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094B1 - 국수용 스프 조성물 및 스프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국수용 스프 조성물 및 스프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094B1
KR101981094B1 KR1020180143654A KR20180143654A KR101981094B1 KR 101981094 B1 KR101981094 B1 KR 101981094B1 KR 1020180143654 A KR1020180143654 A KR 1020180143654A KR 20180143654 A KR20180143654 A KR 20180143654A KR 101981094 B1 KR101981094 B1 KR 10198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soup
parts
wrapp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102018014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4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increments of material, in webs, e.g. folded or tubular webs, or by subdividing tubes filled with liquid, semi-liquid, or plast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D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수 조리 과정에서 끓는 물에 간편하게 혼합하여 국수 조리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조리된 국수의 맛, 풍미 및 기호도를 향상시킨 국수용 스프 조성물 및 스프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 조성물은, 국수 조리 과정에서 끓는 물에 혼합 및 용해되는 국수용 스프 조성물로, 정제염 25.0 ~ 27.3 중량%, 포도당 14.0 ~ 14.2 중량%, 정백당 10.0 ~ 10.2 중량%, 간장분말 9.9 ~ 10.1 중량%, L-글루타민산나트륨 7.4 ~ 7.6 중량%, 고춧가루 6.1 ~ 6.3 중량%, 멸치분말 3.7 ~ 3.8 중량%, 건미역 3.7 ~ 3.8 중량%, 가쓰오부시분말 3.2 ~ 3.4 중량%, 마늘분말 3.0 ~ 3.2 중량%, 양파분말 2.4 ~ 2.6 중량%, 건파 2.1 ~ 2.3 중량%, 김후레이크 0.7 ~ 0.8 중량%, 건당근 1.8 ~ 1.9 중량%, 카라멜색소분말 0.9 ~ 1.1 중량% 및 글리신 0.6 ~ 0.7 중량%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국수용 스프 조성물 및 스프 포장방법{SOUP COMPOSITION FOR NOODLES AND PACKA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국수 조리 과정에서 끓는 물에 간편하게 혼합하여 국수 조리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조리된 국수의 맛, 풍미 및 기호도를 향상시킨 국수용 스프 조성물 및 스프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수는 면을 끓는 물에 삶아 익힌 후, 삶은 면을 멸치, 사골, 해물 등의 재료를 우려낸 육수와 혼합하여 취식하는 대표적인 면 요리이다.
그러나 상기의 국물을 만드는 방법은, 국물을 만드는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또 만들어진 국물을 오래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육수를 내는 공정이 필요함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 육수를 낼 수 있는 기구와 장비가 있는 장소에서만 잔치 국수를 취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수용 스프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476829호(2014년12월19일)(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은 95 - 105g의 건 국수를 끓는 물에 익혀 찬물로 행군 국수를 480 - 520cc의 끓인 물과 상기 잔치 국수용 분말 수프 11.5 - 12.5g의 비율이 되도록 넣고 섞어 취식할 있도록 하되, 상기 잔치 국수용 분말 수프는, 중량%로 분말간장 18 - 21, 정백당 14.9 - 15.1, 덱스트린 13.1 - 13.4, 정제염 12.5 - 12.7, 사골분말 9.9 - 10.1, MSG가 첨가되지 않은 종합조미료 9.9 - 10.1, 멸치분말 8.8 - 9.1, 마늘분말 2.9 - 3.1, 간장과 팜유혼합분말 2.9 - 3.1,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1.3 - 1.5, 양파분말 0.9 - 1.1, 고춧가루 0.7 - 0.9, 흑후추분말 0.7 - 0.9, 가쓰오부시분말 0.40 - 0.6, 대두유 0.1 - 0.3을 골고루 혼합하여 밀봉한 국수용 스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면을 먼저 삶은 후에 국물에 투입된다는 한정이 있기 때문에 조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지 않고, 또한 종래기술보다 맛, 풍미, 기호도 면에서 현저히 개선된 스프 조성물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수 조리 과정 중에 끓는 물에 간편하게 혼합하여 국수 조리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조리된 국수의 맛, 풍미 및 기호도를 향상시킨 국수용 스프 조성물 및 스프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 조성물은, 국수 조리 과정에서 끓는 물에 혼합 및 용해되는 국수용 스프 조성물로, 정제염 25.0 ~ 27.3 중량%, 포도당 14.0 ~ 14.2 중량%, 정백당 10.0 ~ 10.2 중량%, 간장분말 9.9 ~ 10.1 중량%, L-글루타민산나트륨 7.4 ~ 7.6 중량%, 고춧가루 6.1 ~ 6.3 중량%, 멸치분말 3.7 ~ 3.8 중량%, 건미역 3.7 ~ 3.8 중량%, 가쓰오부시분말 3.2 ~ 3.4 중량%, 마늘분말 3.0 ~ 3.2 중량%, 양파분말 2.4 ~ 2.6 중량%, 건파 2.1 ~ 2.3 중량%, 김후레이크 0.7 ~ 0.8 중량%, 건당근 1.8 ~ 1.9 중량%, 카라멜색소분말 0.9 ~ 1.1 중량% 및 글리신 0.6 ~ 0.7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분말우동스프 1.2 ~ 1.3 중량%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말우동스프는 가수분해대두단백질, 가다랑어포, 다시마, 건새우, 건계란, 어묵분말, 건표고버섯, 구운 김, 튀김 후레이크, 팜유 중 일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핵산조미료 0.2 ~ 0.3 중량%, 비프조미분 0.03 ~ 0.05 중량% 및 쇠고기농축분말 0.03 ~ 0.0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호박산이나트륨 0.005 ~ 0.015 중량% 및 이산화규소 0.4 ~ 0.6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국수 조리에 따르는 제약을 탈피하고, 스프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맛과 풍미 및 기호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국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프 포장방법을 수행하는 스프 포장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진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스프 포장장치의 투입부 및 밀봉부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면.
