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725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725A
KR20190007725A KR1020170089083A KR20170089083A KR20190007725A KR 20190007725 A KR20190007725 A KR 20190007725A KR 1020170089083 A KR1020170089083 A KR 1020170089083A KR 20170089083 A KR20170089083 A KR 20170089083A KR 20190007725 A KR20190007725 A KR 20190007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isplay
cables
unit
transparen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504B1 (ko
Inventor
정찬성
박상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504B1/ko
Priority to US16/033,113 priority patent/US10488576B2/en
Priority to PCT/KR2018/007883 priority patent/WO2019013560A1/en
Publication of KR20190007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76Diffractive Fresnel lenses; Zone plates; Kinofor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로,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와,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광학 시트는, 복수의 케이블 상에 형성되는 프레넬 패턴과, 복수의 케이블 사이에 형성된 투명 격벽을 구비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케이블에서 투명 격벽 방향으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작아진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와 신호 처리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와 신호 처리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가시광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의 대형화, 고급화 경향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로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처리 장치가 이격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와, 신호 처리 장치 사이에 케이블이 배치되어야 하는데, 케이블 색상으로 인하여, 심미적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와 신호 처리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로,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와,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광학 시트는, 복수의 케이블 상에 형성되는 프레넬 패턴과, 복수의 케이블 사이에 형성된 투명 격벽을 구비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케이블에서 투명 격벽 방향으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작아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로,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와,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광학 시트는, 복수의 케이블 상에 형성되는 프레넬 패턴과, 복수의 케이블 사이에 형성된 투명 격벽을 구비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복수의 골의 가상 연장선은 비구면 곡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로,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와,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광학 시트는, 복수의 케이블 상에 형성되는 프레넬 패턴과, 복수의 케이블 사이에 형성된 투명 격벽을 구비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케이블에서 투명 격벽 방향으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작아진다.
이에 따라, 케이블 전면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케이블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와 신호 처리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게 된다.
프레넬 패턴에 의해, 렌즈와 같은 효과가 구현되며, 특히, 복수의 골의 가상 연장선은 비구면 곡선으로서, 투명 격벽에서 케이블 방향으로 갈수록, 골의 깊이가 커짐으로써, 광의 굴절율이 더 커져, 케이블의 전면에서, 케이블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이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한편, 케이블의 폭 보다, 프레넬 패턴의 폭이 더 크도록함으로써, 프레넬 패턴에 의한 광의 굴절로 인하여, 투명 격벽이, 확대가 되어, 케이블 상부에 표시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학 시트 내의 패턴부의 폭 보다 베이스부의 높이가, 더 크도록 설정함으로써, 케이블 주변의 투명 격벽으로부터의 광의 열화가 저감되게 된다.
또한, 케이블의 폭 보다, 베이스부의 높이가, 더 크도록 설정함으로써, 케이블 주변의 투명 격벽으로부터의 광의 열화가 저감되게 된다.
한편,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투명 격벽에서 케이블 방향으로 갈수록, 산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광의 굴절이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블의 폭 보다, 투명 격벽의 폭이 더 크도록 설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와 신호 처리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게 된다.
한편, 광학 시트는, 투명 격벽 및 케이블과, 베이스부 사이에 형성된 에어 갭을 더 포함함으로써,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열이, 에어 갭을 통해, 방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가,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한 포인터 이미지를,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로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포인터 이미지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로,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와,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광학 시트는, 복수의 케이블 상에 형성되는 프레넬 패턴과, 복수의 케이블 사이에 형성된 투명 격벽을 구비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복수의 골의 가상 연장선은 비구면 곡선이다. 이에 따라, 케이블 전면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케이블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전면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케이블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와 신호 처리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한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L-L'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의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3의 Area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복수의 프레넬 패턴의 중 어느 한 프레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4의 복수의 프레넬 패턴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광학 시트의 성능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복수의 케이블 양단의 접속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I-I'의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9는 도 8의 Area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의 I-I'의 단면도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1은 도 1의 I-I'의 단면도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4a는 도 1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 디스플레이(180)와 이격되며, 디스플레이(180)로,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300)와, 신호 처리 장치(300)로부터의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CABa~CABe)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케이블(CABa~CABe)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프레넬 패턴이 형성된 광학 시트(400)를 채용한다.
