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47B1 - 중합체 바인더가 없는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합체 바인더가 없는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947B1
KR101982947B1 KR1020177005222A KR20177005222A KR101982947B1 KR 101982947 B1 KR101982947 B1 KR 101982947B1 KR 1020177005222 A KR1020177005222 A KR 1020177005222A KR 20177005222 A KR20177005222 A KR 20177005222A KR 101982947 B1 KR101982947 B1 KR 10198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elete delete
substrate
active material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052A (ko
Inventor
춘-치에 창
춘 유 창
Original Assignee
창 어센딩 엔터프라이즈 컴패니 리미티드
춘-치에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 어센딩 엔터프라이즈 컴패니 리미티드, 춘-치에 창 filed Critical 창 어센딩 엔터프라이즈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3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163Phosphorous acid;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26Phosphates
    • C01B25/45Phosphates containing plural metal, or metal and ammo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에는 코팅된 물질과 알루미늄(Al) 기재를 결합시키는 알루미늄(Al) 기재 상에 형성된 결합 층이 기술되어 있다. 추가로, 결합 층의 확장된 형태가 기술되어 있다. Al-전이 금속 원소-P-O를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함으로써, 그 용액은 슬러리(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슬러리)의 제조 시에 사용될 수 있다. 그 슬러리는 Al 기재 상에 코팅될 수 있고, 이어서 열 처리 수행될 수 있어 새로운 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대안으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Al-전이 금속 원소-P-O를 함유하는 용액은, 열 처리 후, 활성 물질 분말과 혼합될 수 있어 바인더에 의해 결합된 분말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Description

중합체 바인더가 없는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AN ELECTRODE FREE FROM A POLYMER BINDER}
관련 출원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4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865,962호의 우선권 주장의 이익을 특허청구한 것이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를 위한 재료 합성을 위한 가공 기법에 관한 것이다.
2차 배터리의 필수 부품인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공정은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전극 층과 기재 사이의 접착성을 증가시키도록 중합체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중합체 바인더는 기재를 활성 물질과 결합시키는 것인 단계를 수반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수 양태는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도면에서 성분들은 반드시 실제 크기로 도시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에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양태의 원리를 명백하게 예시할 때에 강조된다. 게다가, 도면에서, 유사 참조 번호들은 여러 도면 전반에 걸쳐 상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라 바인더 물질을 비롯한 전극 재료의 합성을 위한 퍼니스 및 열 처리 환경의 예시적 실시양태의 디아그램이다.
도 2(a) 내지 2(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양태에 따라 합성된 전극 재료의 충전 커패시티에 대한 검사 결과를 예시하는 디아그램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양태에 따라 합성된 전극 재료의 시험으로부터 결과로 얻어지는 전기화학 데이터를 예시하는 디아그램이다.
본원에는, 예컨대 리튬 이온 배터리 응용분야에 있어서, 중합체 바인더가 없는 전극을 제조할 때의 기법의 특정 실시양태가 개시되어 있다. 한 실시양태에 따라, 우수한 물질/기재 계면 및 물질의 입자간 계면은 Al, 전이 금속 원소 중 하나의 원소, 및 포스페이트 이온을 함유하는 무기 바인더의 이용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결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전이 금속 원소는 전기 금속 원소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시적 무기 바인더가 결합 및 전자 전도성 이중 특징을 둘 다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고 전압에서 분해될 수 있거나, 전극의 불필요한 다공성(또는 접촉 손실에서의 변화)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 바인더 및 카본 블랙 둘 다를 사용하는 일 없이 Li-이온 배터리용 전극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개시된 재료의 합성을 위한 퍼니스 및 열 처리 환경의 디자인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퍼니스(2)에서 공기에 개방되어 있는 반응 용기(1)를 도시한 것이다. 퍼니스는 퍼니스에서 실질적으로 대기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3a 및 3b에서 대기에 개방되어 있다. 퍼니스 내로의 기체 유동 또는 퍼니스 외로의 기체 유동은 퍼니스의 가열 및 순환 주기, 및 퍼니스에서 물질에 의해 일어나는 화학 반응에 따라 좌우된다. 공기는 자유롭게 퍼니스로 진입되고, 반응 용기(1)에서 공기 및/또는 물질(4)의 화학 반응의 생성물은 자유롭게 퍼니스로부터 배출된다. 용기(1)에서 물질(4)은 가열 단계 동안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본 개시내용에 따라 캐소드 재료를 형성한다. 퍼니스에서 발견된 공기를 접하는 용기(1)에서의 물질들(4)은 고온 불활성 블랭킷(5)의 층에 의해 덮여 있고, 이 층은 공기에 대하여 다공성이며 가열 단계에 의해 야기된 기체를 방출한다. 퍼니스의 가열 코일은 참조 번호(6)으로 나타낸다.
