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397A -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기존 항생제인젠타마이신과 고량강 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균제인갈란진을 혼합하여 개발한 항균조성물 - Google Patents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기존 항생제인젠타마이신과 고량강 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균제인갈란진을 혼합하여 개발한 항균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397A
KR20090124397A KR1020080050600A KR20080050600A KR20090124397A KR 20090124397 A KR20090124397 A KR 20090124397A KR 1020080050600 A KR1020080050600 A KR 1020080050600A KR 20080050600 A KR20080050600 A KR 20080050600A KR 20090124397 A KR20090124397 A KR 20090124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icillin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resistant
gentamic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렬
Original Assignee
권동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동렬 filed Critical 권동렬
Priority to KR102008005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4397A/ko
Publication of KR2009012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3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8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D-galactosamine, rani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성균 및 병원성 세균 억제를 위한 항균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량강(Alpinia officinarum)에서 항균효과가 있는 갈란진(galangin)을 분리하여 기존 항생제인 젠타마이신(gentamicin)의 처리로 인한 효과상승을 유도하여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메티실린에 민감한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MSSA),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의 성형외과에서 15명의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clinical isolates-MRSA)에 탁월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엠알에스에이(MRSA),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갈란진(galangin), 젠타마이신(Gentamicin),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Description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기존 항생제인 젠타마이신과 고량강 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균제인 갈란진을 혼합하여 개발한 항균조성물 {Antibacterial activity of galangin isolated from the Alpinia officinarum in combination with gentamicin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본 발명의 목적은 항생제 내성 균주 및 감수성 균주에 탁월한 항균활성을 지닌 고량강에서 분리한 갈란진 및 젠타마이신을 함유하는 항균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급격히 증가하는 세균의 약제 내성 및 부작용에 대처하고 다양한 세균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항생제와는 다른(분자구조, 약제의 효능 등) 신약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최근에는 다제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갖는 MRSA(Methicillin Resistante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DT104와 같은 슈퍼 박테리아들의 출현이나, 항생제 투여 시 오히려 독성방출이 강해지는 장출혈성대장균(E. coli O157, O111, O26 등)과 같은 난치성세균으로 인하여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많은 항생제 의 경우 그에 따른 내성률 심각한 수준에 있으며 일부의 항생제의 경우 100% 근접해 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테트라사이클린에 96.2%의 높은 내성률을 보였고, 이어 에리스로마이신에 57.6%, 페니실린에 32.7%의 내성률을 각각 나타냈다. 장내구균은 축산동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테트라사이클린에 높은 내성을 보였다. 또한 우리에게 먹거리로 제공될 식육산업에서 특히 돼지와 닭에서 분리한 황색포도상구균은 70% 이상이 두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냈다. 또 다른 보고에 의하면, 축산 환경 중 항생제 내성균 모니터링을 한 결과, 전국 소, 돼지, 닭 축산 농가를 중심으로 가축 분변, 주변 토양, 하천 따위에서 대장균 197 균주, 황색포도상구균 42 균주 등 세균을 분리했으며, 이들 세균의 항생제 내성을 조사한 결과 대장균은 69.4%, 황색포도상구균은 78.6%, 캄필로박터는 100%에서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이상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것도 대장균 19.2%, 황색포도상구균 11.6%로 나타났다. 