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289B1 -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289B1
KR101982289B1 KR1020170121577A KR20170121577A KR101982289B1 KR 101982289 B1 KR101982289 B1 KR 101982289B1 KR 1020170121577 A KR1020170121577 A KR 1020170121577A KR 20170121577 A KR20170121577 A KR 20170121577A KR 101982289 B1 KR101982289 B1 KR 10198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
carbon
nanotube film
disposed
base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669A (ko
Inventor
이철진
이상헌
한준수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289B1/ko
Priority to US16/138,118 priority patent/US10566167B2/en
Publication of KR20190033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289B1/ko
Priority to US16/452,687 priority patent/US1052952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01J1/3042Field-emissive cathodes microengineered, e.g. Spindt-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6Cathodes
    • H01J35/065Field emission, photo emission or secondary emission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02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 H01J9/025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of field emission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03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shape
    • H01J2201/30434Nano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46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material
    • H01J2201/30453Carbon types
    • H01J2201/30469Carbon nanotubes (C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5/00X-ray tubes
    • H01J2235/06Cathode assembly
    • H01J2235/062Cold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45Electrodes for controlling the current of the cathode ray, e.g. control grid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용매에 침지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일 영역이 포인트 형태 또는 라인 형태를 가지도록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커팅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 사이에 배치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커팅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횡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 {CARBON NANOTUBE ELELCTRON EMITT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X-RAY SOUR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음극 엑스선 소스는 게이트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으로부터 전자빔을 끌어낸 후, 집속전극을 통하여 전자빔을 고밀도로 집속시켜 애노드 전극으로 유도한다. 이때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전자들은 애노드 전극방향으로 가속이 되며, 애노드 전극에 강하게 충돌함으로써,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종래의 냉음극 전자방출에서는 탄소나노튜브가 전자방출원으로 주로 사용되며, 탄소나노튜브를 전도성 유기물과 섞어서 페이스트 상태로 만들어 전자방출원으로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 전자방출원은 제작 과정에서 전계방출원인 탄소나노튜브가 원하지 않는 유기물질로부터 오염될 수 있으며,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 전자방출원은 동작 시 페이스트내에 잔류하는 유기물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가스분자의 이온화 현상에 의해서 전계방출 효율이 크게 감소하고, 전자를 방출하는 탄소나노튜브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냉음극 엑스선 소스는 게이트 전극으로 주로 금속 메쉬 또는 금속 홀이 사용되며, 이 경우에 게이트 전극을 통과하는 전자의 투과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239395호 (발명의 명칭: 전계 방출원 및 이를 적용하는 소자 및 그 제조방법)는 안정된 전자방출물질 지지구조를 가지는 전계 방출원 및 이를 적용하는 전계 방출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전자방출원으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고밀도화(densification)시키거나, 탄화(carbonization)시킨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게이트 전극에 그래핀을 배치하여 전자투과효율을 증가시키고 전자빔의 투과 직진성을 향상시킨 엑스선 소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용매에 침지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일 영역이 포인트 형태 또는 라인 형태를 가지도록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커팅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 사이에 배치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커팅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횡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일 영역이 포인트 형태 또는 라인 형태를 가지도록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커팅하는 단계; 커팅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용매에 침지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 사이에 배치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커팅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횡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 필름에 탄소기반 물질을 첨가한 후 열처리하여 탄화(carbonization)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일 영역이 포인트 형태 또는 라인 형태를 가지도록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커팅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 사이에 배치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커팅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횡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은 용매에 의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되거나, 탄소기반 물질이 첨가되어 탄화(carbonization)된 탄소나노튜브 필름; 및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을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는 캐소드 전극; 캐소드 전극과 마주하도록 캐소드 전극의 상부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상에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과 애노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집속렌즈; 및 캐소드 전극 하부에 배치된 게터를 포함하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은 용매에 의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되거나, 탄소기반 물질이 첨가되어 탄화(carbonization)된 탄소나노튜브 필름; 및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이 배치된 게이트 전극을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는 캐소드 전극; 캐소드 전극과 마주하도록 캐소드 전극의 상부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상에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및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과 애노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집속렌즈; 및 캐소드 전극의 하부에 배치된 게터를 포함하되,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는 그래핀이 배치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유기물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나 다른 접착제 없이도, 나노 소재 내 강한 결합력 및 나노소재 박막 에미터와 전극 사이의 강한 접착력을 달성함으로써, 유기물에 의한 이온발생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전계방출효율이 높으며 수명 특성이 우수한 엑스선 소스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그래핀이 배치된 게이트 전극을 이용하면, 전자빔의 게이트 전극 투과성을 높이고 전자빔의 직진성을 높임으로써 애노드 전극에서 전자빔의 집속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밀도화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 (SEM)으로 분석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커팅 영역에 따른 금속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커팅 영역을 주사전자현미경 (SEM)으로 분석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을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이 배치된 게이트 전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이 배치된 게이트 전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고밀도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탄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밀도화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분석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은 용매에 의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되거나, 탄소기반 물질이 첨가되어 탄화(carbonization)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 및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매는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에탄올(Ethanol) 및 질산(Nitric ac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고밀도화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은 용매에 침지한 후 건조한 것이되,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남아있던 분산제로 사용하는 소듐도데실설파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가 제거되어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서,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증가된 것이다.
