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001B1 -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001B1
KR101985001B1 KR1020170107488A KR20170107488A KR101985001B1 KR 101985001 B1 KR101985001 B1 KR 101985001B1 KR 1020170107488 A KR1020170107488 A KR 1020170107488A KR 20170107488 A KR20170107488 A KR 20170107488A KR 101985001 B1 KR101985001 B1 KR 101985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p
hydraulic pressure
support plate
lifting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962A (ko
Inventor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최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환 filed Critical 최정환
Priority to KR102017010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0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G07F17/0085Food articles which for processing need cooking in a liquid, e.g. oi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26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with a stepwise upward movement of the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력용기로 라면을 조리하여 주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라면자판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용기에 라면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리프팅바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복수개 형성된 빗살 형상의 라면지지판; 상기 통로 중 두 개에 걸쳐 상기 라면지지판 위에 입설되고, 내부에 라면이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타워; 상기 라면지지판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승강하는 슬라이딩 리프터가 구비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에 한 쌍이 결합되고, 상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적층된 라면을 단속적으로 상승시키는 리프팅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라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면을 주문하면 빠른 시간 내 조리하여 주문자에 제공할 수 있는 라면자판기 내에 구비되어, 라면을 급속조리하는 압력용기로 라면을 하나씩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이미 조리된 라면에 온수를 부어 조리하도록 된 컵라면과, 라면을 끓는 물에 넣고 스프를 투입하고, 취향에 따라 각종 양념을 추가하여 조리하도록 된 봉지 라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면 중에서 컵라면은 온수만 준비된다면 야외에서도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컵라면을 자동으로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는 이미 개발될 수 있었다. 즉, 컵라면의 경우 가공과정에서 미리 끓는 물만 넣으면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뜨거운 물을 부어 2~4분 만에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장소의 제약이 적다는 장점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가 있어, 자동판매기로 쉽게 개발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컵라면 자동판매기는 용기에 온수를 주입하는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해야 하는 반자동식으로 사용에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수반되고, 맛이나 식감에 있어서 온수를 붓고 일정 시간 기다려서 먹는 것이므로, 직접 끓여 먹는 봉지 라면에 한참 못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컵라면의 조리 방식은 그 방식이 집에서 끓여 먹는 봉지 라면과는 달리 뜨거운 물에 불려 먹는 방식으로 그 맛이나 식감이 끓여 먹는 라면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즉석에서 자동으로 조리하여 끓여 먹는 라면과 마찬가지의 식감을 제공할 수 있는 라면 자동판매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7332호의 경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봉에 의해 라면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방사형으로 각각 형성된 수납부; 제1구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부를 일정한 각도만큼씩 회전시키도록 된 구동부; 상기 수납부의 위치를 감지하고, 수납공간에 라면이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된 감지부;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라면을 라면 투출공으로 배출시키도록 된 라면 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라면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다수개의 수직봉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라면의 보관상태나 수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수납공간 자체가 회전됨으로써 라면이 손상되거나 금속판과의 마찰로 인한 이물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다량의 라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런데 이 장치는 공급을 위해 적층된 라면 중 맨 하단에 있는 라면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이미 적층된 라면의 무게로 인해 맨 하단의 라면을 투출시키는데 많은 구동력이 소모되고 라면 간 마찰로 인해 라면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9-025752(1999.4.6)"라면자동판매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87332(2000.4.17)"라면자판기용 라면공급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07102(2003.2.28)"라면자동판매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26515(2014.10.31)"라면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라면자판기 내에 구비되어, 라면을 조리하는 압력용기에 라면을 하나씩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구동력 소모가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며, 라면공급시 라면의 손상이 없이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는, 압력용기로 라면을 조리하여 주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라면자판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용기에 라면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리프팅바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복수개 형성된 빗살 형상의 라면지지판; 상기 통로 중 두 개에 걸쳐 상기 라면지지판 위에 입설되고, 내부에 라면이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타워; 상기 