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702A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702A
KR20140013702A KR1020120081827A KR20120081827A KR20140013702A KR 20140013702 A KR20140013702 A KR 20140013702A KR 1020120081827 A KR1020120081827 A KR 1020120081827A KR 20120081827 A KR20120081827 A KR 20120081827A KR 20140013702 A KR20140013702 A KR 2014001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ference line
input
unit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702A/ko
Publication of KR2014001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의 회전을 위한 기준선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선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기준선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영상을 회전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입력된 기준선을 기초로, 선택된 회전방향이나 회전각도에 의해 영상을 적절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영상에 대한 편집도 가능하다.
한편,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된 영상이 기울어져 있거나, 표시된 영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회전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영상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된 영상의 회전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된 영상을, 입력된 기준선을 기초로 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의 회전을 위한 기준선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선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기준선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영상을 회전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영상의 회전을 위한 기준선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기준선을 기초로 하여 회전시킨 제2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울어진 영상에 대해서도 기준선 입력에 의해 용이하게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입력된 기준선을 기초로, 선택된 회전방향이나 회전각도에 의해 영상을 적절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7 내지 도 17은 도 6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에는, TV 수상기, 모니터, 휴대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다양한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기준선에 기초하여, 영상의 회전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100)이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100a), 휴대 단말기(100b), 타블렛 컴퓨터(100c)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80a, 180b, 180c)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 및 기준선을 표시할 수 있고, 기준선에 기초하여 회전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저장부(140)는 기준선에 기초하여 회전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2D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155)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155)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155)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155)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155)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방송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OSD 생성부(340)는, 오에스디 신호 또는 그래픽 신호를 생성하므로, 이를 그래픽 처리부라 명명할 수도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거나,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의 (b)), 앞뒤(도 4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0),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41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41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7내지 도 17은 도 6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S61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제1 영상(710)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며, 이때, 제1 영상(710)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촬영부(155)에 의해 촬영된 영상, 미리 영상표시장치에 저장되어 있던 영상,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등일 수 있다.
제1 영상(710)이 표시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기준선에 대한 입력의 유무를 판단한다(S620). 영상표시장치(100)는 기준선(715)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기준선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한다(S630).
이때, 기준선에 대한 입력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710)이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수신(예를 들어, 제1 영상(710) 내에 기준선(715)을 표시하는 경우)한 입력이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710)이 표시된 영역(740)과 구별되는 특정 영역(750)으로부터 수신한 입력일 수 있다. 이때, 특정 영역(750)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준선에 대한 입력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제1 지점(720)을 선택하고 제2 지점(725)까지 드래그(drag)하는 입력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지점(720)과 제2 지점(725)을 연결하는 기준선(715)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으로 디스플레이(180)를 터치하여 기준선(715)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반면에 터치스크린이 아닌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나 마우스)에 의해 기준선(715)을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기준선(715)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한 좌표값을 이용하여, 기준선(715)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의 두 지점을 선택하여, 선택된 두 지점을 양 끝점으로 하는 기준선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제1 지점(720)을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선택된 제1 지점(720)과 연결되고 위치가 가변가능한 선(721)이 표시되고, 상기 선(721)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지점(725)을 선택하면, 상기 선(721)의 끝점이 제2 지점(725)에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기준선(715)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1 지점(720) 및 제2 지점(725)을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지점(720)과 제2 지점(725)을 연결하는 기준선(715)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기준선이 입력되어 표시되면, 표시된 기준선에 기초하여, 제1 영상을 회전시키고, 회전된 제2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640).
예를 들어, 기준선(715)이 회전된 제2 영상(830)의 수평선(810)(도 10의 (a)), 제2 영상(835)의 대각선(820)(도 10의 (b)), 제2 영상(845)의 수직선(840)(도 10의 (c))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도록 제1 영상(710)을 회전할 수 있으며, 또는 기준선(715)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선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킬 회전 방향과 회전 각도에 대해 선택할 수 있는 메뉴창(910)을 표시할 수 있다.
메뉴창(910)에는 회전방향에 대한 메뉴가 포함되고, 사용자는 시계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915) 및 반시계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9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시계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915)가 선택된 경우, 제1 영상(7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시계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910)가 선택되는 경우, 제1 영상(7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메뉴창(910)에는 회전각도에 대한 메뉴가 포함되고, 사용자는 수평선, 수직선, 대각선 및 직접 회전각도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이때, 수평선을 나타내는 오브젝트(921)가 선택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선(715)이 제2 영상(830)의 수평선(810)과 일치하도록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키며, 수직선을 나타내는 오브젝트(923)가 선택되는 경우,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선(715)이 제2 영상(845)의 수직선(840)과 일치하도록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킨다. 또한, 대각선 을 나타내는 오브젝트(925)가 선택되는 경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선(715)이 제2 영상(835)의 대각선(820)과 일치하도록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킨다.
