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540B1 -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540B1
KR101982540B1 KR1020180173230A KR20180173230A KR101982540B1 KR 101982540 B1 KR101982540 B1 KR 101982540B1 KR 1020180173230 A KR1020180173230 A KR 1020180173230A KR 20180173230 A KR20180173230 A KR 20180173230A KR 101982540 B1 KR101982540 B1 KR 101982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ackup file
information
touch
ope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노
Original Assignee
이상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노 filed Critical 이상노
Priority to KR102018017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가 개시된다.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3D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3D 영상 상에서 행해지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을 수용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조작부 및 상기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3D 영상을 변환하여 상기 장치 조작부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 구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3D simulation device}
본 발명은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을 반영한 3D 영상을 제공하는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를 통해서 3D 영상을 재생하는 기술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런 기술들은 특별히 3D 영상으로 재생되기 위해서 특별한 제작된 3D 영상 파일이 존재하거나 3D 영상을 재생하는 수단이 전자기기에 존재해야 한다. TV 방송 수신기에서 3D 영상을 재생하는 기술이 상용화되어 있으며, 모바일 게임에서도 3D 영상을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돼 왔다.
그러나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영상의 대부분은 여전히 2D 영상이다. 모바일 기기에서 스트리밍되거나 다운로드 되는 영상 파일들은 코덱을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었다. 많은 개발자들은 2D 영상에 깊이를 부여하여 3D 영상으로 변환하는 컨버터기술을 개발하여 이를 상용화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소요되고 있으며, 프로세서에 부하를 주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는 등 여전히 기술적 난관이 있다. 더욱이 3차원 영상 파일이 있어야 할뿐더러, 3D 파일을 지원하는 미디어 플레이어가 디바이스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이제까지의 접근 방법은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3차원으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기술적인 난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미디어 플레이어가 3D 영상을 재생할 때 전자기기에서 다른 콘텐츠의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디어 플레이어의 한계상 영상의 재생 중에는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반응에 인터렉티브하지 않게 되었다.
미디어 플레이어는 사용자의 반응을 동영상의 재생과 중단으로 해석한다. 동영상을 입체적으로 재생하겠다는 목적으로 말미암아 인터랙티브하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시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장점이 후퇴하고 만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에 포함되는 3차원 객체를 역동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3D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3D 영상 상에서 행해지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을 수용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조작부 및 상기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3D 영상을 변환하여 상기 장치 조작부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 구현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장치 조작부는,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의 특정 영역 상의 터치(tap),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회전 슬라이드 이동 및 두 지점에 대한 터치 이후 간격 조정(확대 또는 축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고, 상기 장치 조작부의 기울임에 해당하는 회전 조작을 감지하며, 상기 3D 영상에서 상기 터치 조작이 발생한 영역, 상기 터치 조작이 발생한 시간, 상기 터치 조작의 종류 및 상기 터치 조작 속도를 식별하여 상기 조작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회전 조작이 발생한 시간,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식별하여 상기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구현부는, 상기 3D 영상의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3D 영상의 총 재생 시간에 따른 총 조작 정보의 개수 또는 가장 최근에 학습된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과 상기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에 따른 조작 패턴의 일치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가 유의미한 조작 패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가 유의미한 조작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하는 조작 정보를 순서대로 나열하여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으로 학습하며, 상기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3D 영상을 변환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에 따라 상기 3D 영상을 변환하여 상기 장치 조작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장치 조작부는 터치에 따른 세기에 기초하여 상이한 조작 정보를 생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객체를 포함하는 3D 영상을 제공하되, 사용자의 터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따른 3차원 객체의 이동, 회전, 크기 조절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3차원 객체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주도적으로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조작정보에 따라 구현하는 3D 영상의 일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장치 조작부(200) 및 영상 구현부(10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조작 정보에 따른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 조작부(200) 및 영상 구현부(10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로, 예를 들면, PC, 스마트폰, 테블릿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3D 영상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장치 조작부(200) 및 영상 구현부(100)의 구성은 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3차원 가상객체를 포함하는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3차원 가상객체의 이동, 회전 또는 크기 조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D 영상 제공장치는 카메라를 제공하여 현실 객체의 영상을 입력 받고, 현실 객체의 영상과, 현실 객체의 영상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증강현실 영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현실 객체 영상과 동기화되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다.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카메라의 자세가 변하거나,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그에 따라 증강현실 영상 또한 역동적으로 변화시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카메라를 제공하여 현실 객체의 영상을 입력 받고, 현실 객체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가상현실 영상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카메라의 자세가 특정 자세로 변하거나, 특정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그에 따른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3D 영상 제공장치는 증강현실 영상의 특정 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거나, 음악 정보에 따른 음악의 비트와 일치하는 타이밍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상에서 가치 있는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의 각 구성에서의 3D 영상 제공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장치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을 수용하고, 그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구현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장치 조작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3D 영상을 출력하거나 촬영된 영상 등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장치 조작부(200)는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조작부(2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3D 영상은 물론 사용자의 식별 정보 등을 입력 받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출력할 수도 있다.