라면지지판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승강하는 슬라이딩 리프터가 구비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에 한 쌍이 결합되고, 상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적층된 라면을 단속적으로 상승시키는 리프팅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라면지지판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 사이에 구비되고 중공인 왕복실린더와, 양측에 피스톤이 결합되어 상기 왕복실린더 내에서 왕복 이동하는 왕복 마그네트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와 왕복실린더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리프터와, 상기 왕복실린더와 슬라이딩 리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왕복 마그네트와 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를 승강시키는 리프팅 마그네트와, 상기 왕복실린더의 양측에 각각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압공급부는, 상기 왕복실린더의 일측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1유압공급기와, 타측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2유압공급기와, 상기 제1, 2유압공급기에 각각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펌프와, 상기 제1유압공급기의 유압공급을 개폐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유압공급기의 유압공급을 개폐하는 제2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수납타워 중 어느 하나의 라면이 소진되면 다른 하나의 수납타워의 라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라면지지판 하부에 상기 라면지지판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라면지지판의 하측에 상기 라면지지판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로드리스 실린더와, 상기 라면지지판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로드리스 실린더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직선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적층된 라면의 상측에는 최상단의 라면이 접촉되면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를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동력의 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 비해 빠르고 정확하게 라면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고 라면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공급이 가능하다.
도 1은 라면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라면지지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승강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를 절단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는 라면자판기 내부에 설치되어 라면을 압력용기로 하나씩 차례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를 이해하기 위해 라면자판기의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라면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라면자판기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라면공급장치(100)를 포함해서, 상기 라면공급장치(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단속적으로 상승되어 공급된 최상단의 라면을 일측으로 밀어 라면급속조리장치(400)로 이송하는 라면이송장치(200), 상기 라면이송장치(2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온수를 저장하여 라면급속조리장치(400)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300), 상기 라면공급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라면이송장치로부터 라면을 이송받는 압력용기(410)와 이를 밀폐하는 압력커버(420)로 구성되어 고압에서 라면을 급속 조리하는 라면급속조리장치(400), 상기 라면급속조리장치(400)의 하측으로 라면용기(C)를 공급하는 라면용기공급장치(500) 및 상기 라면급속조리장치(400)에서 조리된 라면을 라면용기(C)로 전달, 배급하는 호퍼 형상의 라면배급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주문자가 외부에서 주문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라면이 조리되어 주문자에게 제공되도록 작동한다.
상술한 라면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 2, 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라면지지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는 크게 라면지지판(110), 수납타워(120), 승강수단(130), 리프팅바(150) 및 이송수단(160)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다수개의 적층된 라면을 단속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상기 라면급속조리장치(400)로 하나씩 공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구성들과 더불어 리미트스위치(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라면지지판(110)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평판 형상이며, 그 위에 다수개의 라면(R)이 적층된 상태로 올려질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라면을 받치면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빗(comb)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개의 빗살(111)과 통로(112)가 차례로 번갈아 가며 형성되는데, 상기 빗살(111)은 빔 형상이고 상기 통로(112)는 빗살(1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후술하는 리프팅바(150)가 승강할 때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통로(112)는 평판에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라면지지판(110)은 라면자판기 내에서 하부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이송수단(160)에 의해 좌우로 수평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폭과 길이는 라면을 충분히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적층된 라면을 1열(column)이라고 할 때, 다수 열의 라면을 지지할 경우 다수 개 라면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라면지지판 길이가 길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길이에 따라, 다시 말해서 적층된 라면의 열의 개수에 따라 상기 통로(112)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면 1개의 면적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라면지지판(110)은 빗살 3개와 통로 2개가 소요될 수 있다. 라면 1개당 통로가 2개인 것은 후술하는 리프팅바 2개가 통로를 지나면서 라면을 지지한 상태로 승강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라면이 2열일 경우,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빗살(111)은 5개, 통로(112)는 4개가 적절하다. 만일, 3열이 되면, 빗살은 7개, 통로는 6개가 될 것이다.