도 1b는 고밀도화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것이며,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조밀하게 얽힌 탄소나노튜브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탄소기반 물질은 그래파이트 접착제(Graphite adhesive), 카본 페이스트(Carbon paste) 및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CNT pas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탄화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은 탄소기반 물질이 첨가된 탄소나노뷰트 필름(110)을 고온의 진공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열처리한 것이되, 첨가된 탄소기반 물질이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서,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증가된 것이다.
이와 같은, 고밀도화되거나, 탄화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에 대한 상세한 제조 방법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커팅 영역에 따른 금속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커팅 영역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분석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면 금속부재(120)는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120)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금속부재(120)는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직립한 상태로 고정시키고, 금속부재(120)의 일부분이 탄소나노튜브 필름(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라면, 금속부재(12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은 일 영역이 포인트 형태(A) 또는 라인 형태(B)를 가지도록 커팅될 수 있다. 이때, 금속부재(120)는 커팅 영역(A, B)이 상측을 향하도록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횡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도 2의 (a)를 참조하면, 포인트 형태(A)로 커팅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은 커팅 영역(A)이 상측을 향하도록 삼각형의 금속부재(120)의 상부 꼭지점 영역 내에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즉,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은 상측을 향하는 커팅 영역(A)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삼각형의 금속부재(120)의 상부 꼭지점 영역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포인트 형의 커팅 영역(A)은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테두리가 이루는 면 중 일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의 (b)를 참조하면, 라인 형태(B)로 커팅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경우, 금속부재(120)의 상면은 적어도 하나의 함몰된 영역(125)을 가지고,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양면은 함몰된 영역(125) 내에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즉,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은 상측을 향하는 커팅 영역(B)을 가지도록 금속부재(120)의 함몰된 영역(125)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라인 형의 커팅 영역(B)은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테두리가 이루는 면 중 일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의 (a)는 도 2의 (a)에 도시된 포인트 형의 커팅 영역(A)을 갖는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표면을 분석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의 (b)는 도 2의 (b)에 도시된 라인 형의 커팅 영역(B)을 갖는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표면을 분석한 도면이다. 이때,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은 고밀도화되거나 탄화되어,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의 팁(tip) 부분에 위치하는 탄소나노튜브들이 풀리거나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한계 성능까지 끌어올린 성능 평가 실험에서도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은 복수의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어레이 형태로 배치하고, 각 탄소나노튜브 필름(110) 사이에 금속부재(120)를 배치한다. 이와 같은 어레이 형태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은 단일 형태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과 비교하여 공급되는 전압 대비 출력되는 전류가 많다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도 1a을 참조하면, 포인트 형태(A)로 커팅된 복수의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은 커팅 영역(A)이 상측을 향하도록 각 금속부재(120)의 사이에서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며 금속부재(120)의 상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즉, 각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은 상측을 향하는 커팅 영역(A)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각 금속부재(120)의 상부로 커팅 영역(A)이 일부 노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향하여 복수의 금속부재(120) 중 양단에 배치된 금속부재(120)에 횡 압력을 가하면 각 금속부재(120)와 각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이 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을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도 1a 내지 도3에 도시된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을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을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는 캐소드 전극(20), 캐소드 전극(20)과 마주하도록 캐소드 전극(20)의 상부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30), 캐소드 전극(20) 상에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 및 캐소드 전극(20)과 애노드 전극(30) 사이에 배치되고,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게이트 전극(40), 게이트 전극(40)과 애노드 전극(30) 사이에 배치된 집속렌즈(50a, 50b) 및 캐소드 전극(20) 하부에 배치된 게터(70)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은 용매에 의하여 고밀도화되거나, 탄소기반 물질이 첨가되어 탄화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 및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엑스선 소스는 캐소드 전극(20)과 애노드 전극(30)의 전압차에 의해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으로부터 전계방출되는 전자가 애노드 전극(30)의 타겟면에 충돌되어 몸체의 윈도우(60)로 엑스선이 방출되는 구조이다.