가장 강력한 항생제인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지닌 균주도 2개 검출됐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항생제는 대부분 세균들이 내성을 지니고 있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이 시급하다. 최근 의약품의 연구동향은 여러 가지 부작용이나 독성 및 내성 등이 심각해지고 있으므로 세계적으로 천연물로부터의 의약품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항생물질은 1941년 페니실린이 임상적으로 사용된 후 현재까지 5500 여종이 발견되었고, 이중 100 여종만이 발효 생산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화학적으로 합성된다. 이것들이 질병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치료용량이 숙주에 대해서는 독성을 주지 않고 감염원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매우 커야 하나 독작용이나 특이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임상적으로 사용된 후 오래지 않아 내성 균주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독성이 적으며 내성균에 유효한 새로운 항생물질을 연구개발하고, 병용투여와 같은 방법으로 내성균의 출현 및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항생제나 백신을 다량투여하고 있는데 이러한 약제의 장기 투여로 내성 균주의 출현 같은 심각한 부작용 등이 발생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항생제의 사용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의약품의 점유율 15%, 1조 5000억 원의 항생제 시장 규모에 대항하기 위하여 신종의 항균제제의 개발은 시급하다. 현재 경제적 문화적으로 국제적 교류가 활발해지고 더불어 외국의 병원성 세균들의 유입 가능성이 더욱 많고 축산물 수입이 증가됨에 따라 이를 통한 신종세균의 국내 확산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현재 우리나라 축산에 상제 하는 세균들은 대부분 기존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고 있어 그 치료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이들 치료의 문제점은 이들 세균에 감염된 축산물을 통한 인체에 전파가 심각할 것이다. 급격히 증가하는 세균의 항생제 내성에 대처하고 다양한 세균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항생제와 다른 신약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신약의 구비해야 할 조건은 항균의 효과뿐만 아니라 사람과 동물의 세포에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약물 이여야 한다. 항생제는 아무리 효능이 우수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내성이 생기는데, 인체에 독성이 없고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이용하면 충분히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천연물은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성분들이 많으며, 또한 개개의 다양한 단일성분들의 혼합물이므로, 약리 작용 내성 등의 부작용을 줄 일수 있을 것이 다. 항생제 내성에 대처하는 다른 방법의 하나로 항생제 단일 투여에 의한 요법보다는 대부분 복합 투여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의약품 중 항생제 중 상당 양이 복합제제로 이루어져 있다. 항생제의 병용 투여시 장점은 항균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한 개의 항생제 농도에 의한 독성을 2개의 항생제를 병용 투여시 그 농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내성 균주의 출현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국내에서는 항생제제의 개발은 복합 투여에 의한 제품개발이 이루어져 미생물의 치료에는 상당한 치료효과를 나타내었지만, 병원 세균이 치사와 함께 분비되는 많은 내독소로 인해 부작용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복합제의 경우도 내성균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에서 항균 물질을 개발하여 기존의 항생제와 병용투여로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개발하는 데 있다.
고량강 (Alpinia officinarum) 는 생강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고량강의 뿌리줄기로 9월에 채취하여 경엽, 수근을 제거하고 쇄건한다.(전국 한의과 대학 교수 공편저, 본초학, 영림사, 2005 p388-389). 한방에서 고량강은 비위가 차서 생기는 복통, 구토, 설사에 효과가 있고 신장기능 허약, 냉증으로 인한 정력감퇴, 설사, 이질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약리작용으로 용혈성연쇄상구균, 디프테리아균, 폐렴균의 발육을 억제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구부러진 원주형이나 원추형으로서 몇 개의 곁뿌리가 달려 있다. 바깥면은 적갈색 회백색의 돌림마디가 5 ~ 10 mm마다 있고 마디사이에는 세로주름이 있다. 아랫부분에 잔뿌리가 붙어 있던 둥근 자국이 남아 있다. 질은 단단하고 쉽게 꺾이지 않는다. 꺾은 면은 황적색 ~ 적갈색이고 피부와 목부가 뚜렷하고 섬유성이다. 다른 이름으로 양강(良薑), 해량강(海良薑), 소량강(小良薑), 만강(蠻薑), 량강(良薑), 신강(身薑), 소신강(小身薑), 고신강(膏身薑) 등이 있다.
고량강에 대한 성분 및 항균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져 있으나 젠타마이신과 병용사용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으며, 내성균에 의한 감염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의 효능에 대한 어떠한 교시나 개시된바 없다.
