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224B1 -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 - Google Patents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224B1
KR101106224B1 KR1020100075575A KR20100075575A KR101106224B1 KR 101106224 B1 KR101106224 B1 KR 101106224B1 KR 1020100075575 A KR1020100075575 A KR 1020100075575A KR 20100075575 A KR20100075575 A KR 20100075575A KR 101106224 B1 KR101106224 B1 KR 10110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body
moving
frame
ra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웅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웅기
Priority to KR102010007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G07F17/0085Food articles which for processing need cooking in a liquid, e.g. oi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6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op
    • A47F1/06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op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 용기를 하나씩 정확하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용기 배출장치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를 흡착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배출장치와, 상기 용기 배출장치에 의해 배출된 상기 용기에 물을 투입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용기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VESSEL TRANSFER APPARATUS AND NODDLE COOKING MACHINE HAVING THE VESSEL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면 용기를 하나씩 정확하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크게 이미 조리된 라면에 온수를 부어 조리하도록 된 용기라면과, 끓는 물에 라면과 스프를 투입하여 끓이는 봉지라면으로 구분되며, 용기라면과 봉지라면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된다.
이와 같은 용기라면은 가공과정에서 끓는 물만 넣으면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먹기가 간편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라면의 구성 자체가 뜨거운 물에 불려 먹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라면 고유의 맛을 낼 수가 없어 애호가들은 조금 불편하더라도 끓여먹는 라면을 선호하고 있다.
그리고 봉지라면은 라면을 끊이기 위해서는 냄비와 같은 용기와 이를 가열하기 위한 버너 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용기라면에 비하여 조리가 불편하고 조리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최근에는 봉지라면을 조리할 수 있는 라면 조리기가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라면 조리기는 사각의 알루미늄 용기에 라면을 끓일 수 있도록 수프 및 면이 용기에 담겨져 가열부로 배출되면 이 용기에 온수가 공급된 후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라면 조리기는 내부에 면과 스프가 수용된 용기가 적층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투하되므로, 용기가 하나씩 정확하게 배출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하측에 위치하는 용기가 상측에 적층된 용기의 무게에 인하여 배출될 때 그 모양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라면 용기를 하나씩 정확하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면 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는, 본체와, 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의 배출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승강되는 용기 승강부와, 상기 용기 승강부에 적층된 상기 용기가 흡착되며, 흡착된 용기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승강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배출장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상기 용기가 뒤집혀져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를 가이드하는 용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와,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가이드되며, 상기 용기가 탑재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접촉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는 이송너트 및 상기 회전축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가 탑재되는 승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용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결합되며, 접촉된 상기 용기가 흡작되는 용기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결합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거치되는 제1 가이드롤러와, 상기 본체에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롤러와,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마련되는 제3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흡착부재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결합되는 흡착프레임과, 상기 흡착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흡착프레임에 상기 용기가 흡착될 수 있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흡착부재는 상기 흡착프레임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와 접촉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배출부는, 상기 용기 이동부가 출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용기 이동부에서 투척되는 상기 용기가 접촉되면서 회동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마련되는 메인 걸림판과, 상기 제1 걸림판에 접촉되어 회동되는 상기 용기가 안내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는, 본체와, 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를 흡착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배출장치와, 상기 용기 배출장치에 의해 배출된 상기 용기에 물을 투입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용기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배출장치는, 상기 용기가 적층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의 배출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승강되는 용기 승강부와, 상기 용기 승강부에 적층된 상기 용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승강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상기 용기가 뒤집혀져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를 가이드하는 용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용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가이드되며, 상기 용기가 탑재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송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이동부는, 제1 가이드롤러와 구동롤러에 의해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이동부재와, 랙 앤 피니언기어를 통해 상기 좌우이동부재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랙 앤 피니언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랙이 가이드되도록 제2 가이드롤더가 마련되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랙에 결합되는 흡착프레임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흡착프레임에 결합되는 공기흡입팬을 가지며, 상기 공기흡입팬의 공기 흡입을 통해 상기 용기를 상기 흡착프레임에 흡착시키는 용기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가열부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이 상기 용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물통의 물이 상기 용기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개폐밸브가 마련되는 물공급관과, 상기 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에 물이 수용되면 상기 용기의 무게에 의해 접지스위치가 접치되면서 전류가 인가되어 가열되는 가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에 의하면, 라면 용기를 하나씩 정확하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면 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가열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의 용기 승강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승강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승강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의 용기 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동부의 좌우이동부재 및 상하이동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동부의 좌우이동부재 및 상하이동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동부의 용기 흡착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10)는, 라면용기(20)를 가열하기 위한 용기 가열부(100)와, 라면용기(20)가 1개씩 배출될 수 있도록 라면용기(20)가 수용되는 용기 배출장치(200)와, 용기 가열부(100)와 용기 배출장치(200)가 설치되는 본체(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라면 조리기(10)는 용기 배출장치(200)에서 라면용기(20)가 배출된 후 사용자가 라면용기(20)를 용기 가열부(100)로 이동시켜 용기 가열부(100)를 작동시키게 되면, 라면용기(20)로 물이 공급되어 가열된다.
