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164B1 -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롤의 포장체 - Google Patents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롤의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164B1
KR102038164B1 KR1020147018759A KR20147018759A KR102038164B1 KR 102038164 B1 KR102038164 B1 KR 102038164B1 KR 1020147018759 A KR1020147018759 A KR 1020147018759A KR 20147018759 A KR20147018759 A KR 20147018759A KR 102038164 B1 KR102038164 B1 KR 10203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
package
pva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9931A (ko
Inventor
슈 아사다
신타로 히카사
다카노리 이소자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14010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Packag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PVA 필름 (2) 이 권취된 롤을 포장 필름 (4) 으로 포장한 포장체로서, 포장체의 양단부 (5) 에 있어서, 포장체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발포 완충재 (7), 포장 필름 (4) 및 보호 패드 (9) 가 이 순서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포장체이다. 당해 구조에 의해, 보관시나 수송시에 있어서의 PVA 필름 롤의 흠집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1 축 연신했을 때의 절단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롤의 포장체{PACKAGING BODY FOR POLYVINYL ALCOHOL FILM ROLL}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롤을 포장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 그 제조 방법, 및 당해 롤의 보관 또는 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의 투과 및 차폐 기능을 갖는 편광판은, 광의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액정과 함께, 액정 디스플레이 (LCD) 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다. 이 LCD 의 적용 분야는, 개발 초기 무렵의 전자식 탁상 계산기 및 손목시계 등의 소형기로부터, 최근에는, 노트 PC, 액정 모니터, 액정 컬러 프로젝터, 액정 TV, 차재용 (車載用) 네비게이션 시스템, 휴대 전화 및 옥내외에서 사용되는 계측 기기 등의 여러 가지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한편, 특히 액정 TV 의 분야에서는 급속히 가격이 저하되고 있어, 편광판 제조시의 수율 (제품 수율) 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 (이하, 「폴리비닐알코올」을 「PVA」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의 필름에 염색, 1 축 연신,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붕소 화합물 등에 의한 고정 처리를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한 후, 그 편광 필름의 표면에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등의 보호막을 첩합 (貼合) 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그런데, 상기의 1 축 연신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그 연신 배율이 높을수록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성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PVA 필름이 파단되는 한계 부근까지 연신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PVA 필름에 조금이라도 흠집이 있으면, 그곳을 기점으로 하여 절단이 일어나, 편광 필름 나아가서는 편광판의 수율 (제품 수율) 이나 생산성이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PVA 필름은, 통상적으로 장척의 PVA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롤의 형태로 보관 또는 수송되는데, 당해 롤의 단면 (端面) 에 흠집이 있으면, PVA 필름의 1 축 연신시에 절단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PVA 필름의 흠집을 저감시키는 것이 중요해지는데, 이 흠집은 PVA 필름의 제조 중보다, 그 보관 중이나 수송 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문제에 관하여, PVA 필름을 감은 롤의 보관 또는 수송 중에 그 단면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하고, PVA 필름을 안정적으로 연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PVA 필름의 폭보다 코어의 길이를 길게 하여 특정의 포장 필름으로 포장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또, 필름 폭보다 긴 심관 (芯管) 에 PVA 필름을 감아 이루어지는 롤을 수증기 배리어성 수지 포장 필름으로 포장하고, 그 위로부터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는 포장 필름으로 포장한 포장 상태로 함으로써, 보관 또는 수송시의 롤의 권취 편차, 필름의 흠집 발생, 블로킹에 의한 필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롤의 권취 외주부에서 권취 심부까지 보다 광학 성능의 편차가 적은 편광 필름이 얻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 에는, 단부의 흠집 발생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접, 또는 포장 후, 롤의 양단부에 심관 관통공을 갖는 보호 패드를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158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6483호
상기 종래 기술의 포장 형태는, 모두 어느 정도의 흠집 발생 방지 효과가 확인되어 있고 연신시의 절단이 저감되지만, 아직도 절단은 발생되고 있어 추가적인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특히, 최근, 편광판을 제조할 때의 클린화의 레벨이 엄격해지고 있고, PVA 필름을 클린룸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PVA 필름을 클린룸 내에 반입하기 전에 먼지 등이 부착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포장 필름을 미리 제거하는 경우가 많고, 그 때에 포장 필름의 외측에 장착된 보호 패드도 제거되기 때문에, 롤의 흠집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롤의 흠집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포장 필름의 내측에 보호 패드를 장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당해 구성을 단순히 채용한 것만으로는, 롤 단면에 직접 접촉된 보호 패드의 영향에 의해, 오히려 흠집이 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보관시나 수송시에 있어서의 롤의 흠집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롤을 클린룸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여도 롤의 흠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PVA 필름을 1 축 연신했을 때의 절단을 저감시킬 수 있는, PVA 필름의 롤의 포장체, 그 제조 방법, 및 롤의 보관 또는 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검토를 실시한 결과, PVA 필름의 롤의 양단부에 발포 완충재를 장착한 후, 그 롤을 포장 필름으로 포장하고, 추가로 그 위로부터 양단부에 보호 패드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알아내어, 당해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1] PVA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롤을 포장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포장체의 양단부에 있어서, 포장체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발포 완충재, 포장 필름 및 보호 패드가 이 순서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포장체,
[2] 발포 완충재가 독립 기포의 발포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의 포장체,
[3] 발포 완충재가 발포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 의 포장체,
[4] 발포 완충재의 두께가 2 ㎜ 이상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
[5] 발포 완충재의 흡수율이 0.05 g/㎠ 이하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
[6]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
[7]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한 후, 추가로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6] 의 포장체,
[8] 알루미늄계 필름이,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다층 필름인 상기 [6] 또는 [7] 의 포장체,
[9] 알루미늄계 필름이, 알루미늄박과 나일론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다층 필름인, 상기 [6] ∼ [8]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
[10] 보호 패드의 25 % 압축 응력이 50 ㎪ 이상인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
[11]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롤의 양단부에 발포 완충재를 장착하는 공정, 발포 완충재가 장착된 롤을 포장 필름으로 포장하는 공정, 및 포장 필름의 위로부터 보호 패드를 장착하는 공정을 갖는 제조 방법,
[12]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의 포장체의 형태로 롤을 보관 또는 수송하는 롤의 보관 또는 수송 방법,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관시나 수송시에 있어서의 롤의 흠집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롤을 클린룸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여도 롤의 흠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PVA 필름을 1 축 연신했을 때의 절단을 저감시킬 수 있는, PVA 필름의 롤의 포장체, 그 제조 방법, 및 롤의 보관 또는 수송 방법이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일방의 단부의 단면 (斷面) 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롤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PVA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롤을 포장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당해 포장체의 양단부 (롤의 양단면 부근) 에 있어서는, 포장체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발포 완충재, 포장 필름 및 보호 패드가 이 순서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상기와 같이, 양단부에 있어서, 포장체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발포 완충재, 포장 필름 및 보호 패드가 이 순서로 배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 당해 포장체의 구체적인 양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 단부에 있어서 포장체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롤 단면)/발포 완충재/포장 필름/보호 패드/(포장체의 외측) 의 순서로 배열한 양태 ; (롤 단면)/발포 완충재/포장 필름/보호 패드/포장 필름/(포장체의 외측) 의 순서로 배열한 양태 ; (롤 단면)/발포 완충재/포장 필름/보호 패드/포장 필름/보호 패드/(포장체의 외측) 의 순서로 배열한 양태 ; (롤 단면)/발포 완충재/포장 필름/보호 패드/포장 필름/보호 패드/포장 필름/(포장체의 외측) 의 순서로 배열한 양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에 있어서,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부재 (발포 완충재, 포장 필름 또는 보호 패드) 는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포장 필름/」이라는 것은, 1 종류의 포장 필름이 1 층만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1 종류의 포장 필름이 2 층 이상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포장 필름이 각각 1 층 내지 2 층 이상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포장체의 구체적인 양태 중에서도, 포장체의 제조가 용이한 점 등에서, 각 단부에 있어서 포장체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롤 단면)/발포 완충재/포장 필름/보호 패드/(포장체의 외측) 의 순서로 배열한 양태 및 (롤 단면)/발포 완충재/포장 필름/보호 패드/포장 필름/(포장체의 외측) 의 순서로 배열한 양태가 바람직하고, (롤 단면)/발포 완충재/포장 필름/보호 패드/(포장체의 외측) 의 순서로 배열한 양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일방의 단부의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PVA 필름 (2) 은, 후술하는 원통상의 코어 (1) 에 권취되어 롤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롤은 포장 필름 (4a 및 4b) 에 의해 포장되어 포장체를 형성하고 있다. 도 1 중의 화살표 (A) 는, 포장체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도 1 의 개략도에 있어서는, 포장체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롤 단면 (6))/발포 완충재 (7)/포장 필름 (4a 및 4b)/보호 패드 (9)/(포장체의 외측) 의 순서로 배열하고 있다.