다음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양태에 따라 예시적인 기법의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 1
종래의 중합체 바인더에 의해 제조된 전극 및 Al-Mn-PO4 무기 바인더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의 비교 연구
본 실시예는 중합체 바인더를 사용하고 종래의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과 하기 부분 I 및 부분 II를 수행하여 제조된 전극 간의 비교를 제시한다.
부분 I. 종래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LiMnPO4-LiMn2O4(몰비 1.8:0.1) 복합 재료 전극:
전극 제조를 위해서, 슬러리 제조에서 활성 물질(예를 들면, 5 g), 수퍼 P(예를 들면, 1 g) 및 SBR(예를 들면, 0.3 g)을 사용하였다.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코팅한 후, 그 코팅된 전극을 3 h 동안 110℃에서 건조시키고, 이어서 전극을 펀칭하였다. 110℃에서 밤새 동안 다시 진공 건조시킨 후, 전극을 시험 전지 어셈블리를 위해 글러브 박스로 옮겨고, 여기서 시험 전지는 기준 전극으로서 Li를 지닌 3 전극 디자인이다. 전극 로딩(loading)은 6 mg인 것으로 측정되었고, 활성 물질 함량은 81.3%이었다. 사용된 C-레이트(C-rate)는 대략 C/10(50 μA)이고, 실온은 대략 23℃이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조된 전극에 대해서는, 분석후, 충전 커패시티 160.5 mAh/g 및 방전 커패시티 51 mAh/g을 얻었다. 결과는 또한 상응하는 쿨롱 효율이 31.7%이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시험 전지가 4.9V로 충전되었기 때문에, 충전 동안 전해질의 다소간 분해는 결과적으로 낮은 쿨롱 효율을 유발하였다.
부분 II. 무기 바인더를 사용하여 제조된 LiMnPO4-LiMn2O4(몰비 1.8:0.1) 복합 재료 전극:
기재 제조를 위해서, 다음의 단계들을 수행하였다.
1. Al 판(2.67 cm × 2.67 cm, 한 면이 중합체 막에 의해 피복된 것)을 초기 기재로서 사용한다.
2. 5M 아인산/n-부탄올 용액(n-부탄올에 의해 부피상 40 ml로 희석된 23g 아인산)을 에칭 용액으로서 제조한다. 그 용액을 후기 사용을 위해 50℃로 가온한다.
3. 5M 아인산/n-부탄올 용액 중에 Al 판을 2분 동안 침지한다. 이어서, 100 ml n-부탄올 중에서 Al 판을 대략 20초 동안 세정한다.
4. 건조 오븐에서 60℃에서 (대략 30 분) Al 판을 건조시킨다.
주의: 이 순간에서는 Al-PO4 박막이 백색 색상의 막으로서 형성된다.
5. Al 판의 상부 상에 250 메쉬를 통해 MnO2 분말을 확산시킨다. 이어서, 제조된 그대로의(as-made) (MnO2 코팅된) 기재를 캘린더링 기기를 통해 통과시킨다.
6. 박스 퍼니스에서 2 시간 동안 330℃에서 그 제조된 그대로의 기재를 열 처리한다. 냉각 후, 제조된 그대로의 기재를 배터리 활성 물질 로딩을 위해 준비한다.
주의: 이 순간에는 Al-Mn-PO4 박막이 갈색 색상의 막으로서 형성된다. 그 막은 전기 전도성이고, 볼트 측정기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검사될 수 있다.
이어서, 전극 제조를 위해서, 다음의 단계들을 수행하였다.
1. 상기 언급된 배터리 활성 물질을, 250 메쉬 시브를 통해 활성 물질 분말을 전연시킴으로써 그 제조된 그대로의 기재의 상부 상에 로딩한다.