물론, 라면 1개당 빗살 4개, 통로 3개가 소요되도록 설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경우에는 리프팅바 3개가 라면을 지지하면서 승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납타워(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면지지판(110) 위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라면이 적층 및 수납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타워(120)는 대략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채널 형상을 이루며 상기 라면지지판(110) 위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납타워(120)의 단면적은 라면 1개의 면적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라면이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으면서, 상승 이동시 방해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타워(120)는 사방이 막힌 형상일 수도 있고, 다르게는 모서리 부분에 '┓'형 앵글(121)을 입설하여 적층된 라면의 상태가 보이도록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혹은 전면에 '┓'형 앵글(121) 2개를 사용하고, 후면에는 '┗┛'형 앵글(122)을 사용하거나 둘을 연결하여 일체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납타워(120)는 라면 열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각 수납타워(120)는 상기 통로(112) 중 둘 이상에 걸쳐서 입설될 수 있다. 즉, 빗살 3개에 걸쳐서 입설되게 함으로써 2개의 통로(112)가 하나의 수납타워 내부에 포함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수납타워(120)에 적층된 라면(R)이 모두 소진되면 상기 라면지지판(110)이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다른 수납타워(120)가 상기 리프팅바(150)의 상측에 위치하여 라면의 상승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수납타워(120)의 단면 형상은 라면의 형상에 맞게 형성될 수 있는데, 사각 라면의 경우 사각형, 원형 라면인 경우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4,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승강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승강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를 절단한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로(112)들의 외측,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일측 전방에는 상기 리프팅바(150)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승강수단(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130)은 수직으로 입설되는데, 크게 가이드 포스트(131), 왕복실린더(132), 왕복 마그네트(133), 슬라이딩 리프터(134), 리프팅 마그네트(135), 유압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포스트(131)는 봉 형상이고 한 쌍이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포스트(131)는 수직으로 세워져 입설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134)의 승강 구동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포스트(131) 사이에는 왕복실린더(132)가 입설된다.
상기 왕복실린더(132)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관 형상일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왕복 마그네트(133)가 내설되고 상기 유압공급부(140)에서 공급되는 작동유로 채워진다.
이때, 상기 왕복실린더(132)와 가이드 포스트(131)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134)가 상기 수납타워(120)의 최상단까지 도달하도록 상기 수납타워(120)의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왕복실린더(132)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는 왕복 마그네트(133)가 구비된다. 상기 왕복 마그네트(133)는 강한 자력을 가지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양측에 피스톤(133a)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33a)은 각각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왕복하며, 상기 왕복실린더(132) 내에 수용된 작동유를 밀어 토출시키거나 흡입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 포스트(131)와 왕복실린더(132)에는 슬라이딩 리프터(13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134)는 장방형의 블록형상일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포스트(131)와 왕복실린더(132)가 관통하면서 구속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포스트(131)와 슬라이딩 리프터(134) 사이에는 구름베어링이 개재되어 부드럽게 가이드 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왕복실린더(132)와 슬라이딩 리프터(134) 사이에는 리프팅 마그네트(135)가 개재된다.
