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287B1 -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287B1
KR101982287B1 KR1020190001289A KR20190001289A KR101982287B1 KR 101982287 B1 KR101982287 B1 KR 101982287B1 KR 1020190001289 A KR1020190001289 A KR 1020190001289A KR 20190001289 A KR20190001289 A KR 20190001289A KR 101982287 B1 KR101982287 B1 KR 10198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ating
natural extract
coating lay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만
김정옥
유재주
강건훈
도영서
김영환
김미정
장동진
박광학
Original Assignee
(주)청아굿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아굿푸드 filed Critical (주)청아굿푸드
Priority to KR102019000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73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coatings optionally including drug-containing subcoatings
    • A61K9/5078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coatings optionally including drug-containing subcoatings with drug-free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7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with an outer layer or coating comprising drug; with chemically bound drugs or non-active substances on their surface
    • A61K9/167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with an outer layer or coating comprising drug; with chemically bound drugs or non-active substances on their surface having a drug-free core with discrete complete coating layer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61K9/5042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phthalate or acetate succinate esters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펠렛 시드 상에 천연 추출물을 코팅시키고 그 위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추출물의 용출 패턴을 코팅 기제의 농도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과립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제조 과정이 단순하여 최종 입자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 {Sustained-release granules containing natural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펠렛 시드 상에 천연 추출물을 코팅시키고 그 위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추출물의 용출 패턴을 코팅 기제의 농도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과립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제조 과정이 단순하여 최종 입자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장류에는 일반적으로 부패 방지 및 장기 보관을 위하여 약 20%의 소금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고농도의 소금을 장기간 섭취 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전체적인 염의 사용량을 줄인 저염장류 제품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저염장류 제품 제조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보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이중 물리적 방법으로는 관형 열 교환기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방법(등록특허 제101752095호), 화학적 방법으로는 에탄올을 처리하여 살균하는 방법(공개특허 제10-2014-0044603호) 등이 산업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전통 장류제품의 염도를 저하시키는데 일부 효과적이나, 맛과 향미의 저하가 필연적으로 수반되었다. 이에 염의 농도를 줄이면서도 맛과 향미를 높일 수 있는 천연 추출물 유래 항균제가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천연 추출물이 그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식품 내에서 장시간에 걸쳐 일정 농도가 유지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제제로부터 추출물이 용출되는 속도 및 용출율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사용하여 용출 양상을 제어하는 것이다.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는 수불용성 고분자로서, 이를 이용하여 코팅막을 형성하는 경우, 활성 성분의 안정성 유지, 제조 공정 개선, 용출 제어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셀룰로오스 코팅 기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천연 추출물의 용출 기간을 자유롭게 조절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으며, 산업적 규모로 대량생산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천연 추출물 유래 항균 성분을 사용하여 장류제품의 염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식품의 맛과 향미가 향상되며, 천연 추출물의 용출 기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제제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209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4603호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 추출물 유래 항균 성분을 사용하여 장류제품의 염도를 저하시키면서 식품의 맛과 향미가 저하되지 않는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의 용출율 및 용출기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산업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펠렛 시드, 상기 펠렛 시드 상에 형성되며 천연 추출물 및 제 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함유하는 제 1 코팅층, 및 상기 제 1코팅층 상에 형성되며 제 2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포함하는 제 2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제는 펠렛 시드 50~70 중량%, 천연 추출물 5~25 중량%, 제 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 