장치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수용하여 물리적인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터치 패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장치 조작부(20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조작은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의 특정 영역 상의 터치(tap),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회전 슬라이드 이동 및 두 지점에 대한 터치 이후 간격 조정(확대 또는 축소)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장치 조작부(200)는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에서 터치 조작이 발생한 영역, 터치 조작이 발생한 시간, 터치 조작의 종류 및 터치 조작 속도 등을 식별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장치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용하여 장치 조작부(200) 자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장치 조작부(200)는 자이로스코프 등과 같은 기울기 센서, 방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조작은 3축을 기준으로 하여 3D 영상을 출력중인 장치 조작부(200)의 기울임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장치 조작부(200)는 회전 조작이 발생한 경우, 회전 조작이 발생한 시간,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 등을 식별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장치 조작부(200)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위한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장치 조작부(200)는 스피커, 비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조작부(200)는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을 통해 장치 조작부(2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치 조작부(200)는 3D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3D 영상 상에서 행해지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을 수용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후술하는 영상 구현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조작 정보에 따라 변하는 3D 영상을 구현하여 장치 조작부(2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 조작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3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조작부(200)는 3D 영상 출력 중에 발생하는 터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을 감지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조작 정보는 "05:00-회전 슬라이드 이동-슬라이딩 이동 속도"와 같은 터치 조작과 관련된 정보이거나, "07:00-롤링(rolling) 정방향-30'"와 같은 회전 조작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3D 영상을 구현하여 장치 조작부(2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조작 정보 별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구현부(100)는 "두 지점에 대한 터치 이후 간격 조정-해당 영역의 확대 제어", "더블탭-영상 속도 빠르게 제어", "롤링 정방향 회전-해당 영역의 분해 사시도 제공"등의 조작 정보 별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장치 조작부(200)로부터 조작 정보를 전달 받는 경우, 조작 정보 별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참조하여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3D 영상 변형 데이터에 따라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조작 정보에 따라 구현하는 3D 영상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 조작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을 감지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장치 조작부(200)는 "05:00-시계방향 회전 슬라이드 이동-이동속도 보통"과 같은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영상 구현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시계방향 회전 슬라이드 이동-해당 영역에 출력되는 객체 시계방향 회전"의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을 획득한 3D 영상 변형 데이터에 따라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현재 출력중인 영상에 포함되는 삼차원 객체인 자동차의 다른 면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화면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자동차 다른 면의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영상 구현부(100)는 장치 조작부(200)로부터 터치 조작 및 회전 조작에 대한 조작 정보를 동시에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이내로 전달 받는 경우, 미리 설정된 조작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조작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구현부(100)는 장치 조작부(200)로부터 3초 내외로 터치 조작 및 회전 조작에 해당하는 조작 정보를 전달 받는 경우, 터치 조작에 해당하는 조작 정보를 우선순위로 하여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회전 조작의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영상 구현부(100)는 터치 조작 및 회전 조작 중 우선순위를 두어 그에 대응하는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 의도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여 3D 영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 구현부(100)는 사용자 별 3D 영상 조작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사용자 별 3D 영상 조작 패턴을 학습하고, 추후 해당 사용자가 3D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별도의 조작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미리 학습된 3D 영상 조작 패턴에 따라 3D 영상을 변형시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구현부(100)는 장치 조작부(200)를 통해 3D 영상의 재생 전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3D 영상의 재생이 종료되면, 3D 영상의 재생 중에 장치 조작부(200)로부터 수신된 조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구현부(100)는 3D 영상의 재생 중에 조작 정보의 순서대로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으로 학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은 "시계방향 회전→확대→반시계 방향 회전→속도 빠르게 제어→…"와 같이 조작 정보의 발생 순서대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 구현부(100)는 3D 영상의 재생이 종료되면, 3D 영상의 재생 중에 장치 조작부(200)로부터 수신된 조작 정보가 유의미한 조작 패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의미한 조작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조작 패턴을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으로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구현부(100)는 3D 영상의 총 재생 시간에 따른 총 조작 정보의 개수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가 유의미한 조작 패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3D 영상의 총 재생 시간에 비례하여 유의미한 조작 패턴 판단의 기준이 되는 총 조작 정보의 최소 개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3D 영상의 총 재생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조작 정보를 획득한 경우, 해당 조작 정보를 유의미한 조작 패턴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으로 학습할 수 있다.
