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846B1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6846B1 KR101836846B1 KR1020110133121A KR20110133121A KR101836846B1 KR 101836846 B1 KR101836846 B1 KR 101836846B1 KR 1020110133121 A KR1020110133121 A KR 1020110133121A KR 20110133121 A KR20110133121 A KR 20110133121A KR 101836846 B1 KR101836846 B1 KR 1018368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inter
- display
- image
- signal
- mov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제1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1 방향키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제1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는 단계와, 제2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2 방향키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제2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은, 제1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 보다 작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방향키를 구비한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간단하게 이동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제1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1 방향키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제1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는 단계와, 제2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2 방향키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제2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은, 제1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 보다 작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제1 방향키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제1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방향키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제2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1 방향 이동 표시 이후의 제2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은, 제1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 보다 작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키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 표시하되, 제1 방향키 입력 이후 제2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제2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은, 제1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 보다 작도록 한다.
또한, 제2 방향키 입력 이후 제3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제3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은, 제2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 보다 작도록 한다.
즉, 방향키 입력이 계속 수행되는 경우, 포인터 이동량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포인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3D 영상의 다양한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5의 포맷에 따라 시청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의해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에 따른 3D 영상의 깊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7c는 도 12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3D 영상의 다양한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5의 포맷에 따라 시청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의해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에 따른 3D 영상의 깊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7c는 도 12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를 위한 장치로서, 고정형 영상표시장치 또는 이동형 영상표시장치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100)는, TV 수상기, 모니터, 프로젝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시청장치(19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2D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추가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안경(glass) 등이 없이, 디스플레이(18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디스플레이(180) 외에 시청장치(195)로서 추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시청장치(195)는, 입체 영상 시청이 가능한 3D용 글래스일 수도 있다. 3D용 글래스(195)는, 패시브 방식의 편광 글래스 또는 액티브 방식의 셔터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헤드 마운트 타입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장치(195)가 편광 글래스인 경우, 좌안 글래스는, 좌안용 편광 글래스로, 우안 글래스는 우안용 편광 글래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청장치(195)가 셔터 글래스인 경우,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는 서로 교대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이 중 셋탑 박스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의 내부 블록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셋탑 박스(250)는, 방송 수신부(27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 저장부(258), 신호 처리부(26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72)는, 튜너부(270)와 복조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신호 처리부(260)로 입력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58)는, 신호 처리부(2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260)는, 입력되는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을 수행하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디코더 또는 음성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호 처리부(260)는, 수신되는 3D 방송 신호를 신호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260)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신호 처리 불가능한 3D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신호 처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3D 방송 신호가, MPEG-2 와 MPEG-4(H.264)로 각각 부호화된 듀얼 스트림(dual stream)인 경우, 신호 처리부(260)는, 입력되는 3D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 MPEG-2 복호화, MPEG-4(H.264) 복호화한 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되는 3D 방송 신호가, 도 5에서 예시되지 않은, 3D 영상 포맷인 경우, 해당 포맷을 신호 처리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260)에서 신호 처리된 3D 영상 신호(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260)는, 외부 입력 표시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알려주는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260)는, 3D 영상 설정 메뉴를 생성하여 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26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2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온/오프, 동작 입력, 설정 입력 등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영상표시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 외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셋탑 박스(250)는, 별도의 미디어(media) 재생을 위한 미디어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입력부의 예로는, 블루레이 입력부(미도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250)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되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미디어는 신호 처리부(260)에서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의 신호 처리 이후, 그 표시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 도 3b를 참조하면, 셋탑 박스(250)는, 도 3a의 셋탑 박스(250)와 유사하나, 도 3a와 달리, 별도의 방송 수신부(272)가 없다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즉, 셋탑 박스(250)는, 별도의 방송 수신부(272)를 구비하지 않으며,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신호 처리 불가능한 3D 방송 신호가 있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전송되는, 3D 방송 신호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에서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에서 수신되는 3D 방송 신호는, 신호 처리부(260)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신호 처리부(260) 등의 동작은, 도 3a를 참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5는 3D 영상의 다양한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는 도 5의 포맷에 따라 시청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19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 또는 튜너부(110)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방송 영상 신호가,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후의 제어부(170), 특히 영상 처리부(320) 등에서 신호 처리되어, 각각 2D 영상 신호,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의 혼합 신호, 3D 영상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다양한 포맷의 3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으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 시점 영상 신호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 등일 수 있다. 복수 시점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은, 도 5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좌,우로 배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도 5a), 상,하로 배치하는 탑 다운(Top / Down) 포맷(도 5b), 시분할로 배치하는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도 5c),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라인 별로 혼합하는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도 5d),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박스 별로 혼합하는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도 5e)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195)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3D 영상 신호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오브젝트의 예로는 PIP(picuture in picture)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EPG,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텍스트, 영상 내의 사물, 인물, 배경, 웹 화면(신문, 잡지 등)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다양한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포맷에 따라, 도 6와 같이, 안경 타입의 시청장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6(a)는, 포맷터(360)가 도 5의 포맷 중 프레임 시퀀셜 포맷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경우, 3D용 글래스(195), 특히 셔터 글래스(195)의 동작을 예시한다.
