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771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771A
KR20180033771A KR1020160123136A KR20160123136A KR20180033771A KR 20180033771 A KR20180033771 A KR 20180033771A KR 1020160123136 A KR1020160123136 A KR 1020160123136A KR 20160123136 A KR20160123136 A KR 20160123136A KR 20180033771 A KR20180033771 A KR 20180033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udio signal
speaker
unit
speak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인
황성필
양성은
정석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3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3771A/ko
Priority to US15/659,485 priority patent/US20180048846A1/en
Priority to CN201780058937.6A priority patent/CN109792576B/zh
Priority to PCT/KR2017/008030 priority patent/WO2018021813A1/en
Priority to EP17834754.8A priority patent/EP3491840B1/en
Publication of KR2018003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7Two-channel systems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8Structural combinations of loudspeakers with built-in power amplifiers, e.g. in the same acoustic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3Aspects of down-mixing multi-channel audio to configurations with lower numbers of playback channels, e.g. 7.1 -> 5.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프론트 방향으로 제1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스피커 유닛과, 천장 방향으로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고, 제2 스피커 유닛은,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한편, 임장감 있는 사운드를 청취하고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에서 스피커의 성능이 향상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프론트 방향으로 제1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스피커 유닛과, 천장 방향으로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고, 제2 스피커 유닛은,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프론트 방향으로 제1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스피커 유닛과, 천장 방향으로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고, 제2 스피커 유닛은,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를 포함하며, 제1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 보다, 제2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더 높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프론트 방향으로 제1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스피커 유닛과, 천장 방향으로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고, 제2 스피커 유닛은,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를 포함함으로써,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향성이 좋은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array speaker)를 사용함으로써,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스피커 유닛에서 출력되는 제2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스피커 유닛에서 출력되는 제1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 보다, 더 좁도록 함으로써, 제2 사운드가 더 지향성이 향상되며, 따라서,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스피커 유닛 내의 증폭기의 게인(gain)이, 제1 스피커 유닛 내의 증폭기의 게인(gain) 보다 더 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기준으로 경로가 더 먼 제2 사운드가, 제1 사운드와 함께 고르게 청취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프론트 방향으로 제1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스피커 유닛과, 천장 방향으로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고, 제2 스피커 유닛은,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를 포함하며, 제1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 보다, 제2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더 높음으로써,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스피커 유닛이, 지향성이 좋은 고주파의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사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와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 내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와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 내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제2 스피커 유닛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의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오디오 신호에 따라, 제2 스피커 유닛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1d는, 제2 스피커 유닛이 팝업되어 틸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일반 스피커와 어레이 스피커 간의 지향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180)와, 프론트 방향으로 제1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천장(500) 방향으로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포함하고, 제2 스피커 유닛(185b)은, 복수의 스피커(Sa1~Sa7)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SHa)를 포함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500)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이, 신호 처리 장치(300) 내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신호 처리 장치(300)는, 비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180)에, 비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300)는,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는, 도 2의 방송 수신부(105), 저장부(140), 제어부(17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즉, 신호 처리 장치(300)는, 디스플레이(180)를 제외한 개념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전면 방향에, 제1 스피커 유닛(185a)에 속하는 스피커(SFa,SFb)가 각각 배치되며, 신호 처리 장치(300)의 상측에, 제2 스피커 유닛(185b)에 속하는 어레이 스피커(SHa,SHb)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1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제1 사운드는, 사용자 방향으로 출력되며, 제2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제2 사운드는, 천장(500) 방향으로 출력되며, 천장(500)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제1 사운드와 제2 사운드는, 서로 다른 방향의 사운드로서, 음향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제2 사운드의 지향성을 향상시기키 위해, 제2 스피커 유닛(185b)이, 복수의 스피커(Sa1~Sa7)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SHa)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는, 어레이 스피커(SHa)가, 7개의 스피커(Sa1~Sa7)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적어도 3개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레이 스피커의 지향성은, 후술하는 도 12b와 같이, 일반 스피커 보다,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어레이 스피커(SHa)(array speaker)를 사용함으로써,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500)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스피커 