본 발명의 포장체에 있어서의 롤은, PVA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원통상의 코어에 PVA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진다. 롤이 원통상의 코어에 PVA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당해 코어의 양단부는 롤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롤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에 있어서, 롤 (11) 은, 원통상의 코어 (12) 에 PVA 필름 (13) 이 권취되어 이루어진다. 원통상의 코어 (12) 의 양단부 (도 2 에서는 일방의 단부 (16) 만을 나타낸다) 의 각각은, 롤의 단면 (14) 으로부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코어의 양단부가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발포 완충재나 보호 패드의 장착이 용이해지며, 또, 롤이나 포장체의 보관 또는 수송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원통상의 코어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금속제인 것, 플라스틱제인 것, 종이제인 것, 목제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금속과 플라스틱의 양방이 사용된 것, 금속과 종이의 양방이 사용된 것, 플라스틱과 종이의 양방이 사용된 것 등, 복합체의 형태의 코어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강도가 높고, 또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는 점에서,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제의 코어가 바람직하고, 반복 사용해도 마모 등의 영향을 잘 받지 않는 점에서 금속제의 코어가 보다 바람직하다. 원통상의 코어의 전체 질량에 대해 금속 및 플라스틱의 질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질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의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강도, 경량성, 가격 등의 관점에서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플라스틱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염화비닐이 바람직하다. 당해 플라스틱은, 강도 등의 관점에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FRP) 인 것도 바람직하다.
원통상의 코어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강도,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그 외경이 50 ∼ 8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5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 3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0 ∼ 250 ㎜ 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원통상의 코어의 두께는, 강도,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2 ∼ 5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2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 ∼ 10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VA 필름을 구성하는 PVA 로는, 예를 들어, 비닐에스테르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PVA (미변성 PVA) ; PVA 의 주사슬에 코모노머를 그래프트 공중합시킨 변성 PVA ; 비닐에스테르와 코모노머를 공중합시킨 변성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된 변성 PVA ; 미변성 PVA 또는 변성 PVA 의 수산기의 일부를 포르말린, 부틸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로 가교한, 이른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PVA 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의 비닐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포름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피발산비닐, 바사트산비닐, 라우르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벤조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PVA 의 제조의 용이성, 입수 용이성, 비용 등의 면에서 아세트산비닐이 바람직하다.
변성 PVA 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의 코모노머는, 주로 PVA 의 변성을 목적으로 공중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취지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코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등의 올레핀류 ; 아크릴산 또는 그 염 ;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i-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i-부틸, 아크릴산t-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도데실, 아크릴산옥타데실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 메타크릴산 또는 그 염 ;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i-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i-부틸, 메타크릴산t-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도데실, 메타크릴산옥타데실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류 ; 아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염, 아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 또는 그 염,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등의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염, 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 또는 그 염,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등의 메타크릴아미드 유도체 ;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등의 N-비닐아미드류 ;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n-프로필비닐에테르, i-프로필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i-부틸비닐에테르, t-부틸비닐에테르, 도데실비닐에테르, 스테아릴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 불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류 ; 아세트산알릴, 염화알릴 등의 알릴 화합물 ; 말레산 또는 그 염 또는 에스테르 ; 이타콘산 또는 그 염 또는 에스테르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릴 화합물 ; 아세트산이소프로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α-올레핀 (예를 들어, 탄소수 2 ∼ 30 의 α-올레핀 등),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 불포화 술폰산 또는 그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α-올레핀이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변성 PVA 에 있어서 코모노머에 의한 변성량은 변성 PVA 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의 몰 수에 기초하여 1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VA 의 중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 축 연신하여 편광 필름 나아가서는 편광판으로 했을 때의 편광 성능 및 내구성 등의 면에서, 2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균질한 PVA 필름의 제조의 용이성, 연신성 등의 면에서, PVA 의 중합도는, 8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PVA 의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되는 평균 중합도를 의미하며, PVA 를 재비누화하고, 정제한 후에 30 ℃ 의 수중에서 측정한 극한 점도로부터 구할 수 있다.
PVA 의 비누화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 축 연신하여 편광 필름 나아가서는 편광판으로 했을 때의 편광 성능 및 내구성 등의 면에서, 99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9.3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8 몰%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PVA 의 「비누화도」란, PVA 가 갖는, 비누화에 의해 비닐알코올 단위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 단위 (전형적으로는 비닐에스테르 단위) 와 비닐알코올 단위의 합계 몰 수에 대해 당해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 수가 차지하는 비율 (몰%) 을 말한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PVA 필름은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VA 필름이 가소제를 함유함으로써 염색성이나 연신성이 향상됨과 함께, PVA 필름 제조시의 공정 통과성도 향상된다. 가소제로는 다가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가소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연신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한 점에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또는 에틸렌글리콜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PVA 필름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으로는, PVA 100 질량부에 대해 1 ∼ 3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3 ∼ 2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5 ∼ 2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1 질량부보다 적으면 염색성이나 연신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30 질량부보다 많으면 PVA 필름이 지나치게 유연해져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PVA 필름은, 그 제조에 사용되는 건조 롤로부터의 박리성의 향상, PVA 필름 의 취급성의 향상 등의 면에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아니온성 또는 논이온성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칼륨 등의 카르복실산형, 옥틸술페이트 등의 황산에스테르형,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등의 술폰산형 등을 들 수 있다.
