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358B1 - 소 유방염 치료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 유방염 치료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358B1
KR101979358B1 KR1020180000884A KR20180000884A KR101979358B1 KR 101979358 B1 KR101979358 B1 KR 101979358B1 KR 1020180000884 A KR1020180000884 A KR 1020180000884A KR 20180000884 A KR20180000884 A KR 20180000884A KR 101979358 B1 KR101979358 B1 KR 101979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itis
composition
group
weight
egg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142A (ko
Inventor
권혁준
김단일
김은경
김남형
고대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8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3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having at least one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carbocyclic ring, e.g. streptomycin, gentamycin, amikacin, validamycin, fortimic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3Compounds containing para-N-benzenesulfonyl-N-groups, e.g. sulfanilamide, p-nitrobenzenesulfonyl hydrazide
    • A61K31/635Compounds containing para-N-benzenesulfonyl-N-groups, e.g. sulfanilamide, p-nitrobenzenesulfonyl hydrazide having a heterocyclic ring, e.g. sulfadiaz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겐타마이신, 설파제,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항균제로 포함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 유방염 치료제 조성물{Therapeutic composition of bovine mastitis}
본 발명은 소 유방염 치료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다양한 원인균에 의해 발생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소 유방염의 원인균은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Streptococcus agalactiae 등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 CNS와 대장균 이외의 그람음성세균 등 축사 환경 유래 세균들의 상대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 2006-2010년 준임상형 유방염 원인균은 CNS 38.4%, 그람음성 간균 24.4%, S. aureus 18.8%, 연쇄상구균 6.8%, 장구균 4.8%, 미동정균 6.6%로 보고되었으며, 2가지 이상 세균의 복합감염이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NS의 경우 국가와 지역에 따라 빈발하는 종에 차이를 보이는데 미국의 테네시주의 경우 S. chromogenes가 38.1%로 우점하나 루이지애나주의 경우 S. hyicus가 37.2%로 우점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국내 CNS의 빈도는 S. auricularis 39.0%, S. simulans 18.3%, S. haemolyticus 12.4%, S. xylosus 8.2%, S. sciuri 7.6%, S. hominis 7.1%, S. warneri 4.1%, S. saprophyticus 1.7%, S. epidermidis 0.9%로 보고되었다.
최근 유행하는 소 유방염 원인균의 내성 획득이 증가하였고, 복합 감염 및 신규 원인균 발생으로 효과가 격감하여 최적의 항생제 선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주된 소 유방염 원인균들이 그람양성 세균이므로 리소자임이 사용될 수 있으나, S. aureusE. faecalis는 이미 내성을 획득하였으며, 최근 새로운 유방염 원인균들의 리소자임에 대한 감수성 결과는 부족한 상황이며, 리소자임이 풍부한 난백의 소 유방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능은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유방염 연고의 경우 두가지 항생제가 혼합된 경우는 없다. 또한, 유방염의 원인균의 종류가 다양하고, 동일한 원인균이라도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이 전혀 달라 최적의 항생제 조합을 쉽게 도출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원유 시료로부터 소 유방염 원인균을 분리하여 확인해본 결과 2종 이상 세균의 복합 감염이 대부분이었고, 분리된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여 복합제제로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원인균에 효능을 보이는 항생제 후보를 선발하였으며, 최근 유방염 원인균으로 대두되고 있는 카탈라제 음성 포도알균(S. hemolyticus, S. chromogenes)과 Lactococcus spp., Kocuria spp. 등의 리소자임과 난백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난백이 리소자임에 비해 높은 항균 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여 최적의 유방염 치료제 조성을 완성하여 기존 항생제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치료제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다양한 원인균에 의해 발생하는 소의 유방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유방염 조성물(예컨대, 연고 형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원유로부터 소 유방염의 다양한 원인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고,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여 작용점이 다르면서 합제로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원인균들을 억제할 수 있는 항생제 조합을 개발하였다. 