이때 몸체는 엑스선 소스의 외관을 형성하며 측면의 일부에는 애노드 전극(30)의 타켓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엑스선이 외부로 조사되는 윈도우(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관 형상으로서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 캐소드 전극(20), 애노드 전극(30) 및 그래핀(45)이 배치된 게이트 전극(40)의 외면을 감싸 외부와 구분된 진공영역을 정의한다. 예시적으로, 타겟면은 텅스텐(W)으로 이루어지고, 윈도우(60)는 베릴륨(B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캐소드 전극(20)과 애노드 전극(30)은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애노드 전극(30)은 캐소드 전극(20)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캐소드 전극(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0)의 하부면, 즉, 캐소드 전극(20)과 마주하는 표면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애노드 전극(30)은 몸체 내부를 향한 일면에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충돌하는 타겟면을 구비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은 캐소드 전극(20) 상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은 복수의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어레이 형태로 배치하고, 각 탄소나노튜브 필름(110) 사이에 금속부재(120)를 배치한 어레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40)은 캐소드 전극(20)의 상부에 위치되고,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예를 들어, 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소드 전극(20) 상에 어레이형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이 형성되는 경우, 게이트 전극(40)은 복수의 개구부들(예를 들어, 메쉬 형태)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전극(40)은 하나 이상의 홀 형태 또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금속판 및 하부 금속판의 상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그래핀(45)을 포함한다. 또한 게이트 전극(40)은 하부 금속판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그래핀(45)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금속판을 더 포함한다. 이때, 게이트 전극(40) 위에 그래핀(45)을 배치함으로써, 전자빔의 집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엑스선 소스는 그래핀(45)에 의해 전자빔의 집속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열전자 방출 방식에 대비하여 집속렌즈를 없애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이트 전극(40)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엑스선 소스는 게이트 전극(40)과 애노드전극(30) 사이에 적어도 한 개의 집속렌즈(50a) 또는 추가로 상부에 원형의 집속렌즈 (5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속렌즈(50a, 50b)는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집속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집속렌즈(50a, 50b)는 게이트 전극(40)과 애노드 전극(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그래핀이 배치된 게이트 전극(40)을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도 4에 도시된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이 배치된 게이트 전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이 배치된 게이트 전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이 배치된 게이트 전극을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는 캐소드 전극(20), 캐소드 전극(20)과 마주하도록 캐소드(20)의 상부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30), 캐소드 전극(20) 상에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 및 캐소드 전극(20)과 애노드 전극(30) 사이에 배치되고,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게이트 전극(40)을 포함하되, 게이트 전극(40)의 상부에는 그래핀(45)이 배치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40)은 하나 이상의 홀 형태 또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금속판(41) 및 하부 금속판(41)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개 이상의 그래핀(45)을 포함한다. 이때 그래핀(45)은 단일층, 이중층 및 다중층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40)은 메쉬 형태로 형성된 하부 금속판(41)의 상부에 건식전사법 또는 습식전사법에 의해 그래핀(45)이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40)은 메쉬 형태로 형성된 하부 금속판(41)의 상부에 복수의 단일층 또는 이중층 또는 다중층 그래핀(45)이 겹쳐진 형태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사된 그래핀(45)의 층수가 많아질수록 투과율과 집속도는 감소하나 기계적 안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핀(45)은 하부 금속판(41)과의 매우 강한 기계적 결합력을 갖기 때문에 그래핀(45)을 지지하는 부재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쉬 게이트 전극(40)은 하부 금속판(41), 하부 금속판(41)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개 또는 복수의 그래핀(45) 및 하부 금속판(41)과 대응하도록 형성하되, 그래핀(45)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금속판(42)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40)은 메쉬 형태로 형성된 하부 금속판(41)의 상부에 그래핀(45)을 배치하고, 그 상부에 하부 금속판(41)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상부 금속판(42)이 배치된 형태로 구성한 후, 하부 금속판(41)과 상부 금속판(42)를 클램프로 조이거나 또는 용접하여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 금속판(42)은 하부 금속판(41)과 결합된 그래핀(45)을 더욱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소스에 이용되는 게이트 전극(40)은 일반적으로 게이트 전극의 기능을 하는 하부 금속판(41)의 상부에 그래핀(45)이 배치됨에 따라 전자빔을 매우 높은 투과율로 애노드 전극(30)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그래핀(45)에 의해 전자빔의 포커싱(focusing)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엑스선 소스에 포함되는 집속렌즈(50a, 50b)를 없애거나 집속렌즈의 개수를 축소시킬 수 있다.