5~20 중량%, 제 2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 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제는 평균 입경이 200~700μm 이며, 천연 추출물의 용출 기간은 1~3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는 천연 추출물 및 제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제 1코팅층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코팅층 용액을 고속교반기로 교반하면서 현탁시키는 단계, 상기 현탁된 제 1코팅층 용액을 유동층 코팅기를 통해 펠렛 시드 상에 코팅하는 단계, 제 2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에탄올에 용해시켜 제 2코팅층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코팅층 용액을 상기 제 1코팅층이 코팅된 펠렉 시드 상에 코팅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층 코팅기는, 분무 온도가 50~90℃, 유동층 내부 온도가 20~60℃, 코팅제의 분사 속도가 1~10 mL/min, 프로세스 에어 압력이 1~4 bar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 추출물 유래 항균 성분을 사용하여 장류제품의 염도를 저하시키면서도 식품의 맛과 향미가 저하되지 않으며 오히려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는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사용하면서 천연 추출물의 용출 기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1차 및 2차에 걸쳐서 추출물의 용출을 조절하므로 그 비율을 변화시켜 용출율을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는 유동층 코팅기를 사용하여 산업적 규모의 대량 생산 및 활용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4의 추출물 함유 제제의 시간에 따른 추출물 용출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3은 각각 실시예 4의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의 입자 크기와 코팅층 단면을 보여주는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 함유 용출 제어형 제제는, 셀룰로오스계 기제를 코팅 기제로 사용하되, 천연 추출물의 용출을 손쉽게 제어하기 위하여 코팅층을 두 층으로 형성하며, 각 코팅층은 유동층 코팅기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는 펠렛 시드, 상기 펠렛 시드 상에 형성되며 천연 추출물 및 제 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함유하는 제 1 코팅층, 및 상기 제 1코팅층 상에 형성되며 제 2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포함하는 제 2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펠렛 시드는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펠렛 시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백당으로 이루어진 펠렛 시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펠렛 시드의 함량은 50~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보다 작거나 클 경우 코팅층이 시드 상에 적절한 두께와 양으로 형성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천연 추출물은 다양한 한약 추출물 및/또는 항균성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천연 항균 효과를 가지는 오배자 추출물, 솔잎 추출물, 녹차 추출물, 홍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자몽 종자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작약 추출물, 천궁 추출물, 당귀 추출물, 복령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오가피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백년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치자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오배자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의 함량은 5~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너무 작은 경우 항균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너무 많은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이 작아져 용출 제어가 어려워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들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것이 사용될 수 있지만, 항균 성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오랫동안 항균효과를 지속하기 위하여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이온수는 분자집단이 물보다 작아서 침투력이 좋고, 열전도가 높고 용해력이 강하여 낮은 온도에서도 성분 용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천연물을 추출할 때는 정제수 또는 정제수와 알콜류를 일정량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90~100℃에서 추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와 같은 추출 방법으로는 열에 약한 성분들은 추출 과정에서 사실상 분해되기 쉽다.
그러나,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천연물의 유효성분들이 안전하게 추출되도록 할 경우, 추출물이 원래 가지고 있는 항균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며, 흡수력과 용출력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에 1~30중량%의 글리세린을 첨가함으로써, 용질과 용매 사이의 삼투압 현상을 응용하여 유효 성분의 용출이 좀 더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된 천연 추출물의 항균력을 향상시키고 냄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하여 추출된 여과액 100㎖을 기준으로 산화칼슘 0.1~70g을 가하여 교반한 후, 4~15℃에서 12~24시간 방치하여 상등액을 여과처리하는 과정을 추가로 거칠 수 있다.
천연 추출물을 산화칼슘 처리하기 전과 처리한 후의 조성물은 색깔과 냄새 면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으며, 이물질들이 처리되어 항균력 또한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는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코팅층에 사용되는 제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의 함량은 5~20 중량%, 제 2 코팅층에 사용되는 제 2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의 함량은 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와 제 2 셀룰로오스 코팅 기제의 함량비를 조절하여 용출 기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 1 코팅 기제의 함량비가 증가할수록 용출율이 낮아지고 용출 기간을 늘일 수 있다.