도 3a 및 도 3b는 스프 포장장치의 커팅부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국수 조리 과정에서 끓는 물에 간편하게 혼합하여 국수 조리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조리된 국수의 맛, 풍미 및 기호도를 향상시킨 국수용 스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소개함과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국수용 스프 조성물(이하 본 스프)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해당 조성물을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해당 맛이 부족해지고,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해당 맛이 과해지는 경우에 대하여, '적당하지 않다'라는 표현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적당하지 않다'라는 표현에 의하여 본 발명이 불명확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스프는 국수 조리 과정에서 끓는 물에 혼합 및 용해되는 국수용 스프 조성물로, 정제염 25.0 ~ 27.3 중량%, 포도당 14.0 ~ 14.2 중량%, 정백당 10.0 ~ 10.2 중량%, 간장분말 9.9 ~ 10.1 중량%, L-글루타민산나트륨 7.4 ~ 7.6 중량%, 고춧가루 6.1 ~ 6.3 중량%, 멸치분말 3.7 ~ 3.8 중량%, 건미역 3.7 ~ 3.8 중량%, 가쓰오부시분말 3.2 ~ 3.4 중량%, 마늘분말 3.0 ~ 3.2 중량%, 양파분말 2.4 ~ 2.6 중량%, 건파 2.1 ~ 2.3 중량%, 김후레이크 0.7 ~ 0.8 중량%, 건당근 1.8 ~ 1.9 중량%, 카라멜색소분말 0.9 ~ 1.1 중량% 및 글리신 0.6 ~ 0.7 중량%를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먼저 정제염은 이온 필터링을 통해 분순물, 중금속 등이 제거된 염화나트륨의 결정체로, 천일염에 비해 쓰고 떫은맛이 덜하여 국수의 간을 조절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정제염은 25.0 ~ 27.3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염미가 부족해지고,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염미가 과하여 국수의 간을 해치게 된다. 즉, 염미가 적당하지 않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정제염의 사용량은 25.11 중량%이다.
다음으로, 포도당은 전분을 희산으로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단당류로, 감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며, 기타 다당체에 비해 흡수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 감미료의 일부 구성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포도당은 14.0 ~ 14.2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당류의 흡수력이 저하되며,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열량 흡수율이 과도하게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포도당의 사용량은 14.11 중량%이다.
다음으로, 정백당은 설탕 제조 과정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지는 작은 입자의 순도 높은 흰색의 설탕으로서, 물에는 잘 녹으나 쉽게 덩어리지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감미 부여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정백은 10.0 ~ 10.2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성비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감미가 적당하지 않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정백당의 사용량은 10.10 중량%이다.
특히 본 스프는 포도당을 감미료의 일부 구성에 포함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흡수율 및 흡수되는 시간이 떨어지는 정백당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간장분말은 간장을 건조하여 분말 상으로 만든 것으로, 전분질, 젤라틴 등의 건조 조제가 일부 포함되어 있으며, 단맛 억제기능과 감칠맛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간장분말은 9.9 ~ 10.1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염미와 감칠맛이 적당하지 않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간장분말의 사용량은 9.99 중량%이다.
다음으로, L-글루타민산나트륨은 다시마에 있는 글루타메이트를 분리하여 추출한 글루탐산에 나트륨을 결합한 것으로, 일명 MSG로 불리며, 감칠맛을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L-글루타민산나트륨은 7.4 ~ 7.6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감칠맛이 적당하지 않게 되고, 특히 7.6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유해성 이슈에 관련될 수 있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사용량은 7.52 중량%이다.
다음으로, 고춧가루는 고추를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으로, 얼큰한 맛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6.1 ~ 6.3 중량%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얼큰한 맛이 적당하지 않으며, 가장 바직하게는 6.24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멸치분말은 멸치를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으로, 국수의 개운하고 구수한 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바람직한 사용량은 3.7 ~ 3.8 중량%이고, 반복 실험 결과 3.75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건미역은 미역을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으로, 국수의 풍미를 더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비타민 K, 칼슘, 식이섬유 및 알긴산 등의 성분으로 인한 각 종 효능을 더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건미역은 3.7 ~ 3.8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3.75 중량%이다.
다음으로, 가쓰오부시분말은 가다랑어의 살을 찌고 건조시킨 후 발효시켜 분말 상으로 형성시킨 것으로, 주로 육수를 내는데 사용하며, 해물로 만든 음식 위에 뿌리는 고명으로도 사용한다. 그리고 가쓰오부시는 감칠맛을 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장국 등을 먹기 직전에 뿌리기만 해도 특유의 풍미가 느껴진다.
이러한 가쓰오부시분말은 3.2 ~ 3.4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감칠맛이 적당하지 않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3.30 중량%이다.
다음으로, 마늘분말, 양파분말은 각각 마늘과 양파를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으로, 마늘분말은 3.0 ~ 3.2 중량%, 양파분말은 2.4 ~ 2.6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복 실험 결과, 마늘분말은 3.12 중량%, 양파분말은 2.50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건파는 파를 건조한 것으로, 칼슘,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고유의 향을 통해 국수의 풍미와 향미를 더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건파는 2.1 ~ 2.3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풍미와 향미가 적당하지 않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2.25 중량%이다.
다음으로, 김후레이크는 건조한 김을 소정 크기로 파쇄하여 형성한 것으로, 김은 나트륨, 칼륨, 칼슘, 인, 철 등의 무기질이 들어 있으며 카로틴이 많이 들어 있어 비타민 A의 좋은 공급원이 된다. 그밖에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등도 비교적 많이 들어 있다. 본 스프에서는 풍미와 고소한 맛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김후레이크는 0.7 ~ 0.8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풍미와 고소한 맛이 적당하지 않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0.75 중량%이다.