2. 전극을 치밀화하기 위해서 제조된 그대로의 (활성 물질 로딩된) 전극을 캘린더링 기기를 통해 다시 통과시킨다.
3. 그 제조된 그대로의 전극을 박스 퍼니스로 이송하고, 정상 공기 분위기 하에 4 시간 동안 330℃에서 열 처리한다.
4. 열 처리된 전극을 펀칭하고, 그 샘플을 밤새 동안 110℃에서 진공 건조시킨다. 이어서, 그 건조된 전극은 시험 전지 어셈블리를 위해 글로브 박스로 옮긴다.
시험 전지의 경우, 기준 전극으로서 Li를 지닌 3 전극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전극 로딩(14.6 mg)은 활성 물질 로딩 단계와 열 처리 단계 후 사이의 중량차를 취함으로써 계산하고, 이어서 코팅이 평평하다는 것을 가정 하에 기재의 면적으로 나누었다. 전기화학 시험 결과는 도 2(b)에 도시하였다. 따라서, 사용된 C-레이트(220 μA)는 약 C/10이고, 실온은 약 23℃이었다.
추가로, 도 2(b)로부터, 충전 커패시티 131 mAh/g 및 방전 커패시티 105 mAh/g을 얻었다. 상응하는 쿨롱 효율은 80%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전지가 4.5V로만 충전되었기 때문에, 충전 커패시티는 정상 코팅 방법을 사용하는 데이터보다 더 적었다. 그러나, 쿨롱 효율의 증가는 전해질의 가능한 분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중합체 바인더는 최소화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물질 계면은 Al-Mn-PO4 막을 사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이 분명하게 이해된다. Al-Mn-PO4 막이 전기 전도성이 아닌 경우, 전기화학적 거동은 악화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합체 바인더 및 카본 블랙이 전극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 전압에서 분해 반응은 최소화되었다.
실시예 2
LFPO에 의해 로딩된 동일한 제조된 그대로의 기재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제조된 그대로의 기재(Al-Mn-PO4 박막 코팅된 것)을 사용하였다. 활성 물질로서는 LFPO(Lithium Iron Phosphorous Oxide, 미국 특허 US 7494744, US 7585593, US 7629084, US 7718320) 물질(Changs Ascending Co. Ltd.에 의해 제조됨)을 사용하였다. 다시, 그 물질을 250 메쉬 시브를 통해 체질함으로써 그 물질을 기재 상에 확산시켰다. 이어서, 캘린더링은 제조된 그대로의 (활성 물질 로딩된 것) 전극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캘린더링 후, 제조된 그대로의 전극은 공기 중에서 4 시간 동안 330℃에서 열 처리를 수행하였다.
전기화학 데이터는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으로부터, 초기 전지 전압이 제1 충전 동안 정상보다 더 높았다고 할지라도 시험 전지는 매우 잘 순환되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실험에서 중합체 바인더 및 카본 블랙은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한다. 이 실험은 다시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지니면서 재료와 기재 간의 직접 결합을 허용하는 Al-Mn-PO4 막의 사용을 입증한 것이다.
기재의 상부 상에 활성 물질이 확산되면서, 기재는 캘린더링 전에 분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순수 물(또는 다른 용매) 또는 매우 희석된 중합체 용액을 사용하여 습윤화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중합체 용액은, 예를 들면 CMC 용액(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0.01 중량%) 또는 SBR 용액(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용액, 0.005 중량%)일 수 있지만, 이들 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임의의 경우, 용매 또는 유기 분자를 함유하는 용액은 후속 열 처리 동안 기화 또는 분해될 것이다. 게다가, 캘린더링은 다시 열처리 후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물질에 대한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실시예 3
Al-Mn-P-O를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는 입자간 결합
이전 실시예로부터, 알루미늄 기재의 공급원은 단지 Al의 공급원일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더구나, 물질과 기재 간의 결합은 활성 물질의 입자간 결합과 같은 경우로 확장될 수 있다. 활성 물질 입자 간의 결합은 다음의 이익들을 결과로 얻었다: i). 보다 두꺼운 활성 물질 막은 최종 배터리의 보다 높은 부피 에너지를 결과로 생성할 수 있었다. ii) 입자간 보다 신뢰성 있는 전기 접촉은 보다 일정한 배터리 성능을 유도하고, 이로써 보다 우수한 사이클 수명을 유도하였다. 이어서, 알루미늄에 대한 다양한 상이 공급원은 하기 논의된 바와 같은 잠재적 용액으로서 이용하였다.
