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011A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011A
KR20160063011A KR1020140166456A KR20140166456A KR20160063011A KR 20160063011 A KR20160063011 A KR 20160063011A KR 1020140166456 A KR1020140166456 A KR 1020140166456A KR 20140166456 A KR20140166456 A KR 20140166456A KR 20160063011 A KR20160063011 A KR 20160063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osd
image
shap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011A/ko
Publication of KR2016006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대응하는 오에스디(OSD)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경우 왜곡없는 오에스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경우 왜곡없는 오에스디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구현하는 영상표시장치로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사용 분야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각 사용 분야에서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단순히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특성뿐만 아니라 입체감, 몰입감 등을 고려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영상표시장치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경우 왜곡없는 오에스디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대응하는 오에스디(OSD)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무선으로 포인팅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와,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상태에서, 표시할 오에스디(osd)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오에스디의 위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는 단계와,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대응하는 오에스디(OSD)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휘어진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오에스디를 표시하는 경우, 왜곡없는 오에스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오에스디의 위치, 사용자의 위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여 표시함으로써, 왜곡없는 오에스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 거리 등에 기초하여 대표 위치, 거리 등을 연산하고, 이에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여 표시함으로써, 왜곡없는 오에스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오에스디의 일예로,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한 포인터가 가능하며, 포인터의 위치, 사용자의 위치, 거리 등을 고려하여, 포인터의 형상을 가변하여 표시함으로써, 왜곡없는 포인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오에스디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20은 도 7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카메라(19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면이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curved display module)일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화면이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도록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양 측면이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까지의 거리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체 영역에서 일정하게 된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부분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측면 부분의 인지도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양쪽 측면 부분이 흐릿하게 보이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었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 및 측면 부분까지의 거리를 균일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화면의 입체감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반경(R)이 일정 범위 내에 속하도록 하여 몰입감을 향상하고 안정성을 향상하도록 할 수 있다. 곡률 반경(R)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화면 크기(일례로, 화면의 수평 길이)와 측면 부분이 중앙 부분에 비하여 돌출된 정도에 따라 변화된 수치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부분이 중앙 부분에 비하여 돌출된 정도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평면(FS)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측면 부분까지 연장된 경사면(IS) 사이의 각도(A)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가상의 원(C)과 상기 경사면(IS)이 직각을 이루므로, 가상의 원(C) 상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이루는 원호를 가지는 부채꼴의 중심각이 2A가 된다.
이때, 아래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중심각(2A)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수평 길이(W)의 비율과 전체 각도(360도)에 대한 가상의 원(C)의 원주 길이의 비율이 같다.
[수학식 1]
2A : W = 360 : 2πR
그러면, 특정 각도(A)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수평 길이(W)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반경(RA)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2]
RA = (360W) / {(2π)·(2A)}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반경(R)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부분이 중앙 부분에 비하여 5도만큼 돌출된 경우의 곡률 반경(이하 "5도 곡률 반경")(R5) 내지 15도만큼 돌출된 경우의 곡률 반경(이하 "15도 곡률 반경") (R1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곡률 반경(R)이 5도 곡률 반경(R5)보다 작은 경우에는 중앙 부분 및 측면 부분까지의 거리를 균일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곡률 반경(R)이 15도 곡률 반경(R15)보다 큰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반경이 너무 커져서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줄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수학식 2에 따르면, 5도 곡률 반경(R5)은 대략 5.8W가 되고, 15도 곡률 반경(R15)은 대략 W가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수평 길이(W)에 대한 곡률 반경(R)의 비율은 대략 1.9배 내지 5.8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수평 길이(W)에 대한 곡률 반경(R)을 한정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라 함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박막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밝고 선명한 화질을 가지며 시야각에 의한 제한이 없으며 전력 소모가 적은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특히, 유기물 박막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01), 저장부(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 모듈(1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카메라(19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01)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영상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튜너(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5)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및 채널 복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5)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카메라(195)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값)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x축 좌표값, 및 y축 좌표값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PDP, LCD, OLED 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curved display module)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flexible display modlue)일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95)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때 카메라(195)의 동작 제어는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카메라(195)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 시점 영상과 제2 시점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195)는, RGB 카메라 외에, 적외선 방식의 카메라 등 다양한 방식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좌표값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이를 3D 포인팅 장치(3D pointing device)라 명명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3의 도시된 튜너부(115)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방송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5)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5)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OSD 생성부(340)는, 오에스디 신호 또는 그래픽 신호를 생성하므로, 이를 그래픽 처리부라 명명할 수도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거나,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5a의 (b)), 앞뒤(도 5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5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마이크(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마이크(435)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80)에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 내지 도 6d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오에스디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의 오에스디(610)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6a의 오에스디(61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도움말 항목 등의 검색을 위한 검색창, 최근 사용한 목록 탐색을 위한 recent 항목,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network 항목, 영상 제공자 설정을 위한 video input 항목, 영상 및 오디오 설정을 위한 picture & sound 항목, 채널 설정을 위한 channel 항목, 3D 영상 설정을 위한 3D settimgs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웹 화면(62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웹 화면(620)은, 웹 페이지와, 웹 페이지와 관련한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하는 웹 관련 오에스디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웹 관련 오에스디로, 검색 항목, 환경 설정 항목을 예시한다.