다음으로, 건당근은 당근을 건조한 것으로, 각 종 비타민과 카로틴이 풍부하며, 본 스프에서는 감미와 식감을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건당근은 1.8 ~ 1.9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복 실험 결과, 1.87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카라멜색소분말은 천연색소로서 첨가되며, 0.9 ~ 1.1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1.00 중량%이다.
다음으로, 글리신은 저장성 향상제로서 첨가되며, 대장균의 생육을 저해하고 식품의 저장성 향상, 산화 방지, 감미료 작용 등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글리신은 0.6 ~ 0.7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대사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0.66 중량%이다.
한편, 본 스프는 분말우동스프 1.2 ~ 1.3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분말우동스프는 본 스프의 감칠맛, 풍미, 염미, 감미 등 종합적인 맛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수분해대두단백질, 가다랑어포, 다시마, 건새우, 건계란, 어묵분말, 건표고버섯, 구운 김, 튀김 후레이크, 팜유 중 일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말우동스프의 사용량은 1.2 ~ 1.3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국수의 맛이 적당하지 않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1.25 중량%이다.
추가로, 본 스프는 핵산조미료 0.2 ~ 0.3 중량%, 비프조미분 0.03 ~ 0.05 중량% 및 쇠고기농축분말 0.03 ~ 0.0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각 조성물 별로, 핵산조미료는 향미증진제로 활용되는 핵산계 조미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버섯의 감칠맛을 가미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스프는 핵산조미료를 첨가함으로써 L-글루타민산나트륨 또는 정제염의 사용량을 낮출 수 있었다. 이러한 핵산조미료는 0.2 ~ 0.3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감칠맛이 저하되어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사용량이 증대되고,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진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0.27 중량%이다.
다음, 비프조미분은 소고기를 건조하여 분말화한 후 소정의 조미료를 첨가한 것으로, 여기에서 첨가되는 조미료는 공지된 기술을 참고할 수 있다. 본 스프에서 비프조미분은 적정 염미와 감칠맛을 더하기 위해 사용되며, 0.03 ~ 0.05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감칠맛이 적당하지 않고, 특히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0.04 중량%이다.
다음, 쇠고기농축분말은 쇠고기 우린 물에 소뼈를 삶아 여과한 후 잔여액을 농축하여 분말화한 것으로, 비프조미분과 유사하게 감칠맛을 부가하기 위해 첨가되며, 차이점은 염미가 상대적으로 전무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쇠고기농축분말은 0.03 ~ 0.05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감칠맛이 적당하지 않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0.04 중량%이다.
추가로, 본 스프는 호박산이나트륨 0.005 ~ 0.015 중량% 및 이산화규소 0.4 ~ 0.6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각 조성물 별로, 호박산이나트륨은 석신산이나트륨으로도 불리며, 핵산계 조미료와 병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단맛과 짠맛을 동시에 가져 본 스프에서는 풍미개량제로서 첨가된다. 이러한 호박산이나트륨은 0.005 ~ 0.015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풍미 개량 효과가 적당하지 않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0.01 중량&이다.
다음, 이산화규소는 제습제로서 첨가되며, 0.4 ~ 0.6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습 기능이 저하되어 스프가 습기에 의해 굳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유해성 이슈에 관련될 수 있다.
추가로, 본 스프는 커피크리마 1.8 ~ 1.9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풍미증진제로서 첨가되며, 반복 실험에 의해 도출된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1.87 중량%이다.
이하 상기 조성비를 도출하기 위한 실험에 관한 실시예를 소개함으로써, 본 스프의 개선된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비교예]
별도로 제조된 면 100g을 500cc의 끓는 물에서 2분간 삶은 후, 아래 표 1과 같은 조성비를 갖는 종래의 스프 12g을 투입한 후, 1분간 더 끓여서 국수를 제조하였다.
No 조성물 함량(중량%) 비고
1 분말간장 19.5
2 정백당 15
3 덱스트린 13.2
4 정제염 12.6
5 사골분말 10
6 종합조미료 10 MSG 미첨가
7 멸치분말 9
8 마늘분말 3
9 간장혼합분말 3 간장+팜유
10 핵산계조미료 1.4
11 양파분말 1
12 고춧가루 0.8
13 흑후추분말 0.8
14 가쓰오부시분말 0.5
15 대두유 0.2
[실시예1]
별도로 제조된 면 100g을 500cc의 끓는 물에서 2분간 삶은 후, 아래 표 2와 같은 조성비를 갖는 본 스프 12g을 투입한 후, 1분간 더 끓여서 국수를 제조하였다.
No 조성물 함량(중량%) 비고
1 정제염 27.22
2 포도당 14.11
3 정백당 10.10
4 간장분말 9.99
5 L-글루타민산나트륨 7.52
6 고춧가루 6.24
7 멸치분말 3.75
8 건미역 3.75
9 가쓰오부시분말 3.30
10 마늘분말 3.12
11 양파분말 2.50
12 건파 2.25
13 김후레이크 0.75
14 건당근 1.87
15 카라멜색소분말 1.00
16 글리신 0.66
17 카피크리마 1.87
[실시예2]
별도로 제조된 면 100g을 500cc의 끓는 물에서 2분간 삶은 후, 아래 표 3과 같은 조성비를 갖는 본 스프 12g을 투입한 후, 1분간 더 끓여서 국수를 제조하였다.
No 조성물 함량(중량%) 비고
1 정제염 25.97
2 포도당 14.11
3 정백당 10.10
4 간장분말 9.99
5 L-글루타민산나트륨 7.52
6 고춧가루 6.24
7 멸치분말 3.75
8 건미역 3.75
9 가쓰오부시분말 3.30
10 마늘분말 3.12
11 양파분말 2.50
12 건파 2.25
13 김후레이크 0.75
14 건당근 1.87
15 카라멜색소분말 1.00
16 글리신 0.66
17 카피크리마 1.87
18 분말우동스프 1.25
[실시예3]
별도로 제조된 면 100g을 500cc의 끓는 물에서 2분간 삶은 후, 아래 표 4와 같은 조성비를 갖는 본 스프 12g을 투입한 후, 1분간 더 끓여서 국수를 제조하였다.