상기 리프팅 마그네트(135)는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134) 내에 결합, 고정되는 자석이며,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원통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팅 마그네트(135)는 상기 왕복 마그네트(133)와 반대 극성을 가져 상기 왕복 마그네트(133)와 강하게 끌어당기는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왕복 마그네트(133)가 상기 왕복실린더(132) 내에서 왕복 이동하면 자력에 의해 상기 리프팅 마그네트(135)도 함께 왕복 이동하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134)가 상기 가이드 포스트(13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왕복실린더(132)는 자성체는 아니지만 자력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내부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는 유압공급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유압공급부(140)는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양측으로 각각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유압공급기(141), 제2유압공급기(142), 에어펌프(143), 제1밸브(144) 및 제2밸브(145)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압공급기(141)와 제2유압공급기(142)는 내부에 작동유가 수용된 제1하우징(141a) 및 제2하우징(142a)과, 상기 제1하우징(141a)과 왕복실린더(132)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튜브(141b) 및 상기 제2하우징(142a)과 왕복실린더(132)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튜브(142b)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141a)과 제1튜브(141b)를 통해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일측으로 유압이 공급되고, 상기 제2하우징(142a)과 제2튜브(142b)를 통해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타측으로 유압이 공급되게 한다. 그래서 상기 제1유압공급기(141)에서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일측으로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왕복 마그네트(133)는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타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유압공급기(142)에서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타측으로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왕복 마그네트(133)는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튜브(141b)는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상단에 연결되게 하고, 상기 제2튜브(142b)는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하단이 아니라 상기 가이드 포스트(13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유압이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하단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 포스트(131)는 중공관이고, 그 하단이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하단과 연통되는 구조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상기 왕복 마그네트(133)를 이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사용하는 것은 작동유가 비압축성이라서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고 응답성이 빠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 2유압공급기를 구동하기 위해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 내에 각각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143)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펌프(143)는 전자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제1하우징(141a) 또는 제2하우징(142a)에 정량의 에어를 공급하거나 빼낸다.
따라서, 상기 에어펌프(143)가 에어를 제1하우징(141a)에 공급하면 상기 제1하우징(141a)에 수용된 작동유는 밀려나면서 상기 제1튜브(141b)를 통해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일측으로 주입되고, 에어를 제2하우징(142a)에 공급하면 상기 제2하우징(142a)에 수용된 작동유가 밀려나면서 상기 제2튜브(142b)를 통해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타측으로 주입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제1, 2튜브 상에 각각 제1밸브(144)와 제2밸브(145)가 구비되어 작동유의 공급을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각 승강수단(130)의 슬라이딩 리프터(134)에는 한 쌍의 리프팅바(15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팅바(150)의 일단은 상기 승강수단(130)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되어 상기 각 통로(112)의 직하방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리프팅바(150)는 빔(beam) 혹은 바(bar)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134)의 승강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리프팅바(150)는 상기 수납타워(120)의 내부를 통해 승강하므로 상기 리프팅바(150) 위에는 적층된 라면이 올려져 상기 리프팅바(150)의 상승에 의해 적층된 라면 전체도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바(150)의 폭과 길이는 상하로 움직일 때 상기 통로(112)를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타워(120)가 사방이 막힌 채널 형상일 경우에는 상기 리프팅바(15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타워(120)에 전면에 한 쌍의 절개라인을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수납타워(120)가 '┓'형 앵글을 사용한 경우라면, 절개라인은 필요가 없이 앵글 사이를 통해 상기 리프팅바(150)가 승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하부에는 상기 라면지지판(110)을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1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1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면지지판(110) 하측에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로드리스 실린더(161)와, 상기 수평로드리스 실린더(1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162)로 구성될 수 있다.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는 로드(rod)가 없거나 내부에 내장된 형태로 직선 왕복 이동이 필요한 곳에 널리 사용되는 실린더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평 로드리스실린더(151)는 공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62)는 상기 라면지지판(11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하부면과 결합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130)의 상단에는 리미트스위치(17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적층된 라면들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라면이 상기 리프팅바(150)에 의해 상승될 때 최상층에 있는 라면이 접촉되면 상기 에어펌프(143)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134)의 상승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라면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이후 상기 라면이송장치가 작동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만일, 두 개의 수납타워(120)를 구비한 경우 각 수납타워(120)에 라면(R)을 적층시켜 채워넣는다.