도 6a 또는 도 6b와 같이,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오에스디가 표시되는 경우,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등에 따라, 오에스디가 휘어지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즉, 오에스디가 왜곡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오에스디 왜곡 현상에 대해 도 6c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6c는, 가로 방향으로 일자형의 오에스디(635)를 포함하는 영상(630)을 예시하고, 도 6d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오에스디(635a)를 포함하는 영상(630a)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도 6c의, 가로 방향으로 일자형의 오에스디(635)는, 도면과 같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휘어지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표시시, 양 단부가 상부 방향으로 휘어지는 오에스디(635a)로 사용자에게 인식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표시되는 오에스디(635a)가 왜곡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오에스디 왜곡 현상을 저감하기 위해,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에 대응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고,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진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에 대응하는 오에스디(OSD)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왜곡없는 오에스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방향과 곡률 반경에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고,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오에스디의 표시 위치에 더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고,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에 더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고,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카메라(195)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에 더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고,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하고, 소정 영상 상에, 중첩하여,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에 기초하여, 대표 위치 및 거리를 연산하고, 대표 위치 및 거리에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고,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이 작아질수록, 오에스디의 형상의 형상 가변시의 형상 가변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오에스디의 형상이 작아지거나, 오에스디의 형상의 형상 가변시의 형상 가변 변화량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오에스디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포인터를 포함하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방향과 곡률 반경에 기초하여, 포인터의 형상을 가변하고, 형상 가변된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포인터의 표시 위치에 더 기초하여, 포인터의 형상을 가변하고, 형상 가변된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에 더 기초하여, 포인터의 형상을 가변하고, 형상 가변된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7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8a 내지 도 20은 도 7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할 오에스디가 있는 경우, 커브디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표시할 오에스디의 위치를 연산한다(S710).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카메라(195)가 온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S715), 해당하지 않는 경우, 연산된 오에스디의 위치에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한다(S730).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740).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카메라(195)가 온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S715), 해당하는 경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연산한다(S722).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연산된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에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한다(S726).
그리고, 다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연산된 오에스디의 위치에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으며,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연산된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 그리고, 연산된 오에스디의 위치에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으며,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a는, 연산된 오에스디의 위치가, 영상(640) 내의 상부인 경우를 예시한다.
연산된 오에스디의 위치가, 영상(640) 내의 상부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일자 형상의 오에스디의, 단부 부분이, 하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중앙 부분이 상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상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연산된 오에스디의 위치가, 영상(640) 내의 하부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일자 형상의 오에스디의, 단부 부분이, 상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중앙 부분이 하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상을 가변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연산된 오에스디의 위치가, 영상(640) 내의 하부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일자 형상의 오에스디의, 단부 부분이, 하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중앙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상을 가변할 수도 있다.
도 8b는, 도 8a에 따라,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645a)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하면, 영상(640a)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에 따라, 휘어지는 것으로 도시되나,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645a)는, 일자 형상으로, 왜곡 없이,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에스디에 대한 몰입감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9a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웹 화면(8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a의 웹 화면(810)은, 웹 페이지와 관련한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하는 웹 관련 오에스디(8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웹 관련 오에스디로, 입력(805), 검색 항목, 환경 설정 항목을 예시한다.
한편, 도 9a와 같이, 형상 가변 없이, 웹 관련 오에스디(800)를 그대로, 사용자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휘어지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표시하는 경우, 웹 관련 오에스디(800)의 단부가 상방향으로 휘어지고, 중앙부가 하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한편, 도 9b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웹 화면(8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b의 웹 화면(810)은, 형상 가변된 웹 관련 오에스디(800a)를 구비한다.