용액 1: 순수 Al 호일로부터의 Al 공급원. 본 실시예에서, Al의 공급원은 Al를 인산 중에 직접 용해시킴으로써 얻었다. 하나의 예에서, 230 g 인산(2 몰) 중에 22.5 g(0.83 몰) Al 호일을 용해시키는 것은 결과적으로 Al:P = 5:12의 비율을 유도하였다. 이어서, Al-P-O 용액의 분획은 포름산망간을 용해시킬 때에 사용하였다. 따라서, Al:Mn:P = 5:7:12를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은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제조할 때에 이용하였다. 그 슬러리를 Al 기재 상에 코팅한 후, 산소 또는 공기 중에서 2 시간 동안 330℃에서 행한 후속 열 처리는 결과적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 어셈블리에 용이한 우수하고 단단한 코팅된 막을 유도할 수 있었다.
용액 2: Al2(SO4)3으로부터의 Al 공급원. 본 실시예에서는, Al2(SO4)3 (예를 들면, 2.14g)(0.00625 몰)을 15 g의 물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그 용액에 H3PO4, 1.44g(0.0125 몰)을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그 용액 중에 포름산망간 Mn(HCOO)2 (예를 들면, 0.91g)(0.00625 몰)을 용해시켰는데, 이것은 결과적으로 Al:Mn:P = 1:1:2의 비율을 유도하였다. 일반적으로, 50 g의 활성 물질(LiMn2O4, Li1/3Ni1/3Co1/3MnO2, LFP 또는 LFPO일 수 있음)을 제조된 그대로의 용액과 혼합하여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습윤 분말을 형성하였다. 슬러리를 제조하는 용이한 방식은 Al 기재 상에 코팅될 수 있는 적당한 양의 물을 첨가하고, 이어서 산소 또는 공기 중에서 2 시간 동안 330℃에서 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전극 로딩은 임의의 박리 문제를 나타내는 일 없이 200 ㎛ 초과의 두께를 지니면서 50 mg/cm2만큼 높을 수 있다.
용액 3: AlPO4로부터의 형성. 본 실시예에서는 AlPO4 화합물을 먼저 합성하였다. 물과 같은 용매 중에 AlPO4를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활성 물질과 혼합하였다. 그러한 경우, 전이 금속 공급원은 활성 물질 중에 미량의 원소의 것일 수 있다. 열 처리 후, 여전히 Al-전이 금속 원소-P-O는 활성 물질 중에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활성 물질/기재 계면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AlPO4에 대한 예시적인 합성 경로는 하기 기술하였다:
1. 인산 중에 포름산알루미늄을 용해시킨다(1:1 몰비). 이 용액을 스테인레스강 도가니 중에 배치한다. 이 샘플을 1 시간 동안 475℃로 유도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상 순수 AlPO4를 산출할 수 있다.
2. 질산알루미늄을 인산 중에 용해시킨다(1:1 몰비). 이 용액을 스테인레스강 도가니에 배치한다. 샘플을 15분 동안 500℃로 유도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상 순수 AlPO4를 산출할 수 있다.
3. 아세트산알루미늄을 인산 중에 용해시킨다(1:1 몰비). 이 경우, 아세트산알루미늄은 1:1 몰비로 인산 중에 완전 용해될 수 없다. 이 용액을 스테인레스강 도가니에 배치한다. 샘플을 20 분 동안 500℃로 유도한 것은 결과적으로 알루미나와 AlPO4의 혼합물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 3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낼 수 있었다:
1. Al-Mn-P-O 용액을 임의의 비율로 형성할 수 있다.
2. Al-Mn-P-O 용액을 슬러리 제조 단계에서 혼합할 수 있고, 코팅을 위해 준비한다. 후속 열 처리는 결과적으로 우수하고 단단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3. Al-Mn-P-O 용액을 물질 중에 혼입할 수 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습윤 분말 형태를 형성한다. 후속 열 처리는 그 물질을 다시 분말 형태로 유도할 수 있다. 분말은 중합체 바인더 및 카본 블록을 사용하는 종래의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4. 실시예 3에서 예시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Al-전이 금속-P-O으로 이루어진 무기 바인더는 결과적으로 생성된 전극 또는 재료를 형성하였다.