즉, 디스플레이(180)에 좌안 영상(L)이 표시된 경우, 셔터 글래스(195)의 좌안 글래스가 개방, 우안 글래스가 닫히는 것을 예시하며, 우안 영상(R)이 표시된 경우, 셔터 글래스(195)의 좌안 글래스가 닫히고, 우안 글래스가 개방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6(b)는, 포맷터(360)가 도 5의 포맷 중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경우, 3D용 글래스(195), 특히 편광 글래스(195)의 동작을 예시한다. 한편, 도 6(b)에서 적용되는 3D용 글래스(195)는, 셔터 글래스일 수 있으며, 이때의 셔터 글래스는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 모두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편광 글래스 처럼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미도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 처리부(320)의 출력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하고, OSD 생성부(340)는 OSD 생성과 함께 3D 처리를 수행한 후, 믹서(345)에서 각각의 처리된 3D 신호를 믹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증대를 위해, 제어부(170)는 3D 효과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특히 3D 영상 내의 3D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기울기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a)와 같이, 3D 영상 신호 또는 3D 영상 신호 내의 3D 오브젝트(510)를 일정 비율로 전체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512)할 수 있으며, 또한 도 7(b) 및 도 7(c)와 같이, 3D 오브젝트를 부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사다리꼴 형상, 514, 516)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d)와 같이, 3D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평행 사변형 형상, 518)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스케일링(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을 통해, 3D 영상 또는 3D 영상 내의 3D 오브젝트의 입체감 즉, 3D 효과(3-dimensional effect)를 강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울기(slope)가 커질수록, 도 7(b) 또는 도 7(c)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514,516)의 평행한 양변의 길이 차가 커지거나, 도 7(d)와 같이, 회전각이 더 커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은, 포맷터(360)에서 3D 영상 신호가 소정 포맷으로 정렬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영상처리부(320) 내의 스케일러(235)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OSD 생성부(340)는, 3D 효과 강조를 위해, 생성되는 OSD를 도 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3D 효과(3-dimensional effect)를 위한 신호 처리로서, 도 7에서 예시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 등 외에, 영상 신호 또는 오브젝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의 신호 처리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효과를 위한 신호 처리는, 제어부(170) 내에서 수행되거나, 별도의 3D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 내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술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 등과 함께, 포맷터(360)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영상처리부((320)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의해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에 따른 3D 영상의 깊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영상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들(615,625,635,645)이 예시된다.