이를 위하여, 용기 가열부(100)는 용기 배출장치(200)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본체(300)에 설치되며,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에 거치되는 물통(120)과, 이 물통(120)의 물을 라면용기(20)로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130)과, 라면용기(2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판(14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본체(300)에 결합되며, 용기 가열부(1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패널 및 코인투입구가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물통(120)의 물이 경유되는 필터부(150)가 마련되고, 이 필터부(150)가 물공급관(130)과 연결된다.
물통(120)은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내부의 물이 필터부(150)를 통해 물공급관(130)으로 공급된다.
물공급관(13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통(120)에 수용된 물이 라면용기(20)로 공급되도록 일단부가 필터부(15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가열판(140)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물공급관(130)은 라면용기(20)에 물이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개폐밸브(131)가 설치된다. 이때, 개폐밸브(131)는 코인투입 및 조작패널의 조작에 따라 물공급관(130)을 개방 또는 밀폐시킨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공급관(130)에서 배수되는 물은 가열판(140)에 올려진 라면용기(20)로 배수되어 라면용기(20)에 담수된다. 그리고, 라면용기(20)에 물이 담수되면 가열판(140)이 발열되어 라면용기(20)를 가열하게 된다.
가열판(140)은 그 상면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라면용기(20)가 올려질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또한, 가열판(140)은 라면용기(20)의 무게에 따라 스위치(141)를 온/오프시키는 접속핀(143)이 중앙부에 설치되며, 이 접속핀(143)을 통해 스위치(141)에 연결된다.
이러한, 가열판(140)은 라면용기(20)에 물이 담수되면서 그 무게가 증가하게 되면 접속핀(143)이 하부로 이동되고, 이 접속핀(143)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141)가 접속되어 전류가 인가되면서 발열된다. 그리고 가열판(140)은 라면용기(20)가 제거되면 접속핀(143)이 스위치(141)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어 스위치(141)가 단락되면서 전류의 인가가 차단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라면 조리기(10)에 설치되어 라면용기(20)를 배출시키는 용기 배출장치(2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200)는 라면용기(20)가 적층되도록 본체(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용기 승강부(210)와, 이 용기 승강부(210)의 라면용기(20)를 본체(300)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220)와, 본체(300)에서 배출되는 라면용기(20)를 가이드하는 용기 배출부(230)를 포함한다.
본체(300)는 용기 가열부(100)의 하우징(110)이 결합되는 가열부 받침대(320)와, 용기 배출장치(200)가 설치되는 배출부 하우징(330)이 더 마련된다. 이때, 배출부 하우징(330)에는 용기 배출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된다.
본체(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용기 승강부(21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면용기가 적층되며, 적층된 라면용기(20)의 배출에 따라 라면용기(20)를 상측으로 상승시킨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승강부(210)는 배출부 하우징(3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1)과, 라면용기(20)가 탑재되어 지지프레임(211)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부재(213)와, 이 승강부재(213)를 승강시키는 작동부재(215)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 승강부(210)는 승강부재(213)가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승강부재(213)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재(217) 및 승강부재(213)의 상승과 하강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감지부재(219)를 더 포함한다.
용기 승강부(210)의 지지프레임(211)은 승강부재(213)가 지지되어 가이드되도록 본체(300)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211a)과, 작동부재(215)가 보호되도록 제1 프레임(211a)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211b)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 프레임(211a)과 제2 프레임(211b)은 볼트, 나사, 리벳, 용접 등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상호 결합된 후 본체(300)에 조립된다.