이에 본 발병은 고량강에서 항균활성이 있는 갈란진의 항균력을 측정하여 항생제 감수성 균주 및 내성 균주 모두에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갈란진과 젠타마이신의 배합처리로 인한 효과 상승을 유도하여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메티실린에 민감한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MSSA),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의 성형외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clinical isolates-MRSA)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균주 및 내성 균주에 대한 탁월한 항균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고량강에서 분리한 갈란진은 독성 및 내성이 적은 항균활성을 갖고 있어, 젠타마이신을 함유한 항균조성물은 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내성균 및 감수성 균주 모두에게 항균작용을 나타내므로, 갈란진과 젠타마이신을 같이 병용하여 사용할 경우 약제 내성 균주 억제 및 병원성 균주에 대하여 항균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량강 (Alpinia officinarum)에서 분리한 갈란진과 기존 항균제인 젠타마이신과의 혼합물을 약제 내성균 및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갈란진은 고량강 추출물에서 분리된 단일 성분이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갈란진과 배합 가능한 기존 항생제는 젠타마이신이며 시그마사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약제 내성균 및 병원성균들로는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메티실린에 민감한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MSSA),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의 성형외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clinical isolates-MRSA) 균주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량강에서 분리한 갈란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성 균주 예방 및 병원성 균주 치료를 위한 항균 보조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갈란진은 하기와 같이 수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량강을 익산 대학 한약국에서 구입하여, 건조된 고량강 2kg을 MeOH (6L)에 3회 추출하여 추출물 200g을 얻었으며 이를 H2O에 현탁시킨 후 dichloromethane, ethylaceate 및 n-butanol로 단계적으로 용매 분획하여 dichloromethane 분획 100g, ethylaceate 14g, n-butanol 24g을 얻었다. 분획물 중 ethylaceate 14g 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용매 n-hexane: ethylaceate=10:1, 5:1, 2:1)를 실시하여 갈란진을 분리하였으며 실험 방법은 김 등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김혜진, 유미영, 김현기, 이병호, 오광석, 서호원, 연규환, Odontuya Gendaram, 권대영, 김영섭, 유시용. 고량강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Flavonoid 화합물의 혈압강하 효과. 2006.생약학회지. 31:56~59).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 공정으로 얻어진 갈란진 및 젠타마이신의 배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메티실린에 민감한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MSSA),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의 성형외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clinical isolates-MRSA) 균주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배합물은 상기 세균의 감염에 의한 질환인 절(癤) ·정 ·봉와직염(蜂窩織炎) ·림프관염 ·표저·중이염 ·폐렴 등의 화농성 염증 등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량강에서 분리한 갈란진을 단독으로 항균제로 사용할 수도 있으 나, 기존 항생제인 젠타마이신과 병용하여 사용할 시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 고량강에서 갈란진 분리 및 배합물의 제조
1-1. 고량강에서 갈란진 분리
고량강을 익산 대학 한약국에서 구입하여, 건조된 고량강 2kg을 MeOH (6L)에 3회 추출하여 추출물 200g을 얻었으며 이를 H2O에 현탁시킨 후 dichloromethane, ethylaceate 및 n-butanol로 단계적으로 용매 분획하여 dichloromethane 분획 100g, ethylaceate 14g, n-butanol 24g을 얻었다. 분획물 중 ethylaceate 14g 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용매 n-hexane: ethylaceate=10:1, 5:1, 2:1)를 실시하여 갈란진을 분리하였으며 실험 방법은 김 등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김혜진, 유미영, 김현기, 이병호, 오광석, 서호원, 연규환, Odontuya Gendaram, 권대영, 김영섭, 유시용. 고량강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Flavonoid 화합물의 혈압강하 효과. 2006.생약학회지. 31:56~59). 분리한 성분은 핵자기 공명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200MHZ, DMSO-d6)을 이용한 구조분석을 통해 비교, 확인 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1-2. 젠타마이신과의 배합
젠타마이신(gentamicin)은 시그마(Sima-korea Chemicla Co.)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1의 갈란진을 1:1 (중량%)의 배합비로 각각 배합하여(갈란진 및 젠타마이신 배합물은 GAL-GEN 으로명명함) 하기 실험예로 사용하였다.
[실시 예 2]. 항균력 검사
2-1. 공시 균주 및 배지와 균주 배양
항균력 측정에 사용된 균주는 KCCM 균주인,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TCC 균주인, 메티실린에 민감한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MSSA),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의 성형외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clinical isolates-MRSA) 균주을 사용했으며, 균주들은 뮬러-힌톤 (Muller-Hinton; Difco,USA) 액체 배지에 접종되어 37 ℃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실험에서 사용하였으며 육안의 관찰을 위해서는 뮬러-힌톤 한천 배지를 사용하였다.