유닛(185b)에서 출력되는 제2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제1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 보다, 더 좁도록 함으로써, 제2 사운드가 더 지향성이 향상되며, 따라서,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500)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스피커 유닛(185b) 내의 증폭기의 게인(gain)이, 제1 스피커 유닛(185a) 내의 증폭기의 게인(gain) 보다 더 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기준으로 경로가 더 먼 제2 사운드가, 제1 사운드와 함께 고르게 청취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프론트 방향으로 제1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천장(500) 방향으로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포함하고, 제2 스피커 유닛(185b)은, 복수의 스피커(Sa1~Sa7)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SHa)를 포함하며, 제1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 보다, 제2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더 높음으로써,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500)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스피커 유닛(185b)이, 지향성이 좋은 고주파의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500)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 모듈(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도 2의 1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셋탑 박스(250)로부터의 방송 신호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도 2의 135)를 통해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2D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80)는, 추가 디스플레이 모듈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모듈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모듈 방식은, 별도의 추가 디스플레이 모듈, 예를 들어 안경(glass) 등이 없이, 디스플레이 모듈(18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모듈 방식은, 디스플레이 모듈(180) 외에 시청장치(미도시)로서 추가 디스플레이 모듈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모듈(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모듈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시청장치(미도시)는, 입체 영상 시청이 가능한 3D용 글래스일 수도 있다. 3D용 글래스(미도시)는, 패시브 방식의 편광 글래스 또는 액티브 방식의 셔터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헤드 마운트 타입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18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피커 유닛(185b)은,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SHa,SHb)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 모듈(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포맷터(36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370),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모듈(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19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 또는 튜너부(110)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방송 영상 신호가,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후의 제어부(170), 특히 영상 처리부(320) 등에서 신호 처리되어, 각각 2D 영상 신호,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의 혼합 신호, 3D 영상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다양한 포맷의 3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으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 시점 영상 신호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 등일 수 있다. 복수 시점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은,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좌,우로 배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상,하로 배치하는 탑 다운(Top / Down) 포맷, 시분할로 배치하는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라인 별로 혼합하는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박스 별로 혼합하는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미도시)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다양한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미도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 또는 소정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 처리부(320)의 출력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하고, OSD 생성부(340)는 OSD 생성과 함께 3D 처리를 수행한 후, 믹서(345)에서 각각의 처리된 3D 신호를 믹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사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 중 제2 스피커 유닛(185b)에서, 천장(500) 방향으로 제2 사운드(Sou)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2 사운드(Sou)는, 천장(500)에서 반사되어, 사용자(600)에게 도달할 수 있다.
도 5b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에서, 각각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Soufa)와, 천장(500) 방향의 제2 사운드(Souha)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도면과 같이, 제1 사운드(Soufa)와, 제2 사운드(Souha) 사이에 음향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음향 간섭을 저감하기 위해, 제2 스피커 유닛(185b)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지향성을 높이는 기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제2 스피커 유닛(185b)은, 복수의 스피커(Sa1~Sa7)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SHa,SH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c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에서, 각각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Soufa)와, 천장(500) 방향의 제2 사운드(Souha)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도 5b에 비해, 천장(500) 방향의 제2 사운드(Souha)의 지향성이 향상되어, 제1 사운드(Soufa)와의, 사운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도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600)는, 음장감이 향상된, 사운드 등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와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 내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370)와,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피커 유닛(185a)은,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620a)와, 제1 증폭기(620a)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630a)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스피커 유닛(185b)은,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610)와, 필터링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620b)와, 제2 증폭기(620b)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630c)인, 복수의 스피커(Sa1~Sa7)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610)는, 하이패스 필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스피커 유닛(185b)에서 출력되는 제2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제1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 보다, 더 좁을 수 있다.