No 조성물 함량(중량%) 비고
1 정제염 25.11
2 포도당 14.11
3 정백당 10.10
4 간장분말 9.99
5 L-글루타민산나트륨 7.52
6 고춧가루 6.24
7 멸치분말 3.75
8 건미역 3.75
9 가쓰오부시분말 3.30
10 마늘분말 3.12
11 양파분말 2.50
12 건파 2.25
13 김후레이크 0.75
14 건당근 1.87
15 카라멜색소분말 1.00
16 글리신 0.66
17 카피크리마 1.87
18 분말우동스프 1.25
19 핵산조미료 0.27
20 비프조미분 0.04
21 쇠고기농축분말 0.04
22 호박산이나트륨 0.01
23 이산화규소 0.50
[실험예]
본 스프의 최적의 조성비를 도출하기 위해 종래의 스프에 관한 비교예와 본 발명에 따른 스프에 관한 실시예1 내지 3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해당 관능검사는 본 출원인의 회사 임직원들과 추가로 초청된 외부 검사 요원들로 구성된 50명의 검사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맛, 풍미, 기호도를 최소 1점에서 최대 5점까지의 척도로 구분한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하였다. 도출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스프 풍미 기호도 비고
비교예 3.0 3.5 3.9
실시예1 3.8 3.4 4.1
실시예2 4.1 3.9 4.2
실시예3 4.6 4.4 4.7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의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하여 맛, 풍미, 기호도 면에서 대체적으로 우수한 면을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2는 실시예1에 비하여 풍미 면에서 월등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실시예3은 실시예1 및 2와 비교하여 맛과 풍미 모든 면에서 월등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험예와 별개로, 실시예1 내지 3의 스프를 공기 중에 노출시킨 결과, 실시예3의 스프가 가장 늦게 굳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스프는 끓는 물에 간편하게 혼합하여 국수 조리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조리된 국수의 맛, 풍미 및 기호도가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한 본 스프 조성물을 이용한 스프의 포장을 수행하는 스프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 포장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본 스프 조성물은 고형, 액상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이하의 실시에서는 상기 스프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액상 스프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스프 포장방법을 수행하는 스프 포장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진도면, 도 2a 내지 도 2d 는 스프 포장장치의 투입부 및 밀봉부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면, 도 3a 및 도 3b 는 스프 포장장치의 커팅부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프 포장방법을 수행하는 스프 포장장치(이하, '포장장치'로 약칭)(100)는 상기한 본 스프 조성물로 이루어진 스프의 포장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포장장치(100)는 평판 형상의 거치대(110)와, 상기 거치대(110) 상에서 사선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암(111)에 포장용지(c)를 권취하는 권취롤러가 부설되고, 거치대(110)에 고정되는 링크부재(130)상에 포장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및 포장용지를 후술할 투입부(150)로 공급하는 공급롤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0)의 액상 스프(L)를 수용하는 탱크(140)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110)의 하측으로 상기 권취롤러의 회전을 수행하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120)이 설치되고, 하우징(120)의 일 측으로 포장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반(12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투입부(150)의 하측에 위치하되 하우징(120)의 전면 판넬(122)에 밀봉부(160)가 설치되어 포장용지(c)를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시킨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160)의 하측으로 밀봉된 상태의 포장용지(c)를 절단하여 개별적인 포장용기(C)를 생성하여 배출하는 커팅부(170)가 설치되며, 상기 커팅부(170)에서 생성된 개별 포장용기(C)들은 커팅부(170)의 하측으로 설치된 수거함(180)에 수집되어 추후 배출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장치의 투입부(150), 밀봉부(160) 및 커팅부(170)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부(150)는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지(c)를 접어서 용기의 형상으로 만들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방으로 연장된 가이드판(151)과, 상기 가이드판(151)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탱크(140)로부터 이송되는 액상 스프(L)를 가이드판(151)에 의하여 접혀진 상태의 포장용지(c)에 주입하는 주입노즐(152)과, 상기 가이드판(151)과 일정 간극을 이루면서 가이드판(151)의 외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설치된 상부플렌지(153a)와, 상기 상부플렌지(153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세로바(154)와, 상기 세로바(154)의 말단에 연결된 원호 형상의 하부플렌지(15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장용지(c)는 공급롤러를 통하여 투입부(150)에 공급될 때 상기 가이드판(151)과 상부플렌지(153a) 사이의 간극으로 투입되면서 용지의 양측이 중앙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고, 용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세로바(154) 및 하부플렌지(153b)에 의하여 용지의 양측이 서로 접촉되도록 접혀지게 되어 상부가 개구된 포장용기(C)의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어서, 밀봉부(160)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장치의 밀봉부(160)는 상기 투입부(150)를 통과하면서 접혀진 상태의 포장용지(c)의 일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상호 부착시키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 실시예의 포장장치는 순차적으로 낙하되는 포장용지(c)의 이동속도에 따라서 포장용지(c)의 일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시킨다.
즉, 상기 밀봉부(160)는 하우징(120)의 전면 판넬(122)을 관통하여 형성된 윈도우의 일측 변 및 타측 변상에 각각 설치되어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한 쌍의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은 유압에 의하여 상호 벌려지는 방향으로 펼쳐졌다가 다시 유압에 의하여 상호 수렴하는 방향으로 오므라드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의 내측벽면에는 전력이 공급되어 고온으로 가열되는 융착판(163a,163b)이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융착판(163a,163b)은 하부의 수평바(163a-1,163b-1)와 수평바(163a-1,163b-1)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바(163a-2,163b-2)로 이루어진 영문대문자 L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수평바(163a-1,163b-1)는 포장용지(c)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열융착시키는 부분이며, 수직바(163a-2,163b-2)는 포장용지(c)의 일 측면 열융착시키는 부분이다.