또한, 난백으로부터 정제한 리소자임 보다 난백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최근 문제가 되는 카타라제 음성 포도알균과 새롭게 유방염 원인균으로 대두되는 세균들에 높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효과적인 유방염 치료제 조성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의 유방염 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고, 내성을 방지할 수 있는 유방염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제목 동물, 예컨대 소과 동물(젖소 등)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겐타마이신, 설파제,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의 항균제를 포함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항염증제는 상기 항균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 1 내지 80 중량부, 1 내지 50 중량부, 10 내지 100 중량부, 10 내지 80 중량부, 10 내지 50 중량부, 20 내지 100 중량부, 20 내지 80 중량부 또는 20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염증제는 덱사메타손 및 프레드니솔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1) 겐타마이신,
2)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3) 난백,
4) 겐타마이신 및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5) 겐타마이신 및 난백,
6)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 또는
7) 겐타마이신,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
을 포함하거나,
상기 조성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덱사메손 및/또는 프레드니솔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내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겐타마이신 및 설파제의 중량비가 1:10 내지 10:1, 2:8 내지 8:2, 또는 3:7 내지 7:3, 설파제 및 트리메토프림의 중량비가 1:10 내지 10:1, 2:8 내지 8:2, 또는 3:7 내지 7:3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겐타마이신, 설파제,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의 총 함량이 조성물 전체의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99중량%, 0.001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상기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식물성 기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유화제는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 1 내지 90 중량부, 1 내지 50 중량부, 10 내지 100 중량부, 10 내지 80 중량부, 10 내지 50 중량부, 30 내지 100 중량부, 30 내지 90 중량부 또는 30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연고 등의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상기 우제목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우제목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겐타마이신, 설파제,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의 항균제를 포함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유발 원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염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항염증제는 상기 항균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 1 내지 80 중량부, 1 내지 50 중량부, 10 내지 100 중량부, 10 내지 80 중량부, 10 내지 50 중량부, 20 내지 100 중량부, 20 내지 80 중량부 또는 20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염증제는 덱사메손 및 프레드니솔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1) 겐타마이신,
2)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3) 난백,
4) 겐타마이신 및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5) 겐타마이신 및 난백,
6)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 또는
7) 겐타마이신,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
을 포함하거나,
상기 조성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덱사메손 및/또는 프레드니솔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내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겐타마이신 및 설파제의 중량비가 1:10 내지 10:1, 2:8 내지 8:2, 또는 3:7 내지 7:3, 설파제 및 트리메토프림의 중량비가 1:10 내지 10:1, 2:8 내지 8:2, 또는 3:7 내지 7:3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겐타마이신, 설파제,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의 총 함량이 조성물 전체의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99중량%, 0.001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상기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유발 원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식물성 기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유화제는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 1 내지 90 중량부, 1 내지 50 중량부, 10 내지 100 중량부, 10 내지 80 중량부, 10 내지 50 중량부, 30 내지 100 중량부, 30 내지 90 중량부 또는 30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연고 등의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우제목 동물은 소, 염소, 양, 영양 등을 포함하는 소과(Bovidae) 동물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젖소일 수 있다.