논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등의 알킬에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등의 알킬페닐에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라우레이트 등의 알킬에스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미노에테르 등의 알킬아민형, 폴리옥시에틸렌라우르산아미드 등의 알킬아미드형,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에테르 등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형, 올레산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알칸올아미드형, 폴리옥시알킬렌알릴페닐에테르 등의 알릴페닐에테르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계면활성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PVA 필름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으로는, PVA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2 ∼ 0.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 0.3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0.01 질량부보다 적으면 박리성이나 취급성의 향상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고, 한편, 1 질량부보다 많으면 계면활성제가 PVA 필름 표면에 용출하여 블로킹의 원인이 되고,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PVA 필름은, PVA, 가소제, 및 계면활성제 이외의 다른 성분, 예를 들어, 안정화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등), 상용화제, 블로킹 방지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활제, 분산제, 유동화제, 항균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의 첨가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PVA 필름에 있어서의 PVA 의 함유율은,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VA 필름은, PVA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가소제, 계면활성제, 이들 이외의 상기한 다른 성분 등이 액체 매체 중에 용해된 제막 원액이나, PVA, 액체 매체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가소제, 계면활성제, 이들 이외의 상기한 다른 성분 등을 함축 PVA 가 용융된 제막 원액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PVA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가소제, 계면활성제, 이들 이외의 상기한 다른 성분 등과 액체 매체를 혼합하여 용액이나 용융액으로 한 제막 원액이나, 액체 매체를 함유하는 PVA 의 펠릿 등을 필요에 따라 가소제, 계면활성제, 이들 이외의 상기한 다른 성분 등의 존재하에서 용융하여 용융액으로 한 제막 원액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막 원액의 조제시에는, 교반식 혼합 장치, 용융 압출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막 원액의 조제에 사용되는 상기 액체 매체로는, 예를 들어, 물, 디메틸술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환경에 부여되는 부하나 회수성 면에서 물이 바람직하다.
제막 원액의 휘발분율 (제막시에 휘발이나 증발에 의해 제거되는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의, 제막 원액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 은, 제막 조건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50 ∼ 95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막 원액의 휘발분율이 50 질량% 이상임으로써, 제막 원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아, 제막 원액 조제시의 여과나 탈포가 원활히 실시되고, 이물질이나 결점이 적은 PVA 필름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한편, 제막 원액의 휘발분율이 95 질량% 이하임으로써, 제막 원액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아, PVA 필름의 공업적인 제조가 용이해진다.
제막 원액을 사용하여 PVA 필름을 제막할 때의 제막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습식 제막법, 겔 제막법, 캐스트 제막법, 압출 제막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제막 방법은, 1 종만을 채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채용해도 된다. 상기의 제막 방법 중에서도, T 형 슬릿 다이, 호퍼 플레이트, I-다이, 립 코터 다이 등의 공지된 막상 (膜狀) 토출 장치 (막상 유연 장치) 를 사용한 캐스트 제막법 또는 압출 제막법이 바람직하다. 캐스트 제막법 또는 압출 제막법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의 제막 원액을 최상류측에 위치하는 회전하는 가열된 롤 (또는 벨트) 의 둘레면 상에 막상으로 토출 또는 유연하고, 필요에 따라 당해 롤 (또는 벨트) 의 둘레면 상에 토출 또는 유연된 막의 롤 (또는 벨트) 에 접촉되어 있지 않은 면 (비접촉면) 의 전체면에 열풍 (바람직하게는 50 ∼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120 ℃ 의 범위 내의 온도의 열풍) 을 분사하는 등 하여, 당해 비접촉면으로부터 휘발성 성분을 증발시켜 바람직하게는 막의 휘발분율이 15 ∼ 30 질량% 의 범위 내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계속하여 그 하류측에 배치된 회전축이 서로 평행한 1 개 또는 복수 개의 건조 롤의 둘레면 상에서 추가로 건조시키거나, 또는 열풍로식 등의 열풍 건조 장치 속을 통과시켜 추가로 건조시킨 후, 권취 장치에 의해 권취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건조 롤에 의한 건조와 열풍 건조 장치에 의한 건조는,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 사용되는 제막 장치는, 필요에 따라, 열처리 장치, 조습 장치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권취 장치에 의해 권취된 PVA 필름은, 그대로 롤로서 본 발명의 포장체에 사용해도 되고, 일단 풀어낸 후, 다시 권취한 것을 롤로서 본 발명의 포장체에 사용해도 되고, 어느 쪽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PVA 필름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최근, 액정 TV 나 액정 모니터가 대화면화되고 있으므로, 그것들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PVA 필름의 폭은 3 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 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공업적인 생산기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PVA 필름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균일한 1 축 연신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PVA 필름의 폭은 6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PVA 필름의 두께는, 실용성, PVA 필름의 제조의 용이성, 1 축 연신 처리의 용이성 등의 면에서, 5 ∼ 8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6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50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VA 필름의 두께가 5 ㎛ 미만이면,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1 축 연신시에 파단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PVA 필름의 두께가 80 ㎛ 를 초과하면,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1 축 연신시에 연신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발포 완충재는, 발포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써 완충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독립 기포의 발포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고, 연속 기포의 발포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며 어느 쪽이어도 되는데, 연속 기포의 발포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발포 완충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당해 발포 완충재의 흡수율이 큰 경우가 많아, 포장체 중에서 PVA 필름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PVA 필름의 수분율 불균일을 발생시키고, PVA 필름의 1 축 연신시에 절단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는 점에서, 발포 완충재는, 독립 기포의 발포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완충재의 재질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염화비닐 등의 발포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 발포 완충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흡수율이 높아지기 쉬운 재질의 발포 완충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포장체 중에서 PVA 필름의 수분율 불균일을 발생시키고, PVA 필름의 1 축 연신시에 절단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는 점에서, 흡수율을 낮은 레벨로 억제하기 쉬운 발포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된 발포 완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완충재의 두께는,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가 2 ㎜ 이상임으로써, 롤의 단면의 흠집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발포 완충재의 두께의 상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취급성 면에서, 당해 두께는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 완충재 1 장으로 상기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복수 장의 발포 완충재를 겹쳐 합계 두께로서 상기 두께를 확보해도 된다.