게터(70)는 발생 가스를 포집하는 역할을 하며 확산게터 또는 비확산 게터를 포함한다. 확산 게터의 제작은 바륨(Ba), 바륨-알루미늄-니켈 합금(Ba-Al-Ni alloy), 알칼리 금속 종류들이 사용될 수 있고, 비확산 게터의 제작에는 지르코늄(Zr), 티타늄(Ti), 니켈(Ni) 또는 이러한 물질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종류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고밀도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탄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형성하는 단계(S110),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용매에 침지(deeping)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하는 단계(S120);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일 영역이 포인트 형태 또는 라인 형태를 가지도록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커팅하는 단계(S130) 및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120) 사이에 배치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커팅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횡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이때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커팅하는 단계(S130)는 고밀도화 단계(S120)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용매는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에탄올(Ethanol) 및 질산(Nitric ac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형성하는 단계(S110)는 증류수, 소듐도데실설파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 및 탄소나노튜브(CNT)를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및 혼합 용액을 양극산화 알루미늄 막(Anodic Aluminum Oxide membrane, AAO membrane)에 여과하여 필름 형태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탄소나노튜브(CNT)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NT, SWCNT)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Multiwalled CNT, MWCNT)이다.
예시적으로, 먼저 S110단계는 먼저, 증류수(예를 들어, 200ml)에 SDS(예를 들어, 200mg) 및 탄소나노튜브(예를 들어, 4mg)를 혼합하여 약 65정도 초음파 처리하여 혼합 용액을 분산시키고, 약 40분 정도 원심 분리한다. 이어서, 혼합 용액을 AAO membrane(111)에 여과시킴으로써 증류수만을 통과시켜, 탄소나노튜브가 AAO membrane(111)위에 걸러져서 쌓이는 형태가 된다. 이때 각각의 탄소나노튜브들은 반데르발스힘에 의해서 서로 강하게 얽히며 이 후에 수산화나트륨용액 또는 탄소나노튜브 분산액(CNT Solution)을 이용해서 AAO membrane(111)을 제거하여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고밀도화 단계(S120)는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이소프로필 알코올(IPA)에 소정 시간 동안 침지한 후 가열하여 1차 건조시키는 단계(S121) 및 1차 건조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에탄올 및 질산 중 적어도 하나에 침지한 후 가열하여 2차 건조시키는 단계(S122)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S121단계는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이소프로필 알코올(IPA)에 약 24시간 정도 담갔다가 뺀 후에 약 80℃ 정도의 오븐에서 약 10분정도 건조시킨다. S122단계는 건조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SDS를 최대한 제거한 후 에탄올 또는 질산 등에 담갔다가 뺀 후 오븐에 건조하면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서 S120단계 이전의 탄소나노튜브 필름(110)보다 더욱 더 강하고 조밀하게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얽히게 되며,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증가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또한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은 고밀도화 단계(S120) 이전 또는 이후에 탄소나노튜브 필름에 탄소기반 물질을 첨가한 후 열처리하여 탄화(carbonization)하는 단계(S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소기반 물질은 그래파이트 접착제(Graphite adhesive), 카본 페이스트(Carbon paste) 및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CNT pas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탄화 단계(S220)는 탄소나노튜브 필름에 탄소기반 물질을 첨가하는 단계(S221) 및 첨가된 탄소나노뷰트 필름을 고온의 진공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S222)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S221단계는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에 탄소기반 물질을 첨가한다. 이때 탄소기반 물질은 액체 또는 고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S222단계는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약 900℃ 정도의 고온의 진공상태에서 약 1시간 정도의 열처리를 진행하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각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빈 공간을 탄소기반 물질이 메우게 되고, 굳어진다. 즉, S120단계 이전의 탄소나노튜브 필름(110)보다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증가된다.