상기 유방염 유발균은 Staphylococcus spp. (예컨대, S. aureus, S. chromogenes, S. hemolyticus, S. hyicus, S. simulans, S. epidermidis, S. warneri, S. vitulinus, S. auricularis, S. lugdunensis 등), Enterococcus spp. (예컨대, E. faecalis, E. hirae, E. faecium, E. durans, E. avium, E. saccharolyticus 등), Streptococcus spp. (예컨대, S. uberis, S. dysgalactiae ssp., S. equisimilis, S. agalactolyticus, S. dysgalactiae ssp., S. dysgalactiae, S. infantarius ssp., S. coli 등), Kocuria spp.(예컨대, K. rosea, K. varians, K. kristinae ), Lactococcus spp.(예컨대, L. garvieae, L. lactis ssp. 등), Aerococcus spp.(예컨대, A. viridans), S. marcescens, A. hydrophila, K. oxytoca, H. alvei, Escherichia spp.(예컨대, E.coli), Raoutella spp.(예컨대, R. planticoli)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상기 원인균이 내성을 갖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내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조성물은,
1) 겐타마이신을 포함하는 경우, Staphylococcus속(예컨대, S. chromogens 등), Kocuria속(예컨대, K. roesa 등), Aerococcus속(예컨대, A. viridans 등), E. coli, Serratia속(예컨대, S. marcescens 등), Raoultella속(예컨대, R. planticola 등), Hafnia속(예컨대, H. alvei)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에 대한 항균 효과 및/또는 상기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이 유발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에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고;
2)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을 포함하는 경우, E. coli, Serratia속(예컨대, S. marcescens 등), Raoultella속(예컨대, R. planticola 등), Aeromonas속(예컨대, A. hydrophila/caviae), Hafnia속(예컨대, H. alvei)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에 대한 항균 효과 및/또는 상기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이 유발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에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고;
3) 난백을 포함하는 경우, S. hemolyticus, Kocuria속(예컨대, K. roesa 등), Staphylococcus속(예컨대, S. chromogens 등), Lactococcus, Staphylococcus속(예컨대, S. aureus 등), Streptococcus속(예컨대, S. uberis), Enterococcus속(예컨대, E. faecalis)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에 대한 항균 효과 및/또는 상기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이 유발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에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고;
4) 겐타마이신 및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을 포함하는 경우, Staphylococcus속(예컨대, S. chromogens 등), Kocuria속(예컨대, K. roesa 등), Aerococcus속(예컨대, A. viridans 등), E. coli, Serratia속(예컨대, S. marcescens 등), Raoultella속(예컨대, R. planticola 등), Hafnia속(예컨대, H. alvei), Aeromonas속(예컨대, A. hydrophila/cavia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에 대한 항균 효과 및/또는 상기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이 유발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에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고;
5) 겐타마이신 및 난백을 포함하는 경우, Staphylococcus속(예컨대, S. chromogens, S. aureus 등), Kocuria속(예컨대, K. roesa 등), Aerococcus속(예컨대, A. viridans 등), E. coli, Serratia속(예컨대, S. marcescens 등), Raoultella속(예컨대, R. planticola 등), Hafnia속(예컨대, H. alvei), S. hemolyticus, Lactococcus, Streptococcus속(예컨대, S. uberis), Enterococcus속(예컨대, E. faecalis)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에 대한 항균 효과 및/또는 상기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이 유발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에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고;
6)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을 포함하는 경우, E. coli, Serratia속(예컨대, S. marcescens 등), Raoultella속(예컨대, R. planticola 등), Aeromonas속(예컨대, A. hydrophila/caviae), Hafnia속(예컨대, H. alvei), , S. hemolyticus, Kocuria속(예컨대, K. roesa 등), Staphylococcus속(예컨대, S. chromogens 등), Lactococcus, Staphylococcus속(예컨대, S. aureus 등), Streptococcus속(예컨대, S. uberis), Enterococcus속(예컨대, E. faecalis)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에 대한 항균 효과 및/또는 상기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이 유발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에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고;
7) 겐타마이신,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을 포함하는 경우, Staphylococcus속(예컨대, S. chromogens, S. aureus 등), Kocuria속(예컨대, K. roesa 등), Aerococcus속(예컨대, A. viridans 등), E. coli, Serratia속(예컨대, S. marcescens 등), Raoultella속(예컨대, R. planticola 등), Hafnia속(예컨대, H. alvei), Aeromonas속(예컨대, A. hydrophila/caviae), S. hemolyticus, Lactococcus, Streptococcus속(예컨대, S. uberis), Enterococcus속(예컨대, E. faecalis)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에 대한 항균 효과 및/또는 상기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이 유발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에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1) 겐타마이신,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유발 원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2) 덱사메타손 및/또는 프리드니솔을 혼합하는 단계, (3) 유화제 (예컨대, 1종 이상의 식물성 기름 등)을 혼합하는 단계, 또는 이들 모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 (2), 및/또는 (3)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에 무관하게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1) 겐타마이신,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과 항염증제인 덱사메타손 및/또는 프리드니솔론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1) 겐타마이신,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유화제 (예컨대, 1종 이상의 식물성 기름 등)를 혼합하여 연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1) 겐타마이신,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 및 난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과 항염증제인 덱사메타손 및/또는 프리드니솔론을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유화제 (예컨대, 1종 이상의 식물성 기름 등)를 혼합하여 연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난백이란 조류나 파충류 따위에서, 알의 난황과 난각막 사이에 있는 젤 모양의 물질로, 난황의 주위에 있는 점성 액체를 뜻한다.
