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157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157A
KR20190022157A KR1020170108093A KR20170108093A KR20190022157A KR 20190022157 A KR20190022157 A KR 20190022157A KR 1020170108093 A KR1020170108093 A KR 1020170108093A KR 20170108093 A KR20170108093 A KR 20170108093A KR 20190022157 A KR20190022157 A KR 20190022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isplayed
remote contro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877B1 (ko
Inventor
홍석현
서일호
최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877B1/ko
Priority to US16/111,595 priority patent/US10613587B2/en
Priority to EP18190673.6A priority patent/EP3447633A1/en
Priority to CN201810979071.9A priority patent/CN109427256B/zh
Publication of KR2019002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157A/ko
Priority to US16/808,785 priority patent/US1100321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6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booting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와,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영상 표시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롤링 업(rolling up)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 중에 원격제어장치에 미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 중에 원격제어장치에 미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가시광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의 대형화, 고급화 경향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점점 커질수록, 전력 소비가 증가되며, 영상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로 인하여, 심미적인 효과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가변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 중에 원격제어장치에 미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와,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영상 표시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롤링 업(rolling up)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와,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영상 표시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롤링 업(rolling up)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와,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영상 표시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롤링 업(rolling up)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 중에 원격제어장치에 미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링 업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인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심리스(seamless)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영상 및 채널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채널 리스트 중 어느 한 채널이 선택된 이후,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 대신에,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영상을, 롤링 업 완료 후, 바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링 업 중,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롤링 업 중,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바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링 업 중, 시간에 따라,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 많은 영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링 업 중,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추천 컨텐츠 정보 또는 선호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추천 컨텐츠 정보 또는 선호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이후,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롤링 업 완료 후,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영상을 바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와,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영상 표시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롤링 업(rolling up)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 중에 원격제어장치에 미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d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15c는 도 6의 동작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300)에, 개구부(15)가 형성되며, 개구부(15)를 통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rolling up)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처리 장치(300)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를 구동하는 구동부(도 2의 17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구동부(도 2의 175)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감기는 롤러(미도시)와,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a는, 신호 처리 장치(300) 내에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권취되어, 개구부(15)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신호 처리 장치(300)는, 대기 모드로서, 일부 유닛만 동작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도 1b는, 구동부(도 2의 175)의 동작에 의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1의 높이인 것을 가지며, 개구부(15) 외부로 노출된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c는, 구동부(도 2의 175)의 동작에 의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2의 높이인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d는, 구동부(도 2의 175)의 동작에 의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3의 높이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175)와,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와,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rolling up)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하며,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미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링 업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인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심리스(seamless)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175)와,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와,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rolling up)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하며,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미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러블 디스플레이(180)는, 플렉서블 가능한 디스플레이로서,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은, 복수의 스캔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며, 각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각각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픽셀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의 픽셀 회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1),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트랜지스터(SW2),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1)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Vdscan)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트랜지스터(SW2)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SW2)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트랜지스터(SW2)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트랜지스터(SW2)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유기발광층(OLED)은,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RGBW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픽셀(sub pixell)은, 유기발광층(OLED)에서 모두 백색의 광을 출력하나,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색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컬러필터가 구비된다. 즉,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각각 녹색,적색,청색 컬러필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백색 서브픽셀의 경우, 백색광을 출력하므로, 별도의 컬러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는, 프론트 방향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유닛(185a)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전면 방향에, 스피커 유닛(185a)에 속하는 스피커(SFa,SFb)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사용자 방향으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1d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니터, TV,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d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300)는, 튜너부(110)와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오디오 출력부(185), 구동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방송 수신부(105) 내에, 튜너부(110)와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2D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구동부(175)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감기는 롤러(미도시)와,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75)에 의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 또는 롤링 다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며, 플렉시블 또는 롤러블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18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185a)을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포맷터(36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370),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또는 minl LVDS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 또는 소정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의 (b)), 앞뒤(도 4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1425), 사용자 입력부(1435), 센서부(1440), 출력부(1450), 전원공급부(1460), 저장부(1470), 제어부(1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1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1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1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1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1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1440)는 자이로 센서(1441) 또는 가속도 센서(1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1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1450)는 사용자 입력부(1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1450)는 사용자 입력부(1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1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1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1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1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80)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4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1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1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1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1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1480)는 사용자 입력부(1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1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1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1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1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a 내지 도 15c는 도 6의 동작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에 전원키 등이 동작하는 경우(S610),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전원 온 입력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에 전원키 등이 동작하여, 전원 온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영상표시 입력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620).
