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806B1 -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806B1
KR102375806B1 KR1020200083621A KR20200083621A KR102375806B1 KR 102375806 B1 KR102375806 B1 KR 102375806B1 KR 1020200083621 A KR1020200083621 A KR 1020200083621A KR 20200083621 A KR20200083621 A KR 20200083621A KR 102375806 B1 KR102375806 B1 KR 10237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image
image
information
user termi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892A (ko
Inventor
박수빈
이정민
이정필
이석우
이현민
이상준
고지훈
김효종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806B1/ko
Priority to US17/369,072 priority patent/US11838569B2/en
Publication of KR2022000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8Monitoring of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또는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시간마다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영상 재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VIEWING RATE INFORMATION FOR EACH USER }
본 발명은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실시간 영상 및 녹화된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언택트(Untact) 문화의 확산에 따라 영상 플랫폼의 이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영상을 출력하는 대부분의 플랫폼에서는 영상 별 실시간 시청자수 또는 누적 시청자수 정보를 제공할 뿐, 영상을 시청한 시청자와 관련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녹화 방송을 송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누적 시청자수 정보를 이용하여 모집단을 기초로 한 시청률 정보를 제공할 뿐이다.
이에 따라 특정 시청자가 해당 영상의 어떤 구간을 시청했는지, 어떤 시청자들이 해당 영상을 시청하는지 등의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개개인의 영상 재생 정보를 획득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또는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시간마다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영상 재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영상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이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영상인 제1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이 상기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 이후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저장된 영상인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또는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타겟 영상 재생 권한의 유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또는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재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영상의 재생 시간을 기초로, 지정된 시간 구간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쌍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영상 재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및 상기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상기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및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누적 재생률 정보를 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확인 권한이 있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재생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타겟 영상의 특정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특정 재생 시간에 상기 타겟 영상을 재생한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또는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시간마다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영상 재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이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영상 제1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하고,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이 상기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 이후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저장된 영상인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타겟 영상 재생 권한의 유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또는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재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영상의 재생 시간을 기초로, 지정된 시간 구간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쌍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영상 재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및 상기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상기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및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누적 재생률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확인 권한이 있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재생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타겟 영상의 특정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특정 재생 시간에 상기 타겟 영상을 재생한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의 동작을 시계열 순서로 나열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을 동작 주체에 따라 나열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권한이 있는 사용자 단말에서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을 재생하지 않은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누적 재생률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재생률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0, 110a, 110b, 110c, 110d),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30) 및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0, 110a, 110b, 110c, 110d)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0, 110a, 110b, 110c, 110d)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시스템은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 및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 1(110)을 포함하고, 몇몇 실시예에서 영상을 업로드 하는 사용자 단말 2(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2(100)은 무라인 또는 유라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들(110a, 110b, 110c, 110d) 및/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 사용자 단말 1(110) 및 사용자 단말 2(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라인 인터넷, 무라인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라인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10)과 사용자 단말 2(100)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로 영상을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1(110)에서 영상을 업로드하고, 사용자 단말 2(100)에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영상을 업로드 및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영상을 업로드 하는 사용자 단말과 영상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이 반드시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되는 것은 아닐 수 있음에 유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1(110)은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권한이 있고, 사용자 단말 2(100)는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권한이 없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는 상술한 권한이 없는 사용자 단말 2(100)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을 업로드 하는 사용자 단말 1(110)은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획득하여 상술한 영상에 대한 다양한 시청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획득 권한은 상술한 영상의 업로드 여부와 무관하게 정해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관련 도면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는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기초로,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영상 및 해당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충분한 저장공간의 확보를 위해 영상 데이터의 경우 외부 서버 또는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는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를 더 이용하여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영상은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영상일 수도 있고, 저장된 영상일 수도 있다. 