상기 조성물 및 방법에 사용되는 난백은 닭, 오리, 거위 등의 조류의 난백으로, 살균 또는 멸균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파제란 설폰아마이드 작용기를 가진 설폰아미드 유도체의 총칭으로, 설파메톡사졸, 술파닐아미드, 술파피리딘, 술파티아졸, 술파디아진, 술파속사졸, 호모술파민, 술피소미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파제 및/또는 트리메토프림'은 설파제 (예컨대, 설파메톡사졸 등)과 트리메토프림의 합제로서, 예컨대, 설파메톡사졸과 트리메토프림이 약 5:1(설파메톡사졸 중량:트리메토프림 중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제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들간 중량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젖소를 포함하는 우제류에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 형태이거나, 통상의 항균제 (예컨대, 공기, 피부, 물건 등에 적용하는 항균제 등) 등의 통상적으로 알려진 모든 형태로의 적용 가능하다.
상기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부형제 및/또는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주사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증세, 체중,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물, 바람직하게는 젖소를 포함하는 포유류 또는 조류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피, 경구, 정맥, 근육, 피하주사 등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경피 투여를 위한 연고 형태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유효성분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유발 원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로,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오리 및 닭 난백을 2-fold dilution으로 희석하여 교반한 96-well plate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 유방염 원인균의 동정
42개 농장 원유 시료를 각각 멸균 생리식염수로 103 내지 105배 희석하여 5% 면양혈구한천배지(한강, 대한민국)에 도말한 후 37 항온기에서 종야 배양하였다. 배양된 집락을 크기, 모양 및 용혈 유형에 따라 분류한 후 각각의 집락을 채취하여 Tryptic soy broth(TSB)에 종야 배양한 후 그람양성균인 경우 GP ID card, 그람음성균인 경우 GN ID card에 배양균을 접종한 후 VITEK2 compact(bioMeriux사, 프랑스) 기기에 장착하여 균종을 동정하였다. 상기 균종별 출현 빈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소 유방염 원인균별 출현 빈도
속(Genus) 종(Species) 출현 횟수 출현 빈도(%)
Staphylococcus spp. 38 90.5
aureus 10 23.8
chromogenes 9 21.4
haemolyticus 6 14.3
hyicus 3 7.1
simulans 2 4.8
epidermidis 2 4.8
warneri 2 4.8
vitulinus 2 4.8
auricularis 1 2.4
lugdunensis 1 2.4
Enterococcus spp. 17 40.5
faecalis 12 28.6
hirae 1 2.4
faecium 1 2.4
durans 1 2.4
avium 1 2.4
saccharolyticus 1 2.4
Streptococcus spp. 13 31.0
uberis 7 16.7
dysgalactiae ssp. equisimilis 2 4.8
agalactolyticus 2 4.8
dysgalactiae ssp. dysgalactiae 1 2.4
infantarius ssp. coli 1 2.4
Kocuria spp. 11 26.2
rosea 9 21.4
varians 1 2.4
kristinae 1 2.4
Lactococcus spp. 9 21.4
garveae 5 11.9
lactis ssp. lactis 4 9.5
Aerococcus viridans 5 11.9
Escherichia coli 3 7.1
Raoutella planticoli 3 7.1
그 결과 모든 시료에서 2종 이상 세균의 복합 감염이 확인되었고, 원인균으로 Staphylococcus spp.가 90.5%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이 중 S. aureus가 23.8%, S. chromogenes가 21.4%, S. hemolyticus가 14.3%를 차지하였다. Enterococcus spp.는 40.5%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이 중 E. faecalis가 28.6%를 차지하였다. Streptococcus spp.는 31.0%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이 중 S. uberis가 16.7%를 차지하였다. 최근에는 Kocuria spp. 가 26.2%, Lactococcus spp. 가 21.4% 검출되어, 새로운 원인균으로 빈번하게 분리되었다.