이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영상표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622).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영상표시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25).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rolling up)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 가변 중 표시할 영상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30).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표시할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32).
다음,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1480)는,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35).
이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미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 가변 이 완료된 경우(S640), 표시할 영상을, 한편, 롤링 업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45).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표시할 영상 정보를, 더 이상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심리스(seamless)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전원 온 입력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와 원격제어장치(200)는, 페어링 신호와 페어링 응답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페어링 완료 이후, 영상 표시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표시할 영상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페어링 완료 이후, 영상 표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표시할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가변 중, 특히,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신호 처리된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미러링(mirroring)에 의해,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완료 후, 미러링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링 업 완료 후, 원격제어장치(200)로 표시할 영상 정보를, 더 이상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a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소정 키 동작 등에 의해,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영상표시 입력이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7a는, 영상표시 입력 수신시,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300) 내에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권취되어, 개구부(15)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영상표시 입력 전송에 대응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영상표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 입력을 위한 소정 키는, 전원 키, 외부 입력키 등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키가 동작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 입력이 전송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전원 온 입력에 의해, 방송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할 수 있다. 결국, 전원 키에 의한 원 온 입력은, 방송 영상 표시 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외부 입력 키가 동작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로 외부 입력 표시 입력이 전송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외부 입력 표시 입력에 따라, 외부 입력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7b는, 영상표시 입력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되는 영상표시 입력에 따라, 도 7b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b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로 ha를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에는 어떠한 영상도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링 업 완료 후,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도 7b와 같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통신부(1420)를 통해,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제1 영상(710)을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미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롤링 업 중에도 시청할 영상을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제1 영상(710)에 대한 사운드(Sa,Sb)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상(710)에 대한 사운드(Sa,Sb)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스피커 유닛(185a)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710)에 대한 표시와 제1 영상에 대한 사운드의 출력이, 각각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과, 신호 처리 장치(300)의 스피커 유닛(185a)에서, 동기화되어, 수행되도록, 재생 싱크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과, 신호 처리 장치(300)의 스피커 유닛(185a)은, 각각 재생 싱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상(710)과 제1 영상에 대한 사운드(Sa,Sb)를 동기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7c는 도 7b와 유사하나,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a 보다 높은 hb인 것을 예시한다.
도 7c에 의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이므로,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에는 어떠한 영상도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제1 영상(710)을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제1 영상(710)에 대한 사운드(Sa,Sb)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d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인 hc 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인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7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링 업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인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서 표시되는 제1 영상(710)에 이어,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심리스(seamless)한 영상(720)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이 완료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더 이상, 영상 정보가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이 완료된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도 7d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747)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747)는, 타이틀 정보, 내용 정보 등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a 내지 도 7d와 유사하나, 다만,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이 표시되며, 원격제어장치(200)의 음향 출력 모듈(1455)을 통해,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8a는, 도 7a와 동일하게, 영상표시 입력이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3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8b는, 도 7b와 유사하게, 영상표시 입력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에는 어떠한 영상도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음향 출력 모듈(1455)을 통해, 제1 영상(710)에 대응하는 사운드(Saa,Sba)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영상 정보와 오디오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제1 영상(710)을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하면서, 음향 출력 모듈(1455)을 통해, 제1 영상(710)에 대응하는 사운드(Saa,Sba)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 도 8c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a 보다 높은 hb인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8d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인 hc 인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인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720)이 표시되며,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영상에 대한 사운드(Sca)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링 업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인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이 표시며,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사운드(Sca)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심리스(seamless)한 영상(720) 시청이 및 사운드(Sca) 청취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이 완료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며, 제1 영상에 대한 사운드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더 이상, 영상 정보와 오디오 정보가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 및 채널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7a 내지 도 7d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9a는 도 7a와 동일하게, 영상표시 입력이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3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b는, 도 7b와 유사하게, 영상표시 입력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에는 어떠한 