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052B1 -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052B1
KR100770052B1 KR1020060039559A KR20060039559A KR100770052B1 KR 100770052 B1 KR100770052 B1 KR 100770052B1 KR 1020060039559 A KR1020060039559 A KR 1020060039559A KR 20060039559 A KR20060039559 A KR 20060039559A KR 100770052 B1 KR100770052 B1 KR 10077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itis
composition
methanol
treating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영
강석진
서국현
박성재
김현섭
안병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60039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질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포유동물의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소목, 브라질린, 젖소, 유방염

Description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 mastitis comprising a brazilin and a method of treating a mastitis using the same}
도 1은 소목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부터 분리된 단일 물질을 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리된 1분 내지 2분 사이의 분획을 질량분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만성 임상형 유방염에 이환된 젖소의 유방 내에 브라질린을 투여한 후의 우유 중 락토페린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만성 임상형 유방염에 이환된 젖소의 유방 내에 브라질린을 투여한 후의 우유 중의 우혈청 알부민의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의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유동물의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방염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원인에 관계없이 감염율은 40%, 분방 감염율은 25%로 젖소의 질병 중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아 낙농산업에서 가장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질병이다. 유방염이란 원인에 상관없이 유방조직 (mammary gland)에 생긴 염증을 총칭하는 것으로, 유즙에 이화학적, 화학적 및 세균학적 변화가 발생된다. 유방염은 여러 가지 염증성 인자가 원인이 되어 유방조직의 손상이나 비유 기능의 장애를 일으킨다 (Harmon RJ. J Dairy Sci 77:2103-2112, 1994).
유방염은 증상에 따라 임상형과 준임상형 유방염으로 분류하며, 임상형 유방염은 임상증상의 정도에 따라 아급성, 급성, 심급성과 만성 유방염으로 나눈다. 준임상형 유방염은 유방염의 가장 흔한 형태로 유즙의 성상변화와 감염의 발증정도가 미약하여 육안적으로 관찰하기 곤란한 유방염으로 농장의 사정에 따라 발생형태도 다양하다.
유방염은 주로 수많은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되지만 대규모 사육과 착유시설, 환경 및 관리자 등의 요인에 의해서 촉발되기도 한다. 유방염 감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체는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악티노마이세스 파이오젠스(Actinomyces pyogenes), 응집효소-음성 포도상구균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NS),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 (Streptococcus a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애 (Streptococcus dys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우베리스(Streptococcus uberis), 코리네박테리움 파이오젠스 (Corynebacterium pyogenes)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이 있다.
유방 내 염증반응은 유두관 (teat canal)을 통해 세균이 유선에 들어와 증식하여 세균 독소, 효소와 세포 성분이 유선 상피세포의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관련 있는 염증세포에 의해 수많은 염증 매개체 생산을 자극함으로써 발생한다. 이러한 매개체는 보체성분, 프로스타글란딘, 루코트리엔, 히스타민, 세로토닌, 인터루킨, 종양괴사인자 (TNF), 인터페론 및 다른 사이토카인들이다. 이러한 전형적인 염증 증상은 맥관투과성 항진, 혈관확장, 부종, 혈류량 증가, 백혈구 변연화 및 유주, 유선 합성활동 감소, 동통과 열이다. 맥관투과성 증진으로 인하여 혈액 내 성분들이 유선 내로 이행하게 되어 우유 내 소혈청 알부민 (BSA)과 락토페린 (Lf) 등이 증가한다 (Guidry AJ, Ost M, Mather IH, Shainline WE and Weinland BT. Am J Vet Res, 44: 2262-2267, 1983).
