튜브체(5321)에 삽입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다수의 섬유 가닥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묶음으로 일체화된 상태에서 튜브체(5321)에 삽입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점적섬유체(5322)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의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위크(532)는 상기 호스본체(531)에 형성되는 점적홀(5311)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상기에서 호스본체(531)의 점적홀(5311) 내경을 상기 위크(532)의 튜브체(5321) 외경보다 작게 형성한 다음, 상기 위크(532)의 점적섬유체(5322)가 설치된 튜브체(5321)를 점적홀(5311)에 강제로 압입하게 되면, 호스본체(532)가 탄성력에 의하여 튜브체(5321) 외면을 조이면서 가압하게 되고, 튜브체(5321) 및 점적섬유체(5322)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호스본체(53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강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연질의 튜브체(5321)가 호스본체(531)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되면, 점적섬유체(5322)와 튜브체(122)가 일체로 밀착되는 상태로 되고, 튜브체(5321)의 외면과 호스본체(531)의 점적홀(5311) 내면이 서로 강하게 밀착되어 자연스럽게 누수가 방지되는 수밀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호스본체(53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튜브체(5321)에 대한 고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호스본체(531)의 두께를 1mm 이상(바람직하게는 1~10mm)으로 형성하는 것이 튜브체(53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탄성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사괴석(51)을 이용한 포장 시스템(A)의 시공공법에서 상기 포장 시스템(A)에 관한 사항은 상술한 청구항 1내지 5항의 사항과 동일하므로 그것을 준용한다.
상기 시공공법은 지면을 일정 깊이로 터파기하는 지반 굴토단계와; 굴토된 지반을 10톤 이상의 롤러로 다짐하여 다짐층(1)을 형성시키는 다짐층 형성단계와; 상기 다짐층(1) 위에 굵은골재를 포설하여 측구 배수로로 연결시키는 배수층(2)을 형성시키는 배수층 형성단계와; #10 크기의 메쉬(31)를 포설하고 기초 모르타르가 일정 높이로 타설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사괴석(51)이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바닥을 수평으로 만들고 침하 및 세굴을 방지하는 레벨링 모르타르층(3)을 형성시키는 레벨링 모르타르층 형성단계와; 건식공법으로 상기 사괴석(51)을 시공하고 시공 후 상기 사괴석(51)을 고정하는 잇몸 구조가 되게, 모래 50~60중량%와 시멘트 40~50중량%를 혼합한 사모래를 일정 높이로 포설하여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을 형성시키는 고정모르타르층 형성단계와; 상기 사괴석(51)을 열 별로 좌측부터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패턴으로 설치하는 사괴석 설치단계와;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의 사이의 틈새에 10mm 미만의 크기의 쇄석을 일정 높이까지 채움하여 1차 쇄석채움층(541)을 형성시키는 1차 쇄석채움층 형성단계와; 상기 1차 쇄석채움층(541)의 상부에 점적관호스(53)를 포설하는 점적관호스 포설단계와; 상기 점적관호스(53)의 상부에 10mm 미만의 크기의 쇄석을 일정 높이까지 채움하여 2차 쇄석채움층(542)을 형성시키는 2차 쇄석채움층 형성단계와; 상기 2차 쇄석채움층(542)의 상부에 상기 열선(52)을 포설하는 열선 포설단계와;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 상부 또는 상기 2차 쇄석채움층(542)과 열선(52) 상부에 2~3mm 크기의 규사를 상기 사괴석(51)의 상단까지 충전하여 제1규사채움층(56) 또는 제2규사채움층(55)을 형성시키는 규사채움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공공법은 상기 사괴석 설치단계와 1차 쇄석채움층 형성단계 사이에 상기 사괴석(51)과 사괴석(51) 사이의 틈새로 미세한 물방울 형태(포그 형태)로 일정량의 수분 균등하게 공급하여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이 잇몸 구조가 되어 상기 사괴석(51)을 잡아주게 상기 사모래를 경화시키는 사괴석 고정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공공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다짐층 형성단계는 굴토된 지반을 10톤 이상의 롤러로 다짐하여 다짐층(1)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배수층 형성단계는 상기 다짐층(1) 위에 굵은골재를 포설하여 측구 배수로로 연결시키는 배수층(2)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굵은골재는 30mm 채 통과량이 100중량%이고, 25mm 채 통과량이 95~100중량%이며, 20mm 채 통과량이 60~90중량%이고, 5mm 채 통과량이 0~15중량%인 것을 사용한다.