또는, 영상 구현부(100)는 가장 최근에 학습된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과 현재 종료된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에 따른 조작 패턴의 일치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일치도가 미리 설정된 유의미한 조작 패턴 판단의 기준이 되는 값 이상인 경우, 현재 종료된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를 유의미한 조작 패턴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으로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조작 패턴을 구성하는 조작 정보의 개수 별로 유의미한 조작 패턴 판단의 기준이 되는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 구현부(100)는 조작 정보 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근 조작 패턴과의 일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예로, 영상 구현부(100)는 영상회전, 영상확대, 속도제어 순으로 가중치를 둘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조작 패턴에서 영상회전에 해당하는 조작 정보가 일치하면 최대점인 10점을 부여하고, 영상확대에 해당하는 조작 정보가 일치하면 그 다음 점수인 8점을 부여하고, 속도제어에 해당하는 조작 정보가 일치하면 그 다음 점수인 6점을 부여할 수 있다. 즉, 가장 최근에 학습된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이 "시계방향 회전→확대→반시계 방향 회전→속도 빠르게 제어"이고, 현재 종료된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가 "시계방향 회전→확대→축소→속도 빠르게 제어"인 경우, 영상 구현부(100)는 일치도를 10+8+6=24 점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조작 패턴을 구성하는 조작 정보의 개수가 3인 경우, 유의미한 조작 패턴 판단의 기준이 되는 값이 20으로 간주하면, 영상 구현부(100)는 현재 종료된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에 따른 조작 패턴인 "시계방향 회전→확대→축소→속도 빠르게 제어"를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으로 학습할 수 있다.
반면, 가장 최근에 학습된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이 "시계방향 회전→확대→반시계 방향 회전→속도 빠르게 제어"이고, 현재 종료된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가 "확대→축소→확대→시계방향 회전"인 경우, 영상 구현부(100)는 일치도를 0+8+0+0=8 점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영상 구현부(100)는 현재 종료된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에 따른 조작 패턴인 "확대→축소→확대→시계방향 회전"을 사용자의 식별 정보로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 패턴으로 간주하여, 해당 조작 패턴을 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3차원 객체를 포함하는 3D 영상을 제공하되, 사용자의 터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따른 3차원 객체의 이동, 회전, 크기 조절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3차원 객체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주도적으로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개발 환경은 다수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다수의 개발 시스템을 사용하며, 각 개발 시스템은 개발자의 제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직접 관리할 수 있다. 각 개발 시스템은 신뢰 플랫폼 모듈(TPM: Trusted Platform Module) 표준기술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사용 허가된 개발 시스템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신뢰 플랫폼 모듈(TPM)은 일종의 보안 장치로서, 데이터 암호화를 위한 보안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사용에 대한 개발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개발자가 사용하는 개발 시스템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개발 시스템으로부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소스코드,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순수 바이너리, 코드에 대한 상세설명을 위한 문서, 코드의 이해를 위한 공정 수식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권한 정보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읽을 수 있는 읽기 권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 및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권한,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를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생성 또는 수정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여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도 공유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빌드한 모듈을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 또는 수정 이력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이력 정보를 통해 특정 변수의 값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단계별로 추적할 수 있고, 그 특정 변수가 임의의 다른 변수의 값 변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여부,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빈도,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수정한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인덱스를 부여하여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중요도에 따라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종류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특정 일자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 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에 해당하는 개발 시스템에 의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인덱스에 도달하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인덱스를 오름차순으로 하여 3 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오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낮으므로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 중요도를 분류할 수 있으며,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만을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빈도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생성/수정 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보다 높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유지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권한 정보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인 이력 정보는 그대로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높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비교적 최근의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높으므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해킹 또는 랜섬웨어와 같은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할 사용자 정보나 시스템 정보 등과 같은 중요 정보를 백업 파일로 생성한 후, 생성된 백업 파일을 동일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1차 백업 파일과 2차 백업을 차례로 생성하여 저장하되, 1차 백업 파일과 2차 백업 파일의 저장 장소를 달리 하여 저장한다.