종래의 유방염 치료제로는 항생제와 항생제 혼합 연고제가 많이 사용되는데 설파제,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과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균물질은 우유 잔류 및 내성균 유발로 인하여 인류건강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항균물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유방 내 정상적인 균총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농장에서 항생물질의 사용은 더욱더 엄격하게 금하고 있다. 또한 유방염은 여러 가지 병원성 미생물, 젖소 면역상태 등 매우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기 때문에 유방염에 감염될 경우 쉽게 치료되지 않고 재발 비율이 높다. 일반적으로 유방염의 치료는 감염 원인균과 유방염 발생 형태에 따라 달라 25% 내지 75%의 치료율을 나타낸다. (Erskine RJ, Wagner SW and DeGraves FJ. Vet Clin North Am Food Anim Pract , 19: 109-13, 2003).
종래의 항생제 및 화학 요법제를 유방염에 걸린 착유우에 투여할 할 경우 원유 및 젖소 내의 약물 잔류문제로 투여 후 반드시 별도의 휴약 기간을 설정할 것이 요구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에는 착유한 우유를 납품할 수 없게 되어 농가의 손실을 유발한다. 유방염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유방염으로 인한 폐사 및 조기 도태, 우유 폐기 처분, 수의사 진료비 및 약품비, 유생산량 감소 등을 포함한다.
한편, 브라질린은 벤즈(b)-인데노(2,1-d) 피란 유도체로 주로 염료, 산 및 알칼리 지시약 및 식품첨가물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브라질린은 소목 (Caesalpiniae sappan)으로부터 분리 정제되거나 화학적 합성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미국 특허 4,918,099호에는 소목에서 추출된, 브라질린, 브라질라인, 헤마톡실린, 및 해마틴과 같은 벤즈인데노(2.1,d)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혈소판 응집억제제, 당뇨병 치료제 및 고지혈증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브라질린을 이용한 면역증진, 암 및 당뇨병 치료에 관한 보고가 있지만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브라질린을 이용한 가축의 질병치료에 사용된 전례를 찾아볼 수 없으며, 특히 소목 유래 단일물질 또는 브라질린을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젖소 유방염에 적용한 예는 국내외에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체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생약 추출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던 중,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젖소 유방염에 대한 치료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방염의 치료 효율이 높으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 1로 표시되는 브라질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31043067-pat00001
(식 1)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은 소, 염소 및 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브라질린 (7.11b-디히드로벤젠(b)인데노(2.1-d)피란-9(6H)온(7.11b-dihdydrobenz(b)indeno(2.1-d)pyran-9(6H)on))은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합성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브라질린의 유도체는 예를 들면, 브라질레인 (6a,7-디히드로-3,6a,10-트리히드로벤즈(b)인데노(2.1-d)피란9(6H)온), 헤마톡실린 (7.11b-디히드로벤젠(b)인데노(2.1-d)피란-3,4,6a,9,10(6H)펜톨),헤마틴(6a,7-디히드로-3,4,6a,10-테트라히드록시벤즈(b)인데노(2.1-d)피란-9(6H)온), O-트리아세틸안히드로브라질린, O-트리메톡시인데노쿠마린, O-트리메틸안히드로브라질란, O-트리아세틸-cis-브라질란, Bis(o-트리아세틸-cis-브라질란-4-일)이 포함되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의 일 예는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소목 추출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세절한 소목을 메탄올 중에 침지시켜 얻어지는 소목 메탄올 분획을 포함하는 소목의 메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의 다른 바람직한 예는, 세절한 소목을 메탄올 중에 침지시켜 소목 메탄올 분획을 얻고, 상기 메탄올 분획을 물에 현탁한 후 헥산을 가하여 헥산층과 수성층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수성층에 디클로로메탄을 가하여 디클로로메탄층과 수성층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수성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과 수성층으로 구분한 후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여 얻어지는 소목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일 수 있다. 상기 추출에 사용되는 메탄올의 양은 소목의 양에 비하여 4배지 내지 10배의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헥산은 상기 메탄올 분획의 물 현탁액의 1배 내지 5배의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의 유방염 치료에 유용하며, 특히 만성 또는 임상형 유방염 치료용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총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의 디메틸술폭사이드 (DMSO)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총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0 중량%의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MSO는 물과 혼합되기 쉬운 유기 용매로서, 약한 정도의 방부 효과가 있으며, 국소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진통효과도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하여도 독성은 약하다. DMSO는 콜라겐에 대하여 약간의 용매효과가 있으므로 소염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유동물의 분방 또는 유선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중의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방염은 만성형 유방염, 준임상형 또는 임상형 유방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은 소, 염소 및 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투여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방염에 이환된 동물의 분방 내 유두에 주사에 의하여 투여되는 것이다. 투여량은 분방 내의 유두를 통하여 주사되는 경우, 분방 당 1일 1 내지 2회, 1회 10ml (브라질린 함량으로는 50mg 내지 500mg)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치료하고자 하는 포유동물의 종류, 나이, 및 증상 등에 따라 투여량 및 투여 횟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1. 브라질린의 제조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소목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되었다.