한편, 유효성분의 용출 기간을 더욱 지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층의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는 소수성 유기 화합물을 1~1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소수성 유기 화합물이란, 고분자 중합물을 제외한 소수성의 유기 화합물 중 염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예컨대 탄소수 6 내지 22 의 고급 지방산, 탄소수 6 내지 22 의 고급 알콜, 탄소수 6 내지 22 의 고급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 수소가 첨가될 수 있는 천연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6 내지 22 의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컨대 스테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베헨산 등이 가능하며, 불포화 결합을 가질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22 의 고급 알콜로는, 예컨대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불포화 결합을 가질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22 의 고급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로는, 상기 고급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 예컨대 스테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미리스트산 트리글리세리드, 팔미트산 트리글리세리드, 라우르산 트리글리세리드 등이 있고, 수소가 첨가될 수 있는 천연 유지로는, 예컨대 경화 피마자유, 경화 야자유, 우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적은 피복량 만으로도 장시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유효성분 용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코팅층 또는 제2 코팅층을 인접한 층끼리 서로 상이한 소수성 유기 화합물 및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함유하는 다층 피복층, 바람직하게는 2~5개의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다층 피복층에서의 인접하는 층끼리는 서로 상이한 소수성 유기 화합물-수용성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함유하도록 구성하여, 장시간에 걸쳐 유효성분이 방출되면서도, 용출 속도가 점점 느려지면서 한계점에 도달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는 평균 입경이 200~700 μm 이며, 천연 추출물의 용출 기간은 1~3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는 천연 추출물 및 제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제 1코팅층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코팅층 용액을 고속교반기로 교반(약 400~600 rpm)하면서 현탁시키는 단계, 상기 현탁된 제 1코팅층 용액을 유동층 코팅기를 통해 펠렛 시드 상에 코팅하는 단계, 제 2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교반기로 교반(약 300~500 rpm)하면서 에탄올에 용해시켜 제 2코팅층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코팅층 용액을 상기 제 1코팅층이 코팅된 펠렛 시드 상에 코팅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코팅층 및 제 2 코팅층 용액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교반기는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혼합기로서, 예를 들어 호모게나이저, 초음파진동기,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 고압균질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코팅층 및 제 2 코팅층의 코팅 단계에서는 사용되는 유동층 코팅기는 제약산업에서 산업적 규모의 생산이 가능한 장비로서, 원료의 분립체를 기류로서 유동층으로 만들고, 유동 분말층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시키는 장비이다. 상기 장비는 혼합, 과립, 건조 등 많은 단위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산업적 활용이 가능한 대량생산을 위하여 유동층 코팅기를 사용하여 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동층 코팅기는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코팅기, 원심 코팅기, 유동층 공정기, 또는 팬 코팅기 등의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드 상에 코팅층(A) 형성
31g의 오배자 추출물, 10g의 에틸셀룰로오스를 200 mL의 용매(에탄올 및 정제수을 95:5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에 고속교반기에서 약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면서 용해시켜 제 1코팅층을 제조하였다.
펠렛 시드로서 백당(입경 분포 250-355 μm, SUGLETS, Colorcon, United States) 100g을 유동층 코팅기 넣고, 제조된 코팅액(A)을 상향 분무식(Bottom spray) 방식으로 분무하면서(유동층 코팅기 가동 조건: 분무 온도 70-80℃; 유동층 내부 온도 25~35℃; 오배자 추출물 코팅액의 분사 속도 2.3 mL/min; 프로세스 에어 압력 2~3 bar) 코팅을 실시하였다. 코팅액의 분무가 끝난 후 건조시켜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시드를 얻었다.