제1 프레임(211a)은 내부에 작동부재(215)가 위치되고, 이 작동부재(215)가 승강부재(213)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된다. 또한, 제1 프레임(211a)은 그 내부에서 작동되는 작동부재(215)가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작동부재(215)가 접촉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홈부(211c)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부(211c)는 제1 프레임(211a)의 전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프레임(211b)은 승강부재(213)가 그 내부에 위치되어 안정적으로 가이드됨과 동시에 승강부재(213)에 적층된 라면용기(2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양단부가 전방으로 벤딩된다. 즉, 제2 프레임(211b)은 승강부재(213)가 안정되게 가이드되도록 "ㄷ"자 형상을 가지며, 승강부재(213)의 배면이 접촉된 채 가이드된다.
승강부재(213)는 작동부재(215)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고정브래킷(213a)과, 라면용기(20)가 탑재될 수 있도록 고정브래킷(213a)에 고정되는 승강플레이트(213b)를 포함한다. 승강부재(213)의 고정브래킷(213a)은 가이드부재(217)를 통해 제1 프레임(211b)에 지지되어 가이드되고, 승강플레이트(213b)는 라면용기(20)가 2열로 적층된다. 이때, 고정브래킷(213a)에는 가이드부재(217)가 결합되는 설치구멍(213c)이 형성된다.
이때, 라면용기(20)는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적층된다.
승강부재(213)를 이동시키는 작동부재(215)는 제1 프레임(211a)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15a)과, 이 회전축(215a)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송너트(215b)와, 회전축(215a)을 작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215c)를 포함한다.
회전축(215a)은 하단부가 지지블록(215d)을 통해 본체(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감속기(215e)를 통해 제1 프레임(21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감속기(215e)는 제1 프레임(211a)의 상단부에 볼트나 나사와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215a)은 이송너트(215b)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송너트(215b)는 회전축(215a)이 관통되도록 삽입되며, 제1 지지프레임(211a)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때, 이송너트(215b)는 회전축(215a)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1 지지프레임(211a)에서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215f)가 결합된다. 가이드롤러(215f)는 제1 지지프레임(211a)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부(211c)에 삽입된다.
제1 구동모터(215c)는 회전축(215a)과 연결되도록 감속기(215e)에 결합되며, 회전축(215a)을 정역회전시킨다.
한편, 제1 프레임(211a)의 전면에는 작동부재(215)의 회전축(215a)이 커버되도록 보호커버(211d)가 마련된다.
가이드부재(217)는 이송너트(215b)의 승강에 따라 승강플레이트(213b)가 승강될 때 승강플레이트(213b)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브래킷(213a)의 설치구멍(213c)에 결합되며, 제1 프레임(211a)에 접촉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재(217)로는 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승강플레이트(213b)의 승강을 제한하기 위한 제1 감지부재(219)는 제1 감지센서(219a)와 제1 광센서(219b)를 포함하고, 제1 감지센서(219a) 및 제1 광센서(219b)는 배출부 하우징(330) 또는 제1 프레임(211b)에 설치된다.
제1 감지센서(219a)는 승강플레이트(213b)가 접촉됨에 따라 승강플레이트(213b)의 상승 및 하강이 구속될 수 있도록 승강플레이트(213b)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1 감지센서(219a)는 승강플레이트(213b)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배출부 하우징(330)에 고정되며, 제1 프레임(211b)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이러한, 제1 감지센서(219a)는 승강플레이트(213b)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접촉하게 되면 제1 구동모터(215c)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신호를 발생하여, 승강플레이트(213b)가 더 이상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감지센서(219a)로는 리미트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광센서(219b)는 승강플레이트(213b)가 상승하여 라면용기(20)가 감지되면 제1 구동모터(215c)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신호를 발생하여, 승강플레이트(213b)의 상승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1 광센서(219b)는 제1 프레임(211b)의 상측에 위치되어 제1 프레임(211b)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라면용기(20)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배출부 하우징(33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용기 승강부(210)는 승강플레이트(213b)에 적층된 라면용기(20)가 용기 이동부(220)에 의해 배출되어 제1 광센서(219b)에 라면용기(20)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1 구동모터(215c)가 작동되면서 승강플레이트(213b)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승강플레이트(213b)의 상승에 따라 제1 광센서(219b)가 라면용기(20)를 감지하게 되면 제1 구동모터(215c)가 정지된다.