즉, 정해진 방송 시간 구간에 타겟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실시간 영상을 수신하고, 정해진 방송 시간 구간 이후에 타겟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저장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수신한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영상 재생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는 타겟 영상에 대하여 특정 재생 시간에 대한 사용자별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겟 영상의 특정 재생 시간에 대한 재생률 정보뿐 아니라, 특정 재생 시간에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본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영상 플랫폼 이용 패턴을 획득 및 분석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1(110), 사용자 단말 2(100) 및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는 메모리(101, 111, 121), 프로세서(102, 112, 122), 입출력 인터페이스(103, 113, 123) 및 통신 모듈(104, 114, 124)을 포함하고,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1(110) 및 사용자 단말 2(100)는 디스플레이(105, 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1, 111, 1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1, 111, 121)에는 사용자 단말(110)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설정, 영상, 사용자 정보 및 영생 재생 정보가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 112, 1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01, 111, 121) 또는 통신 모듈(104, 114, 124)에 의해 프로세서(102, 112, 1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 112, 122)는 메모리(101, 111, 1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의 프로세서(124)는 사용자 단말 2(100)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24)는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2(100)로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또는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4)는 사용자 단말 2(100)로부터 지정된 시간마다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영상 재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4, 114, 124)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112)가 메모리(1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114)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의 프로세서(1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네트워크를 거쳐 통신 모듈(104)을 통해 사용자 단말 2(100)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2(100)의 통신 모듈(104)을 통해 수신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사용자 단말 2(100)의 프로세서(102)나 메모리(10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사용자 단말 2(1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지만,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통신망일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3, 113, 123)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05, 115)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03, 113, 123)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112)는 메모리(1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나 사용자 단말 2(10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디스플레이(115)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 1(110), 사용자 단말 2(100) 및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12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1(110) 및 사용자 단말 2(100)는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충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의 동작을 시계열 순서로 나열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전술한 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은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에서 수행됨을 가정하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의 모든 단계가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의 수행 주체를 전자장치로 기재한다. 전술한 바, 전자장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서버일 수도 있다.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주체는 도 4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단계 S110에서 전자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타겟 영상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은 전술한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전자장치에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전자장치는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시간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의 수신한 시간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상술한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송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타겟 영상 요청 신호의 시간 정보가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는 상술한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 단말의 타겟 영상 재생 권한 유무, 사용자 단말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확인 권한 유무 및 사용자 단말의 이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술한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의 타겟 영상 재생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상술한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에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또는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는 일 실시예에서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단계 S140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1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단계 S130에서 사용자 단말로 상술한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이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영상인 제1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이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 이후인 경우,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저장된 영상인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실시간 영상과 저장된 영상을 별도의 타겟 영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컨텐츠의 영상이더라도 실시간 영상에 대한 타겟 영상 요청 신호와 저장된 영상에 대한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전자장치는 영상의 상태 정보는 고려할 필요 없이 상술한 타겟 영상 요청 신호에 포함된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 영상 재생 권한의 유무에 따라, 타겟 영상 재생 권한이 있는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또는 저장된 영상인 제1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하거나, 타겟 영상 재생 권한이 없는 사용자 단말로 제한된 영상인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한된 영상은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 또는 영상을 업로드 한 사용자 단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한된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된 영상은 전체 재생 구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하여만 재생을 허용한 형태의 영상, 화질을 제한한 형태의 영상 또는 별도의 권한 획득 페이지로 연결되는 영상과 같이 상술한 제1 상태와 상이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제2 상태의 타겟 영상과 제1 상태의 타겟 영상간 출력되는 상태에 있어 구별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는 사용자 단말이 재생한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들의 권한 정보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전자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시간마다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는 타겟 영상의 재생 시간을 기초로, 지정된 시간 구간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쌍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가 지정된 시간 구간마다 상술한 데이터 쌍을 획득하는 경우, 전자장치는 해당 데이터 쌍을 이용하여 재생 시간에 대한 사용자의 타겟 영상 재생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60에서 전자장치는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정보를 기초로,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타겟 