레벨링 모르타르층 형성단계는 #10 크기의 메쉬(31)를 포설하고 기초 모르타르가 일정 높이로 타설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사괴석(51)이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바닥을 수평으로 만들고 침하 및 세굴을 방지하는 레벨링 모르타르층(3)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메쉬(31)는 선경이 2.8mm이고, 망눈이 215*215mm 또는 188*188mm 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고정모르타르층 형성단계는 건식공법으로 상기 사괴석(51)을 시공하고 시공 후 상기 사괴석(51)을 고정하는 잇몸 구조가 되게, 모래 50~60중량%와 시멘트 40~50중량%를 혼합한 사모래를 일정 높이로 포설하여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사괴석 설치단계는 상기 사괴석(51)을 열 별로 좌측 또는 우측부터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패턴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괴석층(5)의 설치 패턴은 열 별로 좌측 또는 우측부터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1)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2개씩 차례로 연속으로 설치하며,상기 제2사괴석(512)은 서로 경사면이 맞보게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사괴석 설치단계는 최좌측 또는 최우측부터 1열의 제1사괴석(511)을 설치하는 1열 제1사괴석설치단계와; 1열의 제1사괴석과 일정 간격을 두고 2열의 제1사괴석(511)을 설치하는 2열 제1사괴석설치단계와; 2열의 제1사괴석(511)과 일정 간격을 두고 3열의 제2사괴석(512)을 설치하는 3열 제2사괴석설치단계와; 3열의 제2사괴석(512)과 일정 간격을 두고 3열의 제2사괴석(512)의 경사면과 마주보고 4열의 제2사괴석(512)을 설치하는 4열 제2사괴석설치단계와; 상술한 단계를 반복하는 반복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사괴석 고정단계는 상기 사괴석 설치단계와 1차 쇄석채움층 형성단계 사이에 상기 사괴석(51)과 사괴석(51) 사이의 틈새로 미세한 물방울 형태(포그 형태)로 일정량의 수분 균등하게 공급하여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이 잇몸 구조가 되어 상기 사괴석(51)을 잡아주게 상기 사모래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1차 쇄석채움층 형성단계는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의 사이의 틈새에 10mm 미만의 크기의 쇄석을 일정 높이까지 채움하여 1차 쇄석채움층(541)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점적관호스 포설단계는 상기 1차 쇄석채움층(541)의 상부에 점적관호스(53)를 포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 쇄석채움층 형성단계는 상기 점적관호스(53)의 상부에 10mm 미만의 크기의 쇄석을 일정 높이까지 채움하여 2차 쇄석채움층(542)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열선 포설단계는 상기 2차 쇄석채움층(542)의 상부에 상기 열선(52)을 포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규사채움층 형성단계는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 상부 또는 상기 2차 쇄석채움층(542)과 열선(52) 상부에 2~3mm 크기의 규사를 상기 사괴석(51)의 상단까지 충전하여 제1규사채움층(56) 또는 제2규사채움층(55)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A)에 따르면상기 사괴석(51)을 모래 50~60중량%와 시멘트 40~50중량%를 혼합한 사모래를 이용한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에 잇몸 구조로 설치하여 상기 사괴석(5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2사괴석(512)의 측면 형상을 경사면을 형성시켜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 사이의 틈새 하부에 상기 열선(52)과 물공급용 점적관호스(53)를 설치하여 동계에 표면이 어는 것과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보습력을 가져 미세먼지를 흡수하며, 복사열을 방지하여 열섬화 현상을 막는다.