광학 시트(400)는, 복수의 케이블(CABa~CABe) 상에 형성되는 프레넬 패턴(410)과, 복수의 케이블(CABa~CABe) 사이에 형성된 투명 격벽(BWo,BWa~BWe)을 구비하며, 프레넬 패턴(410)은, 복수의 산(Pm)과 골(Pv)을 구비하며, 케이블(CABa~CABe)에서 투명 격벽(BWo,BWa~BWe) 방향으로 갈수록, 산(Pm)과 골(Pv)의 깊이 차가 작아진다.
이에 따라, 케이블(CABa~CABe) 전면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케이블(CABa~CABe)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BWo,BWa~BWe)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CABa~CABe)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게 된다.
프레넬 패턴(410)에 의해, 렌즈와 같은 효과가 구현되며, 특히, 복수의 골의 가상 연장선은 비구면 곡선으로서, 투명 격벽(BWo,BWa~BWe)에서 케이블(CABa~CABe) 방향으로 갈수록, 골의 깊이가 커짐으로써, 광의 굴절율이 더 커져, 케이블(CABa~CABe)의 전면에서, 케이블(CABa~CABe)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BWo,BWa~BWe)이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는, 원격제어장치(도 12dml 200)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한 포인터 이미지를, 케이블(CABa~CABe)을 통해,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포인터 이미지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복수의 케이블(CABa~CABe)은, 전원 케이블, 비디오 케이블, 제어 신호 케이블 등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그 중 열이 많이 발생하는 전원 케이블은, 가장 자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케이블은, CABa, 또는 CABe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는, 프론트 방향으로 제1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천장(500) 방향으로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전면 방향에, 제1 스피커 유닛(185a)에 속하는 스피커(SFa,SFb)가 각각 배치되며, 신호 처리 장치(300)의 상측에, 제2 스피커 유닛(185b)에 속하는 어레이 스피커(SHa,SHb)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한편, 제1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제1 사운드는, 사용자 방향으로 출력되며, 제2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제2 사운드는, 천장(500) 방향으로 출력되며, 천장(500)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제1 사운드와 제2 사운드는, 서로 다른 방향의 사운드로서, 음향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제2 사운드의 지향성을 향상시기키 위해, 제2 스피커 유닛(185b)이, 복수의 스피커(Sa1~Sa7)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SHa)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는, 어레이 스피커(SHa)가, 7개의 스피커(Sa1~Sa7)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적어도 13개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레이 스피커의 지향성은, 일반 스피커 보다,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어레이 스피커(SHa)(array speaker)를 사용함으로써, 프론트 방향의 제1 사운드와 천장(500) 방향의 제2 사운드 간의 음향 간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한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L-L'의 단면도이다.
도 2a의 영상표시장치(100x)는, 도 1과 유사하게, 디스플레이(180b)와, 신호 처리 장치(300b)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180b)와, 신호 처리 장치(300b) 사이의 케이블(CABx)이 배치된다.
케이블(CABx)은, 도 1의 복수의 케이블이 모두 합쳐진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b와 같이, 케이블(CABx)의 색상 등에 의해, 심미적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케이블(CABx)의 색상이 검은 색인 경우, 심미적 효과가 상당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투명 케이블 구현을 위해, 유색의 복수의 케이블 사이에 투명 격벽을 배치하고, 복수의 케이블, 및 투명 격벽의 일부 상에, 광 굴절을 위한 프레넬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3은 도 1의 I-I'의 단면도의 일예이고, 도 4는 도 3의 Area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의 광학시트(400)는, 복수의 케이블(CABa~CABe) 상에 형성되는 프레넬 패턴(410)과, 복수의 케이블(CABa~CABe) 사이에 형성된 투명 격벽(BWo,BWa~BWe)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 시트(400)는, 투명 격벽(BWo,BWa~BWe 또는 430)에 형성된 홈(Ha~He)을 구비할 수 있으며, 홈(Ha~He)에, 케이블(CABa~CABe)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시트(400)는, 투명 격벽(BWo,BWa~BWe) 및 케이블(CABa~CABe) 상에 형성된 베이스부(420)와, 베이스부(420) 상에 형성된, 복수의 프레넬 패턴(410a~410e)을 구비할 수 있다.