또한, 용기 승강부(210)에서 라면용기(20)가 모두 배출되어 라면용기(20)를 보출할 때에는 승강플레이트(213b)가 하강되도록 제1 구동모터(215c)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승강플레이트(213b)가 하강하면서 제1 감지센서(219a)에 접촉되고, 이로 인하여 제1 구동모터(215c)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플레이트(213b)에 라면용기(20)를 적층하여 보충하게 된다.
용기 승강부(210)에 적층된 라면용기(20)를 배출시키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동부(220)를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동부(220)는 라면용기(20)를 용기 배출부(230)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221)와, 용기 이동부(220)가 라면용기(2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부재(223) 및 용기 이동부(220)에 라면용기(20)를 흡착시키기 위한 용기 흡착부재(225)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 이동부(220)는 좌우이동부재(221) 및 상하이동부재(223)의 움직임을 각각 제한하기 위한 제2 감지부재(227) 및 제3 감지부재(229)를 더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좌우이동부재(221)는 본체(30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이동부재(223)및 용기 흡착부재(225)가 결합되어 함께 이동된다. 이를 위하여, 좌우이동부재(221)는 본체(300)에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221a)과, 이 가이드프레임(22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221b)과, 이 이동프레임(221b)의 이동을 위한 제1 가이드롤러(221c)와, 이동프레임(221b)의 이동을 위한 구동롤러(221d) 및 이 구동롤러(221d)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모터(221e)를 포함한다.
가이드프레임(221a)은 일단부가 본체(300)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용기 배출부(23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본체(300)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221a)은 이동프레임(221b)이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레일부(221a')가 형성되고, 이 레일부(221a')에 제1 가이드롤러(221c) 및 구동롤러(221d)가 삽입되어 가이드된다.
이동프레임(221b)은 내부에 상하이동부재(223)가 설치되도록 제1 프레임(221b')과, 이 제1 프레임(221b')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221b'')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동프레임(221b)의 제1 프레임(221b')에는 제1 가이드롤러(221c)가 결합되고, 제2 프레임(221b'')에는 구동롤러(221d) 및 제2 구동모터(221e)가 결합된다.
구동롤러(221d)는 제2 구동모터(221e)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프레임(221a)에서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외면에 고무링(221d')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동롤러(221d)는 고무링(221d')에 의해 가이드프레임(221a)과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가이드프레임(221a)에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되면서 보다 안정되게 회전된다.
제2 구동모터(221e)는 제2 프레임(221b'')에 결합되는 감속기(221f)에 결합되어 감속기(221f)를 통해 구동롤러(221d)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좌우이동부재(221)는 용기 흡착부재(225)에 라면용기(20)가 부착되면 제2 구동모터(221e)의 구동에 의해 용기 배출부(230)측으로 이동되고, 용기 배출부(230)에서 라면용기(20)가 투하되면 본체(300)의 내부로 다시 이동된다. 이때, 좌우이동부재(221)는 승강플레이트(213b)에 2열로 적층된 라면용기(20)가 한열에 1개씩 교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이동위치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좌우이동부재(221)는 제1열의 라면용기(20)를 이동시킨 후에는 제2열의 라면용기(20)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2열의 라면용기(20) 상측에 위치되도록 이동된다. 즉, 좌우이동부재(221)는 제1열의 라면용기(20)와 제2열의 라면용기(20)의 상측에 번갈아가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좌우이동부재(221)의 좌우움직임은 제2 감지부재(227)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감지부재(227)는 본체(3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프레임(221a)에 결합되는 제1 근접센서(227a) 및 제2 근접센서(227b)와, 용기 배출부(23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프레임(221a)에 결합되는 제3 근접센서(227c)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 감지부재(227)는 제1 근접센서(227a)에 의해서 제1열의 라면용기(20)가 배출될 수 있도록 좌우이동부재(221)가 제1 근접센서(227a)에 감지되면 제1열의 라면용기(20) 상측에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근접센서(227b)에 의해서 제2열의 라면용기(20)가 배출될 수 있도록 좌우이동부재(221)가 제2 근접센서(227b)에 감지되면 제2열의 라면용기(20) 상측에 정지하게 된다. 또한, 제3 근접센서(227c)에 의해서 용기 흡착부재(225)의 라면용기(20)가 투하될 수 있도록 좌우이동부재(221)가 제3 근접센서(227c)에 감지되면 용기 배출부(230)의 내부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제2 감지부재(227)는 좌우이동부재(221)가 제1 근접센서(227a), 제3 근접센서(227c), 제2 근접센서(227b), 제3 근접센서(227c) 순으로 감지되어 동작될 수 있도록 셋팅되며, 이러한 감지순서는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용기 이동부(220)를 라면용기(20)에 접촉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재(223)는 이동프레임(221b)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223a)과, 이 고정브래킷(223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223b)과, 이 랙(223b)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롤러(223c) 및 랙(223b)을 이동시키기 위한 피니언기어(223d)를 포함한다.
