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373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373A
KR20190042373A KR1020170134215A KR20170134215A KR20190042373A KR 20190042373 A KR20190042373 A KR 20190042373A KR 1020170134215 A KR1020170134215 A KR 1020170134215A KR 20170134215 A KR20170134215 A KR 20170134215A KR 20190042373 A KR20190042373 A KR 20190042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ignal
signal processing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166B1 (ko
Inventor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1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로,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로부터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신호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신호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가시광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의 대형화, 고급화 경향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로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처리 장치가 이격되어 제공되고 있다.
디스플레이와, 신호 처리 장치 사이에,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 전송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인 무선 비디오 데이터의 안정적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신호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신호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사이에서 심리스(seamless)한 영상 표시를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로,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로부터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로,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전원 온 이후,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로,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로부터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신호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빔 포밍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비디오 데이터와 관련 없는 제어 신호 전송용인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빔 포밍을 결정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신호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에 의해, 심리스한 영상 표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로,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전원 온 이후,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신호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에 의해, 심리스한 영상 표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신호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11b는 도 6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영상 표시를 위한 패널(PAN)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널(PAN)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발광 패널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신호 처리 장치(300)는, 디스플레이(180)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180)로,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WiDi, WiHD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십 GHZ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대략 60GHz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제1 무선 통신 방식 보다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며, WiFi,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GHZ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대략 2G 내지 6G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는, 비디오 데이터 등을 전송하므로, AV 박스라고 명명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300)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180)로부터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180)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빔 포밍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비디오 데이터와 관련 없는 제어 신호 전송용인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빔 포밍을 결정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에 의해, 심리스한 영상 표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300)는, 전원 온 이후,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180)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에 의해, 심리스한 영상 표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는, 디스플레이(180)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 사이에, 복수의 브릿지 전극이 구비되며,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에 복수의 브릿지 전극에 각각 대향하는 대향 전극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의 각 대향 전극과, 복수의 브릿지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전송 방식을, 커패시티브 전력 전송(Capacitive Power Transfer;CPT)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는,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화되는 사운드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300)는, 프론트 방향으로 제1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천장(500) 방향으로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전면 방향에, 제1 스피커 유닛(185a)에 속하는 스피커(SFa,SFb)가 각각 배치되며, 신호 처리 장치(300)의 상측에, 제2 스피커 유닛(185b)에 속하는 어레이 스피커(SHa,SHb)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한편, 제1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제1 사운드는, 사용자 방향으로 출력되며, 제2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제2 사운드는, 천장(500) 방향으로 출력되며, 천장(500)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제1 사운드와 제2 사운드는, 서로 다른 방향의 사운드로서, 음향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2 사운드의 지향성을 향상시기키 위해, 제2 스피커 유닛(185b)이,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SH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도 2의 1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셋탑 박스(250)로부터의 방송 신호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도 2의 135)를 통해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18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피커 유닛(185b)은,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SHa,SHb)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포맷터(36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370),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또는 minl LVDS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 또는 소정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1의 신호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3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150)와, 디스플레이(180)와 제1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181a)와, 제2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182a)와, 제1 통신부(181a)와 제2 통신부(182a)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신호 처리 장치(300)와 제1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181b)와, 제2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신호 처리 장치(300)로부터 수신하는 제2 통신부(182b)와,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패널(PAN)과, 제1 통신부(181b)와 제2 통신부(182b)를 제어하는 제어부(17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180)로부터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180)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1 통신부(181a)가 위치 연산용 신호를 전송하면, 디스플레이(180)의 제1 통신부(181b)가, 위치 