실시예 2: 소 유방염 원인균별 항균제 내성 조사
소 유방염 원인균의 겐타마이신(GM10), 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SXT), 스트렙토마이신(S10), 암피실린(AM10), 테트라사이클린(TE30), 노르플록사신(NOR10), 네오마이신(N30) 및 클록사실린(CX1)에 대한 내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390개 원유 시료에서 소 유방염 원인균을 분리하고, 각 원인균별 항균제 내성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조사하였다. 상기 디스크 확산법은 항균제 디스크(BD사, 미국)를 이용하여 CLSI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각 원인균별 각 항균제에 대한 내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소 유방염 원인균별 항생제 내성 비율
원인균 % of resistance to antibiotics*
GM SXT S AM TE NOR N CX
S. aureus 37.1 37.1 87.1 21.0 35.5 43.5 75.8 35.5
S. chromogens 0.0 28.0 16.0 16.0 16.0 4.0 8.0 52.0
E. faecalis 86.4 59.1 95.5 22.7 81.8 79.5 86.4 88.6
S. uberis 61.9 38.1 57.1 4.8 57.1 38.1 38.1 52.4
K. rosea 7.1 71.4 92.9 35.7 14.3 21.4 21.4 50.0
L. garvieae 43.3 83.3 80.0 23.3 76.7 76.7 73.3 93.3
A. viridans 0.0 9.1 18.2 0.0 9.1 18.2 0.0 36.4
E. coli 44.4 55.6 100 100 88.9 33.3 88.9 100
S. marcescens 5.3 15.8 89.5 94.7 94.7 5.3 15.8 100
R. planticola 42.9 57.1 85.7 100 100 28.6 85.7 100
A. hydrophila
/caviae
36.4 9.1 72.7 100 63.6 0.0 18.2 100
K. oxytoca 83.3 83.3 83.3 100 83.3 66.7 83.3 100
H. alvei 0.0 0.0 0.0 100 66.7 0.0 33.3 100
Total(average) (34.5) (42.1) (67.5) (55.2) (60.6) (31.9) (48.3) (77.6)
(* All: 모든 항생제에 대해 내성, GM: gentamicin, SXT: sulphamethoxazole/trimethoprim, S: streptomycin, AM: ampicillin, TE: tetracycline, NOR: norfloxacin, N: neomycin, CX: cloxacillin)
그 결과, 겐타마이신을 단독사용한 경우 평균 34.5%의 내성을, 설파메톡사졸 /트리메토프림을 사용한 경우 평균 42.1%의 내성을 보였고, 나머지 항생제에 대한 내성은 이보다 높았으며, 스트렙토마이신과 클록사실린에 대해서는 특히 높은 내성을 보였다. 노르플록사신의 경우 겐타마이신 또는 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을 단독 사용한 경우와 비슷한 정도의 내성을 보였으나, 최근 사용이 금지되었다. 반면에, 겐타마이신과 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을 혼합 사용한 경우 상기 표 2에 기재된 원인균의 평균 항생제 내성이 17%로 나타났으며, 겐타마이신 또는 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 단독 사용한 경우 및 다른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감수성이 높은 것(83%)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소 유방염 원인균별 난백 및 리소자임에 대한 감수성 조사
소 유방염 주요 원인균별 닭, 오리 알의 난백 및 리소자임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닭과 오리의 알을 70% 에탄올 솜으로 깨끗하게 세척한 후 무균적으로 난백을 분리한 후 동량의 멸균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닭 난백 시료 및 오리 난백 시료를 제조하였고, 계란 난백으로부터 정제된 리소자임(Sigma-Aldrich Co., 미국)을 멸균 생리식염수에 3mg/ml 농도로 용해시켜 리소자임 시료를 제조하였다.