먼저, 제1 오브젝트(615)는, 제1 좌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좌안 영상(611,L)과 제1 우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우안 영상(613,R)를 포함하며, 제1 좌안 영상(611,L)과 제1 우안 영상(613,R)의 간격은 디스플레이(180) 상에서 d1 인 것이 예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1 좌안 영상(61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603)과 제1 우안 영상(60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오브젝트(615)가 디스플레이(180) 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 제2 오브젝트(625)는, 제2 좌안 영상(621,L)과 제2 우안 영상(623,R)를 포함하며, 서로 겹쳐져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므로, 그 간격은 0 인 것이 예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625)가 디스플레이(180) 상에 위치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는, 각각 제3 좌안 영상(631,L)과 제2 우안 영상(633,R), 제4 좌안 영상(641,L)과 제4 우안 영상(643,R)를 포함하며, 그 간격이 각각 d3, d4 인 것이 예시된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상이 맺히는 위치에, 각각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며, 도면에서는, 각각 디스플레이(180) 보다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제4 오브젝트(645)가 제3 오브젝트(635) 보다 더 앞에, 즉 더 돌출되는 것으로 인식되며, 이는 제4 좌안 영상(641,L)과 제4 우안 영상(643,R)의 간격(d4)이, 제3 좌안 영상(631,L)과 제3 우안 영상(633,R)의 간격(d3) 보다 더 큰 것에 기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80)와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오브젝트(615,625,635,645) 사이의 거리를 깊이(depth)로 표현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보다 뒤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경우의 깊이(depth)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하며, 디스플레이(180)보다 앞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경우의 깊이(depth)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즉,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 정도가 더 클수록, 깊이의 크기는 더 커지게 된다.
도 9을 보면, 도 9(a)의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a)이, 도 9(b)에 도시된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b)이 더 작은 경우, 도 9(a)의 3D 오브젝트의 깊이(a')가 도 9(b)의 3D 오브젝트의 깊이(b') 보다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예시되는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에 의해, 사용자 입장에서 상이 맺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10의 (b)), 앞뒤(도 10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10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825), 사용자 입력부(835), 센서부(840), 출력부(850), 전원공급부(860), 저장부(870), 제어부(8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8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8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8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8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8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8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8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840)는 자이로 센서(841) 또는 가속도 센서(8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8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8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8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850)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8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850)는 사용자 입력부(8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8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8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8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8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8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8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8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8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8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8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880)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8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8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7c는 도 12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영상표시장치(100)는, 포인터 표시 모드로 진입한다(S1210).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포인터를 표시한다(S1215).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포인터 표시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포인터를 생성하고, 특정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의 특정 버튼이 동작하는 경우, 포인터 표시 모드로 진입한다. 또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메뉴 또는 오브젝트 등을 통해, 포인터 표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포인터 표시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170), 특히 OSD 생성부(340)는, 포인터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포인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출력한다.
도 13a는, 포인터 표시 모드 진입의 예로, 원격제어장치(300)의 확인키(341)가 동작하는 것을 에시한다. 이때, 원격제어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는 소정 영상(1310)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3a의 원격제어장치(300)는, 상술한 공간 리모콘(200)과 다른, 일반 리모콘일 수 있다. 즉, 움직임에 대응하여 포인터가 표시되는 공간 리모콘(200)이 아닌, 사방향키를 구비하는 일반 리모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움직임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를 송신하는 공간 리모콘(200)이 아닌, 사방향키에 따른 방향키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장치(300)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 13b는, 원격제어장치(300)의 확인키(341) 동작에 의해, 포인터 표시 모드 진입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320)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3c는, 포인터 표시 모드에서, 포인터(205)가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것을 에시한다. 포인터 최초 표시 위치는 다양한 위치가 가능하나, 도면에서는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제1 방향키 입력을 수신한다(S1220). 그리고, 제1 방향키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제1 방향으로 이동 표시한다(S1225).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방향키 입력을 수신한다. 제1 방향키 입력은, 상술한 원격제어장치(300)를 통한 제1 방향키 입력이거나, 로컬키의 제1 방향키 입력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제1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1 방향키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포인터를 제1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4a는, 원격제어장치(300)의 1회의 우측 방향키(351) 입력에 따라, 포인터(205)가 우측으로 이동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포인터의 이동 거리는, D1으로서, 10개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픽셀(P1)에 표시되던 포인터(205)가 우측으로 이동 표시되어, 제11픽셀(P11)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복수 횟수의 우측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포인터(205)는, 동일한 간격(D1에 해당하는 간격, 또는 10개 픽셀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우측 이동하여 표시되게 된다.
다음, 제2 방향키 입력을 수신한다(S1230). 그리고, 제2 방향키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제2 방향으로 이동 표시한다(S1235).