영상의 상태에 따른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저장된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영상의 재생률 정보뿐 아니라, 재생 구간 정보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는 사용자 별로 실시간 영상에 대한 재생 구간과 저장된 영상에 대한 재생 구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영상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및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누적 재생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재생 구간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 영상 및 저장된 영상에 대하여 겹치지 않는 재생 구간 정보를 기초로 타겟 영상에 대한 누적 재생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관련 도면에서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을 동작 주체에 따라 나열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2은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이고, 사용자 단말 1는 타겟 영상을 영상 재생률 제공 서버에 업로드 하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지정된 권한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지정된 권한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 2 및 사용자 단말 1은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권한이 있는 사용자 단말 1에 한하여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하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1에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00에서 사용자 단말 1은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로 타겟 영상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10에서 사용자 단말 2이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로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단계 S220에서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이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단계 S221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 2로 제1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겟 영상은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 2로 실시간으로 송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계 S222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 2로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겟 영상은 저장된 영상으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 2로 상술한 타겟 영상의 정보가 한번에 모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실시간 영상과 저장된 영상을 별도의 타겟 영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컨텐츠의 영상이더라도 실시간 영상에 대한 타겟 영상 요청 신호와 저장된 영상에 대한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이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상술한 타겟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 2은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로 지정된 시간마다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일 실시예에서 특정 시간에 사용자 단말 2에서 수신한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영상 재생률 제공 서버는 단계 S240에서 제1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특정 시간에 사용자 단말 2에서 수신한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영상 재생률 제공 서버는 단계 S250에서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260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상술한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및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누적 재생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70에서 사용자 단말 1은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로 타겟 영상을 재생한 특정 사용자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280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 1로 타겟 영상을 재생한 특정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 2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 2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확인 권한이 있는 사용자 단말 1로부터 상기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2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1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290에서 사용자 단말 1은 타겟 영상의 재생 시간 중 특정 재생 시간 정보를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300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 1로 수신한 특정 재생 시간에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 2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정보는 사용자 단말 2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2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1로 상기 특정 재생 시간에 상기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단말 2의 사용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에 대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구성의 일 예시이다. 도시된 바는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GUI의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의 구성 및 형태가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로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상술한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타겟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영상의 실시간 방송 시간 구간에 사용자 단말(100)이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로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전달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 재생률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타겟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타겟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타겟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에는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표시 UI 객체(201), 해당 영상을 재생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정보 표시 UI 객체(202) 및 영상 플랫폼에 대한 다양한 설정 UI 객체(203)가 표시될 수 있고, 다른 사용자와의 대화를 위한 채팅 UI 객체(204)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에는 타겟 영상이 녹화된 영상인지, 실시간 송출되는 영상인지를 표시하는 UI 객체가 표시될 수 있고, 해당 영상의 재생 시간을 표시하는 UI 객체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영상을 재생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개수 또는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UI객체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타겟 영상을 재생 중이고, 현재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은 21개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커뮤니티 단위의 영상 플랫폼을 이용하여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해당 커뮤니티에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제공 서버는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중 커뮤니티에 가입된 사용자의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 정보 표시 UI 객체(20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현재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들의 사용자 정보(210)를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팝업 윈도우 형태로 표시한 경우를 도시한 예이다. 