각 프레넬 패턴(410a~410e은, 복수의 산(Pma1~PMn, PMb1~PMn)과 골(Pva1~Pvn, PVb1~PVn)을 구비하며, 케이블(CABa~CABe)에서 투명 격벽(BWo,BWa~BWe)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산(Pma1~PMn, PMb1~PMn)과 골(Pva1~Pvn, PVb1~PVn)의 깊이 차(DPn~Dpa1, Dpn~Dpb1)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특히, 케이블(CABa~CABe)의 중심(nef)으로부터 투명 격벽(BWo,BWa~BWe)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산(Pma1~PMn, PMb1~PMn)과 골(Pva1~Pvn, PVb1~PVn)의 깊이 차(DPn~Dpa1, Dpn~Dpb1)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도 4의 확대 도면과 같이, 케이블(CABa~CABe)에서 투명 격벽(BWo,BWa~BWe)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산(Pma1~PMn, PMb1~PMn)의 높이는 일정하고, 골(Pva1~Pvn, PVb1~PVn)의 높이가 높아져, 결국, 산과 골의 깊이 차(DPn~Dpa1, Dpn~Dpb1)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케이블(CABa~CABe)에서 투명 격벽(BWo,BWa~BWe)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산(Pma1~PMn, PMb1~PMn)과 골(Pva1~Pvn, PVb1~PVn)의 깊이 차(DPn~Dpa1, Dpn~Dpb1)가 작아지므로, 투명 격벽(BWo,BWa~BWe)에서, 케이블(CABa~CABe) 방향으로 갈수록, 광의 굴절이 더 커지게 되어, 케이블(CABa~CABe)의 전면에서, 케이블(CABa~CABe)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BWo,BWa~BWe)이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투명 격벽(BWo,BWa~BWe)에서 케이블(CABa~CABe)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산(Pma1~PMn, PMb1~PMn)과 골(Pva1~Pvn, PVb1~PVn)의 깊이 차(DPn~Dpa1, Dpn~Dpb1)가 커지므로, 투명 격벽(BWo,BWa~BWe)에서, 케이블(CABa~CABe) 방향으로 갈수록, 광의 굴절이 더 커지게 되어, 케이블(CABa~CABe)의 전면에서, 케이블(CABa~CABe)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BWo,BWa~BWe)이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CABa~CABe) 전면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케이블(CABa~CABe)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BWo,BWa~BWe)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CABa~CABe)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도 4의 확대 도면에서는, 투명 격벽(BWo,BWa~BWe)에서, 케이블(CABa~CABe) 방향으로 갈수록, 광의 굴절 각도가, θa,θb,θc로 점차 커지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4의 확대 도면과 같이, 케이블(CABa)에서 투명 격벽(BMo, BMa)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산(Pma1~PMn, PMb1~PMn)의 높이는 일정하고, 골(Pva1~Pvn, PVb1~PVn)의 높이가 높아지되, 복수의 골(Pva1~Pvn, PVb1~PVn)의 가상 연장선이 비구면 곡선(CURa,Curb)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케이블(CABa)에서 투명 격벽(BMo, BMa) 방향으로 갈수록, 골(Pva1~Pvn, PVb1~PVn)의 높이가 비선형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케이블(CABa)에서 투명 격벽(BMo, BMa) 방향으로 갈수록, 골(Pva1~Pvn, PVb1~PVn)의 높이의 변화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케이블(CABa)에서 투명 격벽(BMo, BMa) 방향으로 갈수록, 골(Pva1~Pvn, PVb1~PVn)의 높이의 변화가 점차 증가하므로, 즉, 높이가 비선형적으로 커지므로, 케이블(CABa)에서 투명 격벽(BMo, BMa) 방향으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410)에 의한 굴절율이, 비선형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블(CABa)에서 투명 격벽(BMo, BMa) 방향으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410)에 의한 굴절율이, 더 작아지게 된다.
즉, 투명 격벽(BMo, BMa)에서 케이블(CABa) 방향으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410)에 의한 굴절율이, 더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CABa~CABe)의 전면에서, 케이블(CABa~CABe)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BWo,BWa~BWe)이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특히, 광학 시트(400)에 별도의 광학 렌즈를 구비하지 않고도, 복수의 프레넬 패턴(fresnel pattern)을 이용함으로써, 광학 시트(400)의 두께가 얇아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케이블(CABa)의 폭(C) 보다, 프레넬 패턴(410a)이 형성된 프레넬 패턴(410a)의 폭(B)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프레넬 패턴(410a)이, 광학 시트(400)의 단부에 형성되며, 케이블(CABa)의 상부는 물론, 투명 격벽(BMo, BMa)의 일부의 상부에도, 형성됨으로써, 투명 격벽(BMo, BMa)에서 출력되는 광이, 프레넬 패턴(410)을 통해, 케이블(CABa) 방향으로 더 많이 굴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레넬 패턴(410a)은, 도 4와 같이, 음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광학 시트(400)의 전체 높이 중 일부 영역에 음각 형태로, 프레넬 패턴(410)이 형성되므로, 프레넬 패턴(410)의 마모 등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부(420)는, 실리콘(silic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굴절율은 대략 1.42일 수 있다.
