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980B1 -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포장체 - Google Patents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980B1
KR101985980B1 KR1020137023290A KR20137023290A KR101985980B1 KR 101985980 B1 KR101985980 B1 KR 101985980B1 KR 1020137023290 A KR1020137023290 A KR 1020137023290A KR 20137023290 A KR20137023290 A KR 20137023290A KR 101985980 B1 KR101985980 B1 KR 101985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core
packaging material
rol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063A (ko
Inventor
가즈히코 마츠다
하지메 니시우마
마사키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14001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0Wrappers or flexible covers 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원통상의 코어 (2, 21) 에 PVA 필름 (3, 24) 이 권취된 롤을 포장 재료 (11, 25) 로 포장한 포장체에 있어서, 코어 (2, 21) 의 내주면 등에서 결로가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포장체 내부로 잘 침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코어 (2, 21) 의 양 단부가 롤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고, 포장 재료 (11, 25) 의 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 (22) 상에서 고정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포장체{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PACKAGING}
본 발명은, 원통상의 코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롤을 포장 재료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 및, 당해 포장체의 보관 또는 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필름은, 통상적으로, 원통상의 코어에 귄취하여 형성한 롤을 포장 재료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의 형태로 보관 또는 수송된다. 포장체로 함으로써, 롤 표면에 대한 물의 부착으로 인한 외관의 악화를 방지하거나, 흡습으로 인한 필름 물성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특히, 편광 필름의 원료가 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이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를 「PVA」라고 간략히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필름과 같이 흡습성이 높은 플라스틱 필름에서는, 포장체 내부로의 수분의 침입으로 인해 필름의 함수율 상승에 의한 물성 변화나 수분 얼룩의 발생과 같은 품질 저하가 일어나고, 편광 필름 등의 2 차 제품으로 가공할 때의 가공성이 안정되지 않고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흡습으로 인한 품질 저하가 염려되는 플라스틱 필름 등에 있어서는, 결로나 습기에서 기인하는 수분으로부터의 보호성을 높이는 것이, 그 보관 또는 수송에 있어서 중요해진다.
플라스틱 필름의 롤을 방습성의 포장 재료로 포장하는 포장 방법이 지금까지 몇 가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코어에 PVA 필름을 권취하여 필름 롤로 하고, 이것을 투습도가 10 g/㎡/일 이하인 포장용 필름으로 포장하여 보관 또는 수송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에는, 포장 방법에 관하여, 필름 롤을 포장용 필름으로 2 겹 권취로 하고, 폭 방향으로 남은 부분을 코어에 압입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심재에 흡습성 필름을 귄취하고, 이것을 특정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재료로 포장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 에는, 포장 방법에 관하여, 포장용 필름 (포장 재료) 의 폭 방향의 단부를 관상 (管狀) 의 심재의 중공부에 압입한 후, 공중 매달음용 캡을 심재의 중공부에 관입 (貫入) 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코어 둘레에 그 코어의 양 단부를 남기고 장척의 필름 부재가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필름 롤과, 필름 롤을 덮는 포장 시트와, 필름 롤을 싸는 포장 시트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코어의 양 단부에 고정시키는 특정 포장용 고무 밴드를 갖는 필름 롤 포장체 (특허문헌 3 참조) 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에 있어서 양측 가장자리부 (양 단부) 란, 포장 시트를 거시적으로 보았을 때의 부분을 가리키고, 포장용 고무 밴드가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해도 포장 시트가 충분히 고정되도록 포장용 고무 밴드는 포장 시트의 단 (端) 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3 에 있어서 포장 시트의 단은 코어의 양 단부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158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0834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79922호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편광 필름의 원료가 되는 PVA 필름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보다 광폭의 PVA 필름이 요구됨과 함께, 편광 필름에 대한 가공성·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권취 길이가 긴 PVA 필름도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PVA 필름의 광폭화, 장권화 (長券化) 에 수반하여, 롤의 중량이 증가함으로써, 가대나 가공 장치에 대한 롤의 착탈이나 이동시에, 코어 내부에 지지봉을 넣고 핸들링하는 방법이 다용되게 되었다. 그 때문에 코어 내부에 대한 지지봉의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원통상의 코어의 양 단을 캡 등으로 막지 않고 개방하여, 코어 내부가 외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롤이 수송 또는 보관되는 기회가 많아졌다. 또한, 원통상의 코어의 재질에 대해서도, 강도 (굽힘 강성 등) 가 높은 금속이나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혹은 이들의 복합 재료가 사용되게 되었다.