전술한 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현재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들의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 6에 도시된 GUI 구성 및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100)로 현재 타겟 영상을 재생중인 모든 사용자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술한 모든 사용자 중 특정 커뮤니티에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더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현재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211)는 21이며, 상술한 사용자 단말들 중 특정 커뮤니티에 가입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개수(212)는 18명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 단말(100)에 한하여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권한은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 영상 업로드 단말 또는 외부 서버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영상을 업로드 한 사용자 단말에 한하여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특정 커뮤니티에 가입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한하여 상술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에는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213)이 있는지 여부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권한이 있는 사용자 단말에서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저장된 상태의 타겟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의 GUI 구성의 일 예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은 권한이 있는 사용자 단말(100)에 한하여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UI 객체(223)를 표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르면 현재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과 후술되는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은 사용자 단말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여되는 별도의 권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실시간 방송 시간 구간 이후에 저장된 타겟 영상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에는 타겟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UI객체(224) 및 보관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UI객체(222)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타겟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은 타겟 영상의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에는 타겟 영상의 화질을 설정하기 위한 UI객체(221)가 표시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타겟 영상의 설정 변경을 위한 몇몇 UI 객체는 타겟 영상의 상태와는 무관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확인 권한이 있는 사용자 단말(100)의 경우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타겟 영상의 상태에 따른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상태의 타겟 영상을 재생한 경우 및 저장된 상태의 타겟 영상을 재생한 경우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GUI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영상 상태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재생률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확인 권한이 있는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에는 제1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확인을 위한 UI 객체(230),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확인을 위한 UI 객체(240)가 표시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타겟 영상을 재생하지 않은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UI객체(25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재생률을 확인하기 위한 특정 UI 객체(2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상태의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에는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 AAA의 재생률은 100% 이고(231), 사용자 BBB의 재생률은 51% 이고(232), 사용자 CCC의 재생률은 33% 이고, 사용자 DDD의 재생률은 100% 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저장된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재생률을 확인하기 위한 특정 UI 객체(24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저장된 상태의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에는 저장된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저장된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 EEE의 재생률은 100% 이고(241), 사용자 BBB의 재생률은 49% 이고(242), 사용자 CCC의 재생률은 80%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커뮤니티에 영상을 업로드 한 경우,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해당 커뮤니티에 가입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해당 커뮤니티에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고,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상술한 커뮤니티에 가입된 사용자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을 재생하지 않은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출력하면서, 각 사용자의 커뮤니티 가입 여부(233)와 관련된 별도의 UI 객체가 더 표시된 경우가 도시되어있다. 또한,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지정된 사용자 그룹 중 타겟 영상을 재생하지 않은 사용자 정보(251)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학급의 학생에게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는 선생님은 온라인 강의를 재생하지 않은 학생의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이 경우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선생님의 사용자 단말에 온라인 강의를 재생하지 않은 학생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실시간 타겟 영상에 대한 재생률이 51% 이고, 저장된 타겟 영상에 대한 재생률이 41%인 사용자 BBB의 누적 재생률이 100%가 될 수 있는지 문제가 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BBB가 일정부분 겹치는 구간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송출된 상태로도 재생하고, 저장된 상태로도 타겟 영상을 재생한 경우, 사용자 BBB의 실제 타겟 영상에 대한 재생률은 100% 미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타겟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시간마다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정보를 획득하고, 영상 재생 정보에 포함된 타겟 영상의 재생 구간 및 재생 시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실제 재생률을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누적 재생률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GUI 구성의 일 예시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재생률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서버는 제1 상태의 타겟 영상 및 제2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기초로, 타겟 영상에 대한 누적 재생률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누적 재생률을 확인하기 위한 특정 UI객체(26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누적 재생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에는 실시간 타겟 영상 및 저장된 타겟 영상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재생하거나 타겟 영상을 재생하지 않은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재생한 영상의 상태와 무관하게 타겟 영상 전체의 재생 구간에 대하여 사용자 AAA의 누적 재생률은 100%이고, 사용자 BBB의 누적 재생률은 100%이고, 사용자 CCC의 누적 재생률은 92%이고, 사용자 DDD의 누적 재생률은 100%이며, 사용자 GGG의 누적 재생률은 0%이다.
도 1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된 사용자별 누적 재생률 정보의 경우, 사용자 AAA와 사용자 DDD는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상태의 타겟 영상의 재생률이 100% 이므로 누적 재생률이 100%으로 도시되어 있고, 사용자 GGG의 경우 타겟 영상을 재생하지 않아 누적 재생률이 0%로 도시되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타겟 영상의 일부 구간 및 저장된 타겟 영상의 일부 구간을 재생한 사용자 BBB 및 사용자 CCC의 누적 재생률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 BBB는 실시간 송출 상태의 타겟 영상의 재생률이 51% 이고, 저장된 타겟 영상의 재생률이 49%이며, 타겟 영상에 대한 누적 재생률은 100%이다. 사용자 BBB의 경우 타겟 영상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상태에서 재생한 구간(301, 302)과 저장된 상태에서 재생한 구간(302, 303)이 겹치지 않으므로 누적 재생률이 100% 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사용자 CCC는 실시간 송출 상태의 타겟 영상의 재생률이 33%이고, 저장된 타겟 영상의 재생률이 80% 이지만, 타겟 영상에 대한 누적 재생률은 100% 미만이다. 