즉, 도 9a와 같이, 웹 관련 오에스디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므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웹 관련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일자 형상의 오에스디의, 단부 부분이, 하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중앙 부분이 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상을 가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9b와 같이, 형상 가변된 웹 관련 오에스디(800a)는, 일자 형상으로, 왜곡 없이,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에스디에 대한 몰입감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웹 화면 자체에 대한 형상 변경도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웹 화면도 형상 가변되어, 형상 가변된 웹 화면(811)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웹 화면도, 휘어짐 없이, 평면 상에 표시되는 것처람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기준으로, 가운데가 오목한 커브디 디스플레이 모듈 상의 표시를 위해, 도 8a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오에스디가, 상부 부분에 표시되는 경우, 오에스디의 단부 부분이, 하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중앙 부분이 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다. 이때, 오에스디의 위치가 높을수록, 즉, 중앙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멀리 떨어질수록, 오에스디 형상의 변화율이 더 커질 수 있다. 즉, 오에스디의 단부 부분이, 하방향으로 더 휘어지거나, 중앙 부분이 상방향으로 더 휘어지도록,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다.
도 10a는, 좌측에 위치하는 오에스디(900)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영상(910)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과 같이, 별도의 오에스디에 대한 형상 가변 없이, 모듈(10)의 좌측(AL)에, 오에스디(900)가 표시되는 경우, 오에스디의 좌측면 보다, 우측면이 더 작으며 휘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오에스디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할 오에스디의 위치를 연산하고, 좌측인 경우, 오에스디의 좌측 보다, 우측이 더 크도록, 비선형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좌측 보다 우측이 더 큰 사다리꼴 형상으로, 오에스디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b와 같이, 왜곡 없는 오에스디(900a)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즉, 도면과 같이, 평면 형상의 오에스디(900a)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1a는, 하측에 위치하는 오에스디(1000)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영상(1010)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과 같이, 별도의 오에스디에 대한 형상 가변 없이, 모듈(10)의 하측에, 오에스디(1000)가 표시되는 경우, 오에스디의 중앙부 보다, 양 단부가 더 휘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특히, 양 단부가 하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오에스디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할 오에스디의 위치를 연산하고, 그 위치가 하측인 경우, 오에스디의 중앙부 보다, 양 단부가 상방향으로 더 휘어지도록, 비선형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아래 방향으로 휘어지는 호 형상으로, 오에스디를 비선형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b와 같이, 왜곡 없는 오에스디(1000a)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즉, 도면과 같이, 평면 형상의 오에스디(1000a)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오에스디의 형상이 작아지거나, 오에스디의 형상의 형상 가변시의 형상 가변 변화량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2a는, 도 11a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오에스디(1000)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영상(1010)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사용자(700)의 위치는, 중앙인 제1 위치(P1)이고, 사용자(700)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와의 거리는 Da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가로 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오에스디가, 도 12a와 같이, 하부에 표시되는 경우, 도 12b와 같이, 오에스디의 단부 부분이, 하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중앙 부분이 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영상(1010SM) 내의 오에스디(1000SM)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c와 같이,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1000M)가, 도 10a와 같은, SZA의 높이로, 평면 형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도 13a는, 도 11a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오에스디(1000)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영상(1010)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사용자(700)의 위치는, 중앙인 제1 위치(P1)이고, 사용자(700)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와의 거리는, 도 12a의 Da 보다 더 가까운 Db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가로 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오에스디가, 도 13a와 같이, 하부에 표시되는 경우, 도 13b와 같이, 오에스디의 단부 부분이, 하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중앙 부분이 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영상(1010SS1) 내의 오에스디(1000SS1)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다. 이때의 오에스디의 형상 변화율은 도 12b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휘어지는 정도가 더 크거나, 오에스디의 높이 등이 작아질 수 있다.