그런데, 겨울철의 한랭지 등에 있어서, 공조 (空調) 되어 있지 않은 보관 장소로부터 공조된 가공 장소로 포장체를 반입하면, 포장체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롤의 중량이 늘어난 점에서, 롤의 열 용량의 증가와 그것에 수반하는 롤 전체의 온도 변화 속도의 저하에서 기인하여, 결로가 보다 발생하기 쉬워졌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롤의 중량 증가에 수반하여 금속제의 코어나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의 코어가 사용되게 되었지만, 금속제나 플라스틱제의 코어는 종이제의 코어 등에 비해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은 결로는, PVA 필름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쉬운 원통상의 코어의 내주면에 있어서 특히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포장 재료의 폭 방향으로 남은 부분을 코어에 압입하는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원통상의 코어의 내주면 등, 포장체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면,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압입된 포장 재료와 코어의 내주면 사이로부터 포장체 내부로 침입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중 매달음용 캡을 심재의 중공부에 관입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공중 매달음용 캡이 장착되어 있는 동안은 코어의 내주면에서의 결로가 방지되고, 또한, 코어의 내주면 이외에서 발생한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도 포장체 내부로 잘 침입하지 않지만, 코어의 내부에 지지봉을 삽입하기 위하여 공중 매달음용 캡을 떼어냈을 때에는, 코어의 내주면에서 결로가 발생하거나, 또한, 코어의 내주면 이외에서 발생한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포장 재료의 표면을 이동하거나 하여, 물이 포장 재료와 코어의 내주면 사이로부터 포장체 내부로 침입한다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원통상의 코어의 내주면 등, 포장체의 표면에서 결로가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포장체 내부로 잘 침입하지 않는 포장체, 및, 당해 포장체를 사용한 포장체의 보관 또는 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롤을 포장 재료로 포장할 때, 포장 재료의 단을 코어의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킴으로써 물이 포장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알아내어, 당해 지견에 기초하여 추가로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1] 원통상의 코어에 PVA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롤을 포장 재료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상기 코어의 양 단부가 롤 단면 (端面) 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포장 재료의 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되어 있는 포장체,
[2] 상기 코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재질이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인 상기 [1] 의 포장체,
[3] 상기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내주면이 외기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 의 포장체,
[4] 상기 PVA 필름의 폭이 2.1 m 이상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
[5] 상기 롤의 질량이 0.5 t 이상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
[6] 양방의 상기 돌출부 각각에 있어서,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된 상기 포장 재료의 단이 돌출부의 외주를 대략 연속적으로 주회하고 있는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
[7] 양방의 상기 돌출부 각각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이 포장 재료와 돌출부의 외주면 양방에 접하도록, 점착 테이프가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권취되어 있는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
[8] 양방의 상기 돌출부 각각에 있어서, 돌출부가 조임 부재에 의해, 단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되어 있는 상기 포장 재료를 개재하여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조여져 있는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
[9] 상기 포장 재료가, 수증기 투과도 5 g/㎡/24 h 이하의 필름인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
[10]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를 10 ℃ 이하에서 보관하는 포장체의 보관 방법,
[11]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의 상기 코어 내부에 지지봉을 넣은 상태에서 포장체를 수송하는 포장체의 수송 방법,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체에 의하면, 원통상의 코어의 내주면 등, 포장체의 표면에서 결로가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포장체 내부로 잘 침입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롤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롤을 시트상의 포장 재료로 포장할 때의 포장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포장 재료의 단이 점착 테이프에 의해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되어 있는 포장체의 돌출부 부근의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롤은 원통상의 코어에 PVA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당해 코어의 양 단부는, 롤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롤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롤 (1) 은, 원통상의 코어 (2) 에 PVA 필름 (3) 이 권취되어 이루어진다. 원통상의 코어 (2) 양방의 단부 (4) 각각은, 롤 단면 (5) 으로부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6)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원통상의 코어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금속제의 것, 플라스틱제의 것, 종이제의 것, 목제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과 플라스틱 양방이 사용된 것, 금속과 종이 양방이 사용된 것, 플라스틱과 종이 양방이 사용된 것 등, 복합체 형태의 코어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강도가 높고, 또한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휘되는 점에서,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제의 코어가 바람직하고, 반복 사용해도 마모 등의 영향을 잘 받지 않는 점에서 금속제의 코어가 보다 바람직하다. 원통상의 코어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금속 및 플라스틱의 질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질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의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강도, 경량성, 가격 등의 관점에서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플라스틱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염화비닐이 바람직하다. 당해 플라스틱은, 강도 등의 관점에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FRP) 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통상의 코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재질이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인 것과 같은, 결로가 발생하기 쉬운 코어를 사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포장체 내부로 잘 침입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코어를 사용한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휘된다.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휘되는 점에서, 원통상의 코어는, 그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내주면 면적의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주면 면적의 80 % 이상) 의 재질이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내주면 전부의 재질이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원통상의 코어의 전체 표면의 재질이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원통상의 코어의 양 단부가 롤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원통상의 코어의 길이는 PVA 필름의 폭보다 길게 된다. 원통상의 코어의 길이는,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후술하는 PVA 필름의 폭보다 5 ∼ 100 ㎝ 의 범위 내에서 더욱 긴 것이 바람직하고, 10 ∼ 45 ㎝ 의 범위 내에서 더욱 긴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 30 ㎝ 의 범위 내에서 더욱 긴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원통상의 코어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강도,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그 외경이 50 ∼ 8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5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 3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0 ∼ 250 ㎜ 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원통상의 코어의 두께는, 강도,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2 ∼ 5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2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 ∼ 10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롤은, 원통상의 코어에 PVA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PVA 필름은 흡습으로 인한 품질 저하가 큰 점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휘된다.