고정브래킷(223a)은 양단부가 이동프레임(221b)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랙(223b), 제2 가이드롤러(223c) 및 피니언기어(223d)가 결합된다. 이때, 랙(223b)과 제2 가이드롤러(223c)는 고정브래킷(223a)의 일면에 결합되고, 피니언기어(223d)는 고정브래킷(223a)의 타면에 결합되며, 랙(223b)과 피니언기어(223d)가 치합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223a')이 형성된다.
랙(223b)은 피니언기어(223d)에 의해 고정브래킷(223a)에서 상하로 이동되며, 하단에 용기 흡착부재(225)가 고정된다. 또한, 랙(223b)은 고정브래킷(223a)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롤러(223c)에 의해 고정브래킷(223a)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양단에 결합홈부(223b')가 각각 형성된다.
더하여, 랙(223b)은 제3 감지부재(229)에 의해 상하이동이 구속될 수 있도록 제3 감지부재(229)에 접촉되는 스톱퍼(223b'')가 결합된다.
이러한, 랙(223b)은 제2 가이드롤러(223c)가 결합홈부(223b')에 삽입되도록 고정브래킷(213a)에 결합되며, 피니언기어(223d)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피니언기어(223d)는 고정브래킷(213a)에 고정되는 감속기(223d)에 결합되어 제3 구동모터(223c)에 연결됨과 동시에 고정브래킷(223a)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하이동부재(223)는 랙(223b)의 상하이동이 제3 감지부재(229)에 의해 제한된다. 제3 감지부재(229)는 이동프레임(221b)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1 리미트 센서(229a)와 제2 리미트 센서(229b)로 이루어지며, 랙(223b)의 스톱퍼(223b'')가 제1 리미트 센서(229a)와 제2 리미트 센서(229b)에 접촉된다. 이때, 제1 리미트 센서(229a)는 랙(223b)의 상승을 제한하고, 제2 리미트 센서(229b)는 랙(223b)의 하강을 제한하게 된다.
랙(223b)의 하강에 따라 라면용기(20)에 접촉되어 라면용기(20)를 흡착하는 용기 흡착부재(225)는 랙(223b)의 하단에 결합되는 흡착프레임(225a)과, 이 흡착프레임(225a)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팬(225b)을 포함한다. 또한, 용기 흡착부재(225)는 공기흡입팬(225b)에 의해 라면용기(20)가 흡착프레임(225a)에 부착될 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흡착프레임(225a)의 용기흡착면에 마련되는 완충패드(225c)를 더 포함한다.
흡착프레임(225a)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나 나사와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랙(223b)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25a')과, 라면용기(20)가 부착되도록 고정프레임(225a')에 결합되는 흡착플레이트(225a'')로 구성된다. 흡착플레이트(225a'')에는 공기흡입팬(225b)이 설치되고, 이 공기흡입팬(225b)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통해 라면용기(20)가 부착되도록 공기흡입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된다. 이때, 흡착플레이트(225a'')의 하면에는 완충패드(225c)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용기 이동부(220)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이동부재(221)가 제1열 또는 제2열 라면용기(20)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하이동부재(223)의 완충패드(225c)가 라면용기(20)에 접촉되도록 제3 구동모터(223c)가 구동되면서 랙(223b)이 하측이로 이동된다.