영상표시장치(100)는, 제2 방향키 입력을 수신한다. 제2 방향키 입력은, 상술한 원격제어장치(300)를 통한 제2 방향키 입력이거나, 로컬키의 제2 방향키 입력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제2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2 방향키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포인터를 제2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4b는, 원격제어장치(300)의 1회의 상측 방향키(353) 입력에 따라, 포인터(205)가 상측으로 이동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포인터의 이동 거리는, D2으로서, 5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1 픽셀(P11)에 표시되던 포인터(205)가 상측으로 이동 표시되어, 제61픽셀(P61)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4a와 달리, 포인터의 이동 표시 거리가 작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추가되는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여, 포인터 표시의 이동량을 작아지게 설정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첫번째의 방향키 입력에 따른 포인터의 표시 이동량은 크게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근처로 신속하게 포인터를 이동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그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다른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방향키 입력에 따른 포인터의 표시 이동량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위치로 포인터를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면을 참조하면, 상측 방향 이동 표시시의 이동량(D2)은, 우측 방향 이동 표시시의 이동량(D1)의 절반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재차 상측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포인터(205)는, 동일한 간격(D1에 해당하는 간격, 또는 10개 픽셀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상측 이동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방향 전환시에는, 포인터의 이동량이 작아지나, 동일한 방향키의 복수 횟수 입력시에는, 포인터 이동량이 커지게 된다.
다음, 제3 방향키 입력을 수신한다(S1240). 그리고, 상기 제3 방향키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제3 방향으로 이동 표시한다(S1245).
영상표시장치(100)는, 제3 방향키 입력을 수신한다. 제3 방향키 입력은, 상술한 원격제어장치(300)를 통한 제3 방향키 입력이거나, 로컬키의 제3 방향키 입력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제3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3 방향키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포인터를 제3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4c는, 원격제어장치(300)의 1회의 좌측 방향키(352) 입력에 따라, 포인터(205)가 좌측으로 이동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포인터의 이동 거리는, D3으로서, 3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61 픽셀(P61)에 표시되던 포인터(205)가 좌측으로 이동 표시되어, 제58픽셀(P58)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4b와 달리, 포인터의 이동 표시 거리가 작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추가되는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여, 포인터 표시의 이동량을 작아지게 설정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두번째의 방향키 입력에 따른 포인터의 표시 이동량 보다, 세번째의 방향키 입력에 따른 포인터의 표시 이동량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위치로 포인터를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재차 좌측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포인터(205)는, 동일한 간격(D1에 해당하는 간격, 또는 10개 픽셀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좌측 이동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방향 전환시에는, 포인터의 이동량이 작아지나, 동일한 방향키의 복수 횟수 입력시에는, 포인터 이동량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 리모콘(300)의 방향키를 사용하여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포인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원격제어장치(300)를 이용한 포인터 위치 이동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c와 비교하여 보면, 이동 방향에 그 차이가 있다.
도 15a는, 원격제어장치(300)의 우측 방향키(351) 입력에 따라, 포인터가 D1 만큼(10개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 우측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포인터(205)는, 제11 픽셀(P11)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도 15b는, 원격제어장치(300)의 좌측 방향키(352) 입력에 따라, 포인터가 D2 만큼(5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 좌측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포인터(205)는, 제6 픽셀(P6)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도 15c는, 원격제어장치(300)의 재차 우측 방향키(351) 입력에 따라, 포인터가 D3 만큼(3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 우측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포인터(205)는, 제9 픽셀(P9)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방향 전환시, 다른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방향키 입력에 따른 포인터의 이동량은, 이동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반대 방향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 비해, 포인터 이동량이 더 작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도 16a 내지 도 16c에서의 포인터 이동량이, 도 14a 내지 도 14c에서의 포인터 이동량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원격제어장치(300)를 이용한 포인터 위치 이동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c와 비교하여 보면,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그 차이가 있다.