[실시예 2]
용출 제어용 코팅층(B) 형성
10g의 에틸셀룰로오스를 100mL의 에탄올에 교반기로 약 300-5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면서 용해시켜 제 2코팅층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드를 유동층 코팅기에 넣고, 제조된 용출 제어용 코팅액(B)를 상향 분무식(Bottom spray)으로 분무-건조하여(유동층 코팅기 가동 조건: 분무 온도 70-80℃; 유동층 내부 온도 25-35℃; 코팅액의 분사 속도 2.3 mL/min; 프로세스 에어 압력 2-3 bar) 제 2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4]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오배자 추출물 함유 제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9001281051-pat00001
[실험예 1] 천연 추출물-과립체 내 오배자 추출물의 용출율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4의 추출물 함유 제제의 시간에 따라 용출된 오배자 추출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용출율 측정은 프란츠 디퓨전셀 기구를 사용하였으며, 각 실시예 마다 50 mg의 해당 양을 계량하여, 염화나트륨이 5% 첨가된 완충용액(pH 4.0 아세테이트 완충용액) 22 ml, 180 rpm에서 시험하였다. 용출 실험 시작 후에, 시간에 따라 일정량씩 취하여, 0.45 μm의 필터로 여과하여 HPLC로 농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4의 추출물 함유 제제의 시간에 따른 추출물 용출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 1 코팅 기제의 함량비가 증가할수록 용출 속도를 줄이고 용출 기간을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의 입자크기 및 입자형태 평가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의 입자크기 및 입자형태 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펠렛 시드와 실시예 4의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를 주사전자현미경(SEM, Hitachi S-4300 SE)을 사용하여 전압 5 kV로 입자크기, 입자형태 및 코팅층 단면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면 2, 3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4의 제제가 평균 250 μm 크기의 구형임을 알 수 있었고,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단면 관찰을 통해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천연 추출물의 용출율 비교
오배자 추출물 제조 시 오배자 100g에 3% 글리세린 알카리 이온수(PH.7.5) 용액 50ml를 가하여 75℃에서 3시간 가열한 후 여과한 것을 사용하여 실시예 5를 준비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는 오배자에 증류수 50ml을 가하여 75℃에서 3시간 가열 후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5와 비교예의 추출액을 3회 마이크로 파이벳으로 10ml씩 3번에 걸쳐 취한 후 용출 실험을 하여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01281051-pat00002
[실험예 4] 산화칼슘 처리 전후의 천연 추출물의 항균력 비교
추출물의 항균력을 향상시키고 색깔 및 냄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5의 추출액 100㎖을 기준으로 산화칼슘 70g을 가하여 교반한 후, 4~15℃에서 12~24시간 방치하여 상등액을 여과처리하여 실시예 6을 준비하였다. 추출물을 산화칼슘 처리하기 전과 처리한 후의 조성물은 색깔과 냄새 면에서 나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산화칼슘 처리 전후의 항균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Luria-Bertani 배지에 균주를 고르게 도말 후, 멸균된 디스크를 넣고 액체 배지에 균주를 1μm씩 분주하고 실험 배지를 37℃ 배양기 주에서 하루 동안 배양하여 디스크 주변의 세균 성장 억제능을 판별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01281051-pat00003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산화칼슘 처리 후 항균력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6)

  1. 펠렛 시드, 천연 추출물과 제 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포함하는 제 1 코팅층, 제 2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포함하는 제 2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에 있어서,
    펠렛 시드 50~70 중량%, 천연 추출물 5~25 중량%, 제 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 5~20 중량%; 제 2 코팅층에 사용되는 제 2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 1~1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펠렛 시드는 백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연추출물은 오배자 추출물이며, 상기 제 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 및 제 2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는 에틸셀룰로오스이고,
    평균 입경이 200~700μm 이며, 천연 추출물의 용출 기간은 1~3주이고,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오배자에 1~30중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알칼리 이온수를 가한 후 가열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펠렛 시드 50~70 중량%, 천연 추출물 5~25 중량%, 제 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 5~20 중량%; 제 2 코팅층에 사용되는 제 2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 1~10 중량%을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천연 추출물 및 제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용매에 용해시켜 제 1 코팅층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코팅층 용액을 고속교반기로 교반하면서 현탁시키는 단계; 상기 현탁된 제 1 코팅층 용액을 유동층 코팅기를 통해 펠렛 시드 상에 코팅하는 단계; 제 2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를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에탄올에 용해시켜 제 2 코팅층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코팅층 용액을 상기 제 1 코팅층이 코팅된 펠렉 시드 상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펠렛 시드는 백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연추출물은 오배자 추출물이며, 상기 제 1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 및 제 2 셀룰로오스계 코팅 기제는 에틸셀룰로오스이고,
    제조된 제제의 평균 입경은 200~700μm이고, 천연 추출물의 용출 기간은 1~3주이며,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오배자에 1~30중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알칼리 이온수를 가한 후 가열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 코팅기가, 분무 온도가 50~90℃, 유동층 내부 온도가 20~60℃, 코팅제의 분사 속도가 1~10 mL/min, 프로세스 에어 압력이 1~4 bar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 함유 제제의 제조방법.