소목 (Caesalpiniae sappan L)은 건조된 소목으로 상업적으로 구입된 것 (경동시장, 한국)을 사용하였으며, 종래 알려진 방법 (Kim KJ, Yu HH, Jeong SI, Cha JD, Kim SM, You YO.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91: 81-87, 2004)에 근거하여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소목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먼저, 건조된 소목을 세절하고, 얻어진 50kg의 세절한 소목을 10배의 메탄올로 상온에서 3일 동안 2회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 6.4kg (12.8%)을 얻었다. 이 메탄올 추출물을 2배의 증류수에 현탁하고, 여기에 증류수와 동량의 헥산을 가하여 분액 여두에서 분획한 후, 헥산 가용성 분획을 분리하여 감압 농축하여 헥산 가용성 분획 농축물 100g (0.2%)를 얻었다. 나머지 수층을 다시 같은 방법으로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 625g(0.5%),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2.6kg(5.2%), 부탄올 가용성 분획 1.17kg (2.34%)과 나머지 물 분획 250g(0.5%)을 얻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브라질린을 단일 분리하기 위하여 준비 HPLC (preparatory HPLC) (실리카 칼럼 2.5m× 0.3m이고, 이동상은 CH2CL2:MeOH=10:0→CH2CL2:MeOH=1:9)를 수행하였다. 분리된 단일 물질은 질량 분석기 (mass s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브라질린 표준품 (Bae IK, Min HY, Han AR, Seo EK and Lee SK. Eur J Pharmacol 513(3):237-242,2005)과 비교하여 추출된 단일 물질이 브라질린임을 확인하였다.
도 1은 소목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에서 분리한 단일 물질을 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출시간 1분 내지 2분에서 단일 활성 성분이 분리되었다.
도 2는 상기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리된 1분 내지 2분 사이의 분획을 질량분광분석기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1: 유방염 원인균에 대한 최소 발육억제농도 ( MIC )의 확인
최소 발육억제농도는 종래 알려진 방법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Xu Hong-Xi and Lee Song F. Rhytother res, 18: 647-651, 2004).
먼저, 유방염에 이환된 젖소의 분방에서 분리된 유방염 원인균 및 표준 균주에 대하여 액체 배지 희석법 (broth dilution method)에 따라 측정하였다.
MIC 측정을 위하여 사용된 브라질린은 상기한 정제과정에 얻어진 정제된 브라질린을 사용하였다. 브라질린은 1g을 DMSO에 녹여 최종 농도가 1mg/ml가 되도록 한 다음, 0.2㎛ 필터 (Millipore, 미국)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다음으로, 뮬러 힌톤 배지 (Mueller hinton broth) (Difco, 미국)로 2배씩 다단계 희석을 11단계(211배까지 희석)하고, 96웰 플레이트 (Corning, 미국)의 각 웰에 100㎕씩 분주하였다.