연산용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80)의 제1 통신부(181b)는, 위치 연산용 신호에 응답하여,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1 통신부(181a)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빔 포밍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180)의 거리 정보, 각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결정된 빔 포밍 각도, 빔 포밍 세기 등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180)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2 통신부(182a)가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며, 디스플레이(180)의 제2 통신부(182b)가,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80)의 제어부(175)는,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패널(PAN)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결국,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빔 포밍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비디오 데이터와 관련 없는 제어 신호 전송용인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빔 포밍을 결정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에 의해, 심리스한 영상 표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제어부(175)는,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신호 처리 장치(30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는, 거리 정보, 각도 정보, 이동 방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전원 온 이후, 디스플레이(180)와,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페어링을 수행한 이후,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결정된 빔 포밍에 기초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안테나(도 11b의 ANT)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안테나(도 11b의 ANT)에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시의 빔의 전송 각도 등이 가변하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온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온 되며, 전원 온 이후, 디스플레이(180)로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하며, 전원 온 신호 전송 이후, 디스플레이(180)와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180)가 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8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온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온 되며, 전원 온 이후, 신호 처리 장치(300)로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로부터의 전원 온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온 되며, 전원 온 이후, 디스플레이(180)와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포인터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에 추가하며, 포인터 이미지가 추가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포인터 이미지가 추가된 비디오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기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를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이 높을수록, 디스플레이(180)로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가 높아지고,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이 낮을수록, 디스플레이(180)로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가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와 페어링을 위해, 페어링 신호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180)로부터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페어링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빔 포밍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위치 연산용 신호 등은, 페어링 신호 등으로 대체되고,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는, 페어링 응답 신호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a 내지 도 11b는 도 6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원격제어장치(200)는, 전원키가 동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605), 해당하는 경우, 전원 온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한다(S610). 여기서, 전원 온 신호는, IR 신호일 수 있다.
IR 신호 기반의 전원 온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수신될 수 있다.
도 7a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원 온 신호(Spo)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전원 온 신호(Spo)를 수신하고(S611), 수신되는 전원 온 에 기초하여 전원 온할 수 있다
다음,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전원 온 이후,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1 통신부(181a)는, 도 7a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로 전원 온 신호(Spoa)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의 제1 통신부(181b)는, 전원 온 신호(Spoa)를 수신하며, 디스플레이(180)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도 8a는 디스플레이(18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8b는 전원 온 신호(Spoa) 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전원이 온 된 것을 예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의 전원 온 이후,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1 통신부(181a)는, 도 7b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로, 페어링 신호(Spa)를 전송할 수 있다(S615).
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제1 통신부(181b)는, 페어링 신호(Spa)를 수신할 수 있다(S616).
이때, 디스플레이(180)는, 도 8c와 같이, 페어링 중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810)를 표시할 수 있다. 페어링 중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페어링 신호 수신시, 또는 페어링 응답 신호 전송시, 표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80) 내부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180)의 제1 통신부(181b)는, 도 7b와 같이, 페어링 신호(Spa)에 응답하여, 페어링 응답 신호(Sre)를 전송할 수 있다(S620).
이에 응답하여,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1 통신부(181a)는, 페어링 응답 신호(Sre)를 수신할 수 있다(S621).
신호 처리 장치(300)는, 수신되는 페어링 응답 신호(Sre)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S625).
다음, 페어링 완료 후,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1 통신부(181a)는, 도 7c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로, 위치 연산용 신호(Slo)를 전송할 수 있다(S630).
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제1 통신부(181b)는, 위치 연산용 신호(Slo)를 수신할 수 있다(S631).
이때, 디스플레이(180)는, 도 8d와 같이, 위치 파악 중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815)를 표시할 수 있다. 위치 파악 중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815)는, dnlcl 파악 신호 수신시, 또는 위치 파악 응답 신호 전송시, 표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80) 내부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180)의 제1 통신부(181b)는, 도 7c와 같이, 위치 연산용 신호(Slo)에 응답하여,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Slre)를 전송할 수 있다(S635).
이에 응답하여,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1 통신부(181a)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Slre)를 수신할 수 있다(S636).
다음,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되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Slre)가 허용 범위 이내 인지를 판단하고(S645), 해당하는 경우, 수신되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Slre)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빔 포밍을 결정할 수 있다(S648).
여기서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180)의 거리 정보, 각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결정된 빔 포밍 각도, 빔 포밍 세기 등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180)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2 통신부(182a)는, 도 7d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video)를 전송하며(S650), 디스플레이(180)의 제2 통신부(182b)가,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S651).