한편, 투명 격벽(BMo, BMa 또는 430))은, 실리콘(silic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굴절율은 대략 1.42일 수 있다.
한편, 프레넬 패턴(410)의 굴절율은, 베이스부(420)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1.5 내지 1.8의 굴절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부(420)의 높이(A)는, 1 내지 5 mm 일 수 있다.
한편, 프레넬 패턴(410a)의 폭(B) 보다 베이스부(4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프레넬 패턴(410a)의 폭(B)이 커져, 케이블(CABa)은 물론, 투명 격벽(BMo, BMa)의 대부분 영역까지 확장되는 경우, 프레넬 패턴(410a)에 의해, 투명 격벽(BMo, BMa)에서 출력되는 광 중 케이블(CABa) 방향으로 굴절되는 광이 많아지므로, 투명 격벽(BMo, BMa)에서 출력되는 광의 열화가 발생한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프레넬 패턴(410)의 폭(B)은, 케이블(CABa)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나, 베이스부(420)의 높이(A)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넬 패턴(410)의 폭(B)이, 베이스부(420)의 높이(A) 보다 작은 경우, 즉, 프레넬 패턴(410)의 폭(B) 보다 베이스부(420)의 높이(A)가 더 큰 경우, 케이블(CABa)의 전면에서, 케이블(CABa)이 안 보이면서, 투명 격벽(BMo, BMa)에서 출력되는 광의 열화가 저감되게 된다.
한편, 케이블(CABa)의 폭(C) 보다, 베이스부(4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넬 패턴(410)의 폭(B) 보다 베이스부(4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므로, 케이블(CABa)의 전면에서, 케이블(CABa)이 안 보이면서, 투명 격벽(BMo, BMa)에서 출력되는 광의 열화가 저감되도록 하기 위해, 케이블(CABa)의 폭(C) 보다, 베이스부(4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블(CABa)의 폭(C) 보다, 투명 격벽(BMo, BMa의 폭(D)이 더 크도록 설정함으로써, 케이블(CABa)의 전면에서, 케이블(CABa)이 안 보이는 등, 즉, 케이블(CABa)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도 4의 복수의 프레넬 패턴의 중 어느 한 프레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4의 복수의 프레넬 패턴의 상면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프레넬 패턴(410)은, 산(Pm)과 골(Pv1,Pv2)을 구비할 수 있다.
골(Pv1)과 골(Pv2) 사이의 거리를 피치(pitch)라 정의할 수 있으며, 골(Pv2)과 수직선과의 각도를 θ1로서, 드래프트 각도(draft angle)라 정의하며, 골(Pv1)과 수평선과의 각도를 θ2로서, 프레넬 각도(fresnel angle)라 정의할 수 있으며, 산(Pm)의 내부 각도를 산의 각도(θn)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프레넬 패턴(410)은, 복수의 산(Pma1~PMn, PMb1~PMn)과 골(Pva1~Pvn, PVb1~PVn)을 구비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ABa)에서 투명 격벽(BMo, BMa) 방향으로 갈수록, 산(Pm)의 각도(θn)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CABa)에서 투명 격벽(BMo, BMa) 방향으로 갈수록, 산(Pm)의 각도(θn)가 커지는 경우, 즉, 투명 격벽(BMo, BMa)에서 케이블(CABa) 방향으로 갈수록, 산(Pm)의 각도(θn)가 작아지는 경우, 투명 격벽(BMo, BMa)에서 출력되는 광은, 프레넬 패턴(410)에 의해, 케이블(CABa) 방향으로 더 많이 굴절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CABa)의 전면에서, 케이블(CABa)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투명 격벽(BMo, BMa)이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한편, 도 5b에 따르면, 프레넬 패턴(410)에 의해, 명부 영역(Arb)과 암부 영역(Ard)으로 구분되게 된다. 도면에서는 암부 영역(Ard) 보다 명부 영역(Arb)의 폭이 더 넓은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5a에서 정의되는 프레넬 패턴(410) 내의 파라미터 중, 피치(pitch)가, 케이블(CABa)에서 투명 격벽(BMo, BMa)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암부 영역(Ard)이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CABa)의 전면에서, 투명 격벽(BMo, BMa)이 더 잘 보이게 된다. 즉, 케이블(CABa)을 인식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도 5a에서 정의되는 프레넬 패턴(410) 내의 파라미터 중, 드래프트 각도(θ1)가, 케이블(CABa)에서 투명 격벽(BMo, BMa)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암부 영역(Ard)이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CABa)의 전면에서, 투명 격벽(BMo, BMa)이 더 잘 보이게 된다. 즉, 케이블(CABa)을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도 6은 도 1의 광학 시트의 성능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영역(Pta)에는, 광학 시트(400)이 부착되지 않고, 제2 영역(Ptb)에는 상술한 광학 시트(400)가 부착된 것을 예시한다.