종야 배양한 소 유방염 원인균 S. aureus, S. hemolyticus, S. chromogenes, S. uberis, Lactococcus, E. faecalis Kocuria rosea를 TSB에 100cfu /50ul의 농도로 희석하고, 96-well plate에 첨가하였다.
상기 닭 난백 시료, 오리 난백 시료 및 리소자임 시료를 2-fold dilution법으로 32배부터 8192배까지 희석하여 각각 well에 첨가하여 교반하였고, 37 항온기에서 종야 배양한 후 세균이 자라지 않은 최고 희석배수를 2번 측정하여 평균내어 항균역가로 하였다. 도 1은 오리 및 닭 난백을 2-fold dilution으로 희석하여 교반한 96-well plate의 사진이다. 도 1의 가장 오른쪽 열은 배지에 원인균 및 항균물질 모두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이며, 그 왼쪽 열은 배지에 항균물질을 첨가하지 않고 원인균만 첨가한 음성 대조군이다. 각 원인균별 최고 희석배수를 2번 측정한 평균값을 표 3에 나타내었다.
각 원인균별 최고 희석배수
  닭 난백 오리난백 리소자임
S. hemolyticus 8192 8192 2048
K. rosea 4096 2048 2048
S. chromogenes 3072 2048 1024
Lactococcus lactis 768 768 512
S. uberis 192 126 0
E. faecalis 48 32 32
(* 0: 희석하지 않은 원액에서도 효과가 없는 경우임)
그 결과, S. hemolyticus에 대해서는 닭의 난백, 오리 난백 및 리소자임이 각각 8192배, 8192배, 2048배 희석 배수까지 항균효능을 보였다. K. rosea에 대해서는 닭의 난백, 오리 난백 및 리소자임이 각각 4096배, 2048배, 2048배 희석 배수까지 항균효능을 보였다. S. chromogenes에 대해서는 닭의 난백, 오리 난백 및 리소자임이 각각 3072배, 2048배, 1024배 희석 배수까지 항균효능을 보였다. Lactococcus에 대해서는 닭의 난백, 오리 난백 및 리소자임이 각각 768배, 768배, 512배 희석 배수까지 항균효능을 보였다. S. uberis에 대해서는 닭의 난백 및 오리 난백 이 각각 192배, 126배 희석 배수까지 항균효능을 보였고, 리소자임은 원액에서도 항균 효과가 없었다.
E. faecalis에 대해서는 닭의 난백, 오리 난백 및 리소자임이 각각 48배, 32배, 32배 희석 배수까지 항균효능을 보였다. 소 유방염 주요 원인균들에 대해, 난백이 리소자임에 비해 높은 항균 효능을 보였고, 특히 닭의 난백이 상대적으로 높은 항균 효능을 보였다.

Claims (12)

  1. 겐타마이신, 설파제, 및 트리메토프림을 포함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상기 유방염은 S. aureus, S. chromogens, E. faecalis, S. uberis, K. rosea, L. garvieae, A. viridans, E. coli, S. marcescens, R. planticola, A. hydrophila/caviae, K. oxytoca, 및 H. alve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생제 내성 유방염 유발균에 의한 것인,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덱사메타손 및 프레드니솔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항염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겐타마이신, 설파제, 및 트리메토프림을 포함하는, 우제목 동물의 항생제 내성 유방염 유발 원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로서,
    상기 항생제 내성 유방염 유발 원인균은 S. aureus, S. chromogens, E. faecalis, S. uberis, K. rosea, L. garvieae, A. viridans, E. coli, S. marcescens, R. planticola, A. hydrophila/caviae, K. oxytoca, 및 H. alve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유발 원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덱사메타손 및 프레드니솔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염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난백을 포함하는,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상기 유방염은 S. hemolyticus, K. rosea, S. chromogenes, Lactococcus lactis, 및 S. uberis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생제 내성 유방염 유발균에 의한 것인,
    우제목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덱사메타손 및 프레드니솔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항염증제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식물성 기름인 것인,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된 것인, 조성물.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백은 닭 또는 오리의 난백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제목 동물은 소, 염소, 양, 및 영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소과(Bovidae) 동물인, 조성물.