영상도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912), 및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913,915,917)를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916)가,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CMa)와 썸네일 리스트(916)에 대한 정보(CMb)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제1 영상(912), 및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913,915,917)를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916)를,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CMa)를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원격제어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썸네일 리스트(916)에 대한 정보(CMb)를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원격제어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방식은, 미라캐스트(miracast) 통신 방식일 수 있으며, 제2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통신방 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CMa)와, 썸네일 리스트(916)에 대한 정보(CMb)를, 다른 통신 방식에 의해 전송함으로써, 각 정보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대용량의 제1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CMa)를, 안정적으로 원격제어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과 달리, 제1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CMa)는, 미러링 기법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되며, 썸네일 리스트(916)에 대한 정보(CMb)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아닌 외부 서버 등을 통해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대용량의 제1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CMa)를, 안정적으로 원격제어장치(200)가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9c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a 보다 높은 hb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913,915,917) 중 제1 썸네일 이미지(913)가 선택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제1 썸네일 이미지(913)에 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제1 썸네일 이미지(913)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에 도달하는 경우, 도 9d와 같이, 제1 영상(912)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지 않고, 제1 썸네일 이미지(913)에 대응하는 영상(9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d의 설명에서 기술되는 썸네일 리스트는, 방송 채널 리스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9b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912), 및 채널 리스트가,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9c와 같이, 채널 리스트 중 어느 한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도 9d와 같이, 제1 영상(912)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지 않고,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9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 사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선택이 가능하게 되며, 롤링 업 완료 후, 해당 채널의 방송 영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d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이 완료된 이후,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205)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d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이 완료된 이후,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제어하며, 대신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920)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도 9d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영상 관련 정보(921)와 채널 리스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9e는 도 9b의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처리장치(300)와 원격제어장치(200) 사이의 제1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CMa) 전송을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원격제어장치(200)의 소정키 동작에 의해,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처리장치(300)로 페어링 신호(Spa)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처리장치(300)는, 페어링 응답 신호(Srp)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러링을 위한 페어링이 완료될 수 있다.
다음,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처리장치(300)로, 제1 영상이 표시될 영역에 대한 정보, 표시 가능한 해상도 정보(Scap)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처리장치(300)는, 제1 영상이 표시될 영역에 대한 정보, 표시 가능한 해상도 정보(Scap)에 기초하여, 전송할 제1 영상에 대한 해상도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처리장치(300)는, 전송할 제1 영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 또는 전송할 제1 영상에 대한 셋업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처리장치(300)는, 미라캐스트 통신 방식 등에 의해,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등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표시될 제1 영상에 대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280)의 설정된 위치에, 설정된 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7a 내지 도 7d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10a는 도 7a와 동일하게, 영상표시 입력이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3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입력은, 홈 화면 표시 입력일 수 있다. 한편, 홈 화면은, 방송 영상 및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b는, 도 7b와 유사하게, 영상표시 입력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에는 어떠한 영상도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1005)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000)가,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1005)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000)를,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00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1005) 외에,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10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b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1005), 및 제1 영상(1002)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00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0c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a 보다 높은 hb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000) 내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1009)가 선택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1009)에 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1009)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에 도달하는 경우, 도 10d와 같이, 제1 영상(1002)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지 않고,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1009)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 사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 선택이 가능하게 되며, 롤링 업 완료 후,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20)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방송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80)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도 7a 내지 도 7d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11a는 도 7a와 동일하게, 영상표시 입력이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3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입력은, 홈 화면 표시 입력일 수 있다. 한편, 홈 화면은, 방송 영상 및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b는, 도 7b와 유사하게, 영상표시 입력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100)가, 표시되도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100)는, 기 저장된 내용으로서,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바로 표시가 가능하므로,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1112)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할 영상에 대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1112)을,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도 11c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a 보다 높은 hb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100)가 스케일링 업 되어, 스케일링 업 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100b)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고,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1112)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에 도달하는 경우, 도 11d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홈 화면(1120)이 표시될 수 있다.