한편, 밀봉부(160)는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기(164)와 유압공급라인(165) 및 융착판(163a,163b)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166)을 부설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의 하부 말단에는 각 날개편(161,162)을 관통하여 연결축(167)이 결합되고, 날개편(161,162)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축(167)의 말단에 평판 형상의 압착판(168,169)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압착판(168,169)은 상기 융착판(163a,163b)에 의하여 상부면 및 하부면과 일 측면 융합된 상태의 포장용기(C)의 좌우면을 눌러 주어 주입노즐(152)을 통한 액상 스프(L) 주입 시 포장용기(C)를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커팅부(170)를 설명한다.
상기 커팅부(170)는, 상부면 및 하부면과 일 측면 융합된 상태이지만 아직 개별적으로 절단되지 않은 상태의 포장용기(C)를 절단하여 개별 포장용기(C)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20)의 전면판넬(122)에 부착된 한 쌍의 측벽(171)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되며 포장용기(C)를 절단하는 블레이드(blade)(173)를 부착한 회전축(172)이 설치되고, 상기 측벽(171)상에 마감판(174)이 부설되고, 상기 블레이드(173)에 의하여 절단된 개별 포장용기(C)가 수거함(180)에 수집된다.
또한, 상기 제 1 날개편(161) 및 제 2 날개편(162)의 하부 말단의 내측면에 한 쌍의 파지구(175a,175b)가 설치되어 파지구(175a,175b)가 설치되어 포장용기(C)를 파지하고 있게 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77 은 측벽(171)에 설치되어 포장용기(C)를 회전축(172) 방향으로 안내하는 고정바(177)이고, 미설명부호 176 은 블레이드(173)에 의하여 절단된 개별 포장용기(C)가 수거함(180)으로 낙하되는 배출공(176)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포장장치(100)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각 공정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1) 포장용기의 공급단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포장용지(c)를 권취한 권취롤러로부터 풀려 나와 이송롤러를 거쳐서 공급롤러로 이송되고, 공급롤러로부터 풀려나와 펼쳐진 상태의 포장용지(c)는 투입부(150)의 가이드판(151)과 상부플렌지(153a) 사이의 간극으로 투입되면서 용지의 양측이 중앙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고, 용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세로바(154) 및 하부플렌지(153b)에 의하여 용지의 양측이 서로 접촉되도록 접혀지게 되어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변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접혀진 상태의 포장용지(c)는 포장용지의 일 측면 및 상부면과 하부면이 상호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된다.
2) 투입 전 밀봉 단계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부(150)를 통과하면서 접혀진 상태의 포장용지(c)의 일 측면 하부면을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시키는 단계이다.
즉,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한 쌍의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 사이로 포장용지(c)가 위치하면,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이 공급되면서 상기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이 상호 수렴하는 방향으로 오므라드는 작동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의 내측벽면에는 부착되어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의 융착판(163a,163b)의 수평바(163a-1,163b-1)에 의하여 포장용지(c)의 하부면이 열융착됨과 동시에 수직바(163a-2,163b-2)에 의하여 포장용지(c)의 일 측면 상호 열융착되어 부착된다.
3) 스프 투입단계
그리고 포장용지(c)의 하부면 및 일 측면 부착된 상태의 포장용지(c)의 내부로 탱크(140)로부터 유입된 액상 스프(L)가 주입노즐(152)을 통하여 분사된다. 도 2b 및 도 2c 는 액상 스프(L)가 포장용지(c)의 내부로 계속적으로 분사되어 일정량을 수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4) 투입 후 밀봉단계
상기 스프 투입단계에서 투입된 액상 스프(L)가 수용된 상태의 포장용지(c)의 상부가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단계이다.
도 2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은 유압이 공급되면서 상호 벌려지는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고, 투입부(150)를 경유하여 이동된 새로운 포장용지(c)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투입 전 밀봉단계에서 하부면 및 일 측면 융착된 상태의 포장용지(c)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이 상호 수렴하는 방향으로 오므라드는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 사이로 배치된 새로운 포장용지(c)의 하부면 및 일 측면 열융착되어 부착되는데, 이와 동시에, 상술한 투입 전 밀봉단계에서 하부면과 일 측면 밀봉되어 스프가 투입된 포장용지(c)의 상부면도 융착판(163a,163b)의 수평바(163a-1,163b-1)에 열융착되어 상호 부착되면서 밀봉이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포장용지(c)의 하부에 위치한 포장용지(c)의 상부면이 동시에 열융착되게 되어 접혀져 있던 포장용지(c)는 상부면 및 하부면과 일 측면 융합된 상태의 포장용기(C)를 이루게 된다.
5) 절단 단계
상기 투입 후 밀봉단계를 통하여 완전히 밀봉된 상태의 포장용기(C)의 상부를 절단하여 개별 포장용기(C)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부면 및 하부면과 일 측면 융합된 상태이지만 아직 개별적으로 절단되지 않은 상태의 포장용기(C)가 커팅부(170)의 측벽(171)들 사이에 위치되면 회전축(172)이 회전되면서 블레이드(173)에 의하여 사면이 완전히 밀봉된 상태의 포장용기(C)의 상부가 절단되면서 개별 포장용기(C)가 생성되어 배출공(176)을 통하여 수거함(180) 내부로 낙하하게 되며, 수거함(180) 내부에 일정 개수의 포장용기(C)가 수집되면 다른 수거함(180)으로 교체한다.