도 16a는, 원격제어장치(300)의 우측 방향키(351) 입력에 따라, 포인터가 D1 만큼(10개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 우측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포인터(205)는, 제11 픽셀(P11)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도 16b는, 원격제어장치(300)의 좌측 방향키(352) 입력에 따라, 포인터가 D21 만큼(3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 좌측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포인터(205)는, 제8 픽셀(P8)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도 16c는, 원격제어장치(300)의 재차 우측 방향키(351) 입력에 따라, 포인터가 D31 만큼(1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 우측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포인터(205)는, 제9 픽셀(P9)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교차하는 방향의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포인터를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며, 서로 반대 방향의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위치에 포인터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키를 이용한 포인터 위치 이동 방법은, 일반 리모콘(300)이 아닌, 공간 리모콘(200)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간 리모콘(200)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 또는 움직임 잠금 모드 상태에서, 사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포인터를 이동표시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공간 리모콘(200)를 이용한 포인터 위치 이동의 예를 예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c와 비교하여 보면,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만 변경되었을 뿐 그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은 동일하다.
도 17a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우측 방향키(251) 입력에 따라, 포인터가 D1 만큼(10개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 우측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포인터(205)는, 제11 픽셀(P11)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도 17b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측 방향키(253) 입력에 따라, 포인터가 D2 만큼(5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 상측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포인터(205)는, 제61 픽셀(P61)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도 16c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좌측 방향키(252) 입력에 따라, 포인터가 D3 만큼(3 픽셀에 해당하는 거리) 좌측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포인터(205)는, 제58 픽셀(P58)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포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제1 방향키 입력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제1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방향키 입력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제2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방향 이동 표시 이후의 상기 제2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은, 상기 제1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 보다 작도록 설정하는 제어부; 및
사방향키를 구비하는 원격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RF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터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포인터의 좌표에 대응하여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잠금 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방향키 중 제1 방향키 입력 및 상기 제2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방향 이동 표시 이후의 상기 제2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은, 상기 제1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 보다 작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방향키 입력이 재차 있는 경우, 상기 재차 제2 방향키 입력에 따른 포인터 이동량이, 상기 제1 방향키 입력의 포인터 이동량과 동일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키 입력 또는 상기 제2 방향키 입력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방향 이동 표시 이후의 제3 방향키 입력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제3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방향 이동 표시시의 포인터 이동량은, 상기 제2 방향 이동 표시시의 이동량 보다 작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방향키 입력이 재차 있는 경우, 상기 재차 제3 방향키 입력에 따른 포인터 이동량이, 상기 제1 방향키 입력의 포인터 이동량과 동일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방향 이동 표시 이후, 상기 제1 방향키 입력을 재차 수신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다시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방향 재차 이동 표시시의 이동량이, 상기 제2 방향 이동 표시시의 이동량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방향 이동 표시시의 이동량이, 상기 제1 방향 이동 표시시의 이동량의 절반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반대 방향인 경우의 상기 제2 방향의 이동량이,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교차 방향인 경우의 상기 제2 방향의 이동량 보다 작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3121A KR101836846B1 (ko) | 2011-12-12 | 2011-12-12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3121A KR101836846B1 (ko) | 2011-12-12 | 2011-12-12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6335A KR20130066335A (ko) | 2013-06-20 |
KR101836846B1 true KR101836846B1 (ko) | 2018-03-09 |
Family
ID=4886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3121A KR101836846B1 (ko) | 2011-12-12 | 2011-12-12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68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78376B (zh) * | 2017-07-06 | 2022-06-03 | Lg电子株式会社 | 显示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60718A (ja) | 2004-03-12 | 2005-09-22 | Kts:Kk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操作装置 |
-
2011
- 2011-12-12 KR KR1020110133121A patent/KR1018368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60718A (ja) | 2004-03-12 | 2005-09-22 | Kts:Kk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操作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6335A (ko) | 2013-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4058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US20140143733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50116302A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30007824A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US20140132726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855939B1 (ko) |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 |
US20130057541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EP2574068A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836846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912635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929484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746808B1 (ko) | 영상표시장치, 미디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945811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825669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890323B1 (ko) | 영상표시장치, 셋탑 박스 및 그 동작방법 | |
KR20140047427A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40089794A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878808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50145243A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882214B1 (ko) |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 |
KR20140063275A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50043875A (ko) |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30120255A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40063276A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40098512A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