PVA 필름을 구성하는 PVA 로는,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비닐에스테르계 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포름산비닐,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발레르산비닐, 라우르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벤조산비닐, 피발산비닐, 버사트산비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아세트산비닐이 바람직하다.
PVA 필름을 구성하는 PVA 의 중합도는, PVA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500 ∼ 9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 ∼ 7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800 ∼ 5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0 ∼ 3000 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PVA 의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한 평균 중합도를 의미한다.
또한, PVA 필름을 구성하는 PVA 의 비누화도는, PVA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75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5 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9 몰%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PVA 의 비누화도란, PVA 가 갖는, 비누화에 의해 비닐알코올 단위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 단위 (전형적으로는 비닐에스테르 단위) 와 비닐알코올 단위의 합계 몰수에 대하여 당해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수가 차지하는 비율 (몰%) 을 일컫는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PVA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가소제, 계면 활성제, 이색성 염료 등을 함유시켜도 된다. PVA 필름의 제조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용액 제막 (製膜) 법, 용융 제막법 등,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막된 PVA 필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PVA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 5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3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 1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VA 필름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1 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3 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6 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 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3.3 m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폭을 갖는 PVA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통상의 코어의 길이가 PVA 필름의 폭보다 더욱 길어져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보다 다량으로 발생하기 쉽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포장체 내부로 잘 침입하지 않는 점에서, 상기와 같은 폭을 갖는 PVA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휘된다. 또한, 필름 폭이 2.1 m 미만인 경우, PVA 필름의 2 차 가공시에 필름 폭에 대하여 트림 폭의 비율이 커져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트림이란 가공시에 PVA 필름의 양 단부 등을 일정 폭 컷한,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는 부분이다.
한편, PVA 필름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는 점에서, PVA 필름의 폭은 8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상의 코어에 권취되는 PVA 필름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0 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 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00 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000 m 미만인 경우, 롤의 권취 개시/권취 종료 부분에서 발생하는 로스의 전체에 대한 비율이 커지는 등의 이유에서 경제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한편, PVA 필름의 길이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길면 롤의 질량이나 직경이 과대해져, 가대나 가공 장치에 대한 착탈이나 이동시에 그 취급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는 점에서, PVA 필름의 길이는 10000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롤의 질량은, 0.5 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t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t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질량이 보다 커서 결로가 발생하기 쉬운 롤이라 하더라도,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포장체 내부로 잘 침입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은 롤을 사용한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휘된다. 단, 롤의 질량이 지나치게 크면 취급성 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는 점에서, 롤의 질량은 5 t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상기의 롤을 포장 재료로 포장하여 이루어진다. 당해 포장 재료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알루미늄을 증착시킨 적층 필름, 폴리에스테르와 알루미늄박과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 알루미나 증착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 유리 증착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코트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포장 재료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상이한 기능을 갖는 2 종 이상의 포장 재료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종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의 양태로는, 예를 들어, 롤을 1 개의 포장 재료로 포장한 후, 그 위에서부터 별도의 포장 재료로 추가로 포장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롤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포장 재료로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오염이나 마찰에 강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롤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포장 재료의 두께는,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20 ∼ 6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1 종의 포장 재료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포장 재료, 또는, 2 종 이상의 포장 재료를 병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롤 표면과 접촉하는 포장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알루미늄을 증착시킨 적층 필름, 폴리에스테르와 알루미늄박과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 알루미나 증착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 유리 증착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이, 방습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롤 표면과 접촉하는 포장 재료의 두께는,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5 ∼ 6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2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장 재료, 바람직하게는 롤 표면과 접촉하는 포장 재료는, PVA 필름의 물에 대한 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수증기 투과도가 5 g/㎡/24 h 이하인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3 g/㎡/24 h 이하인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g/㎡/24 h 이하인 필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증기 투과도란, JIS K 7129 : 2008 에 기재된 적외선 센서법 (40 ℃, 90 %RH) 에 준하여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도를 의미한다.