한편, 제2 스피커 유닛(185b) 내의 제2 증폭기(620b)의 게인(gain)이, 제1 스피커 유닛(185a) 내의 제1 증폭기(620a)의 게인(gain) 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기준으로 경로가 더 먼 제2 사운드가, 제1 사운드와 함께 고르게 청취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370)는, 컨텐츠에 대해 오디오 디코딩을 수행하는 오디오 디코더(602)와, 오디오 디코더(602)로부터의 제1 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하여, 제2 채널의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다운 믹서(6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채널의 오디오 신호는,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일 수 있으며, 제2 채널은 2 채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운 믹서(604)는, 2채널의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 도 6b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370)와,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b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도 6a의 오디오 처리부(370)와 유사하나, 다운 믹서(604)가 구비되지 않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2 채널의 컨텐츠가 입력되는 경우, 오디오 디코더(602)를 통해, 디코딩된 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 도 6c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370)와,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c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도 6a의 오디오 처리부(370)와 유사하나, 필터(610)가 내부에 더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필터(610)는, 제1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c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오디오 신호와, 제1 오디오 신호가 필터링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스피커 유닛(185a)은,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620a)와, 제1 증폭기(620a)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630a)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스피커 유닛(185b)은, 제2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620b)와, 제2 증폭기(620b)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630c), 즉 복수의 스피커(Sa1~Sa7)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 도 6d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370)와,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d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도 6c의 오디오 처리부(370)와 유사하나, 다운 믹서(604)가 구비되지 않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도 6d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2 채널의 컨텐츠가 입력되는 경우, 오디오 디코더(602)를 통해, 디코딩된 2 채널의 제1 및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 도 6e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370)와,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e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도 6a의 오디오 처리부(370)와 동일하며, 제2 스피커 유닛(185b)가 필터(610)를 구비하지 않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스피커 유닛(185b) 내의 제2 증폭기(620b)의 게인(gain)이, 제1 스피커 유닛(185a) 내의 증폭기(620a)의 게인(gain)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내지 도 7b는,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의 필터(610)는, 하이패스 필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제1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폭은, 도 7a와 같이, BWa일 수 있으며, 제2 스피커 유닛(185b)에서, 출력되는 제2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폭은, 도 7b와 같이, BWb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스피커 유닛(185b)에서 출력되는 제2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제1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 보다, 더 좁음으로써, 제2 사운드의 지향성이 향상되며, 따라서, 도 5c와 같이, 음향 간섭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와 제1 및 제2 스피커 유닛 내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8a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370)와,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a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도 6e의 오디오 처리부(370)와 동일하며,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이, 각각, 제1 필터(611)와, 제2 필터(612)를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제1 스피커 유닛(185a)은, 오디오 처리부(370)로부터의 제1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611)와, 필터링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620a)와, 제1 증폭기(620a)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630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스피커 유닛(185b)은, 오디오 처리부(370)로부터의 제1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612)와, 필터링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620b)와, 제2 증폭기(620b)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630c)인, 복수의 스피커(Sa1~Sa7)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b는, 제1 필터(611)의 주파수 대역 보다, 제2 필터(612)의 주파수 대역이 더 큰 것을 예시한다.