예시적인 실시양태들은 코팅된 물질과 기재를 결합시키는 Al 기재 상에 형성된 결합 층을 유리하게 특색으로 한다(예를 들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참조). 또한, 예시적인 실시양태들은 결합 층의 확장된 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Al-전이 금속 원소-P-O를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함으로써, 그 용액은 슬러리(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제조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슬러리는 Al 기재 상에 코팅될 수 있고, 이어서 열 처리를 수행될 수 있어 우수하고 단단한 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대안으로, Al-전이 금속 원소-P-O를 함유하는 용액은,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열 처리 후에 활성 물질 분말과 혼합될 수 있어 바인더에 의해 결합된 새로운 분말 입자(예를 들면, 실시예 3 참조)를 형성하게 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예시적인 전극 어셈블리는 Al 기재, 및 Al 기재 상에 형성된 슬러리 물질 코팅 층을 함유하고, 여기서 슬러리 물질은 활성 물질 및 Al-전이 금속 원소-P-O 바인더 물질을 함유한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분야에서의 합리적인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공정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 공정에서의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대안적 실시는 개시내용의 영역 내에 포함되며, 여기서 단계는 관련된 기능성에 따라, 실질적인 동시적 순서 또는 역 순서를 비롯한, 도시되어 있거나 논의되어 있는 순서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실시양태들은 오로지 개시내용의 원리를 명백히 이해하기 위해서 설정된, 단순히 가능한 실시들의 예인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다수의 변형예 및 변경예는 개시내용의 기술사상 및 원리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는 일 없이 상기 기술된 실시양태(들)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변경예 및 변형예는 본원에서 본 개시내용의 영역 내에 포함되고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전극 어셈블리로서,
    Al 기재,
    P-O 원소의 공급원, 및
    망간 원소
    를 포함하고, 여기서
    Al 기재, P-O 원소의 공급원, 및 망간 원소는 Al-Mn-PO4를 함유하는 박막의 층을 형성하고,
    박막은 로딩된(loaded) 리튬 이온 배터리 활성 물질과 Al 기재를 결합시키고,
    중합체 바인더 및 카본 블랙이 전극 어셈블리에 사용되지 않는 것인 전극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박막과 활성 물질 간의 결합이 활성 물질의 입자간 결합을 포함하는 것인 전극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박막 재료가 Al 기재에 직접 결합되는 것인 전극 어셈블리.
  4. 바인더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알루미늄 공급원 물질을 초기 기재로서 제공하는 단계;
    알루미늄 공급원 물질을 아인산/n-부탄올 용액 중에 침지하여 생성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침지 후, 알루미늄 공급원 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로서, Al-P-O를 함유하는 박막이 알루미늄 공급원 물질 상에 형성되는 것인 단계;
    박막 피복된 알루미늄 공급원 물질을 MnO2로 코팅하는 단계;
    MnO2 코팅된 알루미늄 공급원 물질을 가열하여 배터리 활성 물질 로딩을 위한 Al-Mn-PO4를 함유하는 박막으로 코팅된 제조된 그대로의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
    그 제조된 그대로의 기재의 상부 상에 활성 물질을 로딩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전극을 치밀화하는 단계;
    치밀화된 전극에 대한 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가열된 전극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중합체 바인더 및 카본 블랙이 전극의 형성에 사용되지 않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치밀화된 전극은 공기 중에서 4 시간 이상 동안 330℃에서 가열되는 것인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가열된 전극은 110℃에서 건조되는 것인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활성 물질의 로딩 동안, 제조된 그대로의 기재는 활성 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습윤화되는 것인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7005222A 2014-07-24 2014-07-24 중합체 바인더가 없는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82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4/001065 WO2016012821A1 (en) 2014-07-24 2014-07-24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an electrode free from a polymer 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052A KR20170036052A (ko) 2017-03-31
KR101982947B1 true KR101982947B1 (ko) 2019-05-27

Family

ID=5157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222A KR101982947B1 (ko) 2014-07-24 2014-07-24 중합체 바인더가 없는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186844B1 (ko)
JP (1) JP6556234B2 (ko)
KR (1) KR101982947B1 (ko)
CN (1) CN106575742B (ko)
WO (1) WO201601282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610A (ja) * 2002-03-18 2003-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二次電池用電極板
JP2012049109A (ja) * 2010-08-27 2012-03-08 Qinghua Univ リチウムイオン電池電極用集電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5805A (ja) * 1987-04-21 1988-11-02 Nippon Mining Co Ltd リン酸アルミニウムの製造方法
JP2002301422A (ja) * 2001-01-30 2002-10-15 Kowa Industry Co Ltd 粉体塗装方法