롤을 포장 재료로 포장할 때의 포장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입체적으로 가공되어 있지 않은 시트상 (예를 들어 장방형상) 의 포장 재료를 롤의 외주를 따라 권취한 후, 롤 단면으로부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포장 재료를 오므리고, 이어서 오므린 포장 재료의 단을 코어의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키는 방법 ; 통상으로 입체적으로 가공된 포장 재료 중에 롤을 삽입한 후, 롤 단면으로부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포장 재료를 오므리고, 이어서 오므린 포장 재료의 단을 코어의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있어서, 돌출된 포장 재료를 오므린 후, 오므린 포장 재료의 단부를 잘라내어, 새롭게 생성된 포장 재료의 단을 코어의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키는 것이, 돌출부의 외주면 상의 원하는 위치에서 포장 재료의 단을 고정시키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돌출된 포장 재료를 오므린 후, 단부를 잘라내지 않고 그대로 오므린 포장 재료의 단을 코어의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2 종 이상의 포장 재료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1 종째의 포장 재료의 돌출된 부분을 오므리고, 이어서 오므린 1 종째의 포장 재료의 단을 코어의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킨 후, 2 종째의 포장 재료의 돌출된 부분을 오므리고, 이어서 오므린 2 종째의 포장 재료의 단을 코어의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켜도 되고, 혹은, 복수 종의 포장 재료의 돌출된 부분을 한데 모아 오므리고, 이어서 오므린 포장 재료의 단을 코어의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켜도 된다.
상기의 포장 방법 중에서도,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시트상의 포장 재료를 롤의 외주를 따라 권취한 후, 롤 단면으로부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포장 재료를 오므리고, 이어서 오므린 포장 재료의 단을 코어의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포장 재료의 권취 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1 겹 권취여도 되고, 2 겹 권취 등의 다겹 권취여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다겹 권취인 것이 스크래치 등에 의해 포장 재료가 손상되어도 그 영향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상의 포장 재료를 외주를 따라 권취한 후에, 코어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한 단부를 플라스틱 테이프, 천 테이프, 종이 테이프 등의 점착 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포장 재료를 전체적으로 통상으로 하면, 포장체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2 에, 롤을 시트상의 포장 재료로 포장할 때의 포장 방법의 일례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 의 예에서는, 먼저, 도 2 의 (1) ∼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의 외주를 따라 시트상의 포장 재료 (11) 를 권취하고, 추가로 코어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한 단부 (14) 를 도시 생략한 점착 테이프나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시켜 통상으로 한다. 이어서, 도 2 의 (2) ∼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재료의 롤 단면 (12) 으로부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 (15) 을 오므리고, 포장 재료를 코어의 양 단부의 돌출부 (13) 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후술과 같이 포장 재료 (11) 의 단을 돌출부 (13) 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킨다. 또한, 포장 재료 (11) 를 오므렸을 때의 늘어짐 부분을 절곡하거나 하여, 그 단도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키면, 포장체 내부에 대한 물의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롤을 포장 재료로 포장할 때에는, PVA 필름을 흠집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포장체 내부로서 롤 단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와셔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와셔로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와셔, 우레탄 와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장체를 수송용의 가대 등에 적재할 때에 롤 단면 부근의 포장 재료에 흠집이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포장체 외부로서 롤 단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와셔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와셔로는, 예를 들어, 목제 와셔, 골판지 와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체에 있어서는, 원통상의 코어의 내주면이 외기에 노출된 상태에 있는 것이, 가대나 가공 장치에 대한 포장체의 착탈이나 포장체의 이동시에, 코어 내부에 지지봉을 넣고 핸들링을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코어 내부에 지지봉을 관통시킬 수 있는 점에서, 포장체에 있어서, 원통상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원통상의 코어의 내주면이 외기에 노출된 상태가 아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포장 재료의 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포장용 고무 밴드로 고정시키는 방법과 같이, 포장 재료의 단이 고정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이 포장 재료의 단 부근에 장시간 머물러, 모세관 현상에 의해 포장 재료와 돌출부 사이로부터 포장체 내부로 침입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포장 재료의 단이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됨으로써, 코어의 내주면에서 발생한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돌출부의 외주면으로 이동해 온 경우라 하더라도, 포장 재료의 단 부근에 장시간 머무르지 않고 흘러 떨어지거나 하여, 신속하게 포장체로부터 멀어질 수 있어, 물이 포장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된 포장 재료의 단 (이하, 「외주면 상고정단」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은, 돌출부의 외주면과 직접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직접 접촉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직접 접촉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양태의 예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는 양태나, 포장 재료의 늘어짐 부분의 단을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키는 경우와 같이, 포장 재료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는 양태 등을 들 수 있다.