그리고 완충패드(225c)가 라면용기(20)에 접촉되면 공기흡입팬(225b)이 작동되면서 흡착프레임(225a)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라면용기(20)가 완충패드(225c)에 흡착된다.
이후, 상하이동부재(223)의 랙(223b)이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원되면 제2 구동모터(221e)의 작동에 따라 구동롤러(221d)가 회전되면서 좌우이동부재(221)가 용기 배출부(23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좌우이동부재(221)가 용기 배출부(230)의 내부로 이동되면 상하이동부재(223)의 공기흡입팬(225b)이 정지되면서 흡착프레임(225a)에 부착되었던 라면용기(20)가 투하된 후, 제2 구동모터(221e)가 작동되어 좌우이동부재(221)가 본체(300)의 내부로 이동된다.
이러한, 용기 이동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와 같은 구동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면서 승강플레이트(213b)에 적층된 라면용기(20)를 배출하게 된다.
용기 흡착부재(225)에서 투하되는 라면용기(20)가 배출되는 용기 배출부(2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흡착부재(225)에서 거꾸로 투하되는 라면용기(20)가 뒤집혀져 배출된다. 이는 사용자가 라면용기(2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부(230)는 본체(300)에 형성되는 배출구(231)와, 이 배출구(231)의 하부에 마련되는 메인 걸림판(233)과, 배출구(231)와 메인 걸림판(233)을 커버하기 위한 가이드 커버(235)를 구비한다.
배출구(231)는 좌우이동부재(221)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용기 이동부(220)가 인출입된다.
메인 걸림판(233)은 용기 흡착부재(225)에서 투하되는 라면용기(20)의 일측이 접촉되면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가이드 커버(235)는 메인 걸림판(233)에 의해 회동되면서 뒤집혀지는 라면용기(20)가 그 뒤집힌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보조 걸림판(237)이 마련된다. 또한, 가이드 커버(235)는 보조 걸림판(237)에 걸려서 배출된 라면용기(20)를 사용자가 꺼낼 수 있도록 배출구멍이 형성된다.
보조 걸림판(237)은 메인 걸림판(233)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가이드 커버(235)에 결합되며, 메인 걸림판(233)에 의해 뒤집혀진 라면용기(20)의 밑면이 접촉된다. 이러한, 보조 걸림판(237)은 라면용기(20)가 걸리는 것이 방지되면서 원활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본 실시 예에 따른 라면 조리기(10)를 사용하여 라면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용기 배출장치(200)를 작동시켜 라면용기(20)를 배출시킨 후, 이 라면용기(20)를 용기 가열부(100)로 이동시킨다. 이후, 용기 가열부(100)에 코인을 투입하여 용기 가열부(100)를 동작시키면 용기 가열부(100)에서 라면용기(20)로 물이 공급된 후 가열되면서 라면용기(20)에 투입된 라면이 조리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용기 배출장치(200)를 작동하게 되면 상하이동부재(223)의 제3 구동모터(223c)의 정회전에 의해 랙(223b)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흡착프레임(225a)이 승강플레이트(213b)에 적층된 라면용기(20)에 접촉된다. 그리고 공기흡입팬(225b)이 작동되면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라면용기(20)가 흡착프레임(225a)에 부착되면 라면용기(20)가 흡착된 상태에서 제3 구동모터(223c)가 역회전되어 흡착프레임(225a)이 상승한다. 이때, 흡착프레임(225a)의 하면에 완충패드(225c)가 마련되므로, 공기 흡입력에 의해 라면용기(20)가 흡착프레임(225a)에 부착될 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용기 흡착부재(225) 및 상하이동부재(223)에 의해 라면용기(20)가 흡착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면 좌우이동부재(221)의 제2 구동모터(221e)의 정회전을 통해 구동롤러(221d)가 회전되면서 라면용기(20)가 흡착된 용기 이동부(220)가 배출구(231)를 통해 용기 배출구(231)으로 내부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 흡입팬(225b)의 구동이 정지하면 흡착프레임(225a)에 부착되었던 라면용기(20)가 하측으로 투하된다.