한편, 직접 회전각도를 입력할 수 있는 오브젝트(927)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창(931)에 직접 회전각도를 입력하거나, 증가 또는 감소버튼(930)을 누르는 입력으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각도가 20도로 설정되는 경우, 기준선(715)이 20도 회전하도록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전방향과 회전각도를 선택하고, 설정버튼(935)을 누르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선택된 조건에 기초하여,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키고, 회전된 제2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키는 회전 중심은 표시된 기준선(715)의 중심이거나 제1 영상(710)의 중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선(715)의 양 끝점 중 한 지점을 위로 드래그하거나 아래로 드래그하는 입력 또는 위 방향 및 아래 방향 중 한 방향을 선택하는 입력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회전방향이 결정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각도에 관한 메뉴창(94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메뉴창(940)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회전각도에 관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영상(710)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영상(710)을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기준선(715)이 회전된 제2 영상의 수평선, 수직선, 제1 대각선 및 제2 대각선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a)와 같이, 기준선(715)이 입력되고, 반시계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010)가 선택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기준선(715)이 제2 영상(1015)의 수평선(1005)(도 13의 (b)), 수직선(1035)(도 13의 (c)), 제1 대각선(1025)(도 13의 (d)) 및 제2 대각선(1045)(도 13의 (e))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까지 제1 영상(7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상(710)을 제2 영상(1015)의 수평선(1005)과 일치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시 반시계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010)가 선택되는 경우, 기준선(715)이 제2 영상(1015)의 제1 대각선(1025)과 일치하도록 제2 영상(1015)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의 (a)에 도시된 기준선의 경우, 반시계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때마다 기준선이 회전된 영상의 수평선(1005)(도 13의 (b))->제1 대각선(1025)(도 13의 (c))->수직선(1035)(도 13의 (d))->제2 대각선(1045)(도 13의 (e))->수평선(1005)(도 13의 (b))의 순서로, 일치되도록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시계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020)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때마다 기준선(715)이 회전된 영상(1015)의 제2 대각선(1045)->수직선(1035)->제1 대각선(1025)->수평선(1005)->제2 대각선(1045)의 순서로, 일치되도록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시계 방향 오브젝트(1010)나 반시계 방향 오브젝트(1020)를 선택할 때마다, 기준선(715)이 미리 설정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제1 영상(71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기준선(715)을 기초로 하여,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키면서, 제1 영상(710)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선(715)이 입력되면, 제1 영상(710)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도록 하는 확대/축소 메뉴(1110)가 표시될 수 있다. 확대/축소 메뉴(1110)는 확대 기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105), 축소기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115), 제1 영상을 사용자가 입력한 비율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117)가 포함될 수 있다.
확대 기능 오브젝트(1105)는 미리 설정된 확대 배율 중 어느 하나로 제1 영상(710)을 확대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와 같이, 확대 기능 오브젝트(1105)를 선택하는 경우, 하위메뉴(1120)가 표시되고, 하위메뉴(1120)에는 미리 설정된 확대 배율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복수의 확대 배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통하여, 제1 영상(710)을 선택된 배율에 의해 확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기준선(715)을 제2 영상(1140)의 대각선(1145)과 일치시키도록 회전 각도를 설정하고, 확대배율 중 전체화면 배율을 선택하는 경우, 입력된 기준선(715)을 대각선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1130)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1 영상의 직사각형 영역(1130)을 회전하여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상(710)에 표시된 기준선(715)의 양 끝점이 제2 영상(전체화면으로 표시된 영상, 1140)의 대각선(1145) 양 끝점과 일치하도록 확대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축소 기능 오브젝트(1115)는 미리 설정된 축소 배율 중 어느 하나로 제1 영상(710)을 축소시킬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 지정 기능 오브젝트(1117)는 사용자가 직접 확대 배율이나 축소 배율을 입력하여, 입력된 배율로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기준선(715)을 기초로 하여, 제1 영상(710)의 소정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기준선(715)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영역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선(715)과 평행한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영역, 기준선과 평행한 변을 가지는 평행사변형 영역, 기준선을 대각선으로 하는 마름모 영역, 기준선을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 영역, 기준선을 지름으로 하는 원형 영역, 기준선을 축으로 하는 타원 영역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준선과 평행한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영역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는 기준선(715)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기준선(715)을 제1 영상(710) 내에 표시하고, 영역 선택 모드로 진입한다.