외주면 상고정단은, 돌출부의 외주의 일부에만 존재하고 있었다고 해도, 당해 외주면 상고정단을 하측을 향하게 하여 포장체를 배치하거나 함으로써, 코어의 내주면에서 발생한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포장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양방의 돌출부 각각에 있어서, 외주면 상고정단이, 각 돌출부의 외주를 대략 연속적으로 주회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면, 포장체의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또한, 포장체 내부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략 연속적으로 주회한다란, 외주를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주회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포장 재료의 늘어짐 부분 등에 있어서 외주면 상고정단이 연속하지 않은 부분이 조금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외주면 상고정단이 대략 연속적으로 주회하고 있는 돌출부의 외주에 있어서, 외주의 길이에 대한 외주면 상고정단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외주를 따른 길이 (복수 지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 길이) 가 차지하는 비율은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 있어서의 외주면 상고정단의 고정 양태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양태 ;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양태 ; 포장 재료의 융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양태 ; 고무 밴드 등의 조임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양태 ; 단부의 직경이 단부 이외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테이퍼를 형성한 코어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테이퍼부와 와셔 사이에 외주면 상고정단이 끼워져 있는 양태 등을 들 수 있지만, 포장체 내부로의 물의 침입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점에서, 점착 테이프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양태 및/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양태가 바람직하고, 조작성이나 경제성의 관점에서 점착 테이프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양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테이프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양태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양방의 돌출부 각각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이 포장 재료와 돌출부의 외주면 양방에 접하도록, 당해 점착 테이프가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권취되어 있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점착 테이프는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1 둘레 이상 권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점착 테이프로는, 유연성, 신축성이 풍부하며, 포장 재료의 단 부근을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테이프로는, 종이 점착 테이프류, 천 점착 테이프류, 필름 점착 테이프류, 특수 점착 테이프류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셀로판 테이프, 크라프트 점착 테이프, 천 점착 테이프, OPP 점착 테이프, 알루미늄 테이프, 비닐 테이프, 폴리에스테르 테이프, 폴리에틸렌 테이프, 폴리프로필렌 테이프, 폴리이미드 테이프, 검 테이프, 또는 이들을 2 종류 이상 조합하여 가공한 복합 테이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의 다층 구조를 가진 점착 테이프가 방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테이프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점착 테이프의 폭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2 ∼ 15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1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양방의 돌출부 각각에 있어서, 돌출부가 조임 부재에 의해, 단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되어 있는 상기의 포장 재료를 개재하여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조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 부재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외주면 상에서 포장 재료의 단이 보다 강고하게 고정됨과 함께, 만일 포장 재료의 단과 돌출부의 외주면 사이로부터 물이 침입해 왔다고 해도, 롤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포장 재료의 단을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키기 전, 나아가서는 오므린 포장 재료의 단부를 잘라내기 전에, 조임 부재에 의한 조임을 미리 실시해 두면, 이들의 고정이나 절취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각 돌출부에 있어서, 조임 부재는 1 개만 사용되고 있어도 되고, 2 개 이상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조임 부재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결속구로 칭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의 결속 밴드나, 신축성 밴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링상의 신축성 밴드가 작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신축성 밴드의 재질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고무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신축성 밴드의 내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였을 때의 내경이 통상시 (조이지 않았을 때) 의 내경 (원형으로 하였을 때의 내경) 과 비교하여 1.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조였을 때의 내경이 통상시의 내경과 비교하여 1.5 배 미만이 되면, 조이는 힘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조였을 때의 내경이 신축성 밴드의 신장 한계 직경의 95 % 를 초과하면, 조이는 힘에 불균일이 생기거나, 약간의 충격 등에 의해 파단되거나 하는 경향이 있는 점에서, 조였을 때의 내경은 신축성 밴드의 신장 한계 직경의 9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 밴드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 3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 2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 1.5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두께가 0.5 ㎜ 미만이면 신장시에 약간의 충격 등에 의해 파단되는 경향이 있고, 두께가 3 ㎜ 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신축성 밴드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 3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2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폭이 10 ㎜ 미만이면, 신장시에 약간의 충격 등에 의해 파단되는 경향이 있고, 폭이 30 ㎜ 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도 3 은, 포장 재료의 단이 점착 테이프에 의해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되어 있는 포장체의 돌출부 부근의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에 있어서, 원통상의 코어 (21) 의 돌출부의 외주면 (22) 상에서 2 겹 권취로 된 포장 재료 (25a 및 25b) 의 단이, 점착 테이프 (26)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서는, 포장 재료를 오므렸을 때의 늘어짐 부분 (25'a 및 25'b) 의 단도 동일한 점착 테이프 (26) 에 의해 돌출부의 외주면 (22) 상에서 고정되어 있다. 점착 테이프 (26) 의 점착면 (27) 은 포장 재료 (25b 및 25'b) 와, 원통상의 코어 (21) 의 돌출부의 외주면 (22) 의 양방에 접하고 있음과 함께, 원통상의 코어 (21) 의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권취되어 있다. 점착 테이프 (26) 는 다겹 권취로 할 수 있고, 도 3 에 있어서는, 점착 테이프 (1 겹째) (26a) 와 점착 테이프 (2 겹째) (26b) 가 겹쳐진 2 겹 권취의 부분을 갖고 있다. 또한, 도 3 에 있어서는, 원통상의 코어 (21) 의 돌출부가 조임 부재 (28) 에 의해, 단이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되어 있는 포장 재료 (25a 및 25b) 를 개재하여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조여져 있다. 또한, 도 3 에 있어서는, 포장체 내부로서 롤 단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우레탄 와셔 (29) 가 배치됨과 함께, 포장체 외부로서 롤 단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골판지 와셔 (30)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은, 1 개의 포장 재료를 단독으로 사용한 포장체의 예이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 종 이상의 포장 재료를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포장체를 보관할 때의 보관 조건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보관 온도로는 -20 ∼ 5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4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 30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체는, 10 ℃ 이하 (예를 들어, 5 ℃ 이하, 나아가서는 0 ℃ 이하) 의 저온하에 보관된 경우라 하더라도, 보관 후, 가공장 등에 반입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포장체 내부로 잘 침입하지 않는 점에서, 이와 같은 저온하에서 보관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휘된다.