그리고 상기 수평로드리스 실린더(161)가 공압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슬라이더(162)는 일측으로 직선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더(162)에 결합된 상기 라면지지판(110)도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라면지지판(110)은 라면을 공급하고자 하는 수납타워(120)가 상기 리프팅바(150)의 직상방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한다. 즉, 상기 수납타워(120) 내에 있는 상기 통로(112)의 직하방에 각각 상기 리프팅바(150)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펌프(143)가 구동되어 상기 제2하우징(142a)에 에어를 공급하면 상기 제2하우징(142a)에 수용된 작동유가 상기 제2튜브(142b)를 통해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하단으로 주입되고, 주입된 작동유의 유압으로 상기 왕복실린더(132) 내의 왕복 마그네트(133)는 상승하므로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134)가 상승한다. 이때 상기 제1, 2밸브는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134)의 상승으로 인해 상기 리프팅바(150)는 각각 상승하기 시작하고 상승하는 리프팅바(150)는 상기 통로(112)를 통과하면서 수납타워(120) 내에 적층된 라면들을 지지하면서 마치 지게차가 화물을 리프팅하는 것과 같이 라면(R)을 상승시킨다.
적층된 라면 전체가 상승함에 따라, 맨 상층의 라면이 직상방에 있는 리미트스위치(170)를 터치하면 제어부에 의해 상기 에어펌프(143)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동시에 상기 제1밸브(144)와 제2밸브(145)를 차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왕복실린더(132) 내부의 작동유는 역류하지 않고 정지하게 되어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134)가 정확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납타워(120) 내의 모든 라면이 하나씩 공급될 수 있으며, 모두 소진되면, 제어부에서 상기 에어펌프(143)를 구동하여 상기 제1하우징(141a)에 에어를 공급하면 상기 제1하우징(141a)에 수용된 작동유가 상기 제1튜브(141b)를 통해 상기 왕복실린더(132)의 상단으로 주입되고, 주입된 작동유의 유압으로 상기 왕복 마그네트(133)는 하강하므로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134) 및 상기 리프팅바(150)가 맨 하단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수평로드리스 실린더(161)를 구동시켜 상기 라면지지판(110)을 위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다른 수납타워(120)가 상기 리프팅바(150)의 직상방에 위치하면 정지된다.
역시, 동일한 과정으로 새로운 수납타워에 적층된 라면을 하나씩 상승시켜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라면공급장치
110 : 라면지지판 111 : 빗살
112 : 통로
120 : 수납타워 121 : '┓'형 앵글
122 : '┗┛'형 앵글
130 : 승강수단
131 : 가이드 포스트 132 : 왕복실린더
133 : 왕복 마그네트 133a : 피스톤
134 : 슬라이딩 리프터 135 : 리프팅 마그네트
140 : 유압공급부 141 : 제1유압공급기
141a : 제1하우징 141b : 제1튜브
142 : 제2유압공급기 142a : 제2하우징
142b : 제2튜브 143 : 에어펌프
144 : 제1밸브 145 : 제2밸브
150 : 리프팅바
160 : 이송수단
161 : 수평로드리스 실린더 162 : 슬라이더
170 : 리미트스위치
200 : 라면이송장치 300 : 온수공급장치
400 : 라면급속조리장치 410 : 압력용기
420 : 압력커버 500 : 라면용기공급장치
600 : 라면배급장치
R : 라면 C : 라면용기

Claims (6)

  1. 압력용기로 라면을 조리하여 주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라면자판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용기에 라면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리프팅바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복수개 형성된 빗살 형상의 라면지지판;
    상기 통로 중 두 개에 걸쳐 상기 라면지지판 위에 입설되고, 내부에 라면이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타워;
    상기 라면지지판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 사이에 구비되고 중공인 왕복실린더와, 양측에 피스톤이 결합되어 상기 왕복실린더 내에서 왕복 이동하는 왕복 마그네트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와 왕복실린더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리프터와, 상기 왕복실린더와 슬라이딩 리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왕복 마그네트와 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를 승강시키는 리프팅 마그네트와, 상기 왕복실린더의 양측에 각각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승강수단;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에 한 쌍이 결합되고, 상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적층된 라면을 단속적으로 상승시키는 리프팅바;