즉, 고밀도화 단계(S120) 및 탄화 단계(S220)를 통해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은 혹독한 환경에서도 탄소나노튜브가 풀리거나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계 성능까지 끌어올린 성능 평가 실험에서도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형성하는 단계(S110),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에 탄소기반 물질을 첨가한 후 열처리하여 탄화(carbonization)하는 단계(S220),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일 영역이 포인트 형태 또는 라인 형태를 가지도록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을 커팅하는 단계(S230) 및 이후에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120) 사이에 배치된 탄소나노튜브 필름(110)의 커팅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횡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20: 캐소드 전극
30: 애노드 전극
40: 게이트 전극
41: 하부 금속판
42: 상부 금속판
45: 그래핀
50a, 50b: 집속렌즈
60: 윈도우
70: 게터
110: 탄소나노튜브 필름
111: 양극산화 알루미늄 막
120: 금속부재

Claims (22)

  1.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용매에 침지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하는 단계;
    상기 고밀도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에 탄소기반 물질을 첨가한 후 열처리하여 탄화(carbonization)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일 영역이 포인트 형태 또는 라인 형태를 가지도록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커팅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 사이에 배치된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상기 커팅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횡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탄소기반 물질은 그래파이트 접착제(Graphite adhesive), 카본 페이스트(Carbon paste) 및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CNT pas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탄화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에 상기 탄소기반 물질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고온의 진공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또는 에탄올(Ethanol)을 포함하고,
    상기 고밀도화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상기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소정 시간 동안 침지한 후 가열하여 1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건조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상기 에탄올에 침지한 후 가열하여 2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증류수, 소듐도데실설파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 및 탄소나노튜브(CNT)를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양극산화 알루미늄 막(Anodic Aluminum Oxide membrane, AAO membrane)에 여과하여 필름 형태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탄소나노튜브(CNT)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NT, SWCNT)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Multiwalled CNT, MWCNT)인 것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일 영역이 포인트 형태 또는 라인 형태를 가지도록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용매에 침지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하는 단계;
    상기 고밀도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에 탄소기반 물질을 첨가한 후 열처리하여 탄화(carbonization)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 사이에 배치된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상기 커팅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횡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탄소기반 물질은 그래파이트 접착제(Graphite adhesive), 카본 페이스트(Carbon paste) 및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CNT pas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탄화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에 상기 탄소기반 물질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고온의 진공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또는 에탄올(Ethanol)을 포함하고,
    상기 고밀도화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상기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소정 시간 동안 침지한 후 가열하여 1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건조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상기 에탄올에 침지한 후 가열하여 2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
  7.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에 탄소기반 물질을 첨가한 후 열처리하여 탄화(carbonization)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일 영역이 포인트 형태 또는 라인 형태를 가지도록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커팅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 사이에 배치된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상기 커팅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횡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탄소기반 물질은 그래파이트 접착제(Graphite adhesive), 카본 페이스트(Carbon paste) 및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CNT pas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탄화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에 상기 탄소기반 물질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고온의 진공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의 제조방법.