한편, 상기한 거치대(110), 하우징(120), 링크부재(130), 탱크(140), 투입부(150) 등은 용지 융착을 위한 가열 등 외부 환경에 상시 노출되고, 특히 액상 스프의 포장을 제공하는 장치라는 점에서 침습을 피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장치는 상기 구성들의 보호수단으로서, 거치대(110), 하우징(120), 링크부재(130), 탱크(140), 투입부(150) 중 일 이상의 외면에 보호제의 도포 및 경화에 의하여 보호막이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호막은 모든 구성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처를 고려하여 보호가 필요한 부분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막은 그 구비가 간편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부착성이 우수하여야 하며, 나아가 향상된 방부성, 내화성, 방청성을 구비해야만 하고, 더하여 신속한 경화로 인한 향상된 제조성, 발수 처리를 통한 향상된 방수성을 구비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효과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보호막을 위한 보호제 조성물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150 ~ 250중량부,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30 ~ 40중량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50 ~ 100중량부,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1 ~ 5중량부, 실리카 에어로겔 25 ~ 35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10 ~ 25중량부, 소디움실리케이트 30 ~ 50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 ~ 70중량부, 에틸실리코네이트 30 ~ 60중량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1 ~ 5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 0.5 ~ 2.5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먼저 (Phenoxyethylacrylate)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 사용되며, 적당한 흐름성 확보와 우수한 내열 특성을 갖기 때문에 다양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중에서 본 조성물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후술하는 각 조성물들의 사용량은 이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Polyesteracrylate)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서 사용되며, 적정 접착성, 강도 및 내구성을 갖기 때문에 다양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중에서 본 조성물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는 150 ~ 25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나 사용하는 경우 보호막의 접착, 강도 및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200중량부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oxide)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는 개시제로서 사용되며, 다양한 개시제 중에서 상기한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와 함께 사용할 때 가장 우수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는 30 ~ 4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충분한 라디칼의 형성이 어렵고, 4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 사용하는 경우 특히 경화시간 및 흐름성에서 눈에 띄는 물성 저하가 관찰되었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35중량부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Polyvinylacetate)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보호제의 고착력을 향상시키는 고착제로서 사용되며, 그 사용량은 50 ~ 1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5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도막의 유연성 하락으로 보호제가 잘 고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보호제의 건조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반복 실험 결과 최적의 사용량은 70중량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2-Methyl-4-Isothiazoline-3-one)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은 방부제로서 사용되며, 그 사용량은 1 ~ 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뚜렷한 문제점이 나타난 것은 아니나, 반복 실험 결과 상기 조성 범위에서 가장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Silica Aerogel)실리카 에어로겔은 확산된 기공을 바탕으로 내화 및 단열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조성물로, 내화제 및 단열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실리카 에어로겔은 80 ∼ 99.87%의 기공율과 1 ∼ 50nm의 기공 크기를 갖는 비표면적이 매우 큰 물질로, 투명 극저밀도 소재로, 높은 투광성과 낮은 열전도도를 특성으로 하기 때문에 투명 단열재로의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실리카 에어로겔은 수분을 흡수하면 겔 구조 특성 및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표면이 소수화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25 ~ 3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최적의 물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35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경제성 저하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30중량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3-Glycid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은 각 조성물 특히 고분자 조성물들의 계면 접착성을 높여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커플링제로 사용되며, 그 사용량은 10 ~ 2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 간의 결합력이 효과적으로 발현되지 않는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20중량부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Sodiumsilicate)소디움실리케이트는 방청제로서 첨가되며, 다양한 방청제 조성물 중 비교적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소디움실리케이트의 바람직한 사용량은 30 ~ 50중량부인데, 가령 3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방청 능력의 보장이 어렵고, 5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경제성과 방청 능력 모두를 고려한 최적의 사용량은 40중량부이다.
다음으로, (Hydroxyethylacrylate)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는 부착증진제로서 첨가되며,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는 특히 경화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어 채용되었다. 바람직한 사용량은 10 ~ 70중량부인데, 가령 1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부착 증진 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으며, 7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휘발도가 높아져 독성이 강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40중량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Ethylsiliconate)에틸실리코네이트는 보호막의 내식성, 내충격성, 내자상성(자상/스크래치에 견디는 정도) 및 표면 경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강도강화제로서 첨가되며, 평균 입자 크기는 10 ~ 20 nm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바람직한 사용량은 30 ~ 60중량부이다. 가령 3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고, 6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과도한 강성에 의해 시공 후 크랙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40중량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Ehtylenediaminetetracetate)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는 흡착강화제로서 사용되며, 보호막의 초기 시공 시의 흡착력을 강화하여 결과적으로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의 바람직한 사용량은 1 ~ 5중량부이며,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흡착 강화 효과가 적절하게 발현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Tetraethoxysilane)테트라에톡시실란은 가수분해 축합되어 보호막의 방수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고 방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0.5 내지 2.5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방수성, 발수성 및 방부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2.5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복 실험 결과, 가장 바람직한 사용량은 2중량부로 확인되었다.