다음으로, 트립틱 소이 브로스 (tryptic soy broth)(Difco, 미국)에서 증균된 각 유방염 원인균을 MacFarland 0.5 탁도 (1.5x108 CFU/ml)로 맞춘 다음, 각 웰에 10㎕ 씩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LISA 리더 (Tecan, 호주)로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
최소억제농도의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유방염 원인균에 대한 브라질린의 최소억제농도
균주 브라질린(㎍/㎖)
야외균주a Staphylococcus aureus 63
Staphylococcus epidermis 63
Streptococcus uberis 4
Escherichia coli >1,000
Klebsiella pneumoniae >1,000
Bacillus spp. 16
Pseudomonas aeruginosa 1,000
표준균주b Staphylococcus aureus 305 63
Staphylococcus epidermis ATCC 12228 31
Streptococcus uberis ATCC 27958 4
Streptococcus agalactiae ATCC 13813 4
Escherichia coli O55 1,000
Bacillus subtilis ATCC 1024 16
야외 균주a : 축산연구소 분리 균주, 표준균주b: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제공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질린의 최소억제농도는 균주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그람 음성균이 그람 양성균에 비하여 높은 최소억제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야외분리주가 표준 균주보다 더 높은 최소억제농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목의 메탄올 추출물과 브라질린은 대부분의 유방염 원인균에 우수한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브라질린의 안전성 및 효능 비교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질린을 각각 젖소의 유방에 투여하고, 체세포 수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이들의 안전성 및 효능을 확인하였다. 우유 중 체세포 (SCC)는 유방염 감염 시 증가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유방염 감염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젖소의 유방에 투여된 브라질린은 다음과 같다:
브라질린 투여 용액: 멸균 유리 용기에 정제된 브라질린 10g을 DMSO 90g에 녹여 완전히 투명한 상태로 되게 하였다. 다음으로, 프로필렌글리콜 (분자량 76.10, DC Chemical Co. Korea) 900ml를 가하여 잘 혼합한 한 후, 멸균 필터를 이 용하여 여과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액체는 진한 갈색을 띄었다. 얻어진 용액을 10ml씩 1회용 주사기에 충진 및 포장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브라질린 투여 용액은 이하 실시예 3,4 및 5에서 사용하였다. 브라질린 투여 용액은 1일 1회 (총 3회) 착유 후에 유두를 통하여 투여하였다. 1회 투여량은 10 ml이었으며, 브라질린 함량은 100mg이었다.
이와 같이 브라질린을 정상 분방과 체세포 수가 높은 준인상형 분방 내에 주입하였고 투여 전과 투여 후 우유 샘플을 채취하고 우유 중의 체세포 수를 체세포 검사기 (Foss 300, Denmar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정제된 브라질린을 젖소에 투여한 후의 체세포의 변화
분방 투여일 수에 따른 체세포 수 (SCCx1,000 cell/ml)
0 1 2 3 4 9
A 8,677 4,294 2,055 4,732 5,800 790
B 772 1,414 599 503 503 123
C 303 657 1,281 605 331 166
D 11,000 6,378 5,293 6,883 6,139 1,907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질린의 투여 전에는 준임상형 유방염으로 체세포 수가 모두 높은 수준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1일 1회 3일 동안 유방 내로 투여한 결과 투여 9일째에는 체세포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유방 내의 경결과 농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만성 유방염에 대한 브라질린의 치료효과 확인
본 실시예예서는 만성 유방염에 걸린 젖소의 유방 내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브라질린 투여 용액을 투여하고,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상기 브라질린 용액은 일회용 주사기에 100mg씩 담아 1일 2회, 3일 동안 유 방 내로 투여하였다. 유방염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투여 전에 우유 시료를 무균적으로 채취하고, 원인균을 분리하여 세균자동분리동정기 (VITEK32, bioMeriux, 미국)를 사용하여 동정하고 임상증상에 대하여 매일 기록하였다. 치료 판정은 투여 후 임상증상이 완전히 소멸되고 병원체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 완치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상기 브라질린 용액을 계속 투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임상증상이 소실되지 않았을 경우, 실패로 판정하였다.
표 3. 만성유방염에 대한 브라질린의 투여 효과
분방 임상증상 (농a) 병원체
투여전 투여후 3일 투여후 7일
A ++ ± ++ Enterobacter spp.