보관 습도로는, 80 %R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RH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장체를 보관할 때의 보관 기간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1 일 ∼ 1 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일 ∼ 6 개월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그 코어 내부에 지지봉을 넣은 상태에서 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코어 내부에 지지봉을 넣을 수 있도록, 코어의 내주면이 외기에 노출된 상태에 있었다고 해도, 코어의 내주면에서 발생한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포장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코어의 내부에 지지봉을 넣은 상태에서 포장체를 수송할 때에는, 호이스트 크레인 등의 수송 기계 등에 의해 당해 지지봉을 들어올림으로써 포장체를 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봉을 들어올림으로써, 지지봉의 강도에 의해 코어의 휨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코어의 휨에 의한 PVA 필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핸들링성도 향상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 등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채용된, 코어의 내주면에서의 결로, 롤의 외관, 및, 평균 수분율의 변화량의 각 평가 또는 측정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코어의 내주면에서의 결로
코어의 내주면에서의 결로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결로 (물방울) 는 확인되지 않는다.
× : 결로 (물방울) 가 확인된다.
롤의 외관
롤의 외주면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흡습 흔적이 확인되지 않는다.
○ : 국소적 (롤 외주면의 절반 미만) 으로 흡습 흔적이 있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
× : 롤 외주면의 절반 이상에 흡습 흔적이 있다.
평균 수분율의 변화량
측정 대상인 롤의 표층 필름으로부터, 10 × 10 ㎝ 사방 (1 층) 의 샘플을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잘라냈다. 얻어진 샘플을 각각 125 ℃ 의 건조기에 8 시간 방치하여 건조시키고, 건조 전후의 질량차를 건조 전의 샘플의 질량으로 나눔으로써 각 샘플의 수분율을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샘플의 수분율을 평균하여 롤의 평균 수분율로 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조작을 포장 전의 롤에 대해서도 미리 실시하고, 측정 대상인 롤의 평균 수분율로부터 포장 전의 롤의 평균 수분율을 뺌으로써 평균 수분율의 변화량을 구하였다.
[실시예 1]
필름 폭 2.8 m, 두께 75 ㎛, 길이 4000 m 의 PVA 필름 (PVA 의 중합도 2400, PVA 의 비누화도 99.9 몰%) 을, 알루미늄제이고, 길이 3.1 m, 외경 153 ㎜, 두께 7 ㎜ 인 원통상의 코어의 중앙부에 귄취하여 롤로 하였다. 이 롤의 질량은 1.2 t 이었다.