JP4502664B2 (ja) * 2004-02-24 2010-07-1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5086085B2 (ja) * 2004-10-21 2012-11-28 エボニック デグサ ゲーエムベーハー 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ー用の無機セパレータ電極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バッテリーにおけるその使用
JP4978194B2 (ja) * 2005-01-06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と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7494744B2 (en) 2006-03-08 2009-02-24 Changs-Ascending Enterprise Co. Cathode material for Li-ion battery applications
KR101342509B1 (ko) * 2007-02-26 2013-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20110117432A1 (en) * 2008-07-15 2011-05-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Inorganic binders for battery electrodes and aqueous processing thereof
JP5293020B2 (ja) * 2008-09-10 2013-09-18 住友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合剤、電極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2479952B (zh) * 2010-11-23 2014-10-08 清华大学 锂离子电池电极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电池
SI23488A (sl) * 2010-09-22 2012-03-30 Kemijski inštitut Dvostopenjska sintezna metoda za pripravo kompozitov insercijskih aktivnih spojin za litijeva ionske akumulatorje
CN102569789B (zh) * 2010-12-29 2014-10-08 清华大学 正极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锂离子电池
WO2012160763A1 (ja) * 2011-05-23 2012-11-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電極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FR2980042B1 (fr) * 2011-09-09 2014-10-2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electrode et encre pour electrode
KR20130086805A (ko) * 2012-01-26 2013-08-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610A (ja) * 2002-03-18 2003-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二次電池用電極板
JP2012049109A (ja) * 2010-08-27 2012-03-08 Qinghua Univ リチウムイオン電池電極用集電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2821A1 (en) 2016-01-28
EP3186844B1 (en) 2021-11-10
CN106575742A (zh) 2017-04-19
CN106575742B (zh) 2020-08-18
EP3186844A1 (en) 2017-07-05
JP2017522707A (ja) 2017-08-10
JP6556234B2 (ja) 2019-08-07
KR20170036052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ppapillai et al. Microstructure of LiCoO2 with and without “AlPO4” nanoparticle coating: combined STEM and XPS studies
US20130260258A1 (en) Electrode body and all solid state battery
JP7269571B2 (ja)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JP2012074240A (ja) リチウム−遷移金属酸化物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活物質、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3576190B1 (en) Cathode, all-solid-state battery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m
KR20170071408A (ko) 전고체 전지 및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JP2010073539A (ja) 電極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20093756A (ko) 비수 전해질 2 차 전지 전극용 활물질 및 비수 전해질 2 차 전지
JP2018531497A (ja) ナトリ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JP2018531497A6 (ja) ナトリ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JP5796798B2 (ja) 正極材料、全固体電池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4170656A (ja)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EP3576209B1 (en) Cathode, all-solid-state battery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m
Kim et al. Lithium-ion intercalation into graphite in SO2-based inorganic electrolyte toward high-rate-capable and safe lithium-ion batteries
Stüble et al. Cycling stability of lithium‐ion batteries based on Fe–Ti‐doped LiNi0. 5Mn1. 5O4 cathodes, graphite anodes, and the cathode‐additive Li3PO4
Kim et al. Facile dual-protection layer and advanced electrolyte enhancing performances of cobalt-free/nickel-rich cathodes in lithium-ion batteries
JP6766739B2 (ja) 全固体電池
JP5930063B2 (ja) 正極材料、全固体電池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TWI565125B (zh) 鋰離子電池電極複合材料及其製備方法以及電池
KR101982947B1 (ko) 중합체 바인더가 없는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9309228B (zh) 正极活性材料、制备方法、正极和高比能量动力电池
KR20180046972A (ko) 고상 반응을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재의 제조방법,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재, 및 리튬 이차전지
US109237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an electrode free from a polymer binder
CN109962232B (zh) 正极活性材料、制备方法、正极和电池
JP2022037613A (ja)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