발포 완충재의 25 % 압축 응력은,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5 % 압축 응력이 50 ㎪ 이상임으로써, 롤 단면의 흠집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발포 완충재의 25 % 압축 응력이 지나치게 크면 발포 완충재에 의해 롤 단면이 흠집이 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당해 25 % 압축 응력은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발포 완충재의 25 % 압축 응력은 JIS K 7220 : 2006 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발포 완충재의 흡수율은, 0.05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율이 0.05 g/㎠ 를 초과하면, 포장체 중에서 발포 완충재가 PVA 필름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PVA 필름의 수분율 불균일을 발생시키고, PVA 필름의 1 축 연신시에 절단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흡수율의 하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흡수율이 낮을수록 딱딱해져 완충 기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점에서, 흡수율은, 예를 들어 0.0002 g/㎠ 이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흡수율은, JIS A 9511 : 2006R 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한 흡수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롤을 포장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장 필름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알루미늄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나일론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되는 포장 필름의 적어도 1 종류에 있어서, 알루미늄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체가,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으로써, 본 발명의 포장체의 형태로 롤을 보관 또는 수송할 때에, 포장체 내부로의 수분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체에 있어서, 롤은 1 종류의 포장 필름으로 포장되어 있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포장 필름으로 포장되어 있어도 되며, 어느 쪽이어도 되는데, 각각의 포장 필름의 특성을 함께 구비시킬 수 있는 점에서, 2 종류 이상의 포장 필름으로 포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수증기 배리어성이 우수한 포장 필름을 내측에,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포장 필름을 외측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체가,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경우에 있어서, 당해 포장체는,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한 후, 추가로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계 필름은 핀 홀이 생겨 수증기 배리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데, 알루미늄계 필름의 외측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배치됨으로써, 알루미늄계 필름에 핀 홀이 잘 생기지 않게 되어, 수증기 배리어성의 저하가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상기의 알루미늄계 필름으로는, 수증기 배리어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과 플라스틱 필름이 적층된 것이나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들 수 있는데, 수증기 배리어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알루미늄박과 플라스틱 필름이 적층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박과 플라스틱 필름이 적층된 알루미늄계 필름 중에서도,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다층 필름이, 적당한 유연성을 가짐과 함께 핀 홀이 잘 생기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다층 필름에 있어서, 그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의 층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장시에 롤을 포장 필름으로 감은 후에 히트 시일 등의 수법에 의해 대략 튜브상의 형상으로 롤을 밀봉할 수 있어, 포장체 내부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알루미늄박과 플라스틱 필름이 적층된 알루미늄계 필름으로는, 알루미늄박과 나일론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다층 필름인 것도 바람직하다. 나일론 필름은 강도가 높기 때문에, 흠집 발생 방지성이 우수하다. 당해 다층 필름은, 알루미늄박의 편면 또는 양면에 나일론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나, 알루미늄박의 편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체에 있어서, 롤을 각 포장 필름으로 포장할 때의 권취 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1 중 권취여도 되고, 2 중 권취 또는 3 중 권취 이상의 다중 권취여도 된다. 여기서, 1 중 권취, 2 중 권취, 및 3 중 권취 이상이란, 롤의 외주면의 대부분 (예를 들어, 롤의 외주면의 면적의 50 % 이상) 에 있어서 당해 포장 필름이 1 층, 2 층, 및 3 층 이상 존재하는 것을 각각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보호 패드의 재질이나 구조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보호 패드로서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 패드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종이 등의 셀룰로오스류 등을 들 수 있고, 흡수성 면에서 폴리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구조에 대해서도, 부직포, 발포체, 그것들을 조합한 것 등, 완충 작용을 나타내는 보호 패드를 사용할 수 있고, 완충 효과 면에서 발포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보호 패드의 두께는,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가 3 ㎜ 이상임으로써, 롤의 단면의 흠집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보호 패드의 두께의 상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취급성 면에서, 당해 두께는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패드 1 장으로 상기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복수 장의 보호 패드를 겹쳐 합계 두께로서 상기 두께를 확보해도 된다.
보호 패드의 25 % 압축 응력은,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5 % 압축 응력이 50 ㎪ 이상임으로써, 롤 단면의 흠집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보호 패드의 25 % 압축 응력의 상한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25 % 압축 응력이 지나치게 크면, 보호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당해 25 % 압축 응력은, 예를 들어 300 ㎪ 이하이다.
보호 패드의 25 % 압축 응력은 JIS K 7220 : 2006 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체의 제조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어떠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해도 되는데, 롤을 효율적으로 원활히 포장할 수 있는 점에서, 롤의 양단부에 발포 완충재를 장착하는 공정, 발포 완충재가 장착된 당해 롤을 포장 필름으로 포장하는 공정, 및 포장 필름의 위로부터 보호 패드를 장착하는 공정을 적어도 갖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체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보관시나 수송시에 있어서의 롤의 흠집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롤을 클린룸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여도 롤의 흠집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포장체의 형태로 롤을 보관 또는 수송하는, 롤의 보관 또는 수송 방법을 포함한다.
롤을 보관할 때의 보관 조건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보관 온도로는, -20 ∼ 5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4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30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보관 습도로는, 80 % R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RH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장체를 보관할 때의 보관 기간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1 일 ∼ 1 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일 ∼ 6 개월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체에 의하면, 보관시나 수송시에 있어서의 롤의 흠집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롤을 클린룸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여도 롤의 흠집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PVA 필름을 1 축 연신했을 때의 절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체의 형태에 의해 포장되는 PVA 필름은, 사용시에 1 축 연신되는, 편광 필름 등의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PVA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체의 형태에 의해 포장되는 PVA 필름을 원료로 사용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포장체로부터 포장 필름을 제거하는 등 하여 롤을 취출한 후, 이 롤로부터 풀어낸 PVA 필름에 대해, 염색 처리, 1 축 연신 처리,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고정 처리, 건조 처리, 열처리 등을 실시함으로써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염색 처리, 1 축 연신 처리, 고정 처리 등의 조작의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필요에 따라, 상기한 처리의 1 개 또는 2 개 이상을 2 회 또는 그 이상 실시할 수도 있다.
포장체로부터 롤을 취출할 때의 취출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롤을 클린룸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는 점에서, 클린룸 밖에서 포장체로부터 보호 패드와 포장 필름을 떼어낸 후, 클린룸 내에서 발포 완충재를 떼어내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발포 완충재는, 연신기 등의 편광 필름 제조 장치에 롤을 세트한 후에 떼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의 염색 처리는, 1 축 연신 처리 전, 1 축 연신 처리와 동시, 1 축 연신 처리 후의 어느 단계에서 실시해도 된다. 염색 처리에 사용되는 염료로는,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 다이렉트 블랙 17, 19, 154 ; 다이렉트 브라운 44, 106, 195, 210, 223 ; 다이렉트 레드 2, 23, 28, 31, 37, 39, 79, 81, 240, 242, 247 ; 다이렉트 블루 1, 15, 22, 78, 90, 98, 151, 168, 202, 236, 249, 270 ; 다이렉트 바이올렛 9, 12, 51, 98 ; 다이렉트 그린 1, 85 ; 다이렉트 옐로우 8, 12, 44, 86, 87 ; 다이렉트 오렌지 26, 39, 106, 107 등의 이색성 염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염색 처리는, 일반적으로, 염료를 함유하는 용액 중에 PVA 필름을 침지시켜 실시하는데,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PVA 필름 상에 염료를 도공하는 방법, PVA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제막 원액 중에 염료를 미리 첨가해 두고, 염색된 PVA 필름을 제막에 의해 직접 제조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염색 처리시의 처리 조건이나 구체적인 처리 방법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의 1 축 연신 처리는, 습식 연신법 또는 건열 연신법 중 어느 것으로 실시해도 된다. 또한, 1 축 연신 처리는, 붕산을 함유하는 온수 중에서 실시해도 되고, 상기한 염료를 함유하는 용액 중이나 후술하는 고정 처리욕 중에서 실시해도 되고, 흡수 후의 PVA 필름을 사용하여 공기 중에서 실시해도 되고, 그 밖의 방법으로 실시해도 된다. 1 축 연신 처리시의 연신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PVA 필름을 온수 중에서 연신 (습식 연신) 하는 경우에는 30 ∼ 9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65 ℃ 의 범위 내의 온도가 바람직하게 채용되고, 건열 연신하는 경우에는 50 ∼ 180 ℃ 의 범위 내의 온도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 1 축 연신 처리의 연신 배율 (다단으로 1 축 연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합계의 연신 배율) 은, 편광 성능 면에서 연신 전의 길이에 기초하여 4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 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균일한 연신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8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PVA 필름의 1 축 연신은, 연신 롤을 사용하는 등 하여 장척의 PVA 필름의 길이 방향 (MD) 으로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1 축 연신 후의 필름 (편광 필름) 의 두께는, 3 ∼ 75 ㎛, 특히 5 ∼ 50 ㎛ 인 것이 편광 성능, 취급성, 내구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의 제조시에는, 필름에 대한 염료의 흡착을 강고하게 하기 위해서, 고정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고정 처리는, 붕산 및/또는 붕소 화합물을 첨가한 고정 처리욕 중에 필름 (예를 들어, 1 축 연신 처리된 필름) 을 침지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 때에 필요에 따라 고정 처리욕 중에 요오드 화합물을 첨가해도 된다.