그리고, 디스플레이(180)의 제어부(175)는,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패널(PAN)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655). 이에 따라, 도 8f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영상(830)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f의 영상(830) 표시 전에, 디스플레이(180)는, 도 8e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신호 처리 장치(300)에서 연산된 위치 정보로서, 신호 처리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도 8e에서는, 위치 정보의 예로, 거리 정보, 각도 정보, 패킷 전송 에러 정보, 파워 세기 정보, RF 신호 상태 정보 등을 예시한다. 이러한 정보 표시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위치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빔 포밍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비디오 데이터와 관련 없는 제어 신호 전송용인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빔 포밍을 결정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300)와 디스플레이(180) 사이의 무선 비디오 데이터 전송에 의해, 심리스한 영상 표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645 단계(S645)에서,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60).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는,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를 수신하고, 도 10D와 같이,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661).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신호 처리 장치(300) 또는 디스플레이(180) 등을 위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도 7E롸 같이,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a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위치가, L0 위치에서 우측의 L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전원 온 이후, 또는 비디오 데이터 전송 중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8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80)의 상대 위치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된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18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80)는, 도 9b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9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신호 처리 장치(300)에서 연산된 위치 정보로서, 신호 처리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도 9b에서는, 위치 정보의 예로, 거리 정보, 각도 정보, 패킷 전송 에러 정보, 파워 세기 정보, RF 신호 상태 정보 등을 예시한다. 이러한 정보 표시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위치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b에서는, 도 8f에 비해, 거리, 각도, 패킷 전송 에러가 증가하며, 파워 세기 정보, RF 신호 상태가 낮아진 것을 예시한다.
다음,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가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빔 포밍 각도, 빔 포밍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결정된 빔 포밍에 기초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도 9c와 같은, 영상(930)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9c의 영상(930)은, 도 8f의 영상(830)에 비해, 해상도가 낮은 영상일 수 있다.
한편, 도 10a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위치가, L0 위치에서 우측의 L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a에 비해 더 많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전원 온 이후, 또는 비디오 데이터 전송 중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8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80)의 상대 위치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된 위치 정보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18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80)는, 도 10b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02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신호 처리 장치(300)에서 연산된 위치 정보로서, 신호 처리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도 10b에서는, 위치 정보의 예로, 거리 정보, 각도 정보, 패킷 전송 에러 정보, 파워 세기 정보, RF 신호 상태 정보 등을 예시한다. 이러한 정보 표시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위치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b에서는, 도 9b에 비해, 거리, 각도, 패킷 전송 에러가 증가하며, 파워 세기 정보, RF 신호 상태가 낮아진 것을 예시한다.
다음,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디스플레이(180)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 대신에,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는, 도 10c 또는 도 10d와 같은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1030,1040,1045)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1030,1040,1045)는, 텍스트 정보 외에,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d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의 좌측 이동을 나타내는 이미지(1040)가 표시되며, 좌측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1045)가 함께 표시됨으로써, 신호 처리 장치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1a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위치가 L0인 경우,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위한 빔 포밍(BFa)을 예시하며, 도 11b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위치가 L1인 경우,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위한 빔 포밍(BFb)을 예시한다.
도 11a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300)는, 수직 방향으로 빔 포밍(BFa)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1b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소정 각도로 틀어지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300)는, 해당 각도 방향으로 빔 포밍(BFb)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결정된 빔 포밍(BFb)의 각도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안테나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안테나에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2의 동작방법은 도 6과 유사하나,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전원 온 신호가, 신호 처리 장치(300)가 아닌, 디스플레이(180)에서 수신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원격제어장치(200)는, 전원키가 동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205), 해당하는 경우, 전원 온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한다(S1210). 여기서, 전원 온 신호는, IR 신호일 수 있다.
도 7a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원 온 신호(Spo)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전원 온 신호(Spo)를 수신하고(S1211), 수신되는 전원 온 에 기초하여 전원 온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180)의 전원 온 이후, 디스플레이(180)의 제1 통신부(181a)는, 신호 처리 장치(300)로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1 통신부(181a)는, 전원 온 신호를 수신하며,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전원 온 이후, 디스플레이(180)의 제1 통신부(181b)는, 신호 처리 장치(300), 페어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215).