홈 화면(1120)은, 표시할 영상인 방송 영상(1122)과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10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인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더 이상 영상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인 경우, 도 11d와 같이,원격제어장치(200)에서 수신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방송 영상(1122) 또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100) 상에 포인터(205)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 보다 낮은 제2 높이(ha)인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롤링 업 중,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2 높이(ha) 보다 높은 제3 높이(hb)인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 및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에 도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썸네일 리스트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a 내지 도 12h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2a 내지 도 12h 중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7a 내지 도 7d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12a는 도 7a와 동일하게, 영상표시 입력이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3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2b는, 도 7b와 유사하게, 영상표시 입력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에는 어떠한 영상도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1210)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할 영상에 대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제1 영상(1210)을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중,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 특히 높이에 비례하여, 원겨제어장치(200)에 더 많은 정보 또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도 12c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a 보다 높은 hb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1210b) 및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1230b)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c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가 가로 모드인 경우를 예시하나, 이와 달리 세로 모드인 경우에도,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 및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1230b)가 표시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완료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에 도달하는 경우, 도 12d와 같이, 표시할 영상(1122)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제1 영상이 표시되지 않고,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1230)만 그대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 완료 후, 사용자는, 표시되는 해당 영상(1122)을 시청하면서, 원격제어장치(200)에 표시되는 썸네일 리스트(1230) 내의 소정 썸네일 항목 등을 확인 또는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c 및 도 12d에 도시된 썸네일 리스트(1230b)는, 제1 영상(1210b)이 방송 영상인 경우, 제1 영상(1210b)과 다른 채널의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일 수 있다.
또는, 도 12c 및 도 12d에 도시된 썸네일 리스트(1230b)는, 재생되는 제1 영상(1210b)이 VOD 영상인 경우, 제1 영상(1210b)의 시간 별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일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1480)는, 제1 영상(1210b)의 시간 별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 영상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썸네일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e 내지 도 12h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2e는 시간 별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1230) 중 제1 썸네일 영상(1232)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1480)는, 썸네일 리스트(1230) 중 제1 썸네일 영상(1232)이, 선택되는 경우, 도 12e와 같이, 영상 미리 보기 항목(1233)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f는 영상 미리 보기 항목(1233)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1480)는, 도 12g와 같이, 제1 썸네일 영상(1232)이 확대된 확대 영상(1232b)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2h는 제1 썸네일 영상(1232)이 확대된 확대 영상(1232b)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1480)는, 확대된 확대 영상(1232b)에 대한 재생 입력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확대된 확대 영상(1232b)에 대응하는 영상(1237)이 재생되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의 영상을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선택하고, 해당 시점의 영상을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e 내지 도 12h에서,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는 영상 등은, 미러링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2e 내지 도 12h에서,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1480)의 각 제어 동작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e의 썸네일 리스트(1230) 중 제1 썸네일 영상(1232)이, 선택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선택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12f와 같이, 영상 미리 보기 항목(1233)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미리 보기 항목(1233)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된 상태에서, 영상 미리 보기 항목(1233)이 선택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선택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12f와 같이, 확대 영상(1232b)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확대 영상(1232b)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된 상태에서, 확대 영상(1232b)이 선택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선택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12h와 같이, 확대 영상(1232b)dp 대응하는 영상(1237)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롤링 업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추천 컨텐츠 정보 또는 선호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추천 컨텐츠 정보 또는 선호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이후,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에 도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3a는 도 7a와 동일하게, 영상표시 입력이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3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는 소정 영상(131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3b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추천 컨텐츠 정보 또는 선호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1320)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추천 컨텐츠 정보 또는 선호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1320) 중 추천 컨텐츠 정보(13220)가 선택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추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추천 컨텐츠 정보 또는 선호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이후,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에 도달하는 경우, 도 13c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133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1330) 표시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영상 관련 정보(1340)가,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1330) 을 시청하면서, 관련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4a는 도 7a와 동일하게, 영상표시 