상기 구성 및 조성 범위의 한정을 갖는 본 발명의 보호막은 건조 온도 한정이 별도로 필요 없고, 흐름성이 없이 경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호막의 구비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나아가 우수한 부착성은 물론, 향상된 방부성, 내화성, 방청성을 구비하고, 더하여 방수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호제 조성물과 이에 의하여 형성된 보호막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실시예1 내지 3 각각의 조성비로 혼합된 보호제(500g)를 시험용 블록에 각각 도포한 후, UV 경화를 거쳐 경화하여 시험용 블록 외면에 보호막을 형성한 후, 각각의 시험용 블록을 이용하여 이하 실험예1 내지 4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아래 성분표 참조)
[성분표]
Figure 112018115710109-pat00001
[실험예1]
실시예1 내지 3 각각의 시험용 블록의 UV 경화 시간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1은 약 1분, 실시예2는 약 1분 30초, 실시예3은 2분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실시예1 내지 3 모두 전체적인 경화 시간은 짧은 편에 속하며, 특히 세 실시예 모두 흐름성 없이 신속한 경화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2]
실시예1 내지 3 각각의 시험용 블록에 크로스-컷(cross-cut) 시행 결과, 실시예 1 내지 3 모두 오차 범위 1% 내에서 전혀 박리가 일어나지 않았다.(박리율 1% 미만)
이 후, 실시예 1 내지 3 각각의 시험용 블록 외면에 불규칙한 돌출부위를 갖는 스크래처를 통해 긁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 실시예1은 보호막 대부분이 파손되었고, 실시예2 및 3에서는 오차 범위 5% 내에서 보호막의 파손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파손율 5% 미만)
따라서 실시예1에 비하여 실시예2 및 3이 보호막의 부착력과 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3]
실시예1 내지 3 각각의 시험용 블록 외면에 토치를 통해 10분간 화염을 직접 분사하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 실시예1 및 2에서는 일부 연소 및 용융이 발생하였으나, 실시예3에서는 약간의 그을음이 발생할 뿐 보호막이 전혀 연소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1 및 2에 비하여 실시예3이 내화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4]
실시예1 내지 3 각각의 시험용 블록 외면에 6시간 동안 물을 분사한 후, 보호막을 제거하고 시험용 블록의 내부 침습도를 검사한 결과 실시예1 및 2에서는 소량의 습기가 검출되었고, 실시예3에서는 습기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1 및 2에 비하여 실시예3이 방수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프 포장장치
110: 거치대
120: 하우징 121: 조작반
130: 링크부재
140: 탱크
150: 투입부 151: 가이드판
152: 주입노즐 153a: 상부 플렌지
153b: 하부 플렌지
160: 밀봉부 161: 제 1 날개편
162: 제 2 날개편 163a, 163b: 융착봉
163a-1, 163b-1: 수평바 163a-2, 163b-2: 수직바
164: 유압기 165: 유압공급라인
166: 전원공급라인 167: 연결축
168, 169: 압착판
170: 커팅부 171: 측벽
172: 회전축 173: 블레이드
174: 마감판 175a, 175b: 파지구
176: 배출공 177: 고정바
180: 수거함

Claims (2)

  1. 국수 조리 과정에서 끓는 물에 혼합 및 용해되고, 정제염 25.0 ~ 27.3 중량%; 포도당 14.0 ~ 14.2 중량%; 정백당 10.0 ~ 10.2 중량%; 간장분말 9.9 ~ 10.1 중량%; L-글루타민산나트륨 7.4 ~ 7.6 중량%; 고춧가루 6.1 ~ 6.3 중량%; 멸치분말 3.7 ~ 3.8 중량%; 건미역 3.7 ~ 3.8 중량%; 가쓰오부시분말 3.2 ~ 3.4 중량%; 마늘분말 3.0 ~ 3.2 중량%; 양파분말 2.4 ~ 2.6 중량%; 건파 2.1 ~ 2.3 중량%; 김후레이크 0.7 ~ 0.8 중량%; 건당근 1.8 ~ 1.9 중량%; 카라멜색소분말 0.9 ~ 1.1 중량%; 글리신 0.6 ~ 0.7 중량%; 분말우동스프 1.2 ~ 1.3 중량%; 핵산조미료 0.2 ~ 0.3 중량%; 비프조미분 0.03 ~ 0.05 중량; 쇠고기농축분말 0.03 ~ 0.05 중량%; 호박산이나트륨 0.005 ~ 0.015 중량%; 및 이산화규소 0.4 ~ 0.6 중량%;를 포함하는 스프 조성물을 이용한 스프의 포장방법으로,
    거치대 상에 설치된 권취롤러에 권취된 포장용지(c)를 투입부를 통과시켜 접혀진 상태로 공급받는 포장용기의 공급단계;
    상기 투입부를 통과하면서 접혀진 상태의 포장용지(c)의 일 측면 하부면을 밀봉부에 의하여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시키는 투입 전 밀봉단계;
    상기 하부면 및 일 측면 융착된 상태의 포장용지(c)의 내부로 스프를 투입하는 스프 투입단계;
    상기 스프가 수용된 상태의 포장용지(c)의 상부면을 밀봉부에 의하여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시키는 투입 후 밀봉단계; 및
    상기 밀봉된 상태의 포장용지(c)를 절단하여 개별 포장용기(C)를 생성하여 배출하는 절단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 투입단계에서, 상기 스프는 상기 스프 조성물을 물에 용해시킨 액상 스프(L)이고, 거치대에 설치된 탱크(140)로부터 유입된 액상 스프(L)가 투입부에 설치된 주입노즐(152)을 통하여 포장용지(c)의 하부면 및 일 측면 부착된 상태의 포장용지(c)의 내부로 분사되며,
    상기 포장용기의 공급단계는, 상기 포장용지(c)가 상기 투입부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방으로 연장된 가이드판(151)과 상기 가이드판(151)과 일정 간극을 이루면서 가이드판(151)의 외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설치된 상부플렌지(153a) 사이의 간극으로 투입되면서 용지의 양측이 중앙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고, 포장용지(c)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플렌지(153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세로바(154) 및 상기 세로바(154)의 말단에 연결된 원호 형상의 하부플렌지(153b)에 의하여 용지의 양측이 서로 접촉되도록 접혀지게 되어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접혀지게 되며,
    상기 투입 전 밀봉단계는, 상기 밀봉부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한 쌍의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을 가지며, 유압이 공급되면서 상기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이 상호 수렴하는 방향으로 오므라드는 작동을 수행할 경우 상기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의 내측벽면에 부착되어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의 융착판(163a,163b)의 수평바(163a-1,163b-1)에 의하여 포장용지(c)의 하부면이 열융착됨과 동시에 수직바(163a-2,163b-2)에 의하여 포장용지(c)의 일 측면 열융착되어 부착되고,
    상기 투입 후 밀봉단계는, 상기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에 유압이 공급되면서 상호 벌려지는 방향으로 펼쳐지고, 펼쳐진 날개편(161,162) 사이로 새로운 포장용지(c)가 위치되면서 상기 투입 전 밀봉단계에서 하부면 및 일 측면 융착된 상태의 포장용지(c)는 하방으로 이동되고, 제 1 날개편(161)과 제 2 날개편(162)이 재차 상호 수렴하는 방향으로 오므라드는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투입 전 밀봉단계에서 하부면과 일 측면 밀봉되어 스프가 투입된 포장용지(c)의 상부면이 융착판(163a,163b)의 수평바(163a-1,163b-1)에 열융착 되고,
    상기 거치대, 하우징, 링크부재, 탱크, 투입부 중 일 이상의 외면에는 보호제의 도포 및 경화에 의하여 보호막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제는,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150 ~ 250중량부,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30 ~ 40중량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50 ~ 100중량부,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1 ~ 5중량부, 실리카 에어로겔 25 ~ 35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10 ~ 25중량부, 소디움실리케이트 30 ~ 50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 ~ 70중량부, 에틸실리코네이트 30 ~ 60중량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1 ~ 5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 0.5 ~ 2.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포장방법.