    상기 라면지지판의 하측에 상기 라면지지판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로드리스 실린더와, 상기 라면지지판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로드리스 실린더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직선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복수개의 수납타워 중 어느 하나의 라면이 소진되면 다른 하나의 수납타워의 라면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공급부는,
    상기 왕복실린더의 일측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1유압공급기와, 타측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2유압공급기와, 상기 제1, 2유압공급기에 각각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펌프와, 상기 제1유압공급기의 유압공급을 개폐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유압공급기의 유압공급을 개폐하는 제2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된 라면의 상측에는 최상단의 라면이 접촉되면 상기 슬라이딩 리프터를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KR1020170107488A 2017-08-24 2017-08-24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KR10198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88A KR101985001B1 (ko) 2017-08-24 2017-08-24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88A KR101985001B1 (ko) 2017-08-24 2017-08-24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62A KR20190021962A (ko) 2019-03-06
KR101985001B1 true KR101985001B1 (ko) 2019-05-31

Family

ID=6576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488A KR101985001B1 (ko) 2017-08-24 2017-08-24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5599A (zh) * 2019-08-22 2019-11-01 株洲和天源科技发展有限公司 棉、麻秆自动喂给机
KR102206299B1 (ko) * 2020-05-27 2021-01-21 최세열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899A (ja) * 2001-06-14 2002-12-24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ォークリフト車両
KR101106224B1 (ko) * 2010-08-05 2012-01-30 주식회사 웅기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644B1 (ko) 1997-09-13 1999-12-15 배길성 라면 자동판매기
KR200209305Y1 (ko) * 1998-05-13 2001-01-15 김영건 반도체 스트립 공급장치
KR200187332Y1 (ko) 2000-02-02 2000-07-01 인터패트주식회사 라면 자판기용 라면 공급장치
KR200307102Y1 (ko) 2002-11-15 2003-04-10 (주)아로마아이씨이 라면 자동 판매기
KR20140126515A (ko) 2013-04-23 2014-10-31 (주) 코리아지에프 라면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70030155A (ko) * 2015-09-08 2017-03-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박스류 발급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899A (ja) * 2001-06-14 2002-12-24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ォークリフト車両
KR101106224B1 (ko) * 2010-08-05 2012-01-30 주식회사 웅기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62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001B1 (ko)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US8561376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product in a petri dish
US4809881A (en) Bin dispensing machine
KR101895049B1 (ko)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WO2016179862A1 (zh) 立式储物配发装置及发药机
CN109051067B (zh) 中药煎药系统循环上料装置
CN109559434A (zh) 自动盒饭机
CN108146699B (zh) 三明治自动包装机的面包片推送装置
ITTO20090252A1 (it) Gruppo percolatore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CN109584450A (zh) 自动盒饭机
KR101146244B1 (ko) 멸치 자숙기
KR101943093B1 (ko)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CN103359439A (zh) 一种双滑块闸门式出药装置
CN207536160U (zh) 一种润滑油灌装机
KR20130061585A (ko) 멸치를 멸치발에 담는 장치
CN108670841B (zh) 煎药自动加料机构
ES2935375T3 (es) Aparato para procesar productos hortícolas
KR102051263B1 (ko) 마스크팩 화장액 주입장치
CN209168262U (zh) 自动盒饭机
KR101051976B1 (ko) 라면조리 판매기의 용기 이송장치
CN103355996B (zh) 一种气浮式出药装置
US20170267382A1 (en) Arrangement for closing a filling opening in a base of a beverage container
JP2008239217A (ja) シリンダピストン式充填装置
JP2007008564A (ja) 食品定量供給装置
CN109220563A (zh) 菌包液体接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