입력이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3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는 소정 영상(131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4b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방송 영상 및 방송 영상 정보(1422)를 포함하는 화면(1420)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방송 영상 및 방송 영상 정보(1422)를 포함하는 화면(1420) 중 방송 영상이 선택되는 선택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방송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이 선택된 이후,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c)에 도달하는 경우, 도 14c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선택된 방송 영상(143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방송 영상(1430) 표시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채널 조절 항목, 볼륨 조절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144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 영상(1430) 을 시청하면서, 원격제어를 위한 항목을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5a는 도 7a와 동일하게, 영상표시 입력이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3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는 소정 영상(131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5b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추천 음악 정보 또는 선호 음악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1520)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추천 음악 정보 또는 선호 음악 정보 중 어느 하나(1522)가 선택된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해당 음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이 선택된 이후,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업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a)에 도달하는 경우, 도 15c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선택된 추천 음악 정보(1522)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추천 음악 정보(1522) 표시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추천 음악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Sa,Sb)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5c와 달리,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선택된 추천 음악 정보(1522)가 표시되고, 추천 음악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선택된 추천 음악 정보(1522)가 표시되는 중에, 원격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80)에, 음악 재생/정지 조절 항목, 볼륨 조절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154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선택된 추천 음악 정보(1522), 예를 들어, 가사 정보 등을 시청하면서, 재생 관련 메뉴(1540)를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15c에서 기술한 제1 높이는, 표시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따라서, 표시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롤링 업 완료 시의,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재생시의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가장 낮을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15c에서 기술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 내에, 영상표시장치(100)의 원격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도 1 내지 도 15c에서 기술한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영상 표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롤링 업(rolling up)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롤링 업 중,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롤링 업 중,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도록,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표시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인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링 업 중, 상기 제1 영상이,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링 업 중, 상기 제1 영상이,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음향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표시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인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음향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제1 영상 및 채널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상기 채널 리스트 중 어느 한 채널이 선택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표시할 영상 대신에,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링 업 중,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표시할 영상 대신에, 상기 선택된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링 업 중,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방송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방송 영상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영상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상에, 포인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링 업 중,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상기 제1 높이 보다 낮은 제2 높이인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롤링 업 중,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상기 제2 높이 보다 높은 제3 높이인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제1 영상 및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표시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썸네일 리스트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추천 컨텐츠 정보 또는 선호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인 경우, 상기 추천 컨텐츠 정보 또는 선호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 완료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음악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방송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채널 조절 항목, 볼륨 조절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0.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영상 표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롤링 업(rolling up)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롤링 업 중, 상기 디스플레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70108093A 2017-08-25 2017-08-25 영상표시장치 KR102420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093A KR102420877B1 (ko) 2017-08-25 2017-08-25 영상표시장치
US16/111,595 US10613587B2 (en) 2017-08-25 2018-08-24 Image display apparatus
EP18190673.6A EP3447633A1 (en) 2017-08-25 2018-08-24 Rollabl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remote controller
CN201810979071.9A CN109427256B (zh) 2017-08-25 2018-08-27 图像显示设备
US16/808,785 US11003218B2 (en) 2017-08-25 2020-03-04 Imag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093A KR102420877B1 (ko) 2017-08-25 2017-08-25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157A true KR20190022157A (ko) 2019-03-06
KR102420877B1 KR102420877B1 (ko) 2022-07-13

Family

ID=6340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093A KR102420877B1 (ko) 2017-08-25 2017-08-25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613587B2 (ko)
EP (1) EP3447633A1 (ko)
KR (1) KR102420877B1 (ko)