B +++ ++ ++ Streptococcus uberis
C +++ ++ - Staphylococcus aureus
D + - - Staphylococcus aureus
E ++ - - Staphylococcus aureus
F + + - Staphylococcus aureus
G +++ +++ +++ 성장 없음
a: 유방 내 농 발생정도: (-) 농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 (±) 약간의 흔적을 볼수 있는 것, (+) 농이 보이는 것, (++) 농이 많이 보이는 것, (+++) 농이 아주 많이 보이는 것.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성유방염에 본 조성물을 투여 후 임상증상이 확연히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유방염 발생 분방의 염증지표인 락토페린과 우혈청알부민(BSA)의 농도 역시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시 유의성 있게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도 3 및 도 4).
도 3은 브라질린을 만성임상형 유방염에 이환된 젖소의 유방 내에 투여한 후의 우유 중의 락토페린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T와 F는 각각 치료군과 실패군을 나타낸다.
도 4는 브라질린을 만성임상형 유방염에 이환된 젖소의 유방 내에 투여한 후의 우유 중의 우혈청알부민의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T와 F는 각각 치료군과 실패군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임상형 유방염에 대한 브라질린의 치료효과 확인
본 실시예예서는 임상형 유방염에 걸린 젖소의 유방 내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브라질린 용액을 투여하고,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상기 브라질린 용액을 일회용 주사기에 100mg씩을 담아 1일 2회 3일 동안 투여하였다. 유방염 원인균 분리와 치료 판정은 실시예 3과 같이 하였다. 치료가 완료되었으나, 완치 15일 이내에 다시 임상증상이 관찰된 경우에는 재발로 판정하였다.
임상형 유방염에 걸린 젖소의 유방 내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브라질린 용액을 투여한 후의 임상 증상을 관찰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표 4. 임상형 유방염에 대한 브라질린의 투여 효과
분방 임상증상 (농a) 병원체b
투여전 투여후 3일 투여후 7일
A + - - Staphylococcus auricularis
B ++ +++ +++ UNID
C + ± - Corynebacterium spp .
D + ± - Streptococcus uberis
E + + +++ Streptococcus uberis
F ++ ++ +++ Streptococcus oralis
G + - - 성장 없음
H + - - G(-) bacillus
I + + - Staphylococcus xylosus
J ++ - - 성장 없음
a: 유방내 농 발생정도 (-) 농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 (±) 약간의 흔적, (+) 농이 보이는 것, (++) 농이 많이 보이는 것, (+++) 농이 아주 심하게 보이는 것, b: UNID : 확인 되지 않음.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상형 유방염에 이환된 분방에 본 조성물을 투여 후 임상증상이 확연히 감소하였으며, 특히 유방염 증상이 경미한 경우 치유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짧게 나타났다. 실패 처리구 발생은 치료를 위해 분방내 주입시 분방 오염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실시예 3과 4의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브라질린을 이용한 젖소 유방염 치료 효과
구분 투여 분방 완치 재발 실패
만성 유방염 7 4 3
임상형 유방염 10 7 1 3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방염 이환우 분방 내로 투여한 결과 매우 높은 치료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치료효과는 임상형 유방염뿐만 아 니라 만성형 유방염에도 높은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방염 염증의 지표인 락토페린과 BSA 농도의 감소와 유방염 원인균이 근절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젖소 임상형 및 만성 유방염에 대한 항생제 세푸록심 (cefuroxime)의 효과
본 비교예에서는 항균 효과를 가지고 있는 항생제인 세푸록심을 젖소의 감염유방 내에 투여하고, 그 증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세푸록심의 투여는 세푸록심 250mg (SpectrazolTM, Schering-Plough)을 일일 1 내지 2회 착유 후 감염유방 내로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의 임상 증상의 관찰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치료 판정은 투여 후 임상 증상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 완치로, 계속적으로 항생제를 유방 내에 투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임상증상이 소실되지 않았을 경우 실패로 판정하고, 치료가 완료되었으나 완치 15일 이내에 다시 임상 증상이 관찰될 경우 재발로 판정하였다.