  8.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에 있어서,
    용매에 의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되고, 탄소기반 물질이 첨가되어 탄화(carbonization)된 탄소나노튜브 필름;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소기반 물질은 그래파이트 접착제(Graphite adhesive), 카본 페이스트(Carbon paste) 및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CNT pas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또는 에탄올(Ethanol)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상기 탄소기반 물질이 첨가된 탄소나노뷰트 필름을 고온의 진공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열처리한 것이되, 상기 첨가된 탄소기반 물질이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탄화된 것이고,
    상기 용매에 침지한 후 건조한 것이되,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남아있던 소듐도데실설파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가 제거되어 상기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고밀도화된 것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일 영역이 포인트 형태 또는 라인 형태를 가지도록 커팅된 것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커팅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횡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은
    복수의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어레이 형태로 배치하고, 각 탄소나노튜브 필름 사이에 상기 금속부재를 배치한 것인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12. 삭제
  13. 삭제
  14.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을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에 있어서,
    캐소드 전극;
    상기 캐소드 전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캐소드 전극의 상부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
    상기 캐소드 전극 상에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상기 캐소드 전극과 상기 애노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애노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집속렌즈; 및
    상기 캐소드 전극 하부에 배치된 게터를 포함하되,
    상기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은
    용매에 의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되고, 탄소기반 물질이 첨가되어 탄화(carbonization)된 탄소나노튜브 필름;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기반 물질은 그래파이트 접착제(Graphite adhesive), 카본 페이스트(Carbon paste) 및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CNT pas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또는 에탄올(Ethanol)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상기 탄소기반 물질이 첨가된 탄소나노뷰트 필름을 고온의 진공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열처리한 것이되, 상기 첨가된 탄소기반 물질이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탄화된 것이고,
    상기 용매에 침지한 후 건조한 것이되,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남아있던 소듐도데실설파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가 제거되어 상기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고밀도화된 것인, 엑스선 소스.
  15. 삭제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하나 이상의 홀 형태 또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금속판; 및
    상기 하부 금속판의 상부에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그래핀을 포함하되,
    상기 그래핀은 단일층, 이중층 및 다중층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엑스선 소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하부 금속판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그래핀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금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엑스선 소스.
  19. 그래핀이 배치된 게이트 전극을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에 있어서,
    캐소드 전극;
    상기 캐소드 전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캐소드 전극의 상부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
    상기 캐소드 전극 상에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상기 캐소드 전극과 상기 애노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애노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집속렌즈; 및
    상기 캐소드 전극의 하부에 배치된 게터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는 그래핀이 배치된 것이며,
    용매에 의하여 고밀도화(densification)되고, 탄소기반 물질이 첨가되어 탄화(carbonization)된 탄소나노튜브 필름;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금속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소기반 물질은 그래파이트 접착제(Graphite adhesive), 카본 페이스트(Carbon paste) 및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CNT pas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또는 에탄올(Ethanol)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상기 탄소기반 물질이 첨가된 탄소나노뷰트 필름을 고온의 진공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열처리한 것이되, 상기 첨가된 탄소기반 물질이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탄화된 것이고,
    상기 용매에 침지한 후 건조한 것이되,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남아있던 소듐도데실설파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가 제거되어 상기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간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고밀도화된 것인, 엑스선 소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하나 이상의 홀 형태 또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금속판; 및
    상기 하부 금속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개 이상의 그래핀을 포함하되,
    상기 그래핀은 단일층, 이중층 및 다중층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엑스선 소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하부 금속판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그래핀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금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엑스선 소스.
  22. 삭제
KR1020170121577A 2017-09-21 2017-09-21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 KR10198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577A KR101982289B1 (ko) 2017-09-21 2017-09-21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
US16/138,118 US10566167B2 (en) 2017-09-21 2018-09-21 Carbon nanotube electron emitt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X-ray source using the same
US16/452,687 US10529525B2 (en) 2017-09-21 2019-06-26 Carbon nanotube electron emitt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X-ray sour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577A KR101982289B1 (ko) 2017-09-21 2017-09-21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669A KR20190033669A (ko) 2019-04-01