  12. 제2항,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제는 상기 항균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KR1020180000884A 2017-01-03 2018-01-03 소 유방염 치료제 조성물 KR101979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0899 2017-01-03
KR1020170000899 2017-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142A KR20180080142A (ko) 2018-07-11
KR101979358B1 true KR101979358B1 (ko) 2019-05-15

Family

ID=6291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884A KR101979358B1 (ko) 2017-01-03 2018-01-03 소 유방염 치료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3176A (zh) * 2019-08-01 2019-11-12 新疆农业大学 蛋清在制备预防奶牛乳房炎抑菌药物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0223A (ja) 2012-06-20 2015-07-16 ギエレッピ・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炎症性疾患の局所処置に使用するため脱水した鶏卵卵白を含む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6426A (ja) * 1989-07-24 1991-03-12 Gifu Meneki Kenkyusho:Kk ウシ乳房炎予防および治療用抗体含有材料
KR100289006B1 (ko) * 1998-05-02 2001-05-02 민경우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100371092B1 (ko) * 1999-12-09 2003-02-05 주식회사대성미생물연구소 동물용 복합항균제 조성물
KR100474945B1 (ko) * 2002-01-10 2005-03-10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젖소의 원유 중 체세포 감소용 및 유방염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400791B1 (ko) * 2012-10-04 2014-05-29 주식회사대성미생물연구소 동물용 복합 기능성 항생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0223A (ja) 2012-06-20 2015-07-16 ギエレッピ・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炎症性疾患の局所処置に使用するため脱水した鶏卵卵白を含む組成物
US20150320838A1 (en) * 2012-06-20 2015-11-12 Giellepi S.P.A. Composition and formulation for topical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tissue da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142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681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reatment of mastitis
DE69833377T2 (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lysostaphin allein oder in kombination mit einem antibiotikum zur behandlung von staphylokokkeninfektionen
DE69629691T2 (de) Verfahren zur kontrolle von antibiotikaresistenten grampositiven bakterien und behandlung von infektionen
US9034918B2 (en) Composition including at least one trans-cinnamaldehyde and the us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specifically in the treatment of nosocomial infections
DK2337575T3 (en) A method of treatment with single doses of oritavancin
US11744819B2 (en) Antibiotic cannabinoid-terpene formulations
KR101979358B1 (ko) 소 유방염 치료제 조성물
EP0579488B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mastitis and metritis
RU2197237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животных, вызванных бактериями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4129547B (zh) 香芹酚在提高耐甲氧西林金黄色葡萄球菌对β-内酰胺类抗生素敏感性方面的应用
KR20100129089A (ko) 키토산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686428B1 (ko) 바퀴벌레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페리플라네타신-2 및 그의 조성물
CN114259485A (zh) 苯溴马隆用于抗金黄色葡萄球菌及其生物被膜感染的用途
Baumgartner et al. Comparative imipenem treatment of Staphylococcus aureus endocarditis in the rat
KR20070059787A (ko) 은 나노입자의 콜로이드 용액을 포함하는 동물의 유방염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동물의유방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EP3268002B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CN108670951A (zh) 一种兽用硫酸庆大霉素-盐酸林可霉素复方缓释注射液及其制备方法
CN106029068A (zh) 包含抗菌剂的药物组合
CN114736875B (zh) 一种鸭疫里默氏杆菌噬菌体、其噬菌体组合物及其应用
Del Villar-Perez et al.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K9CATH peptides of 21 and 38 amino acids against Brucella abortus and Brucella melitensis
WO2023200285A1 (ko) 박테리오파지의 장기 유통 저장 안정성 유지를 위한 신규 부형제 조성물
Singh et al. Infectious stomatitis in an Indian rock python (Python molurus) and its therapeutic management
KR20090124397A (ko)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기존 항생제인젠타마이신과 고량강 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균제인갈란진을 혼합하여 개발한 항균조성물
KR20160081605A (ko) 헬리코박터 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70052B1 (ko)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