제1 영역(Pta)에는, 광학 시트(400)이 부착되지 않으므로, 케이블(CAba)이 그대로 인식되나, 제2 영역(Ptb)에는 상술한 광학 시트(400)가 부착되었기에, 투명 격벽(BMo, BMa)의 광 굴절로 인하여, 케이블(CAba)이 인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 사이의 복수의 케이블(CABa~CABe)이 보이지 않게 되여, 디스플레이(180)가 공중에 떠 있는 효과가 더욱 증대되며, 따라서, 심미적 효과도 증대되게 된다.
도 7은 도 1의 복수의 케이블 양단의 접속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케이블(CABa~CABe)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며, 복수의 케이블(CABa~CABe) 상에, 광학 시트(400)가 부착되도록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부(710)와, 접속부(710)와 복수의 케이블(CABa~CABe) 사이의 케이블들(CBa~CBe)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접속부(710)와, 케이블들(CBa~CBe)은, 디스플레이(180)의 후면에 배치되어, 전면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는,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접속부(720)와, 접속부(720)와 복수의 케이블(CABa~CABe) 사이의 케이블들(CBBa~CBBe)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접속부(710)와, 케이블들(CBBa~CBBe)은, 신호 처리 장치(300)의 후면에 배치되어, 전면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1의 I-I'의 단면도의 다른 예이고, 도 9는 도 8의 Area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8 및 도 9의 광학 시트(500)는, 도 3의 광학 시트(300)와 유사하나, 투명 격벽(BWo,BWa~BWe) 및 케이블(CABa~CABe)과, 베이스부(420) 사이에 형성된 에어 갭(425)을 더 포함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에어 갭(425)으로 인하여, 케이블(CABa~CABe)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의 광학 시트(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블(CABa~CABe) 상에 형성되는 프레넬 패턴(410)과, 복수의 케이블(CABa~CABe) 사이에 형성된 투명 격벽(BWo,BWa~BWe)을 구비하며, 프레넬 패턴(410)은, 복수의 산(Pm)과 골(Pv)을 구비하며, 케이블(CABa~CABe)에서 투명 격벽(BWo,BWa~BWe) 방향으로 갈수록, 산(Pm)과 골(Pv)의 깊이 차가 작아진다.
이에 따라, 케이블(CABa~CABe) 전면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케이블(CABa~CABe)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BWo,BWa~BWe)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CABa~CABe)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의 광학 시트(500)는, 프레넬 패턴(410)에 의해, 렌즈와 같은 효과가 구현되며, 특히, 복수의 골의 가상 연장선은 비구면 곡선으로서, 투명 격벽(BWo,BWa~BWe)에서 케이블(CABa~CABe) 방향으로 갈수록, 골의 깊이가 커짐으로써, 광의 굴절율이 더 커져, 케이블(CABa~CABe)의 전면에서, 케이블(CABa~CABe)이 보이지 않고, 투명 격벽(BWo,BWa~BWe)이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8 및 도 9의 광학 시트(500)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7의 설명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I-I'의 단면도의 또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0의 광학 시트(400b)는, 도 3의 광학 시트(400)과 유사하나, 프레넬 패턴(410a~410b)이, 양각으로 형성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도 3과 달리, 베이스부(420)의 높이 보다, 프레넬 패턴(410a~410b)의 높이가 더 높게 된다.
그 외는, 도 3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도 1의 I-I'의 단면도의 또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1의 광학 시트(500b)는, 도 8의 광학 시트(500)과 유사하나, 프레넬 패턴(410a~410b)이, 양각으로 형성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즉, 에어 갭(425)이 형성된 상태에서, 프레넬 패턴(410a~410b)이, 양각으로 형성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도 8과 달리, 베이스부(420)의 높이 보다, 프레넬 패턴(410a~410b)의 높이가 더 높게 된다.