2-2 . 액체배지 희석법에 의한 항균력 측정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1종, 메티실린에 민감한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MSSA) 1종,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의 성형외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clinical isolates-MRSA) 15종을 뮬러-힌톤 액체배지(Muller-Hinton; Difco,USA)에 현탁 후 표준탁도액 (0.5 Mcfarland standard)과 같은 탁도로 조정된 균 액을 제조하여 균의 농도가 약 1×108 CFU/㎖가 되게 만들어서 액체 배지 희석법에 의한 항균력 실험에 사용하였다. 고량강에서 분리한 갈란진을 디메틸술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을 용매로 하여 최고 농도 10㎎/㎖에서 최저농도 0.97㎍/㎖에 이르도록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96 웰 플레이트 (well plate)의 각 웰 (well) 에 10㎕씩 주입한 후 균 액을 100㎕, 배지 90㎕씩 첨가하였다. 이것을 배양기 (incubator)에서 37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균의 생장이 억제된 최저농도를 최소억제 농도(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로 정하였다. 젠타마이신은 최고 농도 10㎎/㎖에서 최저농도 0.06㎍/㎖에 이르도록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메틸갈레이트와 같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사용한 용매와 디메틸술폭사이드이 시료의 항균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대조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갈란진 및 젠타마이신의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1종, 메티실린에 민감한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MSSA) 1종,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의 성형외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clinical isolates-MRSA) 15종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는 하기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3]
MIC (/)
S.aureus Strain Class GEN a GAL
ATCC 25923 MSSA 3.92 125
KCCM 40510 MRSA 62.5 125
Clinical isolates
DPS -1 b MRSA 2000 125
DPS -2 MRSA 500 62.5
DPS -3 MRSA 2000 62.5
DPS -4 MRSA 1.9 125
DPS -5 MRSA 2000 62.5
DPS -6 MRSA 2000 125
DPS -7 MRSA 2000 125
DPS -8 MRSA 2000 62.5
DPS -9 MRSA 2000 125
DPS -10 MRSA 500 62.5
DPS -11 MRSA 2000 62.5
DPS -12 MRSA 2000 125
DPS -13 MRSA 2000 125
DPS -14 MRSA 2000 62.5
DPS -15 MRSA 1.9 125
a GEN, gentamicin; GAL, galangin.
b DPS,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의 성형외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2-3. 장기판마이크로타이터 실험(checkerboard microtiter test)에 의한 병용효과 실험
96 웰 플레이트 (well plate)의 각 웰(well)의 가로방향으로 최고 농도 2㎎/㎖에서 최저농도 0.0015㎍/㎖에 이르도록 디메틸술폭사이드 (dimethylsulfoxide, DMSO)을 포함한 배지로 단계적으로 희석한 갈란진을 10㎕를 넣고 세로 방향으로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젠타마이신을 디메틸술폭시화물 (dimethylsulfoxide, DMSO)에 녹인 배수 희석 액을 제조하여, 각각 한 농도의 샘플을 각 웰 마다 10㎕씩 첨가하였다. 표준탁도액 (0.5 Mcfarland standard)과 같은 탁도로 조정된 균 액을 제조하여 균의 농도가 약 1×108 CFU/㎖가 되게 만들어서 각 웰 마다 10㎕씩 가하고, 상기 와 같은 조건으로 배양한 후 균이 억제된 최소농도의 배합비율을 관찰하였다. 가장 효율적으로 나타난 배합농도의 결과를 하기의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분획 억제 농도(FIC, fractional inhibiting concentraction)을 산출하여 분획 억제 농도 지수(FICI ; FIC index)가 0.5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승효과 (synergitic effect)가 있는 것으로, 0.5 내지 1 사이면 상가효과 (additive effect)로, 1보다 클 때 길항효과 (antagonistic effect)로 판정하였다.