다만, 백업 파일의 생성은 1차와 2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3차 이상의 복수 개의 백업 파일을 생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기 설정된 주기로(예를 들어, 시스템 상 기본적으로 설정된 주기인 3시간 마다 1회 내지 5시간 마다 1회 등, 다만 해당 설정된 주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로부터 지정 받은 주기로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저장되었던 1차 백업 파일과 2차 백업 파일의 저장 장소를 시스템 상의 기 설정된 장소 또는 새롭게 생성된 장소로 변경한다.
이때, 백업 파일의 이동 장소는, 시스템 상에서 기 설정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지정 받은 장소가 아니라, 임의의 랜덤 변수에 따라 생성된 폴더나 서브 폴더로 지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해킹 또는 랜섬웨어와 같은 공격형 프로그램이 공격하고자 하는 파일이 위치하는 폴더의 존재 또는 해당 폴더의 위치를 예측하고 용이하게 공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삭제되어서는 안 되는 고객 정보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가 사용자의 실수로 삭제되거나 수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1차 백업 파일과 2차 백업 파일은,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들로써, 상호 간에 우열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파일의 이동에 있어서도 1차 백업 파일의 이동 후 2차 백업 파일이 이동하거나, 2차 백업 파일의 이동 후 1차 백업 파일이 이동하여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서,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외부로부터 침입이 감지될 경우, 기 생성되었던 1차 백업 파일과 2차 백업 파일로부터의 복제를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각 백업 파일의 서브 백업 파일들을 다수 개 생성하며, 생성된 다수 개의 서브 백업 파일들을 역시 랜덤 변수에 따라 생성된 서로 다른 장소에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 상에서 산발적으로 생성된 다수 개의 백업 파일을 임의의 장소로 나누어 저장함으로써, 일부 백업 파일이 공격에 의해 손실되거나 삭제되는 경우에도 시스템 상에 산발적으로 존재하는 백업 파일을 이용하여 필요한 자료 등을 용이하게 복구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다수 개의 백업 파일 중 현재 공격받고 있는 백업 파일이라고 판단된 파일을 시스템 상에서 영구적으로 삭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해킹 또는 랜섬웨어의 공격 등으로 인해 시스템 상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해당 공격으로 인해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다른 파일까지도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는 좀비 프로그램으로 변할 수 있는 파일을 미연에 시스템 상에서 삭제시킴으로써, 일부 파일로 인해 시스템 전체가 공격받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백업 파일을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된 동기화 폴더에 저장한 경우, 해당 동기화 폴더에 백업 파일의 저장이 완료되고 저장한 백업 파일이 클라우드 상에 업로드 되면, 해당 동기화 폴더에 대한 동기화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동기화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Dropbox"라고 할 경우, "Dropbox"에서 제공하고 있는 "선택적 동기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의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즉,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백업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백업 폴더"를 시스템 상에 생성하면, 클라우드 서비스는 새롭게 생성된 "백업 폴더"를 클라우드 상에서 역시 동일하게 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해당 폴더에 백업 파일을 저장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클라우드 상에도 해당 백업 파일이 업로드 된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상에 해당 백업 파일의 업로드가 완료되면,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백업 파일 업로드에 사용되었던 "백업 폴더"에 대한 동기화만을 선택적으로 해제하고, "백업 폴더"를 시스템 상에서 삭제한다.
이 경우, 시스템 전체에 대한 동기화를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백업 파일의 업로드에 사용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생성되었던 "백업 폴더"만에 대한 동기화를 해제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안정적인 동기화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반면, 백업 파일은 클라우스 상에 업로드시킨 후 시스템 상에서는 삭제함에 따라 크라우드 상에서 백업 파일은 안전하게 저장하는 한편 시스템을 침투한 공격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은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클라우드 상에 업로드 하였던 백업 파일의 저장 장소를 변경할 순서가 된 경우, 선택적 동기화를 해제하였던 폴더의 동기화를 다시 수행하여 클라우드 서비스에 업로드 하였던 백업 파일을 다운받은 후, 다운받은 백업 파일을 상술한 바와 같이 랜덤 변수에 따라 새롭게 생성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치 조작부(200)는 기본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S35), 사용자에 의한 장치 조작이 발생하는 경우(S10), 그에 따른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0).