1 축 연신 처리 또는 1 축 연신 처리와 고정 처리를 실시한 필름에 대해, 추가로 건조 처리 및/또는 열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건조 처리 및/또는 열처리의 온도는 30 ∼ 150 ℃, 특히 50 ∼ 140 ℃ 의 범위 내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처리 및/또는 열처리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지나치게 높으면 염료의 분해 등에 수반되는 편광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양면 또는 편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보호막을 첩합시킴으로써,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 경우의 보호막으로는,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아세트산·부티르산셀룰로오스 (CAB)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보호막을 첩합시키기 위한 접착제로는, PVA 계 접착제나 우레탄계 접착제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PVA 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판은, 아크릴계 등의 점착제를 피복한 후, 유리 기판에 첩합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편광판을 유리 기판에 첩합시킬 때, 위상차 필름, 시야각 향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을 동시에 첩합시켜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폭 400 ㎝, 두께 75 ㎛, 길이 10000 m 의 PVA 필름 (PVA 의 중합도 2400, PVA 의 비누화도 99.9 몰%, 글리세린 11 질량% 함유, 수분율 4.0 질량%) 을, 길이 450 ㎝ 이고 직경 6 인치의 원통상의 알루미늄제 코어에 권취하여, 롤을 얻었다. 이 때, 롤의 각 단면으로부터 코어가 25 ㎝ 씩 돌출되도록 권취하였다. 얻어진 롤의 직경은 115 ㎝ 였다. 이 롤의 단면 및 외주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흠집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상기의 롤의 양방의 단면에 발포 완충재로서, 두께 5 ㎜ 의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롤 단면의 형상에 맞춰 잘라낸 것을 1 장씩 장착하였다. 이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는 발포 배율 10 배의 독립 기포 타입인 것으로서, 흡수율은 0.01 g/㎠ 이고, 25 % 압축 응력은 130 ㎪ 이었다.
상기 발포 완충재가 장착된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이 때에, 롤과 알루미늄계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시켜 1 중으로 포장하였다. 여기서, 알루미늄계 필름으로는, 두께 20 ㎛ 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OPP 필름) 과 두께 15 ㎛ 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LDPE 필름) 과 두께 7 ㎛ 의 알루미늄박과 두께 15 ㎛ 의 LDPE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을 사용하고, OPP 필름측을 내측으로 하였다.
상기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한 롤을, 추가로 두께 40 ㎛ 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이 때에, 알루미늄계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시켜 1 중으로 포장하였다. 여기서, 롤이 흠집났을 때에 판별하기 쉽도록, 적색으로 착색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였다.
또한, 포장 필름 (알루미늄계 필름 및 폴리에틸렌 필름) 으로는 알루미늄제 코어의 길이보다 충분히 긴 폭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포장시에는 양단부 부근의 나머지 부분을 코어의 내측으로 밀어넣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한 후에, 롤의 단면으로부터 코어가 돌출된 돌출부의 외주부에서 포장 필름을 고무 밴드로 고정시켰다.
또한, 포장 필름의 위로부터, 양단부에 대략 롤 단면 형상을 갖는 두께 10 ㎜ 의 보호 패드를 1 장씩 장착하였다. 이 보호 패드는, 독립 기포 타입의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롤 단면의 형상에 비하여 최외경이 10 ㎜ 정도 커지도록 잘라낸 것으로, 25 % 압축 응력은 130 ㎪ 이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포장체의 외관을 확인한 결과, 흠집 발생이 예상되는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상기의 포장체를 가대에 실어 창고로 수송하고, 창고에서 3 개월간 보관하였다. 가대에 실을 때에는, 코어의 돌출부에 밴드를 감고, 그것을 호이스트로 매달아올려 가대에 실었다. 가대에 실은 후에 포장체의 외관을 확인한 결과, 롤 부분에는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사용한 가대는 코어의 돌출부만을 상하로부터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가대가 롤 부분에 접촉하여 롤의 단면이나 외주면을 흠집낼 우려는 작은 구조로 되어 있다.
보관 3 개월 후에 포장체를 가대로부터 매달아올려, 클린룸용 가대에 바꿔 실었다. 그리고, 포장 필름의 외측의 보호 패드를 떼어내고, 그 후에 포장 필름을 떼어냈다. 롤의 외주면, 및 롤의 단면에 밀착한 발포 완충재를 관찰한 결과, 모두 흠집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 PVA 필름 표면에 흡습된 주름도 관찰되지 않았다.
(4) 롤의 단면에 발포 완충재가 밀착하여 장착된 채의 상기 롤을 클린룸용 가대째 클린룸에 넣고, 연신기에 롤을 세트하였다. 발포 완충재를 떼어내고, 롤의 단면을 확인한 결과, 흠집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주위의 클린도를 측정한 결과 클래스 1000 레벨로서, 롤을 클린룸 내에 반입하기 전과 동 레벨이었다.
(5) 연신기로 상기 롤로부터 풀어낸 PVA 필름 (8000 m) 을 연신 배율 5 배로 1 축 연신한 결과, 절단은 일어나지 않았다.
《실시예 2》
(1) 폭 440 ㎝, 두께 60 ㎛, 길이 12500 m 의 PVA 필름 (PVA 의 중합도 2400, PVA 의 비누화도 99.9 몰%, 글리세린 11 질량% 함유, 수분율 4.0 질량%) 을, 길이 480 ㎝ 로 직경 6 인치의 원통상의 철제 코어에 권취하여, 롤을 얻었다. 이 때, 롤의 각 단면으로부터 코어가 20 ㎝ 씩 돌출되도록 권취하였다. 얻어진 롤의 직경은 122 ㎝ 였다. 이 롤의 단면 및 외주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흠집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상기의 롤의 양방의 단면에 발포 완충재로서, 두께 10 ㎜ 의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롤 단면의 형상에 맞춰 잘라낸 것을 1 장씩 장착하였다. 이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는 발포 배율 20 배의 독립 기포 타입인 것으로서, 흡수율은 0.03 g/㎠ 이고, 25 % 압축 응력은 60 ㎪ 이었다.
상기 발포 완충재가 장착된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이 때에, 롤과 알루미늄계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시켜 1 중으로 포장하였다. 여기서, 알루미늄계 필름으로는, 두께 20 ㎛ 의 OPP 필름과 두께 15 ㎛ 의 LDPE 필름과 두께 7 ㎛ 의 알루미늄박과 두께 15 ㎛ 의 LDPE 필름과 두께 15 ㎛ 의 나일론 필름 (Ny 필름) 과 두께 15 ㎛ 의 LDPE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을 사용하고, OPP 필름측을 내측으로 하였다.
상기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한 롤을, 추가로 두께 40 ㎛ 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이 때에, 알루미늄계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시켜 2 중으로 포장하였다. 여기서, 롤이 흠집났을 때에 판별하기 쉽도록, 적색으로 착색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였다.