도 13c는,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1000S1)가, 도 12a의 SZA의 높이 보다 낮은 SZb로, 표시되며, 또한, 평면 형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4a는, 도 11a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오에스디(1000)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영상(1010)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사용자(700)의 위치는, 좌측인 제2 위치(P2)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가로 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오에스디가, 도 14a와 같이, 하부에 표시되는 경우, 도 14b와 같이, 오에스디의 단부 부분이, 하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중앙 부분이 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영상(1010SL) 내의 오에스디(1000SL)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위치(P2)를 고려하여, 좌측 단부의 휘어지는 정도 보다, 우측 단부의 휘어지는 정도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c는,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1000L)가, 평면 형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5a는, 도 11a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오에스디(1000)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영상(1010)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사용자(700)의 위치는, 좌측인 제3 위치(P3)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가로 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오에스디가, 도 15a와 같이, 하부에 표시되는 경우, 도 15b와 같이, 오에스디의 단부 부분이, 하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중앙 부분이 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영상(1010SR) 내의 오에스디(1000SR)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위치(P3)를 고려하여, 우측 단부의 휘어지는 정도 보다, 좌측 단부의 휘어지는 정도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c는,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1000R)가, 평면 형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포인팅 신호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포인터를 표시시, 상술한, 오에스디의 표시 방식과 유사하게, 표시 위치, 등에 따라, 포인터의 형상을 가변하고, 형상 가변된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a 내지 도 16f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6a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영상(1010)이 표시되며, 좌측에 포인터(205L)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과 같이, 별도의 포인터에 대한 형상 가변 없이, 모듈(10)의 좌측에, 포인터(205L)가 표시되는 경우, 포인터(205L)의 좌측 보다, 우측이 더 작으며 휘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포인터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할 포인터의 위치를 연산하고, 좌측인 경우, 포인터의 좌측 보다, 우측이 더 크도록, 비선형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좌측 보다 우측이 더 큰 사다리꼴 형상으로, 포인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6b와 같이, 왜곡 없는 포인터(206SL)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즉, 도면과 같이, 평면 형상의 포인터(206SL)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6c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영상(1010)이 표시되며, 중앙에 포인터(205M)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과 같이, 별도의 포인터에 대한 형상 가변 없이, 모듈(10)의 중앙에, 포인터(205M)가 표시되는 경우, 포인터(205M)의 양 단부가 상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포인터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할 포인터의 위치를 연산하고, 그 위치가 중앙인 경우, 포인터의 중앙부 보다, 양 단부가 하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비선형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아래 방향으로 휘어지는 호 형상으로, 포인터를 비선형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6d와 같이, 왜곡 없는 포인터(206SM)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즉, 도면과 같이, 평면 형상의 포인터(206SM)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6e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영상(1010)이 표시되며, 우측에 포인터(205R)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과 같이, 별도의 포인터에 대한 형상 가변 없이, 모듈(10)의 우측에, 포인터(205R)가 표시되는 경우, 포인터(205R)의 좌측 보다, 우측이 더 작으며 휘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포인터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할 포인터의 위치를 연산하고, 우측인 경우, 포인터의 우측 보다, 좌측이 더 크도록, 비선형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우측 보다 좌측이 더 큰 사다리꼴 형상으로, 포인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6f와 같이, 왜곡 없는 포인터(206SR)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즉, 도면과 같이, 평면 형상의 포인터(206SR)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에 기초하여, 대표 위치 및 거리를 연산하고, 대표 위치 및 거리에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고,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7a는, 도 11a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오에스디(1000)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영상(1010)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700a,700b,700c)가, 나란히 좌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700a,700b,700c)를 연산하고, 대표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사용자(700a,700b,700c)의 중간 위치인, 제2 위치(P2)를 대표 위치로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제2 위치(P2)를 기준으로, 오에스디의 형상 가변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가로 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오에스디가, 도 17a와 같이, 하부에 표시되는 경우, 도 17b와 같이, 오에스디의 단부 부분이, 하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중앙 부분이 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영상(1010SL) 내의 오에스디(1000SL)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다. 이때, 대표 위치(P2)를 고려하여, 좌측 단부의 휘어지는 정도 보다, 우측 단부의 휘어지는 정도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c는,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1000L)가, 평면 형상으로, 복수의 사용자(700a,700b,700c)에게 인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700a,700b,700c)는 왜곡없는 오에스디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이 작아질수록, 오에스디의 형상의 형상 가변시의 형상 가변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8은 곡률 반경에 따른 오에스디의 형상 변화시의 형상 변화량이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도 18(a)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a)의 곡률 반경이 Ra 인 것을 예시하며, 도 18(c)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10b)의 곡률 반경이 Ra 보다 더 작은 Rb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8(b)는, 도 18(a)의 곡률 반경(Ra)에 대응하여, 제어부(170)가, 오에스디(645)에 대해, 형상 가변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645)의 중앙부 일 모서리와, 우측의 모서리의 중앙 지점 사이의 거리가 Za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8(d)는, 도 18(c)의 곡률 반경(Rb)에 대응하여, 제어부(170)가, 오에스디(646)에 대해, 형상 가변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646)의 중앙부 일 모서리와, 우측의 모서리의 중앙 지점 사이의 거리가 Za 보다 더 큰 Zb인 것을 예시한다.