아울러 우천시 빗물을 재활용하고, 포장 내부가 담수층화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A : 포장 시스템 1 : 다짐층
2 : 배수층 3 : 레벨링 모르타르층
31 : 메쉬 4 :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
5 : 사괴석층 51 : 사괴석
511 : 제1사괴석 5111 : 상부면
5112 : 하부면 512 : 제2사괴석
5121 : 상부면 5122 : 하부면
5123 : 좌측수직면 5124 : 우측면
52 : 열선 53 : 점적관호스
531 : 호스본체 5311 : 점적홀
532 : 위크 5321 : 튜브체
5322 : 점적섬유체 54 : 쇄석채움층
541 : 1차 쇄석채움층 542 : 2차 쇄석채움층
55 : 제2규사채움층 56 : 제1규사채움층
6 : 원지반

Claims (8)

  1. 사괴석(51)을 이용한 포장 시스템(A)에 있어서,
    상기 사괴석(51)은 상부면(5111)과 하부면(5112)이 정사각형이고 일정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인 사각기둥 형상의 제1사괴석(511)과;
    상부면(5121)이 상기 제1사괴석(511)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상기 제1사괴석(511)과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좌측수직면(5123)을 가지며, 우측면(5124)은 하부면(5122)이 좁아져 경사면을 이루며 마름모 기둥 형상의 제2사괴석(512)으로 구성되며,
    상기 포장 시스템(A)은 원지반을 일정 깊이로 파고 롤러로 다짐한 다짐층(1)과;
    상기 다짐층(1)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타설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사괴석(51)이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바닥을 수평으로 만들고 침하 및 세굴을 방지하는 레벨링 모르타르층(3)과;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3)의 상부에 형성되며, 건식공법으로 설치되어 사괴석 설치 후 수분에 의해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3)과 일체화가 되고,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을 잡아주는 잇몸구조가 되는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과;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상부에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이 일정 패턴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사괴석층(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괴석층(5)의 사괴석(51) 설치 패턴은 열 별로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2개씩 차례로 연속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사괴석(512)은 서로 상기 경사면이 맞보게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 사이에는 동계에 상기 사괴석(51)의 상부의 수분이 어는 것을 방지하고 얼음과 눈을 녹이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설치되는 열선(52)과;
    상기 열선(52)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장 구간의 비산먼지를 흡수하고 분진 발생을 저감하며, 점적홀(5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점적관호스(5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스템(A)은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3)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사괴석(51)을 포장할 지반을 터파기할 때 흐트러진 바닥이 침하되지 않도록 하며, 굵은골재로 포설되고 측구 배수로로 연결되는 배수층(2)이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괴석(511)의 크기는 가로 100±5mm 세로 100±5mm 높이 150±5mm 이거나, 가로 150±5mm 세로 150±5mm 높이 150±5mm 이거나, 가로 200±5mm 세로 200±5mm 높이 150~200±5mm 이며,
    상기 제2사괴석(512)의 크기는 상기 제1사괴석(511)과 하부면(5122)과 우측면(5124)만 상이하고 상부면 좌측면, 전면, 후면이 동일하며, 하부면의 크기가 가로 100±5mm 세로 85±5mm이거나, 가로 150±5mm 세로 135±5mm이거나, 가로 200±5mm 세로 185±5mm이며,
    상기 사괴석(51)과 사괴석(51) 사이의 이격거리는 10±2mm이며,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3)은 #10 크기의 메쉬(31)를 포함하며, 높이는 50~100mm이고,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높이는 40~6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 사이에는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점적관호스(53)의 점적홀(53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점적관수와 물 고임으로 포장 구간의 비산먼지를 흡수하고 분진 발생을 저감하며, 쇄석 또는 굵은 모래로 충전되어 일정 높이를 가지는 쇄석채움층(54)과;