도 1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도 12의 1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셋탑 박스(250)로부터의 방송 신호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도 12의 135)를 통해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2D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18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유닛(185a)과, 제2 스피커 유닛(185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피커 유닛(185b)은,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어레이 스피커(SHa,SHb)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2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1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포맷터(36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370),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또는 minl LVDS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 또는 소정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4a는 도 1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14a의 (b)), 앞뒤(도 1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1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4b는 도 1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1425), 사용자 입력부(1435), 센서부(1440), 출력부(1450), 전원공급부(1460), 저장부(1470), 제어부(1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1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1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1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1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1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1440)는 자이로 센서(1441) 또는 가속도 센서(1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1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1450)는 사용자 입력부(1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1450)는 사용자 입력부(1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1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1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1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1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4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1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1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1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1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1480)는 사용자 입력부(1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1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1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1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1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
    상기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 상에 형성되는 프레넬 패턴과, 상기 복수의 케이블 사이에 형성된 투명 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에서 상기 투명 격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패턴은,
    상기 케이블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투명 격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골의 가상 연장선은 비구면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패턴은,
    상기 투명 격벽의 일부, 및 상기 케이블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폭 보다, 상기 프레넬 패턴의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투명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배치되는 홈;
    상기 투명 격벽 및 상기 케이블 상에 형성된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투명 격벽 및 상기 케이블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형성된 에어 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패턴의 폭 보다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는, 1 내지 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폭 보다,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폭 보다, 상기 투명 격벽의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서 상기 투명 격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산의 각도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패턴은, 상기 광학 시트 상에 음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패턴은, 상기 광학 시트 상에 양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한 포인터 이미지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전원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
    상기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 상에 형성되는 프레넬 패턴과, 상기 복수의 케이블 사이에 형성된 투명 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골의 가상 연장선은 비구면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폭 보다, 상기 투명 격벽의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서 상기 투명 격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산의 각도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70089083A 2017-07-13 2017-07-13 영상표시장치 KR10243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83A KR102431504B1 (ko) 2017-07-13 2017-07-13 영상표시장치
US16/033,113 US10488576B2 (en) 2017-07-13 2018-07-11 Image display apparatus
PCT/KR2018/007883 WO2019013560A1 (en) 2017-07-13 2018-07-12 IMAG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83A KR102431504B1 (ko) 2017-07-13 2017-07-13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725A true KR20190007725A (ko) 2019-01-23
KR102431504B1 KR102431504B1 (ko) 2022-08-10

Family

ID=6499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083A KR102431504B1 (ko) 2017-07-13 2017-07-13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88576B2 (ko)
KR (1) KR102431504B1 (ko)
WO (1) WO2019013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7488A (zh) * 2020-08-20 2023-04-21 应用材料公司 Oled光场架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1525A (en) * 1988-10-05 1990-03-27 Hicks John W Optical communication cable
KR101103282B1 (ko) * 2009-10-26 2012-01-10 엔타이어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광학 박막 및 그 제조방법과 백라이트 모듈
KR20120131258A (ko) * 2011-05-25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50170793A1 (en) * 2012-07-05 2015-06-18 Sony Corporation Cable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567A (ja) 2000-07-25 2002-0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22044Y1 (ko) 2006-05-03 2006-07-24 주식회사 넥시스파노라마 전선 은폐용 패널
KR101136862B1 (ko) 2006-05-29 201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선은폐장치 및 이를 갖춘 전기기기
JP4962531B2 (ja) 2009-06-17 2012-06-27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用ケーブルおよび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1525A (en) * 1988-10-05 1990-03-27 Hicks John W Optical communication cable
KR101103282B1 (ko) * 2009-10-26 2012-01-10 엔타이어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광학 박막 및 그 제조방법과 백라이트 모듈
KR20120131258A (ko) * 2011-05-25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50170793A1 (en) * 2012-07-05 2015-06-18 Sony Corporation Cable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3560A1 (en) 2019-01-17
KR102431504B1 (ko) 2022-08-10
US10488576B2 (en) 2019-11-26
US20190020842A1 (en)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43733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5773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1163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4013272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90042373A (ko) 영상표시장치
KR20180033771A (ko) 영상표시장치
KR20170109437A (ko) 영상표시장치
KR102431504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5011630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114813A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13792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254857B1 (ko) 영상 표시 장치
KR2016006301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295970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10056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29553A (ko) 영상표시장치
KR10183684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94267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90041088A (ko) 영상표시장치
KR10194581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7880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81650A (ko) 영상제공장치
KR2014006327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14524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4742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