KR101982289B1 true KR101982289B1 (ko) 2019-05-24

Family

ID=6572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577A KR101982289B1 (ko) 2017-09-21 2017-09-21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566167B2 (ko)
KR (1) KR101982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750878A1 (en) * 2017-07-05 2018-11-20 Lightlab Sweden Ab A field emission cathode structure for a field emission arrangement
JP7407476B2 (ja) * 2019-08-28 2024-01-04 高麗大学校産学協力団 X線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417714B1 (ko) * 2019-11-18 2022-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방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튜브
EP4075473A1 (en) * 2019-12-30 2022-10-19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Carbon nanotube (cnt) paste emitter,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x-ray tube apparatus using same
CN111293013B (zh) * 2020-03-27 2021-06-04 中山大学 一种场发射冷阴极结构及其制造方法
US11538651B2 (en) 2020-12-28 2022-12-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 field emission device
KR102581259B1 (ko) * 2021-01-15 2023-09-22 씨비테크 주식회사 덩굴 모양 탄소 구조물이 형성된 에미터를 포함하는 엑스선 튜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289B1 (ko) * 2013-03-28 2014-03-0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 나노박막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469A (ja) * 1995-08-25 1997-03-07 Yamaha Corp 電界放出型素子の製造方法
CN1643636A (zh) * 2001-06-14 2005-07-20 海珀里昂催化国际有限公司 采用改进的碳纳米管的场发射器件
AU2005335123B2 (en) * 2004-11-09 2011-02-0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The fabrication and application of nanofiber ribbons and sheets and twisted and non-twisted nanofiber yarns
FI20075482L (fi) * 2007-06-25 2008-12-26 Canatu Oy Kuituverkostot sekä menetelmä ja laite kuituverkostojen jatkuvasti tai erinä tapahtuvaan tuotantoon
CN101458606B (zh) * 2007-12-12 2012-06-20 清华大学 触摸屏、触摸屏的制备方法及使用该触摸屏的显示装置
KR101094453B1 (ko) * 2009-06-11 2011-12-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 방출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KR101614318B1 (ko) * 2009-08-11 2016-04-22 한국세라믹기술원 탄소나노판 복합체 제조방법
CN102201311B (zh) * 2011-04-19 2013-04-10 清华大学 碳纳米管浆料的制备方法
KR101239395B1 (ko) * 2011-07-11 2013-03-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계 방출원 및 이를 적용하는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3515170B (zh) * 2012-06-28 2016-04-27 清华大学 碳纳米管场发射体的制备方法
JP5694272B2 (ja) * 2012-10-25 2015-04-0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115844B2 (en) * 2013-03-15 2018-10-30 Seerstone Llc Electrodes comprising nanostructured carbon
KR102106075B1 (ko) * 2013-09-09 2020-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을 가진 엑스선 발생장치의 에이징 방법
EP3144953B1 (en) * 2014-05-13 2019-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 emitting device using graphe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008358B2 (en) * 2015-08-11 2018-06-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X-ray source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41688B1 (ko) * 2016-01-26 2021-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 방출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엑스선 방출원
JP6649100B2 (ja) * 2016-02-04 2020-02-19 日立造船株式会社 Cnt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撚糸の製造方法
WO2018035171A1 (en) * 2016-08-16 2018-02-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Nanoscale x-ray tomosynthesis for rapid analysis of integrated circuit (ic) dies
US10438764B2 (en) * 2016-12-07 2019-10-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ield emiss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289B1 (ko) * 2013-03-28 2014-03-0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 나노박막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29525B2 (en) 2020-01-07
US20190318895A1 (en) 2019-10-17
US20190088437A1 (en) 2019-03-21
KR20190033669A (ko) 2019-04-01
US10566167B2 (en)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289B1 (ko) 탄소나노튜브 전자방출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엑스선 소스
JP6458727B2 (ja) 低仕事関数及び高い化学的安定性を備えた電極材料
TWI427665B (zh) X射線電子束產生器及其陰極
JP2015518245A5 (ko)
EP2411997A1 (en) Structured electron emitter for coded source imaging with an x-ray tube
KR101040536B1 (ko) 나노구조 물질 기반 x-선관을 위한 게이트-집속전극 일체형 전극 구조
WO2017149862A1 (ja) 電界放出電子源、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線装置
JP2013519195A5 (ja) X線電子ビーム発生器
US6949873B2 (en) Amorphous diamond materials and associated methods for the use and manufacture thereof
US6806629B2 (en) Amorphous diamond materials and associated methods for the use and manufacture thereof
JP3828270B2 (ja) 電子放出装置
Chang et al. Simulation of field-emission triode using carbon nanotube emitters
JP7407476B2 (ja) X線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026710A (ja) 電界放出型電子銃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線応用装置
KR102188075B1 (ko) 엑스선 소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282424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cnt)ペーストエミッ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利用するx線管装置
JP5436131B2 (ja) X線管およびx線発生装置
US10720296B1 (en) Field emission neutralizer comprising a graphitized carbon nanotube structure
KR102283035B1 (ko) 전자빔 증폭형 초소형 엑스선 튜브
TWI309428B (en) Emission source having carbon nanotube
JP3488411B2 (ja) 電界放出チップ
JP2006210162A (ja) 電子線源
KR102061208B1 (ko) 엑스선 소스
US1153865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 field emission device
JP4909813B2 (ja) 電子放出素子,電子銃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ビーム応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