영역 선택 모드로 진입하면, 표시된 기준선(715)과 평행한 변을 가지고,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직사각형 오브젝트(1210)가 표시된다. 직사각형 오브젝트(1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포인터(1220)를 드래그(drag)시키는 것일수 있으며, 포인터(1220)를 직사각형 오브젝트(1210)의 대각선 방향,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로 드래그(drag)시키는 입력에 의해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포인터(1220)를 외부장치(예를 들어, 마우스나 원격제어장치(200))에 의해 이동시키거나 사용자의 손이나 터치펜을 이용한 화면 터치에 의해 포인터(1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직사각형 오브젝트(1210)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여 제1 영상(710)의 소정 영역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에는 선택된 영역과 관련된 메뉴창(1230)이 표시되고, 메뉴 창(1230)에는 잘라내기 오브젝트(1231), 복사 오브젝트(1233), 선택 영역 저장 오브젝트(123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잘라내기 오브젝트(1231), 복사 오브젝트(1233), 선택 영역 저장 오브젝트(1235)는 각각 선택된 영역을 잘라내거나 복사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선택 영역 저장 오브젝트(1235)가 선택되는 경우, 제1 영상(710) 중 선택된 영역(1210)에 한해서 기준선(715)을 기초로 하여, 회전되고, 회전된 제2 영상(1240)이 저장된다.
이때,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선(715)은 상기 선택된 영역이 회전된 제2 영상(1240)의 수평선, 수직선, 대각선 중 하나와 일치하도록 회전될 수 있으며, 기준선(715)이 사용자가 설정한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선택된 영역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영역이 전체화면이 되도록 확대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기준선 및 제2 기준선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제1 영상을 제1 기준선을 기초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된 제2 영상의 범위는 제1 기준선 및 제2 기준선을 기초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 기준선(1310)이 입력되어 표시되면, 제1 기준선(1310)과 평행하고 이동가능한 제2 기준선(132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고, 제2 기준선(1320)을 이동시키는 입력으로 제2 기준선(13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선(1310)과 제2 기준선(1320)에 의해 제2 영상(1340)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대각선 방향 및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상한범위와 하한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선(1310) 및 제2 기준선(1320)이 회전된 제2 영상(1340)의 수평선과 평행하도록 설정한 경우,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준선(1310) 및 제2 기준선(1320)은 각각 회전된 제2 영상(1340)의 상한선 및 하한선이 되도록 제1 영상(7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동작방법에 의해 회전된 제2 영상(1350)의 저장 여부를 묻는 메시지 창(1360)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회전된 제2 영상(1350)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에 포함된 촬영부(155)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촬영장치(미도시)를 기준선에 기초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55) 또는 외부 촬영장치(미도시)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촬영부(155) 또는 외부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영상을 수신하여,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고,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된 기준선에 기초하여 촬영부(155) 또는 외부 촬영장치가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부(155) 또는 외부 촬영장치의 촬영 각도나 촬영 영역을 촬영된 제1 영상을 기초로 하여,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의 회전을 위한 기준선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선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기준선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영상을 회전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이 상기 제2 영상의 수평선, 수직선 및 대각선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영상을 회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의 회전시킬 방향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된 제2 영상을 상기 기준선을 기초로 하여,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된 제2 영상을 저장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제1 기준선 및 제2 기준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은 제1 기준선 및 제2 기준선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하여 회전되며, 상기 회전된 제2 영상의 범위는 상기 제1 기준선 및 제2 기준선을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에 대한 입력은,
    상기 기준선의 양 끝점에 대한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상기 표시된 제1 영상 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9.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영상의 회전을 위한 기준선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기준선을 기초로 하여 회전시킨 제2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선이 상기 제2 영상의 수평선, 수직선 및 대각선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영상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의 회전시킬 방향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된 제2 영상을 상기 기준선을 기초로 하여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된 제2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제1 기준선 및 제2 기준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을 제1 기준선 및 제2 기준선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하여 회전시키며, 상기 회전된 제2 영상의 범위가 상기 제1 기준선 및 제2 기준선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에 대한 입력은, 상기 기준선의 양 끝점에 대한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상기 표시된 제1 영상 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20081827A 2012-07-26 2012-07-26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13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27A KR20140013702A (ko) 2012-07-26 2012-07-26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27A KR20140013702A (ko) 2012-07-26 2012-07-26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702A true KR20140013702A (ko) 2014-02-05

Family

ID=5026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827A KR20140013702A (ko) 2012-07-26 2012-07-26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7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540B1 (ko) * 2018-12-30 2019-05-31 이상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540B1 (ko) * 2018-12-30 2019-05-31 이상노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15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135092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893388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KR101729527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3045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9174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5763921B (zh) 图像显示设备和方法
JP2013055650A (ja) 映像表示装置及び遠隔制御装置並びにその動作方法
KR10192406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13738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6301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13125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137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42373A (ko) 영상표시장치
KR20160097023A (ko) 영상표시장치,
KR20210056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41088A (ko) 영상표시장치
KR2016003947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70308509A1 (en) Image display device
EP4290943A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90041090A (ko) 영상표시장치
KR20160081650A (ko) 영상제공장치
KR1019805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70112099A (ko) 영상표시장치
KR2012012118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