장치 조작부(200)는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의 특정 영역 상의 터치(tap),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회전 슬라이드 이동 및 두 지점에 대한 터치 이후 간격 조정(확대 또는 축소) 등에 해당하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고,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에서 터치 조작이 발생한 영역, 터치 조작이 발생한 시간, 터치 조작의 종류 및 터치 조작 속도 등을 식별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조작부(200)는 3D 영상을 출력중인 장치 조작부(200)의 기울임에 해당하는 회전 조작을 감지하고, 회전 조작이 발생한 시간,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 등을 식별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장치 조작부(200)에 의해 조작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S20), 조작 정보에 따라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S30).
영상 구현부(100)는 장치 조작부(200)로부터 조작 정보를 전달 받는 경우, 조작 정보 별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참조하여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3D 영상 변형 데이터에 따라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때, 영상 구현부(100)는 장치 조작부(200)로부터 터치 조작 및 회전 조작에 대한 조작 정보를 동시에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이내로 전달 받는 경우, 미리 설정된 조작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조작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치 조작부(200)는 기본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장치 조작이 발생하는 경우(S40), 그에 따른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0).
장치 조작부(200)는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의 특정 영역 상의 터치(tap),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회전 슬라이드 이동 및 두 지점에 대한 터치 이후 간격 조정(확대 또는 축소) 등에 해당하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고,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에서 터치 조작이 발생한 영역, 터치 조작이 발생한 시간, 터치 조작의 종류 및 터치 조작 속도 등을 식별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조작부(200)는 3D 영상을 출력중인 장치 조작부(200)의 기울임에 해당하는 회전 조작을 감지하고, 회전 조작이 발생한 시간,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 등을 식별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장치 조작부(200)에 의해 조작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S50), 조작 정보가 유의미한 조작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0).
영상 구현부(100)는 3D 영상의 총 재생 시간에 따른 총 조작 정보의 개수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가 유의미한 조작 패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3D 영상의 총 재생 시간에 비례하여 유의미한 조작 패턴 판단의 기준이 되는 총 조작 정보의 최소 개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영상 구현부(100)는 가장 최근에 학습된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과 현재 종료된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에 따른 조작 패턴의 일치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일치도가 미리 설정된 유의미한 조작 패턴 판단의 기준이 되는 값 이상인 경우, 현재 종료된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를 유의미한 조작 패턴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으로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조작 패턴을 구성하는 조작 정보의 개수 별로 유의미한 조작 패턴 판단의 기준이 되는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조작 정보가 유의미한 조작 정보로 판단되는 경우(S60), 조작 정보를 학습하고(S70), 조작 정보에 따라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S80).
영상 구현부(100)는 3D 영상의 재생 중에 조작 정보의 순서대로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으로 학습할 수 있다.
영상 구현부(100)는 장치 조작부(200)로부터 조작 정보를 전달 받는 경우, 조작 정보 별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참조하여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3D 영상 변형 데이터에 따라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때, 영상 구현부(100)는 장치 조작부(200)로부터 터치 조작 및 회전 조작에 대한 조작 정보를 동시에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이내로 전달 받는 경우, 미리 설정된 조작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조작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3D 영상 변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구현부(100)는 기본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장치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S40), 미리 학습된 조작 정보에 따라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S85).