이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알루미늄을 증착시킨 적층 필름 (두께 12 ㎛, 수증기 투과도 1.5 g/㎡/24 h. 이하, 「증착 필름」이라고 간략히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을 롤의 외주를 따라 2 겹 권취로 하고, 코어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한 단부를 종이 테이프로 고정시켜 통상으로 하였다. 또한 그 위에서부터,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두께 20 ㎛) 을 롤의 외주를 따라 2 겹 권취로 하고, 코어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한 단부를 종이 테이프로 고정시켜 통상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각 롤 단면에 인접하도록 1 세트의 우레탄 와셔를 배치하고, 그 후, 양방의 롤 단면으로부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증착 필름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한데 모아 오므리고, 발생한 늘어짐 부분의 단이 각 돌출부의 외주를 따르도록 절곡하고, 또한, 코어의 각 돌출부를 링상의 고무 밴드 (통상시의 내경 76 ㎜, 두께 1.1 ㎜, 폭 18 ㎜) 에 의해 증착 필름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개재하여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조였다. 그 후, 늘어짐 부분의 단도 포함하여 증착 필름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단을 점착 테이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의 다층 구조를 갖는 점착 테이프 ; 폭 5 ㎝) 에 의해 각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시켜, PVA 필름을 밀봉하였다. 이 때에, 점착 테이프의 접착면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과 돌출부의 외주면 양방에 접하도록, 점착 테이프를 각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권취하였다. 또한, 각 롤 단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위에서부터 1 세트의 골판지 와셔를 배치하여, 포장체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포장체를 -5 ℃, 10 %RH 의 분위기하에서 3 일간 보관한 후, 20 ℃, 40 %RH 의 분위기하로 이동시켜, 3 시간 방치 후, 상기의 방법에 의해, 코어의 내주면에서의 결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대량의 결로가 발생한 경우를 상정하여, 원통상의 코어의 내부에 100 ㎖ 의 물을 흘리고, 수송시의 흔들림을 상정한 흔들림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개봉시에 물이 PVA 필름에 접촉하지 않도록 코어의 단부 부근의 물을 닦아낸 후, 포장체를 개봉하고, 상기의 방법에 의해, 롤의 외관 평가 및 평균 수분율의 변화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고무 밴드에 의한 조임을 실시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체를 얻었다.
이 포장체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코어의 내주면에서의 결로, 롤의 외관, 및, 평균 수분율의 변화량의 각 평가 또는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포장 재료의 단을 점착 테이프로 고정시키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체를 얻었다.
이 포장체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코어의 내주면에서의 결로, 롤의 외관, 및, 평균 수분율의 변화량의 각 평가 또는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포장 재료의 단을 점착 테이프로 고정시키는 것도, 고무 밴드에 의한 조임을 실시하는 것도 하지 않고, 폭 방향으로 남은 포장 재료를 코어 내부에 압입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체를 얻었다.
이 포장체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코어의 내주면에서의 결로, 롤의 외관, 및, 평균 수분율의 변화량의 각 평가 또는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포장 재료의 단의 고정 있음 있음 없음 없음
고무 밴드에 의한 조임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코어의 내주면에서의 결로 × × × ×
롤의 외관 × ×
평균 수분율의 변화량 (질량%) 0.1 0.1 0.3 0.3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상의 코어의 내주면 등, 포장체의 표면에서 결로가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결로에서 유래하는 물이 포장체 내부로 잘 침입하지 않기 때문에, 결로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하, 예를 들어, 온도 변화가 심한 항공기나 선박 등에서의 수송 조건하나, 저온에 노출되는 창고에 보관 후의 사용 환경하 등에 있어서도, PVA 필름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1 : 롤
2, 21 : 원통상의 코어
3, 24 : PVA 필름
4 : 코어의 단부
5, 12 : 롤 단면
6, 13 : 돌출부
7, 22 : 돌출부의 외주면
8, 23 : 돌출부의 내주면
11 : 시트상의 포장 재료
14 : 코어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한 단부
15 : 돌출된 부분
25a : 포장 재료 (1 겹째)
25b : 포장 재료 (2 겹째)
25'a : 포장 재료 (1 겹째) 의 늘어짐 부분
25'b : 포장 재료 (2 겹째) 의 늘어짐 부분
26 : 점착 테이프
26a : 점착 테이프 (1 겹째)
26b : 점착 테이프 (2 겹째)
27 :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
28 : 조임 부재
29 : 우레탄 와셔
30 : 골판지 와셔

Claims (11)

  1. 원통상의 코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롤을 포장 재료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의 보관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폭이 2.1 m 이상이며, 상기 코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재질이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이며, 상기 롤의 질량이 0.5 t 이상이고,
    상기 코어의 양 단부가 롤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포장 재료의 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되어 있고,
    양방의 상기 돌출부 각각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이 포장 재료와 돌출부의 외주면 양방에 접하도록, 점착 테이프가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권취되어 있고,
    양방의 상기 돌출부 각각에 있어서, 돌출부가 조임 부재에 의해, 단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되어 있는 상기 포장 재료를 개재하여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조여져 있고,
    상기 코어의 내주면이 외기에 노출되고 있는 포장체를 10 ℃ 이하에서 보관하는 포장체의 보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양방의 상기 돌출부 각각에 있어서, 돌출부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된 상기 포장 재료의 단이 돌출부의 외주를 연속적으로 주회하고 있는 포장체의 보관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재료가, 수증기 투과도 5 g/㎡/24 h 이하의 필름인 포장체의 보관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포장체의 보관 방법으로 보관된 포장체의 상기 코어 내부에 지지봉을 넣은 상태에서 포장체를 수송하는 포장체의 수송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7023290A 2011-04-28 2012-04-23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포장체 KR101985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0671 2011-04-28