사용자 CCC의 경우 타겟 영사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상태에서 재생한 구간(311, 313)과 저장된 상태에서 재생한 구간(312, 314)중 겹치는 구간(312, 313)이 존재하므로 누적 재생률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장치는 단순히 재생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률을 획득하지 않고, 실제 사용자의 재생 구간을 기초로 재생률을 획득하므로 보다 정확한 누적 재생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타겟 영상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에 대응되는 타겟 영상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타겟 영상의 재생 시간에 관한 영상 재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영상 재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타겟 영상의 재생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는 실시간 영상 재생 상태와 저장된 영상 재생 상태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각이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를 실시간 영상 재생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각이 상기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를 저장된 영상 재생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타겟 영상의 재생 권한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타겟 영상 재생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를 실시간 영상 재생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타겟 영상 재생 권한이 없는 경우,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를 저장된 영상 재생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영상의 재생 시간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각 마다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쌍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영상 재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실시간 영상 재생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및 상기 저장된 영상 재생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영상의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상기 실시간 영상 재생 상태의 타겟 영상 및 상기 저장된 영상 재생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누적 재생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확인 권한이 있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타겟 영상의 특정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특정 재생 시간에 상기 타겟 영상을 재생한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9.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타겟 영상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에 대응되는 타겟 영상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타겟 영상의 재생 시간에 관한 영상 재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영상 재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타겟 영상의 재생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재생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는 실시간 영상 재생 상태와 저장된 영상 재생 상태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각이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를 실시간 영상 재생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각이 상기 실시간 타겟 영상 방송 시간 구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를 저장된 영상 재생 상태로 결정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타겟 영상의 재생 권한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타겟 영상 재생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를 실시간 영상 재생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타겟 영상 재생 권한이 없는 경우,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를 저장된 영상 재생 상태로 결정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영상의 재생 시간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각 마다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쌍을 획득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영상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영상 재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실시간 영상 재생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및 상기 저장된 영상 재생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상기 실시간 영상 재생 상태의 타겟 영상 및 상기 저장된 영상 재생 상태의 타겟 영상에 대한 누적 재생률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장치.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확인 권한이 있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영상을 재생한 사용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타겟 영상의 특정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영상 재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특정 재생 시간에 상기 타겟 영상을 재생한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는,
    영상 재생률 정보 제공 장치.
  17.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83621A 2020-07-07 2020-07-07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21A KR102375806B1 (ko) 2020-07-07 2020-07-07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17/369,072 US11838569B2 (en) 2020-07-07 2021-07-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wise playing rate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21A KR102375806B1 (ko) 2020-07-07 2020-07-07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92A KR20220005892A (ko) 2022-01-14
KR102375806B1 true KR102375806B1 (ko) 2022-03-17

Family

ID=7917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621A KR102375806B1 (ko) 2020-07-07 2020-07-07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38569B2 (ko)
KR (1) KR1023758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9044B1 (en) * 2006-04-10 2011-12-13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rental control asset searching
US20100086277A1 (en) * 2008-10-03 2010-04-08 Guidework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leting viewed portions of recorded programs
US9930094B2 (en) 2012-03-27 2018-03-27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of Yonsei University Content complex providing server for a group of terminals
KR101335590B1 (ko) * 2012-03-27 2013-12-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단말에 대한 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553251B2 (en) * 2014-06-20 2023-01-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ent viewing tracking
US10397359B2 (en) * 2016-12-30 2019-08-27 Google Llc Streaming media cache for media streaming service
US10341735B2 (en) * 2017-11-06 2019-07-0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content service provider subscrip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92A (ko) 2022-01-14
US11838569B2 (en) 2023-12-05
US20220014801A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97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call using two-way communication of visual or auditory effect
EP33049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US20130311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rule-based interaction of portable client devices at a live event
JP2019054510A (ja) 動画内のコメント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834468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udio feedback during live broadcast
JP6961334B2 (ja) 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43621B2 (ja) ビデオ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CN113055624B (zh) 课程回放的方法、服务器、客户端及电子设备
US20170195384A1 (en) Video Play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0134480B (zh) 用户触发操作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21525012A (ja) ライブ放送で発生するゲスト放送のディレイを解消する方法と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0908752A (zh) 控件设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交互系统
CN113852834A (zh) 一种内容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70067448A (ko) 타임머신 기능을 위한 슬라이딩 윈도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75806B1 (ko) 사용자별 재생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13727125B (zh) 直播间的截图方法、装置、系统、介质以及计算机设备
JP6266827B1 (ja) 端末およびサーバ
JP2017017531A (ja)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118797A (ko) 스트리밍 컨텐츠 실시간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1827863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13038B1 (ko) 메신저를 통해 소설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N115065866B (zh) 一种视频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660807B1 (ko)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추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2732A (ko)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CN110213604B (zh) 直播视频的共享方法、系统和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