도 8a의 제1 필터(611)는, 로우패스 필터일 수 있으며, 도 8a의 제2 필터(612)는, 하이패스 필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스피커 유닛(185b)에서 출력되는 제2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제1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 보다, 더 높음으로써, 제2 사운드의 지향성이 향상되며, 따라서, 도 5c와 같이, 음향 간섭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도 9a는, 제2 스피커 유닛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의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의 오디오 신호에 따라, 제2 스피커 유닛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의, 제2 스피커 유닛(185b), 즉, 어레이 스피커(SHa)는, 제1 그룹(G1)의 제1 내지 제2 스피커(Sa1~Sa2)와, 제2 그룹(G2)의 제3 내지 제5 스피커(Sa3~Sa5)와, 제3 그룹(G3)의 제6 내지 제7 스피커(Sa6~Sa7)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9b의, 제2 스피커 유닛(185b), 즉, 어레이 스피커(SHa)는, 천장(500)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론트 방향과, 천장(500)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제2 사운드가 지향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그룹(G1)의 제1 내지 제2 스피커(Sa1~Sa2)가, 제1 시간(t1)에 사운드를 출력하고, 제2 그룹(G2)의 제3 내지 제5 스피커(Sa3~Sa5)가, 제1 시간(t1) 이후의 제2 시간(t2)에 사운드를 출력하고, 제3 그룹(G3)의 제6 내지 제7 스피커(Sa6~Sa7)가, 제2 시간(t2) 이후의 제3 시간(t3)에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9a와 같이, 제1 시간(t1)에, 제1 전기 신호(esa)가, 제1 그룹(G1)의 제1 내지 제2 스피커(Sa1~Sa2)에 인가되며, 제2 시간(t2)에, 제2 전기 신호(esb)가, 제2 그룹(G2)의 제3 내지 제5 스피커(Sa3~Sa5)에 인가되며, 제3 시간(t3)에, 제3 전기 신호(esc)가, 제3 그룹(G3)의 제6 내지 제7 스피커(Sa6~Sa7)에 인가될 수 있다.
한편, 도 9b와 달리, 제2 스피커 유닛(185b)이, 프론트 방향과, 천장(500) 방향 사이를 지향하도록 틸팅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a 내지 도 11d는, 제2 스피커 유닛이 팝업되어 틸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a는, 제2 스피커 유닛(185b), 즉, 어레이 스피커(SHa)가,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P1 위치에 있다가, P2 위치로, 팝업(pop up)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2 스피커 유닛(185b), 즉, 어레이 스피커(SHa)는, 천장(500)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도 10b는, 제2 스피커 유닛(185b), 즉, 어레이 스피커(SHa)가, 틸팅 수단(미도시)에 의해, P2 위치에서, 틸팅(tiltimg)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어레이 스피커(SHa) 중 프론트 방향이 아닌, 리어 방향이 상승하여, 틸팅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프론트 방향과, 천장(500)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어레이 스피커(SHa)로부터의 제2 사운드가 출력되게 된다.
한편, 도 11a는, 신호처리장치(300)의 상측에, 어레이 스피커(SHb)가 위치하는 영역에, 덮개(1100)가 덮혀 있는 상태를 예시한다.
한편, 도 11b는, 덮개(1100)가,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열리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11c는, 어레이 스피커(SHb)가,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팝업(pop up)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11d는, 어레이 스피커(SHb)가, 틸팅 수단(미도시)에 의해, P2 위치에서, 틸팅(tiltimg)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프론트 방향과, 천장(500)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어레이 스피커(SHb)로부터의 제2 사운드가 출력되게 된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일반 스피커와 어레이 스피커 간의 지향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먼저, 도 12a는 어레이 스피커가 아닌 일반 스피커로부터의 사운드 신호에 대한 공간(0도 내지 180도) 대비 감도(dB)에 대한 도면이다.
일반 스피커로부터의 사운드의 주파수가, 500Hz 에서 5KHz로 높아져도, 공간 내에서, 사운드의 감도 변화는 거의 없게 된다. 즉, 일반 스피커로부터의 사운드는, 지향성이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1 스피커 유닛(185a)은, 도 12a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 도 12b는, 어레이 스피커(SHa,SHb)로부터의 사운드 신호에 대한 공간(0도 내지 180도) 대비 감도(dB)에 대한 도면이다.