표 6. 항생제를 이용한 유방염 치료의 효과
분방 임상증상(농a) 유방염 구분 치료 일수 결과
투여전 투여후 3일 투여후 7일
A +++ +++ ++ 임상형 9 실패
B + + - 임상형 6 치료
C ++ + - 임상형 7 치료
D ++ ++ ++ 만성형 6 실패
E ++ +++ ++ 만성형 6 실패
F ++ ++ ++ 임상형 6 실패
G +++ ++ 임상형 4 실패
H +++ +++ 임상형 3 실패
I +++ +++ +++ 만성형 4 실패
J ++ - 임상형 3 치료
K +++ ++ 임상형 6 치료
L + - 임상형 3 치료(재발)
a: 유방내 농 발생 정도 (-) 농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 (±) 약간의 흔적, (+) 농이 보이는 것, (++) 농이 많이 보이는 것, (+++) 농이 아주 심하게 보이는 것,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한 결과 임상형 유방염에 걸린 9개 분방 중 5개 분방에서만 치료가 되었으며, 그 중 한 개 분방은 재발되었다. 유방염치료를 위해 오랜 기간의 치료가 실시되었다. 만성 유방염에 걸린 3개 분방에 주입하였을 경우는 모두 치료가 되지 않았다.
비교예 2: 소목 메탄올 추출물의 효능의 확인
본 비교예에서는 소목의 추출물이 젖소 유방염에 대하여 치료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소목 메탄올 추출물 10g을 생리 식염수로 990 ml로 완전히 녹여 필터로 여과한 다음 일회용 주사기에 담아 준비하였다. 착유 후에 유두를 통해 1회만 투여하였다.
이와 같이 소목 메탄올 추출물을 정상 분방과 체세포 수가 높은 준임상형 유방염 분방 내에 주입하였고 투여 전과 투여 후 우유 샘플을 채취하고 우유 중의 체세포 수를 체세포 검사기 (Foss 300, Denmar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표 7. 소목 메탄올 추출물을 젖소에 투여한 후의 체세포의 변화
투여그룹 분방수 투여일수에 따른 체세포수 (SCCx1,000 cell/ml)
0 1 2 3 7
A 4 62 3342 752 179 130
B 3 1829 4310 6284 7906 6754
C 2 67 4305 1302 640 385
D 5 4897 7012 6167 6102 4179
* 그룹 A: SCC 10만 미만, 소목 메탄올 추출물 200mg 투여,
그룹 B: SCC 50만 이상, 소목 메탄올 추출물 200mg 투여,
그룹 C: SCC 10만 미만, 소목 메탄올 추출물 400mg 투여,
그룹 D: SCC 50만 이상, 소목 메탄올 추출물 400mg 투여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목 메탄올 추출물을 젖소 유방 내로 투여하였을 경우, 체세포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투여를 종료한 후에는 감소하였다. 또한, 우유 중의 체세포 수치가 높은 분방 내에 투여하는 경우, 체세포는 감소하지 않았다. 소목 메탄올 추출물을 유방 내에 투여하는 경우, 투여 분방에서 유방 경결과 농과 같은 부작용이 관찰되었다.