즉, 동일 형상의 오에스디에 대해서, 형상 가변시, 곡률 반경이, 작을수록, 형상 변화량이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오에스디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디스플레이 모듈(10c)이 오목 영역(1920)과 볼록 영역(1910)을 동시에 구비하는 경우, 각 영역에서의 오에스디에 대한 형상의 변화량이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즉, 도 19(a)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c)이, 복수의 곡률을 가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10c)인 경우, 제어부(170)는, 오목 영역(1920)에 대응하여, 오에스디의 양 단부가 하부로 휘어지거나 중앙부가 상부로 휘어지도록, 오에스디를 형상 가변하며, 볼록 영역(1910)에 대응하여, 오에스디의 양 단부가 하부로 휘어지거나 중앙부가 상부로 휘어지도록, 오에스디를 형상 가변하는 것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9(b)는, 디스플레이 모듈(10c)의 볼록 영역(1910) 내에 표시할 오에스디가 위치하는 경우, 오에스디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오에스디의 양 단부가 상부로 휘어지거나 중앙부가 하부로 휘어지도록, 오에스디를 형상 가변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9(c)는, 디스플레이 모듈(10c)의 오목 영역(1920) 내에 표시할 오에스디가 위치하는 경우, 오에스디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오에스디의 양 단부가 하부로 휘어지거나 중앙부가 상부로 휘어지도록, 오에스디를 형상 가변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c)의 휘어지는 특성에도 불구하고, 표시 위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 등을 고려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함으로써, 왜곡 없는 오에스디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오에스디의 형상 변화량이 더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디스플레이 모듈(10c)은,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미도시)에 채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10c)로서, 이동 단말기의 휘어지는 상태에 따라, 함께 휘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9는 오목 영역(1920)과 볼록 영역(1910)의 곡률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나, 각각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곡률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률이 작을수록, 오에스디의 형상 변화량이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커브드 디스플레이에서의 오에스디 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오에스디 설정 메뉴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오에스디 설정 메뉴(2000)는, 커브드 디스플레이에서, 오에스디를 평면 형상으로 인식하기 위한 평면 모드 항목(2010), 커브드 디스플레이에서, 오에스디를 커브드 형상으로 인식하기 위한 커브드 모드 항목(2020),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른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는 스케일링 항목(2030)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평면 모드 항목(2010)은, 디폴트로 설정되고, 커브드 모드 항목(2020)이 옵션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커브드 모드 항목(2020)이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스케일링 항목(2030)은, 온 항목(2032), 오프 항목(203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들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오에스디가 형상 변경되도록, 설정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대응하는 오에스디(OSD)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 방향과 곡률 반경에 기초하여,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고, 상기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에스디의 표시 위치에 더 기초하여, 상기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고, 상기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고, 상기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소정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소정 영상 상에, 중첩하여, 상기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에 기초하여, 대표 위치 및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대표 위치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고, 상기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이 작아질수록, 상기 오에스디의 형상의 형상 가변시의 형상 가변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와 상기 영상표시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오에스디의 형상이 작아지거나, 상기 오에스디의 형상의 형상 가변시의 형상 가변 변화량이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방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소정 영역이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무선으로 포인팅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에스디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포인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 방향과 곡률 반경에 기초하여, 포인터의 형상을 가변하고, 상기 형상 가변된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의 표시 위치에 더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의 형상을 가변하고, 상기 형상 가변된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의 형상을 가변하고, 상기 형상 가변된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무선으로 포인팅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상태에서, 표시할 오에스디(osd)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오에스디의 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기초하여, 상기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는 단계; 및
    상기 형상 가변된 오에스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카메라가 온 된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위치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에스디의 형상을 가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에 기초하여, 대표 위치 및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표 위치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오에스디의 형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무선으로 포인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에스디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포인터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40166456A 2014-11-26 2014-11-26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63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456A KR20160063011A (ko) 2014-11-26 2014-11-26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456A KR20160063011A (ko) 2014-11-26 2014-11-26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011A true KR20160063011A (ko) 2016-06-03

Family

ID=5619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456A KR20160063011A (ko) 2014-11-26 2014-11-26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0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373A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0012944A (ja) * 2018-07-17 2020-01-23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CN114063962A (zh) * 2021-11-25 2022-02-18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373A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9160336A1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0012944A (ja) * 2018-07-17 2020-01-23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CN114063962A (zh) * 2021-11-25 2022-02-18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241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729527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3045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773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0864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6301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30608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70013738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102278183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295970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03106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56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41088A (ko) 영상표시장치
US1189985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90088532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 시스템
KR10183684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70308509A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772526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21143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137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81650A (ko) 영상제공장치
KR20210092035A (ko) 무선 수신 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190041090A (ko) 영상표시장치
KR2015014524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4581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