  2. 삭제
KR1020180143654A 2018-11-20 2018-11-20 국수용 스프 조성물 및 스프 포장방법 KR101981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54A KR101981094B1 (ko) 2018-11-20 2018-11-20 국수용 스프 조성물 및 스프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654A KR101981094B1 (ko) 2018-11-20 2018-11-20 국수용 스프 조성물 및 스프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094B1 true KR101981094B1 (ko) 2019-05-23

Family

ID=6668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654A KR101981094B1 (ko) 2018-11-20 2018-11-20 국수용 스프 조성물 및 스프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0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663B1 (ko) * 2021-05-13 2021-12-30 김현수 비빔면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9625A (ja) * 1989-04-05 1990-11-05 Nippon Sanso Kk 食品用密封・殺菌装置
KR960020822A (ko) * 1994-12-27 1996-07-18 사토루 이무라 포장식품의 제조방법, 포장식품 제조장치 및 포장식품
JP2007022548A (ja) * 2005-07-12 2007-02-01 Sanko Kikai Kk 粉末スティックタイプ小型自動包装機の原料供給機構
KR100933750B1 (ko) * 2009-08-19 2009-12-24 주식회사 대린기계 파우치용기의 소스 충진 포장장치
KR100955487B1 (ko) * 2009-09-29 2010-04-30 주식회사 대린기계 겔 또는 액상 소스 충진 포장장치
KR101077858B1 (ko) * 2004-09-16 2011-10-31 곽상운 배관 코팅방법
KR101643752B1 (ko) * 2015-12-24 2016-07-29 (주)투엘바이오 스틱형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9625A (ja) * 1989-04-05 1990-11-05 Nippon Sanso Kk 食品用密封・殺菌装置
KR960020822A (ko) * 1994-12-27 1996-07-18 사토루 이무라 포장식품의 제조방법, 포장식품 제조장치 및 포장식품
KR101077858B1 (ko) * 2004-09-16 2011-10-31 곽상운 배관 코팅방법
JP2007022548A (ja) * 2005-07-12 2007-02-01 Sanko Kikai Kk 粉末スティックタイプ小型自動包装機の原料供給機構
KR100933750B1 (ko) * 2009-08-19 2009-12-24 주식회사 대린기계 파우치용기의 소스 충진 포장장치
KR100955487B1 (ko) * 2009-09-29 2010-04-30 주식회사 대린기계 겔 또는 액상 소스 충진 포장장치
KR101643752B1 (ko) * 2015-12-24 2016-07-29 (주)투엘바이오 스틱형 포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663B1 (ko) * 2021-05-13 2021-12-30 김현수 비빔면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6974A (zh) 一种特殊风味的大黄鱼片加工方法
CN102366034B (zh) 一种烤鱼膨松剂及其制备方法、应用
KR101981094B1 (ko) 국수용 스프 조성물 및 스프 포장방법
KR101710660B1 (ko) 즉석 조리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 조리밥
KR20160103708A (ko) 레토르트 파우치 포장밥의 제조방법
ES2553034T3 (es) Pasta congelada
CN108713729A (zh) 一种香辣烤鱼复合调味酱
KR100597199B1 (ko) 견과류가 부착된 조미포의 제조방법
KR101438160B1 (ko) 즉석 동결 된장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 동결 된장국
JPH08294374A (ja) 牡蠣加工食品
CN101366471B (zh) 一种用于素馅馅料的抱团剂的使用方法
KR101533536B1 (ko) 녹차가 코팅된 즉석밥의 제조방법
WO2008007565A1 (fr) Sushi conditionnés congelés et leur procédé de décongélation
CN101972006A (zh) 即食贻贝肉的制作方法
CN102461841A (zh) 青萝卜缨酱腌菜的腌制方法
KR20030035702A (ko) 콜로이드 실버가 첨가되는 김부각의 제조 방법
CN101878928A (zh) 一种虾休闲食品的制备方法
CN107594454A (zh) 自加热酸辣粉及制备方法
KR101581621B1 (ko) 새우죽 제조방법
KR100937334B1 (ko) 즉석 해물누룽지탕의 제조방법
JPS59227270A (ja) だし入り醤油又は液体調味料の製造法
KR100730307B1 (ko) 조미포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포의 제조방법
CN108925853A (zh) 一种麻辣腌肉或腊肉及其制作方法
KR20150019397A (ko) 정량 타블렛 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850889A (zh) 以八角叶为基料的水产食品专用腌制调理组合物及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