    상기 쇄석채움층(54)의 상부에는 결로와 먼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투수층인 제2규사채움층(5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1사괴석(511) 사이와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의 사이의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 상부에는 결로와 먼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투수층인 제1규사채움층(56)이 형성되며,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30~40% 이고,
    상기 쇄석채움층(54)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30~40%이며,
    상기 제2규사채움층(55)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20~40%이고,
    상기 제1규사채움층(56)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60~70%이며,
    상기 점적관호스(53)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점적홀(53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호스본체(531)와, 상기 호스본체(531)의 점적홀(5311)에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호스본체(531)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다수 개의 위크(5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6. 사괴석(51)을 이용한 포장 시스템(A)의 시공공법에 있어서,
    상기 사괴석(51)은 상부면(5111)과 하부면(5112)이 정사각형이고 일정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인 사각기둥 형상의 제1사괴석(511)과;
    상부면(5121)은 상기 제1사괴석(511)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상기 제1사괴석(511)과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좌측수직면(5123)을 가지며, 우측면(5124)은 하부면(5122)이 좁아져 경사면을 이루며 마름모 기둥 형상의 제2사괴석(512)으로 구성되며,
    상기 포장 시스템(A)은 원지반을 일정 깊이로 파고 롤러로 다짐한 다짐층(1)과;
    상기 다짐층(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사괴석(51)을 포장할 지반을 터파기할 때 흐트러진 바닥이 나중에 침하되지 않도록 하며, 굵은골재로 포설되고 측구 배수로로 연결되는 배수층(2)과;
    상기 다짐층(1)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타설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사괴석(51)이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바닥을 수평으로 만들고 침하 및 세굴을 방지하는 레벨링 모르타르층(3)과;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3)의 상부에 형성되며, 건식공법으로 설치되어 상기 사괴석 설치 후 수분에 의해 상기 레벨링 모르타르층(3)과 일체화가 되고,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을 잡아주는 잇몸구조가 되는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과;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상부에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이 일정 패턴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사괴석층(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 사이에는 동계에 상기 사괴석(51)의 상부의 수분이 어는 것을 방지하고 얼음과 눈을 녹이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설치되는 열선(52)과;
    상기 열선(52)의 하부에 설치되며, 점적관수의 방법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상기 점적관수로 포장 구간의 비산먼지를 흡수하고 분진 발생을 저감하며, 점적홀(5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점적관호스(53)가 설치되며,
    상기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 사이에는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점적관호스(53)가 설치되며 상기 점적관호스(53)의 점적홀(53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점적관수와 물 고임으로 포장 구간의 비산먼지를 흡수하고 분진 발생을 저감하며, 상부와 수분의 원활한 왕래할 수 있는 투수층이고, 쇄석 또는 굵은 모래로 충전되며 일정 높이를 가지는 쇄석채움층(54)과;
    상기 열선(52)이 설치되며, 상기 쇄석채움층(54)의 상부에 형성되어 결로와 먼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투수층인 제2규사채움층(5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1사괴석(511) 사이와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의 사이의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 상부에는 결로와 먼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투수층인 제1규사채움층(56)이 형성되며,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30~40% 이고,