이는 소목 메탄올 추출물은 유방염 치료에 효과적이지 않지만, 그에 포함되어 있는 브라질린을 분리하여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방염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브라질린을 이용한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로 브라질린의 항균효과와 본 조성물이 염증 매개체 생산을 경감시키는 항염증효과로 인하여 유방염의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킨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유방염에 이환된 젖소의 분방 내 주입시 기존의 항생제에 비해 치료효과가 탁월하고 임상형 유방염뿐만 아니라 만성유방염 및 준임상형 유방염에 대한 치료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체와 동물에 대한 부작용이 없고 안정성이 뛰어나 젖소 유방염 치료를 위해 유방내 주입시 별도의 휴약기간이 필요하지 않아 항생제 잔류와 같은 문제 를 해결할 수 있고, 보다 친환경적인 낙농산업 구축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생약의 특정물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가축 질병치료제 신약개발로 현장에선 생산비 절감과 안정성 확보 및 세계적인 신약수출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0)

  1. 식 1로 표시되는 브라질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Figure 112006031043067-pat00002
    (식 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은 소, 염소 및 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절한 소목을 메탄올 중에 침지시켜 얻어지는 소목 메탄올 분획을 포함하는 소목의 메탄올 추출물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절한 소목을 메탄올 중에 침지시켜 소목 메탄올 분획을 얻고, 상기 메탄올 분획을 물에 현탁한 후 헥산을 가하여 헥산 가용성 분획과 수성층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수성층에 디클로로메탄을 가하여 디클로로메탄층 가용성 분획과 수성층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수성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과 수성층으로 구분한 후 상기 에틸아 세테이트 가용성 분획을 분리하여 얻어지는 소목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만성형 유방염, 준임상형 또는 임상형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총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의 디메틸술폭시드 (DMSO)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총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0 중량%의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8.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의 분방 또는 유선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중의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염은 만성형 유방염, 준임상형 또는 임상형 유방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은 소, 염소 및 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KR1020060039559A 2006-05-02 2006-05-02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 KR100770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559A KR100770052B1 (ko) 2006-05-02 2006-05-02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559A KR100770052B1 (ko) 2006-05-02 2006-05-02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052B1 true KR100770052B1 (ko) 2007-10-31

Family

ID=3881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559A KR100770052B1 (ko) 2006-05-02 2006-05-02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0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028B1 (ko) * 1990-04-26 1993-01-06 문창규 브라질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조절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028B1 (ko) * 1990-04-26 1993-01-06 문창규 브라질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조절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4702B1 (en) Anti-biofil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US9849145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oneysuckle extract and antibiotics, pharmaceutical kit, and use of honeysuckle extract for preparation of drug
US5449794A (en) Benzopyran phenol derivatives for use as antibacterial agents
KR0165132B1 (ko) 포도상구균 항균제
Adaszyńska-Skwirzyńska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lavender essential oil and linalool combined with gentamicin on selected bacterial strains.
CN114129547B (zh) 香芹酚在提高耐甲氧西林金黄色葡萄球菌对β-内酰胺类抗生素敏感性方面的应用
Parwanto Efficcacy of Lantana camara Linn. leaf extracts ointment on dermal wound healing were infected with Staphylococcus epidermidis
Feng et al. Effect of matrine on reducing damage to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induced by Staphylococcus aureus alpha-hemolysin
KR20060095599A (ko) 감염 방어능력 및 패혈증 치료능력을 지닌 인삼추출 다당체
KR101156082B1 (ko)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KR100770052B1 (ko) 브라질린을 포함하는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
KR20080083499A (ko)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RU2491921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мастита у коров в сухостойный период
KR102203849B1 (ko) 동물용 복합 항생제 조성물
Rajalakshmi et al. Antimicrobial Potential of Siddha Polyherbal Formulation Aavarai Kudineer
KR100371090B1 (ko) 동물용 복합항균제 조성물
KR101979358B1 (ko) 소 유방염 치료제 조성물
KR100771025B1 (ko) 사이토카인 생산 억제제
CN113456655B (zh) 没食子酸丙酯增效抗猪链球菌抗生素的新用途
Chaisri et al. Screening antimicrobial properties against mastitis pathogens of turmeric extract after combination with various antiseptics
Leelakhachonchit et al. The effects of heartwood extracts from Biancaea sappan L. against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oNS) and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subclinical mastitis in dairy goats.
KR101631201B1 (ko) 젖소 유방염 치료용 액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젖소 유방염 치료방법
KR101980802B1 (ko)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7563A (ko) 수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족수 인식 억제용 조성물 또는 항균용 조성물
US2023040496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eritonit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