이후, 용기 배출부(230)에서 투하된 라면용기(20)는 메인 걸림판(233) 및 보조 걸림판(237)에 부딪히면서 용기 배출부(230)에서 뒤집혀져 배출되고, 상기 배출구멍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꺼내어 진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배출장치(200)는 용기 승강부(210)의 승강플레이트(213b)에 적층된 라면용기(20)가 용기 이동부(220)에 의해 배출됨에 따라 승강플레이트(213b)가 승강되면서 라면용기(20)가 용기 흡착부재(225)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용기 승강부(210)는 용기 이동부(220)에 의해 제1열 및 제2열의 라면용기(20)가 모두 배출되어 제1 광센서(219b)에 감지되지 않으면 제1 구동모터(215c)가 정회전되면서 회전축(215a)을 정회전시켜 이송너트(215b)를 상측으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이송너트(215b)의 상승에 따라 승강플레이트(213b)가 함께 상승하면서 라면용기(20)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라면용기(20)가 상승되면서 제1 광센서(219b)에 감지되면 제1 구동모터(215c)의 구동이 정지되면서 승강플레이트(213b)의 상승이 멈추게 된다.
이러한, 용기 승강부(210)는 라면용기(20)의 배출에 따라 상기와 같은 동작을 라면용기(20)가 모두 배출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승강플레이트(213b)를 점차 상승시킨다.
이후, 용기 승강부(210)의 라면용기(20)가 모두 배출되어 라면용기(20)를 보충하고자 할 때에는 용기 배출장치(200)를 조작한다. 그러면, 제1 구동모터(215c)가 역회전됨에 따라 회전축(215a)이 역회전되면서 승강플레이트(213b)가 제1 감지센서(219a)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하게 되고, 승강플레이트(213b)가 제1 감지센서(219a)에 접촉되면 제1 구동모터(215c)의 구동이 멈추면서 승강플레이트(213b)가 정지하게 된다.
이후, 승강플레이트(213b)에 라면용기(20)를 2열로 적층하여 보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라면 조리기 20 : 라면용기
100 : 용기 가열부 110 : 하우징
120 : 물통 130 : 물공급관
140 : 가열판 150 : 필터부
200 : 용기 배출장치 210 : 용기 승강부
211 : 지지프레임 213 : 승강부재
215 : 작동부재 217 : 가이드부재
219 : 제1 감지부재 220 : 용기 이동부
221 : 좌우이동부재 223 : 상하이동부재
225 : 용기 흡착부재 227 : 제2 감지부재
229 : 제3 감지부재 230 : 용기 배출부

Claims (10)

  1. 본체;
    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의 배출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승강되는 용기 승강부;
    상기 용기 승강부에 적층된 상기 용기가 흡착되며, 흡착된 용기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승강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이동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상기 용기가 뒤집혀져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를 가이드하는 용기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가이드되며, 상기 용기가 탑재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작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배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는 이송너트; 및
    상기 회전축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배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부재;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이동부재; 및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용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결합되며, 접촉된 상기 용기가 흡작되는 용기 흡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배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결합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거치되는 제1 가이드롤러;
    상기 본체에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배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
    상기 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롤러; 및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마련되는 제3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배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흡착부재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결합되는 흡착프레임; 및
    상기 흡착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흡착프레임에 상기 용기가 흡착될 수 있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배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배출부는,
    상기 용기 이동부가 출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용기 이동부에서 투척되는 상기 용기가 접촉되면서 회동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마련되는 메인 걸림판; 및
    상기 메인 걸림판에 접촉되어 회동되는 상기 용기가 안내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배출장치.