이에 응답하여,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1 통신부(181a)는, 페어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216).
다음,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1 통신부(181a)는, 페어링 신호에 응답하여, 페어링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220).
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제1 통신부(181b)는, 페어링 응답 신호(Sre)를 수신할 수 있다(S1221).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300)는, 디스플레이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S1225).
다음, 페어링 완료 후,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1 통신부(181a)는, 도 7c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로, 위치 연산용 신호(Slo)를 전송할 수 있다(S1230).
한편, 제1225 단계(S1225) 내지 제1261 단계(S1261)는, 제625 단계(S625) 내지 제661 단계(S661)에 대응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3의 동작방법은 도 6과 유사하나, 비디오 데이터 전송 중 비디오 데이터 전송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위치 연산용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2 통신부(182a)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1308).
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제2 통신부(182b)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S1309), 디스플레이(18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S1313).
다음,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서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비디오 데이터 전송 중 비디오 데이터 전송율이 소정치 이하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S1318), 해당하는 경우, 위치 연산용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1330).
한편, 제1330 단계(S1330) 내지 제1361 단계(S1361)는, 제630 단계(S630) 내지 제661 단계(S661)에 대응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로,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상기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빔 포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전원 온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페어링을 수행한 이후,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결정된 빔 포밍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안테나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상기 안테나에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온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온 되며, 상기 전원 온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전원 온 신호 전송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온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온 되며, 상기 전원 온 이후,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전원 온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온 되며, 상기 전원 온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포인터 이미지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추가하며, 상기 포인터 이미지가 추가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연산용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빔 포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빔 포밍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안테나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상기 안테나에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의 위치 연산용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3 통신부;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4 통신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패널; 및
    상기 제3 통신부와 상기 제4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로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로,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전원 온 이후,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포밍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로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페어링을 위해, 페어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페어링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빔 포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페어링 응답 신호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위치 이동 가이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70134215A 2017-10-16 2017-10-16 영상표시장치 KR102459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215A KR102459166B1 (ko) 2017-10-16 2017-10-16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215A KR102459166B1 (ko) 2017-10-16 2017-10-16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373A true KR20190042373A (ko) 2019-04-24
KR102459166B1 KR102459166B1 (ko) 2022-10-25

Family

ID=6628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215A KR102459166B1 (ko) 2017-10-16 2017-10-16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1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072A1 (ko) * 2019-08-27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074767A1 (en) * 2021-09-09 2023-03-09 Lg Electronics Inc. Audio/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audio/video receiv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513A (ko)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영상표시 기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37923A (ko) * 2012-06-08 201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97022A (ko) * 2015-02-06 2016-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056166B1 (ko) * 2012-05-08 201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513A (ko)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영상표시 기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56166B1 (ko) * 2012-05-08 201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37923A (ko) * 2012-06-08 201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97022A (ko) * 2015-02-06 2016-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072A1 (ko) * 2019-08-27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917238B2 (en) 2019-08-27 2024-02-27 Lg Electronics Inc. Wireles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230074767A1 (en) * 2021-09-09 2023-03-09 Lg Electronics Inc. Audio/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audio/video receiving device
WO2023038169A1 (ko) *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v 전송 장치 및 a/v 수신 장치
US11854382B2 (en) 2021-09-09 2023-12-26 Lg Electronics Inc. Audio/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audio/video recei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166B1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29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1096315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05828170B (zh) 图像显示装置
KR2013013045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22157A (ko) 영상표시장치
EP256585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3011447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59166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80033771A (ko) 영상표시장치
KR20170013738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102254857B1 (ko) 영상 표시 장치
KR102444150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278183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072638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2013125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97023A (ko) 영상표시장치,
KR20210056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5288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3947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41088A (ko) 영상표시장치
JP6484914B2 (ja) 情報処理機器および操作システム
KR20190007725A (ko) 영상표시장치
US2023039712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400137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81650A (ko) 영상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