또한, 포장 필름 (알루미늄계 필름 및 폴리에틸렌 필름) 으로는 철제 코어의 길이보다 충분히 긴 폭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포장시에는 양단부 부근의 나머지 부분을 코어의 내측으로 밀어넣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한 후에, 롤의 단면으로부터 코어가 돌출된 돌출부의 외주부에서 포장 필름을 고무 밴드로 고정시켰다.
또한, 포장 필름의 위로부터, 양단부에 대략 롤 단면 형상을 갖는 두께 10 ㎜ 의 보호 패드를 1 장씩 장착하였다. 이 보호 패드는, 독립 기포 타입의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롤 단면의 형상에 비하여 최외경이 10 ㎜ 정도 커지도록 잘라낸 것으로, 25 % 압축 응력은 130 ㎪ 이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포장체의 외관을 확인한 결과, 흠집 발생이 예상되는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상기의 포장체를 가대에 실어 창고로 수송하고, 창고에서 3 개월간 보관하였다. 가대에 실을 때에는, 코어의 돌출부에 밴드를 감고, 그것을 호이스트로 매달아올려 가대에 실었다. 가대에 실은 후에 포장체의 외관을 확인한 결과, 롤 부분에는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사용한 가대는 코어의 돌출부만을 상하로부터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가대가 롤 부분에 접촉하여 롤의 단면이나 외주면을 흠집낼 우려는 작은 구조로 되어 있다.
보관 3 개월 후에 포장체를 가대로부터 매달아올려, 클린룸용 가대에 바꿔 실었다. 그리고, 포장 필름의 외측의 보호 패드를 떼어내고, 그 후에 포장 필름을 떼어냈다. 롤의 외주면, 및 롤의 단면에 밀착한 발포 완충재를 관찰한 결과, 모두 흠집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 PVA 필름 표면에 흡습된 주름도 관찰되지 않았다.
(4) 롤의 단면에 발포 완충재가 밀착하여 장착된 채의 상기 롤을 클린룸용 가대째 클린룸에 넣고, 연신기에 롤을 세트하였다. 발포 완충재를 떼어내고, 롤의 단면을 확인한 결과, 흠집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주위의 클린도를 측정한 결과 클래스 1000 레벨로서, 롤을 클린룸 내에 반입하기 전과 동 레벨이었다.
(5) 연신기로 상기 롤로부터 풀어낸 PVA 필름 (8000 m) 을 연신 배율 5 배로 1 축 연신한 결과, 절단은 일어나지 않았다.
《비교예 1》
(1) 폭 400 ㎝, 두께 75 ㎛, 길이 10000 m 의 PVA 필름 (PVA 의 중합도 2400, PVA 의 비누화도 99.9 몰%, 글리세린 11 질량% 함유, 수분율 4.0 질량%) 을, 길이 450 ㎝ 이고 직경 6 인치의 원통상의 알루미늄제 코어에 권취하여, 롤을 얻었다. 이 때, 롤의 각 단면으로부터 코어가 25 ㎝ 씩 돌출되도록 권취하였다. 얻어진 롤의 직경은 115 ㎝ 였다. 이 롤의 단면 및 외주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흠집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상기의 롤의 양방의 단면에 발포 완충재를 장착하지 않고, 당해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이 때에, 롤과 알루미늄계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시켜 1 중으로 포장하였다. 여기서, 알루미늄계 필름으로는, 두께 20 ㎛ 의 OPP 필름과 두께 15 ㎛ 의 LDPE 필름과 두께 7 ㎛ 의 알루미늄박과 두께 15 ㎛ 의 LDPE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을 사용하고, OPP 필름측을 내측으로 하였다.
상기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한 롤을, 추가로 두께 40 ㎛ 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이 때에, 알루미늄계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시켜 1 중으로 포장하였다. 여기서, 롤이 흠집났을 때에 판별하기 쉽도록, 적색으로 착색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였다.
또한, 포장 필름 (알루미늄계 필름 및 폴리에틸렌 필름) 으로는 알루미늄제 코어의 길이보다 충분히 긴 폭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포장시에는 양단부 부근의 나머지 부분을 코어의 내측으로 밀어넣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한 후에, 롤의 단면으로부터 코어가 돌출된 돌출부의 외주부에서 포장 필름을 고무 밴드로 고정시켰다.
또한, 포장 필름의 위로부터, 양단부에 대략 롤 단면 형상을 갖는 두께 10 ㎜ 의 보호 패드를 1 장씩 장착하였다. 이 보호 패드는, 독립 기포 타입의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롤 단면의 형상에 비하여 최외경이 10 ㎜ 정도 커지도록 잘라낸 것으로, 25 % 압축 응력은 130 ㎪ 이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포장체의 외관을 확인한 결과, 흠집 발생이 예상되는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상기의 포장체를 가대에 실어 창고로 수송하고, 창고에서 3 개월간 보관하였다. 가대에 실을 때에는, 코어의 돌출부에 밴드를 감고, 그것을 호이스트로 매달아올려 가대에 실었다. 가대에 실은 후에 포장체의 외관을 확인한 결과, 롤 부분에는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사용한 가대는 코어의 돌출부만을 상하로부터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가대가 롤 부분에 접촉하여 롤의 단면이나 외주면을 흠집낼 우려는 작은 구조로 되어 있다.
보관 3 개월 후에 포장체를 가대로부터 매달아올려, 클린룸용 가대에 바꿔 실었다. 그리고, 포장 필름의 외측의 보호 패드를 떼어내고, 그 후에 포장 필름을 떼어냈다. 롤의 외관을 관찰한 결과, 롤의 외주면 및 단면에 흠집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 PVA 필름 표면에 흡습된 주름도 관찰되지 않았다.
(4) 포장 필름을 떼어낸 상기 롤을 클린룸용 가대째 클린룸에 넣고, 연신기에 롤을 세트하였다. 이 롤의 단면을 확인한 결과, 흠집 발생이 관찰되었다. 또, 주위의 클린도를 측정한 결과 클래스 1000 레벨로서, 롤을 클린룸 내에 반입하기 전과 동 레벨이었다.
(5) 연신기로 상기 롤로부터 풀어낸 PVA 필름 (8000 m) 을 연신 배율 5 배로 1 축 연신한 결과, 롤의 단면의 흠집 발생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되는 절단이 3 회 발생하였다.
《비교예 2》
(1) 폭 400 ㎝, 두께 75 ㎛, 길이 10000 m 의 PVA 필름 (PVA 의 중합도 2400, PVA 의 비누화도 99.9 몰%, 글리세린 11 질량% 함유, 수분율 4.0 질량%) 을, 길이 450 ㎝ 이고 직경 6 인치의 원통상의 알루미늄제 코어에 권취하여, 롤을 얻었다. 이 때, 롤의 각 단면으로부터 코어가 25 ㎝ 씩 돌출되도록 권취하였다. 얻어진 롤의 직경은 115 ㎝ 였다. 이 롤의 단면 및 외주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흠집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상기의 롤의 양방의 단면에 발포 완충재로서, 두께 5 ㎜ 의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롤 단면의 형상에 맞춰 잘라낸 것을 1 장씩 장착하였다. 이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는 발포 배율 10 배의 독립 기포 타입인 것으로서, 흡수율은 0.01 g/㎠ 이며, 25 % 압축 응력은 130 ㎪ 이었다.