[수학식]
- 갈란진의 분획억제농도=갈란진 및 젠타마이신 병용시 최소억제농도/ 갈란진만 사 용시 최소억제농도
- 젠타마이신의 분획억제농도=갈란진 및 젠타마이신 병용시 최소억제농도/ 젠타마 이신만 사용시 최소억제농도
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1종, 메티실린에 민감한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MSSA) 1종,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의 성형외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clinical isolates-MRSA) 1종에 대한 병용지수(FICI)가 각각 0.18, 0.22, 0.25의 값이 나왔다. 병용지수가 0.5 보다 낮기 때문에 갈란진과 젠타마이신과의 병용시 균주에 대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S.aureus StrainClassFIC (μg/ml)FICIGEN a+GAL ATCC 25923MSSA0.1 0.120.22 SynergyKCCM 40510MRSA0.06 0.120.18 SynergyClinical isolates DPS -1bMRSA0.125 0.120.25 Synergy
[표 4]
S.aureus Strain Class FIC (마이크로그람/ml) FICI
GEN a + GAL
ATCC 25923 MSSA 0.1 0.12 0.22 Synergy
KCCM 40510 MRSA 0.06 0.12 0.18 Synergy
Clinical isolates
DPS -1b MRSA 0.125 0.12 0.25 Synergy
분획억제 농도지수= 갈란진의분획억제농도+ 젠타마이신의분획억제농도
하기의 표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갈란진과 젠타마이신과의 병용 실험에서는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a GEN, gentamicin; GAL, galangin.
b DPS,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의 성형외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Claims (3)

  1.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기존 항생제인 젠타마이신과 고량강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균제인 갈란진을 혼합하여 개발한 항균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젠타마이신 항생제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3. 고량강(Alpinia officinarum)에서 분리한 갈란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메티실린에 민감한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MSSA)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균 보조제
KR1020080050600A 2008-05-30 2008-05-30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기존 항생제인젠타마이신과 고량강 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균제인갈란진을 혼합하여 개발한 항균조성물 KR20090124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600A KR20090124397A (ko) 2008-05-30 2008-05-30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기존 항생제인젠타마이신과 고량강 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균제인갈란진을 혼합하여 개발한 항균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600A KR20090124397A (ko) 2008-05-30 2008-05-30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기존 항생제인젠타마이신과 고량강 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균제인갈란진을 혼합하여 개발한 항균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397A true KR20090124397A (ko) 2009-12-03

Family

ID=4168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600A KR20090124397A (ko) 2008-05-30 2008-05-30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기존 항생제인젠타마이신과 고량강 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균제인갈란진을 혼합하여 개발한 항균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43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486A (ko)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4094A (ko) 2020-05-21 2021-11-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강세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486A (ko)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4094A (ko) 2020-05-21 2021-11-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강세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695B1 (ko) 탱자나무 속 식물의 과실 및/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US6551631B2 (en) Antimicrobial agents isolated from Aloe vera
Thanish Ahamed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taxifolin isolated from acacia catechu leaf extract–An in vitro study
KR20190138823A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의 관리를 위한 조성물
Mustaf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Acacia nilotica subspp. nilotica fruit extracts
KR100707988B1 (ko) 젖소 유방염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복합항생제 조성물
Feng et al. Effect of matrine on reducing damage to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induced by Staphylococcus aureus alpha-hemolysin
KR101390084B1 (ko)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090124397A (ko)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기존 항생제인젠타마이신과 고량강 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균제인갈란진을 혼합하여 개발한 항균조성물
KR100976927B1 (ko) 오배자로부터 천연항균제인 메틸갈레이트를 분리하여 기존항생제인 시프로플록삭신을 함유한 살모넬라 억제용항균조성물
KR101501346B1 (ko) 왕머루포도나무 뿌리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umlupinar et al. Synergy between Pelargonium endlicherianum essential oil and conventional antibiotics against Neisseria meningitidis and Haemophilus influenzae
Hamdillah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coastal plants and marine sponges from Kei Island Indonesia against bacterial fish pathogens
KR20170052323A (ko) 모린을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102142370B1 (ko) 소포라플라바논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40079610A (ko)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Alemu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screening of Punica granatum extracts against human pathogens
KR101597645B1 (ko) 아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070021737A (ko) 로즈마리 정유 및 기존 항생제를 함유한 내성균 억제용항균 조성물
KR101740993B1 (ko) 루테올린을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101647899B1 (ko) 헬리코박터 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87811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rsa 및 vrsa의 항균을 위한 조성물
KR101548162B1 (ko)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Ali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Eight Medicinal Plant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Broiler Meat
Tinrat Preliminary phytochemical analysis,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Curcuma zedoaria (Christm.) Roscoe extr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