영상 구현부(100)는 사용자 별 3D 영상 조작 패턴을 학습하고, 추후 해당 사용자가 3D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별도의 조작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미리 학습된 3D 영상 조작 패턴에 따라 3D 영상을 변형시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3D 영상 제공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영상 구현부
200: 장치 조작부

Claims (2)

  1. 3D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 조작부는 상기 3D 영상 상에서 행해지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을 수용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3D 영상을 변환하여 상기 장치 조작부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 구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 조작부는,
    현재 출력중인 3D 영상의 특정 영역 상의 터치(tap),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회전 슬라이드 이동 및 두 지점에 대한 터치 이후 간격 조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고,
    상기 장치 조작부의 기울임에 해당하는 회전 조작을 감지하며,
    상기 3D 영상에서 상기 터치 조작이 발생한 영역, 상기 터치 조작이 발생한 시간, 상기 터치 조작의 종류 및 상기 터치 조작 속도를 식별하여 상기 조작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회전 조작이 발생한 시간,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식별하여 상기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구현부는,
    상기 3D 영상의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3D 영상의 총 재생 시간에 따른 총 조작 정보의 개수 또는 가장 최근에 학습된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과 상기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에 따른 조작 패턴의 일치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가 유의미한 조작 패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한 조작 정보가 유의미한 조작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하는 조작 정보를 순서대로 나열하여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으로 학습하며,상기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3D 영상을 변환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3D 영상 조작 패턴에 따라 상기 3D 영상을 변환하여 상기 장치 조작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장치 조작부는 터치에 따른 세기에 기초하여 상이한 조작 정보를 생성하며,
    해킹 또는 랜섬웨어와 같은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할 정보를 백업 파일로 생성한 후, 생성된 백업 파일을 동일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1차 백업 파일과 2차 백업을 차례로 생성하여 저장하되, 1차 백업 파일과 2차 백업 파일의 저장 장소를 달리 하여 저장하는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저장되었던 1차 백업 파일과 2차 백업 파일의 저장 장소를 기 설정된 주기로 시스템 상의 기 설정된 장소 또는 새롭게 생성된 장소로 변경하되, 임의의 랜덤 변수에 따라 생성된 폴더나 서브 폴더로 백업 파일의 이동 장소를 지정하며,
    상기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외부로부터 침입이 감지될 경우, 기 생성되었던 1차 백업 파일과 2차 백업 파일로부터의 복제를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각 백업 파일의 서브 백업 파일들을 다수 개 생성하며, 생성된 다수 개의 서브 백업 파일들을 역시 랜덤 변수에 따라 생성된 서로 다른 장소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며,
    상기 백업 파일 분산화 모듈은, 다수 개의 백업 파일 중 현재 공격받고 있는 백업 파일이라고 판단된 파일을 시스템 상에서 영구적으로 삭제하는,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2. 삭제
KR1020180173230A 2018-12-30 2018-12-30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KR101982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30A KR101982540B1 (ko) 2018-12-30 2018-12-30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30A KR101982540B1 (ko) 2018-12-30 2018-12-30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540B1 true KR101982540B1 (ko) 2019-05-31

Family

ID=6665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230A KR101982540B1 (ko) 2018-12-30 2018-12-30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5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958B1 (ko) * 2013-02-21 2013-09-10 (주)지란지교소프트 터치앤드래그 입력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40013702A (ko) * 2012-07-26 201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37992A (ko) * 2013-05-24 2014-12-03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자동차 정비 훈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702A (ko) * 2012-07-26 201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301958B1 (ko) * 2013-02-21 2013-09-10 (주)지란지교소프트 터치앤드래그 입력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40137992A (ko) * 2013-05-24 2014-12-03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자동차 정비 훈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33864A1 (en) Management framework for mixed reality devices
CN105359097B (zh) 用于共享文件的束文件许可
US115585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60-degree panoramic background during video call
JP2022520263A (ja) ミニプログラムのデータバインディング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7454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virtual object
KR101982540B1 (ko)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KR101964466B1 (ko) 3d 영상 제공 장치
KR101994932B1 (ko) 동영상 캡차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9636922B (zh) 一种用于呈现增强现实内容的方法与设备
KR20130048960A (ko)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CN114138250A (zh) 系统用例的步骤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75806B1 (ko)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6975489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370461B2 (ja) メディアデータを再生する方法、装置、システム、デバイス、および記憶媒体
KR102210380B1 (ko)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305303A1 (en) User Control in Augmented Reality
CN113365132B (zh) 图像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195898B1 (ko) 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2533209B1 (ko) 다이나믹 확장현실(xr)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7277562B2 (ja) イメージマッチングを利用したマーカー検出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240100417A1 (en) Outputting braille or subtitles using computer game controller
KR102403719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33386B1 (ko)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6958264B2 (ja) サーバー、再現用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再現用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KR20230054491A (ko)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비디오 게임의 복수의 객체 중 개별 객체의 타겟팅 개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