상기 발포 완충재가 장착된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이 때에, 롤과 알루미늄계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시켜 1 중으로 포장하였다. 여기서, 알루미늄계 필름으로는, 두께 20 ㎛ 의 OPP 필름과 두께 15 ㎛ 의 LDPE 필름과 두께 7 ㎛ 의 알루미늄박과 두께 15 ㎛ 의 LDPE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을 사용하고, OPP 필름측을 내측으로 하였다.
상기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한 롤을, 추가로 두께 40 ㎛ 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이 때에, 알루미늄계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시켜 1 중으로 포장하였다. 여기서, 롤이 흠집났을 때에 판별하기 쉽도록, 적색으로 착색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였다.
또한, 포장 필름 (알루미늄계 필름 및 폴리에틸렌 필름) 으로는 알루미늄제 코어의 길이보다 충분히 긴 폭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포장시에는 양단부 부근의 나머지 부분을 코어의 내측으로 밀어넣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한 후에, 롤의 단면으로부터 코어가 돌출된 돌출부의 외주부에서 포장 필름을 고무 밴드로 고정시켰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보호 패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포장체의 외관을 확인한 결과, 흠집 발생이 예상되는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상기의 포장체를 가대에 실어 창고로 수송하고, 창고에서 3 개월간 보관하였다. 가대에 실을 때에는, 코어의 돌출부에 밴드를 감고, 그것을 호이스트로 매달아올려 가대에 실었다. 가대에 실은 후에 포장체의 외관을 확인하였다. 사용한 가대는 코어의 돌출부만을 상하로부터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가대가 롤 부분에 접촉하여 롤의 단면이나 외주면을 흠집낼 우려는 작은 구조로 되어 있었지만, 가대에 실은 후의 롤의 단면 부분에는 밴드가 닿은 형적 (形跡) 이 관찰되고, 포장 필름에 찢어짐이 있었다.
보관 3 개월 후에 포장체를 가대로부터 매달아올려, 클린룸용 가대에 바꿔 실었다. 그리고, 포장 필름을 떼어냈다. 롤의 외주면, 및 롤의 단면에 밀착한 발포 완충재를 관찰한 결과, 롤의 단면에 밀착한 발포 완충재에 눌린 자국이 관찰되었다. 또, 롤 단면의 근방의 PVA 필름 표면에 흡습된 주름이 관찰되었다.
(4) 롤의 단면에 발포 완충재가 밀착하여 장착된 채의 상기 롤을 클린룸용 가대째 클린룸에 넣고, 연신기에 롤을 세트하였다. 발포 완충재를 떼어내고, 롤의 단면을 확인한 결과, 흠집 발생이 관찰되었다. 또, 주위의 클린도를 측정한 결과 클래스 1000 레벨로서, 롤을 클린룸 내에 반입하기 전과 동 레벨이었다.
(5) 연신기로 상기 롤로부터 풀어낸 PVA 필름 (8000 m) 을 연신 배율 5 배로 1 축 연신한 결과, 롤의 단면의 흠집 발생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되는 절단이 5 회 발생하였다.
《비교예 3》
(1) 폭 400 ㎝, 두께 75 ㎛, 길이 10000 m 의 PVA 필름 (PVA 의 중합도 2400, PVA 의 비누화도 99.9 몰%, 글리세린 11 질량% 함유, 수분율 4.0 질량%) 을, 길이 450 ㎝ 이고 직경 6 인치의 원통상의 알루미늄제 코어에 권취하여, 롤을 얻었다. 이 때, 롤의 각 단면으로부터 코어가 25 ㎝ 씩 돌출되도록 권취하였다. 얻어진 롤의 직경은 115 ㎝ 였다. 이 롤의 단면 및 외주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흠집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상기의 롤의 양방의 단면에 비발포 완충재로서, 두께 5 ㎜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시트를 롤 단면의 형상에 맞춰 잘라낸 것을 1 장씩 장착하였다.
상기 비발포 완충재가 장착된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이 때에, 롤과 알루미늄계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시켜 1 중으로 포장하였다. 여기서, 알루미늄계 필름으로는, 두께 20 ㎛ 의 OPP 필름과 두께 15 ㎛ 의 LDPE 필름과 두께 7 ㎛ 의 알루미늄박과 두께 15 ㎛ 의 LDPE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을 사용하고, OPP 필름측을 내측으로 하였다.
상기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한 롤을, 추가로 두께 40 ㎛ 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이 때에, 알루미늄계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시켜 1 중으로 포장하였다. 여기서, 롤이 흠집났을 때에 판별하기 쉽도록, 적색으로 착색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였다.
또한, 포장 필름 (알루미늄계 필름 및 폴리에틸렌 필름) 으로는 알루미늄제 코어의 길이보다 충분히 긴 폭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포장시에는 양단부 부근의 나머지 부분을 코어의 내측으로 밀어넣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한 후에, 롤의 단면으로부터 코어가 돌출된 돌출부의 외주부에서 포장 필름을 고무 밴드로 고정시켰다.
또한, 포장 필름의 위로부터, 양단부에 대략 롤 단면 형상을 갖는 두께 10 ㎜ 의 보호 패드를 1 장씩 장착하였다. 이 보호 패드는, 독립 기포 타입의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롤 단면의 형상에 비하여 최외경이 10 ㎜ 정도 커지도록 잘라낸 것으로, 25 % 압축 응력은 130 ㎪ 이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포장체의 외관을 확인한 결과, 흠집 발생이 예상되는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상기의 포장체를 가대에 실어 창고로 수송하고, 창고에서 3 개월간 보관하였다. 가대에 실을 때에는, 코어의 돌출부에 밴드를 감고, 그것을 호이스트로 매달아올려 가대에 실었다. 가대에 실은 후에 포장체의 외관을 확인한 결과, 롤 부분에는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사용한 가대는 코어의 돌출부만을 상하로부터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가대가 롤 부분에 접촉하여 롤의 단면이나 외주면을 흠집낼 우려는 작은 구조로 되어 있다.
보관 3 개월 후에 포장체를 가대로부터 매달아올려, 클린룸용 가대에 바꿔 실었다. 그리고, 포장 필름의 외측의 보호 패드를 떼어내고, 그 후에 포장 필름을 떼어냈다. 롤의 외주면, 및 롤의 단면에 밀착한 비발포 완충재를 관찰한 결과, 모두 흠집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 PVA 필름 표면에 흡습된 주름도 관찰되지 않았다.
(4) 롤의 단면에 비발포 완충재가 밀착하여 장착된 채의 상기 롤을 클린룸용 가대째 클린룸에 넣고, 연신기에 롤을 세트하였다. 비발포 완충재를 떼어내고, 롤의 단면을 확인한 결과, 흠집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주위의 클린도를 측정한 결과 클래스 10000 레벨이고, 롤을 클린룸 내에 반입하기 전보다 저레벨로, 문제였다. 아마 비발포 완충재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시트) 로부터 먼지 등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5) 연신기로 상기 롤로부터 풀어낸 PVA 필름 (8000 m) 을 연신 배율 5 배로 1 축 연신한 결과, 절단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표 1 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4063606673-pct00001
1 : 원통상의 코어 2 : PVA 필름
3 : 롤의 외주면 4a : 포장 필름
4b : 포장 필름 5 : 포장체의 단부
6 : 롤의 단면 7 : 발포 완충재
8 : 고무 밴드 9 : 보호 패드
11 : 롤 12 : 원통상의 코어
13 : PVA 필름 14 : 롤의 단면
15 : 롤의 외주면 16 : 코어의 단부

Claims (12)

  1.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롤을 포장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포장체의 양단부에 있어서, 포장체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발포 완충재, 포장 필름 및 보호 패드가 이 순서로 배치된 구조를 갖고,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지고, 롤을 알루미늄계 필름으로 포장한 후, 추가로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 완충재가 독립 기포의 발포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포장체.