    상기 쇄석채움층(54)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30~40%이며,
    상기 제2규사채움층(55)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20~40%이고,
    상기 제1규사채움층(56)의 높이는 사괴석 전체 높이의 60~70%이며,
    상기 점적관호스(53)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점적홀(53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호스본체(531)와, 상기 호스본체(531)의 점적홀(5311)에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호스본체(531)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다수 개의 위크(5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공공법은 지면을 일정 깊이로 터파기하는 지반 굴토단계와;
    굴토된 지반을 10톤 이상의 롤러로 다짐하여 다짐층(1)을 형성시키는 다짐층 형성단계와;
    상기 다짐층(1) 위에 굵은골재를 포설하여 측구 배수로로 연결시키는 배수층(2)을 형성시키는 배수층 형성단계와;
    #10 크기의 메쉬(31)를 포설하고 기초 모르타르가 일정 높이로 타설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사괴석(51)이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바닥을 수평으로 만들고 침하 및 세굴을 방지하는 레벨링 모르타르층(3)을 형성시키는 레벨링 모르타르층 형성단계와;
    건식공법으로 상기 사괴석(51)을 시공하고 시공 후 상기 사괴석(51)을 고정하는 잇몸 구조가 되게, 모래 50~60중량%와 시멘트 40~50중량%를 혼합한 사모래를 일정 높이로 포설하여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을 형성시키는 고정모르타르층 형성단계와;
    상기 사괴석(51)을 열 별로 좌측부터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2)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패턴으로 설치하는 사괴석 설치단계와;
    제2사괴석(512)과 제2사괴석(512)의 사이의 틈새에 10mm 미만의 크기의 쇄석을 일정 높이까지 채움하여 1차 쇄석채움층(541)을 형성시키는 1차 쇄석채움층 형성단계와;
    상기 1차 쇄석채움층(541)의 상부에 점적관호스(53)를 포설하는 점적관호스 포설단계와;
    상기 점적관호스(53)의 상부에 10mm 미만의 크기의 쇄석을 일정 높이까지 채움하여 2차 쇄석채움층(542)을 형성시키는 2차 쇄석채움층 형성단계와;
    상기 2차 쇄석채움층(542)의 상부에 상기 열선(52)을 포설하는 열선 포설단계와;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 상부 또는 상기 2차 쇄석채움층(542)과 열선(52) 상부에 2~3mm 크기의 규사를 상기 사괴석(51)의 상단까지 충전하여 제1규사채움층(56) 또는 제2규사채움층(55)을 형성시키는 규사채움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시공공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괴석층(5)의 설치 패턴은 열 별로 좌측 또는 우측부터 상기 제1사괴석(511)과 제2사괴석(511)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2개씩 차례로 연속으로 설치하며,
    상기 제2사괴석(512)은 서로 경사면이 맞보게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사괴석 설치단계는 최좌측 또는 최우측부터 1열의 제1사괴석(511)을 설치하는 1열 제1사괴석설치단계와;
    1열의 제1사괴석과 일정 간격을 두고 2열의 제1사괴석(511)을 설치하는 2열 제1사괴석설치단계와;
    2열의 제1사괴석(511)과 일정 간격을 두고 3열의 제2사괴석(512)을 설치하는 3열 제2사괴석설치단계와;
    3열의 제2사괴석(512)과 일정 간격을 두고 3열의 제2사괴석(512)의 경사면과 마주보고 4열의 제2사괴석(512)을 설치하는 4열 제2사괴석설치단계와;
    상술한 단계를 반복하는 반복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시공공법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공법은 상기 사괴석 설치단계와 1차 쇄석채움층 형성단계 사이에 상기 사괴석(51)과 사괴석(51) 사이의 틈새로 미세한 물방울 형태(포그 형태)로 일정량의 수분 균등하게 공급하여 상기 사괴석 고정모르타르층(4)이 잇몸 구조가 되어 상기 사괴석(51)을 잡아주게 사모래를 경화시키는 사괴석 고정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시공공법
KR1020180124157A 2018-10-18 2018-10-18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 KR10198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157A KR101986703B1 (ko) 2018-10-18 2018-10-18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157A KR101986703B1 (ko) 2018-10-18 2018-10-18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703B1 true KR101986703B1 (ko) 2019-06-07

Family