JP2011100671 2011-04-28
PCT/JP2012/060807 WO2012147665A1 (ja) 2011-04-28 2012-04-23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フィルムの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063A KR20140010063A (ko) 2014-01-23
KR101985980B1 true KR101985980B1 (ko) 2019-06-04

Family

ID=4707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290A KR101985980B1 (ko) 2011-04-28 2012-04-23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포장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WO2012147665A1 (ko)
KR (1) KR101985980B1 (ko)
CN (1) CN103648927B (ko)
TW (1) TWI579211B (ko)
WO (1) WO2012147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4127B (zh) * 2012-01-04 2017-06-20 株式会社可乐丽 聚乙烯醇薄膜卷的包装体
JP2013227073A (ja) * 2012-03-30 2013-11-07 Kuraray Co Ltd フィルムロールの包装体
TWI609911B (zh) * 2013-08-28 2018-01-0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聚乙烯醇系薄膜捲筒及利用此薄膜捲筒之偏光膜
KR102457311B1 (ko) 2014-04-07 2022-10-20 주식회사 쿠라레 필름 롤
CN106920911B (zh) * 2014-10-10 2019-04-30 住友化学株式会社 电池用分离器缠绕体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KR102405446B1 (ko) 2015-08-10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전자 장치
CN105151562B (zh) * 2015-08-11 2018-07-20 中国乐凯集团有限公司 一种光学纤维素酯薄膜的包装方法
JP2017047974A (ja) * 2015-09-04 2017-03-09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包装体、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および偏光膜
CN112455928A (zh) * 2015-09-04 2021-03-09 三菱化学株式会社 包装体、聚乙烯醇系薄膜的保管或运输方法、聚乙烯醇系薄膜、及偏光膜
JP6912272B2 (ja) * 2016-05-26 2021-08-04 住友化学株式会社 多孔質セパレータ捲回体の包装体、そ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セパレータ捲回体の保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885A (ja) * 2000-05-01 2001-11-13 Kuraray Co Ltd 偏光フィルム用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フィ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
JP2005255225A (ja) * 2004-03-12 2005-09-2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テープロールの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42861A (ja) * 2008-07-18 2010-02-25 Kuraray Co Ltd フィルム搬送用架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3938B2 (ja) * 1989-07-21 1997-12-0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感光材料包装体
JPH0536446U (ja) * 1991-10-21 1993-05-18 コニカ株式会社 ロール状感光材料の巻芯保護部材
JP2002308343A (ja) 2001-04-09 2002-10-23 Kuraray Co Ltd 包装用材料及びフィルム巻取体
JP4254460B2 (ja) * 2003-10-01 2009-04-1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包装体、及び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
JP4785391B2 (ja) * 2004-03-23 2011-10-05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用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イ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
CN101679651B (zh) * 2007-05-14 2012-07-18 株式会社可乐丽 水溶性聚乙烯醇系薄膜的辊状物及其保存方法
JP2010179922A (ja) 2009-02-03 2010-08-19 Konica Minolta Opto Inc 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及び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885A (ja) * 2000-05-01 2001-11-13 Kuraray Co Ltd 偏光フィルム用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フィ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
JP2005255225A (ja) * 2004-03-12 2005-09-2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テープロールの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42861A (ja) * 2008-07-18 2010-02-25 Kuraray Co Ltd フィルム搬送用架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02569A (zh) 2013-01-16
TWI579211B (zh) 2017-04-21
CN103648927A (zh) 2014-03-19
CN103648927B (zh) 2016-04-27
WO2012147665A1 (ja) 2012-11-01
JP2017074999A (ja) 2017-04-20
JP6220995B2 (ja) 2017-10-25
KR20140010063A (ko) 2014-01-23
JPWO2012147665A1 (ja) 201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980B1 (ko)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포장체
JP2013227073A (ja) フィルムロールの包装体
KR102038164B1 (ko)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롤의 포장체
US8453421B2 (en) Method of packaging record rolls of cover tape and package
US11603279B2 (en) Package structure of roll-shaped thin film and packaging method thereof
JP7015894B2 (ja) フィルムロールの保管方法
JP4254460B2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包装体、及び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103654B1 (ko) 코어용 마개, 필름 롤, 포장체 및 코어용 마개의 분리 방법
JPH072289A (ja) 膜の輸送用包装品
CN107406181B (zh) 搬运用卷膜捆包体
TWI673211B (zh) 芯用蓋材及薄膜滾筒
KR20230055395A (ko) 필름 롤 곤포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롤체의 보관 방법
EP3808676A1 (en) Packaging str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