  3.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 완충재가 발포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포장체.
  4.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 완충재의 두께가 2 ㎜ 이상인 포장체.
  5.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 완충재의 흡수율이 0.05 g/㎠ 이하인 포장체.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계 필름이,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다층 필름인 포장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계 필름이, 알루미늄박과 나일론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다층 필름인 포장체.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 패드의 25 % 압축 응력이 50 ㎪ 이상인 포장체.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롤의 양단부에 발포 완충재를 장착하는 공정, 발포 완충재가 장착된 롤을 포장 필름으로 포장하는 공정, 및 포장 필름의 위로부터 보호 패드를 장착하는 공정을 갖는 포장체의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체의 형태로 롤을 보관 또는 수송하는 롤의 보관 또는 수송 방법.
KR1020147018759A 2012-01-04 2012-12-12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롤의 포장체 KR102038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0031 2012-01-04
JP2012000031 2012-01-04
PCT/JP2012/082132 WO2013103074A1 (ja) 2012-01-04 2012-12-12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フィルムロールの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931A KR20140109931A (ko) 2014-09-16
KR102038164B1 true KR102038164B1 (ko) 2019-10-29

Family

ID=4874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759A KR102038164B1 (ko) 2012-01-04 2012-12-12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롤의 포장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077442B2 (ko)
KR (1) KR102038164B1 (ko)
CN (2) CN106927139B (ko)
TW (1) TWI598277B (ko)
WO (1) WO20131030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387A (ko) 2021-11-12 2023-05-19 박유진 롤필름 봉인지 부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5540B2 (ja) * 2014-06-19 2019-07-17 旭化成株式会社 ロー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梱包体の輸送方法
CN104309846B (zh) * 2014-08-26 2017-02-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玻璃的装箱方法
CN112455928A (zh) * 2015-09-04 2021-03-09 三菱化学株式会社 包装体、聚乙烯醇系薄膜的保管或运输方法、聚乙烯醇系薄膜、及偏光膜
JP6844154B2 (ja) * 2015-09-04 2021-03-1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包装体、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および偏光膜
WO2017164352A1 (ja) * 2016-03-24 2017-09-28 味の素株式会社 フィルムロール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440995B2 (ja) * 2017-11-02 2024-02-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ロール包装体
CN108438516A (zh) * 2018-05-09 2018-08-24 海宁市天祥包装机械厂 一种新型卷材外包装
JP7144986B2 (ja) * 2018-06-25 2022-09-30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ロール材包装物
JP7425978B2 (ja) * 2019-06-28 2024-02-01 Tdk株式会社 ロール体、梱包体、保護フィルム、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110808400A (zh) * 2019-11-14 2020-02-18 杨小妹 一种利用气流的导向性与加压性的电芯卷绕装置
JP7410780B2 (ja) * 2020-03-31 2024-01-10 日本発條株式会社 被覆発泡体からなるシール材、および被覆発泡体からなるシール材の製造方法
CN113581649B (zh) * 2021-07-14 2023-02-10 石狮市喜运达包装用品有限公司 一种高韧性包装带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483A (ja) * 2004-03-23 2005-11-04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光学用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イ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
JP2006096914A (ja) * 2004-09-30 2006-04-13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押出発泡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568B2 (ko) * 1974-04-16 1982-01-18
JPS54154924U (ko) * 1978-04-18 1979-10-27
JPS56151537A (en) * 1980-04-25 1981-11-24 Asahi Chem Ind Co Ltd Manufacture of expanded form utilizing crosslinking polyethylene expandable particle
JPS6054580U (ja) * 1983-09-21 1985-04-17 日本製箔株式会社 アルミ箔巻取品の梱包装置
US4761328A (en) * 1985-06-14 1988-08-02 Shin Yong W Process for producing a low density foamed polyethylene
JP2646245B2 (ja) * 1988-09-13 1997-08-27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導電性ポリエチレン発泡粒子
JP3826991B2 (ja) 2000-05-01 2006-09-27 株式会社クラレ 偏光フィルム用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フィ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
JP2002308343A (ja) * 2001-04-09 2002-10-23 Kuraray Co Ltd 包装用材料及びフィルム巻取体
JP2003206072A (ja) * 2002-01-11 2003-07-22 Toray Ind Inc 巻物受け具及びそれを用いた巻物ユニット
KR101314562B1 (ko) * 2004-11-24 2013-10-07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수용성 필름 롤 및 수용성 필름의 조출방법
CN2844017Y (zh) * 2005-07-01 2006-12-06 安徽铜峰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工薄膜包装箱
JPWO2008093631A1 (ja) * 2007-02-01 2010-05-20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用梱包体
CN202038597U (zh) * 2011-01-26 2011-11-16 新疆天业节水灌溉股份有限公司 一种滴灌带的包装结构
JPWO2012147665A1 (ja) * 2011-04-28 2014-07-28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フィルムの包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483A (ja) * 2004-03-23 2005-11-04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光学用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イ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
JP2006096914A (ja) * 2004-09-30 2006-04-13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押出発泡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387A (ko) 2021-11-12 2023-05-19 박유진 롤필름 봉인지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103074A1 (ja) 2015-05-11
CN104024127B (zh) 2017-06-20
JP2016210509A (ja) 2016-12-15
KR20140109931A (ko) 2014-09-16
CN106927139A (zh) 2017-07-07
WO2013103074A1 (ja) 2013-07-11
JP6077442B2 (ja) 2017-02-08
JP6246874B2 (ja) 2017-12-13
CN104024127A (zh) 2014-09-03
CN106927139B (zh) 2020-03-31
TW201339065A (zh) 2013-10-01
TWI598277B (zh) 201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164B1 (ko)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롤의 포장체
KR101624072B1 (ko)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및 편광 필름
JP4785391B2 (ja) 光学用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イ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
JP4562795B2 (ja) ロール原反及びロール原反製造方法
JP6834956B2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膜
JP6926199B2 (ja) 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該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WO2012147665A1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フィルムの包装体
WO2018016542A1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234601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WO2016072358A1 (ja)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444732B2 (ja) 積層フィルム
JP6844154B2 (ja) 包装体、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および偏光膜
KR102637761B1 (ko) 포장체,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보관 또는 수송 방법,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및 편광막
JP2020114758A (ja) 包装体、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および偏光膜
WO2024080348A1 (ja) 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そ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ロールの保管又は輸送方法
JP6677081B2 (ja) 積層体、偏光膜製造用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膜の製造方法、ならびに偏光膜製造用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
WO2024080347A1 (ja) 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そ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ロールの保管又は輸送方法
WO2016072359A1 (ja) 偏光板枚葉体の製造方法
KR102636662B1 (ko)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사용한 편광막, 편광판 및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7047973A (ja) 包装体、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の保管または輸送方法、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および偏光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