CN (1) CN109427256B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161A1 (ko) * 2020-01-09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72625A1 (ko) * 2020-02-27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94068A1 (ko) * 2020-03-24 2021-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91404A1 (ko) * 2021-03-08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250237A1 (ko) * 2021-05-28 2022-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074945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80264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80280A1 (ko) * 2021-11-05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US11822225B2 (en) 2021-03-08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96021B2 (en) 2020-11-20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xpandable display and content provision method
US12002346B2 (en) 2020-01-09 2024-06-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roller to wind or unwind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3244S1 (en) * 2017-09-29 2020-05-05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912637S1 (en) * 2018-04-27 2021-03-09 Lg Electronics Inc. HiFi audio and television receiver
WO2021117953A1 (ko) * 2019-12-13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32757A1 (ko) * 2019-12-26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2601A1 (en) * 2011-03-21 2012-09-27 Bang & Olufsen A/S Assembly Of A Display Apparatus And A Remote Contro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Assembly
KR20140144029A (ko) * 2013-06-10 2014-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9481A (ko) * 2015-05-27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074A (ja) * 2002-02-25 2003-09-05 Konica Corp カメラ
US7463238B2 (en) * 2003-08-11 2008-12-09 Virtualblue, Llc Retractable flexible digital display apparatus
US7333219B2 (en) * 2005-03-29 2008-02-19 Mitutoyo Corporation Handheld metrology imaging system and method
KR20080040505A (ko) * 2006-11-03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RU114211U1 (ru) * 2008-11-10 2012-03-10 Пикс2о Корпорейшн Портативный светодиодный дисплей с большим экраном
CN101872539A (zh) * 2009-04-24 2010-10-27 北京华旗资讯数码科技有限公司 遥控器及其遥控目标电器的系统
CN101866623A (zh) * 2010-03-26 2010-10-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可避免开机等待的电泳显示装置及方法
TWI437875B (zh) * 2011-03-04 2014-05-11 Tung Fa Wu Instant Interactive 3D stereo imitation music device
BR112014015149A8 (pt) * 2011-12-28 2017-07-04 Sony Corp dispositivo de exibição, método para controle de exibição de um dispositivo de exibição, e, programa
CN102522055A (zh) * 2011-12-30 2012-06-27 彩虹集团公司 一种智能化展示系统及其控制方法
US9223348B2 (en) * 2012-02-03 2015-12-29 Lg Electronics Inc. Split keyboard modification for a pull-out flexible display
CN103399616A (zh) * 2013-07-02 2013-11-2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能改变显示区域的屏幕、移动终端、及其屏幕显示方法
KR102265333B1 (ko) * 2013-11-28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739896B (zh) * 2015-03-26 2019-06-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触控操作方法
KR102383737B1 (ko) * 2015-04-01 2022-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123620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42172A (ko) * 2015-06-02 201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85147B1 (ko) * 2015-07-06 202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26609B1 (ko) 2015-07-30 2023-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69625B1 (ko) * 2015-10-13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00060B1 (ko) * 2015-11-18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62121A (ko) * 2015-11-27 201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2601A1 (en) * 2011-03-21 2012-09-27 Bang & Olufsen A/S Assembly Of A Display Apparatus And A Remote Contro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Assembly
KR20140144029A (ko) * 2013-06-10 2014-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9481A (ko) * 2015-05-27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161A1 (ko) * 2020-01-09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2002346B2 (en) 2020-01-09 2024-06-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roller to wind or unwind display
WO2021172625A1 (ko) * 2020-02-27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94068A1 (ko) * 2020-03-24 2021-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10142B2 (en) 2020-03-24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996021B2 (en) 2020-11-20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xpandable display and content provision method
WO2022191404A1 (ko) * 2021-03-08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822225B2 (en) 2021-03-08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250237A1 (ko) * 2021-05-28 2022-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074945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80264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80280A1 (ko) * 2021-11-05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27256A (zh) 2019-03-05
US10613587B2 (en) 2020-04-07
EP3447633A1 (en) 2019-02-27
US20200201395A1 (en) 2020-06-25
US20190064883A1 (en) 2019-02-28
CN109427256B (zh) 2022-09-02
US11003218B2 (en) 2021-05-11
KR102420877B1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321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03625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70677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78988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220116873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028353A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87745B1 (ko) 영상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20375425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23048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27061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90017273A (ko) 영상표시장치
KR102295970B1 (ko) 영상표시장치,
US1159417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96146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210056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30247260A1 (en) Mobile terminal
US20230362543A1 (en) Wireless audio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and system having same
KR20230116662A (ko) 영상표시장치
KR2012012118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97024A (ko) 영상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1925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