KR1020190001289A 2019-01-04 2019-01-04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8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289A KR101982287B1 (ko) 2019-01-04 2019-01-04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289A KR101982287B1 (ko) 2019-01-04 2019-01-04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287B1 true KR101982287B1 (ko) 2019-05-24

Family

ID=6668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289A KR101982287B1 (ko) 2019-01-04 2019-01-04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2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940A (ko) *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대웅제약 탐술로신 또는 이의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한 장용성 서방형 펠렛부와 속방부로 이루어진 의약 조성물
KR20140044603A (ko) 2012-10-05 2014-04-15 한국식품연구원 장류의 살균방법 및 이에 의해 살균된 장류
KR20140121478A (ko) * 2012-02-13 2014-10-15 다이어널 리미티드 제어형 하이드로코티손 방출 제형
KR101752095B1 (ko) 2016-06-30 2017-06-28 씨제이제일제당 (주) 장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940A (ko) *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대웅제약 탐술로신 또는 이의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한 장용성 서방형 펠렛부와 속방부로 이루어진 의약 조성물
KR20140121478A (ko) * 2012-02-13 2014-10-15 다이어널 리미티드 제어형 하이드로코티손 방출 제형
KR20140044603A (ko) 2012-10-05 2014-04-15 한국식품연구원 장류의 살균방법 및 이에 의해 살균된 장류
KR101752095B1 (ko) 2016-06-30 2017-06-28 씨제이제일제당 (주) 장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9388B2 (en) Microencapsulated delivery system for high viscosity fluids
KR101481772B1 (ko) 추출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과립 또는 환의 제조방법
US20070003492A1 (en) Porous silica having substance carried thereon
CN104353401B (zh) 复凝聚多核植物精油缓释微胶囊及其制造方法、用途
Sansone et al. Technological properties and enhancement of antifungal activity of a Paeonia rockii extract encapsulated in a chitosan-based matrix
CN105250195A (zh) 一种植物复配防腐剂及祛痘护肤品
AU2006319077A1 (en) Slow-release composi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 of the same
CN107137376A (zh) 一种黑果枸杞提取物微囊及由其制备的枸杞制剂
CN109601722A (zh) 一种月桂酸单甘油酯包被植物精油的制备方法
JPH09158042A (ja) 繊維処理剤
US596516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granules, and granules thus obtained
KR101231158B1 (ko) 일월비비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용 조성물
KR101982287B1 (ko) 천연 추출물 함유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
TWI465237B (zh) 神經芽細胞增殖促進劑及神經突起伸展劑
KR102061613B1 (ko) 세신오일을 흡착시킨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화장료 조성물
CN107320758A (zh) 一种高效除去畜禽养殖环境细菌的空气净化剂
CN109260321B (zh) 一种喉疾灵薄膜衣片及其制备方法
KR20190012818A (ko) 이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또는 피부염증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245269B1 (ko) 다중 코팅된 연질 캡슐
CN114098052A (zh) 包含灵芝的膳食补充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Basu et al. Preserv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s in Mentha spicata L. with the Use of Microencapsulation by Calcium Alginate
CN106821844B (zh) 一种具有抗螨和延缓衰老作用的组合物及包含该组合物的护肤品
CN109331061A (zh) 具酪氨酸酶抑制活性和抗菌活性的苦参黄酮类有效部位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0041702A1 (ja) 抗鳥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及び抗鳥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含有製品
CN107823295A (zh) 栀子花在制备改善睡眠障碍或改善记忆力减退或通便或提高免疫力药物或保健食品中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