ID=6684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157A KR101986703B1 (ko) 2018-10-18 2018-10-18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7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7009A (zh) * 2022-08-22 2022-10-21 浙江华东工程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环保型道路施工设备及道路结构
CN115217009B (zh) * 2022-08-22 2024-05-24 浙江华东工程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环保型道路施工设备及道路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503A (ja) * 2001-04-17 2002-10-23 Toa Doro Kogyo Co Ltd ブロック舗装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90005273U (ko) 2007-11-28 2009-06-02 이재식 포도용 사괴석
KR100926539B1 (ko) 2009-08-18 2009-11-12 에이스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열과 우수의 순환을 통한 석재포장 보도의 온도 습도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석재포장 보도의 시공방법
KR100949252B1 (ko) 2009-08-07 2010-03-25 대림산업 주식회사 석재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1104311B1 (ko) 2009-05-14 2012-01-11 한영찬 패널형 줄눈 인조석과 시공방법 및 제조방법
KR20170081154A (ko) 2017-06-29 2017-07-11 (주) 삼일기업 도로포장용 석재블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503A (ja) * 2001-04-17 2002-10-23 Toa Doro Kogyo Co Ltd ブロック舗装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90005273U (ko) 2007-11-28 2009-06-02 이재식 포도용 사괴석
KR101104311B1 (ko) 2009-05-14 2012-01-11 한영찬 패널형 줄눈 인조석과 시공방법 및 제조방법
KR100949252B1 (ko) 2009-08-07 2010-03-25 대림산업 주식회사 석재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0926539B1 (ko) 2009-08-18 2009-11-12 에이스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열과 우수의 순환을 통한 석재포장 보도의 온도 습도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석재포장 보도의 시공방법
KR20170081154A (ko) 2017-06-29 2017-07-11 (주) 삼일기업 도로포장용 석재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7009A (zh) * 2022-08-22 2022-10-21 浙江华东工程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环保型道路施工设备及道路结构
CN115217009B (zh) * 2022-08-22 2024-05-24 浙江华东工程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环保型道路施工设备及道路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375B2 (en) Synthetic ground cover system with binding infill for erosion control
ES2663703T3 (es) Sistema de soporte subyacente estructural para su uso con elementos de pavimentación y revestimiento del suelo
CN202926388U (zh) 一种公路隧道路面冒水排泄设施
CN103669145B (zh) 一种透水路面结构的铺装方法
CN101418540B (zh) 聚乙烯植草地坪施工方法
CN103866668A (zh) 一种表面透水沥青的水泥透水混凝土地面结构及其制作方法
KR101176040B1 (ko) 투수코어가 결합된 지속가능한 배수성 투수블럭과 그 시공방법
CN106894311A (zh) 一种海绵型城市透水沥青路面
CN103669167B (zh) 一种透水路面结构
KR102191037B1 (ko) 투수 기층 블록을 이용한 자동 살수 시스템 및 방법
Lee et al. Assessing slope protection methods for weak rock slopes in Southwestern Taiwan
KR101027006B1 (ko) 투수블록 구조체
KR100734177B1 (ko) 격자망을 가지는 탄성포장 구조체
KR101986703B1 (ko) 친환경 적응형 사괴석 포장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
CN112211056B (zh) 一种市政道路铺设结构及其铺设方法
CN106436523A (zh) 一种利用再生骨料生产的新结构植草砖
CN212052158U (zh) 一种天然露骨料荧光透水混凝土路面结构
WO2006085095A3 (en) A water detention system incorporating a composite drainage membrane
JP5254057B2 (ja) 膨張による隆起・破壊予防のための路盤等の補修方法
CN207958902U (zh) 一种沥青透水混凝土路面
CN208486142U (zh) 一种新型多孔径流透水路面
KR20160035282A (ko) 익스펜션 조인트가 부착된 투수저류 블록
CN112030690A (zh) 路面裂缝处理的施工方法
KR100710629B1 (ko) 알피에스 보차도 시공방법
CN206428708U (zh) 一种使用带孔六棱块和土钉的组合护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