어레이 스피커(SHa,SHb)로부터의 사운드의 주파수가, 500Hz 에서 5KHz로 높아지는 경우, 공간 내에서, 사운드의 감도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어레이 스피커(SHa,SHb)로부터의 사운드의 주파수가 높은 경우, 지향성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향성이 좋은 복수의 스피커(Sa1~Sa7)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SHa)(array speaker)를 사용함으로써,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500)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스피커 유닛(185b)이, 지향성이 좋은 고주파의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500)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디스플레이;
    프론트 방향으로 제1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스피커 유닛;
    천장 방향으로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에서 출력되는 제2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에서 출력되는 제1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 보다,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 유닛 내의 증폭기의 게인(gain)이, 상기 제1 스피커 유닛 내의 증폭기의 게인(gain)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은,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와, 상기 제1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운드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와, 상기 제2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운드를 출력하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해 오디오 디코딩을 수행하는 오디오 디코더;
    상기 오디오 디코더로부터의 제1 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하여, 제2 채널의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다운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오디오 신호와, 제1 오디오 신호가 필터링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은,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와, 상기 제1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운드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와, 상기 제2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운드를 출력하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해 오디오 디코딩을 수행하는 오디오 디코더;
    상기 오디오 디코더로부터의 제1 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하여, 제2 채널의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다운 믹서;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은,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와, 상기 제1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운드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와, 상기 제2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운드를 출력하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의 주파수 대역 보다, 상기 제2 필터의 주파수 대역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적어도 3개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제1 그룹의 제1 내지 제2 스피커와,
    제2 그룹의 제3 내지 제5 스피커와,
    제3 그룹의 제6 내지 제7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상기 천장과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그룹의 제1 내지 제2 스피커가, 제1 시간에 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그룹의 제3 내지 제5 스피커가,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에 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제3 그룹의 제6 내지 제7 스피커가, 상기 제2 시간 이후의 제3 시간에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상기 프론트 방향과, 상기 천장 방향 사이를 지향하도록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상기 신호 처리 장치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상기 신호 처리 장치의 덮개가 열린 후, 팝업, 및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디스플레이;
    프론트 방향으로 제1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스피커 유닛;
    천장 방향으로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 보다, 상기 제2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 유닛 내의 증폭기의 게인(gain)이, 상기 제1 스피커 유닛 내의 증폭기의 게인(gain)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커 유닛은,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와, 상기 제1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운드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피커 유닛은,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와, 상기 제2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운드를 출력하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의 주파수 대역 보다, 상기 제2 필터의 주파수 대역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 유닛 내의 복수의 스피커 중,
    제1 그룹에 속하는 스피커는, 제1 시간에 사운드를 출력하고,
    제2 그룹에 속하는 스피커는,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에 사운드를 출력하고,
    제3 그룹에 속하는 스피커는, 상기 제2 시간 이후의 제3 시간에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60123136A 2016-07-26 2016-09-26 영상표시장치 KR20180033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136A KR20180033771A (ko) 2016-09-26 2016-09-26 영상표시장치
US15/659,485 US20180048846A1 (en) 2016-07-26 2017-07-25 Image display apparatus
CN201780058937.6A CN109792576B (zh) 2016-07-26 2017-07-26 图像显示设备
PCT/KR2017/008030 WO2018021813A1 (en) 2016-07-26 2017-07-26 Image display apparatus
EP17834754.8A EP3491840B1 (en) 2016-07-26 2017-07-26 Imag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136A KR20180033771A (ko) 2016-09-26 2016-09-26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771A true KR20180033771A (ko) 2018-04-04

Family