  9. 본체;
    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를 흡착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배출장치; 및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물이 상기 용기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개폐밸브가 마련되는 물공급관과, 상기 용기에 물이 수용되면 상기 용기의 무게에 의해 접지스위치가 접지되면서 전류가 인가되어 가열되는 가열판을 가지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용기 가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배출장치는,
    상기 용기가 적층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의 배출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승강되는 용기 승강부;
    상기 용기 승강부에 적층된 상기 용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승강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상기 용기가 뒤집혀져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를 가이드하는 용기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배출장치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
  10. 삭제
KR1020100075575A 2010-08-05 2010-08-05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 KR10110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575A KR101106224B1 (ko) 2010-08-05 2010-08-05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575A KR101106224B1 (ko) 2010-08-05 2010-08-05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224B1 true KR101106224B1 (ko) 2012-01-30

Family

ID=4561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575A KR101106224B1 (ko) 2010-08-05 2010-08-05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22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29B1 (ko) 2013-10-31 2014-03-11 김영범 보관용기 거치대
CN105125051A (zh) * 2015-07-13 2015-12-09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盛汤或流食的设备
CN107393176A (zh) * 2017-07-19 2017-11-24 罗志豪 现制面食自动贩卖机及其工作方法
KR101821263B1 (ko) * 2016-06-15 2018-01-25 (주)코뮤즈 게임 자판기
KR101826717B1 (ko) * 2016-06-15 2018-02-09 (주)코뮤즈 게임 자판기
KR101943093B1 (ko) * 2017-06-16 2019-01-28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KR20190021962A (ko) * 2017-08-24 2019-03-06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KR102164934B1 (ko) 2020-06-29 2020-10-13 최세열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용기 배출장치
KR102335249B1 (ko) * 2021-09-08 2021-12-06 (주)플레토로보틱스 무인 음료 제조시스템의 음료 배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4015A (ja) * 1994-10-24 1996-05-17 Kichinosuke Nagashio 自動販売機
KR20060001868A (ko) * 2005-11-29 2006-01-06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4015A (ja) * 1994-10-24 1996-05-17 Kichinosuke Nagashio 自動販売機
KR20060001868A (ko) * 2005-11-29 2006-01-06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29B1 (ko) 2013-10-31 2014-03-11 김영범 보관용기 거치대
CN105125051A (zh) * 2015-07-13 2015-12-09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盛汤或流食的设备
KR101821263B1 (ko) * 2016-06-15 2018-01-25 (주)코뮤즈 게임 자판기
KR101826717B1 (ko) * 2016-06-15 2018-02-09 (주)코뮤즈 게임 자판기
KR101943093B1 (ko) * 2017-06-16 2019-01-28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CN107393176A (zh) * 2017-07-19 2017-11-24 罗志豪 现制面食自动贩卖机及其工作方法
CN107393176B (zh) * 2017-07-19 2020-02-14 罗志豪 现制面食自动贩卖机及其工作方法
KR20190021962A (ko) * 2017-08-24 2019-03-06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KR101985001B1 (ko) * 2017-08-24 2019-05-31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KR102164934B1 (ko) 2020-06-29 2020-10-13 최세열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용기 배출장치
WO2022004944A1 (ko) * 2020-06-29 2022-01-06 신승훈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용기 배출장치
KR102335249B1 (ko) * 2021-09-08 2021-12-06 (주)플레토로보틱스 무인 음료 제조시스템의 음료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224B1 (ko) 용기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면 조리기
KR100984964B1 (ko) 튀김기
CN105351972B (zh) 一种可升降燃气灶
CN108634566A (zh) 一种智能办公桌
CN106913212A (zh) 一种自动煮茶器
CN109619995A (zh) 辅食锅
CN106308484A (zh) 一种自动捞面煮面装置
CN203234558U (zh) 一种船用可倾式双重压力保护大容量电煮锅
CN109998907A (zh) 一种用于中医理疗的足部药浴机的加热组件
CN109349932A (zh) 快速煮面装置
JP2014217503A (ja) 加熱調理器
CN207412042U (zh) 一种具有自动接水机构的饮水机
CN211299489U (zh) 一种高压锅
KR101272672B1 (ko) 포트 장착형 정수기
CN105249840A (zh) 一种加热汉堡的烤盘组合咖啡壶
CN206358788U (zh) 一种自动食品油炸装置用自动上料机构
CN205410939U (zh) 一种加工汉堡的食物夹子烤盘
CN205215034U (zh) 侧部加热汉堡的食物夹烤盘
CN209074180U (zh) 一种搅拌型煮面一体机
CN103767531B (zh) 可升降蒸涮两用锅
CN205410930U (zh) 汉堡的活动支架烤盘
CN205267901U (zh) 汉堡的食物夹烤盘
KR102206299B1 (ko)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CN210930828U (zh) 降糖电饭煲
CN102697381B (zh) 一种嵌入式蒸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