ID=6101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136A KR20180033771A (ko) 2016-07-26 2016-09-26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48846A1 (ko)
EP (1) EP3491840B1 (ko)
KR (1) KR20180033771A (ko)
CN (1) CN109792576B (ko)
WO (1) WO20180218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857B1 (ko) * 2020-02-17 2021-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5247A1 (fr) * 2018-08-27 2020-02-28 Screen Excellence Ltd Dispositif de sonorisation d'un ecran video par reflexion
CN112672084A (zh) * 2019-10-15 2021-04-16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扬声器音效调整方法
KR20210142393A (ko) 2020-05-18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3912A3 (de) 1987-08-14 1989-10-18 EWD Electronic-Werke Deutschland GmbH Tiefton-Lautsprecherbox
JPH01149698A (ja) * 1987-12-07 1989-06-12 Fujitsu General Ltd 音響装置
DE3829278A1 (de) * 1988-08-30 1990-03-01 Telefunken Fernseh & Rundfunk Lautsprecheranordnung fuer einen hdtv-fernsehempfaenger
AT394124B (de) * 1989-10-23 1992-02-10 Goerike Rudolf Fernsehempfangsgeraet mit stereotonwiedergabe
JPH06165084A (ja) * 1992-11-25 1994-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多チャンネル音声再生装置
JPH06197293A (ja) * 1992-12-25 1994-07-15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セットのスピーカシステム
US6229899B1 (en) * 1996-07-17 2001-05-08 American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eveloping a virtual speaker distant from the sound source
JP3314730B2 (ja) * 1998-08-05 2002-08-12 ヤマハ株式会社 音声再生装置および通信会議装置
GB9926096D0 (en) * 1999-11-04 2000-01-12 New Transducers Ltd Audio-visual apparatus
JP4127248B2 (ja) * 2004-06-23 2008-07-30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アレイ装置及びスピーカアレイ装置の音声ビーム設定方法
JP2006109241A (ja) * 2004-10-07 2006-04-20 Nikon Corp 音声出力装置、映像表示装置
US7606380B2 (en) * 2006-04-28 2009-10-20 Cirrus Logic, Inc. Method and system for sound beam-forming using internal device speakers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speakers
US8675906B2 (en) * 2007-06-05 2014-03-18 Ka Wai Lau Flat panel speaker mounting system with remote operation
US8422720B2 (en) * 2008-02-15 2013-04-16 Bang & Olufsen A/S Speaker arrangement
KR101298487B1 (ko) * 2008-12-10 2013-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향성 음향 발생장치 및 방법
US20100158299A1 (en) * 2008-12-18 2010-06-24 Liu Chun I Position and directionality adjustable multi-range surround-sound speaker cabinet
KR101681780B1 (ko) * 2010-08-12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시스템
CN104954953B (zh) * 2011-04-14 2017-11-21 伯斯有限公司 定向响应式的声学驱动器操作
JP5640911B2 (ja) * 2011-06-30 2014-12-17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アレイ装置
US8811630B2 (en) * 2011-12-21 2014-08-19 Sonos,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to filter audio
KR101956154B1 (ko) * 2012-07-25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CN104604256B (zh) * 2012-08-31 2017-09-15 杜比实验室特许公司 基于对象的音频的反射声渲染
EP2891338B1 (en) * 2012-08-31 2017-10-2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ystem for rendering and playback of object based audio in various listening environments
TWI635753B (zh) * 2013-01-07 2018-09-11 美商杜比實驗室特許公司 使用向上發聲驅動器之用於反射聲音呈現的虛擬高度濾波器
JP6414459B2 (ja) * 2014-12-18 2018-10-31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アレ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857B1 (ko) * 2020-02-17 2021-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1840A1 (en) 2019-06-05
CN109792576B (zh) 2021-06-08
EP3491840A4 (en) 2020-04-22
CN109792576A (zh) 2019-05-21
EP3491840B1 (en) 2022-09-28
US20180048846A1 (en) 2018-02-15
WO2018021813A1 (en)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28170B (zh) 图像显示装置
CN107071532B (zh) 图像显示装置
KR201501163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0782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491840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14721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02487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1330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70119572A (ko) 이동 단말기
KR102444150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254857B1 (ko) 영상 표시 장치
KR102295970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02623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3689810A (zh) 图像显示设备及其方法
KR20160081650A (ko) 영상제공장치
KR10183684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4581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6006247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60039479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92035A (ko) 무선 수신 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230168344A (ko)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230116662A (ko) 영상표시장치
KR10182566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4742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3060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